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765A -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건조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건조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765A
KR20160079765A KR1020167003346A KR20167003346A KR20160079765A KR 20160079765 A KR20160079765 A KR 20160079765A KR 1020167003346 A KR1020167003346 A KR 1020167003346A KR 20167003346 A KR20167003346 A KR 20167003346A KR 20160079765 A KR20160079765 A KR 2016007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itosterol
composition according
conju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065B1 (ko
Inventor
엘렌 뒤쁠랑
다니엘 르뚜레
알렉상드르 드랄로
Original Assignee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쌍뜨르 오스삐딸리에 유니베르시떼 드 뚜루쓰
유니베르시떼 파리스 쉬드 (파리스 1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쌍뜨르 오스삐딸리에 유니베르시떼 드 뚜루쓰, 유니베르시떼 파리스 쉬드 (파리스 11) filed Critical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Publication of KR2016007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원 지질 결합체 (association)에 관한 것으로, β-시토스테롤,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β-시토스테롤은 상기 결합체의0.1% 내지 5중량%로 존재하는 삼원 지질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건조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ternary lipid association for controlling dryness of the skin}
본 발명은 다음의 새로운 삼원 지질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베타-시토스테롤,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화장품 및 피부과학 분야에서 피부 건조 조절을 위한 이들의 적용.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부 보습제로서 상기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화장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병적 건성 피부 치료용 피부과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와 외부 환경 간 계면을 구성하므로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요소들의 침투를 방지할 뿐 아니라 수분 손실을 제한하여 생리적 체액을 유지하여야 한다. 후자 관점에서, 피부의 최상층, 각질층 (본원에서 SC로 칭함)은 수분 기울기를 유지하여 환경에 따른 건조 효과를 줄이는 기능의 삼투 항상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생리적 조건들에서, 마지막 살아있는 층들 (과립층)에서 각질층로 갈수록 피부 표피 부위의 수분은 70% 내지 30%로 변한다. 가장 나중의 각질세포 층들에서 15%로 더욱 낮아진다.
수분 균형 유지 능력은 각질층 구조에서 직접 연유하며, 이는 지질 매트릭스에 적층되는 편평한 각화성 세포 - 각질세포들로 이루어진다.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지질 매트릭스는 피부 표면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연속적인 층상 (lamellar phases) 적층체를 형성한다. X-선 회절에 의하면 지질 사슬들은 두 개의 상들로 구성된다: 하나는 사방정계의 결정성; 다른 하나는 더욱 유동적이고 덜 조밀한 육방정계. 훨씬 조밀한 결정성 상이 각질층을 지배하지만 표면으로 갈수록 육방정계의 지질 비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소수성에 의해 수밀성을 제공하는 이러한 지질 구조의 일체성은 수분을 보유하는 각질층 능력의 핵심이다.
각질층 건조를 촉진하는 인자들은 특히 계면활성제의 사용 (예를들면, 로릴황산나트륨 (SLS)) 및 주변 저습도 (건조 냉각, 가열, 기타 등)를 포함한다. 실제로, SLS를 적용하면 사방정계의 지질 비율이 감소하고 육방정계 비율이 증가한다 (Saad P, Flach CR, Walters RM, Mendelsohn R., 도데실황산나트륨 침투 및 피부의 각질층 지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적외선 분광 연구. Int J Cosmet Sci. 2012; 34; 36-43). 이러한 층상 구조 손상으로 무의식적 경피 수분 손실이 증가한다. 유사하게, 저습 환경에 노출되어 유발되는 건조로 결정 영역이 형성되고 주변으로 수분이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전후 관계들로부터, 최상 층들의 수분은 감소하고 각질층은 수축될 수 있다. 이들 기계적 특성 (장력, 탄성계수)이 변한다 (Levi K, Weber RJ, Do JQ, Dauskardt RH. 사람 각질층에서의 건조 스트레스 및 손상 과정. Int J Cosmet Sci. 2010; 32: 276-93). 단단해지고 거칠어지는 피부는 불편하고 팽팽감을 준다. 더욱 심각해지면, 각질층은 장벽 기능을 상실하고, 특히 다음과 같은 반응을 촉발시킨다: 표피내 증발 증가, 과도 각질세포 증식, 지질 매트릭스의초분자적 배열 변경. 임상적으로는, 피부는 더욱 두꺼워지고 편평화되고 따라서 갈라지기 쉽다.
