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354B1 -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 Google Patents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354B1
KR102461354B1 KR1020220041706A KR20220041706A KR102461354B1 KR 102461354 B1 KR102461354 B1 KR 102461354B1 KR 1020220041706 A KR1020220041706 A KR 1020220041706A KR 20220041706 A KR20220041706 A KR 20220041706A KR 102461354 B1 KR102461354 B1 KR 10246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weight
safflow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락균
Original Assignee
(주)뉴겐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겐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뉴겐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2004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케어 화장료 및 이를 이용한 헤어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천연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헤어케어 화장료로서, 두피 개선 및 모발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어케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Hair-care cosmetic materials for hair conditioning and scalp prote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air-care products}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법 및 이를 이용한 헤어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두피 보호 및 개선뿐만 아니라, 모발개선 효과가 우수한 헤어케어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포유동물만이 가지고 있으며 피부의 부속기관으로서 모발의 발생은 태생 9 ~ 12주부터 시작되고, 부모의 유전성을 받아 계승하고 있다.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 성장기라고 하는 모주기(hair cycle)를 반복하는 것으로 모발은 성장기에만 성장하고 각각의 모발의 성장주기는 독립적이며, 독자적인 주기를 가지므로 일시에 전모가 탈락하는 일은 없다. 휴지기의 모발은 하루에 70 ~ 120개 정도이며 매일 자연스럽게 탈락되며, 모발주기는 성장기 5 ~ 6년, 퇴행기 2 ~ 3주간, 휴지기는 2 ~ 3개월 정도로 구분된다. 모발의 성장은 개체의 영양상태, 호르몬 온도 일관 분만 전신 및 질환, 각종 화학물 등 여러 가지 내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어떤 원인에 의해 두피의 표피 과발육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휴지기의 모발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은 건강면에서나 아름다움을 표출하는 면에서 모발 소유자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환경적 유전적, 정신적 신체적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신체적 리듬이 깨져 밸런스가 맞지 않아 두피 스트레스는 사람들의 모발 갈라짐, 결절, 탈모 등의 모발 손상을 일으키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 심리적 요인, 대기 및 수질오염 등의 환경적 요인, 남성호르몬, 유전적 요인 및 스프레이나 무스 등과 같은 헤어용품의 사용으로 인해 모발손상, 탈모 및 비듬발생 등의 문제점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탈모나 비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이요법, 약물치료 및 기능성 일상 생활용품의 사용 등 다각적으로 해결방법이 모색되고 있는데, 식이요법은 외식의 빈도가 높은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에서는 지속적으로 행하기가 어려우며, 약물요법의 경우는 부작용과 미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능성 생활용품 중 두피와 모발에 대한 보호기능과 영양공급기능을 갖는 샴푸 및 헤어토닉 제품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추출물을 샴푸나 헤어토닉의 기본 원료(계면활성제와 기포증진제 등의 첨가제, 알코올 등)에 첨가하여, 손상 모발을 복원하거나 머릿결을 개선하는 샴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헤어케어 제품은 눈으로 그 효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발개선 효과에만 치중한 나머지 두피에 대한 영향을 고려치 못한 경우가 많았으며, 상기와 같이 두피 보호 효과와 모발 개선을 동시에 갖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2460(공개일:2017.12.0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3560(공개일: 2017.12.06)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피부(두피) 독성이 없으면서도, 두피의 모유도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 유도 활성이 우수한 최적 조성 및 조성비의 천연 식물 복합 추출물을 완성하였으며, 이를 헤어케어 제품의 화장료로 적용하면 두피 개선뿐만 아니라, 모발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헤어케어 화장료, 이를 이용한 헤어케어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어케어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어케어용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1단계; 및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 혼합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를 이용한 헤어케어용 제품으로서,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염색제, 앰플, 샴푸 또는 린스 등의 헤어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헤어케어 화장료의 주성분인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은 피부(두피) 세포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두피의 가려움 완화 및 방지하고, 나아가 두피의 유수분 밸런스를 유지시켜서, 두피 건조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두피의 모유도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 유도 활성이 우수한 바, 두피 보호뿐만 아니라, 모발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은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1단계; 및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 혼합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놀랍게도, 상기 추출물 단독 또는 2 ~ 3종을 사용할 때 보다, 상기 5종의 추출물을 혼합 사용시, 모발 개선 효과, 모유도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 유도 활성을 극대화된다.
