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719A -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719A
KR20160074719A KR1020140182360A KR20140182360A KR20160074719A KR 20160074719 A KR20160074719 A KR 20160074719A KR 1020140182360 A KR1020140182360 A KR 1020140182360A KR 20140182360 A KR20140182360 A KR 20140182360A KR 20160074719 A KR20160074719 A KR 20160074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extract
atractylodes japonica
althaea rose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홍근
강양규
이학용
김영필
박영미
박연주
박상훈
이봉근
정세희
김옥진
고장호
손민우
Original Assignee
(주)휴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벳 filed Critical (주)휴벳
Priority to KR102014018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719A/ko
Publication of KR2016007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규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촉규근 추출물 단독 또는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통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은 염증성 통증과 신경병증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촉규근과 창출은 이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오면서 안정성이 검증된 것이므로 기존 진통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기존 진통제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Description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lthaea rosea or Atractylodes japonica for the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pain}
본 발명은 촉규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촉규근 추출물 단독 또는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통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제통증학회(IASP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의 정의에 의하면 통증이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으로 정의된다. 통증은 크게 침해성 통증(nociceptive pain), 염증성 통증(inflammatory pain) 및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등 3가지로 분류된다. 이러한 통증은 감각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개개인에 따라 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조직의 실제적 손상이나 잠재적 손상에 의한 일차 통각 수용체(nociceptive receptor)의 활성에 의해 유발된다. 통각 수용체는 다른 감각 수용체와는 달리 따로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고 말초신경 중 감각신경의 자유 신경 종말(free nerve ending) 형태로 표피세포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통증을 전달하는 말초신경세포의 세포체는 척수 옆의 배쪽 뿌리 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다란 하나의 구심성 돌기와 척수 쪽으로 뻗는 짧은 돌기를 가지고 있는 좀 특이한 세포이다. 통증 발생과 전달의 주역은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시냅스와 신경전달물질로 이루어진다. 통각수용체의 흥분은 변환(transduction), 전달(transmission), 변연계에서의 조정(modulaton)을 거쳐 대뇌 피질에서 인지(perception)하게 된다. 즉 조직의 손상은 통각 수용체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이 염증반응은 통각 수용체의 흥분으로 이어진다. 통각 수용체의 흥분은 유발전위(action potential)를 생성하면 이 유발전위가 축삭을 통해 전달되어 배쪽뿌리신경절에 있는 신경세포체가 흥분하게 된다. 배쪽뿌리신경절 속의 신경세포는 척수 쪽으로 뻗어 있는 축삭을 통해 유발전위를 전파하는데, 결국에는 척수 배쪽 뿔(dorsal horn) 안에 위치하여 있는 척수쪽 신경종말로 이 유발전위가 전파된다. 신경종말에서는 시냅스 안으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여 이차 신경세포를 흥분시켜 통증신호를 뇌 쪽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의 신경전달물질은 글루타메이트(glutamate)가 주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척수에서 일차 감각신경세포는 이차 감각신경세포 뿐만 아니라 많은 사이신경세포(interneuron)와 시냅스를 이룬다.
통증을 느끼게 하는 통각의 전달경로에 대해서는 신경해부학적으로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기전이나 증상의 경감 및 진통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점이 많다. 특히 만성 통증은 인간의 삶 가운데 가장 고통을 주는 문제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은 인간 역사 이래로 지속되어 왔으며 이의 기전과 치료에 많은 학자들의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그러나 통증을 일으키는 병인이 매우 다양하고, 이에 따른 통각 유발 기전의 차이가 있으며, 통증 연구에 필요한 적절한 동물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적절한 해답은 없다고 할 수밖에 없다.
염증은 혈관확장, 혈액 삼출, 염증세포의 이동, 통각 수용체의 감작 등에 의하여 박절, 부종, 열감, 통증 등을 수반하는 일련의 증후군이다. 사람에 있어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세균감염 및 그 밖의 염증 질환이 만성적인 통증의 발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성 통증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만성 통증으로 진전되는 경우 환자는 통증 자체에 의한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 및 사회적 고통도 함께 동반되기 때문에 즉각적이고 적극적으로 치료되어야 한다. 하지만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치료약제의 결핍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염증과 관련된 통증에 대한 연구는 통증 연구의 가장 오래된 모델 중의 하나이다. 염증이 유발되었을 경우, 조직 내에서는 prostaglandin, histamine, bradykinin, serotonin, interleukin-1, interleukin-6, substance P 등 많은 종류의 화학 매개물질(chemical mediators)이 염증세포와 손상조직, 신경 종말 등에서 유리되어 조직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를 유발하며, 유해자극수용기(nociceptor)를 활성화시켜 통각을 유발한다. 또한 이러한 급성 통증이 신경계 내부의 변형을 초래하여 지속적인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도 생각되고 있다.
최근 통증 정도와 진통효과를 검정하는 방법 중에 조기발현유전자(immediate early gene) c-fos의 생산물질인 c-fos 단백질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는 형태학적 검정방법이 개발되었고,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통증전달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substance P(SP)와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의 척수 뒤뿔 내 농도, 또는 후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DRG) 신경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 역시 통증의 정도와 진통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염증성 통증의 발병 원인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염증 유발 물질을 피하에 주입하여 통증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특히 Freund's complete adjuvant(FCA)는 다른 염증 유발 물질에 비하여 주입 부위에 주로 한정적으로 발적, 부종, 통각과민 등의 염증을 유발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한 FCA를 쥐 발바닥에 주입할 시, 염증 반응을 수반하고 통각 행동이 유도되며 이 염증성 통각행동은 장기적으로 지속됨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모델 쥐에서 관찰된 통각행동의 유도 및 진전 증상은 염증 질환성 만성 통증환자의 경우와 흡사한데, 이는 FCA에 의한 염증모델이 다른 염증모델에 비하여 염증성 통증의 유발기전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특히 좋은 모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염증성 통증 유발에 관하여 말초 및 중추 기전에 대한 구체적이며 설득력 있는 연구 결과가 결여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FCA-모델 쥐를 이용한 통증유발 연구는 차후 임상적으로 염증질환성 만성 통증 환자의 치료를 위한 이론적인 배경 뿐 아니라 가능한 치료약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내포한다.
