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76B1 - 차량용 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76B1
KR100966076B1 KR1020080106105A KR20080106105A KR100966076B1 KR 100966076 B1 KR100966076 B1 KR 100966076B1 KR 1020080106105 A KR1020080106105 A KR 1020080106105A KR 20080106105 A KR20080106105 A KR 20080106105A KR 100966076 B1 KR100966076 B1 KR 10096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device
connection port
mobile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027A (ko
Inventor
오준수
Original Assignee
오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filed Critical 오준수
Priority to KR102008010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휴대기기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삽입되어 탈부착되는 휴대기기안착부; 상기 휴대기기안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접속포트;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표시장치안착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 안착되어 삽탈되고, 후단부에 제1연결포트가 형성되고, 표시창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접속포트; 상기 제1접속포트와 상기 제2접속포트를 연결하는 제1접속라인; 상기 제2접속포트와 상기 제1연결포트를 연결하는 제2접속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1연결포트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기기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기기를 탈부착하여 멀티미디어기기의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휴대성 및 도난 방지 효과가 있고, 차량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휴대기기의 탈부착없이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대시보드, 랙, 차량, 자동차, 휴대기기, 표시장치

Description

차량용 랙장치{Rac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PMP, Navigation, UMPC, Car PC, Smart Phone, Mobile Phone, MP3플레이어, DMB방송 수신 모니터, DVD플레이어 등)을 차량에 장착할 때, 휴대기기의 장착에 따라 표시장치를 통해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고, 휴대기기가 차량의 요동에 의한 돌발적인 흉기로써 탑승자를 위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랙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 중 운전자와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카오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매체를 장착할 때 매개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의 차량용 랙장치는 카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매체의 도난 발생의 위험이 따르고, 상기의 멀티미디어 매체의 교체 또는 업그레이드 시 통째로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매립하고 고정시켜서 휴대성이 전혀 없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유리면 또는 대시보드면에 고무러버(rubber)와 같은 재질로 흡착하여 부착되기 때문에 휴대기기 자체가 차량의 요동에 의한 돌발적인 흉기로써, 탑승자를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기기를 탈부착하여 멀티미디어기기의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탈부착되므로 휴대성을 갖게 함은 물론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구하여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휴대기기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삽입되어 탈부착되는 휴대기기안착부; 상기 휴대기기안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삽입에 따라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접속포트;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구하여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표시장치안착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 안착되어 삽탈되고, 후단부에 제1연결포트가 형성되고, 표시창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접속포트; 상기 제1접속포트와 상기 제2접속포트를 연결하는 제1접속라인;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서 삽탈되는 상기 표시장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접속포트와 상기 제1연결포트를 연결하는 제2접속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1연결포트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기기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량용 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포트와 상기 제2접속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접속라인을 통해 차량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기기는 취출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제1접속포트가 접속된 상태로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에 안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취출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돌출 또는 삽입되는 취출버튼이 일단에 형성된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링크결합하고 제1피벗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2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링크결합하고 제2피벗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3링크와, 상기 제3링크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포트를 감싸며 끝단에 제1걸림부가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후크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개구된 전면 양측단에는 취출홈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포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후크 결합되면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면 돌출되어 상기 휴대기기를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취출돌기가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전면으로 노출된 표시장치의 선단을 누르면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표시장치를 상기 표시장치안착부로 삽입하면 후크 결합되어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의 삽탈과 상기 휴대기기의 탈부착은 상호 연계되어 동작되고, 상기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제1접속포트의 접속여부에 따라 구동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내측면과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내측면에는 차량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표시장치의 표면 마모를 방지하는 방진부재가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창과, 상기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창을 통한 터치 입력은 상기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휴대기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를 제어 조작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태양전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태양전지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 중 적어도 어 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장치에 내장되어 겉면에서 승강 또는 회전되거나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주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되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1접속포트, 제2접속포트, 제1접속라인, 제2접속라인, 제3접속라인의 접속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체크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충격센서감지부와 차량의 작동상태 또는 운행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체크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상태정보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주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연결포트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창에 표시하기 위한 전환스위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또는 휴대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지 않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연결포트;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연결포트 또는 상기 제2연결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음성 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차량 내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안내소 안 테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한 하이패스단말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GPS위성으로부터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GPS정보에 의해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전자지도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를 탈부착하여 멀티미디어기기의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탈부착되므로 휴대성을 갖게 함은 물론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의 탈부착없이 휴대기기에서 사용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표시장치를 통해 장착된 휴대기기를 조작하여 휴대기기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통화나 문자메세지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의 탈부착 또는 표시장치의 삽탈을 쉽게 하고,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차량용 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별도의 외부기기가 필요없이 휴대기기가 장착된 차량용 랙장치를 통해 블랙박스 기능과 멀티테스킹 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랙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 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는 차량의 내부 대시보드(D)에서 운전자와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휴대기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D)에 결합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형성된 휴대기기안착부(11) 및 표시장치안착부(12)와, 표시장치안착부(12)에 삽입 안착되는 표시장치(20)로 구분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차량의 대시보드(D)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휴대기기안착부(11)와 표시장치안착부(12)가 형성된다.
