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127A -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127A
KR20160067127A KR1020167010538A KR20167010538A KR20160067127A KR 20160067127 A KR20160067127 A KR 20160067127A KR 1020167010538 A KR1020167010538 A KR 1020167010538A KR 20167010538 A KR20167010538 A KR 20167010538A KR 20160067127 A KR20160067127 A KR 2016006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according
residual
salt
range
xanthohu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524B1 (ko
Inventor
마리우스 가고스
Original Assignee
악센 바이오 그룹 에스피. 제트 오.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센 바이오 그룹 에스피. 제트 오. 오. filed Critical 악센 바이오 그룹 에스피. 제트 오. 오.
Publication of KR2016006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85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79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solid-liquid treatment; by chemi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86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2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21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9/215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poly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782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Abstract

본 발명은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데, 이는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이 물과 혼합되고, 전이 금속염 용액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되고, 상기 얻어진 잔토휴몰 침전물을 수집 및 건조하여 90% 보다 높은 순도의 잔토휴몰을 얻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xanthohumol}
본 발명은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과립 홉 식물 또는 홉(hops)으로부터 고순도 잔토휴몰을 제조하는 공정을 제공한다. 얻어진 잔토휴몰의 고순도 때문에, 그것은 식이 보충제, 음료 및 치료제 성분으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잔토휴몰(Xn) 또는 ((E)-1-[2,4-디하이드록시-6-메톡시-3-(3-메틸붓-2-에닐)-페닐]-3-(4-하이드록시페닐)-프롭-2-엔-1-원)[((E)-1-[2,4-dihydroxy-6-methoxy-3-(3-methylbut-2-enyl)-phenyl]-3-(4-hydroxyphenyl)-prop-2-en-1-one)]은 프레닐화된(prenylated) 챨콘 그룹의 자연 발생 화합물이고, 그것의 주된 원천는 Humulus Lupus(홉)은 암꽃차례(female inflorescence)이다. 그것은 맥주에 단지 미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화합물은 α,β-불포화 카르보닐 일부분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벤젠 고리들로 이루어진다.
Figure pct00001
잔토휴몰(Xn)
분자내에 자유 하이드록시 기의 존재는 적합한 플라바논-플라보노이드 생합성 경로에서의 중간체로 이성질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홉의 다른 성분과 대조적으로, 잔토휴몰은 친유성이어서 그 특징은 그 구조에서 프레닐화된 치환기의 존재와 관련된다. 살아 있는 생물학적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닐화된 (파르네실 또는 게라닐게라닐) 부분들은 많은 세포내 분자들이 세포막에 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그것들의 적절한 활동을 결정함에 유념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잔토휴몰의 경우에도, 그러한 부분들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동도를 상당히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물리-화학적 특성들과 준세포(sub-cellular)의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어져 왔다.
체외 및 체내 연구들은 또한 잔토휴몰은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염증 및 산화 과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제안한다. 주요한 연구들은 산소 자유 라디칼 및 그 반응성 형태(RTF)의 제거,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 Ⅰ 및 COX Ⅱ) 활성 억제, 프로스타글란딘, NO, TNFα, NFΚB 생성의 감소 및 세포막 인지방질 과산화의 중화이다.
잔토휴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은 그 분자내에 하이드록시 기 및 프레닐화된 치환기의 존재와 관련된다. 또한, α,β-불포화 카르보닐 부분도 중요하다. 그 부분은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친핵체(nucleophiles) 예컨대, 단백질내의 L-시스테인 및 다른 설프히드릴 기-포함하는 분자들과 함께 미첼(Michel) 반응에 관여한다. 그러한 방법으로, 잔토휴몰에 의해 구속되어 다양한 분자들의 생물학적 활성의 손실을 야기시키는 공유 부가 생성물이 얻어진다.