드럼스틱씨(Moringa pterygosperma seed)는 드럼스틱나무의 씨앗으로, 드림스틱나무보다는 모링가나무로 더 많이 불려지고 있다. 드럼스틱 나무는 모링가과, 모링가속의 식물로 학명이 유래한 타밀어로는 Murunggai라고도 한다. 모링가는 콩과식물로 나뭇잎과 열매는 물론 나무 전체를 식용으로 하는 열대성 나무이며, 다량의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등 90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드럼스틱씨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은 물에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단백질들이 피부에 적용될 경우 피부에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는 디톡스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또한, 베타카로틴, 루틴 등의 카로티노이드 성분, 비타민 및 무기질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칙칙한 피부를 환하게 개선시켜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드럼스틱씨를 피부용 화장료가 아닌 헤어케어용 화장료 성분으로 드럼스틱씨를 활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 화장료에서 드럼스틱씨 추출물은 두피를 보호하면서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럼스틱씨 추출물은 건조된 드럼스틱씨 뿌리를 세절 및 분쇄하여 드럼스틱씨 분말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드럼스틱씨 분말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한 후,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추출액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드럼스틱씨 추출물 제조공정에 있어서, 2단계의 혼합은 드럼스틱씨 분말 및 1,3-부틸렌글리콜을 1 : 5 ~ 15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7 ~ 12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2단계의 상기 환류 추출은 50 ~ 70℃에서 5 ~ 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0 ~ 70℃에 5 ~ 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으로, 구기자란 구기자나무의 열매(Lycii fructus)를 말하며, 뿌리의 껍질은 지골피, 잎은 구기엽, 어린순은 청정초라고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구기자는 자양, 강장, 보혈, 지갈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며, 본초강목에 의하면 구기자는 독성이 없고 구기자 복용 시근골이 단단해지고 더위와 추위를 타지 않으며 가슴의 염증과 갈증을 수반하는 당뇨병이나 신경이 마비되는 질병에 좋고 폐와 신장의 기능을 촉진시켜 시력이 좋아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구기자의 효능으로는 만성간염. 간경변증 등에 복용하면 염증이 제거되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드럼스틱씨 추출물의 두피 보호 및 손상 모발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고, 두피 가려움증을 개선하고, 두피와 모발에 항산, 항염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건조된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분쇄하여 구기자 분말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구기자 분말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2단계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은 20 ~ 35℃ 및 80 ~ 100 기압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0 ~ 35℃ 및 80 ~ 90 기압 조건 하에서, 12 ~ 3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8 ~ 2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내 구기자 추출물의 사용량은 상기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구기자 추출물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이의 사용으로 인한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 활성 촉진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5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 활성 증대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창포는 천남성과의 다년초로 민간에서는 단옷날 창포를 넣어 끓인 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는 풍습이 있었다. 한방에서는 건위, 진경, 거담 등에 효능이 있어 약재로 이용하며, 뿌리를 소화불량, 설사, 기관지염 등에 사용한다. 또한 뿌리줄기는 방향성 건위제로 사용한다. 창포는 옛날부터 머리에 좋은 인연이 있어서 모공이나 모낭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오래 머리를 감는다든지 두피에 발라 주게 되면 마사지 효과도 있고 모근을 좋게 해준다. 또한 창포의 주성분은 메틸유제놀(methyleugenol)이며, 그 밖에 아사론(asarone), 칼라멘디올(calamendiol), 애코레논(acorenone), 아사릴알데히드(asarylaldehyde), 칼라메온(calameone), 칼라멘(calamine) 등의 성분이 있어 모발에 적용시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비듬균을 제거하고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창포 추출물은 건조된 창포 뿌리를 분쇄하여 창포 분말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창포 분말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2단계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은 20 ~ 35℃ 및 80 ~ 100 기압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0 ~ 35℃ 및 80 ~ 90 기압 조건 하에서, 6 ~ 2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2 ~ 1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내 창포 추출물의 사용량은 상기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 8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창포 추출물을 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이의 사용으로 인한 모발 개선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10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모발 개선 증대가 없으면서 오히려 세포 독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잇꽃(safflower)은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식물로서, 홍화(紅花)라고도 한다. 잇꽃은 오래 전부터 염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염료 외에 의약용과 화장용 입술연지로도 쓰였다. 잇꽃은 활혈, 구어혈, 진통, 자궁수축 등의 효능이 있어 치료제로 쓰인 식물이다.