휴대기기안착부(11)는 상술한 케이스(10)의 전면에서 개구되어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있고, 휴대기기(100)가 삽입되는 홈으로, 도면에서 휴대기기(100)의 디스 플레이창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삽입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기기(100)의 디스플레이창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휴대기기(100)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휴대기기 구조"(특허등록번호 제10-0800337호(2008. 01. 28.)와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43465호(2007. 05. 04.))에서 제공된 바 있다.
휴대기기(100)는 본체와 전후면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고, 일측면에는 입출력포트(110)가 형성되어 있다.
전후면 디스플레이창은 예컨대, 휴대폰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MP3플레이어,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소화면(예: 1.8, 2.0, 2.4 등)으로 구성되는 전면의 디스플레이창과, 인터넷 서핑(surfing), DMB방송시청, 메모리에 저장된 영화감상 등의 PMP, PDA, 전자사전, 게임, 내비게이션, UMPC, MID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대화면(예: 3.97”, 4.0, 4.3, 5.0 등)으로 구성되는 후면의 디스플레이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소비전력이 낮고 소화면인 전면의 디스플레이창은 영상압축기술의 표준규격인 MPEG에서 규정한 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로서 인터넷에서 음악의 MP3 파일을 다운받아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MP3 플레이어(MP3P) 또는 통화 정보 및 통신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음성통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소비전력이 크고 대화면인 후면의 디스플레이창은 비디오 게임을 제공 하는 플레이스테이션(PSP)기능, 문자메시지(MMS)의 송수신 기능의 표시가 가능하고, 무선인터넷 기반의 웹서핑 및 전자메일을 작성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e-러닝, 전자사전, 손 안의 PC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키보드가 구비된 울트라모바일피씨(UMPC), 피엠피(PMP) 등과 같은 기능 외에도 메모와 일정 및 주소 관리, 데이터 축적, 무선 통신망에 의한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여 데이터통신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수첩 크기의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동 중에 고음질, 고화질 방송으로 제공하는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표시되어 구동할 수 있다.
더욱이, 휴대기기(100)는 HDPC(Hydrid Dual Portable Computer)도 겸비할 수 있어서 MID, PC폰, UMPC, PMP, MP3P, Navigation,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인터넷전화기 등의 기능도 부가할 수 있다.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는 주변기기(예: 컴퓨터 또는 인터페이스장치 등)와 연결되어 상술한 휴대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휴대기기안착부(11)의 내부에는 제1접속포트(13)가 형성된다.
제1접속포트(13)는 휴대기기(100)에 형성된 입출력포트(110)에 대응하여 휴대기기(100)가 휴대기기안착부(11)에 삽입될 때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접속 결합된다.
제1접속포트(13)는 제3접속라인(17)에 의해 차량과 연결되어 있다.
표시장치안착부(12)는 휴대기기안착부(11)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고, 케 이스(10)의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후술하는 표시장치(20)가 안착된다.
표시장치안착부(12)의 내부에는 제2접속포트(14)가 형성된다.
제2접속포트(14)는 제1접속라인(15)에 의해 제1접속포트(13)와 연결되어 있고, 제3접속라인(17)에 의해 차량과 연결되어 있다.
