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460A -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460A
KR20170132460A KR1020160063319A KR20160063319A KR20170132460A KR 20170132460 A KR20170132460 A KR 20170132460A KR 1020160063319 A KR1020160063319 A KR 1020160063319A KR 20160063319 A KR20160063319 A KR 20160063319A KR 20170132460 A KR20170132460 A KR 2017013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cell culture
stem cell
growth fact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근
박용애
박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프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프아이
Priority to KR102016006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2460A/ko
Publication of KR2017013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에 있어서, 0.01 내지 0.5중량부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리포좀(liposome); 0.01 내지 10중량부의 펩타이드(peptide); 0.05 내지 0.3중량부의 오일(oil); 및 잔부는 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어지는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리포좀(liposome)화시켜 이를 사용한 사용자의 두피 개선, 특히 두피탄력 및 두피각질 개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Scalp improv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tem cell culture}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어지는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리포좀화시켜 이를 두피 개선, 특히 두피탄력 및 두피각질 개선을 위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는 머리를 덮고 있는 피부를 일컫는 말로, 모발이 자리 잡고 있어 미용적인 부분을 담당할 뿐 아니라, 햇빛으로부터 노출되는 자외선, 더위, 추위 등과 같은 외부 환경과 충격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감각 수용, 체온 조절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신체의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다. 이러한 두피 조직에는 약 8만 개의 모공이 존재하고 있으며, 무수히 많은 모공에 존재하는 모발은 두피의 건강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즉 두피 전체가 탄력이 없는 상태가 되면 수분 부족과 피지 분비의 이상으로 모발에 윤기가 없고 각질과 비듬이 쌓여 백색을 띠는 두피가 되기도 하고, 두피의 피지샘 기능이 활성화되어 피지 분비가 정상 두피의 분비량보다 많아져 두피 표면이 뿌옇고 둔탁해 보이며, 피부 조직이 두꺼워지고 끈적임과 악취가 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가 만성화되면 과다한 피지 분비로 인해 두피의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여 지루성 두피염과 탈모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이는 모공 속에 피지가 고이면서 모공의 막힘현상, 가려움증, 염증, 홍반 등을 동반하기도 하고, 비듬균 이상 증식으로 비듬이 쌓이고 가려움이 동반되는 두피가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모발은 물론이고 두피까지 건강하게 관리하고자 하는 경향에 따라, 특히 세정이나 케어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관 상품인 샴푸, 트리트먼트, 두피 에센스 등의 제품군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피부 재생기전에 관여하는 연구 모델로 현재 떠오르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줄기세포(stem cell)이다.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은 주름개선, 미백, 상처치유, 항노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의약품 및 화장료로서의 상업적 이용가치가 급상승하고 있다. 지방 줄기세포는 여러 성장인자(growth factor) 및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주 효능 물질이 되어 지방줄기세포의 배양액은 피부 재생, 항산화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즉 화장품 산업에 있어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것은 그 줄기세포의 대사산물인 성장인자를 화장료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성장인자의 다양한 효능과 기전들이 입증됨에 따라 좋은 연구 모델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의 일부인 두피 탄력과 각질 제거 개선의 좀 더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위하여 피부재생, 미백, 항산화, 항노화 등에 효능을 보이는 성장인자, 다시 말해 피부 세포 조절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인 성장인자를 이용하는 분자생물학적 접근 방법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어지고 있다. 성장인자란 각종 세포분열이나 성장 및 분화를 촉진하는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의 총칭으로 현재로서도 여러 종류가 있고 그들의 기능도 매우 다양하여 세포의 신호전달계에 관여한다.
