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132B1 -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132B1
KR101727132B1 KR1020150025024A KR20150025024A KR101727132B1 KR 101727132 B1 KR101727132 B1 KR 101727132B1 KR 1020150025024 A KR1020150025024 A KR 1020150025024A KR 20150025024 A KR20150025024 A KR 20150025024A KR 101727132 B1 KR101727132 B1 KR 10172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ymptoms
treatment
allergic purpu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669A (ko
Inventor
유승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요리하는 한의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요리하는 한의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요리하는 한의사
Priority to KR102015002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13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허(陰虛) 증상을 보이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자에게 가미육미지황탕(加味六味地黃湯)을 투여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반, 복통, 관절염 및 부종과 같은 증상이 호전됨은 물론 재발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것으로, 알레르기성 자반증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Henoch-Schonlein Purpura}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자반증 특히, 음허로 진단된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성 자반증은 헤노호-쉰라인 (Henoch-Shonlein) 자반증, 아나필락시스양 자반증이라고 명명되는 혈관염의 일종으로 혈소판 감소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피부에 나타나는 자반증과 위장 증상, 관절 증상 또는 신장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원인이나 발병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관벽에 침착된 면역복합체와의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기도 감염이 선행되는 것을 고려할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과도 관련이 있으며 약물, 벌레물림, 음식 등의 항원과의 연관성도 제시되고 있다.
알레르기성 자반증은 주로 소아에게 발병하는데 대략 10만명당 14 내지 18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4 내지 6세에서 10만명당 약 70.3명 정도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임상증상은 하지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자반과 관절통, 복통, 사구체신염이지만 자반 외의 증상들은 유무가 명확하지 않아 진단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알레르기성 자반증에서 피부의 촉진성 자반은 모든 환자에게 나타난다. 자반은 주로 체중을 지탱하는 둔부, 하지의 신측부에 처음 나타나게 되고 증상이 진행되면서 상지나 체간부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안면부나 손바닥, 발바닥 등의 부위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자반은 초반에는 반점상 구진으로 나타났다가 차츰 갈색으로 변하면서 퇴색되어 지속되거나 사라지지만 수주에 걸쳐 새로운 구진의 집단이 연속적으로 출현하기도 한다.
위장관 증상은 복통, 오심, 구토, 혈변, 토혈이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자반보다 위장관 증상이 선행되면서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기도 한다. 복통은 대부분 배꼽 주변 중앙에 나타나며 위장관 내시경상 주로 위점막 홍반, 점상출혈이 관찰될 수 있다. 드물지만 장중첩증, 장폐색, 장천공, 급성췌장염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외과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다.
관절 증상은 관절 자체가 아니라 주변 조직이 손상되어 나타나며, 슬관절, 족관절과 주관절 순으로 호발한다. 드물지만 여러 관절에 동시에 침범되기도 한다. 증상의 정도는 단순한 부종에서 심한 통증과 운동 제한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관절 주위 조직의 손상이므로 심한 후유증 없이 대부분 자연 소실된다.
신장 증상은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재발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증세로 육안적 혹은 현미경적인 혈뇨와 단백뇨로 나타난다. 연구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알레르기성 환자의 약 20 내지 50%에서 신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증상은 대부분 자반증상이 나타난 처음 3개월 이내에 나타나는데 증상이 유사한 IgA신증과는 달리 경과가 좋은 편이며 대개 무증상으로 회복된다. 하지만 5 내지 10%는 아급성이나 만성 경과로 진행되고 심한 경우 신부전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신장 증상이 나타난 환자는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재발이 흔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드물지만 짧게는 자반 발생 3개월 이후, 길게는 자반 발생 5년 후에 신염이 발생한 경우도 보고되고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그 외 드물지만 의식장애, 경련, 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주로 대증요법이 시행된다.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절증상이나 복통에는 도움이 되지만 신장 증상을 예방하거나 호전시키는 데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자반증에는 스테로이드 치료가 우선 선택되나 스테로이드 치료는 많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테로이드 치료는 자반증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신장 증상을 예방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의학적인 치료가 유의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자반증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는 현재까지 문헌적 고찰과 증례보고 정도만 있었고, 증례의 경우 1 및 2례의 보고가 대부분이며 임상적으로 유의성 있는 처방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1. Pediatr Nephrol. 7:69-71. 1993.