진통 표적 약물로 알려진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소염 진통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며, 염증 발생시 위해수용체의 주요자극인자인 prostaglandin를 합성하는 cycloxygenase(COX)를 억제하여 효능을 유발하는 약물이다. 초기의 NSAIDs 약물은 잠재적으로 위장관장애 및 출혈 등의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었는데 이는 생리학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COX-1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근래에는 COX-2 선택적 길항제인 Vioxx(Merck사), Celebrex(Pfizer사), Bextra(Pfizer사) 등이 잇달아 출시되었으며 현재도 많은 제약사에서 COX-2 길항제를 개발하고 있어 더 많은 수의 NSAIDs 약제가 의료시장에 발매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Vioxx의 경우 출시 후 몇 년 만에 신장 독성, 혈전증가에 의한 심장장애 등의 치명적인 독성으로 시장에서 퇴출되었다. Vioxx 퇴출사건은 선택적인 COX-2 길항제가 안전한 진통제의 표적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식품의약안전청(FDA)에서도 이들 약물에 대한 독성평가를 강화하고 있어 향후 COX-2 약물의 허가가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염증전달인자 생성효소인 5-lipoxygenase 및 COX-2 모두를 억제하는 약물인 licofelone(EuroAlliance사) 및 안전성을 강화한 Prexige(Novatis사) 등이 이들 약물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또 다른 독성의 여지는 남아있는 상황이다. 또한 Morphine과 meperidine과 같은 opioid성 약물들은 약물중독 및 금단현상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통제 하에 진통제로서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NSAIDs에 비하여 수술 후 통증 등에 속효성으로 작용한다는 점과 더불어 종양 말기 시에 찾아오는 극심한 통증에도 탁월한 진통효능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opioid성 약물의 탁월한 진통효능은 말초신경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유리 및 중추신경에서의 통증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났다. 현재 opioid계 진통제 연구의 한 축으로서 기존의 morphine 보다 개선된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을 적용하여 opioid의 뛰어난 진통효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사용이 간편한 제형을 개발하는데 맞추어져 있다. 또한 DDS 기술접목을 통한 연구 성과로 비강 흡입형 morphine 제제인 Aero-LEF(Delex Therapeutics사)도 허가를 앞두고 있으며 opioid계 약물인 sufentanil을 osmotic pump로 주입하는 제품인 Duros(DURECT사), fentanyl transdermal patch제품인 E-trans(Alza사) 등이 개발 중에 있다. 이렇듯 다양한 DDS 기술을 접목한 약제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opioid성 약제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opioid 남용에 의한 의존성, 내성 유발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새로운 DDS 개발에 따른 제품의 제조단가비용 상승으로 인해 주력 진통제로서의 효능에는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천연물로부터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통제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bbadie C. and Besson JM. 1992. c-fos expression in rat lumbar spinal cord following peripheral stimulation in adjuvant-induced arthritic and normal rats. Brain Res 607: 195-204. Abbadie C. and Besson JM. 1993. Effects of morphine and naloxone on basal and evoked Fos-like immunoreactivity in lumbar spinal cord neurons of arthritic rats. Pain 52: 29-39. Abbadie C. Besson JM. and Calvino B. 1994. c-fos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and pain-related symptoms induced by chronic arthritis in the rat are prevented by pretreatment with Freund adjuvant. J Neurosci 14:5865-5871. Asrea K, Bucar F, Witvrouw M. and Pannecouque C. 2001. Antiviral activ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and type 2 (HIV-2) of ethnobotanically selected Ethiopian medicinal plants. Phytother Res 15: 62-69. Besson JM. and Chaouch A. 1987. Peripheral and spinal mechanisms of nociception. Physiol Rev 67: 67-186. Buritova J, Chapman V, Honore P. and Besson JM. 1996. The contribution of GABAB receptor-mediated events to inflammatory pain processing : carrageenan oedema and associated spinal c-fos expression in the rat. Neuroscience 73: 487-496. Chapman V, Honore P, Buritova J. and Besson JM. 1995. The contribution of NMDA receptor activation to spinal c-fos expression in a model of inflammatory pain. Br J Pharmacol 116: 1628-1634. Cho SJ, Kang KN. and Hwang JH. 2007. Comparison of the antiallodynic effects of intrathecal lidocaine and MK-801 on mechanical allodynia in two neuropathic pain rat models. Korean J Anesthesiol 53: 497-503. Choi KH, Jeong SI, Lee JH, Hwang BS, Kim SJ, Lee S, Choi BK. and Jung KY. 2011. Pharmacological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Atractylodes japonica-induced distal colonic contraction in rats. Phytomedicine 18: 408-413. Chaplan SR, Bach FW, Pogrel JW, Chung JM, Yaksh T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actile allodynia in the rat paw. J Neurosci Methods 1994; 53: 55-63. Dray A, Urban L. and Dickenson A. 1994. Pharmacology of pain. Trends in Pharmacol Sci 15: 190-197. Esser MJ. and Sawynok J. 1999. Acute amitriptyline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differential symptom and route effects. Pain 80: 643-653. Feng Y, Xu L, Yang S. and Zou Z. 2005. Chemical constituents isolated from flowers of Althaea rosea (I). Zhongcaoyo 36: 1610-1612. Hong MH, Kim JH, Bae H, Lee NY, Shin YC, Kim SH, and Ko SG. 2010.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inhibit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 inhibition of the NF-κB/IκB signal pathway in HMC-1 human mast cells. Arch Pharm Res 33: 843-851. Honore P, Buritova J, Chapman V. and Besson JM. 1998. UP 202-56, an adenosine analogue, selectively acts via A1 receptors to significantly decrease noxiously-evoked spinal c-fos protein expression. Pain 75: 281-329. Hylden JL, Noguchi K. and Ruda MA. 1992. Neonatal capsaicin treatment attenuates spinal Fos activation and dynorphin gene expression following peripheral tissue inflammation and hyperalgesia. J Neurosci 12: 1716-172. Jang MH, Shin MC, Kim YJ, Kim CJ, Kim Y. and Kim EH. 2004. Atractylodes japonica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RAW 264.7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7: 324-327. Jeong