제1접속포트(13) 또는 제2접속포트(14)에 연결된 제3접속라인(17)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기기(100) 또는 후술하는 표시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차량에 설치된 카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기기의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며, 차량의 통신/방송용 안테나 인터페이스, 차량내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침해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예: 충격센서 등)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표시장치(20)의 중앙처리장치(40) 또는 휴대기기(100)에서 처리되어 후술하는 표시장치(2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제1접속포트(13), 제2접속포트(14), 제1연결포트(21), 제1접속라인(15), 제2접속라인(16), 제3접속라인(17)은 차량과 휴대기기(100)와 후술하는 표시장치(20)를 상호 연결하여 쌍방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휴대기기안착부(11)와 표시장치안착부(12)의 내측면(상하측면과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차량의 흔들림이나 차량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내부에 안착된 휴대기기(100) 또는 표시장치(2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기기(100) 또는 표시장치(20)를 보호할 수 있는 방진 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방진부재(미도시)는 휴대기기안착부(11)의 내측면과 표시장치안착부(12)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내측면에 형성되어 차량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휴대기기(100) 또는 표시장치(20)의 표면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표시장치(20)는 표시장치안착부(12)에 안착되어 삽탈되고, 후단부에 제1연결포트(21)가 형성되며, 표시창(22)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연결포트(21)는 제2접속라인(16)을 통해 제2접속포트(14)와 연결되어 있다. 제2접속라인(16)은 표시장치안착부(12)에서 삽탈되는 표시장치(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형태의 제2접속라인(16)을 형성하여 표시장치(20)의 삽탈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하여 표시장치(20)에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표시장치(20)는 표시창(22)과 중앙처리장치(40)와 전원부(42)를 포함한다.
표시창(22)은 제1연결포트(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써, 터치 입력을 통해 표시장치(20)에 연결되는 상술한 주변기기(예: 컴퓨터 또는 인터페이스장치 등)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기기(예: 이어폰, 차량에 설치 된 카메라, 스피커, 멀티미디어기기 등) 또는 휴대기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제1연결포트(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상술한 휴대기기(100)와 표시장치(20) 사이 또는 차량과 표시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말한다. 일례로, 제1연결포트(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상술한 휴대기기(100)에 내장되어 있는 휴대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고, 상술한 주변기기(예: 컴퓨터 또는 인터페이스장치 등)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기기(예: 이어폰,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멀티미디어기기 등)와 송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40)는 표시창(22)을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해 휴대기기(100)를 조작하도록 제1연결포트(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표시창(22)을 통한 터치 입력은 중앙처리장치(4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1연결포트(21)를 거쳐서 제1접속포트(13)를 통해 휴대기기(100) 쪽으로 전달되어 휴대기기(100)에서 표시창(22)을 통한 터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42)는 중앙처리장치(40)에 의해 제어되고, 표시장치(2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제3접속라인(17)과 제2접속포트(14), 제2접속라인(16), 제1연결포트(21)를 통해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42)는 태양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42)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태양전지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표시창(22)과 중앙처리장치(40)와 전원부(42)를 통해 차량용 랙장치에 장착된 휴대기기(100)를 분리하지 않고, 표시창(22)에서 터치입력을 통해 휴대기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카메라(23) 또는 주메모리(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충격센서감지부(41)와 차량상태감지부(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20)가 표시장치안착부(12)에서 삽탈되므로, 카메라(23)는 표시장치(20)의 겉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카메라(23)가 촬영을 하는 경우 표시장치(20)의 겉면에서 승강 또는 회전되도록 한다. 카메라(2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의 전면과 후면과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23)는 차량내부 또는 외부에도 설치되어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고, 제3접속라인(17) 또는 후술할 제2연결포트(26)를 통해 표시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
주메모리(24)는 카메라(23)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저장된다.
충격센서감지부(41)는 표시장치(20)에 내장되어 평소 주행 중인 차량에 인가되었던 충격보다 큰충격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한다. 차량에 인가되었던 충격보다 큰충격은 접촉사고, 충돌사고, 급브레이크 등과 같은 돌발상황에 따른 충격을 의미한다.
또한, 충격센서감지부(41)는 제1접속포트(13), 제2접속포트(14), 제1접속라인(15), 제2접속라인(16), 제3접속라인(17), 제1연결포트(21)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충격센서감지부(4)의 감지신호는 주메모리(24)에 저장된다.
차량상태감지부(47)는 표시장치(20)에 내장되어 차량의 작동상태(예: 안전벨트 착용, 기어단, 조향휠 각도, 도어열림 등), 차량의 운행상태(예: 속도 및 가속도, 충격량 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상태감지부(47)의 감지신호는 주메모리(24)에 저장된다.
