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272A -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 Google Patents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272A
KR20130064272A KR1020110130805A KR20110130805A KR20130064272A KR 20130064272 A KR20130064272 A KR 20130064272A KR 1020110130805 A KR1020110130805 A KR 1020110130805A KR 20110130805 A KR20110130805 A KR 20110130805A KR 20130064272 A KR20130064272 A KR 2013006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application
driving
call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우
김경호
박혜선
윤대섭
황윤숙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272A/ko
Publication of KR2013006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7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where the control system corrects or modifies a request from th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차단하고 안전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허용하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Application of the device driver using the smart device}
본 발명은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 단말기의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운전자 단말기의 전화 및 문자 수신 또는 발신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운전중 운전자가 편리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IT(information technology) 장치의 종류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운전자의 운전 중 주의(Driving attention)를 분산시키고, 운전 중 부하(Driving workload)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전 운전에 심각한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운전 중 핸드폰을 비롯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나 통화는 안전 운전의 가장 대표적인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로 인한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운전자의 상황이나 차량의 주행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운전자에게 전화 수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차로 진입 시 등 운전자가 주위의 차량 및 교통 상황을 특히 주의깊게 파악해야 하는 상황이나 고속도로에서 빠른 속도로 커브길을 주행하는 상황 등에서도 전화 및 문자 발신자는 수신자인 운전자의 이러한 상황을 알지 못하므로 운전자에게 전화를 걸게되고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역시 운전자의 상황이나 차량의 주행 상황을 알지 못하므로 운전자에게 수신을 알리게 되어 운전자가 전화나 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주의를 이동통신단말기로 분산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는 주변 차량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접촉 사고나 대인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운전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운전자 단말기의 전화 및 문자 수신을 허용 또는 차단하여, 운전중 운전자의 단말기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전화 및 문자 수신 또는 발신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는,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차단하고 안전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허용하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부는 수집된 차량 주행 정보를 운전자 인터페이스 연동부를 통해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전화 및 문자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와 전화 및 문자의 발신을 제어하는 발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부와 연동되어 상기 운전자의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애플리케이션 연동부; 제공받은 차량 주행 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주행상황을 판단하는 주행상황 판단부; 주행상황 판단 결과에 따라 전화 수신을 혀용하거나 차단하는 전화 수신 판단부; 주행상황 판단 결과에 따라 문자 수신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문자 수신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신 제어부는 전화 및 문자 발신과 관련된 운전자의 명령을 음성인식으로 입력받아 해석하는 운전자 명령 해석부; 명령 해석 결과 전화 발신인 경우 전화 발신을 수행하는 전화 발신부; 명령 해석 결과 문자 발신인 경우 문자 발신을 수행하는 문자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는, 운전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운전자 단말기의 전화 및 문자 수신을 허용 또는 차단하여, 운전중 운전자의 단말기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의 전화 및 문자 수신 또는 발신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여 대형교통 사고 발생에 따른 인명사고 및 차량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및 문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및 문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및 문자 수신시 이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 및 문자 발신시 이를 허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및 문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및 문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및 문자 제어 시스템은 크게 애플리케이션부(110),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 차량정보 수집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및 문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무선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응용소프트웨어나 콘텐츠 등을 내려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용 컴퓨터에 구비되는 플랫폼을 기본 플랫폼으로 한다. 이러한 단말기(100)의 기본 플랫폼에는 기본적으로 GPS 정보,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카메라, 기억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부(110)는 차량 내 운전자의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개의 응용프로그램 중 운전자를 위해서 활용되는 즉,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부(110)는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운전자의 운전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부(110)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 범위의 정보 즉, 경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경로 상태 정보는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현재 주행 차로가 몇 차로 인지, 교차로 근방인지, 제한속도, 좌회전 가능 여부, 지도 위에 표시되는 건물, 상점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부(110)는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의 교통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부(110)는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집된 전방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정보를 수집한다.. 애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와 같이 수집된 차량 주행 정보를 운전자 인터페이스 연동부(111)를 통해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에 보다 자세한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정보 수집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량정보 수집장치(300)는 블루투스, wifi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이때,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속도, 핸들 조향각, RPM, 브레이크 ON/OFF, 쓰로틀 밸브 포지션 등 차량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말한다.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는 운전중인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즉, 전화 및 문자의 조작을 제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는 애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받고 차량정보 수집장치(300)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된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의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차단하고, 안전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는 전화 및 문자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10)와 전화 및 문자의 발신을 제어하는 발신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수신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 연동부(211), 차량정보 애플리케이션 연동부(211), 주행상황 판단부(213), 전화 수신 판단부(214), 문자 수신 판단부(215)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연동부(211)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와 애플리케이션부(110) 간의 연동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애플리케이션부(110)의 운전자 인터페이스 연동부(111)와 상호 연동을 통해 운전자의 주행 상황 정보를 제공받는다.