SI, Kim SY, Kim SJ, Hwang BS, Kwon T.H, Yu KY, Hang SH, Suzuki K. and Kim KJ. 2010. Antibacterial activity of phytochemicals isolated from Atractylodes japonica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olecules 15: 7395-7402. Kajander KC, Wakisaka S. and Bennett GJ. 1992. Spontaneous discharge originates in the dorsal root ganglion at the onset of a painful peripheral neuropathy in the rat. Neurosci Lett 138: 225-228. Kao YC, Zhou C, Sherman M, Laughton CA. and Chen S. 1998. Molecular basis of the inhibition of human aromatase (estrogen synthetase) by flavone and isoflavone phytoestrogens: a site-directed mutagenesis study. Environ Health Persp 106: 85-32. Kim HJ, Na HS, Nam HJ, Park KA, Hong SK. and Kang BS. 1996. Sprouting of sympathetic nerve fibers into the dorsal root ganglion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depends on the injury site. Neurosci Lett 212: 191-194. Kitajima J, Kamoshita A, Ishikawa T, Takano A, Fukuda T, Isoda S. and Ida Y. 2003. Glycosides of Atractylodes japonica. Chem Pharm Bull 51: 152-157. Kress M. and Reeh PW. 1996. Chemical excitation and sensitization in nociceptors. In: Belmonte C, Cervero F, Neurobiology of nociceptors. 1st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258-297. Lekan HA, Carlton SM. and Coggeshall RE. 1996. Sprouting of A beta fibers into lamina II of the rat dorsal horn in peripheral neuropathy. Neurosci Lett 208: 147-150. Lewis T. 1942. Pain. New York, MacMillan. Malmberg AB. and Yaksh TL. 1995. Cyclooxygenase inhibition and the spinal release of prostaglandin E2 and amino acids evoked by paw formalin injection: a microdialysis study in unanesthetized rats. J Neurosci 15: 2768-76. Marlier L, Poulat P, Rajaofetra N. and Privat A. 1991. Modifications of serotonin-, substance 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like immunoreactivities in the dorsal horn of the spinal cord of arthritic rats: a quantitative immunocytochemical study. Exp Brain Res 85: 482-490. Matlawska IKZ, Akad MIKM. and Poznan P. 1992. Flavonoids in the flowers of Althaea rosea Cav. var. nigra (Malvaceae). Herba Polonica 38: 163-172. Park SC, Shin SW, Beak SH, Kim HK, Baik SW. and Kim KH. 2004. The effects of milnacipran on rat pain model. Korean J Anesthesiol 47: 260-265. Pu S, Pu H, Jin D, Qu X, Zhang T, Jiang G, Bai Y. and Jin H. 1996. Effect of n-butanol extract of Japanese atractylodes (Atractylodes japonica) on gastric ulcer in rats. Zhongcaoyao 27: 410-413. Rane K, Segerdahl M, Goiny M. and Sollevi A. 1998. Intrathecal adenosine administration: a phase 1 clinical safety study in healthy volunteers, with additional evaluation of its influence on sensory thresholds and experimental pain. Anesthesiology 89: 1108-1115. Santti R. Makela S. Strauss L, Korkman J. and Kostian ML. 1998. Phytoestrogens: potential endocrine disruptors in males. Toxicol Indust Health 14: 223-237. Sawynok J. 1999. Purines in pain management. Curr Opin CPNS Invest Drugs 1: 27-38. Stein C. 1991. Peripheral analgesic action of opioids. J Pain Symptom Management 6: 119-124. Sugimoto T, Bennett GJ. and Kajander KC. 1990. Transsynaptic degeneration in the superficial dorsal horn after sciatic nerve injury: effects of a chronic constriction injury, transection, and strychnine. Pain 42: 205-13. Vane JR. and Botting RM. 1998. Anti-inflammatory drugs and their mechanism of action. Inflamm Res 2: 78-87. Wang D, Shang J, Yu QH. and Zhongguo ZYZZ. 1989.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lower of Althaea rosea (L.) Cav. Zhongguo Zhongyao Zazhi 14: 46-48. Watkins LR, Maier SF. and Goehler LE. 1995. Immune activation: the rol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inflammation, illness responses and pathological pain states. Pain 63: 289-302. Wells WE. 1993. A review of the chronic pain syndromes: etiology, transmission and treatment. Crna 4: 187-198. Woolf CJ. and Decosterd I. 1999. Implications of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pain pathophysiology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patients. Pain Suppl 6: 141-147. Woolf CJ. and Doubell TP. 1994. The pathophysiology of chronic pain--increased sensitivity to low threshold A beta-fibre inputs. Curr Opin Neurobiol 4: 525-534. Yamamoto K, Yamashita K, Hitomi N, Suzuki A. and Yoneda K. 199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tractylodes rhizome, constituents in the rhizome of Atractylodes japonica and TLC analysis of Jutsu. Shoyakugaku Zasshi 47: 12-16. Zhang RX, Mi ZP. and Qiao JT. 1994. Changes of spinal substance 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somatostatin, Met-enkephalin and neurotensin in rats in response to formalin-induced pain. Regul Pept 51: 25-32. Oh, H. J. (1998) The relation ship between pain level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musculoskeletal patient with chronic pain . J Korean Rehab Nurs ,1(1), 93- 109). 박정민. 1999. 삽주의 정신 전후 몇 가지 처리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서울. pp. 332, 이우철. 1996. 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705.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712. 정보섭, 신민교. 1998. 향약대사전. 영림사, pp. 1024~1026.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효과적인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촉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촉규근 추출물 및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통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은 수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은 각각 촉규근 또는 창출 100중량부에 물 50 내지 200중량부를 첨가하고 90 내지 110℃에서 1 내지 10시간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이 좋다.
