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328A -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328A
KR20160065328A KR1020140168720A KR20140168720A KR20160065328A KR 20160065328 A KR20160065328 A KR 20160065328A KR 1020140168720 A KR1020140168720 A KR 1020140168720A KR 20140168720 A KR20140168720 A KR 20140168720A KR 20160065328 A KR20160065328 A KR 20160065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l
mpeg
liposome
polycaprolactone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946B1 (ko
Inventor
이민정
김정아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6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9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 및 상기 리포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 특히 난용성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어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liposome}
본 발명은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 및 상기 리포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용성 활성성분은 물 또는 다른 용매에 잘 녹지 않는 활성성분을 의미하며, 난용성으로 인해 그 실용성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신약으로 개발되는 약물 중 약 41% 이상이 난용성으로 인하여 중도에 포기되고 있으며, 미국 약전(US Pharmacopeia)에 등재된 약물의 약 ⅓이상이 난용성 약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난용성 활성성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난용성을 해결하기 위한 부가적인 물질이 첨가되어야 하나, 부가되는 물질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난용성 물질을 수가용화하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이용한 유화, 리포좀을 이용한 포집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인체에서 유래되지 않은 이물질의 혼입과 물리적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리포좀 기술은 다양한 지질 성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활성성분의 안정화 및 생체 전달률을 높이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지질기반의 나노전달체를 제조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리포좀을 이용하더라도 여전히 활성성분이 피부 각질층을 제대로 침투하지 못하며, 활성성분이 경시적으로 석출되는 문제가 있어 식품, 화장품 및 약학 분야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키는 리포좀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이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Biomaterials, 2000, 21, 1879-1885 Bioconjugate Chem., 2005, 16, 1367-1374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좀은 (c) 활성성분이 포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mPEG-PCL, PCL-PEG-P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그 안에 포집되는 활성성분이 난용성이라 하더라도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피부 투과율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므로, 활성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 및 활성성분의 경피흡수율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는 두 종류 이상의 각각 다른 단량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고분자를 의미하고,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는 친수성 단량체 블록과 소수성 단량체 블록으로 구성되어 친수성과 소수성을 함께 가지는 블록공중합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친수성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 블록과 소수성인 폴리카프로락톤(PCL)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가 리포좀에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경피흡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블록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500 내지 100,000 Da, 더욱 구체적으로는 500 내지 20,000 D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는 리포좀에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경피흡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한 친수성기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블록과 소수성기인 폴리카프로락톤 블록의 분자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1:10 내지 10:1, 더욱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1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지질은 중성지질,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지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당업계에서 활성성분을 담지하기 위한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식물, 오일 등에서 분리, 정제하거나 재조합,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성지질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L-a-포스파티딜콜린 (L-a-phosphatidylcholine, PC),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stearoyl-sn-glycero-3-phophocholine, DSPC),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palmitoyl-sn-glycero-3-phophocholine, DPPC),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OPE),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stearoyl-sn-glycero-3-phophoethanolamine, DSPE),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palmitoyl-sn-glycero-3-phophoethanolamine, DPPE), 콜레스테롤 (cholesterol),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isopropyl myrist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지질은 L-α-포스파티딕산(L-α-phosphatidic acid), L-α-포스파티딜-DL-글리세롤(L-α-phosphatidyl-DL-glycerol), 카디오리핀(cardiolipin), L-a-포스파티딜이노시톨(L-aphosphatidylinositol), L-α-포스파티딜세린(L-α-phosphatidylserine),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dilaur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 DLPG),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dilauroyl-sn-glycero-3-[phospho-L-serine], DLPS),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dilauroyl-sn-glycero-3-phosphate, DLPA),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 