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31A -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331A
KR20220022331A KR1020200103377A KR20200103377A KR20220022331A KR 20220022331 A KR20220022331 A KR 20220022331A KR 1020200103377 A KR1020200103377 A KR 1020200103377A KR 20200103377 A KR20200103377 A KR 20200103377A KR 20220022331 A KR20220022331 A KR 20220022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vehicle
us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331A/ko
Publication of KR2022002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실시 예의 차량은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갖는 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 유닛 및 헤드 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캔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Wireless data connecting portion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에 장착된 텔레메틱 제어 유닛(TCU: Telematics Control Unit)과 헤드 유닛(Head Unit)을 통하여 차량의 커넥티비티(connectivity)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TCU를 활용하여 차량의 커넥티비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6-0080065에 개시된 기존의 차량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 슬롯(112)에 휴대 전자 기기(10)을 장착하고, 휴대 전자 기기(10)의 통신 모듈을 활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차량의 커넥티비티가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차량의 경우, 센터페시아에 휴대 전자 기기(10)와 연결할 수 있는 슬롯(112)을 설치하여 차량 내 캔(CAN) 정보와 전원을 받아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경우, 차량이 제조될 때 한 가지 종류의 테블릿만을 지원하도록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가 고정되므로, 호환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테블릿이 변경될 경우 슬롯의 재개발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커넥티비티 솔루션은 차량 내부에 장착된 통신 모듈과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유선 연결을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차량을 출고한 후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추가로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커넥티비티 컨텐츠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한 가지 운영 체재에서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개인 핸드폰에서 운전시 사용하던 모바일 앱(Android, iOS)과 호환될 수 없고, 출시되어 있는 모바일 앱을 적용할 때에도 차량 내 운영 체재와 연동하기 위해 추가로 개발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비용과 개발 기간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6-0080065(공개일: 2016년 7월 7일, 발명의 명칭: 휴대 전자 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실시 예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은,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갖는 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 유닛 및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캔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인증된 상기 헤드 유닛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는 인증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상기 헤드 유닛과 관제 서버와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상기 캔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상기 캔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캔 데이터를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헤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안착되기에 적합한 거치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헤드 통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연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근접할 때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헤드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는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측 통신부; 상기 연결 통신부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의 인증여부를 검사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에 근접할 때,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에 연결시키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탈거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알람 데이터를 상기 헤드 통신부로 출력하는 헤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통신부는 상기 헤드 통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는 상기 알람 데이터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멈추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고, 상기 사용자측 전자기기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탈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알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와 상기 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캔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디지털 운행기록 데이터, 차량등록번호, 차량 진단 데이터, 속도 또는 차량 주행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캔 데이터를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헤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캔 데이터를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갖는 캔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캔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연결 통신부; 및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근접할 때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통신 모듈을 갖지 않아도 차량 제조 사의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티비티 사용을 증가시키고, 우수한 보안성과 개선된 호환성을 갖고, 고가의 사용자측 전자 기기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개발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실시 예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 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와 사용자측 전자 기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적용 례에 의한 차량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다른 적용 례에 의한 차량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은 헤드 유닛(110) 및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10)은 차량(100)에 관한 정보를 갖는 캔(CAN)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캔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캔 데이터는 디지털 운행 기록(DTG:Digital Tacho Graph) 데이터, 차량등록번호(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량 진단(diagnostic) 데이터, 속도(speed) 또는 차량 주행 거리(dista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10)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간의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BT: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는 헤드 유닛(110)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으로 송신된 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캔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또는, 테블릿(tablet))(200)로 송신한다.