촉규근(Althaea rosea)은 우리나라 각처에 넓게 분포하는 아욱과 (Malvaceae)식물인 접시꽃의 뿌리로써 청열, 양혈, 이뇨, 배농에 효능이 있고, 임병, 백대하, 요혈, 토혈, 창종의 치료에 이용되었다.
창출(Atractylodes japonica)은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산지에 분포하는 국화(Compositae)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삽주 속의 뿌리줄기로써 길이 3 ~ 10㎝, 지름 10 ~ 25㎜의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원주형으로 바깥면은 어두운 회갈색 ~ 어두운 황갈색이다. 횡단면은 거의 원형이고 엷은 갈색-적갈색의 분비물에 의한 가는 점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건위작용, 이뇨작용, 발한작용, 진정작용, 혈당저하작용, 강장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촉규근과 창출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신경병증성 통증과 염증성 통증의 복합 모델인 Formalin test와 염증성 통증 모델인 FCA-induced hyperalgesi model 실험,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인 spinal nerve ligation mdoel 실험을 통해 염증성 통증과 신경병증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의 결과,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이 염증성 통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하거나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이 함께 사용될 경우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은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각 추출물은 식품의약안정청(KFDA)의 통상적인 약제학제 제제로의 제형화 기준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제형 기준에 의거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각 추출물은 그 자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방법, 투여형태 및 치료목적에 따라 상기 유효성분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혼합하여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킬 수 있다.
상기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수, 완충제, 덱스트로스, 물, 글리세롤, 링거액, 락토즈, 수크로즈, 칼슘 실리케이트, 메틸 셀룰로오즈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담체를 사용한 경구투여와 비경구투여용으로 분말, 과립, 주사액, 시럽, 용액제, 정제, 좌약, 페사리(pessaries), 연고, 크림 또는 에어로졸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담체가 상기의 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경구 투여는 경구 이외에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 흡입 등을 통한 유효성분의 투여를 의미한다.
상기 제형에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투여 경로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증상에 따라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다양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험적인 유효량으로 체중 1㎏ 당 1 내지 1000㎎을 하루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추출물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상기 식품은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의 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항으로 이의 구체적인 조리 방법이나 생산 방법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상술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은 염증성 통증과 신경병증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촉규근과 창출은 이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오면서 안정성이 검증된 것이므로 기존 진통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촉규근 추출물과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기존 진통제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규근(Althaea rosea) 추출물 및 창출(Atractylodes japonica)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동물 마우스에 시험물질을 투여하는 모습(a)과 licking 반응을 나타내는 모습(b)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동물 마우스의 등쪽부위 뼈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a) paraspinal muscle을 제거한 후의 뼈구조, (b) (a)의 좌측부위 확대.
도 4는 von-frey filament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formalin test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formalin test에서 phase 1과 phase 2의 통증 감소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spinal nerve ligation model test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FCA-induced mechanical hyperalgesia model test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촉규근 및 창출 추출물 제조
1-1. 촉규근 추출물 제조
촉규근 300g에 300㎖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99℃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14.3g의 분말 시료를 회수하였다(도 1의 A 참조).
1-2. 창출 추출물 제조
창출 300g에 300㎖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99℃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95g의 분말 시료를 회수하였다(도 1의 B 참조).
실험예 1. 촉규근 및 창출 추출물의 통증에 대한 효과 확인
1-1. 실험동물 준비
1-1-1. Foramlin test
ICR, 수컷, 5주령(25 ~ 30g)의 특정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SPF) 마우스(수입) 42마리를 ㈜오리엔트(경기,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체중을 이용한 고른 그룹핑과 투여 실수 시 추가 대체를 위하여 42마리를 구입하였다. 본 동물실험에 관련된 모든 실험과정과 절차는 ㈜대웅제약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와 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DWJ208-PLN-066).
1-1-2. Spinal nerve ligation model test
특정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 SPF) Sparague- Dawley rats(수입), 수컷, 4주령(150 ~ 180g), 90마리를 ㈜오리엔트(경기,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실험동물의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 후 통증 유발율이 전체 50% 정도로 예상하여 필요 마리수 보다 추가로 구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실험에 관련된 모든 실험과정과 절차는 ㈜대웅제약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와 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DWJ208-PLN-085).
1-1-3. FCA-induced mechanical hyperalgesia model test
특정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 SPF) Sparague- Dawley rats(국산), 수컷, 6주령 (180 ~ 200g), 90마리를 ㈜오리엔트(경기,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90마리 중 선별과정을 통해 60마리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실험에 관련된 모든 실험과정과 절차는 ㈜대웅제약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와 윤리 규정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DWJ208-PLN-095).
1-1-4. 사육환경
모든 동물은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순화 사육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기간 중 식이는 rat, mouse용 일반 고형사료(㈜오리엔트, 경기, 한국)를 전 시험기간 동안 자유섭취시켰으며, 물은 상수도수를 매일 자유급여시켰고, 1일 1회 교체하였다. 온도는 22±3℃, 상대습도 55±15%, 조명시간 12시간(08:00 점 or 소등 ~ 20:00 소 or 점등), 조도 150 ~ 300lux 및 환기횟수 10 ~ 20회/시간으로 설정된 대웅 생명과학 연구소 동물실 1호실에서 실시하였다.
