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759A -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759A
KR20090023759A KR1020070088766A KR20070088766A KR20090023759A KR 20090023759 A KR20090023759 A KR 20090023759A KR 1020070088766 A KR1020070088766 A KR 1020070088766A KR 20070088766 A KR20070088766 A KR 20070088766A KR 20090023759 A KR20090023759 A KR 2009002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lucosamine
arthritis
diclofenac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훈
김주영
배수현
Original Assignee
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훈 filed Critical 유상훈
Priority to KR102007008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3759A/ko
Publication of KR2009002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23V2250/308Glucosam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및 통증에 효과적인 당귀, 목진피,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고 연골재생의 효과가 있는 글루코사민을 포함한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귀, 목진피, 황금, 염증, 관절염

Description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Compound with arthritis therapy effect}
본 발명은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당귀, 목진피,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고 글루코사민을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arthritis)은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여러 종류의 질환이 있으나, 모두 관절의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며, 종종 자연적으로 퇴행된다. 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로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이 있다.
골관절염은 50세 이상의 사람들 중 약 10명당 8명의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 조직이 시간에 따라 얇고 평탄하지 않게 됨으로써 발생되고, 어떤 경우에는 완전히 마모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관절이 마모되면 상기 관절 캡슐은 점점 두꺼워질 수 있고, 그 결과 활막액(synovial fluid)의 양이 증가된다. 이는 차례로 상기 관절을 붓게 한다. 또한, 영향을 받는 근육 내 염증 유발 지역에서 뼈 돌기(bony spur)들이 성장할 수 있다. 골관절염은 신체 모든 관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손가락, 무릎, 엉덩이 및 척추에 나타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전신 질환(systemic disease)이며, 온 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이다. 이것은 관절을 배열하는 막의 염증에 의해 특징되며, 그 지역에 통증, 굳음(stiffness), 열(warmth), 붉음(redness) 및 부음(swelling)를 차례로 야기시킨다. 손가락 및 손의 작은 관절들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으나, 그 영향은 손목, 팔꿈치, 어깨 및 다른 관절을 포함하여 확장될 수 있다.
관절염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항염제 또는 진통제로 처방하여 통증만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항염제 또는 진통제의 사용은 연골의 재생능력을 방해하여 관절의 연골 파괴를 가속화시키고, 과다 복용은 환자의 상태를 더욱 완화시키며, 위, 간, 신장등에도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염증성 증상과 통증에 대해 효과를 보여주는 관절염 치료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며, 관절염 치료약제는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므로 부작용이 적은 약제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한가지 성분으로 관절염 치료를 할 수 없으므로 관절염증상에 대한 연골재생 및 염증, 통증에 효과가 있는 복합 조성물로 글루코사민을 포함하고 여기에 몇가지 생약을 혼합한 조성물을 생산하여 전임상 실험을 통해 부작용을 감소하고 연골재생과 염증 및 통증에 대해 현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대한 전임상, 임상 실험을 통하여 그 효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연골재생과 염증 및 통증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골재생과 소염 및 진통 활성을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당귀, 목진피,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고 글루코사민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글루코사민(Glucosamine)은 체내에서 발견되는 천연물질로서, 생체중의 여러 가지 복합 당질의 당쇄중에 구성단위로 존재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콘드로이친황산이나 히아론산의 뮤코다당류를 포함하는 프로테오글리칸이며, 종합조직, 피부조직, 연골 및 관절액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높은 보습효과를 가지고 세포의 기능이나 형태를 유지하며 윤활작용, 세포접착, 증식, 분화 등의 세포표면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글루코사민은 단독으로 관절염의 연골재생 치료에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관절염의 염증이나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은 없으므로 완벽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귀에는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노다케네틴(Nodakenetin) 등의 쿠마린(Coumarin) 유도체와 α-피넨(Pinene), 리모넨(Limonene), β-유데스몰(Eudesmol), 에레몰(Elemol) 등의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설사작용 및 비타민 E 결핍 치료작용을 하므로 빈혈증, 진통, 강장, 통경 및 부인병약으로 쓰이며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식용하기도 한다.