한편 이러한 피부 재생 효능을 가진 성장인자를 최대한 손실되지 않게 보호하여 피부의 속으로 침투시키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좋은 성분이 많더라도 유효 성분이 활성화되지 못하면 본질의 효능이 발효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때 침투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로 리포좀(liposome)이다. 리포좀은 지질소포를 지칭하며, 내부에 물질을 봉입하거나 또는 생체막처럼 막 내에서 막단백질을 재구성시켜 각종 작용을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마이크로 캡슐로 하여 세포 내에 투여하는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산업의 응용분야로써 피부의 친화력과 효능의 극대화를 위해 리포좀을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하는 데, 특히 최근에는 피부의 보습뿐만 아니라 잔주름 개선 등이 가능하도록 약물이 진피층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응용되거나, 효능을 지속시킬 수 있는 기술로도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04797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11828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2134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6-00898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어지는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리포좀(liposome)화시켜 이를 두피 개선, 특히 두피탄력 및 두피각질 개선을 위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0.01 내지 0.5중량부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리포좀(liposome); 0.01 내지 10중량부의 펩타이드(peptide); 0.05 내지 0.3중량부의 오일(oil); 및 잔부는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글리세린(glycerin), 계면활성제, 방향제, 방부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리세린은 0.2 내지 2중량부, 상기 계면활성제는 0.5 내지 3중량부, 상기 방향제는 0.001 내지 0.1중량부, 상기 방부제는 0.001 내지 0.0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포좀은 줄기세포 배양액 내에 인지질(phospholipid) 및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첨가하여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 주위를 상기 인지질이 둘러싸도록 형성하며, 상기 리포좀은 200 내지 1,000nm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은, 배지에 배양되는 줄기세포로부터 성장인자가 배출된 후, 상기 배지로부터 줄기세포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배지 및 상기 성장인자 혼합액이며, 상기 성장인자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각질세포성장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콜라겐(collage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항산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지는 무혈청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펩타이드는, 니코티노일디펩타이드(nicotinoyl dipeptide),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palmitoyl pentapeptide), 카퍼트리펩타이드(copper tripeptide), 아세틸헥사펩타이드(acetyl hexa peptide), 트리펩타이드(tripeptide),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palrmitoyl oligopeptide), 휴먼올리고펩타이드(human oligopeptide),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미드디아세테이트(dipeptide diaminobutyroyl benzylamide diacetate), 디펩타이드(dipeptide), 테트라펩타이드(tetrapeptide), 펜타펩타이드(pentapeptide),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 옥타펩타이드(octapaptide), 올리고펩타이드(oligopeptid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오일은, 동백 오일, 편백 오일, 캐모마일 오일, 녹차씨 오일,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어지는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리포좀(liposome)화시켜 이를 사용한 사용자의 두피 개선, 특히 두피탄력 및 두피각질 개선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중 리포좀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고,
도 3은 실시예 1의 시간에 따른 두피탄력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실시예 1의 시간에 따른 두피각질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리포좀(liposome), 펩타이드(peptide), 오일(oil) 및 잔부는 물을 포함하며, 추가로 글리세린(glycerin), 계면활성제, 방향제, 방부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liposome)은 내부 코어 영역에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고 있는 리포좀으로, 줄기세포가 배양된 배양액 내에 인지질(phospholipid) 및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첨가하여 줄기세포 배양액 주위를 인지질이 둘러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줄기세포 배양액은 줄기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한 후 줄기세포로부터 성장인자가 배출된 배양액을 의미한다.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게 되면 줄기세포가 다양한 성장인자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배출되는 성장인자는 배지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 상태에서 줄기세포를 배지로부터 여과(filter)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거하게 되면 배지와 성장인자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줄기세포 배양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화장 조성물의 경우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성장인자만 얻고 줄기세포는 배양액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줄기세포 배양액 내에 용해되어 있는 성장인자는 줄기세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장인자로,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각질세포성장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콜라겐(collage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항산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기세포로부터 얻는 성장인자를 포함할 경우 피부 구성 세포인 섬유아세포의 이동 촉진, 활성화 효과, 피부재생, 항노화, 콜라겐 합성증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억제, 멜라닌 합성억제, 모발성장 및 축소된 모낭 복원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지는 배양액 상태로 화장 조성물에 포함되기 때문에 무형철 배지를 사용하며, 뿐만 아니라 생체에 이롭지 못한 항생제와 같은 성분들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얻는 방법으로는, 줄기세포 배양액 내에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첨가하고, 고압 호모기를 사용하여 고압으로 유화시켜 리포좀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리포좀은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200 내지 1,000nm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가 200nm 미만으로는 형성하기 용이하지 못하며 리포좀 내부에 줄기세포 배양액을 충분히 포함할 수 없으며, 1,000nm를 초과할 경우 두피 흡수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중 0.01 내지 0.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리포좀이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조된 화장 조성물이 두피 탄력 및 두피 각질 개선의 목적을 달성할만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며,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포좀을 제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단가 상승과 같은 요인으로 보급화 및 상용화를 기대하기 힘들다.
