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369A - 접속 단자 및 전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및 전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369A
KR20160078369A KR1020167012344A KR20167012344A KR20160078369A KR 20160078369 A KR20160078369 A KR 20160078369A KR 1020167012344 A KR1020167012344 A KR 1020167012344A KR 20167012344 A KR20167012344 A KR 20167012344A KR 20160078369 A KR20160078369 A KR 2016007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flexible flat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080B1 (ko
Inventor
마사히로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shap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deformable terminals, e.g. crimp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Abstract

접속 단자(12)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는, 대략 평판 형상이다. 꼬임선 접속부(21)는, 꼬임선(3)의 선단의 도체(5) 및 절연 피복(6)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측이 폐쇄된 형상이다.

Description

접속 단자 및 전선 어셈블리{CONNECTING TERMINAL AND ELECTRIC WIRING ASSEMBLY}
본 발명은, 주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과 환선(twisted wire)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면 자동차의 전기 배선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 등으로 급전하기 위한 배선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채용될 기회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채용되는 것은 일부분뿐이고, 다른 부분의 배선에는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복수의 꼬임선을 다발로 한 것)가 이용되고 있다. 즉, 실상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꼬임선(환선)이 혼재되어 배선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꼬임선을 접속하는 구조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점에서, 비특허문헌 1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꼬임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비특허문헌 1에서는 「WF 단자」라고 칭하고 있음)를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의 접속 단자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에 나타내는 종래의 접속 단자(90)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95)와, 꼬임선 접속부(91)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95)는, 일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피어스(94)를 갖고 있다. 이 피어스(94)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두께 방향으로부터 관통시킴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와 접속 단자(9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꼬임선 접속부(91)는, 이른바 오픈 배럴식(open barrel)의 압착 단자로서 구성되어 있고, 도체 압착부(92)와, 피복 압착부(93)를 갖고 있다. 도체 압착부(92)를 코킹(caulking)함으로써, 당해 도체 압착부(92)를, 꼬임선의 도체에 압착시킨다. 또한, 피복 압착부(93)를 코킹함으로써, 당해 피복 압착부(93)를, 꼬임선의 절연 피복에 압착시킨다. 이에 따라, 꼬임선의 도체와 접속 단자(90)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함과 함께, 당해 꼬임선에 대하여 접속 단자(9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 단자(90)에 있어서는, 피어스(94), 도체 압착부(92) 및, 피복 압착부(93)의 강도 및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접속 단자(90)의 소재로서는, 종래부터 각종 단자로의 채용 실적이 있는 황동 등을 이용한다.
이상과 같은 접속 단자(90)에 의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와, 꼬임선의 도체를 접속할 수 있다.
「후루카와 덴코 시보(時報)」, 제132호, p. 58-59(관련 제품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상시 급전 장치」의 항), [online], 2013년 9월,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홈페이지, [2013년 10월 15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furukawa.co.jp/jiho/index.htm>
도 19에 나타낸 종래의 접속 단자(90)에서는, 피어스(94)에 의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 및 피복에 구멍을 뚫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대하여 인장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상기 구멍의 부분에 힘이 가해져, 당해 구멍이 넓어지거나, 도체가 갈라지거나 하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도 19에 나타낸 종래의 접속 단자(90)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95)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이것과는 다른 문제이지만, 최근에는 경량화의 관점에서, 꼬임선의 도체에 알루미늄을 이용한 알루미늄 전선이 이용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속 단자(90)에 있어서는, 피어스(23), 도체 압착부(92) 및, 피복 압착부(93)의 강도 및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부터 각종 단자로의 채용 실적이 있는 황동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알루미늄 전선을 상기 접속 단자(90)(황동제)에 접속한 경우, 이종(異種) 금속 접촉이 생기기 때문에, 주위에 수분이 존재하고 있으면 전해 부식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꼬임선 접속부(91)에는 방수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도 19에 나타낸 종래의 접속 단자(90)에서는, 꼬임선 접속부(91)가 오픈 배럴식이기 때문에, 당해 꼬임선 접속부(91)에는 방수성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꼬임선 접속부(91)의 주위에 지수제(止水劑)를 충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데다가, 제조 비용도 상승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로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꼬임선 접속부의 방수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한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확실히 접속하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한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가 이하와 같이 제공된다. 즉, 이 접속 단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환선 접속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는, 대략 평판 형상이다. 상기 환선 접속부는, 상기 환선의 선단(先端)의 도체 및 절연 피복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一端)측이 폐쇄된 형상이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 있어서, 「환선」이란, 도체 부분의 단면 윤곽이 대략 원형으로 되어 있는 전선을 가리키고, 이른바 단선과 꼬임선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를 용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어스에 의해 구멍을 뚫는 종래의 접속 단자에 비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선 접속부를, 일단측을 폐쇄한 통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당해 방수성이 높은 접속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가 이하와 같이 제공된다. 즉, 이 접속 단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환선 접속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는, 대략 평판 형상이다. 상기 환선 접속부는, 오픈 배럴식이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를 용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어스에 의해 구멍을 뚫는 종래의 접속 단자에 비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선 접속부는 오픈 배럴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상기 환선 접속부에 삽입되는 상기 환선의 도체의 지름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비교적 얇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에 대하여 적절히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가 이하와 같이 제공된다. 즉, 이 접속 단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환선 접속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피어스를 구비한다. 상기 환선 접속부는, 상기 환선의 선단의 도체 및 절연 피복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측이 폐쇄된 형상이다.