건성 피부 환자를 치료할 때, 주목적은 환자의 피부 안락함 및 삶의 질을 개선하고 각질층을 정상적인 항상성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자들은 각질세포간 지질의 측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각질층의 층상 지질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소정의 지질을 사용한다.
지질 층의 점도 완충을 위한 또 다른 대안은 스테롤을 이용하는 것이고, 이는 주변 건조 조건들로 기능하여: 과도한-유동 (too-fluid) 지방 사슬들의 변위 또는 과도한-경질 (too-rigid) 지방 사슬들의 융합을 제한한다.
전통적으로 사용된 지방의 예시로는 광유 (petroleum jelly), 이들의 C-26 길이 사슬들은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이중층들과 교합된다. 이러한 유사-밀폐 작용으로 각질층을 통한 수분 증발이 감소된다. 유사 작용은 대칭 장쇄 에스테르를 이용하면 얻어지고, 이는 광유보다 덜 밀폐적이고, 따라서, 더욱 사용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가장 널리 공지된 것은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 연구 결과 온도 상승에 따라 생기는 각질세포간 지질에서 상 변이 (사방정계에서 육방정계)를 억제한다 (Caussin J, Gooris GS, Bouwstra JA. FTIR 연구는 친유성 보습제는 각질층 지질과 상호 작용하고, 더욱 조밀하게 적층되는 것을 보인다. Biochim Biophys Acta. 2008; 1778: 1517-24).
장쇄 및 하나 이상의 더욱 짧은 가지 사슬들로 이루어진 비대칭 에스테르가 많은 제제에서 포함된다. 이들 에스테르는 가지 사슬들에 의해 제공되는 촉감 개선 및 각질세포간 지질 공간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는 동시적 이점들을 가진다. 단리된 각질층에 대한 연구를 통해 탈수 스트레스와 연관된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한 소정의 비대칭 에스테르의 보호 효과를 보인다 (Levi et al., Int J Cosmet Sci. 2010; 32: 276-93). 실제로, 본 연구에서, 특히 결과는 습기 부족으로 건조된 각질층 시편 수축에 대한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의 양호한 효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와 같이 큰 지방 사슬들을 가지는 유도체는 또한 각질세포간 층상 구조에 대한 안정화 효과 전에 각질세포간 지질 구조의 실질적 일시 해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특히 도 1에 도시되고, 여기에서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의 국소적 인가는, 처음 4 시간 동안,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수축을 증가시킨다.
또한 비대칭 장쇄 에스테르 사용과 연관된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 보습 조성물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성 피부 치료에 대한 새로운 기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발명자들은 에스테르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에 에스테르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의 β-시토스테롤을 첨가하면, 탈수에 대한 보호가 크게 개선된다는 것을 알았다.
실제로 탈수 단리된 SC의 스트레스 상태 평가로 이루어진 SC에 대한 생체역학적 방법에서,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와 β-시토스테롤의 결합체는 선택된 3가지 기준 (도 2 참고)을 개선, 즉 최대 스트레스, 최소 스트레스 및 수화 시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놀랍고도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SC에 대한 생체역학적 연구 과정에서 제3 화장료 지방,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를, 에스테르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β-시토스테롤에 첨가하면 먼저 평형 도달 시간이 줄고, 둘째 스트레스는 시간 종말점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이들 단쇄 트리글리세리드에서의 가지화는 건조 환경에서 각질세포간 지질 공간 기능화를 최적화할 수 있는 3종의 지방 -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β-시토스테롤,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결합체에서 핵심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삼원 지질 결합체: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β-시토스테롤,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더욱 상세하게는 β-시토스테롤이 결합체의0.1% 내지 5중량%인 삼원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부에 의하면,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는 상기 삼원 결합체에 실질적으로 동일 중량 비율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삼원 지질 결합체는:
- 5% 의 β-시토스테롤;
- 47.5%의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 47.5%의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지고,
중량비는 상기 결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1% 내지 20%의 상기 삼원 결합체를 포함하고; 비율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중량 기준으로 표현된다.