본 발명에서 잇꽃 추출물은 항염 작용을 하여 비듬 방지, 두피 가려움 완화 및 방지 등 효과를 부여하여 두피를 개선 및 탈모를 방지하고, 다른 식물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여 모발 개선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잇꽃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수 추출물을 특정 균으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잇꽃 추출물은 건조된 잇꽃의 씨를 분쇄하여 잇꽃 분말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잇꽃 분말을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잇꽃 추출물 제조시, 상기 2단계의 열수 추출 공정은 잇꽃 분말을 및 물을 1 : 3 ~ 5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 90℃에서, 바람직하게는 75 ~ 85℃에서 5 ~ 10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 ~ 8시간 동안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잇꽃 추출물은 추출물 내 폴리페놀 등의 두피 유익 성분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은, 잇꽃 씨를 분쇄하여 잇꽃 분말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잇꽃 분말을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2단계; 추출액을 물과 희석한 희석용액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희석용액 혐기성균을 접종한 후, 혐기성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4단계; 및 상기 발효액을 살균 처리 후, 여과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발효물을 숙성,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희석용액은 잇꽃 추출액과 물을 1 : 0.5 ~ 1.5 부피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8 ~ 1.2 부피비로 혼합하여 희석용액을 제조한다. 잇꽃 추출액을 희석하는 이유는 4단계의 발효 공정이 원할하게 잘 진행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혼합비를 벗어나면 발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물로 희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4단계의 발효는 2단계에서 수득한 잇꽃 추출액을 발효조에 투입 및 교반한 다음, 발효조를 밀봉시킨 후, 35 ~ 50℃, 바람직하게는 40 ~ 50℃ 온도에서 10 ~ 20일간, 바람직하게는 10 ~ 14일간 혐기성 발효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혐기성균은 바실러스 속균(고초균) 및 누룩균을 1 : 0.1 ~ 0.2 CFU 비율로 혼합한 혐기성 혼합 균주를 사용하며, 혼합액에 대해 1×103 ~ 5×105 cell/mL 정도를, 바람직하게는 5.0×103 ~ 1.0×105 cell/mL 정도의 혐기성 혼합 균주를 접종시킨다.
또한, 상기 바실러스속균(고초균)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licheniformis) F1017,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32,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67,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68,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00,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F1337,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F1005,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36 및/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79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017,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F1337,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F1005 및/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3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룩균은 라이조푸스(Rhyzopus), 우사미(Usam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및/또는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 sojae)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5단계는 4단계에서 수득한 발효액을 원심 분리하여 필터링하여 침전물 및 혐기성균 등을 제거된 발효액을 수득한 후, 발효액 내 균을 사멸시키는 살균 처리를 수행한 후, 여과를 수행하며, 이때, 살균 처리와 여과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6단계의 숙성은 발효물을 3 ~ 10℃ 하에서 24 ~ 4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5 ~ 10℃ 하에서 32 ~ 48시간 숙성시켜서 발효로 인해 발생한 성분 등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그리고, 6단계의 농축은 숙성물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일례를 들면, 물 또는 탄소수 1 ~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및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 중 1종 이상을 용매를 숙성물과 혼합한 후, 50 ~ 80℃ 하에서 1 ~ 5시간 동안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내 잇꽃 추출물(또는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의 사용량은 상기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 ~ 1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잇꽃 추출물(또는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을 8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이의 사용으로 인한 두피를 보호 및 모발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이의 과량 사용으로 인한 피부 세포 독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루이보스(Rooibos)는 아스파라투스 리네아리스(Asparathus Linearis) 학명을 갖는 식물을 의미하며, 남아프리카의 세다버그 산맥의 450m이상 청정 고산지대에서만 유일하게 생육하는 관목으로서 콩과 식물에 속하는 침엽수로서, 피부의 꿈'이라는 별명을 지닌 루이보스는 일상 속에서도 차 음료로 간편히 즐길 수 있으며, 피부미용 제품과 각종 건강보조 식품의 첨가제로서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루이보스의 잎을 뜨거운 물에 우려서 차로 섭취를 한다.