상기와 같이, 환선 접속부를, 일단이 폐쇄된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환선 접속부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선 접속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선의 도체가 알루미늄이었을 경우라도,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접속 단자에 있어서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환선 접속부 사이의 중간부를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중간부를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속 단자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접속 단자는,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환선 접속부 사이의 중간부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선 접속부는, 판재가 굽혀져, 그 양단(兩端)끼리가 맞대어지거나, 또는 당해 양단이 서로 겹쳐지고, 또한 상기 양단끼리가 직선 형상으로 용접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도 동일하게, 판재가 굽혀져, 그 양단끼리가 맞대어지거나, 또는 당해 양단이 서로 겹쳐지고, 또한 상기 양단끼리가 직선 형상으로 용접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환선 접속부의 상기 직선 형상의 용접 부분과, 상기 중간부의 상기 직선 형상의 용접 부분이, 대략 동일 직선상에 있다.
상기와 같이, 환선 접속부를 형성할 때에, 굽힌 판재의 양단끼리를 용접함으로써, 이음매가 없는 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선 접속부의 방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중간부를 형성할 때에도 용접하여 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중간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환선 접속부와 중간부의 용접 부분을 대략 동일 직선상에 배치함으로써, 한번의 용접 작업으로 환선 접속부와 중간부의 양쪽을 용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전선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즉, 이 전선 어셈블리는, 상기 접속 단자(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가 대략 평판 형상이고, 환선 접속부가, 일단측이 폐쇄된 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환선 접속부에 접속된 환선을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환선의 선단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환선 접속부에 삽입되고, 당해 환선 접속부가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에 압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용접에 의해 접속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피어스로 구멍을 뚫고 있던 종래의 접속 단자에 비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단이 폐쇄된 통 형상의 환선 접속부를 환선에 압착함으로써, 당해 환선 접속부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환선 접속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전선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즉, 이 전선 어셈블리는, 상기 접속 단자(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가 대략 평판 형상이고, 환선 접속부가 오픈 배럴식으로 되어 있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환선 접속부에 접속된 환선을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환선의 선단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이 상기 환선 접속부에 압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용접에 의해 접속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피어스로 구멍을 뚫고 있던 종래의 접속 단자에 비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픈 배럴식의 환선 접속부를 환선에 압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전선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즉, 이 전선 어셈블리는, 상기 접속 단자(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가 피어스를 구비하고, 환선 접속부가, 일단측이 폐쇄된 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환선 접속부에 접속된 환선을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상기 피어스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상기 환선의 선단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이 상기 환선 접속부에 압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환선 접속부를 환선에 압착함으로써, 당해 환선 접속부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환선 접속부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전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는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선의 도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단자는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접속 단자의 환선 접속부를 일단이 폐쇄된 통 형상으로 한 경우, 방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환선의 도체가 알루미늄인 경우에도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를 동종의 금속으로 함으로써, 양자를 용접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용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선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접속 단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랫 도체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용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랫 도체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를 용접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꼬임선에 대하여 꼬임선 접속부를 압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중간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용접을 행하기 전의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접속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꼬임선 접속부를 오픈 배럴식으로 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절연체를 제거하는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접속 단자에 의해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꼬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접속 단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꼬임선에 대하여 꼬임선 접속부를 압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중간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용접을 행하기 전의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선 어셈블리(1)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복수개의 꼬임선(환선)(3)과, 접속 단자(12)를 구비하고 있다.
꼬임선(3)은, 도체(5)와 절연 피복(6)으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의 꼬임선(3)에 있어서, 도체(5)는,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을 다발로 한 것이다. 또한, 도체(5)는 도체라면 알루미늄 이외의 소재(예를 들면, 구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절연 피복(6)은, 수지 등의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도체(5)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플랫 도체(7)와 절연체(8)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구성이다. 플랫 도체(7)는, 띠 형상의 금속판 내지 금속박이고, 단면 직사각형의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있어서, 플랫 도체(7)는 구리제이다. 다만, 플랫 도체(7)는, 도체라면 구리 이외의 소재(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플랫 도체(7)는, 그 폭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은, 도체를 4개 구비하고 있다.
