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203A -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203A
KR20160070203A KR1020140175531A KR20140175531A KR20160070203A KR 20160070203 A KR20160070203 A KR 20160070203A KR 1020140175531 A KR1020140175531 A KR 1020140175531A KR 20140175531 A KR20140175531 A KR 20140175531A KR 20160070203 A KR20160070203 A KR 20160070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hange
door
change stage
vehicle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943B1 (ko
Inventor
박한길
이창현
조양래
조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943B1/ko
Priority to US14/951,380 priority patent/US9616902B2/en
Priority to DE102015120405.3A priority patent/DE102015120405A1/de
Priority to CN201510883501.3A priority patent/CN105691386B/zh
Publication of KR2016007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30Auxiliary equip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고,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주행을 허용하되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 로직이 포함된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PASSENGER SAFETY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열린 상태일 경우 차량 구동을 제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은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주행가능 변속단(D, 2, L, R)에 위치시켰을 경우, 변속 레버와 맞물려진 인히비터 스위치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변속 레인지에서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최근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행가능 변속단으로 차량 구동시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전자식 변속 시스템(Shift By Wire)이 적용된 차량은 기계적으로 로드와 케이블로 변속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상황에 따라 변속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운전석 도어와 시트벨트 조건 등에 따라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적으로 변속단을 P단으로 전환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 후 차량이 구동되어 주행되는 경우에 대한 안전 보호 방안이 제시되지 않음에 따라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상태 또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주행됨에 따라 접촉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KR20-1999-0020287 A에 개시된 "차량의 도어개방 경고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미러의 미러하우징과 미러 사이에 경고색을 띈 랜즈가 부착설치되고, 이 랜즈의 내측에는 경고용 램프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한편, 차량의 도어 일측에는 도어의 개방에 따라 온/오프되는 접촉스위치가 설치되어 밧데리전원을 상기 램프에 인가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는 구조로 된 차량의 도어개방 경고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운전자의 부주의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이 허용되는바, 탑승자의 안전을 확실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999-0020287 A (1999. 06. 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차량이 구동되어 주행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은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고,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주행을 허용하되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 로직이 포함된다.
상기 제어 로직은,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체크단계;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체크단계;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주행판단단계; 및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된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안전조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주행판단단계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변속 시도시 주행 상태로 진입하려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판단단계는,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도어체크단계를 통해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구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조치단계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한다.
상기 주행판단단계는,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도어체크단계를 통해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는 안전대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작동됨으로써 차량이 정차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경우 상기 주행판단단계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의 해제 시도시 주행 상태로 진입하려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판단단계는,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도어체크단계를 통해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시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작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대처단계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에 따르면,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차량이 구동되어 주행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사고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탑승자에 대해서도 안전 사고를 고려함에 따라 안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 시스템(Shift By Wire)이 적용된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어에 의해 변속단을 변경 및 설정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식 변속 시스템을 도어 개폐 여부와 연동하여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변속단이 특정 변속단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은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고,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주행을 허용하되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 로직이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은 현재 변속단과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진입시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주행하고자 할 경우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라도 개방되어 있으면, 차량이 주행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정차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변속단의 위치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속도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승자 보호 방법에 대한 제어 로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 로직은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체크단계(S100);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체크단계(S200);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주행판단단계(S300); 및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된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안전조치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단체크단계(S100)에서는 현재 변속단을 검출(S102)하여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인 D 단 혹은 R 단인지 또는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도어체크단계(S200)에서는 현재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인지를 판단(S202)한다. 