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297A -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297A
KR20190085297A KR1020180003240A KR20180003240A KR20190085297A KR 20190085297 A KR20190085297 A KR 20190085297A KR 1020180003240 A KR1020180003240 A KR 1020180003240A KR 20180003240 A KR20180003240 A KR 20180003240A KR 20190085297 A KR20190085297 A KR 2019008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ysaccharide
phospholipid
skin
natural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890B1 (ko
Inventor
진성현
박소영
송지아
Original Assignee
진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현 filed Critical 진성현
Priority to KR102018000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8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를 폴리사카라이드를 이용하여 액정구조로 안정하게 담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피부에 수분을 보충하고 유지시켜 주는데 우수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Polysaccharid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를 폴리사카라이드를 이용하여 액정구조로 안정하게 담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피부에 수분을 보충하고 유지시켜 주는데 우수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분류된다. 그 중 최외곽층에 존재하는 표피는 물리적인 외부손상, 화학적인 외부 유해물질과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며, 인체 내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지하여 피부의 건조한 상태를 막아준다.
현재까지 각질층 구조 중 지질 성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질층 내의 지질성분이 형성하는 라멜라 구조가 피부장벽기능의 근원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조직의 위치와 개인별로 차이는 있지만, 세포간 지질은 대략적으로 세라마이드 40%, 콜레스테롤 25 %, 자유지방산 25%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신,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리피드류들이 소량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비특허문헌 1).
세포간 지질에서 가장 많은 성분을 차지하는 세라마이드는 각질층 내에서 층상구조로 나란히 배열되고 그 사이에 물이 충진되어 수분이 유지됨으로써,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피부장벽기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부표면에서 세라마이드가 파이토스핑고신으로 분해됨으로써 외부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장벽으로 작용하며 염증의 조절과 상처회복에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많은 연구결과에서 세라마이드는 아토피를 비롯한 피부질환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피부과의 임상결과에서도 세라마이드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께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뛰어난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유전적 요인 또는 노화에 의해 세라마이드의 생산이 감소되면 각질층의 보호 장벽 기능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여러 피부과적 증상, 예컨대 아토피 피부염 및 건선 증상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3).
한편, 각질층에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는 아미노산, 소듐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소듐 락테이트, 우레아 같은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아미노산의 함량이 전체 천연보습인자 중 40%로 높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다.
많은 연구결과를 보면 아토피환자에게서 아미노산의 함량이 정상적인 피부보다 현저히 줄어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아토피 환자와 같이 피부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피부각질층에 존재하는 피부지질 성분과 천연 보습인자가 감소되어 있어 외부의 피부자극으로부터 쉽게 손상되고, 피부 내부로의 수분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피부장벽을 개선시켜주는 동시에 피부 내부에 수분을 공급해 주는 화장품 소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비특허문헌 1) J Chromato B Biomed Appl 1994, 656(1):65-71 (비특허문헌 2) Fulmer & Kramer, J. Invest. Derm., 86:598-602(1986) (비특허문헌 3) Tupker R. A. et al., Acta Derm. Venereol. Stockh, 70:1-5(199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보습능력 및 피부장벽 개선효과를 가지며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를 폴리사카라이드를 이용하여 액정구조로 안정하게 담지할 수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피부지질복합체를 리포좀화한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로 제조된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부지질복합체는 세라마이드, 당세라마이드, 파이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스테아릭산, 팔미틱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사카라이드는 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 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 히아루론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보습인자는 세린, 글라이신, 알라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지질은 수첨 인지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피부지질복합체를 고압유화하여 리포좀화하여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을 이용하여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상기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상기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혼합 교반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혼합 교반된 액에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첨가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단계의 인지질은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이고, 상기 제3단계의 인지질은 Hydrogenated lecith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리포좀화 되어 있는 피부지질복합체와 인지질에 천연보습인자가 함유되어 1차 액정 에멀젼을 형성한 후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2차 액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1차 액정 에멀젼 형성 시 사용되는 상기 인지질은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이고, 2차 액정 형성 시 사용되는 상기 인지질은 Hydrogenated lecith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에센스,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폼, 팩, 샴푸, 젤, 보디젤, 보디세정제 중 어느 하나에 0.1 내지 1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피부에 수분을 보충하고 유지시켜 주는데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피부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를 폴리사카라이드를 이용하여 액정구조로 안정하게 담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55℃ 온도에서 60일간 보관한 후의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55℃ 온도에서 60일간 보관한 후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피부지질복합체의 입도분석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및 비교예 4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피부수분보유(Hydration)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및 비교예 4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수분손실량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한 액정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은 피부지질복합체를 리포좀화한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로 제조된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한 것이다.