절연체(8)는,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의 필름이다. 절연체(8)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구비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4개)의 플랫 도체(7)를,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12)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와, 꼬임선(3)의 도체(5)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접속 단자(12)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각 플랫 도체(7)에 1개씩 접속되어 있고, 각 접속 단자(12)에 꼬임선(3)이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1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는 4개의 접속 단자(12)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대하여, 4개의 꼬임선(3)이 접속된다(도 1을 참조).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는, 표면이 주석(Sn)으로 도금된 황동 등의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단자(12)는, 도체라면 구리 이외의 소재(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 및 도 3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 및 꼬임선(3)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의 접속 단자(12)가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환선 접속부)(21)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단부(端部)가 접속된다. 꼬임선 접속부(21)에는, 꼬임선(3)의 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가 나열되는 방향을,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12)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얇고 길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꼬임선 접속부(21)는, 원통 형상(중공 형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꼬임선 접속부(21)의 축선 방향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꼬임선 접속부(21)의 축선 방향 일측의 단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측의 단부)는, 방수를 위해 폐쇄되어 있다(폐쇄부(24)). 한편, 꼬임선 접속부(21)의, 폐쇄부(24)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꼬임선(3)의 선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개방부(25)).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꼬임선 접속부(21)는, 일단측이 폐쇄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단부의 절연체(8)를 제거하고, 플랫 도체(7)의 선단을 노출시킨다(도 2 및 도 3의 상태). 절연체(8)를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날붙이에 의해 절연체(8)에 적절한 절입을 넣은 후, 당해 절연체(8)를 물리적으로 벗겨낸다. 또한 예를 들면, 레이저에 의해 절연체(8)의 수지를 승화시킴으로써, 당해 절연체(8)를 제거해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연체(8)를 제거할 때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일면측만 절연체(8)를 제거하고, 타면측의 절연체(8)는 남겨두면 매우 적합하다(도 2 및 도 3을 참조). 이와 같이, 편면측의 절연체(8)를 남겨둠으로써, 노출시킨 플랫 도체(7)를, 남겨둔 절연체(8)에 의해 편면측으로부터 서포트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플랫 도체(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노출시킨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마주 보게 하도록 배치하고(도 3), 양자를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친다. 이 상태에서,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용접한다(도 4). 이에 따라, 플랫 도체(7)와 접속 단자(12)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됨과 함께, 접속 단자(12)에 대하여 플랫 도체(7)가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용접하는 방법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파이버 레이저(fiber laser)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용접할 때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측으로부터 용접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시킨 플랫 도체(7)에서 보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는 반대측에는, 절연체(8)가 남겨져 있다. 따라서, 플랫 도체(7)측으로부터 용접하고자 해도, 남겨져 있는 절연체(8)가 방해가 되어, 적절히 용접할 수 없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친 상태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측에, 파이버 레이저 용접기의 레이저 광 조사부(80)를 배치한다. 그리고, 당해 레이저 광 조사부(80)로부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플랫 도체(7)를 용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측으로부터 용접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만약,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가 지나치게 두껍거나,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표면에 요철이 있거나 하면,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플랫 도체(7)를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적절히 용접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전술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는, 평탄하고 요철이 없는 형상으로, 불필요한 두께가 없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플랫 도체(7)를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적절히 용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이르는 시행 착오의 과정에 있어서, 플랫 도체(7)에 대하여, 꼬임선(3)의 도체(5)를 직접적으로 용접하는 구성도 시도했다. 그러나, 플랫 도체(7)에 대하여 꼬임선(3)의 도체(5)를 파이버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하고자 해도, 잘 용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파이버 레이저 용접을 행하는 데에는, 꼬임선(3)의 도체(5)가 지나치게 두꺼운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꼬임선(3)의 도체(5)보다 얇게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두께 방향의 치수(T1)(도 3 참조)를, 꼬임선 접속부(21)에 접속되는 꼬임선(3)의 도체(5)의 지름 방향의 치수(D1)(도 3 참조)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랫 도체(7)에 대하여 꼬임선(3)의 도체(5)를 직접적으로 용접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도,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를 이용함으로써, 플랫 도체(7)에 대한 용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접속 방법은 일례로서, 다른 방법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편측뿐만 아니라 양측의 절연체(8)를 제거한 후에, 파이버 레이저 용접기의 레이저 광 조사부(80)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측에 배치하여 용접해도 좋다.
다음으로, 꼬임선 접속부(21)에 대하여 꼬임선(3)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꼬임선(3)의 선단의 소정 길이의 부분의 절연 피복(6)을 제거하여, 도체(5)가 노출된 상태로 한다(도 2 및 3의 상태). 이 상태의 꼬임선(3)의 선단을, 꼬임선 접속부(21)의 개방부(25)로부터, 당해 꼬임선 접속부(21)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도체(5)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뿐만 아니라, 도체(5)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부분(절연 피복(6)이 제거되어 있지 않은 부분)도, 꼬임선 접속부(21)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 압착형(71)과 제2 압착형(72)으로 구성되는 압착 공구를 조작하여, 꼬임선 접속부(21)를 끼워넣도록 하여 압착한다(도 6의 (a)를 참조). 전술과 같이, 꼬임선(3)의 선단의 도체(5)는 노출시켜지고 있기 때문에, 당해 도체(5)에 대하여 꼬임선 접속부(21)가 압착시켜진다(도 6의 (b)). 이에 따라, 꼬임선(3)의 도체(5)와, 꼬임선 접속부(21)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된다.