도 1 내지 3은 탈수 단리된 SC의 스트레스 상태 연구에 사용된 모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피부연화제 적용 후 스트레스 변화 측정 원리를 보이고,
도 2는 3가지 분석 기준을 보인다: 최대 스트레스, 최소 스트레스 및 수화 시간 (평형 도달 작용 시간),
도 3은 다음 측정 대상들에 대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인다:
- 대조,
-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ISS) = 1,
- β-시토스테롤 + ISS = B1,
- β-시토스테롤 + ISS + 글리세롤 2-에틸헥사노에이트 = B1T.
SC 탈수는 다양한 메카니즘, 예컨대 세포간 지질 사이 더욱 큰 분자간 힘, 각질 사슬들 변형, 및 SC의 수분 함량 감소와 연관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생물리적 특성이 변형된다: 두께, 탄성 및 장력 - 이들 자체는 일체성에 중요한 결과를 가진다.
표면 막 및 물질로서 SC에 관한 건성 피부의 거대한 임상적 데이터에 따르면, SC 감각 및 외관은 직접 기계적 특성에 관련된다고 제안된다. 따라서 피부 불편감 및 장력, 또는 갈라진 SC 외관에 대한 설명 및 측정은, 생체역학적 SC 기술로서 가능하다.
이들 요소들을 감안하여 출원인은 단리된 SC의 생체외 모델을 이용하여 수화 수준 함수로서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피부 장력을 측정하면 피부 건조 및 피부 스트레스, 및 균열 외관의 관계식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모델을 이용하면 이들 기계적 측정치에 대한, 따라서, 각질층의 수화 상태에 대하여 활성제의 영향을 매우 정확하게 알 수 있다. (K. Levi, R.J. Weber, J.Q. Do and R.H. Dauskardt.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010, 32, 276-293 사람 각질층에서 건조 스트레스 및 손상 과정) (K. Levi and R.H. Dauskardt.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010, 32, 294-298 국소적 코팅 및 사람 각질층에서 건조 스트레스 차별화를 위한 기재 곡률 방법 적용).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피부 스트레스 및 장력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피부 팽팽감 및 발적, 갈라짐 및/또는 균열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삼원 지질 결합체 작용을 보완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습윤제를 더욱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건조 조건들에서 각질세포간 지질의 기능적 양태를 강화시키는 모든 방법들이 흡습성 습윤제 예컨대 글리세롤, 우레아, 솔비톨, 기타 등과 유화액으로 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화장료 또는 피부과학적 활성 성분들을 더욱 포함한다.
예를들면, 디(구아노신-5′)테트라포스페이트 (GP4G), 미토콘드리아 활성 및 세포대사 자극으로 알려진 동물성 플랑크톤 아르테미아 실리나 (Artemia salina)에서 추출되는 해양성 생명기술 활성 성분이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조성물은 유화액 형태를 취한다.
바디 및/또는 안면용 피부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피부 보습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화장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표피, 특히 각질층 보습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피부연화제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적 건성 피부 치료용으로 상기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과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병적 건성 피부”란, 본 발명에서, 직접 피부 병리와 연관되거나 또는 피부과학적 치료 결과 임의 유형의 건성 피부를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외관, 예컨대 거칠기 또는 연관된 인식 (가려움, 팽팽감) 관점에서 임의 유형의 병적 건성 피부 증상을 개선시킨다 .