광범위한 잔토휴몰 활성은 아마도 중요한 생물학적 분적들을 구속시키는 화합물의 능력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널리 알려진 예들 중의 하나는 중합효소 α 합성효소, 토포이소머라제 Ⅰ, 알칼리 포스파타제, 아로마타제, 디아실 글리세롤 아실기 전달효소, MAPK 시그널링 경로 단백질, FAK 키나제, Akt 및 STAT 또는 NF-ΚB 전사인자에 대한 잔토휴몰의 영향이다. 상기 단백질 활성의 Xn-유도 감소는 종양 세포내에서 확산, 세포 주기, 부착 및 이동 방해의 결과로서 다면 발현성 세포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그것의 신경보호 특성들에 관한 정보가 주목할만하다. 체내에서의 뇌허혈(腦虛血)을 반영하는 MCAO-유도 허혈에 대한 쥐 모델에 있어서, 잔토휴몰이 뇌허혈 괴사 부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잔토휴몰은 또한 β-아밀로이드 펩타이드(Aβ)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독성 효과를 또한 감소시키는 것으로 제안된다. Aβ는 자유-라디칼 메커니즘을 조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신경 세포내에서 지방질의 과산화 및 자유 라디칼의 생성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그 세포자멸을 야기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병의 주된 원인들 중의 하나이다.
게다가, 수용체에 대한 그 효과를 제외하고는, 잔토휴몰의 활성 메커니즘은 지질막에 대한 그 선택적인 활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잔토휴몰과 시험 지질막과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세포막의 동적 및 구조적 특성들의 주된 변화를 보여준다. 비록 매우 소량의 잔토휴몰의 농도 조차도 지질막의 친수성 조각들과 강하게 상호작용하여 이중층 두께 변화에 영향을 준다. 또한, 네오니코티노이드는 그것의 높은 소수성 때문에 지질막을 매우 쉽게 관통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잔토휴몰과 지질막의 상호작용은 네오니코티노이드에 의한 관통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니코틴 수용체들을 차단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그 강한 활성을 설명할 수 있다.
화학적 구조에 관하여, 잔토휴몰은 폴리페놀이지만, 폴리페놀과 대조적으로 뜨거운 물에서 거의 용해되지 않지만 알콜 또는 물/알콜 혼합물에서 쉽게 용해된다.
잔토휴몰의 훌륭한 원천은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인데, 이는 맥주 제조를 위한 양조업에서 사용된 홉 추출물의 생산으로부터 야기되는 폐기물을 포함한다.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은 홉 식물의 종에 따라 1%의 잔토휴몰까지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잔토휴몰의 제조를 위한 수많은 기술들이 이미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출원 DE 199 39 350 A1은 잔토휴몰-농축 홉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기재하는데, 여기에서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 추출을 위해 사용되었다. 얻어진 추출물은 5 내지 15%의 잔토휴몰을 함유하였다.
특허 EP 1 424 385 B1은 500 바 이상의 압력 및 60℃ 이상의 온도에서 용매로서 압축 CO2를 사용함으로써 잔토휴몰-함유 원래로부터 잔토휴몰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출원 CN 101440029는 홉 식물과 잔토휴몰-함유 생성물로부터 잔토휴몰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는 초음파에 의해 도움을 받는 유기 용매와 함께 추출이 수행되고, 이어서 규조토와 혼합하고, 여과하고, 물/메탄올 혼합물로 세척척하고, 농축하고, 침전시키고 그리고 건조하여 86% 순도의 잔토휴몰을 얻었다.
특허 EP 2 187 899 B1은 홉 식물로부터 높은 잔토휴몰 함량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는 0.05 내지 5.0 M 범위내의 농도까지 잔토휴몰-함유 용액에 염이 첨가되고, 이어서 pH를 10.5 내지 12.0까지 증가시키고, 그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그 여과 생성물을 pH 7-8까지 산성화하여 40-95% 순도의 잔토휴몰 침전물을 얻었다.