여기서 피부지질복합체는 세라마이드, 당세라마이드, 파이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스테아릭산, 팔미틱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에 존재하는 스핑고리피드 종류인 세라마이드, 당세라마이드, 파이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스테아릭산, 팔미틱산과 같은 성분들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용해 후 석출이 잘 되는 문제를 갖고 있으므로 리포좀 내부에 포접 시켜 최대한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폴리사카라이드는 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 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 히아루론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과 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은 Cas no가 동일한 물질이고 폴리사카라이드이다. 또한 종래에는 "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로 판매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천연보습인자는 세린, 글라이신, 알라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액정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지질은 수첨 인지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인지질에는 수첨되지 않은 불포화 인지질과 수첨되어 안정화된 수첨 인지질 두 종류가 산업계에서 많이 사용되나, 불포화 인지질은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제조 후 보관 시 산폐와 변색이 되는 문제가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첨 인지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지질에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산과 같은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에 따라 액정형성 능력이 달라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인지질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이를 위해 포스파티딜콜린(PC) 함량이 20~25% 함유된 Lecinol S-10(Nikko chemicals社), PC 함량이 70~75%함유된 Soya SPL 75H(Hydrogenated lecithin, Neuropid社), PC함량이 95%이상 함유된 Lipoid S 100-3(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 lipoid GMBH社)의 원료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인지질 5%, 10% 함량으로 70℃로 가온된 에탄올 15g에 용해시킨 후 전체 용량을 100g(w/w)에 도달될 때까지 70℃의 물을 첨가하며 HOMO Mixer를 이용하여 유화를 실시하였으며, 제조된 말테크로스 액정여부를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PC 함량이 20~25%인 Lecinol S-10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형은 인지질 5%, 10% 함량 모두 액정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Soya SPL 75H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형은 인지질 5% 사용 시 액정이 조금 관찰되었고, 인지질 10% 사용 시에는 액정이 많이 관찰되었다. 반면, lipoid S100-3을 사용한 제형은 인지질 5% 함량에서도 액정 형성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에센스,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폼, 팩, 샴푸, 젤, 보디젤, 보디세정제 중 어느 하나에 0.1 내지 15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피부지질복합체를 고압유화하여 리포좀화하여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을 이용하여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상기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상기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혼합 교반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혼합 교반된 액에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첨가하는 제2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피부지질 구성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과 같은 성분에 인지질과 고급지방산알코올을 이용하여 액정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제조방법과는 전혀 상이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먼저 피부지질 성분을 (나노)리포좀화하여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하나의 제형 안에서 피부지질 성분과 천연보습인자의 상용성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제조되어 사용되는 말테크로스 형태의 액정은 제조 후 고온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그 효과가 일반 에멀젼에 비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피부지질성분과 천연보습인자를 하나의 소재에 담지할 뿐 아니라 폴리사카라이드를 이용함으로써 말테크로스 액정 구조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 건선, 피부 건조증, 접촉성 피부염 등과 피부 질환자에게 피부 장벽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내부의 