차량정보 애플리케이션 연동부(211)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와 차량정보 수집장치(300) 간의 연동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차량정보 수집장치(300)와 상호 연동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행상황 판단부(213)는 GPS를 통해 속도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주행 상황을 확인하고, 애플리케이션 연동부(211)로부터 제공된 주행 상황 정보와 차량 애플리케이션 연동부(211)로부터 제공된 차량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현재 운전자의 운전 상황이 안전상황인지 주의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행상황 판단부(213)는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경우, 차량이 좌회전, 우회전 동작을 수행할 경우. 차량이 가속 상태일 경우, 차량이 감속 상태일 경우 주의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화 수신 판단부(214)는 주행상황 판단부(213)의 결과에 따라 전화 수신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즉, 전화 수신 판단부(214)는 주행상황 판단부(213)의 판단 결과가 주의상황이면 전화수신음을 차단하고, 안전상황이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전화 수신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문자 수신 판단부(215)는 주행상황 판단부(213)의 결과에 따라 문자 수신 알림음 및 문자 내용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거나 수신 알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문자 수신 판단부(215)는 주행상황 판단부(213)의 판단 결과가 주의상황이면 문자 수신 알림을 차단하고, 안전상황이면 문자 수신 알림음을 발생시켜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준다.
발신 제어부(220)는 운전자 명령 해석부(221), 전화 발신부(222), 문자 발신부(223)를 포함한다.
운전자 명령 해석부(221)는 전화 및 문자 발신과 관련된 운전자의 명령을 음성 인식으로 입력받아 해석한다. 즉, 운전자 명령 해석부(221)는 운전자의 명령이 전화 발신인지 문자 발신인지 해석한다. 이때, 운전자 명령 해석부(221)는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음성 입력을 획득하는 장치와 API를 활용하여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문자열로 획득하여 운전자의 명령을 해석한다.
전화 발신부(222)는 운전자 명령 해석부(221)의 명령 해석결과 전화 발신일 경우 누구에게 발신할지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자에게 전화를 발신한다.
문자 발신부(223)는 운전자 명령 해석부(221)의 명령 해석결과 문자 발신일 경우 누구에게 어떠한 내용을 발신할지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자에게 문자를 발신한다.
이하, 전화 및 문자 수신시 이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을 도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전화 및 문자 수신시 이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부(110)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와 함께 연동되어 구동된다. 시스템이 시작되면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는 애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주행 정보와 차량정보 수집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차량 상태 정보,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GPS를 통해 주행상황 정보를 취합한 연동정보를 분석한다.(S101) 연동정보를 분석하여 주행상황이 어떠한 상황인지 분석한다.(S102) 운전이 종료된 상황이라 분석(S103)되면 모든 과정을 종료하고, 운전이 진행중인 상황이라 분석되면 전화 및 문자 수신이 주의상황인지 확인(S104)한다.
운전 중 전화가 수신(S201)되면 현재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인지 안전 상황인지 판단(S202)한다. 그 다음 현재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이면 전화 수신음을 차단(S203)하고, 안전 상황이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전화 수신 알림음을 발생(S204)시킨다.
한편, 운전 중 문자가 수신(S301)되면 현재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인지 안전 상황인지 판단(S302)한다. 그 다음 현재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이면 문자 수신 알림음을 차단(S303)하고, 안전 상황이면 문자 수신 알림음을 발생(S304)시켜 문자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준다.