특허 출원 US 11/790,365는 높은 함량(60-90%)의 잔토휴몰을 가진 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의 방법은 알카리 용액내에서 잔토휴몰-농축 추출물을 매달고, 불용성 생성물을 분리시키고, 산과 함께 용해된 잔토휴몰을 중화 및 침전시키고, 생성물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허 CN 101433592는 고순도 잔토휴몰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흡착 수지들의 사용을 개시한다.
결론적으로, 종래기술의 분석은 고순도 잔토휴몰의 제조를 위한 간단하고 저비용인 공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명확히 개시한다.
상기 문제점은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과립 홉 식물 또는 홉들로부터 잔토휴몰을 제조하는 새롭게 개발된 공정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은,
a)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이 물과 혼합되고;
b) 전이 금속염 용액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되고;
c) 상기 얻어진 잔토휴몰 침전물을 수집 및 건조하여 90% 보다 높은 순도의 잔토휴몰을 얻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혼합물내의 염 농도는 0.001M 내지 10M의 범위내에서 조절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혼합물내의 염 농도는 0.001M 내지 0.05M의 범위내 또는 5M 이상으로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염을 첨가한 후에, 추가적으로,
b1) 상기 용액이 7 pH 이상으로 알칼리화되고;
b2) 첫번째 침전물이 여과되어 제거되고, 여과액은 7 pH 이하로 산성화되고;
b3) 상기 산성화된 여과액은 농축되어 잔토휴몰 침전물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용액은 7.5 내지 10.5 범위내 또는 12 이상의 pH 레벨로 알킬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은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홉, 과립 홉 식물 또는 극성 유기 용매와의 그것들의 혼합물의 추출에 의해 얻고, 상기 용매는 원료 1 kg 당 0.1 내지 10 리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유기 용매로서, 케톤과 알콜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유기 용매로서,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5 내지 65℃ 범위내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은 추출물 1 리터 당 물 0.1 내지 5 리터 범위내의 비율로 물과 혼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은 추출물 1 리터 당 물 1 내지 3 리터 범위내의 비율로 물과 혼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전이 금속염의 농도는 0.01M 내지 0.05M 범위내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금속염으로서, 구리(Ⅱ) 염 또는 아연(Ⅱ) 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금속염으로서, 염화염, 질산염 또는 황산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금속염으로서, 염화 구리(Ⅱ), 황산 구리(Ⅱ) 또는 염화 아연(Ⅱ) 또는 황산 아연(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좋은 수득률에서 적어도 90%(보통 95% 이상) 순도의 잔토휴몰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복잡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또는 지원받는(supported) 수지들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얻어진 잔토휴몰의 순도는 15 ㎝ x 4.6 mm, 5 ㎛ 입경, 20℃의 칼럼 온도, 상 A- 95% 아세토니트릴 0.3% HCOOH; 상 B- 2% 아세토니트릴 0.3% HCOOH, 2ml/min 유량률, 20㎕ 주입, 370 및 290nm 파장에서 검출하는 SUPERCOSIL LC-PAH에서 HPLC 기술로 결정되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작업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실시예 1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250g이 계량되었고, 아세톤(0.75L)과 함께 부어졌다. 1 시간 동안의 기계적 교반 후에, 형성된 추출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다. 얻어진 여과액(0.65L)는 물(1.3L)과 함께 쏟아졌다. 그 다음, 그 용액은 여과액 1 리터 당 300ml 부피로 수용액 CuCl2(10 g/l의 농도)과 함께 첨가되었다(최종 농도 0.022M). 염화 구리를 첨가한 후에, 용액의 pH는 ~4.5로 안정화되었다. 실질적으로, 염화 구리를 붓자 마자, 추출물내에서 침전이 일어나고, 잔여 후물론과 엽록소로 이루어진 녹색 물질이 응집되고, 잔토휴몰이 발견된 황색 용액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한 시간 후에, pH를 약 10까지 올림으로써 과잉 구리를 침전시키기 위하여 NaOH가 첨가되었다. 한 시간 후에, 용기의 바닥에서 탁한 덩어리와 수산화구리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그 침전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다. 얻어진 여과액은 pH6까지 HCl로 산성화되었고, 결정질 잔토휴몰 침전물의 산출을 위해 회전식 증발기에서 농축되었다. 상기 결정질 잔토휴몰 침전물은 여과되어 제거되었고 오븐(50-60℃)에서 건조되었고, 이는 97.8% HLPC 순도의 잔토휴몰 206mg을 주었다. 잔토휴몰 추출 공정의 산출량은 이미 사용된 홉내의 잔토휴몰 총 함량에 기초할 때 82%였다.