DMPG),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L-serine], DMPS),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ate, DMPA),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2-diole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 DOPG),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L-serine], DOPS),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dioleoyl-sn-glycero-3-phosphate, DOPA),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L-serine], DPPS),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 (1,2-dipalmitoyl-sn-glycero-3-phosphate, DPPA),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 DSPG),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1,2-distearoyl-sn-glycero-3-[phospho-L-serine], DSPS),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1,2-distearoyl-sn-glycero-3-phosphate, DSPA),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카복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carboxy(polyethylene glycol)2000]),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말레이미드(폴리에틸렌글리콜)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N-[maleimide(polyethylene glycol)2000]),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PDP(폴리에틸렌글리콜)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PDP(polyethylene glycol)2000]), 1-팔미토일-2-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포-rac-(1-글리세롤)] (1-palmitoyl-2-oleoyl-sn-glycero-3-[phospho-rac-(1-glycerol)], POPG), 1-팔미토일-2-올레일-sn-글리세로-
3-[포스포-L-세린](1-palmitoyl-2-oleoyl-sn-glycero-3-[phospho-L-serine], POPS), 1-팔미토일-2-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페이트(1-palmitoyl-2-oleoyl-sn-glycero-3-phosphate, POPA), 올레산 (ole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1,2-dioleoyl-3-trimethylammonium-propane, DOTAP), 디올레오일 글루타마이드 (dioleoyl glutamide), 디스테아로일 글루타마이드 (distearoyl glutamide), 디팔미토일 글루타마이드 (dipalmitoyl glutamide), 디올레오일 아스파르타마이드 (dioleoyl aspartamide), 1,2-디올레오일-3-디메틸암모늄-프로판 (1,2-dioleoyl-3-dimethylammonium-propane, DODAP), ß-[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 (3ß-[N-(N',N'-dimethylaminoethane)-carbamoyl], DC-Chol), 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DDA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인지질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리포좀"은 외부 수성 환경으로부터 내부 수성 상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는 소포를 말하며, 상기 리포좀은 다양한 활성성분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은 리포좀의 내부에 또는 인지질 이중층에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지용성 또는 난용성 활성성분, 구체적으로 물 또는 오일에 용해되지 않는 난용성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mPEG-PCL-mPEG, mPEG-PCL 및 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포좀은 활성성분을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활성성분"은 생물이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혹은 억제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성성분은 수용성, 지용성 또는 난용성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난용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특히 그 안에 포집된 활성성분이 난용성인 경우에도 활성성분의 용해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므로, 활성성분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은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프란게니딘, 폴리다틴, 디오스메틴, 메이스리그난, 아시아티코사이드, 진세노사이드알이, 속수자 종자추출물, 글리시테인,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헤스페레틴, 카테킨, 및 레스페리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니스테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어 활성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및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1 중량% 이하인 경우 활성성분의 안정성 개선에 효과가 없으며, 10.0 중량% 이상인 경우 끈적임 등의 사용감 및 제제의 불안정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지질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1 중량% 이하인 경우 안정한 리포좀 형성이 어렵고, 15.0 중량% 이상인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또는 스프레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무기염류, 색소, 산화방지제, 살균제,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또는 mPEG-PCL,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표 1에 나타낸 원료와 함량(중량 %)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를 사용하여 표 2와 같은 성분 및 함량(중량 %)으로 크림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4)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활성성분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을 사용하여 제니스테인의 석출 여부를 관찰한 결과,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3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또는 mPEG-PCL-mPEG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 및 3보다 제니스테인의 석출이 없어 매우 안정함을 확인한바(표 3),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는 리포좀은 활성성분의 용해도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시적으로 안정한 실시예 1 내지 3과 상대적으로 양호한 비교예 2를 베이스로 하여 크림을 제조했을 때, 실시예 1 내지 3을 함유한 크림(실시예 4 내지 6)이 제니스테인의 석출없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3 중 상대적으로 안정했던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는 실제적으로 크림 제형에 사용되는 경우(비교예 4) 안정성이 현저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표 4).
