KR102029267B1 - 정보 공유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공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267B1
KR102029267B1 KR1020180060347A KR20180060347A KR102029267B1 KR 102029267 B1 KR102029267 B1 KR 102029267B1 KR 1020180060347 A KR1020180060347 A KR 1020180060347A KR 20180060347 A KR20180060347 A KR 20180060347A KR 102029267 B1 KR102029267 B1 KR 10202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ellular phone
vehicle
clus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to KR102018006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공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메뉴 및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와, 상기 클러스터와 제 1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정보만을 전달받는 제 1 셀룰러폰과, 상기 제 1 셀룰러폰과 제 2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셀룰러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정 장소에서 출발하는 차량의 출발시간 및 차량의 각종 정보를 외부에서 셀룰러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공유 장치{Apparatus for communiz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휴대 단말기가 제공받아 공유할 있도록 하는 정보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는 차량 주행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엔진 등 각종 장치의 작동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통상 운전석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에는, 속도계, 구간거리계, 적산계, 엔진의 회전수를 지시하는 RPM 속도계,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 등과 같은 다수의 게이지(gauge)가 장착되고, 그 밖에 브레이크 경고등 및 시트벨트 경고등, ARS 경고등, TCS 경고등, 기타 차량 내 부속 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경고상태 등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등이 장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러스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차량의 클러스터는 단순히 다이얼식 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더 나은 시인성 및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액정을 이용한 그래픽 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기능 및 구성 등이 점차 개선되는 클러스터라 할지라도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어떠한 구성도 마련되고 있지 않다. 이는 운전자 이외의 제3자가 외부에서 차량의 주행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음을 의미하며, 차량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데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경우에 따라 차량의 주행관련 정보를 외부에서 제3자가 확인할 수 있으면, 그만큼 효율적이며 안전한 차량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출발 시각을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알 수 있다면 이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행위(전화 등)를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차량정비를 전혀 알지 못하고 단지 운전만 하는 사람은 소모품 등의 교환 주기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정비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람이 외부에서 그 차량의 각종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면 차량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63659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정보를 기 셋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외부에서도 차량의 주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보 공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클러스터를 이용한 정보 공유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메뉴 및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 상기 클러스터와 제 1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정보만을 전달받는 제 1 셀룰러폰; 그리고 상기 제 1 셀룰러폰과 제 2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셀룰러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중 하나일 수 있고, 제 2 통신방식은 3G, LTE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셀룰러폰은 차량의 출발시간, 현재 위치 및 도착 예정시간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도착 예정시간은 상기 제 2 셀룰러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보 공유 장치에 따르면, 소정 장소에서 출발하는 차량의 출발시간 및 차량의 각종 정보를 외부에서 셀룰러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일반적인 클러스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 클러스터를 이용한 정보 공유시스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클러스터(100)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는 차량이 주차상태에서 출발하는 시간정보, 차량의 속도정보, 적산거리 정보, 연료정보, 냉각수의 온도정보 및 기타 차량 내 부속 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경고상태 등을 표시하는 정보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하에서는 클러스터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클러스터(100)에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표시하는 표시영역(11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표시영역(110)은 예를 들어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Display)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표시영역(110)을 조작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영역(110)의 소정 버튼을 누르거나 소정 영역을 터치 조작하면, 일련의 정보들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표시영역(110)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각종 정보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즉, 클러스터 정보들을 외부에서 전송받도록 셀룰러폰(즉, 외부단말, 제 2 셀룰러폰이라 하기도 함)(3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전화번호 입력메뉴(120)가 포함된다. 이러한 전화번호 입력메뉴(120)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는 별도의 삭제 명령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전화번호는 하나 이상 입력 가능하다. 또한, 표시영역(110)에는 클러스터 정보들 중에서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들을 선택하는 선택메뉴(130)도 구비된다. 즉, 표시영역(110)에는 전화번호 입력메뉴(120)와 함께 클러스터 정보들 중 실제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메뉴(130)가 표시되는데, 이러한 전화번호 입력메뉴(120)와 선택메뉴(130)는 함께 표시되거나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영역(110)은 실질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온 되거나 차량이 출발하는 것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표시영역(110)이 동작하는 것이란, 실질적으로 클러스터(100)가 선택메뉴(130)에 선택된 클러스터 정보를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클러스터 정보는 차량 내에서 외부로 전달되지 못한다. 