또한, 꼬임선 접속부(21)는, 꼬임선(3)의 절연 피복(6)에도 압착시켜진다. 이에 따라, 꼬임선 접속부(21)가, 꼬임선(3)의 절연 피복(6)에 밀착되기 때문에, 꼬임선 접속부(21)의 개방부(25)가 밀폐된다. 이에 따라, 개방부(25)로부터 꼬임선 접속부(21)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꼬임선(3)의 도체(5)를 알루미늄으로 구성하고, 접속 단자(12)를 황동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단자(12)와, 꼬임선(3)의 도체(5)로 이종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 전해 부식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라도, 꼬임선 접속부(21)에는 높은 방수 성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과 같이, 일단측을 폐쇄한 통 형상으로 형성한 꼬임선 접속부(21) 내에 꼬임선(3)의 단부를 삽입하고, 또한 당해 꼬임선 접속부(21)를 꼬임선(3)의 절연 피복(6)에 대하여 압착함으로써, 꼬임선 접속부(21)를 밀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꼬임선 접속부(21)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꼬임선 접속부(21)를 방수하기 위한 지수제 등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꼬임선 접속부(21)의 방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꼬임선 접속부(21)에 대하여 꼬임선(3)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접속 단자(12)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꼬임선(3)을 접속하는 순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는, 1장의 판재를 펀칭하여 도 7과 같은 중간체(30)를 형성한 후, 당해 중간체(30)를 적절히 절곡 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중간체(30)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상당하는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얇고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중간체(30)에 있어서, 꼬임선 접속부(21)에 상당하는 부분은, 그 일부가 폭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31)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이란, 판 형상의 중간체(30)가 구성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돌출부(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중간체(30)로부터 꼬임선 접속부(21)를 성형할 때에는, 제1 돌출부(31)를 절곡하여, 당해 제1 돌출부(31)의 돌출 방향으로의 양쪽 단면끼리를 맞댐으로써, 꼬임선 접속부(21)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다(도 8의 상태).
이 상태에서, 제1 돌출부(31)의 단면끼리의 사이에 간극(gap)이 존재하고 있다. 이 간극의 부분은, 꼬임선 접속부(21)의 주면(周面)의 「이음매」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돌출부(31)의 단면끼리를 용접함으로써(「이음매」의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용접부(33)를 형성한다(도 2). 이에 따라, 상기 이음매의 간극을 가로막을 수 있기 때문에, 꼬임선 접속부(21)의 주면을 연속적으로(간극이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용접부(33)의 용접을 행하는 방법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파이버 레이저로 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돌출부(31)의 양쪽 단면끼리를 맞댄 상태(도 8)에 있어서, 꼬임선 접속부(21)의 「이음매」가 대략 직선 형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접부(33)를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을 행하기 쉽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하여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한 꼬임선 접속부(21)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측의 단부)를 압축하여 찌그러트린다. 그리고, 당해 찌그러트린 개소에 용접을 행함으로써, 폐쇄부(24)를 형성한다(도 2). 또한, 폐쇄부(24)의 용접을 행하는 방법은 임의이지만, 용접부(33)와 동일하게 파이버 레이저로 용접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일측의 단부가 폐쇄된 대략 원통 형상의 꼬임선 접속부(21)가 완성된다. 꼬임선 접속부(21)의 주면의 「이음매」와, 당해 꼬임선 접속부(21)의 일측의 단부를 각각 용접에 의해 가로막음으로써, 밀폐성이 우수한 꼬임선 접속부(21)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는, 대략 평판 형상이다. 꼬임선 접속부(21)는, 꼬임선(3)의 선단의 도체(5) 및 절연 피복(6)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측이 폐쇄된 형상이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를 용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어스에 의해 구멍을 뚫는 종래의 접속 단자에 비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꼬임선 접속부(21)를, 일단측을 폐쇄한 통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방수성이 높은 접속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두께 방향의 치수(T1)는, 꼬임선 접속부(21)에 삽입되는 꼬임선(3)의 도체(5)의 지름 방향의 치수(D1)보다 작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비교적 얇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에 대하여 적절히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선 어셈블리(1)는, 상기 접속 단자(12)와, 접속 단자(12)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접속 단자(12)의 꼬임선 접속부(21)에 접속된 꼬임선(3)을 구비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에 용접되어 있다. 꼬임선(3)의 선단은, 절연 피복(6)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5)를 노출시킨 상태로 꼬임선 접속부(21)에 삽입되고, 당해 꼬임선 접속부(21)가 도체(5) 및 절연 피복(6)에 압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용접에 의해 접속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피어스로 구멍을 뚫고 있던 종래의 접속 단자에 비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꼬임선 접속부(21)를 꼬임선(3)에 압착함으로써, 당해 꼬임선 접속부(21)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꼬임선 접속부(21)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선 어셈블리(1)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플랫 도체(7)는 구리로 이루어지고, 꼬임선(3)의 도체(5)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접속 단자(12)는 구리계 합금(황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접속 단자(12)는 꼬임선 접속부(21)의 방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꼬임선의 도체(5)가 알루미늄인 경우에도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12)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를 동종의 금속으로 함으로써, 양자를 양호하게 용접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접속 단자(12x)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 사이의 중간부(22)를, 통 형상(각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중간부(22)를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속 단자(1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접속 단자(12y)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이 폐쇄된 통 형상의 꼬임선 접속부(21) 대신에, 이른바 오픈 배럴식의 꼬임선 접속부(41)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꼬임선 접속부(41)는, 도체 압착부(42)와, 피복 압착부(43)를 갖고 있다. 도체 압착부(42)를 코킹함으로써, 당해 도체 압착부(42)를, 꼬임선(3)의 도체(5)에 압착시킨다. 또한, 피복 압착부(43)를 코킹함으로써, 당해 피복 압착부(43)를, 꼬임선(3)의 절연 피복(6)에 압착시킨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일단이 폐쇄된 통 형상의 꼬임선 접속부(21)는, 굽힌 제1 돌출부(31)의 단부끼리를 맞대어 통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돌출부(31)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도 좋다. 이 경우, 당해 서로 겹친 부분을 용접하여 용접부(33)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를, 1장의 판재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나중에 용접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와 꼬임선 접속부(21)를 일체화해도 좋다.