따라서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를 포함하는 육미지황탕에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택사,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를 포함하는 육미지황탕에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택사,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미지황탕에 한약재를 더 첨가한 가미육미지황탕(加味六味地黃湯)을 음허로 진단된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반, 복통, 관절염 및 부종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키므로,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자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5세 환자의 치료경과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6세 환자의 치료경과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11세 환자의 치료경과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5세 환자의 치료경과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6세 환자의 치료경과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미육지미황탕을 투여한 사례 20건의 치료 경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공통적으로 한의학적 특징으로써 음허(陰虛) 증상을 보이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자에게 음허 개선에 효과 있는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에 한약재를 더 가미하여 알레르기성 자반증 치료에 효능을 가진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의학적으로 알레르기성 자반증은 자반(紫斑), 혈증(血證), 포도역(葡萄疫) 등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원인은 크게 외감풍한지사(外感風熱之邪)에 해당하는 실증(實證), 기허불섭(氣虛不攝) 또는 음의 정기가 손실되어 허하여 생기는 고열인 음허화왕(陰虛火旺)에 해당하는 허증(虛症)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사(外邪)의 자극을 받아들이면 화열화화(化熱化火)하여 열독(熱毒)이 영혈(營血)로 전해지면서 혈맥, 맥락(脈絡)이 상하게 되어 자반(紫斑)을 형성하게 된다. 기허불섭(氣虛不攝)한 경우는 선천적이거나 비허(脾虛)하여 기혈생화부족(氣血生化不足)하고 다스리지 못하기 때문에 혈(血)이 맥외(脈外)로 삼일(?溢)하여 자반(紫斑)을 형성한다. 또한 소아는 양상유여 음상부족(陽常有餘 陰常不足)하여 쉽게 음허(陰虛)해질 수 있으며, “무근실수지화 취어흉중 상독증폐 전어피부(無根失守之火 聚於胸中 上毒蒸肺 傳於皮膚)”하여 자반이 생긴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병이 오래되어 간신음휴(肝腎陰虧)해지면 허화내생(虛火內生)하여 혈(血)이 불(火)를 따라 통하여 자반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환자들은 모두 5 내지 14세 사이의 소아들로 쉽게 음허(陰虛)해질 수 있는 연령대일 뿐 아니라 평소 호소하던 증상들과 맥박을 고려할 때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변증되었기에 신수부족(腎水不足)에 사용되는 육미지황탕 (六味地黃湯)을 선택하였다.