이는 클러스터(100)에 3G나 LTE와 같은 통신매체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셀룰러폰(즉, 내부단말, 제 1 셀룰러폰이라 하기도 함)(200)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정보를 외부단말(300)로 전송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구체적으로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제 1 셀룰러폰(200)과 제 2 셀룰러폰(300)은 3G나 LTE 등의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클러스터(100)에는 제 1 통신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매체가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은 최초 1회 연결만으로 이후부터는 자동 페어링(auto pairing) 동작에 의해 자동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셀룰러폰(200, 300)에는 제 1 통신방식 및 제 2 통신방식을 수행하는 통신매체가 이미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간 자동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클러스터(100)는 제 1 셀룰러폰(200)이 가지고 있는 모든 통신수단을 스캔한다. 이 때, 제 1 셀룰러폰(200)이 주체가 되어 통신수단을 스캔할 수 있다. 이는 클러스터(100)의 통신수단종류 요청신호에 대응한 제 1 셀룰러폰(200)의 통신수단종류 응답신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셀룰러폰(200)의 통신수단종류 요청신호에 대응한 클러스터(100)의 통신수단종류 응답신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캔된 통신수단 중에서 운전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클러스터(100)의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 통신수단을 자동 실행시킨다. 일례로서, 블루투스가 1순위로 설정되었을 경우 블루투스 모듈을 구동시킨다. 한편, 블루투스 모듈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스캔 과정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간 페어링조건을 미리 세팅하여야 한다.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통신수단에 의해 페어링되도록 하거나, 클러스터(100)의 프로그램을 통해 근거리통신 중에서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페어링되도록 하거나 미사용중인 통신수단에 의해 페어링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간 최초 통신수단의 스캔 및 페어링 과정에서 통신수단에 대한 정보를 상호 저장한다. 이후 접속시에는 해당 제 1 셀룰러폰(200)의 확인을 통해 설정된 통신수단을 선택하여 페어링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페어링하고자 하는 기기가 하나의 통신수단만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수단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즉, 다른 기기가 해당 통신수단으로 이미 페어링되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기기를 강제 종료시킨다. 이 때, 다른 기기는 다른 통신수단으로 페어링된다. 그런데 만약, 다른 기기도 해당 통신수단만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페어링 대상의 선택을 위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운전자로 하여금 페어링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페어링하고자 하는 기기가 다수의 통신수단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다른 통신수단간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때에, 송수신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통신수단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송수신 데이터량이 많을 경우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통신수단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페어링하고자 하는 기기가 이미 사용중인 통신수단에 페어링될 수 있다. 물론, 해당 통신수단에 페어링된 다른 기기는 강제 종료되거나 다른 통신수단으로 페어링될 것이다.
여기서, 페어링이 이루어진 모든 기기들은 동시에 접속되어 페어링 전환이 이루어진 정보를 상호 저장한다. 이후 동일 기기에 대한 접속에 대해서는 저장된 정보에 의해 세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 2 셀룰러폰(300)은 클러스터 정보를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물론,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클러스터 정보를 전달받고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클러스터 정보는 제 1 셀룰러폰(200)을 매개로 제 2 셀룰러폰(200)이 전달받기 때문에, 제 1 셀룰러폰(200)을 소지하고 있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 클러스터 정보의 전달과정은 실질적으로 종료될 것이다. 이는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 제 2 셀룰러폰(300) 사이의 통신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의 클러스터 정보를 외부단말인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첨부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운전자는 차량의 표시영역(110)에 마련된 전화번호 입력메뉴(120)를 통해 클러스터 정보를 전달받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100). 전화번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입력된 전화번호는 계속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들 전화번호를 가진 셀룰러폰으로만 클러스터 정보가 전달되게 된다. 물론, 전화번호를 추가하고 삭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클러스터 정보 중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한다(s110). 이는 선택메뉴(130)를 이용하면 된다. 즉, 표시영역(110)에는 전화번호 입력메뉴(120)와 선택메뉴(130)가 표시되는데, 운전자는 이들 메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입력과 정보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 메뉴(130)에 의해 선택된 메뉴도 이후 별도의 선택 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한 그대로 유지되어 저장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클러스터 정보들 중 기본정보와 추가정보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기본정보로서 차량의 출발시간이 셋팅되면, 이 기본정보는 차량이 출발할 때 반드시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되는 정보일 수 있다. 반면, 추가정보로 연료정보 등이 셋팅된 경우 이러한 추가정보는 차량 출발과는 상관없이 미리 설정한 목표값에 도달한 경우에만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되는 정보일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기본정보 및 추가정보는 선택메뉴(130)를 통해 운전자가 직접 셋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본정보나 추가정보의 개수 역시 각각 하나 이상씩 셋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와 전달하고자 하는 클러스터 정보로서 차량의 출발시간 정보가 셋팅된 상태를 가정하고, 이러한 정보 전달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제 1 셀룰러폰(200)을 소지한 채 차량에 탑승하고 시동을 켠다(s120). 그러면,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은 기 셋팅된 제 1 통신방법(즉,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들 중 하나)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들 상호 간을 연결하는 통신방법은 초기화 후 다시 선택할 수 있으며, 최초 1회 연결만으로 이후부터는 자동 페어링(auto pairing) 동작에 의해 자동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셀룰러폰(200)과 제 2 셀룰러폰(300)도 연결 상태라고 할 수 있다(s130). 물론, 정확하게는 정보의 전송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만 연결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클러스터(100)와 제 1 셀룰러폰(200)이 페어링 된 상태에서, 차량이 출발하면 클러스터(100)는 차량의 출발시간 정보를 제 1 통신방법을 통해 제 1 셀룰러폰(2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셀룰러폰(200)은 3G 또는 LTE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기 설정된 전화번호를 가지는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차량의 출발시간 정보를 전달한다(s140).