본 발명에서 루이보스 추출물은 잇꽃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여 두피 항균 및 항염 작용을 통한 두피 가려움 완화 및 방지, 지루성 염증 개선, 완화 등 효과를 부여하여 두피 보호 및 모발 개선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은 루이보스 잎이 아닌 뿌리와 줄기의 추출물을 이용한다.
상기 루이보스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 8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루이보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건조된 루이보스 줄기 및 건조된 루이보스 뿌리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60 ~ 8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에 담지한 후, 40 ~ 60℃로 4 ~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에탄올 추출액을 냉각한 다음,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루이보스 추출물의 사용량은 상기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 8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루이보스 추출물을 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두피 가려움 완화 등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이의 과량 사용으로 오히려 두피 트러블을 유발 및/또는 추가적인 두피 보호, 모발 개선 효과 증대가 없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은 우수한 두피세포 재생 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을 가져서 두피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모발에 영향분을 공급하여 모발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은 헤어케어 제품의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염색제, 앰플, 샴푸 또는 린스 등 다양한 제형의 헤어케어 제품으로 응용할 수 있다.
헤어케어 제품의 일례들 들면, 헤어용 샴푸(SHAMPOO)로서, 용제; 앞서 설명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케어 화장료; 두피 컨디셔닝제; 모발 컨디셔닝제; 증점제; 향료; pH 조절제; 및 금속이온봉쇄제;를 포함하는 두피 개선,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헤어용 샴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정제수, 아이소프로필알코올 및 1,2-헥산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피 컨디셔닝제는 프로필렌글라이콜,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판테놀, 바이오틴 및/또는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발 컨디셔닝제는 글리세린,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1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살균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 소듐벤조에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44, 잔탄검, 글루카메이트, 소듐클로라이드, 셀룰로오스 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아세테이트, 시트릭액시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는 데실글루코사이드, 코코베타인, 올리브리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헤어용 샴푸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하기 표 10과 같다.
구분 항량 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 헤어 컨디셔닝제 5.0 ~ 2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킬레이트제 0.01 ~ 0.10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보존제 0.1 ~ 0.8
글리세린(Glycerin) 보습제 2.0 ~ 8.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보습제 0.1 ~ 1.0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점도증진제 0.5 ~ 2.0
폴리쿼터늄-67(Polyquaternium-67) 막 형성제 0.2 ~ 1.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계면활성제 8.0 ~ 15.0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계면활성제 0.5 ~ 3.0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계면활성제 2.0 ~ 10.0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pH 조절제 0.05 ~ 0.50
향료(Fragrance) 0.20 ~ 1.00
정제수 용매 나머지 잔량
100 중량%
또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이용항 헤어 에센스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하기 표 11과 같다.
구분 함량(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 4.0 ~ 18.0
다이실록세인(Disiloxane) 거품형성 억제제 0.5 ~ 2.0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소수성
점도조절제
1.5 ~ 4.5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Jojoba) Seed Oil) 헤어 컨디셔닝제 0.1 ~ 1.5
다이메티콘(Dimethicone) 두피 컨디셔닝제 1.0 ~ 3.0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두피 컨디셔닝제 0.5 ~ 2.0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Avocado) Oil) 두피 컨디셔닝제 0.5 ~ 2.0
올리브오일(Olea Europaea(Olive) Fruit Oil) 두피 컨디셔닝제 0.5 ~ 2.0
알란토인(Allantoin) 두피 컨디셔닝제 0.05 ~ 0.35
베타인(Betaine) 보습제 1.0 ~ 4.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보습제 2.0 ~ 6.0
글리세린(Glycerin) 보습제 8.0 ~ 15.0
향료 연화제 0.05 ~ 0.30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헤어 컨디셔닝제 0.5 ~ 2.0
1,2-헥산다이올 보존제 1.0 ~ 3.0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용매 5.0 ~ 12.0
부틸렌글라이콜 용매 5.0 ~ 10.0
정제수 용매 나머지 잔량
100 중량%
또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헤어용 트리트먼트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하기 표 12와 같다.