육미지황탕은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藥), 백봉령(白茯笭), 택사(澤瀉) 및 목단피(牧丹皮)로 구성된다. 숙지황은 지황(地黃)의 뿌리를 쪄서 말린 한약재로 자신전정(滋腎塡精)하는 효능이 있어 주가 되는 군약(君藥)으로 사용하였으며, 간과 신장을 자양(滋養)하며 삽정(澁精)하는 층층나무과 산수유(山茱萸)나무의 열매인 산수유와, 비음(脾陰)을 보익(補益)하여 정력을 강화시키는 마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인 산약을 같이 군약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신약(臣藥)으로 사용하였다. 이 세 가지 약을 같이 사용하면 궐음, 소음 및 태음의 삼음(三陰)을 돕는 효능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죽은 소나무에서 기생하는 버섯인 복령(Poria cocas Wolf.)의 균핵을 말린 백복령을 약물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섞으면 담삼비습(淡?脾濕)하여 산약의 비가 허한 것을 보완하는 작용을 돕고 늪이나 연못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 택사는 신장의 열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하며, 더불어 숙지황의 미끈하고 끈적한 성질을 방지한다. 작약과의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인 목단피는 간의 열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하며 아울러 산수유의 온성(溫性)을 제약하므로 약물의 효과를 인도하는 약물인 좌사약(佐使藥)으로 사용하였다. 단 환자들이 음허화동(陰虛火動)한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음기를 기르고 혈을 보완하는 효능을 가진 숙지황보다는 음을 길려주면서도 혈분의 열을 제거하는 건지황(乾地黃)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육미지황탕을 기본으로 하되 음액을 보충하고 화를 내리면서 열기를 식히고 열로 인해서 생긴 혈열을 식히는 효능을 가진 여러해살이 풀(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인 현삼(玄蔘)과, 폐의 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을 가진 벼과의 솜대(Phllostachys nigra Munro var. henosis Stapf) 또는 왕대 (Ph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의 겉껍질을 제거한 중간층인 죽여(竹茹), 풍열의 독을 발산해서 해소하는 효능을 가진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인 금은화(金銀花)와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의 열매인 연교(連翹)를 더하고 보혈(補血)하는 효능을 가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방향성 초본 당귀의 뿌리인 당귀(當歸)와 동물의 가죽, 힘줄, 창자 및 뼈 등을 고아 그 액체를 고형화(固形化)한 물질인 아교(阿膠)를 더하였다. 더불어 기를 보하고 양기를 북돋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황기(黃?)를 더하여 생혈(生血)을 돕도록 하였고, 음식을 소화시키고 중기를 조화시키며 비를 튼튼하게 하고 위를 열어주는 효능을 가진 벼과의 대맥(Hordeum vulgare Linne:大麥)의 싹을 내어 말린 후 살짝 볶아서 만든 맥아(麥芽)를 더함으로써 원활하게 생혈(生血)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지황(Rehmannia glutinosa), 산약(Dioscorea batatas DECNE), 산수유(Macrocarpium officinale NAKAI), 백봉령((Poria cocos.(Schw.) Wolf), 목단피(Moutan Root Bark) 및 택사(Alismatis Rhizoma)를 포함하는 육미지황탕에 당귀(Anglica sinenses(OLIV) DIELS),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아교(glue), 금은화(Lonicera japonica Thunb), 연교(Forthesia suspensa), 맥아(malt), 현삼(Scrophularia burgeriana MIQ), 및 죽여(Bambusa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택사,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지황 5 내지 15 중량부; 산약 5 내지 15 중량부; 산수유 5 내지 15 중량부; 백봉령 3 내지 10 중량부; 목단피 3 내지 10 중량부; 택사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3 내지 10 중량부; 황기 5 내지 15 중량부; 아교 3 내지 10 중량부; 금은화 3 내지 10 중량부; 연교 3 내지 10 중량부; 맥아 3 내지 10 중량부; 현삼 1 내지 8 중량부; 및 죽여 1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시 각 약재의 효능이 저하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발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탕약, 트로키제(troche), 캡슐, 구강정, 과립, 환, 분말, 현탁액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복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를 포함하는 육미지황탕에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더불어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택사,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본 발명의 구성 성분 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구성 성분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참고예 1> 통증 진단
환자의 통증은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isuelle Analogskala, VA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VAS는 10cm길이의 선의 한쪽 끝에 통증이 없음을 기록하고 다른 편의 끝에 상상 가능한 가장 심한 고통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환자가 그 때에 느끼는 통증을 이 선위에 기입하도록 하였다.
< 실시예 1> 가미육미지황탕 (加味六味地黃湯)의 제조
소아용으로 한 첩(50cc)을 기준으로 물 320 ml에 건지황 5.625g, 산약 5.625g, 산수유 5.625g, 백봉령 3.75g, 목단피 3.75g, 택사 3.75g, 당귀 3.75g, 황기 5.625g, 아교 3.75g, 금은화 3.75g, 연교 3.75g, 맥아 3.75g, 현삼 2.625g 및 죽여 2.625g을 넣고 120℃에서 150분간 전탕하여 가미육미지황탕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치료 사례
1. 사례 1
1) 성별 및 나이: 남 5세
2) 주요증상: 자반, 슬관절 부종 및 통증, 좌측 손목 부종, 복통 및 안면부종.