실시예들
보습 케어:
INCI 명 비율 기능
정제수 QS 100%
글리세린 3 습윤제
디소듐 EDTA 0.1 착제
페녹시에탄올 0.35 보존제
폴리아크릴레이트-13 & 폴리이소부텐 & 폴리솔베이트 20 & 물 1 겔화제, 안정화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PEG-100 스테아레이트 4 유화제
세틸 알코올 1 점조인자 (Consistency factor)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리드 6 피부연화제
피라피눔 리퀴둠 (Paraffinum liquidum) 4 피부연화제
디카프릴 카르보네이트 4 피부연화제
삼원 지질 결합체 (B 5% - 1 47.5% - T 47.5%) 3% 활성제
향수 0.1 향수
보습 케어 세럼 :
INCI 명 비율 기능
QS 100%
글리세린 3 습윤제
디소듐 EDTA 0.1 착제
글리콜 0.3 습윤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1 겔화제, 안정화제
디메티콘 4 피부연화제
미리스틸 알코올 & 미리스틸 글리코시드 2 점조 인자
Benzoic acid 0.3 보존제
삼원 지질 결합체 (B 5% - 1 47.5% - T 47.5%) 6% 활성제
향수 0.1 향수
평가: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계적 방법은 단리되고 환경 챔버에서 탈수 스트레스를 받은 SC에서 생긴 기계적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것이다.
사람 피부 체외이식조직의 SC 시편을 효소 분해하여 단리하였다. 자연스럽게 부착되는 붕규산 슬라이드에 올려두었다.
처음에 100% 수화된 SC를 7% 대기 습도 분위기에 두었다. 이어 SC를 점차 탈수시키고, SC 장력을 매 15 분 마다 8 시간 동안 스트레스 측정 장치로 측정하였다. 특히 수분 손실량으로 인하여, 각질층은 탈수 과정에서 수축된다. 각질층의 기계적 특성 및 지지체 (슬라이드)의 특성 사이 차이가 생기면, 지지체가 굽혀진다. 레이저 간섭계로 측정되는 이러한 곡률반경으로, Stoney 식으로부터 장력/스트레스 상태를 계산할 수 있다. 초기 데이터는 유닛 (붕규산 슬라이드 + SC)의 곡률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붕규산 슬라이드의 생체역학적 특성, 두께, 및 SC의 두께로부터 SC의 생체역학적 스트레스 파라미터, 예컨대 장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 방법; 및 참고문헌 K. Levi, et al., IJCS 2010 참고).
이러한 1차적인 동역학 연구를 통해 미처리 SC 거동을 알 수 있다. 다음, 유닛 (SC + 슬라이드)을 100% 대기 습도에서 2 시간 회복시킨 후 다양한 처치에서 5분 동안 배양한다. 50 μm 필름을 덮는다: 액체 피부연화제를 위한 나선형 필모그래프 (spiral filmograph) 및 크림용 슬라이드를 이용. 시간 경과 후 유닛을 다시 7% 대기 습도에 두고 측정이 안정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8 내지 12 시간) 탈수 동역학을 연구하였다. 탈수 스트레스를 받은 SC의 스트레스 진행에 대한 동역학을 연구하고 미-처리 조건인 “물” 대조군과 비교한다.
혼합 조성물 설명:
1: 100%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ISS)
B1: β-시토스테롤 (5%) + ISS (95%)
B1T: β-시토스테롤 (5%) + ISS (47.5%) +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47.5%)
곡선들 해석, 결론:
도 3에서, 대조군은 탈수 동역학 전 미처리 SC에 해당된다 (-◇-).탈수 동역학 (h) 함수로서 SC의 기계적 스트레스 (MPa) 측정치가 도시된다. 이들 스트레스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평탄해질 때까지 대기 습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한다.
SC가 100% ISS로 처리되면 (1 - -□-), 곡선은 최대 스트레스를 보이고 이는 순간적으로 대조군보다 높지만 곧 떨어져 (탈수3 시간 후부터) 2 시간 후 최소 스트레스 평탄부에 도달한다.
ISS에 5%의 β-시토스테롤 (B1 - -Δ-) 이어 47.5%의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가 보충되면, 최소 스트레스 평탄부는 더욱 감소되고 더욱 빨리 도달된다.
삼원 형태의 결합체는 건조 과정에서 SC의 기계적 스트레스 발생을 제한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B1T - -○-).
따라서 이러한 결합체는 건조 조건들에서 각질층 수축을 방지할 수 있고 한편 에스테르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에 의해 생성되는 지질 공간 불안정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3 곡선들을 비교하면, 5중량% β-시토스테롤을 비대칭 에스테르에 첨가하면 에스테르의 장애 (hindrance)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방지할 뿐 아니라 평형 상태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본 실험 모델에서, 이러한 평형 상태는 처리에 따라 3 내지 5 시간 후 도달되고 피부연화제가 각질세포간 지질 공간으로 침투되어 이를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판단된다.