수분을 동시에 보충해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피부 질환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리포좀화 되어 있는 피부지질복합체와 인지질에 천연보습인자가 함유되어 1차 액정 에멀젼을 형성한 후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2차 액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액정 에멀젼 형성 시 사용되는 상기 인지질은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이고, 2차 액정 형성 시 사용되는 상기 인지질은 Hydrogenated lecith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차 액정 에멀젼 형성 시 사용되는 인지질의 경우 액정의 형성과 유지가 잘 되도록 PC함량이 가장 높은 것, 예컨대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을 사용하고, 2차 액정 형성 시에는 액정 형성에 문제가 없는 PC함량이 조금 낮은 것, 예컨대 Hydrogenated lecithin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많이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부지질막의 구성성분과 천연보습인자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시켜 석출 및 제형안정성이 우수한 액정 조성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장벽개선과 수분의 공급과 유지를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 제조>
피부지질복합체인 세라마이드, 당세라마이드, 파이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스테아릭산, 팔미틱산으로 선정하였고, 다가알코올은 1,3부틸렌글라이콜, 인지질은 Lipoid S100-3, 리포좀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먼저, 세라마이드 5g, 당세라마이드 0.3g, 파이토스핑고신 0.2g, 콜레스테롤 1.0g, 스테아릭산 0.8g, 팔미틱산 0.7g, 인지질 3g을 1,3부틸렌글라이콜 50g 에 투입한 후 80~9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2g을 물 37g에 넣고 분산시킨 후 8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용해된 두 상을 HOMO-Mixer를 이용하여 3000rpm에서 유화 후 고압유화기를 이용하여 1000bar에서 3회 실시하여 피부지질복합체가 포함된 리포좀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리포좀은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 사이즈는 185nm 정도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2 :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을 이용한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 제조>
세린 10g, 글라이신 5g, 알라닌 4g을 90℃로 가온된 물 76g에 넣고 교반 용해시켰다. 세린, 글라이신, 알라닌이 용해되어 있는 아미노산 수용액을 90℃로 유지하면서 인지질(Lipoid S100-3) 5g을 천천히 투입하며 HOMO-Mixer를 이용하여 40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을 50℃의 온도로 유지한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에 서서히 투입하여 혼합 교반한 후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Soya SPL 75H)을 첨가하여 HOMO Mixer 3000rpm을 이용하여 10분간 교반하여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가 담지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시예에 사용된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구성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A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 70 70 70 70 70 70 70 70 87.5
B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 10 10 10 10 10 10 10 10 10
C 폴리사카라이드
(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1 0.5 1.5 2 1 1 1 _ _
B Hydrogenated lecithin 5 5 5 5 3 7 - 10 -
C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_
1,2-hexanediol 2.5 2.5 2.5 2.5 2.5 2.5 2.5 2.5 2.5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액정 조성물(에멀젼)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액정 에멀젼을 제조한 직후 액정의 형성 유무 정도에 따라 10점 척도로 표시하였으며, 1점은 입자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표현하였으며, 10점은 액정의 형성이 뛰어난 것으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액정형성
유무
10 10 10 10 9 10 6 10 5
다음으로, 실시예1~6, 비교예 1~3에 따른 액정 조성물(에멀젼)의 온도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저온(4℃), 상온, 고온(45℃)의 항온조에 보관하여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는 투명 용기에 담아 보관하고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안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보다 명확한 분류를 위해 액정 형성 유지력을 10점 척도로 하여 안정도 표기를 하였다. 초기 생성된 액정에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 생생된 액정을 10점으로 확정하여 총 8주간의 안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1점은 액정이 붕괴되어 입자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며, 10점은 형성된 액정의 유지가 뛰어난 것으로 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저온