3) 현병력: 발병 1 내지 2주 전 기관지염과 장염으로 개인병원에서 치료 받았고 감기 증상도 함께 보였다. 발병일에 하지에 자반과 부종 및 통증이 발생하였으며 복통 증상은 없었다. 발병 2일 후 내원하였다.
4) 기타증상:
(1) 식사: 양호.
(2) 소화: 양호.
(3) 대변: 양호.
(4) 소변: 양호.
(5) 수면: 양호.
(6) 기타: 도한(盜汗) 자주 호소.
5) 치료 내용:
(1)한약 치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미육미지황탕 6첩을 1팩당 50cc로, 30팩으로 전탕하여 매 15일의 간격으로 치료 종료시까지 3회/일, 1팩/회로 복용하였다.
6) 치료 경과:
치료 경과일 자반 복부 통증 관절염&부종 맥박
01일 +++ VAS 3 VAS 5(+) 부세삭(浮細數)
18일 ++ - - 세삭(細數)
24일 + VAS 1 - 맥박이 가느다람(細)
35일 - - - 맥박이 빠름(弦)
88일 - - - 맥박이 느림(緩)
도 1과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첫날 환자는 양측 하지의 자반과 무릎의 부종 및 통증(VAS 5)이 동반된 상태였다. 평소 도한(盜汗)을 자주 호소했고 초진 당시 맥세삭(脈細數) 했던 점, 소아라는 점을 고려하여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진단하였다.
탕약 복용 전에 일시적으로 복통(VAS 3) 및 얼굴의 자반과 부종이 발생하였으나 곧 소실되었고, 이후 증상이 점차 호전되어 치료 며칠 후 모든 증상이 없어졌다. 88일에도 자반증의 재발 없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었으며 맥진상으로도 맥이 완화된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다.
2. 사례 2
1) 성별 및 나이: 여 6세
2) 주요증상: 자반, 허벅지 통증, 복통 및 구토.
3) 현병력: 감기로 치료 받은 후, 홍반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았다. 그 후 알레르기성 자반증으로 진단 받았다.
4) 기타증상:
(1) 식사: 양호.
(2) 소화: 양호.
(3) 대변: 마른 대변.
(4) 소변: 양호.
(5) 수면: 수시로 깸.
(6) 과거력: 아토피, 비염, 구내염 및 폐렴
5) 치료 내용:
(1)한약 치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미육미지황탕 7첩을 1팩당 50cc로, 45팩으로 전탕하여 매 15일의 간격으로 치료 종료시까지 3회/일, 1팩/회로 복용하였다.
6) 치료 경과:
치료 경과일 자반 복부 통증 관절염&부종 맥박
01일 ++ VAS 3 VAS 4(-) 세삭유력(細數有力)
14일 ++ - - 세삭(細數)
49일 + - - 맥박이 가느다람(細)
75일 - - - 맥박이 느림(緩)
도 2와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첫날 환자는 양측 하지의 자반과 허벅지 통증(VAS 4)이 동반된 상태였다. 평소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잘 깼으며, 마른 대변(大便燥)을 보았던 점, 아토피나 비염, 폐렴 등의 과거력이 있었던 점, 초진 당시 맥삭유력(脈數有力)했음을 고려해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진단하였다.
탕약 복용 전에 복통(VAS 3) 및 구토 증상이 나타났으나 탕약 복용을 시작하면서 상기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49일에는 피부의 자반만 미약하게 남아있고 다른 증상은 없어졌다. 치료 도중 감기에 걸리면서 자반이 약하게 재발하였으나 여타 증상은 없었고 75일에는 다시 모든 알레르기성 자반증 증상이 소실되었고 맥진상으로도 맥이 완화된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다.