구분 함량(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 6.0 ~ 15.0
피이지-45M(PEG-45M) 바인더 0.2 ~ 1.0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보습제 2.0 ~ 4.0
글리세린(Glycerin) 보습제 0.5 ~ 2.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항산화제 0.2 ~ 0.8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킬레이트제 0.01 ~ 0.05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pH 조절제 0.005 ~ 0.030
폴리글루타믹애씨드(Polyglutamic Acid) pH 조절제 0.01 ~ 0.30
다이메티콘(Dimethicone) 두피 컨디셔닝제 1.5 ~ 4.0
트라이데세스-12(Trideceth-12) 두피 컨디셔닝제 0.05 ~ 0.30
미네랄오일(Mineral Oil) 헤어 컨디셔닝제 0.3 ~ 2.0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헤어 컨디셔닝제 0.01 ~ 0.06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헤어 컨디셔닝제 1.0 ~ 2.5
베타인(Betaine) 헤어 컨디셔닝제 0.05 ~ 0.25
벤조페논-5(Benzophenone-5) 헤어 컨디셔닝제 0.01 ~ 0.60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보습제 0.01 ~ 0.50
세테아릴알코올(Butylene Glycol) 유화 안정제 4.0 ~ 8.0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유화 안정제 0.5 ~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유화제 0.5 ~ 2.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유화제 0.1 ~ 0.5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Steartrimonium Chloride)
정전기 방지제 1.0 ~ 4.0
멘톨(Menthol) 변성제(Denaturant) 0.2 ~ 1.0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진정제(Emollient) 0.1 ~ 0.6
향료(Fragrance) 0.1 ~ 0.8
정제수 나머지 잔량
100 중량%
나머지 잔량
100 중량%
또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헤어용 팩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하기 표 13과 같다.
구분 함량(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실시예 1 ~ 5) 7.0 ~ 15.0
피이지-45M(PEG-45M) 바인더 0.1 ~ 1.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항산화제 0.2 ~ 1.0
프로필렌글라이콜 보습제 1.2 ~ 4.2
부틸렌글라이콜 보습제 0.05 ~ 0.30
글리세린 보습제 0.5 ~ 2.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킬레이트제 0.01 ~ 0.60
시트릭애씨드 pH 조절제 0.005 ~ 0.030
베타인 헤어 컨디셔닝제 0.05 ~ 0.30
미네랄오일 헤어 컨디셔닝제 0.6 ~ 1.5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헤어 컨디셔닝제 1.0 ~ 3.0
하이드롤라이즈드콩단백질(Hydrolyzed Soy Protein) 헤어 컨디셔닝제 0.05 ~ 0.25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Hydrolyzed Wheat Protein)
헤어 컨디셔닝제 0.05 ~ 0.25
하이드롤라이즈드옥수수단백질
(Hydrolyzed Corn Protein)
헤어 컨디셔닝제 0.05 ~ 0.40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Hydrolyzed Keratin) 헤어 컨디셔닝제 0.05 ~ 0.30
다이메티콘(Dimethicone) 두피 컨디셔닝제 1.5 ~ 4.0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두피 컨디셔닝제 0.05 ~ 0.30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유화 안정제 0.10 ~ 0.25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유화 안정제 0.2 ~ 1.0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유화 안정제 2.0 ~ 7.0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유화 안정제 0.8 ~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유화제 0.5 ~ 1.5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Steartrimonium Chloride)
정전기 방지제 1.5 ~ 4.0
멘톨 변성제(Denaturant) 0.05 ~ 0.30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진정제(Emollient) 0.20 ~ 0.85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진정제(Emollient) 0.05 ~ 0.25
향료  - 0.2 ~ 1.0
1,2-헥산다이올 용매 0.05 ~ 0.50
정제수 용매 나머지 잔량
100 중량%
본 발명의 헤어케어용 제품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의 제조
(1) 드럼스틱씨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드럼스틱나무 씨앗을 분쇄하여 드럼스틱씨 분말을 준비하였다.