실시예 2
다음의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염화 구리를 첨가한 후, 침전된 녹색 슬러지가 여과되어 제거되었고, 여과액은 회전식 증발기에서 농축되었고, 이는 90.8% HPLC 순도의 결정질 잔토휴몰 침전물을 주었다.
실시예 3
다음의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염화 구리는 10 g/l 농도의 황산 아연(ZnSO4) 용액으로 대체되었다. 아연 염 용액의 첨가 후, 용액의 pH는 ~6으로 안정화되었고,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약 한 시간 후에 NaOH가 첨가되었고 pH는 약 10까지 증가되었다. 1시간 후, 추가적인 침전이 용기의 바닥에서 관찰되었다. 그 침전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어 제거되었다. 얻어진 여과액은 pH 6의 HCl로 산성화되었고, 회전식 증발기에서 농축되어 결정질 잔토휴몰 침전물을 얻었다. 이는 여과되어 제거되었고, 오븐(50-60℃)에서 건조되었고, 이는 이미 사용된 홉내의 잔토휴몰 총 함량에 기초할 때 산출량 79%를 가진, 97.8% HLPC 순도의 잔토휴몰을 주었다.
실시예 4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250g이 계량되었고, 순수 메탄올(0.75L)과 함께 부어졌다. 1 시간 동안의 기계적 교반 후에, 형성된 추출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다. 얻어진 여과액은 1:2(여과액 1부분 대 물 2 부분)의 부피 비율로 물과 함께 부어졌다. 그 다음, 그 용액은 여과액 1 리터 당 300ml 부피로 수용액 CuCl2(10 g/l의 농도)과 함께 첨가되었다(최종 농도 0.022M). 한 시간 후에, 추출물내에서 침전이 관찰되었고, 녹색 물질이 응집되고, 황색 용액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그 다음, pH를 약 10까지 올리기 위하여 NaOH가 첨가되었다. 한 시간 후에, 용기의 바닥에서 탁한 녹색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그 형성된 추출물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다. 얻어진 추출물은 pH6까지 HCl로 산성화되었다. 용매의 잔여량은 증발기에서 제거되었고, 잔토휴몰 결정의 부유물이 관찰되었다. 그 부유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고 잔토휴몰을 산출하였고, 이는 오븐(55℃)에서 건조되었고, 이는 이미 사용된 홉내의 잔토휴몰 총 함량에 기초할 때 대략 산출량 78%를 가진, 95.8% 순도의 잔토휴몰 196mg을 주었다.
실시예 5
다음의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염화 구리(Ⅱ) 대신에, 황산 구리(Ⅱ)(CuSO4)가 10 g/l 농도로 사용되었고, 94.8% 순도를 가진 잔토휴몰이 얻어졌다.
실시예 6
다음의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고농도의 염화 구리(Ⅱ)(CuSO4)가 0.022M 내지 0.044M 범위내에서 사용되었고, 96.3-97.8% 범위의 순도를 가진 잔토휴몰이 얻어졌다.
실시예 7
다음의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제1 단계로부터의 추출물에 대한 첨가물 양의 비율이 1:1이고, 0.022M 농도의 CuCl2가 사용되었고, 96.8% 순도를 가진 잔토휴몰이 얻어졌다.