3. 사례 3
1) 성별 및 나이: 여 11세
2) 주요증상: 자반, 복통, 오심, 종아리 및 발목 통증.
3) 현병력: 발병 3 내지 4일 전 감기로 개인병원에서 치료받던 중 하지에서 자반이 발생했고 개인병원에서 알레르기성 자반증을 진단받았다. 혈액검사상 이상은 없었으며 3일간 입원치료를 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았다. 퇴원 1일 후 갑자기 복통 및 오심 증상이 발생해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에 내원했고, 그 다음날부터 6일간 입원치료를 받아 자반이 소실되었으며 복통, 오심 증상 또한 다소 호전되었다. 그러나 퇴원 이후 다시 자반 증상이 재발하여 한방치료를 받았다.
4) 기타증상:
(1) 식사: 소량.
(2) 소화: 소화불량, 복통 호발.
(3) 대변: 양호.
(4) 소변: 양호.
(5) 수면: 양호.
(6) 기타: 오심, 번열(煩熱), 코피 호발, 키 성장 더딤.
(7) 과거력: 아토피, 비염
5) 치료 내용:
(1)한약 치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미육미지황탕 10첩을 1팩당 50cc로, 45팩으로 전탕하여 매 15일의 간격으로 치료 종료시까지 3회/일, 1팩/회로 복용하였다.
6) 치료 경과:
치료 경과일 자반 복부 통증 관절염&부종 맥박
01일 +++ VAS 4 VAS 4(-) 부세삭(浮細數)
14일 + - - 세삭(細數)
28일 - VAS 1 VAS 1(-) 맥박이 거침(澁)
64일 - VAS 1 - 맥박이 빠름(弦)
92일 - - - 맥박이 느림(緩)
도 3과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첫날 환자는 양측 하지의 자반과 복통 및 종아리와 발목의 통증(VAS 4)이 동반된 상태였다. 평소 자주 오심, 번열(煩熱) 증상을 호소했으며 코피가 자주 나는 편이었으며 아토피 과거력이 있었고 또래보다 성장이 더딘 편이었다. 또한 초진 당시 맥부세삭(脈浮細數)했던 점을 고려하여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인한 자반증으로 진단하였다.
탕약 복용을 시작하면서 남아있던 복통도 점차 호전되어 14일에는 소실되었으나, 자반은 다소 남아있는 상태였다. 이후 28일에 일시적으로 복통이 1회 재발하였으나(VAS 1) 곧 호전되었다. 64일에는 자반이 모두 없어졌으며, 92일까지 자반 및 기타 증상이 모두 소실된 상태로 유지하였고, 맥진상으로도 맥이 완화된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다.
4. 사례 4
1) 성별 및 나이: 남 5세
2) 주요증상: 자반, 무릎 통증 및 부종.
3) 현병력: 발병 5 내지 6일 전 감기로 개인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하지에 자반이 발생했다. 당일 알레르기성 자반증 진단을 받아 약을 처방받았으나 발병 3일 후 아침에 심한 무릎 통증 및 부종이 생겨 한방치료를 받았다.
4) 기타증상:
(1) 식사: 양호.
(2) 소화: 양호.
(3) 대변: 마른 대변.
(4) 소변: 양호.
(5) 수면: 양호.
(6) 기타: 도한(盜汗), 어지(語遲)
(7) 과거력: 영아기 열성 경기 호발 (4회)
5) 치료 내용:
(1)한약 치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미육미지황탕 7첩을 1팩당 50cc로, 45팩으로 전탕하여 매 15일의 간격으로 치료 종료시까지 3회/일, 1팩/회로 복용하였다.