표시장치(20)는 충격센서감지부(41)와 차량상태감지부(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감지신호 또는 자동/수동 모드의 전환에 의해 카메라(23)를 작동시키고, 중앙처리장치(4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3)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표시창(22)에 표시함은 물론 주메모리(24)에 저장함으로써, 상술한 카메라(23)와 표시창(22)과 충격센서감지부(41)와 주메모리(24)와 중앙처리장치(40)와 전원부(42)를 포함하여 불랙박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전환스위치(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환스위치(25)는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창(22)에 표시할 수 있어 멀티테스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송신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43)는 주메모리(24)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통합관리서버(50)에 전송한다. 송신부(43)는 충격센서감지부(41) 또는 차량상태감지부(47)의 감지신호 또는 자동/수동 모드의 전환에 의해 동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50)는 별도로 분류된 본 발명의 랙장치 전용서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사업 자, 휴대기기, 전자메일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 차량의 파손이나 차량의 화재와 같은 대형사고로 인해 주메모리(24)에 저장된 정보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신부(43)는 주메모리(24)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주메모리(24)가 설치된 차량의 등록정보(예: 차량의 엔진번호 또는 차량번호 또는 운전자의 면허번호 등)가 주메모리(24)와 연계되어 전송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제2연결포트(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포트(26)는 상술한 주변기기(예: 컴퓨터 또는 인터페이스장치 등)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기기(예: 이어폰,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멀티미디어기기 등)를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제1연결포트(21)를 통해 송수신되지 않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연결포트(26)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카오디오시스템, 차량의 스피커, 안테나 시스템, 헤드셋장치(이어폰)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스피커(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7)는 제1, 제2연결포트(21)(26)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음성 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피커(27)가 차량에 설치된 스피커일 경우, 제3접속라인(17) 또는 제2연결포트(26)를 통해 연결되어 음성 또는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마이크(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8)는 차량 내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마이크(28)는 상 술한 카메라(23)의 영상과 더불어 충격센서감지부(41) 또는 차량상태감지부(47)의 감지신호 또는 자동/수동 모드의 전환에 의해 동작되고 중앙처리장치(40)의 제어에 따라 주메모리(2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마이크(28)와 스피커(27) 또는 제2연결포트(26)에 연결된 헤드셋장치를 이용하면,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에서 분리하지 않고 휴대기기(100)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하이패스단말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패스단말부(44)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안내소 안테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다. 하이패스단말부(44)는 현재 시행중인 하이패스단말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표시장치(20)의 일측에 삽입되는 하이패스카드(44a)에 충전되어 있는 금액으로부터 통행료만큼씩 빠져나가도록 한다.
표시장치(20)는 중앙처리장치(4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GPS수신부(45) 및 전자지도메모리(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수신부(45)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지도메모리(46)는 수신된 GPS정보에 의해 현재 위치를 연산하여 중앙처리장치(40)에 의해 표시창(22)에 표시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술한 주메모리(24)는 전자지도메모리(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는 취출장치(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취출장치(30)는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가 접속된 상태로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에 안착고정시킨다.
첨부도면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취출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취출장치(30)는 일단에 취출버튼(31)이 형성된 제1링크(32)와, 일단은 제1링크(32)의 타단과 링크결합하고 제1피벗축(33a)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2링크(33)와, 일단은 제2링크(33)의 타단과 링크결합하고 제2피벗축(34a)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3링크(34)와, 제3링크(34)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만곡부(35a)가 형성되고, 만곡부(35a)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접속포트(13)를 감싸며, 끝단에 제1걸림부(35b)가 형성된 후크(35)로 구성되고,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에는 제1걸림부(35b)와 후크결합되는 제2걸림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버튼(31)은 휴대기기안착부(11)의 일측에서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스프링(38a)이 형성된다. 취출버튼(31)은 누르는 힘으로 삽입되었다가 스프링(38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기기안착부(11)의 개구된 전면 양측단에는 취출홈(36)이 형성되어 제1걸림부(35b)와 제2걸림부(111)의 후크결합이 해제되었을 때,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에서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포트(13)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의 접속여부에 따라 돌출 또는 삽입되고, 내부에 스프 링(38b)이 형성된 취출돌기(37)가 형성된다. 취출돌기(37)는 휴대기기(100)가 삽입되면 누르는 힘에 의해 삽입되었다가 제1걸림부(35b)와 제2걸림부(111)의 후크결합이 해제되면 스프링(38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돌출되어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의 전방으로 밀어낸다.
좀더 자세하게 취출돌기(37)는 제1접속포트(13)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38b)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돌기(37)는 휴대기기(100)가 삽입되어 제1걸림부(35b)와 제2걸림부(111)가 후크결합되면, 휴대기기(100)가 누르는 힘에 의해 삽입된다. 취출돌기(37)는 제1걸림부(35b)와 제2걸림부(111)가 후크해제되면 스프링(38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의 전방으로 밀어낸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차량용 랙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D)에 설치된다.