실시예 8
다음의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아세톤 대신에 2-프로판올이 그리고 0.022M 농도의 CuCl2가 사용되었고, 93.8% 순도를 가진 잔토휴몰이 얻어졌다.
비교 실시예 1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250g이 계량되었고, 아세톤(0.75L)과 함께 부어졌다. 1 시간 동안의 기계적 교반 후에, 형성된 추출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다. 얻어진 여과액은 농축되었고, 이는 32.8% 순도의 잔토휴몰을 산출하였다.
비교 실시예 2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250g이 계량되었고, 아세톤(0.75L)과 함께 부어졌다. 1 시간 동안의 기계적 교반 후에, 형성된 추출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었다. 얻어진 여과액(0.65L)는 물(1.3L)과 함께 쏟아졌다. 그 다음, 그 용액은 여과액 1 리터 당 300ml 부피로 수용액 NaCl(30 g/l의 농도)과 함께 첨가되었다. 그 다음, pH를 약 12까지 올리기 위하여 NaOH가 첨가되었다. 형성된 침전물은 여과지를 통해 여과되어 제거되었다. 얻어진 여과액은 pH 5까지 HCl로 산성화되었고, 회전식 증발기에서 농축되어 잔토휴몰 침전물을 얻었다. 이는 여과되어 제거되었고 오븐(50-60℃)에서 건조되었고, 이는 84.8% HLPC 순도의 잔토휴몰을 산출하였다.
비교 실시예 3
NaCl이 사용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잔토휴몰을 얻었다. 잔토휴몰은 단지 pH 12 까지의 알칼리화의 결과로서 58% HPLC 순도를 가진 잔토휴몰이 얻어졌다.
상술한 작업 실시예들에 기초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특별하게 간단하면서 저렴한 공정에 의해 고순도의 잔토휴몰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었음이 명확해졌다.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 얻어진 잔토휴몰이 공지된 방법에 따라 추가적으로 정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a)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이 물과 혼합되고;
    b) 전이 금속염 용액이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되고;
    c) 상기 얻어진 잔토휴몰 침전물을 수집 및 건조하여 90% 보다 높은 순도의 잔토휴몰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혼합물내의 염 농도는 0.001M 내지 10M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혼합물내의 염 농도는 0.001M 내지 0.05M의 범위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염을 첨가한 후에, 추가적으로,
    b1) 상기 용액이 pH 7 이상으로 알칼리화되고;
    b2) 첫번째 침전물이 여과되어 제거되고, 여과액은 pH 7 이하로 산성화되고;
    b3) 상기 산성화된 여과액은 농축되어 잔토휴몰 침전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용액은 7.5 내지 10.5 범위내의 pH 레벨로 알킬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6. 제 1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은 추출 후 이미 사용된 홉, 홉, 과립 홉 식물 또는 극성 유기 용매와의 그것들의 혼합물의 추출에 의해 얻고, 상기 용매는 원료 1 kg 당 0.1 내지 10 리터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7. 제 6 항에 있어서, 극성 유기 용매로서, 케톤과 알콜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8. 제 7 항에 있어서, 극성 유기 용매로서,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5 내지 65℃ 범위내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은 추출물 1 리터 당 물 0.1 내지 5 리터 범위내의 비율로 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잔토휴몰-함유 추출물은 추출물 1 리터 당 물 1 내지 3 리터 범위내의 비율로 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전이 금속염의 농도는 0.01M 내지 0.05M 범위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염으로서, 구리(Ⅱ) 염 또는 아연(Ⅱ) 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염으로서, 염화염, 질산염 또는 황산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염으로서, 염화 구리(Ⅱ), 황산 구리(Ⅱ) 또는 염화 아연(Ⅱ) 또는 황산 아연(Ⅱ)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KR1020167010538A 2013-10-04 2014-09-16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KR102308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P.405540 2013-10-04
PL405540A PL223580B1 (pl) 2013-10-04 2013-10-04 Sposób otrzymywania ksantohumolu o wysokiej czystości
PCT/IB2014/001872 WO2015049561A1 (en) 2013-10-04 2014-09-16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xanthohum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127A true KR20160067127A (ko) 2016-06-13