1-2. 군 설정 및 시료 투여
1-2-1. Foramlin test
Formalin test(ICR mice, n=6/group)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군 분리를 하였다. Vehicel 투여군(10㎖/㎏, 음성대조군, DW), Gabapentin 투여군(30㎎/㎏/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으로 총 5군을 각각 임의배정 하였으며,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1-2-2. Spinal nerve ligation model test
Spinal nerve ligation model test(SD rat, n=8/group)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군 분리를 하였다. Sham 투여군(10㎖/㎏, DW, 정상군),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 Pregabalin 투여군(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으로 총 6군을 각각 임의배정 하였으며,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1-2-3. FCA-induced mechanical hyperalgesia model test
FCA-induced mechanical hyperalgesia model test(SD rat, n=10/group)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군 분리를 하였다. Sham 투여군(10㎖/㎏, DW, 정상군),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 Diclofenac 투여군(10㎎/㎏/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으로 총 6군을 각각 임의배정 하였으며,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1-3. 실험 방법
1-3-1. Formalin test
실험동물인 마우스를 실험 전 30분 동안 투명한 아크릴 통(125×100×150mm)에 넣은 후 실험 환경에 적응 할 수 있도록 순화시켰다. 시험물질을 10㎖/㎏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 1% Formalin 용액(10% Formalin 0.1㎖과 0.9㎖의 saline을 희석)을 26 gauge needle를 이용하여 20㎕를 왼쪽 dorsal hindpaw에 피하 투여하였다(도 2 참조). Formalin 투여 후 소리가 나지 않는 timer를 이용하여 0분에서 5분까지의 early phase와 10분에서 30분까지의 late phase의 통증 반응인 licking 및 biting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통증을 나타내는 행동인 licking 및 biting은 외부 환경조건에 민감하므로 실험장소의 환경조건(온도, 습도, 소음 등)의 변화가 없도록 하였다. 특히 온도의 경우, 22℃ 이하로 내려갈 경우, late phase의 licking 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니 주의하였다. 통증 억제율은 부형제 대조군 licking 및 biting 시간에 대한 시험물질 투여군의 licking 및 biting 시간의 백분율(통증 억제율 : % Inhibition)을 구하였다.
통증억제율 (% Inhibition) = {(Ds - Cs) / Cs} × 100
Cs :부형제대조군의 licking 시간평균
Ds :양성 대조군 및 시험 물질 투여군의 licking 시간평균
1-3-2. Spinal nerve ligation model test
1)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
실험동물인 rat중 80마리에 대하여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을 수행하였으며 10마리에 대하여 sham surgery를 수행하였다.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를 위하여 실험동물을 70% 이산화질소와 30% 산소에 분당 3리터로 흐르는 Isoflurane을 혼합하여 투명한 마취 chamber 넣어 움직임이 없어질 때까지 마취를 유도하였다. 움직임이 없어지면 통증 유발 수술을 위하여 rat를 수술대로 옮기고 엎드린 상태로 고정시키며, 안면부를 흡입 마취기에 연결된 마취 호스에 넣어 자발 호흡을 유지시키면서 마취상태를 유지하였다.
미근부에서 시작하여 등쪽부위를 완전히 제모하고 포비돈으로 수술부위를 살균하고 70% 알코올로 깨끗하게 닦아냈다. scalpel을 이용하여 척추(vertebrae)의 0.5cm 왼쪽 부위를 대퇴골(iliac crest)이 중앙에 오도록 2cm 정도 피부를 절개하여 피부 안쪽에서 lower lumbar의 0.8cm 정도 옆쪽으로 근막을 절개하고 포셉을 이용하여 paraspinal muscle을 돌출시켜 connective tissue와 잔존 근육을 제거하였다. 제거 후 ronger를 이용하여 L6 transverse process를 제거하였다. 현미경으로 L4 nerver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며 L4, L5 spinal nerve가 보이도록 주변을 정리하였다(도 3 참조). 유리봉을 이용하여 7-0 thread를 L5 spinal nerve 아래쪽으로 넣고 tight ligation한 다음에 수술부위에 gentamicin(1/10 dilution in saline)을 가하고 근육과 피부를 봉합하였다. Sham 그룹은 수술과정을 똑같이 수행하되 nerve ligation을 하지 않았다.
2) Mechanical allodynia 유발동물 선별 및 실험
수술 후 7일째 기계적 이질통 발현을 확인하였다.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가 성공적으로 끝난 Rat의 경우 수술한 쪽의 발바닥이 아래로 떨어지고(plantar flexion), 안쪽을 향하며(inversion), 뒷다리를 약간 절름거리며 지면에 완전히 착지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인다. Spinal nerve ligation surgery를 수행한 Rat를 바닥이 철망으로 되어있는 투명한 아크릴 상자에 넣은 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20분간 순화시켰다. 50% paw withdrawal threshold의 측정을 위하여 0.4, 0.6, 1.0, 2.0, 4.0, 6.0, 8.0, 15.0g의 von-frey filament를 사용해 up-down 방법을 사용하였다(도 4 참조). 척수신경을 결찰한 쪽 뒷발 정중앙 부위에 2.0g의 von-frey filament가 약간 휘어질 정도로 압력을 가하여 4 ~ 5초간 유지하였다. Rat가 발을 들거나 피하는 회피 반응을 보일 경우 한 단계 낮은 von-frey filament를 동일한 방법으로 자극하고, 회피 반응을 나타내지 않으면 한 단계 높은 von-frey filament로 자극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0.4, 0.6, 1.0, 2.0, 4.0, 6.0, 8.0, 15.0g의 von-frey filament를 순차적으로 가하며, von-frey filament에 대한 반응이 바뀌는 시점부터 5회 더 자극을 가하였다. 0.4g 압력에서 회피반응을 보이거나 15g의 압력에 회피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최소값인 0.4g과 최대값이 15g 부여하고 추가적인 회피반응 검사는 하지 않았다. 이렇게 측정한 역치가 4.0g이하인 rat들만을 대상으로 시험약물 투여 2시간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역치의 측정은 Chaplan 등의 up-down법을 사용하였다.