여기서,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뿐만 아니라 운전석 도어까지 모두 포함하여 모든 좌석의 도어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이와 더불어 트렁크 도어의 개방 상태까지 더 파악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탑상자의 안전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주행판단단계(S300)에서는 차량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변속하거나,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에서 작동 해제되는 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변속단체크단계(S100), 도어체크단계(S200), 주행판단단계(S3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하는 안전조치단계(S400)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이 구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을 위한 시도가 확인되면, 즉각적으로 변속단을 주행이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차량 구동이 제한되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 상기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주행판단단계(S300)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변속 시도시 주행 상태로 진입하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일 경우 현재 차량의 주행이 제한되어 정차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주행판단단계(S300)를 통해 주행 상태의 진입을 판단시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인 D 단 혹은 R 단으로 변속 시도가 있을 경우 차량이 주행하려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경우, 주행판단단계(S300)에서는 주행 시도에 대한 판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변속이 시도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안전조치단계(S400)에서는 운전자가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변속을 시도하더라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으로 강제 전환하여 고정함으로써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를 완전히 폐쇄 후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판단단계(S300)는,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도어체크단계(S200)를 통해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구동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으로 정차 상태에 있으며,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탑승자가 차량에 완전히 탑승하거나 하차한 상태로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변속단을 주행 가능한 변속단인 D 단 혹은 R 단으로 변속 시도시 해당 변속을 허용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차량이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구동단계(S500)를 수행한다. 이렇게,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안정적인 조건에서 차량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행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조치단계(S400)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이렇게, 안전조치단계(S400)에서는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 및 고정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와 더불어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여 차량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클러스터에 경고등뿐만 아니라, 경고음을 지속적으로 전달하여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행판단단계(S300)는,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도어체크단계(S200)를 통해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 가능한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안전대처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상태로서, 이미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인 D 단 혹은 R 단에 위치된 것이다. 단,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상태는 브레이크가 작동된 것으로, 운전자가 운행 중 일시적으로 차량을 정시시킨 상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되고, 주행 가능한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으로 전환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경우 상기 주행판단단계(S300)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의 해제 시도시 주행 상태로 진입하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인 D 단 혹은 R 단일 경우 현재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이며, 브레이크가 작동됨에 따라 차량이 정차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행판단단계(S300)를 통해 주행 상태의 진입을 판단시 브레이크의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주행 상태에 진입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경우, 주행판단단계(S300)에서는 주행 시도에 대한 판단을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 여부를 검출하여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안전대처단계(S600)에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 가하는 답력을 해제하여 브레이크가 작동 해제되면,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인 N 단 혹은 P 단으로 강제 전환하여 고정함으로써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를 완전히 폐쇄 후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판단단계(S300)는, 변속단체크단계(S100)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도어체크단계(S200)를 통해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시 정상적으로 차량이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작동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인 D 단 혹은 R 단으로 주행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시 안전이 확보된 상태로서,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시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안정적인 조건에서 차량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된 상태에서 주행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대처단계(S600)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전대처단계(S600)에서는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 및 고정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와 더불어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을 인지킬 수 있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클러스터에 경고등뿐만 아니라, 경고음을 지속적으로 전달하여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에 따르면,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차량이 구동되어 주행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사고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탑승자에 대해서도 안전 사고를 고려함에 따라 안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0:변속단체크단계 S200:도어체크단계
S300:주행판단단계 S400:안전조치단계
S500:정상구동단계 S600:안전대처단계
S700:정상작동단계

Claims (10)

  1.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고,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주행을 허용하되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여 차량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 로직이 포함된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체크단계;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체크단계;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주행판단단계; 및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된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안전조치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주행판단단계에서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에서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변속 시도시 주행 상태로 진입하려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판단단계는,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도어체크단계를 통해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구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치단계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판단단계는,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도어체크단계를 통해 조수석 도어 또는 후석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정되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전환하는 안전대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작동됨으로써 차량이 정차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경우 상기 주행판단단계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의 해제 시도시 주행 상태로 진입하려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행판단단계는, 변속단체크단계를 통해 현재 변속단이 주행 가능한 변속단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도어체크단계를 통해 조수석 도어와 후석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시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정상작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전대처단계는 변속단을 주행 불가능한 변속단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KR1020140175531A 2014-12-09 2014-12-09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KR10169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31A KR101693943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US14/951,380 US9616902B2 (en) 2014-12-09 2015-11-24 Safety method for passenger of vehicle