KR102308524B1 KR102308524B1 (ko) 2021-10-05

Family

ID=5184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538A KR102308524B1 (ko) 2013-10-04 2014-09-16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9556097B2 (ko)
EP (1) EP3052466B1 (ko)
JP (1) JP6396479B2 (ko)
KR (1) KR102308524B1 (ko)
CN (1) CN105829275B (ko)
AU (1) AU2014330867B2 (ko)
BR (1) BR112016007460B1 (ko)
CA (1) CA2926619C (ko)
CL (1) CL2016000784A1 (ko)
CY (1) CY1119888T1 (ko)
DK (1) DK3052466T3 (ko)
ES (1) ES2657042T3 (ko)
HR (1) HRP20180042T1 (ko)
HU (1) HUE037941T2 (ko)
IL (1) IL244755B (ko)
LT (1) LT3052466T (ko)
ME (1) ME02981B (ko)
MX (1) MX362188B (ko)
PL (1) PL223580B1 (ko)
PT (1) PT3052466T (ko)
RS (1) RS56756B1 (ko)
RU (1) RU2655926C2 (ko)
SI (1) SI3052466T1 (ko)
UA (1) UA116913C2 (ko)
WO (1) WO2015049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2648B1 (pl) * 2017-06-30 2023-04-03 Bioactive Tech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otrzymywania ksantohumolu
US11026897B2 (en) 2018-08-10 2021-06-08 Metagenics, Inc. Composition of curcumagalactomannoside and hops extract
EP4104817A1 (en) 2021-06-17 2022-12-21 Skeye Pharma GbR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astragaloside iv
EP4104818A1 (en) 2021-06-17 2022-12-21 Skeye Pharma GbR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xanthohumol
EP4302767A1 (en) 2022-07-04 2024-01-10 Skeye Pharma GmbH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eriocitrin
PL441690A1 (pl) * 2022-07-08 2024-01-15 Innox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izolacji i oczyszczania ksantohumol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0122A (zh) * 1999-01-08 2000-07-19 仲伟德 一种以植物为原料的杀菌剂农药
EP2187899B1 (en) * 2007-08-15 2013-05-15 Flaxan GmbH & Co. KG Xanthohumol-enriched hop extrac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74678A (en) 1968-11-19 1972-05-17 Bush Boake Allen Ltd Hop extracts
DE19939350B4 (de) 1999-08-19 2005-04-07 Plantextrakt Gmbh & Co. Kg Hopfenextra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139479A1 (de) 2001-08-10 2003-02-27 Schwabe Willmar Gmbh & Co Hopfenextrak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56031A1 (de) 2002-11-30 2004-06-09 Nateco 2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Xanthohumol-angereicherten Hopfenextraktes und dessen Verwendung
EP1543834A1 (en) 2003-12-16 2005-06-22 Biodynamics Production of hop extracts having oestrogenic and antiproliferative bioactivity
DE102006018988B3 (de) * 2006-04-25 2007-08-09 Nateco2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Xanthohumol-haltigen Pulvers hoher Reinheit und dessen Verwendung
RU2344167C2 (ru) * 2007-03-12 2009-0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ары Кубани" Хмелевый экстракт
US8142821B2 (en) 2007-08-15 2012-03-27 Flazan GmbH & Co. KG Xanthohumol-enriched hop extract
CN101440029A (zh) 2008-11-04 2009-05-27 中国食品发酵工业研究院 一种从啤酒花中提取黄腐酚的方法
CN101433592B (zh) 2008-12-12 2011-06-08 桂林莱茵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含黄腐酚的啤酒花提取物的制备方法
PL214468B1 (pl) 2009-05-15 2013-08-30 Univ Przyrodniczy We Wroclawiu Sposób otrzymywania ksantohumolu
CN101811950B (zh) 2010-05-07 2013-01-30 玉门拓璞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高纯度黄腐酚的工业化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0122A (zh) * 1999-01-08 2000-07-19 仲伟德 一种以植物为原料的杀菌剂农药