1-3-3. FCA-induced mechanical hyperalgesia model test
실험동물인 rat를 시험 2일전 aestheometer test cage에 넣은 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20분간 순화 시키고 plantar asetheometer를 이용하여 0 ~ 50g, 0 ~ 20s로 paw withdrawal threshold(PWT) 측정하여 18g ~ 29g 이내의 개체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선별된 동물들은 시험 1일전 보조자가 rat를 뒷발바닥이 잘 보이도록 보정하고 투여자가 20㎕의 FCA를 0.5㎖, 30 gauge disposable syringe를 이용하여 rat의 우측 뒷발바닥에 투여하였다. FCA 투여 후 rat를 절식 cage로 옮겼다.
시험 당일 시험물질 투여 40분 후 aestheometer test cage에 방치시켜 20분간 순화 시키고 aestheometer를 이용하여 0 ~ 50g, 0 ~ 20s로 각 개체들의 hindpaw withdraw threshold를 네 번씩 측정 하였다. 통증 억제율은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통증억제율(% Inhibition) = {(Ds - Cs) / (Ns - Cs) } × 100
Ns :정상군(FCA 비투여군)의 PWT 평균
Cs :부형제대조군의 PWT 평균
Ds :양성 대조군 및 시험 물질 투여군의 PWT 평균
1-4. 통계학적 분석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 후 Fisher's LSD test를 이용하여 대조물질 투여군 대비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유의성의 인정은 p < 0.05로 하였다.
1-5. 결과
1-5-1. Formalin test
모든 그룹에서 Formalin 주입 후 초기 5분(early phase)사이에서는 통증 반응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10분에서 30분(late phase) 사이에서는 Gabapentin 투여군(30㎎/㎏/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에서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 대비 통증이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다(도 5).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에서 early phase, late phase는 각각 94.4±9.8초, 28.8±16.5초의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Gabapentin 투여군(30㎎/㎏/10㎖, 양성대조군)과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에서 early phase는 각각 72.5±10.4초, 76.8±4.2초, 82.5±2.6초, 71.2±4.1초로 vehicle 그룹의 early phase와 비교 시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Gabapentin 투여군(30㎎/㎏/10㎖, 양성대조군)과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의 late phase에서는 각각 28.5±13.1초, 37.7±19.7초, 42.0±10.2초, 28.8±17.1초로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의 late phase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억제율을 보이고 있다(표 1, 도 5 및 도 6 참조).
Licking time (sec, mean±S.E.M.)
Early phase Late phase Late phase inhibition(%)
Vehicle 94.4±9.8 95.4±16.5
Gabapentin 72.5±10.4 28.5±13.1 70.1*
Althaea rosea 76.8±4.2 37.7±19.7 60.5*
Atractylodes japonica 82.5±2.6 42.0±10.2 56.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 71.2±4.1 28.8±17.1 69.8*
1-5-2. Spinal nerve ligation model test
신경 손상 수술 후 6일차에 통증 유발이 제대로 일어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aw withdrawal threshold(PWT)평가를 실시하였다. PWT값이 Sham 투여군(10㎎/㎏, DW, 정상군)은 15.0g 이상 나머지 그룹은 4.0g 이하인 동물들만 선별하였으며, Sham 투여군(10㎎/㎏, DW, 정상군)의 기계적 이질통 역치는 15.00±0g를 나타내었다. Vehicle 투여군(10㎎/㎏/10㎖, DW, 음성대조군), Pregabalin 투여군(10㎎/㎏/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에서는 각각 1.55±0.23g, 1.50±0.22g, 3.17±0.19g, 2.55±0.29g, 3.10±0.09g의 기계적 이질통 역치를 나타내었다. 신경 손상 수술을 통하여 통증 유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경 손상 수술 후 7일차에 시험약물의 통증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ham 투여군(10㎎/㎏, DW, 정상군)에서 기계적 이질통 역치는 14.38±0.56g을 나타내었으며, Vehicle 투여군(10㎎/㎏/10㎖, DW, 음성대조군), Pregabalin 투여군(10㎎/㎏/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에서 각각 1.69±0.46g, 7.89±1.96g, 3.80±0.83g, 2.83±1.36g, 4.18±0.51g의 통증 역치를 나타내었다(표 2 및 도 7 참조).
PWT S.E.M % Inhibition
Sham 14.38 0.56  
Vehicle 1.69 0.46  
Pregabalin 7.89 1.96 48.8**
Althaea rosea 3.80 0.83 16.6
Atractylodes japonica 2.83 0.37 9.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 4.18 0.51 19.6
1-5-3. FCA-induced mechanical hyperalgesia model test
FCA 투여 23시간 후 약물을 투여 하였고, FCA 투여 24시간 후 aestheometer를 이용하여 0 ~ 50g, 0 ~ 20s로 5분 간격으로 네 번씩 각 개체들의 hindpaw withdraw threshold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Sham 투여군(10㎖/㎏, DW, 정상군),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 Diclofenac 투여군(30㎎/㎏/10㎖, 양성대조군), 촉규근 단독 투여군(1000㎎/㎏/10㎖, Althaea rosea),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에서 각각 21.8±0.8g, 12.0±1.0g, 16.8±1.0g, 15.0±0.7g, 16.9±1.9g, 15.8±38.4g의 기계적 이질통 역치를 나타내었다(표 3 참조). 양성대조군인 Diclofenac 투여군(30㎎/㎏/10㎖, 양성대조군)과 창출 단독 투여군(1000㎎/㎏/10㎖, Atractylodes japonica), 촉규근과 창출 병용 투여군(500㎎/㎏/10㎖ + 500㎎/㎏/10㎖,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에서 Vehicle 투여군(10㎖/㎏, DW, 음성대조군) 대비 통증 역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도 8 참조).