수직으로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드럼스틱씨 분말을 투입한 후, 드럼스틱씨 분말의 9배 중량으로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넣음 다음, 65℃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환류 추출기(Reflux extractor, 창신사 제품)를 이용하여 환류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드럼스틱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된 드럼스틱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구기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분쇄하여 구기자 분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구기자 분말을 초임계 추출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기에 이산화탄소 충진한 후, 90기압 및 30 ~ 35℃ 하에서 24시간 동안 초임계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구기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된 구기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창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창포 뿌리를 분쇄하여 창포 분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창포 분말을 초임계 추출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기에 이산화탄소 충진한 후, 90 기압 및 30 ~ 35℃ 하에서 16시간 동안 초임계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창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된 창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4) 잇꽃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잇꽃의 씨를 분쇄하여 잇꽃 분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잇꽃 분말을 및 물을 1 : 4.2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에서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열수 추출 공정을 통해 수득한 추출액을 냉각시킨 다음,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잇꽃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된 잇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5) 루이보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루이보스 줄기 및 건조된 루이보스 뿌리를 1 :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에 1 : 4 중량비로 혼합 및 담지한 후, 52 ~ 55℃로 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에탄올 추출액을 냉각한 다음, 냉각된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루이보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된 루이보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의 제조
앞서 제조한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기자 추출물 40 중량부, 창포 추출물 70 중량부, 잇꽃 추출물 115 중량부 및 루이보스 추출물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을 사용하되, 상기 잇꽃 추출물 대신 하기와 같이 제조한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을 사용하여,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40 중량부, 창포 추출물 70 중량부,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110 중량부 및 루이보스 추출물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제조
건조된 잇꽃의 씨를 분쇄하여 잇꽃 분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잇꽃 분말 및 물을 1 : 4.2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에서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열수 추출 공정을 통해 수득한 추출액을 냉각시킨 다음,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잇꽃 추출물(액상)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액상의 잇꽃 추출물을 정제수와 1 : 1 부피비로 혼합하여 희석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희석용액에 혐기성 혼합 균주 약 3.0×104 cell/mL를 접종한 후, 발효조에 투입한 다음 서서히 교반시켜 주었다. 이때, 상기 바실러스 속균은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F1337를 사용하였으며, 누룩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사용하였으며, 바실실러스 속균(고초균) 및 누룩균은1 : 0.18 CFU 비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발효조를 밀봉시킨 후 45 ~ 48℃ 온도에서 12일간 혐기성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발효액을 수득한 발효액을 원심 분리하여 필터링하여 침전물 및 혐기성균 등을 제거된 발효액을 수득한 다음, 이를 살균 처리 및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수득한 여과액을 5 ~ 6℃에서 3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다음으로, 숙성된 숙성물을 물과 혼합한 후, 50 ~ 55℃ 하에서 2시간 동안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수득한 후, 이를 동결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분말화된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 5 및 비교예 1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3 ~ 5 및 비교예 1 ~ 4를 각각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되, 구기자 추출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한 에탄올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구기자나무 열매를 분쇄하여 구기자 분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구기자 분말을 65 부피%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에 1 : 5 중량비로 혼합 및 담지한 후, 60℃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에탄올 추출액을 냉각한 다음, 냉각된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No 2)로 여과하여 구기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된 구기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루이보스
추출물
양성대조군1 100 - - - - -
양성대조군2 - 100 - - - -
양성대조군3 - - - 100 - -
실시예1 100 40 70 115 - 70
실시예2 100 40 70 - 110 70
실시예3 100 40 70 85 - 70
실시예4 100 40 70 140 - 70
실시예5 100 25 70 115 - 70
비교예1 100 40 70 60 - 70
비교예2 100 40 70 170 - 70
비교예3 100 10 70 115 - 70
비교예4 100 40 70 115 - 35
비교예5 100 40(에탄올 추출물) 70 115 - 70
실험예 1 : 천연 식물 복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측정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에서 제조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1) 세포 배양
B16-F10 멜로마(melanoma)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로 세포수가 5×105 cells/dish가 되도록 배양한다. 150mm 세포배양접시(cell culture dish)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incubator)에서 배양한다. 컨플루언스(Confluence)에 도달한 세포는 트립신-EDTA(Trypsin-EDTA)를 사용하여 계대 배양하여 유지시켰다.
(2) 세포 생존율 실험(WST assay)
세포생존율은 물질이 가지는 독성을 체외 배양되는 세포의 생존율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시험법으로서, 세포의 생존율 확인은 생존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 NADH 탈수효소 활성(mitochondrial NADH-dehydrogenase activity)에 의해 테트라졸리윰염(tetrazolium salt)의 4개의 질소로 이루어진 테트라졸모이티(tetrazole moiety)가 환원되어 유색의 포르마잔(formazan)으로 전환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기질인 WST(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는 물에 잘 녹는 높은 WST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와 반응하여 오렌지색의 수용성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한다.