목진피는 진피(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의 가지 또는 줄기의 껍질을 말한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쓰며 성질은 차다. 열을 내리고 습을 알리는 효능이 있어, 대하,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 해수, 천식에 쓰이며 진해거담 작용을 한다. 약리작용은 소염, 진통, 요산 배설, 진해거담, 억균 작용이 보고되었다.
황금(Scutellariae radix)에 포함된 주된 약리활성 성분으로는 워고닌(wogonin), 워고닌-글루쿠로나이드(wogonin-glucuronide), 바이칼린(baicalin), 바이칼레인(baicalein), 오록실린 A(oroxylin A), 스컬캡플라본 I,II(skullcapflavone I,II), 크리신(chrysin), 디하이드로오록실린 A(dihydrooroxylin A) 등이 알려져 있으며, 황금의 추출물은 항염, 항바이러스,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보고되었고, 특히 진정작용, 항경련작용 등 중추신경계 작용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베타인(betaine)은 아미노산인 글라이신에 3개의 메틸기가 부가된 형태의 화합물로서, 간, 알류, 생선, 사탕무, 콩류, 구기자 등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베타인은 메틸기 공여물질로서 생리작용을 가지며, 혈장내의 호모시스테인의 수준 을 저하시켜서, 혈중 지질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간기능 개선, 혈관성 질환개선, 골다공증 치료, 류마티즘 완화, 알츠하이머 질환의 완화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각 생약이 효과는 있지만 단독으로는 치료작용이 명확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생약을 적절히 조합한 복합 생약 추출물이 단독에 비해 약효 상승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의약품만큼 우수한 연골재생 효과와 염증, 진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로코사민, 생약 추출물 단독의 연골재생과 항염증 및 항통증의 효과에 비해 약효상승 효과가 높아 관절염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루코사민을 포함하고 천연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부작용 없이 관절염에 의한 염증 및 통증을 완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조성비 결정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조성비 결정을 위해 진통 효능 평가 실험인 아세트산-유도 뒤틀림 현상 실험(Acetic acid-induced writhing syndrome)을 진행하였다. 조성물은 각 생약을 열수 추출한 후 조성비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표. 1]
단위: %
No. 글루코사민 당귀 추출물 목진피 추출물 황금 추출물
1 5 0.05 0.5 0.5
2 10 0.1 1 1
3 20 0.51 2.48 3.59
4 30 1 5 5
5 50 2 10 10
[표. 2]
시험군 뒤틀림 억제율(%)
대조군 -
글루코사민 단독 12.14
No.1 31.84
No.2 80.33***
No.3 84.23***
No.4 78.29***
No.5 23.31
양성대조군(Diclofenac) 86.56***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마우스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것임,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상이함(P<0.001)
대조군, 글루코사민 단독, 양성대조군인 디클로페낙과 비교했을 때 2~4번 시험군에서 모두 진통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번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진통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상기의 조건을 조성물의 조건으로 확립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의 제조
상기 조성물은 각 원료(당귀 분말 5.1g, 목진피 24.8g, 황금 35.9g)의 정제수를 중량비의 약 8배 첨가하여 110℃, 6시간 추출하여 글루코사민 200g을 혼합 하여 Wattman No.2로 감압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수득된 복합 생약추출물을 compound 105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연골세포의 증식촉진
1-1. 실험동물의 사육
시험동물은 오리엔트로부터 토끼, SD계 랫트 및 ICR계 마우스를 공급 받아 온도 23±1℃, 상대습도 55 ± 15% 및 300-500 룩스(Lux)의 조도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동물 사육실에서 일주일이상 순화시킨 후 육안적 증상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음식과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1-2. 시험군의 구성
[표. 3]
No. 시험군 (N=10)
1 대조군
2 글루코사민 단독
3 당귀 단독
4 목진피 단독
5 황금 단독
6 compound 105
7 양성대조군(Diclofenac)
1-3. 시험물질의 조제 및 투여
시험 물질을 각각 체중의 용량으로 (1 ㎖/10 g b.wt.) 경구투여 바늘(sonde)을 사용하여 경구로 강제 투여하였다.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였다(1 ㎖/10 g 체중). 디클로페낙은 25 mg/kg/0.1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1-4. 연골 세포분리
3~4주령 토끼에서 무균상태에서 연골조직을 분리한 후 0.2% collagenase type II로 37℃ 4시간 처리한 후 100um filter로 filtering하여 연골 세포를 얻었다. 세포는 37℃, 5% CO2에서 연골세포배지(DMEM/F12, 10%FBS, Insulin,
nonessential amino acid, penicillin, Gibco BRL products)로 2일마다 교체해주었다.