헤드 유닛(110)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간의 데이터 전송은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로부터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로 캔 데이터의 전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와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간의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BT) 또는 와이파이(WiFi)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는 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100)의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운용할 수 있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는 차량(100)의 고유한 용도에 전용으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운송 업무를 수행할 때,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는 차량(100) 내에서 운송 업무 전용으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는 사용자가 티맵(Tmap) 또는 카카오 네비 등과 같이 통신형 네비게이션, 음악,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또는 machine intelligence) 비서, 물류 업무 앱(상용)을 사용하고자 할 때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전자 기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의 특정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차량(100)의 실시 예(100A)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0)의 실시 예(100A)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A)은 헤드 유닛(110A) 및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10A) 및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유닛(110) 및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각각의 실시 예로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헤드 유닛(110A)은 데이터 생성부(112) 및 헤드 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110A)은 헤드 제어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110A)은 배터리(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12)는 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헤드 통신부(114)는 데이터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캔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118)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전력선(PL)을 통해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연결 통신부(123) 및 제1 근거리 무선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전력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연결 제어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무선 충전부(Qi)(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통신부(123)는 헤드 유닛(110A)의 헤드 통신부(114)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NFC부(125)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근접 또는 거치 또는 장착될 때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제1 NFC부(125)를 장착하여,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거치될 때,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와 블루투스(BT)나 와이파이(WiFi)에 의해 무선으로 간편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차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력부(127)는 헤드 유닛(120A)의 배터리(11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의 각 부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Qi)(129)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안착될 때,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와 사용자측 전자 기기(42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와 사용자측 전자 기기(4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와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 각각의 실시 예에 해당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420)가 안착되기에 적합한 거치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는 차량(100, 100A)에 장착되는 레그(41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레그(412)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를 차량(100, 100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420)가 안착되도록 할 수만 있다면,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의 거치대 형상은 도 3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 100A)에서 생성된 캔 데이터는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예를 들어, USB 프로토콜(protocol))로 변환되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캔 데이터가 상용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와 호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헤드 제어부(114)는 데이터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캔 데이터를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 데이터를 헤드 통신부(114)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연결 제어부(123)는 연결 통신부(123)에서 수신한 캔 데이터를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를 연결 통신부(123)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의 연결 통신부(123)는 통신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캔 데이터는 헤드 제어부(116)를 경유하지 않고 헤드 통신부(114)로 직접 출력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는 인증된 헤드 유닛(110, 110A)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헤드 유닛(110, 110A)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는 인증된 헤드 유닛(110A)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헤드 유닛(110A)과 관제 서버(300)와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측 추가 전자 기기(4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300)는 제1 내지 제N 서버(310, 320, ..., 및 330)(여기서, N은 1이상의 양의 정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10)는 티맵이나 카카오 등과 같은 맵에 관련된 서버일 수 있고, 제2 서버(320)는 렌터카, 택시, 운송사 등과 같이 외부 차량 운용사의 관제 서버일 수 있고, 제3 서버(330)는 음악 또는 상용 업무 앱 등과 관련된 서버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는 사용자측 통신부(210), 제2 NFC부(220) 및 데이터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는 무선 충전부(Qi)(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측 통신부(210)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로부터 전송된 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제2 NFC부(220)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근접할 때, 제1 NFC부(125)와 연계하여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연결 통신부(123)와 제1 NFC부(125)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의 인증여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30)는 차량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Qi)(240)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의 무선 충전부(Qi)(129)와 연계하여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A)으로부터 캔 데이터를 받아 커넥티비티 서비스가 실현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근접하면 제2 NFC부(220)와 제1 NFC부(125)가 서로의 블루투스(BT) 또는 와이파이(WiFi)의 MAC 어드레스를 확인한다.