이하, 전화 및 문자 발신을 허용하는 방법을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전화 및 문자 발신을 허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부(110)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와 함께 연동되어 구동된다. 운전자는 운전 중에 애플리케이션부(110)의 특정 조작을 통해 전화 및 문자 발신을 호출하게 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부(110)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를 호출하여 운전자가 전화 및 문자의 발신이 필요함을 전달한다.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00)는 운전자의 명령을 음성인식으로 입력받기를 대기(S501)한다. 운전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S502)한다. 그 다음 운전자의 명령이 전화 발신인지 문자 발신인지 해석(S503)하여 명령을 판단(S504)한다. 이때, 운전자의 명령 해석이 실패하면 운전자의 명령을 재 입력받아 명령 해석,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운전자의 명령이 전화 발신이라 판단(S601)되면, 전화를 누구에게 발신할지 수신자를 음성인식으로 확인(S602)하고, 확인된 수신자에게 전화를 발신(S603)한다. 전화 통화가 완료되면 본 과정이 종료된다. 이때, 전화 발신 수신자에 대한 음성 인식이 실패할 경우 재입력 과정을 거치지만 본 도면에서는 그 과정을 생략하였다.
한편, 운전자의 명령이 문자 발신이라 판단(S701)되면, 문자를 누구에게 발신할지 수신자를 음성인식으로 확인(S702)한다. 다음. 확인된 수신자에게 보낼 문자 내용을 음성인식으로 확인(S703)하여 문자를 발신(S704)한다. 문자 발신이 완료되면 본 과정이 종료된다. 이때, 문자 발신 수신자, 문자 발신 내용의 음성 인식이 실패할 경우 재입력 과정을 거치지만 본 도면에서는 그 과정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및 문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운전자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운전자 단말기(100)의 전화 및 문자 수신 또는 발신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운전중 운전자의 단말기(100)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 상황 및 차량의 주행 상황을 토대로 단말기(100)의 전화 및 문자 수신 또는 발신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여 대형교통 사고 발생에 따른 인명사고 및 차량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단말기 110: 애플리케이션부
200 :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210 : 수신 제어부
220 : 발신 제어부

Claims (1)

  1. 차량 주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 상황이 주의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차단하고, 안전 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 기능을 허용하는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KR1020110130805A 2011-12-08 2011-12-08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KR20130064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05A KR20130064272A (ko) 2011-12-08 2011-12-08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05A KR20130064272A (ko) 2011-12-08 2011-12-08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72A true KR20130064272A (ko) 2013-06-18

Family

ID=4886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805A KR20130064272A (ko) 2011-12-08 2011-12-08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2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64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WO2016108557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10317234B2 (en) 2015-08-25 2019-06-11 Infobank Corp. Terminal for providing vehicle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39345B2 (en) 2014-12-29 2019-10-08 Renault S.A.S.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64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WO2016108557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10439345B2 (en) 2014-12-29 2019-10-08 Renault S.A.S.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10680396B2 (en) 2014-12-29 2020-06-09 Renault S.A.S.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10317234B2 (en) 2015-08-25 2019-06-11 Infobank Corp. Terminal for providing vehicle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898B1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141119B (zh) 智能驾驶控制方法及装置、车辆、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4895931B2 (ja) 交通事故防止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交通事故防止方法
US9596643B2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inferred vehicle state
CN107305740B (zh) 路况预警方法、设备、服务器、控制设备及操作系统
KR101475040B1 (ko) 교통정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188076A1 (en) Onboard vehicle notification system
US10171953B2 (en) Vehicle event notification via cell broadcast
EP3585029B1 (en) Providing inter-vehicle data communications for multimedia content
KR1017636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2235B1 (ko) 차량 운전 중 휴대단말 사용 감지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휴대단말
KR20130064272A (ko)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CN114093186B (zh) 车辆预警信息提示系统、方法及存储介质
EP3659302B1 (en)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1274545B1 (ko) 사고·공사현장에 대한 위치기반 알림시스템
CN111489576A (zh) 一种车辆自动驾驶设备的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150039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r-customized message
CN107730830B (zh) 一种路障告警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410850A1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for Vehicle
CN104537866A (zh) 一种动态多功能公交车语音报站方法及系统
KR101311503B1 (ko) 운전자의 단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7743177B (zh) 通话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取存储介质
KR101956027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CN106327919B (zh) 实现行驶警告的方法及实现自动行驶警告的系统
KR10210712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