1-5. Proliferation assay
연골조직에서 분리된 연골세포를 96-well plate에 3x10^3/ml로 seeding하고 세포가 plate에 완전히 붙은 후 1%FBS-DMEM와 실시예1의 조성물이 첨가된 배지로 48시간 배양한 후 cell proliferation kit(XTT, 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1에서 선택된 3번 조성으로 연골세포의 증식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면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및 각 생약 단독의 연골세포의 증식효과에 비해 복합 조성물 compound 105의 경우 그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염증 효능 평가 실험
2-1. 실험동물의 사육
시험동물 및 사육조건은 실험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사육되어 실험에 사용되었고, 시험물질의 조제 및 투여는 실험예 1-3의 조제방법으로 각각 준비하고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였다(1 ㎖/10 g 체중). 디클로페낙은 25 mg/kg/0.1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2-2. 항염증 효능 평가 시험: 카라기난 -유도 뒷발 부종실험 ( Carrageenan - induced hind paw edema )
체중 150-170 g의 SD계 웅성 랫트를 사용하여 시험물질을 14일간 경구 투여한 후, 15일째 기염제로 1% 타입 IV 람다 카라기난-생리식염수(lambda carrageenan-saline) 용액 0.1 ㎖를 랫트의 오른쪽 뒷발의 족저 중심부 피하에 주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Winter 등, Proc. Soc. Exp. Biol. Med., 111, 544-547. 1962). 기염제 투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과 6시간에 부종측정기인 플레티스모메터(plethysmometer, Ugo Basile, Italy)로 발의 용적을 측정하여, 기염제 투여 전 의 발의 용적과 비교하여 부종증가율을 산출하였다(수학식 1 참조). 또한 대조군의 부종 증가율과 시험물질 투여군의 부종증가율을 비교하여 부종억제율을 산출하였다(수학식 2 참조). 양성대조군으로는 디클로페낙(25 mg/kg 체중)을 사용하였다.
수학식1
Figure 112007063859091-PAT00001
수학식2
Figure 112007063859091-PAT00002
조성물을 2주간 반복 투여한 후, 1% 카라기난으로 족부종을 유발시킨 랫트의 족부종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하기 표 4과 같다. 대조군의 발부피 증가율을 100% 대비하여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표. 4]
시험군 부종 억제율(%)
대조군 -
글루코사민 단독 9.62
당귀 단독 14.7
목진피 단독 13.48
황금 단독 17.83
compound 105 29.22***
양성대조군(Diclofenac) 31.29***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것임,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상이함(P<0.001)
실험 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및 각 생약 단독에 비해 실험쥐에 유발된 부종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부종 억제율의 상승정도는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과 유사한 정도로 억제시켜, 소염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디클로페낙은 소화기 궤양이나 위장 출혈,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2-3. 항염증 효능 평가 시험: 아쥬반트 -유도 관절염 실험 ( Adjuvant - induced arthritis )
클라우드 등(Claude VW, et al.; Arthritis and Rheumatism, 12, pp472-482, 1969)의 방법에 따라, 150-170 g 의 SD계 웅성 랫트를 사용하여 마이코박테리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이 1 mg/㎖의 농도로 함유된 완전 프러운트 어쥬반트(complete Freund's adjuvant)를 랫트의 오른쪽 뒷발 족저 중심부에 0.1 ㎖/paw의 용량으로 피내주사 하였다. 시험물질은 어쥬반트 투여 후, 20일 동안 같은 시간에 경구로 투여하고 2일에 한번씩 발부종 정도를 부종측정기인 플레티스모메터로 측정하여, 상기 수학식 1 및 2에 따라 부종증가율 및 부종억제율을 산출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디클로페낙(25 mg/kg 체중)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발부피 증가율을 100% 대비하여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완전 프러운트 어쥬반트로 랫트의 관절염을 유발시킨 후, 조성물을 20일간 반복 투여시 부종율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시험군 부종 억제율(%)
대조군 -
글루코사민 단독 8.45
당귀 단독 17.84
목진피 단독 24.53
황금 단독 18.44
compound 105 30.19**
양성대조군(Diclofenac) 33.21***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것임, **,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상이함(P<0.01, P<0.001)
실험 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및 각 생약 단독에 비해 실험쥐에 유발된 부종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부종 억제율의 상승정도는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과 유사한 정도로 억제시켜, 소염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디클로페낙은 소화기 궤양이나 위장 출혈,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2-4. 항염증 효능 평가 시험: 아세트산-유도 혈관 투과성 시험 ( Acetic acid - 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