이를 통해,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mPEG-PCL, PCL-PEG-P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이 난용성이라 하더라도 용해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져 활성성분의 석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활성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2의 피부 투과성을 분석한 결과,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은 mPEG-PCL-mPEG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비교예 중 상대적으로 안정한 비교예 2보다도 제니스테인의 피부 투과량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mPEG-PCL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2도 동량의 제니스테인을 함유한,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3과 유사하게 제니스테인의 피부 투과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표 5).
이를 통해,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mPEG-PCL, PCL-PEG-P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이 난용성이라 하더라도 피부 투과율이 현저하게 높으므로, 활성성분의 경피흡수율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므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사용되어 활성성분을 함유한 의약외품 조성물의 안정성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 또는 개인위생용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또 다른 예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또는 연고제가 있다.
상기 리포좀을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리포좀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를 의약외품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가 의약외품 조성물 총 중량의 0.01 중량% 이하인 경우 활성성분의 안정성 개선에 효과가 없으며, 10.0 중량% 이상인 경우 끈적임 등의 사용감 및 제제의 불안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의약외품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지질이 의약외품 조성물 총 중량의 0.1 중량% 이하인 경우 안정한 리포좀 형성이 어렵고, 15.0 중량% 이상인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므로,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에 사용되어 활성성분을 함유한 약학 제형의 안정성 및 약학 제형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경피흡수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좀에 포집되는 활성성분은 경피투여되어 생체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면,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되어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리포좀을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에 첨가할 경우, 상기 리포좀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약학 제형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학 제형은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를 약학 제형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가 약학 제형 총 중량의 0.01 중량% 이하인 경우 활성성분의 안정성 개선에 효과가 없으며, 10.0 중량% 이상인 경우 끈적임 등의 사용감 및 제제의 불안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학 제형은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약학 제형 총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지질이 약학 제형 총 중량의 0.1 중량% 이하인 경우 안정한 리포좀 형성이 어렵고, 15.0 중량% 이상인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학 제형은 상기 활성성분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학 제형은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에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c) 활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b) 및 (c)는 동시 또는 여러 가지 조합된 순서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피부 투과율이 개선된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인지질", "리포좀" 및 "활성성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균질화"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압호모게나이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표 1에 나타낸 원료와 함량(중량%)을 사용하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70℃로 가온 후, 제니스테인 및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또는 mPEG-PCL를 추가로 혼합하여 용해한 다음, 70℃로 가온된 물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한 혼합물을 고압호모게나이져를 통해 1,300Bar로 균질화하여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 특히 난용성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어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 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의 제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mPEG-PCL-mPEG) 또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과 인지질(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하는 리포좀이 포집된 난용성 활성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원료와 함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먼저, 원료 1 ~ 6을 혼합하면서 70℃로 가온 후, 원료 7 ~ 9를 추가로 넣고 용해한 다음, 70℃로 가온된 원료 10을 천천히 투입하여 2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한 혼합물을 고압호모게나이져를 통해 1,300Bar로 처리하여 균질화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의 성분 및 함량(중량 %)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3.0 3.0 3.0 8.0 - -
2 카프릴릭/카프 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0 15.0 15.0 15.0 15.0 15.0
3 부틸렌글라이콜 35.0 35.0 35.0 35.0 35.0 35.0
4 글리세린 25.0 25.0 25.0 25.0 25.0 25.0
5 헥실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2.0
6 콜레스테롤 1.5 1.5 1.5 1.5 1.5 1.5
7 제니스테인 1.0 1.5 1.5 1.5 1.0 1.5
8 mPEG-PCL-mPEG 5.0 - 5.0 - 8.0 8.0
9 mPEG-PCL - 5.0 - - - -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4 :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를 일반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나타낸 원료와 함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크림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4)를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과 유상을 각각 75℃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6000rpm 조건 하에서 5분간 유화시킨 후 냉각하였다. 그 다음 55~50℃에서 첨가제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2를 투입한 후 호모믹서 6000rpm 조건 하에서 다시 5분간 유화시킨 후 30℃까지 냉각하였다.
크림 화장료 조성물 성분 및 함량(중량 %)
구분 원료명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
1.5
1.5
1.0