도 2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절연체(8)의 선단 부분을 전체적으로 제거하여 플랫 도체(7)를 노출시키고 있지만, 절연체(8)를 제거하는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 도체(7)를 노출시킬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도체(7)마다, 절연체(8)를 コ자 형상(또는 U자 형상)으로 제거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8)에 창(窓)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랫 도체(7)를 노출시켜도 좋다. 다만, 도 11의 (b)의 경우, 플랫 도체(7)의 선단이 완전하게는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서로 겹쳤을 때에, 절연체(8)가 방해가 되어,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사이에 절연체(8)의 두께분의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용접을 행하기 위해서는,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밀착시키도록 두께 방향의 힘을 가하거나, 용접기의 출력을 높이는 등, 얼마간의 고안이 필요하다.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의 용접은, 저항 용접으로 행할 수도 있다. 저항 용접을 행하는 경우는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를, 두께 방향으로 프로브에 의해 끼워 넣은 후, 당해 두께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용접을 행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저항 용접을 행하는 경우는, 원리상, 플랫 도체(7)의 두께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저항 용접을 행하는 경우는, 플랫 도체(7)를 노출시킬 때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양면의 절연체(8)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선 어셈블리(1)는 복수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복수개의 꼬임선(환선)(3)과, 커넥터부(4)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부(4)는 외측 케이스(51)와, 내측 케이스(52)와, 접속 단자(12z)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12z)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와, 꼬임선(3)의 도체(5)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접속 단자(12z)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각 플랫 도체(7)에 1개씩 접속되어 있고, 각 접속 단자(12z)에 꼬임선(3)이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1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는 4개의 접속 단자(12z)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대하여, 4개의 꼬임선(3)이 접속된다(도 12를 참조).
내측 케이스(52)는, 1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접속된 복수(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4개)의 접속 단자(12z)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52)는, 각 접속 단자(12z)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53)을 복수(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4개) 갖고 있다. 또한, 내측 케이스(52)에는, 각 접속 단자(12z)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돌기(54)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케이스(52)는, 상기 수용 공간(53)에 접속 단자(12z)를 수용한 상태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2의 상태). 외측 케이스(51)(상세한 도시는 생략)는, 적층한 상태의 복수의 내측 케이스(52)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커넥터부(4)에 의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꼬임선(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는,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표면이 주석(Sn)으로 도금된 황동 등의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단자(12z)는, 도체라면 구리 이외의 소재(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환선 접속부)(21)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가 나열되는 방향을, 접속 단자(12z)의 「길이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단부가 접속된다. 꼬임선 접속부(21)에는, 꼬임선(3)의 단부가 접속된다.
도 14 및 도 15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 및 꼬임선(3)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의 접속 단자(12z)가 나타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12z)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피어스(23)를 갖고 있다. 또한, 피어스(23)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돌출 방향」이라고 칭한다.
꼬임선 접속부(21)의 구성은,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 사이의 중간부(22)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부(22)를 각통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접속 단자(12z)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중간부(22)의 축선 방향은, 접속 단자(12z)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중간부(22)는, 상기 내측 케이스(52)의 수용 공간(53)에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22)에는, 내측 케이스(52)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돌기(54)에 걸어 맞추는 위치 결정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도 13 및 도 15). 이 구성으로, 중간부(22)를 수용 공간(53)에 끼워 맞춤시켜, 위치 결정 구멍(26)에 위치 결정 돌기(54)를 삽입함으로써, 접속 단자(12z)를 내측 케이스(52)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이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의 피어스(23)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으로부터 관통시킨다. 이때, 피어스(23)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 및 절연체(8)를 관통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의 플랫 도체(7)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연체(8)마다 플랫 도체(7)를 피어스(23)로 관통시켜 도통을 도모하기 때문에, 절연체(8)를 제거하여 플랫 도체(7)를 노출시켜 둘 필요는 없다.