여기서 표시장치(20)와 휴대기기(100)는 상호 연계되어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의 접속여부에 따라 표시장치(20)는 표시장치안착부(12)에서 돌출 또는 삽입된다.
좀더 자세하게, 휴대기기안착부(11)에 휴대기기(100)를 삽입하면,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가 접속되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 시장치안착부(12)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미도시)가 동작하여 표시장치(20)는 표시장치안착부(12)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전방으로 돌출된다. 표시장치(20)는 제2연결포트(26)가 표시장치안착부(12)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부(29)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표시창(22)이 운전자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가 접속해제되면, 구동장치(미도시)가 다시 동작하여 표시장치(20)는 표시장치안착부(12)로 삽입된다. 이때, 표시장치(20)는 힌지부(29)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표시장치안착부(12)에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휴대기기안착부(11)에 휴대기기(100)를 삽입하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표시장치(20)가 표시장치안착부(12)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표시장치(20)를 표시장치안착부(12)에 삽입하면, 휴대기기(100)의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가 접속해제되어 휴대기기안착부(11)에서 휴대기기(100)를 꺼낼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용 랙장치에서 휴대기기의 탈부착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의 삽탈과 관계없이 취출장치에 의해 휴대기기를 휴대기기안착부에 고정하거나 휴대기기안착부의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에 삽입하면, 입출력포트(110)와 제1접속포트(13)가 접속되면서, 후크(35)의 제1걸림부(35b)와 입출력포 트(110)에 형성된 제2걸림부(111)가 후크결합하게 되어 휴대기기안착부(11)에 휴대기기(100)가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취출장치(30)의 취출버튼(31)을 누르면, 스프링(38a)이 압축되면서 제1링크(3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링크(33)가 제1피벗축(33a)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며, 제3링크(34)가 제2피벗축(34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여 후크(35)를 움직인다.
이때, 후크(35)는 제3링크(34)에 의해 휴대기기안착부(11)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후크(35)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9)에 의해 후크(35)의 끝단 사이 거리가 좁혀지게 되어 제1걸림부(35b)와 제2걸림부(111)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취출홈(36)을 이용하여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에서 꺼낼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포트(13)의 양측에는 취출돌기(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휴대기기의 삽입에 따라 스프링(38b)이 압축되면서 취출돌기(37)가 휴대기기안착부(11)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취출버튼(31)을 누름으로써, 제1걸림부(35b)와 제2걸림부(111)의 결합이 해제되고, 스프링(38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취출돌기(37)가 휴대기기안착부(11)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휴대기기(100)를 밀어내어 휴대기기(100)를 휴대기기안착부(11)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휴대기기(100)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장치(20)는 원터치방식으로 삽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장치(20)가 표시장치안착부(12)에 안착되어 있을 때, 표시장 치안착부(12)의 전면으로 노출된 표시장치(20)의 선단을 누르면 후크결합이 해제되어 표시장치(20)가 표시장치안착부(1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다시 표시장치(20)를 표시장치안착부(12)로 삽입하면 후크결합되어 표시장치(20)가 표시장치안착부(12)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휴대기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랙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취출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용 랙장치에서 휴대기기의 탈부착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랙장치에서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휴대기기안착부 12: 표시장치안착부
13: 제1접속포트 14: 제2접속포트 15: 제1접속라인
16: 제2접속라인 17: 제3접속라인 19: 가이드부
20: 표시장치 21: 제1연결포트 22: 표시창
23: 카메라 24: 주메모리 25: 전환스위치
26: 제2연결포트 27: 스피커 28: 마이크
29: 회동부 30: 취출장치 31: 취출버튼
32: 제1링크 33: 제2링크 33a: 제1피벗축
34: 제3링크 34a: 제2피벗축 35: 후크
35a: 만곡부 35b: 제1걸림부 36: 취출홈
37: 취출돌기 38a, 38b: 스프링 40: 중앙처리장치
41: 충격센서감지부 42: 전원부 43: 송신부
44: 하이패스단말부 45: GPS수신부 46: 전자지도메모리
47: 차량상태감지부 50: 통합관리서버 100: 휴대기기
110: 입출력포트 111: 제2걸림부 D: 대시보드

Claims (14)

  1.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구하여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휴대기기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삽입되어 탈부착되는 휴대기기안착부;
    상기 휴대기기안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삽입에 따라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접속포트;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구하여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표시장치안착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 안착되어 삽탈되고, 후단부에 제1연결포트가 형성되고, 표시창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접속포트;
    상기 제1접속포트와 상기 제2접속포트를 연결하는 제1접속라인;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서 삽탈되는 상기 표시장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접속포트와 상기 제1연결포트를 연결하는 제2접속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1연결포트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기기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포트와 상기 제2접속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접속라인을 통해 차량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취출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제1접속포트가 접속된 상태로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에 안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돌출 또는 삽입되는 취출버튼이 일단에 형성된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링크결합하고 제1피벗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2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링크결합하고 제2피벗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3링크와, 상기 제3링크의 타단과 링크결합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포트를 감싸며 끝단에 제1걸림부가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후크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개구된 