EP2187899B1 (en) * 2007-08-15 2013-05-15 Flaxan GmbH & Co. KG Xanthohumol-enriched hop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6479B2 (ja) 2018-09-26
SI3052466T1 (en) 2018-02-28
NZ719709A (en) 2020-09-25
CA2926619A1 (en) 2015-04-09
HRP20180042T1 (hr) 2018-02-09
HUE037941T2 (hu) 2018-09-28
WO2015049561A1 (en) 2015-04-09
ES2657042T3 (es) 2018-03-01
MX362188B (es) 2019-01-07
BR112016007460B1 (pt) 2023-05-02
RS56756B1 (sr) 2018-04-30
RU2655926C2 (ru) 2018-05-30
KR102308524B1 (ko) 2021-10-05
UA116913C2 (uk) 2018-05-25
IL244755B (en) 2019-10-31
PL405540A1 (pl) 2015-04-13
JP2016535763A (ja) 2016-11-17
PT3052466T (pt) 2018-01-30
US20160237014A1 (en) 2016-08-18
ME02981B (me) 2018-10-20
LT3052466T (lt) 2018-02-12
CN105829275B (zh) 2017-09-19
CL2016000784A1 (es) 2016-10-07
MX2016004128A (es) 2016-08-12
CA2926619C (en) 2021-11-23
US9556097B2 (en) 2017-01-31
AU2014330867A1 (en) 2016-05-26
EP3052466A1 (en) 2016-08-10
IL244755A0 (en) 2016-04-21
PL223580B1 (pl) 2016-10-31
CN105829275A (zh) 2016-08-03
BR112016007460A2 (pt) 2017-08-01
RU2016115081A3 (ko) 2018-03-29
RU2016115081A (ru) 2017-11-10
EP3052466B1 (en) 2017-10-25
DK3052466T3 (en) 2018-01-22
AU2014330867B2 (en) 2017-11-23
CY1119888T1 (el)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524B1 (ko) 잔토휴몰의 제조 공정
US10882813B2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ferric oraganic compounds
WO2009093259A2 (en) A PROCESS FOR PRODUCING γ-MANGOSTIN
CN108218948B (zh) 一种七叶皂苷钠的制备方法
AU2004319676B2 (en) Method for producing iron (III) gluconate complex
CZ20004775A3 (en) Process for preparing aloin by extraction
RU2557992C1 (ru) Антиоксидан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гепатопротекторным эффектом на основе нано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го селена и способы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CN109134331A (zh) 阿奇霉素基因毒性杂质的合成方法
NZ719709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xanthohumol
US20040229953A1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ly water soluble double salts of hydroxycitric acid particularly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double salts
RU241193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3,6,7-тетрагидроксинафтазарина
JP6633791B2 (ja) ノビレチン含有固体分散体の製造方法
FI98889C (fi) Menetelmä kasviuuteperäisen antineoplastisen lääkkeen valmistamiseksi
RU269719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дорастворимой солевой формы эхинохрома А, пригодно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фармакологической и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KR101153344B1 (ko) 캠페리트린 분리 및 정제 방법
WO2020165781A1 (e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roferric oxyhydroxide"
JPS63185999A (ja) ツエインの製造法
KR101418059B1 (ko)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PL242648B1 (pl) Sposób otrzymywania ksantohumolu
US3147246A (en) Obtention of an alkaloid from nuphar luteum
RU256860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3,7-триоксиюглона (спинохрома в)
JPWO2005095413A1 (ja) 抗腫瘍剤
JPS6257637B2 (ko)
JPS6016999A (ja) ソ−ヤサポニン混合物の製法
PL221810B1 (pl) Sposób wyodrębnienia flawanonów i ich chalkonów z chmielu lub produktów chmielow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