(4℃)
1주 10 10 10 10 10 10 10 10 10
4주 10 10 10 10 10 10 10 9 8
8주 10 10 10 10 10 10 9 9 6
상온
(25℃)
1주 10 10 10 10 10 10 10 10 9
4주 10 10 10 10 10 10 9 8 6
8주 10 10 10 10 10 10 8 6 4
고온
(45℃)
1주 10 10 10 10 10 10 9 6 4
4주 10 10 10 10 10 10 6 2 X
8주 10 9 10 10 9 10 4 X X
상기 표 2와 3의 결과로 확인할 수 있듯이, 액정 형성을 하는데 있어서 인지질이 뛰어난 역할을 하지만, 액정을 유지시키는 데는 인지질의 함량보다는 폴리사카라이드의 함량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경우 폴리사카라이드 액정이 형성되어 있지만, 천연보습인자를 함유한 1차 액정베이스에 있는 인지질이 전체 총 중량의 전부이기 때문에 고온에서 시간이 경과될수록 액정이 없어지지만, 실시예 1~6에 따른 액정의 경우 천연보습인자를 함유한 1차 액정베이스에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한 액정은 고온에서도 뛰어난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폴리사카라이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많은 함량의 인지질로 인해 초기 액정형성능력은 가장 뚜렷하게 생성되었었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고온뿐만 아니라 상온에서서도 점차적으로 액정형성이 붕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과 같이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에는 고온에서 액정이 아예 관찰되지 않는 것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하기 표 4의 조성을 첨가하여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80℃로 가온된 수상에 카보머를 투입하여 교반 용해하였다. 유상을 80℃로 가온 교반 용해 후 75℃로 유지한 수상에 천천히 첨가하며 HOMO Mixer를 이용하여 3000rpm 에서 유화를 5분간 실시하였다. 이후 방부제와 중화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며 HOMO Mixer를 이용하여 추가 유화를 3분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3중량% 첨가하여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하기 표 4의 조성을 첨가하여 실시예 7과 같이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실시예 7 비교예 4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카보머 0.1 0.1
유상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5
폴리소르베이트 60 0.8 0.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6 0.6
중화제 트로메타민 0.1 0.1
실시예 1 3 _
< 실험예 1 : 피부 수분 보유력 측정 >
실시예 7과 비교예 4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 수분 보유력을 측정하였다. 사람(N=20명)의 팔 부위에 실시예 7과 비교예 4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40mg을 3cm의 면적으로 도포한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의 평균을 구하여 하기 표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를 위해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의 피부 보습도도 함께 나타내었다.
0H 1H 3H 6H 24H
실시예 7 41.2 60.3 56.1 53.8 50.8
비교예 4 41.1 51.4 47.3 45.6 44.1
무도포 41.2 41.1 41.2 41.2 41.1
상기 표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인 에멀젼 화장료 대비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첨가한 화장료의 수분 보유력이 상당히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에멀전 화장료(비교예 4)는 초기 대비 피부 보습도가 7.3% 증가한 반면 폴리사카라이드 액정(실시예 1)이 첨가된 실시예 7은 피부 보슴도가 23.3%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 이를 통해 폴리사카라이드 액정을 함유한 화장료의 수분 보유력이 일반 화장료보다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 피부장벽 개선 측정 >
또한, 실시예 7과 비교예 4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장벽 개선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총 4주 동안 11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7과 비교예 4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아침, 점심 각각 2회씩 도포하도록 하고 Tewameter를 이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경피 수분 손실량은 임상시험 전문 기관인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하기 표 6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를 보면 실시예 7에 따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 경피수분손실량이 시험전보다 31.6%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6에 있는 데이터는 피험자 11명의 TEWL을 측정한 값이고 이를 평균하여 개선율(%)로 변경하여 도표화 한 것이 도 7이다.