6) 치료 경과:
치료 경과일 자반 복부 통증 관절염&부종 맥박
01일 ++++ - VAS 3(+) 부세삭(浮細數)
08일 +++ VAS 2 VAS 1 부세삭(浮細數)
20일 + VAS 1 VAS 1 맥박이 가늠(浮細)
41일 + VAS 1 - 맥박이 가늠(浮細)
131일 - - - 맥박이 느림(緩)
도 4와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첫날 환자는 양측 하지의 자반과 양측 무릎의 통증과 부종이 동반된 상태였다. 본 환자는 어렸을 때부터 열성 경기를 자주 앓았고, 평소 어지(語遲), 도한(盜汗)과 마른 대변을 보았으며 맥부세삭(脈浮細數)하여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진단하였다
탕약 복용 전 심한 복통(VAS 4)이 나타나 1일간 입원해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다. 복통과 관절의 부종 및 통증은 상당 부분 호전(VAS 1)되었으나 자반은 남아있는 상태로 탕약복용을 시작하였다. 20일에는 자반이 거의 없어진 상태였으며, 41일에는 완전히 없어졌다. 감기를 자주 앓으면서 약한 복통이 1회 나타났지만 자연 소실되었고, 131일까지 알레르기성 자반증 증상이 재발하지 않고 맥완(脈緩)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5. 사례 5
1) 성별 및 나이: 남 6세
2) 주요증상: 하지자반, 간지러움.
3) 현병력: 발병 10일 전 감기로 항생제와 해열제를 복용하다 하지의 자반과 병변부위에 간지러움증이 발생하였다. 그 후 알레르기성 자반증을 진단받았으며, 그 후 한방 치료를 받았다.
4) 기타증상:
(1) 식사: 양호.
(2) 소화: 양호.
(3) 대변: 마른 대변.
(4) 소변: 양호.
(5) 수면: 양호.
(6) 기타: 오심번열(五心煩熱), 도한(盜汗) 호소. 비출혈 호발.
5) 치료 내용:
(1)한약 치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미육미지황탕 6첩을 1팩당 50cc로, 30팩으로 전탕하여 매 15일의 간격으로 치료 종료시까지 3회/일, 1팩/회로 복용하였다.
6) 치료 경과:
방문한 날 자반 복부 통증 관절염&부종 맥박
01일경 +++ - - 부세삭(浮細數)
14일경 + - - 부세삭(浮細數)
49일경 - - - 맥박이 가늠(細)
84일경 - - - 맥박이 빠름(弦)
105일경 - - - 맥박이 느림(緩)
도 5와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첫날 환자는 양측 하지에 간지러움을 통반한 자반이 발생한 상태였다. 평소 마른 체형에 코피가 자주 나고 오심번열(五心煩熱)을 호소하거나 도한(盜汗) 증상이 심한 점을 고려하여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인한 자반증으로 진단하였다.
내원 며칠 후 감기에 걸리면서 일시적으로 증상이 심해졌으나 한약 복용을 시작 하면서 증상이 점차 호전되어 14일에는 감기 증상은 있었지만 자반은 대부분 없어진 상태였다. 49일에는 자반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이후 105일에는 맥진상으로도 맥이 완화된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다.