전면 양측단에는 취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포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후크 결합되면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면 돌출되어 상기 휴대기기를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취출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전면으로 노출된 표시장치의 선단을 누르면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표시장치를 상기 표시장치안착부로 삽입하면 후크 결합되어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삽탈과 상기 휴대기기의 탈부착은 상호 연계되어 동작되고, 상기 휴대기기의 입출력포트와 제1접속포트의 접속여부에 따라 구동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안착부의 내측면과 상기 표시장치안착부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내측면에는 차량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휴대기기 또는 상기 표시장치의 표면 마모를 방지하는 방진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창과, 상기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창을 통한 터치 입력은 상기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휴대기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를 제어 조작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태양전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태양전지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표시장치에 내장되어 겉면에서 승강 또는 회전되거나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주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되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1접속포트, 제2접속포트, 제1접속라인, 제2접속라인, 제3접속라인의 접속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체크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충격센서감지부와 차량의 작동상태 또는 운행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체크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상태정보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주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연결포트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창에 표시하기 위한 전환스위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또는 휴대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제1연결포트를 통해 송수신되지 않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연결포트;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연결포트 또는 상기 제2연결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음성 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차량 내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요금안내소 안테나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한 하이패스단말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GPS위성으로부터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GPS정보에 의해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전자지도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랙장치.
KR1020080106105A 2008-10-28 2008-10-28 차량용 랙장치 KR10096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105A KR100966076B1 (ko) 2008-10-28 2008-10-28 차량용 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105A KR100966076B1 (ko) 2008-10-28 2008-10-28 차량용 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027A KR20100047027A (ko) 2010-05-07
KR100966076B1 true KR100966076B1 (ko) 2010-06-25

Family

ID=4227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105A KR100966076B1 (ko) 2008-10-28 2008-10-28 차량용 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64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KR101835590B1 (ko) 2014-12-29 2018-03-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564A (ja) 1997-10-03 1999-06-22 Yazaki Corp 車載用機器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0539028B1 (ko) 2004-06-24 2005-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20070078416A (ko) * 2007-07-11 2007-07-31 오성세 모니터 위치 자유조정 및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pc
KR20070110195A (ko) * 2006-05-10 2007-11-16 오준수 휴대기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564A (ja) 1997-10-03 1999-06-22 Yazaki Corp 車載用機器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0539028B1 (ko) 2004-06-24 2005-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20070110195A (ko) * 2006-05-10 2007-11-16 오준수 휴대기기 구조
KR20070078416A (ko) * 2007-07-11 2007-07-31 오성세 모니터 위치 자유조정 및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p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027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3751B1 (en) Hold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2296352A2 (en) Mobile terminal
CN101210828B (zh) 车载电子装置和车载电子系统
JP2008162578A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EP2279911B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KR100966076B1 (ko) 차량용 랙장치
EP2279912B1 (en) Electronic device
JP2008162576A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JP2011097169A (ja) 周囲情報記録システムおよび周囲情報記録方法
JP2009119916A (ja) 画面部収納型機器及び車載用情報機器
CN202439630U (zh) 带etc识别的后视镜
JP2009248932A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US7657280B2 (en) Wirel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with clamping device and speaker device
JP2010183142A (ja) 携帯電話を用いた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09125610A1 (ja) 車載機器
JP200924893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JP5042642B2 (ja) 電子装置
CN217902281U (zh) 一种便携式多功能显示器
JP2010055339A (ja) 携帯電子機器
JPH1159283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KR101412616B1 (ko) 차량에서의 이벤트 알림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024997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폰 경보장치
JP2009280113A (ja) 車載用電子装置及び車載用電子システム
KR100879017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랙장치
JP516695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