리포좀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지질의 종류로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포좀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콜레스테롤은 식물성 콜레스테롤로 스테로이드 골격(cyclopentanopherhydrophenanthrene)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식물성 스테로이드는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또는 시토스테롤(sitosterol)을 사용 가능하다.
화장 조성물 중 펩타이드(peptide)는 피부진정, 주름완화, 피부유연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줄기세포 배양액처럼 리포좀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량이 두피 속으로 침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일부는 두피 속에 침투되고 잔량은 두피 외부에 잔존하여 두피의 내부에서 두피의 보습 또는 탄력을 증가시키며, 두피 외부에서는 자외선 또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0.01 내지 10중량부 포함되는데, 펩타이드가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피부진정, 주름완화 등의 효과를 제대로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화장 조성물을 도포하는 양에 비해 두피 내에 흡수되는 양이 적어 두피 외부에 잔존하는 양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화장 조성물이 두피 외부에서 뭉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펩타이드의 종류는 니코티노일디펩타이드(nicotinoyl dipeptide),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palmitoyl pentapeptide), 카퍼트리펩타이드(copper tripeptide), 아세틸헥사펩타이드(acetyl hexa peptide), 트리펩타이드(tripeptide),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palrmitoyl oligopeptide), 휴먼올리고펩타이드(human oligopeptide),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미드디아세테이트(dipeptide diaminobutyroyl benzylamide diacetate), 디펩타이드(dipeptide), 테트라펩타이드(tetrapeptide), 펜타펩타이드(pentapeptide),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 옥타펩타이드(octapaptide), 올리고펩타이드(oligopeptid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 조성물 중 오일(oil)도 펩타이드와 마찬가지로 두피 탄력 개선, 두피 각질 개선의 효과를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0.05 내지 0.3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의 혼합량이 0.05중량부 미만일 경우 두피 탄력과 두피 각질 개선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며, 0.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화장 조성물 대부분의 양을 차지하는 물에 오일이 혼합되지 않고 오일만 물의 상부에 떠다니는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오일의 지나친 함량 첨가는 사용감에 있어서 진득거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은 0.3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은 화장 조성물에 적합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일은 동백 오일, 편백 오일, 캐모마일 오일, 녹차씨 오일,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화장 조성물의 주원료인 리포좀, 펩타이드, 오일 이외에 추가로 첨가되는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방향제, 방부제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글리세린은 피부의 보습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0.2 내지 2중량부 포함되며, 0.2중량부 미만은 너무 소량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보습 효과를 낼 수 없으며, 2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그 이상의 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글리세린이 낭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계면활성제는 원료들이 물과 용이하게 섞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0.5 내지 3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가 0.5중량부 미만일 경우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많아 화장 조성물에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트케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에틸렌글리콜-40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40 stearate), 스테아레스-2(steareth-2)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향제와 방부제는 향을 내거나 화장 조성물을 오랜 기간 동안 보존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극미량인 0.001 내지 0.01중량부 포함하여 화장 조성물의 두피 개선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각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외에도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등 통상적인 보조제를 기호에 맞춰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두피탄력 개선과 각질 개선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인 평가 결과로 증명이 되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의 제조
1) 정제수에 계면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20을 0.5중량부, 글리세린 0.5중량부를 넣고 골고루 혼합되도록 실온에서 교반한다.
2) 정제수와 별개로 펩타이드 0.05중량부 및 동백 오일 0.05중량부를 넣고 이 또한 골고루 혼합되도록 실온에서 교반한다.
3) 리포좀의 제조는 1) 및 2)와는 별개로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이용하며, 여기에 수첨 포스파티딜콜린 및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후 고압 호모기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유화시킴으로써,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포접하는 0.2중량부의 리포좀을 얻을 수 있다.