1.0
1.5

4.5
5

0.5
1.5
1.5
1.0

1.0
1.5

4.5
5

0.5
1.5
1.5
1.0

1.0
1.5

4.5
5

0.5
1.5
1.5
1.0

1.0
1.5

4.5
5

0.5
수상 정제수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판테놀
Carbomer(2%)
Tromethamine(10%)
합 100
5.0
8.0
1.5
1.0
8.0
1.6
합 100
5.0
8.0
1.5
1.0
8.0
1.6
합 100
5.0
8.0
1.5
1.0
8.0
1.6
합 100
5.0
8.0
1.5
1.0
8.0
1.6
첨가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2
10.0
-
-
-
적량
-
10.0
-
-
적량
-
-
10.0
-
적량
-
-
-
10.0
적량
실험예 1. 안정성 평가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4를 실온, 0℃, 40℃, 45℃, 50℃, cycle chamber(-10℃ → 45℃ → -10℃)에서 2개월간 보관한 후, 제니스테인의 석출 여부를 관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제니스테인의 석출 정도에 따라 매우 양호: O, 미량석출: △, 석출: X로 표시하였다.
안정성 실험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50℃ O O O X O
45℃ O O O X O
40℃ O O O X O
0℃ O O O X X
Cycle O O O X X
실온 O O O X O X
안정성 실험 결과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50℃ O O O O
45℃ O O O
40℃ O O O
0℃ O O O X
Cycle O O O X
실온 O O O X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난용성인 제니스테인이 고함량으로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니스테인을 안정하게 함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3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또는 mPEG-PCL-mPEG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 및 3보다 제니스테인의 석출이 없어 매우 안정함을 확인한바,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는 리포좀은 활성성분의 용해도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시적으로 안정한 실시예 1 내지 3과 상대적으로 양호한 비교예 2를 베이스로 하여 크림을 제조했을 때, 실시예 1 내지 3을 함유한 크림(실시예 4 내지 6)이 제니스테인의 석출없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3 중 상대적으로 안정했던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 베이스는 실제적으로 크림 제형에 사용되는 경우(비교예 4) 안정성이 현저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mPEG-PCL, PCL-PEG-P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이 난용성이라 하더라도 용해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므로, 활성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투과성
Franz glass cell(Standard 직경 9mm, Receiver 5ml, Permegear)을 이용하여 피부투과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Glass cell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실시예 1 내지 3 또는 비교예 2를 각각 50mg씩 도포한 돼지 피부(0.7mm 두께, Medikinetics)를 장착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500㎕와 5ml의 TBS(50mM Tris pH 7.5, 150mM NaCl)를 가하였다. 8시간 후 돼지 피부 조직을 파쇄하여 제니스테인의 양을 정량 분석하였고, 단위면적당 투과량(㎍/cm2)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 투과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투과량 12.98 17.98 19.54 2.69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2에 비해 월등히 피부 투과량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은 mPEG-PCL-mPEG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비교예 중 상대적으로 안정한 비교예 2보다도 제니스테인의 피부 투과량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PEG-PCL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2도 동량의 제니스테인을 함유한, mPEG-PCL-mPEG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3과 유사하게 제니스테인의 피부 투과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인 mPEG-PCL-mPEG, mPEG-PCL, PCL-PEG-P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이 난용성이라 하더라도 피부 투과율이 현저하게 높으므로, 활성성분의 경피흡수율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포집된 활성성분의 용해도 또는 경피흡수율을 개선시키는 것인, 리포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블록의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0 Da인 것인, 리포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블록 및 폴리카프로락톤 블록의 분자량비가 1:10 내지 10:1인 것인, 리포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난황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리포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c) 활성성분이 포집된 것인, 리포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난용성인 것인, 리포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프란게니딘, 폴리다틴, 디오스메틴, 메이스리그난, 아시아티코사이드, 진세노사이드알이, 속수자 종자추출물, 글리시테인,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헤스페레틴, 카테킨, 및 레스페리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리포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인지질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또는 스프레이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경피투여용 약학 제형.
  15. (a)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mPEG-PCL-m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및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PCL-PEG-P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및 (b) 인지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c) 활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20140168720A 2014-11-28 2014-11-28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20A KR102296946B1 (ko) 2014-11-28 2014-11-28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20A KR102296946B1 (ko) 2014-11-28 2014-11-28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28A true KR20160065328A (ko) 2016-06-09
KR102296946B1 KR102296946B1 (ko) 2021-09-02