용해도 이유로, 상기 결합체에서 β-시토스테롤은 5% 이상일 수 없다. 따라서 5%는 제품 효능 관점에서 최선인 것으로 보인다.
조성물 B1T [ISS (47.5%), β-시토스테롤 (5%),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47.5%)]를 사용하면 조성물 B1 또는 1 (도 3)보다 더욱 신속하게 최소 스트레스에 도달한다.

Claims (12)

  1. 삼원 지질 결합체 (association)로서, β-시토스테롤,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β-시토스테롤은 상기 결합체의0.1% 내지 5중량%로 존재하는, 삼원 지질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는 동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 지질 결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음 조성비:
    - 5%의 β-시토스테롤
    - 47.5%의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
    - 47.5%의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를 가지고
    백분율은 상기 결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표현되는, 삼원 지질 결합체.
  4. 피부연화제 조성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결합체를 1% 내지 20% 포함하고, 백분율은 상기 결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표현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습윤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또 다른 화장료 활성제, 특히 GP4G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화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바디 또는 안면용 피부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피부 보습제로 사용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표피, 특히 각질층을 위한 보습제로 사용되는, 조성물.
  11.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병적 건성 피부 치료에 사용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임의의 병적 건성 피부 형태 증상을 개선하는,
    조성물.
KR1020167003346A 2013-07-12 2014-07-11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건조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1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6892 2013-07-12
FR1356892A FR3008311B1 (fr) 2013-07-12 2013-07-12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association ternaire lipidique pour lutter contre la secheresse cutanee
PCT/EP2014/064972 WO2015004279A1 (fr) 2013-07-12 2014-07-11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e association ternaire lipidique pour lutter contre la sécheresse cutan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765A true KR20160079765A (ko) 2016-07-06
KR102301065B1 KR102301065B1 (ko) 2021-09-09

Family

ID=4971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346A KR102301065B1 (ko) 2013-07-12 2014-07-11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건조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616010B2 (ko)
EP (1) EP3019145B1 (ko)
JP (1) JP6426168B2 (ko)
KR (1) KR102301065B1 (ko)
CN (1) CN105579026B (ko)
AU (1) AU2014289153B2 (ko)
BR (1) BR112016000500B8 (ko)
CA (1) CA2917994C (ko)
ES (1) ES2651845T3 (ko)
FR (1) FR3008311B1 (ko)
HK (1) HK1219894A1 (ko)
MX (1) MX352282B (ko)
PL (1) PL3019145T3 (ko)
PT (1) PT3019145T (ko)
RU (1) RU2666253C2 (ko)
SG (1) SG11201600215RA (ko)
WO (1) WO201500427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971A (en) * 1974-07-29 1976-05-18 Lever Brothers Company Moisturizing units and moistur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604281A (en) * 1983-03-21 1986-08-05 Charles Of The Ritz Group Ltd. Cosmetic and skin 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acetylated sterols
FR2799122A1 (fr) * 1999-10-04 2001-04-06 Agro Ind Rech S Et Dev Ard Production d'un complexe lipidique vegetal comme agent cosmetique et nutraceutique
US20090017147A1 (en) * 2005-01-14 2009-01-15 Sederma Cosmetic or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uglena Extract
EP2583667A1 (fr) * 2011-10-20 2013-04-24 Les Laboratoires Asepta Complexe lipidique pour favoriser la repousse des phanères et compositions associé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4376B4 (de) * 1998-02-04 2004-09-16 Johnson & Johnson Gmbh Lipidmischungen sowie deren Verwendung
JP5633951B2 (ja) * 2008-03-26 2014-12-03 伯東株式会社 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7859B2 (ja) * 2010-03-26 2015-09-09 株式会社 資生堂 乳化組成物
US8986720B2 (en) * 2010-06-16 2015-03-24 Mary Kay Inc. Skin moisturizer