이어서, 작업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관통시킨 피어스(23)의 선단을 절곡한다(도 13의 상태). 이에 따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이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로부터 피어스(23)가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꼬임선 접속부(21)에 대하여 꼬임선(3)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도 15 및 도 16),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꼬임선 접속부(21)에 대하여 꼬임선(3)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접속 단자(12z)에 대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꼬임선(3)을 접속하는 순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는, 1장의 판재를 펀칭하여 도 17과 같은 중간체(30)를 형성한 후, 당해 중간체(30)를 적절히 절곡 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중간체(30)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 상당하는 부분은, 복수의 피어스(23)를 갖고 있다. 중간체(30)에 있어서, 피어스(23)는, 그 선단이, 폭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폭 방향」이란, 판 형상의 중간체(30)가 구성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접속 단자(12z)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17의 중간체(30)로부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를 성형할 때에는, 피어스(23)의 선단이, 전술의 「돌출 방향」을 향하도록, 당해 피어스(23)의 근원 부분을 절곡한다. 이에 따라,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피어스(23)를 갖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가 성형된다(도 18).
도 17의 중간체(30)에 있어서, 꼬임선 접속부(21)에 상당하는 부분은, 그 일부가 폭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31)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돌출부(31)로부터 꼬임선 접속부(21)를 성형하는 방법은, 제1 실시 형태(도 2, 도 7, 도 8 등)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지만,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맨 처음에, 도 17에 나타내는 제1 돌출부(31)를 원통 형상으로 굽혀, 당해 제1 돌출부(31)의 돌출 방향으로의 양쪽 단면끼리를 맞댐과 함께, 맞댄 단면끼리의 사이(이음매)를 용접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나타내는 직선 형상의 제1 용접부(3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꼬임선 접속부(21)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측의 단부)를 압축하여 찌그러트리고, 당해 찌그러트린 개소에 용접을 행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폐쇄부(24)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일측의 단부가 폐쇄된 대략 원통 형상의 꼬임선 접속부(21)가 완성된다.
도 17의 중간체(30)에 있어서, 중간부(22)에 상당하는 부분은, 그 일부가 폭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32)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돌출부(3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중간체(30)로부터 중간부(22)를 성형할 때에는, 제2 돌출부(32)를 절곡하여, 당해 제2 돌출부(32)의 돌출 방향으로의 양쪽 단면끼리를 맞댐으로써, 중간부(22)를 대략 각통 형상으로 구성한다(도 18의 상태).
이 상태에서, 제2 돌출부(32)의 단면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 간극의 부분은, 중간부(22)의 주면의 「이음매」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돌출부(32)의 단면끼리를 용접함으로써(「이음매」의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제2 용접부(34)를 형성하고 있다(도 14).
제2 용접부(34)의 용접을 행하는 방법은 임의이지만, 제1 용접부(33)와 동일하게 파이버 레이저로 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돌출부(32)의 양쪽 단면끼리를 맞댄 상태(도 18)에 있어서, 중간부(22)의 「이음매」가 대략 직선 형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용접부(34)를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을 행하기 쉽다.
상기와 같이 제2 용접부(34)를 형성하면, 각통 형상의 중간부(22)의 이음매의 간극을 가로막을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각 통 형상의 구조를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해 중간부(2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12z)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17의 중간체(30)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도 14)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중간체(30)로부터 접속 단자(12z)를 성형할 때에, 피어스(23), 제1 돌출부(31) 및, 제2 돌출부(32)를 절곡하는 순번은 임의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스의 굽힘형 등에 의해, 이들을 동시에 절곡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제1 용접부(33), 폐쇄부(24) 및, 제2 용접부(34)의 용접을 행하는 순번은 임의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용접을 행하는 순번을 고안하면, 당해 용접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용접부(33)를 형성할 때에, 제2 용접부(34)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체(30)의 제1 돌출부(31) 및 제2 돌출부(32)를 절곡한 상태(도 18의 상태)에 있어서, 꼬임선 접속부(21)의 주면의 「이음매」와, 중간부(22)의 주면의 「이음매」가, 일직선상에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접을 행해야 할 2개소의 「이음매」가 동일 직선상에 존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이버 레이저 용접의 경우에도, 초점의 재조정을 행하지 않고 2개소의 「이음매」를 용접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체(30)의 제1 돌출부(31) 및 제2 돌출부(32)를 절곡한 상태(도 18의 상태)로 제1 용접부(33)를 형성할 때에, 당해 제1 용접부(33)의 길이 방향의 끝까지 일직선으로 용접을 행하고, 이때에 제2 용접부(34)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하면, 1회의 용접으로 제1 용접부(33)와 제2 용접부(34)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제1 용접부(33) 및 제2 용접부(34)를 형성한 후에, 꼬임선 접속부(21)의 일측의 단부를 찌그러트려, 당해 찌그러트린 부분을 용접하고, 폐쇄부(24)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도 14)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기 때문에,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구체적으로는, 피어스(23)의 돌출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1 용접부(33)와 제2 용접부(34)가 동일 직선상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피어스(23)를 구비하고 있다. 꼬임선 접속부(21)는, 꼬임선(3)의 선단의 도체(5) 및 절연 피복(6)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측이 폐쇄된 형상이다.