PWT S.E.M % Inhibition
Sham 21.8 0.8  
Vehicle 12.0 1.0  
Diclofenac 16.8 1.0 48.4**
Althaea rosea 15.0 0.7 30.3
Atractylodes japonica 16.9 1.9 49.7**
Althaea rosea + Atractylodes Japonica 15.8 1.3 38.4*

Claims (5)

  1. 촉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촉규근 추출물 및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염증성 통증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촉규근 추출물은 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출 추출물은 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40182360A 2014-12-17 2014-12-17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74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60A KR20160074719A (ko) 2014-12-17 2014-12-17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60A KR20160074719A (ko) 2014-12-17 2014-12-17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719A true KR20160074719A (ko) 2016-06-29

Family

ID=5636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360A KR20160074719A (ko) 2014-12-17 2014-12-17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7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418A (ko) * 2018-08-14 2020-02-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촉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842842B2 (en) 2019-01-11 2020-11-24 Dong-Eui University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neuropathic pain containing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KR20240010255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네이처텍 창출을 이용한 위염, 위궤양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badie C. and Besson JM. 1992. c-fos expression in rat lumbar spinal cord following peripheral stimulation in adjuvant-induced arthritic and normal rats. Brain Res 607: 195-204.
Abbadie C. and Besson JM. 1993. Effects of morphine and naloxone on basal and evoked Fos-like immunoreactivity in lumbar spinal cord neurons of arthritic rats. Pain 52: 29-39.
Abbadie C. Besson JM. and Calvino B. 1994. c-fos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and pain-related symptoms induced by chronic arthritis in the rat are prevented by pretreatment with Freund adjuvant. J Neurosci 14:5865-5871.
Asrea K, Bucar F, Witvrouw M. and Pannecouque C. 2001. Antiviral activ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and type 2 (HIV-2) of ethnobotanically selected Ethiopian medicinal plants. Phytother Res 15: 62-69.
Besson JM. and Chaouch A. 1987. Peripheral and spinal mechanisms of nociception. Physiol Rev 67: 67-186.
Buritova J, Chapman V, Honore P. and Besson JM. 1996. The contribution of GABAB receptor-mediated events to inflammatory pain processing : carrageenan oedema and associated spinal c-fos expression in the rat. Neuroscience 73: 487-496.
Chaplan SR, Bach FW, Pogrel JW, Chung JM, Yaksh T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actile allodynia in the rat paw. J Neurosci Methods 1994; 53: 55-63.
Chapman V, Honore P, Buritova J. and Besson JM. 1995. The contribution of NMDA receptor activation to spinal c-fos expression in a model of inflammatory pain. Br J Pharmacol 116: 1628-1634.
Cho SJ, Kang KN. and Hwang JH. 2007. Comparison of the antiallodynic effects of intrathecal lidocaine and MK-801 on mechanical allodynia in two neuropathic pain rat models. Korean J Anesthesiol 53: 497-503.
Choi KH, Jeong SI, Lee JH, Hwang BS, Kim SJ, Lee S, Choi BK. and Jung KY. 2011. Pharmacological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Atractylodes japonica-induced distal colonic contraction in rats. Phytomedicine 18: 408-413.
Dray A, Urban L. and Dickenson A. 1994. Pharmacology of pain. Trends in Pharmacol Sci 15: 190-197.
Esser MJ. and Sawynok J. 1999. Acute amitriptyline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differential symptom and route effects. Pain 80: 643-653.
Feng Y, Xu L, Yang S. and Zou Z. 2005. Chemical constituents isolated from flowers of Althaea rosea (I). Zhongcaoyo 36: 1610-1612.
Hong MH, Kim JH, Bae H, Lee NY, Shin YC, Kim SH, and Ko SG. 2010.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inhibit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 inhibition of the NF-κB/IκB signal pathway in HMC-1 human mast cells. Arch Pharm Res 33: 843-851.
Honore P, Buritova J, Chapman V. and Besson JM. 1998. UP 202-56, an adenosine analogue, selectively acts via A1 receptors to significantly decrease noxiously-evoked spinal c-fos protein expression. Pain 75: 281-329.
Hylden JL, Noguchi K. and Ruda MA. 1992. Neonatal capsaicin treatment attenuates spinal Fos activation and dynorphin gene expression following peripheral tissue inflammation and hyperalgesia. J Neurosci 12: 1716-172.
Jang MH, Shin MC, Kim YJ, Kim CJ, Kim Y. and Kim EH. 2004. Atractylodes japonica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RAW 264.7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7: 324-327.
Jeong SI, Kim SY, Kim SJ, Hwang BS, Kwon T.H, Yu KY, Hang SH, Suzuki K. and Kim KJ. 2010. Antibacterial activity of phytochemicals isolated from Atractylodes japonica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olecules 15: 7395-7402.
Kajander KC, Wakisaka S. and Bennett GJ. 1992. Spontaneous discharge originates in the dorsal root ganglion at the onset of a painful peripheral neuropathy in the rat. Neurosci Lett 138: 225-228.
Kao YC, Zhou C, Sherman M, Laughton CA. and Chen S. 1998. Molecular basis of the inhibition of human aromatase (estrogen synthetase) by flavone and isoflavone phytoestrogens: a site-directed mutagenesis study. Environ Health Persp 106: 85-32.
Kim HJ, Na HS, Nam HJ, Park KA, Hong SK. and Kang BS. 1996. Sprouting of sympathetic nerve fibers into the dorsal root ganglion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depends on the injury site. Neurosci Lett 212: 191-194.
Kitajima J, Kamoshita A, Ishikawa T, Takano A, Fukuda T, Isoda S. and Ida Y. 2003. Glycosides of Atractylodes japonica. Chem Pharm Bull 51: 152-157.