Family

ID=5613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720A KR102296946B1 (ko) 2014-11-28 2014-11-28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9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343B2 (en) 2017-01-26 2019-10-29 L'ore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datin and method of use
KR102081180B1 (ko) * 2019-08-14 2020-02-25 한국콜마주식회사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7163A (ko) * 2021-04-23 2022-11-03 주식회사 신세계인터내셔날 특정 세포 표적화가 가능한 나노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966106A (zh) * 2023-08-16 2023-10-31 广州市澳莱化妆品有限公司 一种脂质体包裹物及制备方法及应用
US11826468B2 (en) 2021-02-18 2023-11-28 Amorepacific Corporation Insoluble active substance carrier comprising transfersome
WO2024047644A1 (en) * 2022-08-30 2024-03-07 Liposphere Ltd. Liposom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567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태평양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함유한 자기 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5249A (ko) * 2007-05-30 2008-12-04 (주)아르떼르화장품 화장료로서 유용한 특성을 가진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6722A (ko) * 2010-07-13 2012-01-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697031B2 (en) * 2004-06-04 2014-04-15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ual function polymer micelles
KR101399341B1 (ko) * 2012-06-25 2014-05-27 (주)에이씨티 피부흡수 촉진용 양친매성 트리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3896A (ko) * 2014-02-07 2015-08-19 (주)에이씨티 난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567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태평양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함유한 자기 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US8697031B2 (en) * 2004-06-04 2014-04-15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ual function polymer micelles
KR20080105249A (ko) * 2007-05-30 2008-12-04 (주)아르떼르화장품 화장료로서 유용한 특성을 가진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6722A (ko) * 2010-07-13 2012-01-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9341B1 (ko) * 2012-06-25 2014-05-27 (주)에이씨티 피부흡수 촉진용 양친매성 트리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3896A (ko) * 2014-02-07 2015-08-19 (주)에이씨티 난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1954B1 (ko) * 2014-02-07 2016-03-10 (주)에이씨티 화장료 조성물용 난용성 물질 함유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onjugate Chem., 2005, 16, 1367-1374
Biomaterials, 2000, 21, 1879-1885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343B2 (en) 2017-01-26 2019-10-29 L'ore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datin and method of use
KR102081180B1 (ko) * 2019-08-14 2020-02-25 한국콜마주식회사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029541A1 (ko) * 2019-08-14 2021-02-18 한국콜마주식회사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080215A (zh) * 2019-08-14 2022-02-22 韩国科玛株式会社 包含蔗糖基表面活性剂的弹性脂质体组合物以及含有其的化妆料组合物
US11826468B2 (en) 2021-02-18 2023-11-28 Amorepacific Corporation Insoluble active substance carrier comprising transfersome
KR20220147163A (ko) * 2021-04-23 2022-11-03 주식회사 신세계인터내셔날 특정 세포 표적화가 가능한 나노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47644A1 (en) * 2022-08-30 2024-03-07 Liposphere Ltd. Liposom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WO2024047646A1 (en) * 2022-08-30 2024-03-07 Liposphere Ltd. Liposom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WO2024047645A1 (en) * 2022-08-30 2024-03-07 Liposphere Ltd. Liposom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CN116966106A (zh) * 2023-08-16 2023-10-31 广州市澳莱化妆品有限公司 一种脂质体包裹物及制备方法及应用
CN116966106B (zh) * 2023-08-16 2024-04-16 广州市澳莱化妆品有限公司 一种脂质体包裹物及制备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946B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575B2 (ja) 脂質及び界面活性剤の高分子集合体を含む組成物
KR102296946B1 (ko)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4434B1 (ko) 피부투과가 개선된 외용제 조성물
KR102175015B1 (ko)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1355216B1 (ko)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적용된 마스크 시트
Razavi et al. Ethosome: a nanocarrier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9775789B2 (en) Topical liposome compositions containing phenolic anti-inflammatory agents and their methods of preparation
CA2761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283080A1 (en) Stabilized dermatological delivery system for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to the skin
KR20170132460A (ko)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JP2021517890A (ja) 徐放性麻酔剤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4791082B2 (ja) リポソームおよび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
JP2004189732A (ja) 藍草から得られた抗菌活性物質及びこれを含有する各種組成物
KR101775266B1 (ko) 신규한 트라넥사민산 담지 액정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A2982397A1 (en) Combination of natural substances comprising at least one glycyrrhetinic acid and at least one guggulsterone, and use thereof for cosmetic applications
JP6150010B2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刺激低減剤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7576B1 (ko) 라멜라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 항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2808A (ko) 멘톨 또는 멘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210115591A (ko) 트라넥사민산 담지 경피전달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17529A (ko) 헤파린의 국소 제제
KR20200020502A (ko)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102266329B1 (ko)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JP2005325076A (ja) 抗炎症作用を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