꼬임선 접속부(21)를, 일단이 폐쇄된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꼬임선 접속부(21)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꼬임선 접속부(21)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꼬임선(3)의 도체(5)가 알루미늄인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도,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 사이의 중간부(22)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부(22)를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속 단자(12z) 전체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꼬임선 접속부(21)는, 제1 돌출부(31)가 굽혀져, 그 양단끼리가 맞대어지고, 또한 상기 양단끼리가 직선 형상으로 용접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22)도 동일하게, 제2 돌출부(32)가 굽혀져, 그 양단끼리가 맞대어지고, 또한 상기 양단끼리가 용접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꼬임선 접속부(21)의 직선 형상의 용접 부분과, 중간부(22)의 직선 형상의 용접 부분이, 대략 동일 직선상에 있다.
상기와 같이, 꼬임선 접속부(21)를 형성할 때에, 굽힌 제1 돌출부(31)의 양단끼리를 용접함으로써, 이음매가 없는 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꼬임선 접속부(21)의 방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중간부(22)를 형성할 때에도 용접하여 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중간부(2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꼬임선 접속부(21)와 중간부(22)의 용접 부분을 대략 동일 직선상에 배치함으로써, 한번의 용접 작업으로 꼬임선 접속부(21)와 중간부(22)의 양쪽을 용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선 어셈블리(1)는, 상기의 접속 단자(12z)와, 접속 단자(12z)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접속 단자(12z)의 꼬임선 접속부(21)에 접속된 꼬임선(3)을 구비하고 있다. 꼬임선(3)의 선단은, 절연 피복(6)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5)를 노출시킨 상태로 꼬임선 접속부(21)에 삽입되고, 꼬임선 접속부(21)가 상기 도체(5) 및 절연 피복(6)에 압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꼬임선 접속부(21)를 꼬임선(3)에 압착함으로써, 꼬임선 접속부(21)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꼬임선 접속부(21)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선 어셈블리(1)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플랫 도체(7)는 구리, 꼬임선(3)의 도체(5)는 알루미늄, 접속 단자(12z)는 구리계 합금(황동)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접속 단자(12z)는 꼬임선 접속부(21)의 방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꼬임선(3)의 도체(5)가 알루미늄인 경우에도 전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도체(7)와 접속 단자(12z)는 동종의 금속이고, 양자의 사이에 전해 부식이 생길 걱정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에 방수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부(22)의 「이음매」를 용접하여 제2 용접부(34)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부(22)는 특별히 방수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중간부(22)의 이음매에 간극이 존재하고 있어도, 방수성의 점에서는 문제없다. 따라서, 제2 용접부(34)를 형성하지 않아도(중간부(22)의 이음매가 용접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중간부(22)를 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은 생략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꼬임선 접속부(21)는, 굽힌 제1 돌출부(31)의 단부끼리를 맞대어 통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돌출부(31)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도 좋다. 이 경우, 당해 서로 겹친 부분을 용접하여 제1 용접부(3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부(22)는, 굽힌 제2 돌출부(32)의 단부끼리를 맞대어 통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돌출부(32)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도 좋다. 이 경우, 당해 서로 겹친 부분을 용접하여 제2 용접부(34)를 형성한다.
외측 케이스(51) 및 내측 케이스(52)의 형상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외측 케이스(51) 및 내측 케이스(52)는,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를, 1장의 판재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나중에 용접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20x)와 꼬임선 접속부(21)를 일체화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2개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로 나타낸 접속 단자(12, 12x, 12y, 12z)의 형상 등은 일례로서, 당해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1 : 전선 어셈블리
2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3 : 꼬임선(환선)
12, 12x, 12y, 12z : 접속 단자
20, 20x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
21 : 꼬임선 접속부(환선 접속부)
22 : 중간부
23 : 피어스
41 : 꼬임선 접속부(환선 접속부)

Claims (10)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로서,
    대략 평판 형상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환선의 선단의 도체 및 절연 피복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측이 폐쇄된 형상의 환선 접속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로서,
    대략 평판 형상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오픈 배럴식의 환선 접속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상기 환선 접속부에 삽입되는 상기 환선의 도체의 지름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4.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환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로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피어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환선의 선단의 도체 및 절연 피복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당해 통의 축 방향 일단측이 폐쇄된 형상의 환선 접속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환선 접속부 사이의 중간부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환선 접속부 사이의 중간부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선 접속부는, 판재가 굽혀져, 그 양단끼리가 맞대어지거나, 또는 당해 양단이 서로 겹쳐지고, 또한 상기 양단끼리가 직선 형상으로 용접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는, 판재가 굽혀져, 그 양단끼리가 맞대어지거나, 또는 당해 양단이 서로 겹쳐지고, 또한 상기 양단끼리가 직선 형상으로 용접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환선 접속부의 직선 형상의 용접 부분과, 상기 중간부의 상기 직선 형상의 용접 부분이, 동일 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7. 제1항에 기재된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환선 접속부에 접속된 환선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용접되어 있고,
    상기 환선의 선단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환선 접속부에 삽입되고, 당해 환선 접속부가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에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어셈블리.