Kress M. and Reeh PW. 1996. Chemical excitation and sensitization in nociceptors. In: Belmonte C, Cervero F, Neurobiology of nociceptors. 1st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258-297.
Lekan HA, Carlton SM. and Coggeshall RE. 1996. Sprouting of A beta fibers into lamina II of the rat dorsal horn in peripheral neuropathy. Neurosci Lett 208: 147-150.
Lewis T. 1942. Pain. New York, MacMillan.
Malmberg AB. and Yaksh TL. 1995. Cyclooxygenase inhibition and the spinal release of prostaglandin E2 and amino acids evoked by paw formalin injection: a microdialysis study in unanesthetized rats. J Neurosci 15: 2768-76.
Marlier L, Poulat P, Rajaofetra N. and Privat A. 1991. Modifications of serotonin-, substance 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like immunoreactivities in the dorsal horn of the spinal cord of arthritic rats: a quantitative immunocytochemical study. Exp Brain Res 85: 482-490.
Matlawska IKZ, Akad MIKM. and Poznan P. 1992. Flavonoids in the flowers of Althaea rosea Cav. var. nigra (Malvaceae). Herba Polonica 38: 163-172.
Oh, H. J. (1998) The relation ship between pain level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musculoskeletal patient with chronic pain . J Korean Rehab Nurs ,1(1), 93- 109).
Park SC, Shin SW, Beak SH, Kim HK, Baik SW. and Kim KH. 2004. The effects of milnacipran on rat pain model. Korean J Anesthesiol 47: 260-265.
Pu S, Pu H, Jin D, Qu X, Zhang T, Jiang G, Bai Y. and Jin H. 1996. Effect of n-butanol extract of Japanese atractylodes (Atractylodes japonica) on gastric ulcer in rats. Zhongcaoyao 27: 410-413.
Rane K, Segerdahl M, Goiny M. and Sollevi A. 1998. Intrathecal adenosine administration: a phase 1 clinical safety study in healthy volunteers, with additional evaluation of its influence on sensory thresholds and experimental pain. Anesthesiology 89: 1108-1115.
Santti R. Makela S. Strauss L, Korkman J. and Kostian ML. 1998. Phytoestrogens: potential endocrine disruptors in males. Toxicol Indust Health 14: 223-237.
Sawynok J. 1999. Purines in pain management. Curr Opin CPNS Invest Drugs 1: 27-38.
Stein C. 1991. Peripheral analgesic action of opioids. J Pain Symptom Management 6: 119-124.
Sugimoto T, Bennett GJ. and Kajander KC. 1990. Transsynaptic degeneration in the superficial dorsal horn after sciatic nerve injury: effects of a chronic constriction injury, transection, and strychnine. Pain 42: 205-13.
Vane JR. and Botting RM. 1998. Anti-inflammatory drugs and their mechanism of action. Inflamm Res 2: 78-87.
Wang D, Shang J, Yu QH. and Zhongguo ZYZZ. 1989.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lower of Althaea rosea (L.) Cav. Zhongguo Zhongyao Zazhi 14: 46-48.
Watkins LR, Maier SF. and Goehler LE. 1995. Immune activation: the rol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inflammation, illness responses and pathological pain states. Pain 63: 289-302.
Wells WE. 1993. A review of the chronic pain syndromes: etiology, transmission and treatment. Crna 4: 187-198.
Woolf CJ. and Decosterd I. 1999. Implications of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pain pathophysiology for the assessment of pain in patients. Pain Suppl 6: 141-147.
Woolf CJ. and Doubell TP. 1994. The pathophysiology of chronic pain--increased sensitivity to low threshold A beta-fibre inputs. Curr Opin Neurobiol 4: 525-534.
Yamamoto K, Yamashita K, Hitomi N, Suzuki A. and Yoneda K. 199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tractylodes rhizome, constituents in the rhizome of Atractylodes japonica and TLC analysis of Jutsu. Shoyakugaku Zasshi 47: 12-16.
Zhang RX, Mi ZP. and Qiao JT. 1994. Changes of spinal substance 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somatostatin, Met-enkephalin and neurotensin in rats in response to formalin-induced pain. Regul Pept 51: 25-32.
박정민. 1999. 삽주의 정신 전후 몇 가지 처리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서울. pp. 332,
이우철. 1996. 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705.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712.
정보섭, 신민교. 1998. 향약대사전. 영림사, pp. 1024~102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418A (ko) * 2018-08-14 2020-02-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촉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842842B2 (en) 2019-01-11 2020-11-24 Dong-Eui University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neuropathic pain containing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KR20240010255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네이처텍 창출을 이용한 위염, 위궤양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Tatsumi et al. Analgesic effect of extracts of Chinese medicinal herbs Moutan cortex and Coicis semen on neuropathic pain in mice
KR20160074719A (ko)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27132B1 (ko)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9180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림프부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4820B1 (ko) 프레가발린 및 티아넵틴을 포함하는 신경병성 통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27197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33197B1 (ko) 부테인을 포함하는 부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159460A (zh) 包括人参皂苷Rg1和岩藻多糖的组合物在制备降低高迁移率族蛋白B1表达药物中的应用
KR101132110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용 조성물
KR20170099105A (ko) 모과, 감초 및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40199421A1 (en) Botan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102573243B1 (ko)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또는 예방용 enu 약학 조성물
KR102604643B1 (ko) 외상 수술로 인한 부종 및 어혈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090023759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0684A (ko) 당뇨혈압합병증c
KR101461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34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188945B1 (ko) 설포라판 및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통증치료제
Rahmanian et al. Anti-nociceptive effect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cardamom seed in male rat
KR101243430B1 (ko) 설포라판 및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
KR101260833B1 (ko) 유럽종 포도의 씨 추출물 및 레바미피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168960A (ko) 감초 신품종 원감 또는 신원감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에 치료 및 예방에 효과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
KR20230024725A (ko) 으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통증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