이후, 연결된 제2 NFC부(220)와 제1 NFC부(125)를 통해 사용자측 통신부(210)와 연결 통신부(123)의 블루투스(BT) 또는 와이파이(WiFi) 링크(Link)키가 교환되고, 사용자측 통신부(210)와 연결 통신부(123)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 내부에 마련된 데이터 처리부(230)는 연결 통신부(123)의 MAC 어드레스가 소정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의 데이터 처리부(230)는 차량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open)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지정된 MAC 범위 내에 있는 헤드 유닛(110)의 헤드 통신부(114)를 검색한 후 연결 통신부(123)를 통하여 헤드 통신부(114)와 무선(BT/WiFi) 연결을 진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로부터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경유하여 헤드 유닛(110A)까지 무선 통신라인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MAC 어드레스 기반의 보안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10, 110A)에서 생성된 캔 데이터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와 호환되도록 USB 프로토콜로 변환되며,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를 통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와 관제 서버(300)는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를 통해 연결되어 차량(100A)의 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A)의 알람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즉, 차량(100A)에서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로부터 탈거 가능함을 알리는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헤드 제어부(116)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탈거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알람 데이터(또는, Reminder alarm)를 헤드 통신부(114)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제어부(116)는 차량(100A)의 시동이 멈추고(즉, 엔진이 오프되고), 차량(100A)의 도어가 열리고, 사용자측 전자기기(200A)가 거치대(120A, 410)에 안착되어 있을 때, 탈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알람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통신부(123)는 헤드 통신부(114)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람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NFC부(125)와 제2 NFC부(220)의 연결이 유효하다면,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는 제1 NFC부(125)를 통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로 알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는 알람 데이터를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는 데이터 처리부(230)를 통해 알람 데이터를 푸시 메시지(push message)의 형태로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로부터 탈거 가능함을 사용자측 추가 전자 기기(400) 또는 관리 업체 서버(예를 들어, 제2 서버(320))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측 추가 전자 기기(400)는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전자 기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인터넷 웹(Internet web)을 제공하는 전자 기기일 수 있다.
결국,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은 알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차량(100)의 일 적용 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일 적용 례에 의한 차량(1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차량(100A)은 헤드 유닛(110A)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A), 헤드 유닛(110A) 및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도 2에 도시된 차량(100A), 헤드 유닛(110A) 및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각각 해당하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의 데이터 처리부(230)는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와 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100A)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관제 서버(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관제 서버(300)는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1 내지 제N 서버(310, 320, 330)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적용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가 주유/보험 지불과 연동되는 자동 차계부인 경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차량 커넥티비티 모듈이나 OBD 동글을 활용한 마일리지 보험은 시중에도 나와 있지만, 차량 구매 시 장착된 커넥티비티 모듈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만일, OBD 동글을 차량에 장착할 경우 이러한 장착이 불법 장착물로서 간주되어, 차량 제조사의 규정과 애프터서비스(AS)의 보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에,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 100A)에서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를 경유하여 BT/WiFi 같은 무선으로 헤드 유닛(110, 110A)과 연결됨은 통신 규정 안에서 동작되므로 차량 내 불법 부착물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와 헤드 유닛(110, 110A) 간의 무선연결은 차량 제조사의 인증 모듈만으로 제한함으로써 캔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 100A)에 의할 경우, 기존 앱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를 활용한 가계부 시스템에 차량등록번호, 차량 진단 데이터, 속도 또는 차량 주행 거리 등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 100A)을 통해 자동차계부를 만들어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기존에 차량 내 커넥티비티 모듈을 사용할 때의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특히, 실시 예에 의한 차량에 택시/렌탈/물류 업무용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가 연결될 경우, 간단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연동을 통해 업체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고, 도유를 방지하며 차량(100, 100A)과 관계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앱의 빠른 전파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와 연동된 카드로 보험/주유/소모품에 대한 결재가 발생하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로 문자나 카톡이 외부 정보로서 도착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230) 즉, 차량용 앱은 문자/카톡에서 받은 보험/주유/소모품 가격정보 등의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에 총거리, 진단정보, 가감속정보 등의 캔 데이터를 더하여 마일리지보험/안전운행지수/거리당 소모품(엔진오일등) 사용량과 교체 알람 서비스를 수행하고, 이 결과를 관제 서버(300)로 전달하여 사용자 개인의 핸드 폰이나 관제 업체 서버에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적용례에 의할 경우, 렌탈/택시/법인차량/운수업체 등에서, 연료비/마일리지당 연료 거리/가감속/소모품 교환 등 차량 이력을 비용의 지출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주유비/차량 소모품비와 연동되는 차계부를 제공할 수 있어, 안전 운행과 차량관리를 도울 수 있다.