이에 제 2 셀룰러폰(300)의 사용자는 차량의 출발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차량의 출발시간 이외에도 제 1 셀룰러폰(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함께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셀룰러폰(300)의 사용자는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출발시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도착 예정시간을 어느 정도 짐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의 출발시간은 통상 차량이 출발하게 되면 클러스터(100)에서 제 1 셀룰러폰(200)을 통해 제 2 셀룰러폰(300)으로 1회 전달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도착 예정시간을 더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의 출발시간 및 차량의 현재 위치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에 목적지 정보만 입력되면 남은 거리를 알 수 있고, 따라서 목적지 도착 예정시간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서도 도착 예정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클러스터(100)에 이미 제 2 셀룰러폰(300)의 전화번호가 입력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제 2 셀룰러폰(300)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클러스터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셀룰러폰(300)을 선택하면, 클러스터(100)는 제 2 셀룰러폰(3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 1 셀룰러폰(200)을 통해 전달받는 것이 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차량의 출발과 함께 차량 출발시간 및 현재 위치, 그리고, 도착 예정시간 정보를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는 차량의 출발시간을 중심으로 특정 정보만을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차량의 속도정보, 적산거리 정보, 연료정보, 냉각수의 온도정보 및 기타 차량 내 부속 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경고상태 등의 클러스터 정보들도 차량내의 제 1 셀룰러폰(200)을 통해 외부의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모품 등의 교환 주기가 도래하면 자동으로 A/S 센터에 연락하거나 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경고등 발생시 경고등의 설명 및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A/S 센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사고 등으로 에어백이 전개될 경우 제 2 셀룰러폰(300)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어, 차량 사고를 빠르게 인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러스터가 제공하는 정보와 함께 차량의 출발시간 및 차량 위치, 도착시간 정보를 외부의 휴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클러스터
110 : 표시영역
120 : 전화번호 입력메뉴
130 : 선택메뉴
200 : 제 1 셀룰러폰
300 : 제 2 셀룰러폰

Claims (3)

  1. 차량 상태 및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스터에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메뉴 및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형성시키고,
    상기 클러스터와 제 1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제 1 셀룰러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셀룰러폰과 제 2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셀룰러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제 2 셀룰러폰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 2 셀룰러폰은 차량의 출발시간, 현재 위치 및 도착 예정시간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도착 예정시간은 상기 제 2 셀룰러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계산하는 차량 클러스터를 이용한 정보 공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방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중 하나이고, 제 2 통신방식은 3G, LTE 중 하나인 차량 클러스터를 이용한 정보 공유 장치.
  3. 삭제
KR1020180060347A 2018-05-28 2018-05-28 정보 공유 장치 KR102029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47A KR102029267B1 (ko) 2018-05-28 2018-05-28 정보 공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47A KR102029267B1 (ko) 2018-05-28 2018-05-28 정보 공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67B1 true KR102029267B1 (ko) 2019-10-07

Family

ID=6842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47A KR102029267B1 (ko) 2018-05-28 2018-05-28 정보 공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03B1 (ko) * 2020-09-24 2021-06-1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정보 표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659A (ko)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JP2016043757A (ja) * 2014-08-21 2016-04-0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70063300A (ko) * 2015-11-30 2017-06-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차량용 avn과 사용자 단말기 간 멀티 미러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659A (ko)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JP2016043757A (ja) * 2014-08-21 2016-04-0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70063300A (ko) * 2015-11-30 2017-06-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차량용 avn과 사용자 단말기 간 멀티 미러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03B1 (ko) * 2020-09-24 2021-06-1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정보 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1377B (zh) 使用带有最优化消耗的不间断电源的与信息娱乐系统集成的远程信息处理服务按钮
CN106470392B (zh) 用于使用蓝牙双模式进行自动蓝牙连接的方法和设备
KR100801397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진단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8731627B2 (en) Method of using a smart phone as a telematics device interface
KR10084390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제어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104086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route guidance
JP2014202517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81439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vehicle
JP6534352B2 (ja) 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通知方法
US20140269466A1 (en) Controlling wi-fi service in a vehicle
KR20040062829A (ko) 복합 이동통신단말의 수신 감도 표시방법
CN112463271A (zh) 用于在车辆显示器上呈现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049538B1 (ko) 차량위치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표시방법
KR102029267B1 (ko) 정보 공유 장치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86156B1 (ko) 정보 표시 장치
US20180043903A1 (en) Wirelessly communicating user-controlled vehicle preference settings with a remote location
US8423286B2 (en) Method for displaying activity information on a navigation device and related navigation device
JP4125139B2 (ja) 車載用情報端末
KR101525704B1 (ko)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차량용 클러스터 제어장치
JP5097638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7920338A (zh) 通过所选择的蜂窝设备协调蜂窝数据
US10455076B1 (en) Configurable in-vehicle teletypewriter (TTY) functionality
KR20150090415A (ko) 차량관리 시스템
KR101655823B1 (ko) 차량 내 이동 단말기 사용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