  8. 제2항에 기재된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환선 접속부에 접속된 환선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용접되어 있고,
    상기 환선의 선단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이 상기 환선 접속부에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어셈블리.
  9. 제4항에 기재된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환선 접속부에 접속된 환선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부의 상기 피어스에 의해 관통되어 있고,
    상기 환선의 선단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도체 및 절연 피복이 상기 환선 접속부에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어셈블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는,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선의 도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단자는,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어셈블리.
KR1020167012344A 2013-11-06 2014-11-06 접속 단자 및 전선 어셈블리 KR10217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0436 2013-11-06
JP2013230436 2013-11-06
JP2013232125 2013-11-08
JPJP-P-2013-232125 2013-11-08
PCT/JP2014/005582 WO2015068392A1 (ja) 2013-11-06 2014-11-06 接続端子及び電線アッセンブ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369A true KR20160078369A (ko) 2016-07-04
KR102172080B1 KR102172080B1 (ko) 2020-10-30

Family

ID=5304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344A KR102172080B1 (ko) 2013-11-06 2014-11-06 접속 단자 및 전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22442B2 (ko)
KR (1) KR102172080B1 (ko)
CN (1) CN105684222B (ko)
WO (1) WO20150683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50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워머스 발열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657B2 (ja) * 2016-03-31 2020-04-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端子、連結電線、電線接続構造体、及び連結電線の製造方法
CN106993373B (zh) * 2017-05-12 2019-07-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路板组件
EP4318824A1 (en) * 2021-03-23 2024-02-07 Furukawa Electric Co., Ltd. Joint connector, connector-equipped electric wire, and connector c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247A (ja) * 1992-01-16 1993-07-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絶縁電線の接続方法
JPH10270142A (ja) * 1997-03-26 1998-10-09 Amp Japan Ltd 電気端子、それを含む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立 方法
JP2001230009A (ja) * 2000-02-10 2001-08-24 Hitachi Cable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圧着端子とその接続方法
JP2004071437A (ja) * 2002-08-08 2004-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9342A (en) * 1973-01-26 1974-01-29 Bell Northern Research Ltd Electrical connector
JPS5613685A (en) * 1979-07-11 1981-02-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ethod of mounting terminal of aluminum wire
JPS649361U (ko) * 1987-08-12 1989-01-19
JPH04545Y2 (ko) * 1988-03-16 1992-01-09
JPH0236710A (ja) * 1988-04-12 1990-02-06 Sumitomo Electric Ind Ltd 平型電線とリード線の接続方法
DE3840014C2 (de) * 1988-11-26 1997-02-06 Kabelmetal Electr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mit einem Flachleiter
US7947904B2 (en) * 2005-04-01 2011-05-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Conductor and wire harness
JP4981605B2 (ja) * 2007-10-02 2012-07-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FR2935551B1 (fr) * 2008-09-02 2012-03-23 Nicomatic Sa Element de connexion electriq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247A (ja) * 1992-01-16 1993-07-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絶縁電線の接続方法
JPH10270142A (ja) * 1997-03-26 1998-10-09 Amp Japan Ltd 電気端子、それを含む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立 方法
JP2001230009A (ja) * 2000-02-10 2001-08-24 Hitachi Cable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圧着端子とその接続方法
JP2004071437A (ja) * 2002-08-08 2004-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후루카와 덴코 시보(時報)」, 제132호, p. 58-59(관련 제품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상시 급전 장치」의 항), [online], 2013년 9월,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홈페이지, [2013년 10월 15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furukawa.co.jp/jiho/index.ht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50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워머스 발열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080B1 (ko) 2020-10-30
WO2015068392A1 (ja) 2015-05-14
JP6422442B2 (ja) 2018-11-14
CN105684222B (zh) 2019-07-09
CN105684222A (zh) 2016-06-15
JPWO2015068392A1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368B1 (ko) 압착 단자, 압착 접속 구조체 및 압착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JP6133228B2 (ja) 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5151904A1 (ja)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5995799B2 (ja) 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方法
US20130087377A1 (en) Shield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CN111210927B (zh) 导电部件
JP2006331682A (ja) シールド処理方法、シールドタイプフラット回路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5115308A (ja) 電線接続用の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6316258B2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KR102172080B1 (ko) 접속 단자 및 전선 어셈블리
JP6422213B2 (ja) 接続端子、及び当該接続端子を備えた接続構造
US990600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plicing shielded wire cables
JP5979427B2 (ja) 導電体
JP2014164897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WO2017073026A1 (ja) 圧着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JP6316261B2 (ja) 圧着端子、電線接続構造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498862B2 (ja) 電線接続構造、及び当該電線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6391541B2 (ja) 端子、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被覆導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
JP6200366B2 (ja) 接続構造体、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6082621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522872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4164896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133078B2 (ja) 圧着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83142A (ja) 電線集合体
JP2015115108A (ja) 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