휘틀(Whittle BA.; Brit. J. Pharmacol., 22, pp246-253, 1964)의 방법에 따라, 시험 전 12시간을 절식시킨 25-28 g의 ICR계 웅성 마우스에 시험물질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투여 30분 후, 2.5% 에반스 블루 용액(Evans blue solution, 0.1 ㎖/ 10 g 체중)을 꼬리 정맥을 통하여 투여하고, 20분 후 0.6% 아세트산 생리식염수(acetic acid saline solution)를 0.1 ㎖/10g 체중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여 혈관 투과성의 항진을 유도하였다. 20분 후, 경추 탈골로 마우스를 치사시켜 5 ㎖의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가하고 복부를 가볍게 흔들어준 후 세척액을 취하였다. 세척액을 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6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복강 내로 유출된 에반스 블루의 양을 산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디클로페낙(25 mg/kg 체중)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염색약 삼출양 증가율을 100% 대비하여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표. 6]
시험군 부종 억제율(%)
대조군 -
글루코사민 단독 9.12
당귀 단독 17.64
목진피 단독 15.64
황금 단독 12.76
compound 105 24.22**
양성대조군(Diclofenac) 26.14**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마우스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것임,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상이함(P<0.01)
실험 결과, 상기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및 각 생약 단독에 비해 아세트산으로 유도된 복강 내 에반스 블루의 삼출량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부종 억제율의 상승정도는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과 유사한 정도로 억제시켜, 소염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디클로페낙은 소화기 궤양이나 위장 출혈,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 진통 효능 평가 실험
3-1. 실험동물의 사육
시험동물 및 사육조건은 실험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사육되어 실험에 사용되었고, 시험물질의 조제 및 투여는 실험예 1-3의 조제방법으로 각각 준비하고 투여 부피는 투여 당일에 측정된 체중에 따라 산출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였다(1 ㎖/10 g 체중). 디클로페낙은 25 mg/kg/0.1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3-2. 진통 효능 평가 실험: 아세트산-유도 뒤틀림 현상 실험( Acetic acid - induced writhing syndrome )
시험 전 12시간을 절식시킨 25-28 g의 ICR계 웅성 마우스에 시험 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30분 후, 0.7% 아세트산-생리식염수 용액을 0.1 ㎖/10 g 체중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여 통증을 유발시킨 10분 후부터 10분간의 뒤틀림 현 상(writhing syndrome)의 발생회수를 측정하였다(Koster 등, Fed. Proc. 18, 412-418. 1959). 양성대조약물은 디클로페낙(25 mg/kg 체중)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횟수를 100% 대비하여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표. 7]
시험군 뒤틀림 억제율(%)
대조군 -
글루코사민 단독 10.17
당귀 단독 68.34
목진피 단독 66.17
황금 단독 62.25
compound 105 84.23***
양성대조군(Diclofenac) 87.17***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마우스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나타낸것임,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상이함(P<0.001)
실험 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및 각 생약 단독에 비해 아세트산으로 유도된 뒤틀림 현상의 횟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진통 억제율의 상승정도는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과 유사한 정도로 억제시켜, 진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디클로페낙은 소화기 궤양이나 위장 출혈,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3-3. 진통 효능 평가 실험: 핫 플레이트 테스트 ( Hot plate test )
시험 전 12시간을 절식시킨 25-28g의 ICR계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동통반응은 55℃로 유지되는 핫 플레이트(Ugo Basile, Italy)에 조심스럽게 올려 놓고 핫 플레이트 위에 접촉할 때부터 뛰어오를 때까지의 시간(sec)을 측정한 것을 지표로 열감에 의한 동통 반응을 측정하였다(Wolfe G, MacDonald AD.; J. Pharmacol. Exp. Ther., 80, pp300-307, 1944). 시험물질은 시험 30분 전에 경구로 투여하였고, 양성 대조물질로는 디클로페낙(25 mg/kg 체중)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반응시간을 100% 대비하여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표. 8]
시험군 진통 억제율(%)
대조군 -
글루코사민 단독 11.21
당귀 단독 69.63
목진피 단독 57.75
황금 단독 64.32
compound 105 80.42***
양성대조군(Diclofenac) 83.27***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나타낸것임,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상이함(P<0.001)
실험 결과, 상기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및 각 생약 단독에 비해 진통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진통 억제율의 상승정도는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과 유사한 정도로 억제시켜, 진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디클로페낙은 소화기 궤양이나 위장 출혈,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결과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단독의 연골재생, 염증, 진통효과에 비해 복합 추출물일 경우 약효상승의 효과가 뚜렷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상승의 정도는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과 유사하지만 소화기 궤양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한 디클로페낙과는 달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았다.