4) 2)의 혼합액을 1)에 투입하고 제조된 리포좀을 혼합시켜 고압 호모기로 5분 동안 3,000rpm의 속도로 교반한다.
5) 제조된 혼합액에 보존성을 증가하기 위한 방부제 등의 첨가물을 0.001중량부 추가하여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된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표 1과 같은 성분 및 중량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성분 함유량 (중량부)
글리세린 0.5
배양액 리포좀 0.2
계면활성제 0.5
펩타이드 0.05
동백 오일 0.05
향, 방부제 0.001
정제수 잔부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중앙에는 줄기세포 배양액이 존재하며 배양액 외부에는 리포좀이 둘러쌓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 두피탄력 개선효과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두피개선 조성물에 대한 두피탄력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30세 이상의 평균 연령 45.39세인 성인 여성 23명에 대해서 인체 적용 시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대상에게 두상의 정면으로 보이는 정중앙(center point)와 두상의 가장 윗 부분 정수리쪽(top point)를 시험부위로 정하였으며, 1회/일, 한 번 분사시 나오는 동일한 분사량을 기준으로 4주간 두피에 흡수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에 따른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기기는 Ballistometer(Ballistometer BLS780, Dia-stron Ltd., UK)를 적용하였으며, 프루브(probe)에 장착된 2mm 직경의 암(arm)이 피부 표면에 접촉할 때의 진동 에너지를 수치화하여 피부 탄력을 산정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은 Ballistometer 전용 분석 프로그램인 MApp를 이용하였다. 두피 탄력을 측정하는 값으로는 회복 계수인 CoR 값(Coefficient of Restitution)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암의 리바운드 속도에 대한 충격 속도의 비율로 처음 3회의 바운스에 대한 CoR 평균 값을 계산하였으며 CoR 값이 증가할수록 두피 탄력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CoR 값 개선율은 식 1을 통해 계산되며, 그 값은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식 1>
CoR 값 개선율(%) = │사용 후 측정 값 - 사용 전 측정 값│ / 사용 전 측정 값 × 100
조성물 사용 2주 후 조성물 사용 4주 후
P-value .000*** .000***
*p<.05, **p<.01, ***p<.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도 3의 CoR 값 개선율 그래프 및 표 2의 CoR 값 통계 분석(N=23,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접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두피 탄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두피각질 개선효과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에 대한 두피각질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30세 이상의 평균 연령 45.39세인 성인 여성 23명에 대해서 인체 적용 시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대상에게 두상의 가장 윗 부분 정수리쪽(top point)를 시험부위로 정하였으며, 1회/일, 한 번 분사시 나오는 동일한 분사량을 기준으로 4주간 두피에 흡수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에 따른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기기는 Keratin Sticker(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 Korea of Rep.)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Image J,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USA)을 적용하였다. top point 부위에서 채취된 각 피험자들의 각질은 스캐너를 이용해 이미지 전환되었으며, 전환된 이미지는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Otsu의 방법에 따라 역치를 주어 이진화하였으며, Open, Close 방법에 따라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는 역치 이상의 백색부위를 각질로 판단하여 전체 면적상 비율로 분석하였으며,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측정 값이 감소할수록 두피 각질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두피 각질도 개선율은 식 2를 통해 계산되며, 그 값은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식 2>
두피 각질도 개선율(%) = │사용 후 측정 값 - 사용 전 측정 값│ / 사용 전 측정 값 × 100
조성물 사용 2주 후 조성물 사용 4주 후
P-value .000*** .000***
*p<.05, **p<.01, ***p<.001 :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도 4의 두피 각질도 개선율 그래프 및 표 3의 두피 각질도 개선율 통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접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두피 각질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은 두피 탄력과 두피 각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리포좀화 시켜서 그 활성 기작을 극대화로 유지하고, 또한 성장인자가 펩타이드 등과 같은 다른 조성 성분과 배합되어 두피탄력 개선 및 두피각질 개선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다.