특히 사례 3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치료 후에도 치료되지 않은 복통이 한약복용을 통하여 호전되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6. 추가 사례
상기 사례들 외에 추가로 가미육미지황탕을 투여한 20명의 자반증 환자로부터 증상 개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 및 도 6과 같이, 20건의 사례 모두 가미육미지황탕 투여 90일이 되었을 때 그 증상이 대부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성별 나이 내원시 15일 30일 45일 60일 75일 90일
사례 1 5 8 8 3 5 3 1 0
사례 2 3 6 6 6 5 4 2 2
사례 3 8 3 3 4 2 1 0 0
사례 4 14 10 10 8 6 3 2 3
사례 5 7 8 8 7 5 3 1 0
사례 6 7 9 9 9 7 4 2 1
사례 7 7 5 5 6 5 3 1 0
사례 8 9 7 7 4 5 3 1 0
사례 9 4 7 7 5 5 3 1 0
사례 10 5 9 9 6 5 3 1 0
사례 11 5 10 10 8 7 7 5 2
사례 12 11 7 7 7 5 5 1 0
사례 13 9 6 6 5 2 0 0 0
사례 14 10 8 8 3 2 1 0 0
사례 15 6 8 8 4 5 3 1 0
사례 16 7 9 9 5 5 3 1 1
사례 17 8 10 10 9 8 5 3 2
사례 18 8 5 5 3 3 2 1 0
사례 19 6 4 4 2 1 0 0 0
사례 20 9 6 7 5 5 2 1 1
종합하면, 본 발명은 음허(陰虛) 증상을 보이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자에게 가미육미지황탕(加味六味地黃湯)을 투여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증상의 호전과 더불어 알레르기성 자반증이 재발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건지황(Rehmannia glutinosa), 산약(Dioscorea batatas DECNE), 산수유(Macrocarpium officinale NAKAI), 백봉령((Poria cocos.(Schw.) Wolf), 목단피(Moutan Root Bark) 및 택사(Alismatis Rhizoma)를 포함하는 육미지황탕에 당귀(Anglica sinenses(OLIV) DIELS),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아교(glue), 금은화(Lonicera japonica Thunb), 연교(Forthesia suspensa), 맥아(malt), 현삼(Scrophularia burgeriana MIQ), 및 죽여(Bambusa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지황 5 내지 15 중량부;
    산약 5 내지 15 중량부;
    산수유 5 내지 15 중량부;
    백봉령 3 내지 10 중량부;
    목단피 3 내지 10 중량부;
    택사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3 내지 10 중량부;
    황기 5 내지 15 중량부;
    아교 3 내지 10 중량부;
    금은화 3 내지 10 중량부;
    연교 3 내지 10 중량부;
    맥아 3 내지 10 중량부;
    현삼 1 내지 8 중량부; 및
    죽여 1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탕약, 트로키제(troche), 캡슐, 구강정, 과립, 환, 분말, 현탁액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건지황, 산약, 산수유, 백봉령, 목단피 및 택사를 포함하는 육미지황탕에 당귀, 황기, 아교, 금은화, 연교, 맥아, 현삼, 및 죽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6. 삭제
KR1020150025024A 2015-02-23 2015-02-23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024A KR101727132B1 (ko) 2015-02-23 2015-02-23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024A KR101727132B1 (ko) 2015-02-23 2015-02-23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69A KR20160102669A (ko) 2016-08-31
KR101727132B1 true KR101727132B1 (ko) 2017-04-14

Family

ID=5687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024A KR101727132B1 (ko) 2015-02-23 2015-02-23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66A (ko) 2018-02-28 2019-09-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6519A (zh) * 2016-09-26 2017-01-04 四川聚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肝肾阴虚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306430A (zh) * 2021-12-29 2022-04-12 北京康益药业有限公司 一种应用口服液工艺残渣制备药浴液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빛나래 외 2명.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 치험 2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년 11월, pp. 108-11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66A (ko) 2018-02-28 2019-09-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69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tram Bartram's encyclopedia of herbal medicine
TW200843726A (en) Agent for relief or prevention of xerostomia
US6217880B1 (en) Medicament for treating recurrent ulcer of mouth and behcet&#39;s syndrome
CN103520502A (zh) 一种治疗牙龈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727132B1 (ko)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735943B (zh) 一种治疗泄泻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30125425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with function of regulating depressive emo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paration thereof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20034555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CN101721674B (zh) 一种治疗胃病的中药组合物
JP6369931B2 (ja) 抗肥満剤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KR102416513B1 (ko) 반려동물 변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69029B (zh) 一种改善肠道吸收、免疫功能的药食同源本草组合物
EP1581195B1 (en) Film coated tablet comprising an extract of red vine leaves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20140093461A (ko) 음용감이 우수한 소화기능 개선용 민트명수액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4016B1 (ko) 포공영, 어성초, 금은화, 몰약, 위령선, 택사, 목통, 차전자, 유근피, 죽엽, 결명자, 당귀,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10190620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4382893A (zh) 一种ve、vc和姜黄素为主药成分的软胶囊
Shukla Neem Benefits, Uses and Side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