실시예 7 비교예 4
시험전 2주후 4주후 시험전 2주후 4주후
19.8 19.5 10.2 15.9 16.3 11.6
11.9 9.9 6.2 9.8 8.4 7.5
15.6 14.6 10 15.0 15.0 11.2
18.4 18.3 12.8 13.4 15.5 14.8
15.1 13.2 11.5 16.1 15.0 14.5
9.1 8.6 6.4 8.9 10.2 8.1
13.4 11.3 10.0 12.2 12.4 9.4
11.6 10.6 10.2 11.7 10.7 10.8
10.7 11.1 7.7 8.7 10.6 8.4
9.4 8.0 7.0 9.2 10.0 8.5
11.5 10.9 8.3 12.6 11.6 9.4
* 경피수분손실량 (TEWL, g/㎡/hr)의 변화 -Tewameter 측정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지질복합체와 천연보습인자가 담지된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은 피부수분 보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부장벽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1)

  1. 피부지질복합체를 리포좀화한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로 제조된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지질복합체는 세라마이드, 당세라마이드, 파이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스테아릭산, 팔미틱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는 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 흰목이버섯포자낭과추출물, 히아루론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보습인자는 세린, 글라이신, 알라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수첨 인지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
  6. 피부지질복합체를 고압유화하여 리포좀화하여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천연보습인자와 인지질을 이용하여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상기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담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피부지질복합체 리포좀과 상기 천연보습인자 액정베이스를 혼합 교반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혼합 교반된 액에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첨가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인지질은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이고, 상기 제3단계의 인지질은 Hydrogenated lecith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9. 리포좀화 되어 있는 피부지질복합체와 인지질에 천연보습인자가 함유되어 1차 액정 에멀젼을 형성한 후 폴리사카라이드와 인지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2차 액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1차 액정 에멀젼 형성 시 사용되는 상기 인지질은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이고, 2차 액정 형성 시 사용되는 상기 인지질은 Hydrogenated lecith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을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에센스,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폼, 팩, 샴푸, 젤, 보디젤, 보디세정제 중 어느 하나에 0.1 내지 1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3240A 2018-01-10 2018-01-10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40A KR102015890B1 (ko) 2018-01-10 2018-01-10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40A KR102015890B1 (ko) 2018-01-10 2018-01-10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97A true KR20190085297A (ko) 2019-07-18
KR102015890B1 KR102015890B1 (ko) 2019-08-29

Family

ID=6746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240A KR102015890B1 (ko) 2018-01-10 2018-01-10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8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572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화장품 조성물
KR20150070920A (ko) * 2013-12-17 2015-06-25 한솔바이오 주식회사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젤-지질막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7214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두산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2951A (ko) * 2014-11-26 2016-06-03 (주)미애부생명과학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572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화장품 조성물
KR20150070920A (ko) * 2013-12-17 2015-06-25 한솔바이오 주식회사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젤-지질막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7214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두산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2951A (ko) * 2014-11-26 2016-06-03 (주)미애부생명과학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J Chromato B Biomed Appl 1994, 656(1):65-71
(비특허문헌 2) Fulmer & Kramer, J. Invest. Derm., 86:598-602(1986)
(비특허문헌 3) Tupker R. A. et al., Acta Derm. Venereol. Stockh, 70:1-5(19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890B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0790B1 (en) Submicron-liposome containing triterpenoi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654841B1 (ko)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EP2324813B1 (en) Cosmetic base comprising collagen-modified liposome
KR100921959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672978A1 (en) Permeation enhancers for topical formulations
KR2013002391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316857B1 (en) Multiphasic compositions
ZA200601179B (en) Cosmetic composition promoting oxygen transport into the skin
US20150283080A1 (en) Stabilized dermatological delivery system for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to the skin
KR101727974B1 (ko)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9277A (ko) 자가조합형 지질 베시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0202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마이셀을 함유하는 가용화 제형
KR100715311B1 (ko) 경피흡수가 증진되고 우르솔산이 안정화된 주름개선 화장료및 그 제조방법
KR100511944B1 (ko)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CA3147460C (en) Insoluble active substance carrier comprising transfersome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8983B1 (ko)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5297A (ko) 폴리사카라이드 액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8595B1 (ko) 2층상 화장수
KR100616252B1 (ko) 해양생물-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JP5756602B2 (ja) ゼラチンおよび/またはエラスチン構成ポリペプチドで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KR20150078137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70644A (ko) 액정형성능력이 우수한 유화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