도 5는 다른 적용 례에 의한 차량(100B)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차량(100B)은 헤드 유닛(110B)과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에 해당하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헤드 유닛(110B)은 도 2에 도시된 헤드 유닛(110A)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생성부(112), 헤드 통신부(114), 헤드 제어부(116) 및 배터리(1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운행 기록계(112A)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생성부(112)의 일 례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차량(100B)에서 생성되어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로 전송된 캔 데이터는 차량(100B)의 디지털 운행기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용 례에 의한 차량(100B)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와 디지털 운행 기록계(112A)를 자동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서버(310)는 운송사의 서버일 수 있고, 제2 서버(320)는 국가 트럭 운행 관리 서버일 수 있다.
중대형 트럭과 같은 차량의 경우, 안전운행을 위해 운행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운행 기록계(112A)를 의무로 설치하여 국가 기관에 그 기록된 내용을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디지털 운행 기록계(112A)는 입력 키보드가 5개 내지 6개 정도로 구성되어 있어, 운전자나 차량 변경 시 입력하는 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불만이 많고 통신형 디지털 운행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통신사에 매달 소정 금액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부담이 된다. 미국/유럽은 이러한 규정을 더 강화하고 있으며, 개인이 보유한 운전자 카드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운행과 휴식을 추적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례에 의한 차량의 경우,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A)를 사용하여,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의 데이터 처리부(230) 즉, 차량용 앱을 로그인한 후, 앱에 입력된 차량번호와 개인정보를 NFC 터치만으로 차량의 차량등록번호/차량 진단 데이터 만으로 연동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운행 기록 데이터의 요금 관점에서도, 디지털 운행 기록계(112A)의 디지털 운행 기록 데이터를 캔 데이타로서 무선(BT/WiFi)으로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로 전송하여,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A)의 데이터 요금으로 통신형 디지털 운행 기록 데이터와 동일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비용적 관점에서도 대당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결국, 다른 적용 례에 의하면, 트럭 운전자 및 운송사로 하여금, 간편하게 디지털 운행 기록 데이터를 접속하도록 하고, 통신 비용을 절감시키고, 기존 운송사 앱과 호환되도록 API를 설계하여, 운송사 시스템의 큰 변경없이 사용 가능하여 운전자와 운송사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디지털 운행 기록계(112A)의 자동 연결에 대한 가능성으로 국가의 트럭 운행 기록 데이터화를 도울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이 갖는 실시 예 및 적용 례를 효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실시 예 및 적용 례에 의한 차량(100, 100A, 100B)의 경우,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가 차량(100, 100A, 100B)의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를 경유하여 헤드 유닛(110, 110A, 110B)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의 통신 모듈인 사용자측 통신부(210)를 활용함으로써, 차량(100, 100A, 100B)에 장착된 통신 모듈이 없더라도 제조 사의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결부(120, 120A)가 차량(100, 100A, 100B)의 헤드 유닛(110, 110A)과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던 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및 적용 례에 의하면, 현재 출시된 차량에도 전원 배선 작업만을 통해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가능하게 하여, 현재 출시된 차량의 커넥티비티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사에서 인증받은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 120B)만 차량과 연결되게 하여, 사용자 개인과 차량(100, 100A, 100B)에 대한 정보의 보안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 200B)로서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기존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영 체계(예, 안드로이드/iOS)와 호환이 가능하며 외부 관제 서버(300)와도 호환이 어렵지 않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경우, 거치대 형상을 갖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410)는 인증된 헤드 유닛(110)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연결을 허가하므로, 차량(100, 100A, 100B)에 대한 정보의 보안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 100A, 100B)의 경우,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는 인증된 헤드 유닛(110, 110A, 110B)과 거치대 형상을 갖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헤드 유닛(110, 110A, 110B)과 관제 서버(300)와의 연결을 허용하므로, 차량(100, 100A, 100B)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인에 대한 정보의 보안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 100A, 100B)의 경우, 시동이 꺼지고 문이 열릴 때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가 거치대 형상을 갖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에 여전히 장착되어 있거나 근접해 있을 경우,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의 탈거 가능을 알릴 수 있어, 고가의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의 분실 방지를 위한 탈거를 적극적으로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언어/RF/앱이 다르기에 지역마다 개발을 해야 하는 반면, 실시 예에 의한 차량(100, 100A, 100B)의 경우, 멀티미디어 시스템 대신에 무선 데이터 연결부(120, 120A)에 사용자측 전자 기기(200, 200A)가 거치되어 센터페시아에 배치되므로, 전술한 개발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전술한 여러 개의 실시 예는 서로 조합될 수 없다고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누락된 부분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갖는 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 유닛; 및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캔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인증된 상기 헤드 유닛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는