JP5689026B2 (ja) * 2010-06-17 2015-03-25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971A (en) * 1974-07-29 1976-05-18 Lever Brothers Company Moisturizing units and moistur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604281A (en) * 1983-03-21 1986-08-05 Charles Of The Ritz Group Ltd. Cosmetic and skin 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acetylated sterols
FR2799122A1 (fr) * 1999-10-04 2001-04-06 Agro Ind Rech S Et Dev Ard Production d'un complexe lipidique vegetal comme agent cosmetique et nutraceutique
US20090017147A1 (en) * 2005-01-14 2009-01-15 Sederma Cosmetic or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uglena Extract
EP2583667A1 (fr) * 2011-10-20 2013-04-24 Les Laboratoires Asepta Complexe lipidique pour favoriser la repousse des phanères et compositions associé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08311B1 (fr) 2015-08-28
RU2016103388A (ru) 2017-08-17
JP6426168B2 (ja) 2018-11-21
BR112016000500B8 (pt) 2023-05-16
RU2016103388A3 (ko) 2018-03-06
US20160166490A1 (en) 2016-06-16
BR112016000500B1 (pt) 2020-08-04
ES2651845T3 (es) 2018-01-30
WO2015004279A1 (fr) 2015-01-15
CN105579026B (zh) 2018-01-16
CN105579026A (zh) 2016-05-11
CA2917994C (fr) 2021-08-24
SG11201600215RA (en) 2016-02-26
EP3019145B1 (fr) 2017-09-20
EP3019145A1 (fr) 2016-05-18
JP2016523952A (ja) 2016-08-12
US9616010B2 (en) 2017-04-11
AU2014289153A1 (en) 2016-02-11
HK1219894A1 (zh) 2017-04-21
RU2666253C2 (ru) 2018-09-06
AU2014289153B2 (en) 2018-12-06
CA2917994A1 (fr) 2015-01-15
MX2016000406A (es) 2016-08-23
MX352282B (es) 2017-11-09
KR102301065B1 (ko) 2021-09-09
FR3008311A1 (fr) 2015-01-16
PL3019145T3 (pl) 2018-05-30
PT3019145T (pt)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rnamawati et al. The role of moisturizers in addressing various kinds of dermatitis: a review
Draelos New treatments for restoring impaired epidermal barrier permeability: skin barrier repair creams
Lodén Effect of moisturizers on epidermal barrier function
CN109846757B (zh) 一种皮脂仿生组合物及包含其的化妆品
AU2005200381B2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long lasting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CN111529444A (zh) 一种具有皮肤屏障修复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ueangarun et al. The 24‐hr, 28‐day, and 7‐day post‐moisturizing efficacy of ceramides 1, 3, 6‐II containing moisturizing cream compared with hydrophilic cream on skin dryness and barrier disruption in senile xerosis treatment
Pennick et al. Superior effect of isostearyl isostearate on improvement in stratum corneum water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as examined by the plastic occlusion stress test
US9693936B2 (en) Dispersions in oil of Dead Sea nano sized material preparation and uses therof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ITMI20111806A1 (it) Composizione per il trattamento delle lesioni cutanee
Weber et al. Hand and foot moisturizers
KR102380796B1 (ko) 다중 층상 라멜라 에멀젼 타입 화장료 조성물
Leite-Silva et al. The Influence of emollients on dermal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KR102301065B1 (ko) 삼원 지질 결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건조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N115209887A (zh) Ppar激动剂复合物及其使用方法
Dewi et al.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affeine Topical 0.25% and 0.5% as Anti-wrinkle Therapy
BR102017010610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para o cuidado da pele, uso cosmético e produto cosmético para o cuidado da pele
Tanuwidjaja Development of Anti-Aging Cream Preparations with Active Substances from Plant Extracts: Physicochemical Review and Potential Applications
Draelos Proper skin hydration and barrier function
WO2024075044A1 (en) Liquid crystal emulsion based on ingredients of natural origin
BR102017010612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para o cuidado da pele, uso cosmético e produto cosmético para o cuidado da pele
BR102017010608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para o cuidado da pele, uso cosmético e produto cosmético para o cuidado da pele
JP2018108953A (ja) 角質細胞肥厚化剤
KR20190085297A (ko)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