DE102015120405.3A DE102015120405A1 (de) 2014-12-09 2015-11-25 Verfahren zur Sicherheit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CN201510883501.3A CN105691386B (zh) 2014-12-09 2015-12-04 用于车辆乘员的安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31A KR101693943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03A true KR20160070203A (ko) 2016-06-20
KR101693943B1 KR101693943B1 (ko) 2017-01-09

Family

ID=5597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531A KR101693943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6902B2 (ko)
KR (1) KR101693943B1 (ko)
CN (1) CN105691386B (ko)
DE (1) DE1020151204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76A (ko) * 2017-12-14 2019-06-24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음성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제어 방법, 차량 및 시해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3739B2 (en) * 2016-05-31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ed system for closing a closure of a motor vehicle based upon transmission state
EP3506236B1 (en) 2016-08-25 2022-01-12 Sony Group Corporation Vehicle state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vehicle
US11410437B2 (en) 2017-10-04 2022-08-0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false positives during determination of a presence of at least one rear seat passenger
CN108312930B (zh) * 2017-12-15 2020-12-04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用于车辆的承载构件控制系统和方法
US20200114842A1 (en) * 2018-10-15 2020-04-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closure open warning system and method
CN110930550A (zh) * 2019-11-21 2020-03-27 北京小马慧行科技有限公司 车辆行驶的控制方法、系统、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JP2021088278A (ja) * 2019-12-04 2021-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CN113022589A (zh) * 2021-04-08 2021-06-25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车辆用户信息与个性化设置关联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287A (ko) 1997-08-30 1999-03-25 윤종용 페이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호출수신 알림장치 및 방법
KR20020053108A (ko) * 2000-12-26 2002-07-05 이계안 주행 모드에서의 운전자 하차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4482A (ko)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 장치
KR20130000063A (ko) * 2011-06-22 2013-01-0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도어 개방에 따른 차량의 출발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79098A (ko) * 2012-12-18 2014-06-2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정차 중 운전자 이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2278B1 (fr) * 1995-04-03 1997-06-20 Magneti Marelli France Systeme a boite de vitesses mecanique robotisee comprenant des moyens de commande perfectionnes a l'arret du vehicule
KR200213496Y1 (ko) 1997-11-25 2001-05-02 정몽규 차량의 도어개방 경고장치
US6712171B2 (en) * 2001-10-02 2004-03-3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fueling safety switch
US8897978B2 (en) * 2011-12-09 2014-1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neutral hold mode in a shift-by-wire transmission
JP5723312B2 (ja) * 2012-03-23 2015-05-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四輪自動車用のシフトバイワイヤ制御システム
US20140229092A1 (en) * 2013-02-14 2014-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unintended vehicle trav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287A (ko) 1997-08-30 1999-03-25 윤종용 페이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호출수신 알림장치 및 방법
KR20020053108A (ko) * 2000-12-26 2002-07-05 이계안 주행 모드에서의 운전자 하차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4482A (ko)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 장치
KR20130000063A (ko) * 2011-06-22 2013-01-0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도어 개방에 따른 차량의 출발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79098A (ko) * 2012-12-18 2014-06-2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정차 중 운전자 이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76A (ko) * 2017-12-14 2019-06-24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음성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제어 방법, 차량 및 시해정 시스템
US10766455B2 (en) 2017-12-14 2020-09-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control method, vehicle, and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US10988109B2 (en) 2017-12-14 2021-04-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control method, vehicle, and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91386A (zh) 2016-06-22
CN105691386B (zh) 2019-12-20
KR101693943B1 (ko) 2017-01-09
DE102015120405A1 (de) 2016-06-09
US9616902B2 (en) 2017-04-11
US20160159369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943B1 (ko) 차량용 탑승자 보호 방법
JP5723312B2 (ja) 四輪自動車用のシフトバイワイヤ制御システム
CN102883917B (zh) 车辆控制装置
JP2012166631A (ja) 踏み間違い対応装置および踏み間違い対応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20200133831A (ko)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 방법 및 자동 주차 제어 장치
US5485376A (en) Steering wheel posture control system
KR20180056836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토홀드 제어 방법
US8235866B2 (en) Method for actuating a gear step in an automatic or automated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otor vehicle
JP2009143445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601770B1 (ko) 차량의 자동 정차 방법 및 정차 장치
JP4147253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014354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5460017B2 (ja) 電気自動車制御装置
US11952821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506934B1 (ko) 승객 하차 보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JP2017150569A (ja) シフトバイワイヤ制御装置
JP4910980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利用した飲酒運転防止システム
JP6458740B2 (ja) シフト制御装置
JP200906267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の制御方法
JP5016499B2 (ja) ドアアンロック装置
JP2005170311A (ja) 車両のハザードランプ制御装置
JP2529040Y2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の駆動制御装置
KR20090062859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시동 꺼짐시 위험 회피 장치 및 이를이용한 방법
KR20160107955A (ko) 가속 제어 장치
JP6035507B2 (ja) 車両のパワー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