    인증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의 MAC 어드레스가 인식될 때만, 상기 헤드 유닛과 관제 서버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차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상기 캔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차량.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상기 캔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되는 차량.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캔 데이터를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헤드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안착되기에 적합한 거치대 형상을 갖는 차량.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헤드 통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연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근접할 때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헤드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는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측 통신부;
    상기 연결 통신부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의 인증여부를 검사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에 근접할 때,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를 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에 연결시키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탈거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알람 데이터를 상기 헤드 통신부로 출력하는 헤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통신부는 상기 헤드 통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는 상기 알람 데이터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멈추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고, 상기 사용자측 전자기기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탈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알람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받은 정보와 상기 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디지털 운행기록 데이터, 차량등록번호, 차량 진단 데이터, 속도 또는 차량 주행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캔 데이터를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헤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차량.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캔 데이터를 규격화된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차량.
  17.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갖는 캔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캔 데이터를 사용자측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연결 통신부; 및
    사용자측 전자 기기가 근접할 때 상기 사용자측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데이터 연결부.
KR1020200103377A 2020-08-18 2020-08-18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20022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77A KR20220022331A (ko) 2020-08-18 2020-08-18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77A KR20220022331A (ko) 2020-08-18 2020-08-18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31A true KR20220022331A (ko) 2022-02-25

Family

ID=8049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77A KR20220022331A (ko) 2020-08-18 2020-08-18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3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065A (ko) 2014-12-29 2016-07-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065A (ko) 2014-12-29 2016-07-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1856B2 (ja) 自動車から送信されるデータ及び自動車宛てに送信されるデータ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036256A1 (en) Vehicle access control services and platform
US201800919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US9538374B2 (en) Method for vehicle communication by means of a vehicle-implemented vehicle diagnostic system, vehicle diagnostic interface, interace modul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onnection system, and diagnostic and control network for a plurality of vehicles
CN103336516B (zh) 一种汽车远程控制系统及方法
JP5810205B1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20210327168A1 (en) Device for sharing and monitoring vehicles
JPWO2006085380A1 (ja) 移動体診断を含む各種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並びに該システムに用いる携帯情報機器
JP2002279298A (ja) 車両履歴情報に基づくビジネス手法および記憶媒体
McCarthy et al. Access to in-vehicle data and resources
JPWO2002056222A1 (ja) 車両の損害保険方法,車載装置,端末装置及び車両の損害保険システム
KR20220022331A (ko)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030020602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object
US11605031B2 (en) System for shared vehicle utilization management
US20210323492A1 (en) Shared vehicle i/o expander
CN114565389A (zh) 用于检测欺诈性金融交易的设备与方法
JP2005148842A (ja) 車両管理装置
US11314901B2 (en) Method for shared vehicle misuse management
CN113052710A (zh) 一种通过车载设备进行车险定价的系统
US20210326773A1 (en) Method for shared vehicle storage management
CN113554518A (zh) 一种通过车载设备进行车险定价的系统
US20210326790A1 (en) System for shared vehicle storage management
US20210326791A1 (en) Device for shared vehicle storage management
JP6883530B2 (ja) 通信システム
KR20150045023A (ko) Obd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차량 정보를 온라인 캘린더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