Claims (9)

  1.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에 있어서,
    0.01 내지 0.5중량부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리포좀(liposome);
    0.01 내지 10중량부의 펩타이드(peptide);
    0.05 내지 0.3중량부의 오일(oil); 및
    잔부는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글리세린(glycerin), 계면활성제, 방향제, 방부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은 0.2 내지 2중량부, 상기 계면활성제는 0.5 내지 3중량부, 상기 방향제는 0.001 내지 0.1중량부, 상기 방부제는 0.001 내지 0.0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줄기세포 배양액 내에 인지질(phospholipid) 및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첨가하여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 주위를 상기 인지질이 둘러싸도록 형성하며, 상기 리포좀은 200 내지 1,000nm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은,
    배지에 배양되는 줄기세포로부터 성장인자가 배출된 후, 상기 배지로부터 줄기세포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배지 및 상기 성장인자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각질세포성장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콜라겐(collage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항산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무혈청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니코티노일디펩타이드(nicotinoyl dipeptide),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palmitoyl pentapeptide), 카퍼트리펩타이드(copper tripeptide), 아세틸헥사펩타이드(acetyl hexa peptide), 트리펩타이드(tripeptide),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palrmitoyl oligopeptide), 휴먼올리고펩타이드(human oligopeptide),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미드디아세테이트(dipeptide diaminobutyroyl benzylamide diacetate), 디펩타이드(dipeptide), 테트라펩타이드(tetrapeptide), 펜타펩타이드(pentapeptide),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 옥타펩타이드(octapaptide), 올리고펩타이드(oligopeptid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동백 오일, 편백 오일, 캐모마일 오일, 녹차씨 오일,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KR1020160063319A 2016-05-24 2016-05-24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KR20170132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19A KR20170132460A (ko) 2016-05-24 2016-05-24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19A KR20170132460A (ko) 2016-05-24 2016-05-24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60A true KR20170132460A (ko) 2017-12-04

Family

ID=6092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19A KR20170132460A (ko) 2016-05-24 2016-05-24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24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3705A (zh) * 2018-05-29 2018-11-06 深圳市嘉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表达胶原蛋白的脂肪干细胞的制备方法及其产品
KR102417864B1 (ko) 2022-04-04 2022-07-06 (주)뉴겐코스메틱 손상모발 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60101B1 (ko) 2022-04-04 2022-10-28 (주)뉴겐코스메틱 두피개선 및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61354B1 (ko) 2022-04-04 2022-10-31 (주)뉴겐코스메틱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CN116531485A (zh) * 2023-04-11 2023-08-04 陕西朗泰生物科技有限公司 人体抗衰老细胞物质的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3705A (zh) * 2018-05-29 2018-11-06 深圳市嘉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表达胶原蛋白的脂肪干细胞的制备方法及其产品
KR102417864B1 (ko) 2022-04-04 2022-07-06 (주)뉴겐코스메틱 손상모발 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60101B1 (ko) 2022-04-04 2022-10-28 (주)뉴겐코스메틱 두피개선 및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61354B1 (ko) 2022-04-04 2022-10-31 (주)뉴겐코스메틱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CN116531485A (zh) * 2023-04-11 2023-08-04 陕西朗泰生物科技有限公司 人体抗衰老细胞物质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478B1 (ko) 피부, 점막, 모발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KR100552329B1 (ko) 화장료
KR101656533B1 (ko) 금속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KR20170132460A (ko)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003963A1 (zh) 一种紧致肌肤用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20135358A (ko)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CN111182914A (zh) 用于改善皮肤松弛和身体轮廓的组合物和方法
JP2008545003A (ja) 肌又は毛髪のケアにおける改良
US20180318356A1 (en) Dermatological and cosmetic treatments using mesenchymal stem cells
KR20160141297A (ko) 피부 탄력에 효과를 갖는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6946B1 (ko)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5803B1 (ko) 피부세포 재생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5226200B2 (ja) 硫酸化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4500906B2 (ja) 化粧料配合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1261388B1 (ko)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의 효능향상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캡슐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212445A (ja) 乳化剤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7420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1926A (ko)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JP5756602B2 (ja) ゼラチンおよび/またはエラスチン構成ポリペプチドで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4621958B2 (ja) 化粧料配合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