실험예 4: 조성물의 급성경구투여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 g/㎏/15 ㎖의 용량으로 2회 경구투여 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 조군의 현미경적 소견을 비교한 결과, 간장, 비장, 신장, 뇌, 피부, 생식기계, 위장, 대장, 심장, 폐장 등 실질 장기 등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두 랫트에서 5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도1은 시험군에 대한 연골세포 증식효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Claims (1)

  1. 글루코사민, 당귀, 목진피,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글루코사민 10~30중량%, 당귀 추출물 0.1~1중량%, 목진피 추출물 1~5중량%, 황금 추출물 1~5중량%로 이루어진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청구항 3]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사민 20%, 당귀 0.51%, 목진피 2.48%, 황금 3.59%로 함유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진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글루코사민, 당귀, 목진피,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 및 식품에 해당되는 제형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70088766A 2007-09-03 2007-09-03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3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66A KR20090023759A (ko) 2007-09-03 2007-09-03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66A KR20090023759A (ko) 2007-09-03 2007-09-03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759A true KR20090023759A (ko) 2009-03-06

Family

ID=4069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766A KR20090023759A (ko) 2007-09-03 2007-09-03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37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889B1 (ko) * 2011-01-25 2014-06-13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산학협력단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63887B1 (ko) * 2022-08-30 2023-08-04 최영진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889B1 (ko) * 2011-01-25 2014-06-13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산학협력단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63887B1 (ko) * 2022-08-30 2023-08-04 최영진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2588A (zh) 治疗身痛痹症中药配方
KR101012415B1 (ko)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875908C (en) Extracts from mother-of-thyme and the use thereof
KR101740028B1 (ko) 우슬, 황금의 혼합 추출물 또는 우슬, 황금, 오가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498659B (zh) 沙虫酶解物在制备防治骨关节炎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KR20120038372A (ko)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023759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KR100847440B1 (ko)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복합 생약제
KR20200019935A (ko) 피멍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KR10087843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085219B1 (ko) 뇌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4719A (ko) 촉규근 추출물 또는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21754B1 (ko)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관절염의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40108512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4862A (ko)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2171B1 (ko)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9977A (ko) 스트레스 및 공황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26565A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29616A (ko) 꿀, 오디 및 두충의 숙성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0764B1 (ko) 원화, 위령선, 및 천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97013A (ko) 염증 및 통증에 효과가 있는 계지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약학적제제
KR101072725B1 (ko) 시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N104491508A (zh) 一种治疗带状疱疹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