WST와 반응하는 탈수소효소(Dehydrogenase)는 대사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효소로써 살아있는 세포에만 유효하다.
따라서, 포르마잔(formazan)의 생성은 살아있는 세포수와 직선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는 흡광도(450 nm)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세포 생존율 실험(WST assay) 측정 방법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세포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계산하였다.
1) B16-F10 멜라노마(melanoma) 세포를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5×103 cells/well 농도로 DMEM 배지(10% FBS, 1 % Penicillin/Streptomycin)를 이용해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다.
2) 시료와 양성대조군 베타-알부틴(beta-arbutin)를 DMEM 배지에 희석하여 농도별로 준비한다.
3) 24시간 배양한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DPBS 100 ㎕로 세척한다.
4) 농도 별로 희석하여 준비한 시료를100 ㎕씩 처리한다.
5) 37℃, 5% CO2 배양기에서48시간 배양한다.
6) 10% WST 시약을 제조한다.(Ez-cytox : DMEM= 1 : 9)
7) 48시간 배양한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DPBS 100 ㎕로 세포를 세척한다.
8) 10 % WST 시약을 각 well에100㎕씩처리한다.
9)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구한다.
10) 무처리군 대비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인 경우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며, 90% 미만인 경우는 세포 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처리군 흡광도)×100(%)
그리고,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생존율
(%)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농도
0(㎍/㎖) 100(㎍/㎖) 500(㎍/㎖) 1000(㎍/㎖)
실시예 1 100% 100.5 99.4 97.6
실시예 2 100% 102.1 100.8 98.8
실시예 3 100% 101.2 100.1 99.3
실시예 4 100% 99.0 98.1 96.2
실시예 5 100% 101.0 99.9 98.2
비교예 1 100% 101.6 100.7 99.0
비교예 2 100% 97.6 91.6 87.8
비교예 3 100% 100.8 100.1 99.0
비교예 4 100% 100.1 99.8 98.2
비교예 5 100% 100.2 99.4 96.2
상기 표 3의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농도 500㎍/㎖ 이하에서는 대부분 세포 독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잇꽃 추출물을 15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4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500㎍/㎖에서는 약 91% 정도로, 1000㎍/㎖에서는 90% 미만인 87.8%의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잇꽃 추출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보다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을 사용한 실시예 2가 전반적으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발효로 인해 잇꽃 추출물 내 피부 세포에 독성, 즉 피부 트러블을 야기시킬 수 있는 성분이 다소 낮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두피세포 재생 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 실험
상기 표 1에 정리된 양성대조군 1 ~ 3,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의 두피세포 재생 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두피세포 재생 활성
HaCaT(immortalized human keratinocytes) 세포주를 2Х103 cells/well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5% CO2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에 각 시료를 적절한 농도에 맞춰 세포에 처리한 후 24, 48,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주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Mol. Tech., Rockville)를 이용하여 분광광도계(Molecular Devices, VersaMax ELISA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하였다.
두피세포의 재생 활성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음성대조군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흡광도 값 증가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군의 농도는 0.30 부피% 농도로 하였다.
(2)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HFDPC(피부유두세포)를 5Υ103 cells/well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5% CO2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에 각 시료를 적절한 농도에 맞춰 세포에 처리한 후 24, 48,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Mol. Tech., Rockville)를 이용하여 분광광도계(Molecular Devices, VersaMax ELISA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하였다. HFDPC세포 증식 활성 효능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음성대조군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흡광도 값 증가율(%)를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군의 농도는 0.30 부피% 농도로 하였다.
(3)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
HFDPC(피부유두세포)를 1×104 cells/well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5% CO2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에 각 시료를 적절한 농도에 맞춰 세포에 처리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GF(Hepatocyte Growth Factor)을 측정하기 위해 HGF kit(ELM-HGF, RayBio, Norcross)를 이용하여 분광광도계(Molecular Devices, VersaMax ELISA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하였고, 음성대조군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흡광도 값 증가율(%)를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HGF 생성 촉진 활성은 HGF 표준품 검량선을 작성하여 결과를 도출 후 단백질 함량을 보정하였다. 그리고, 처리군의 농도는 0.30 부피% 농도로 하였다.
구분 두피세포
재생활성(%)
모유두세포
증식활성(%)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
음성대조군 100% 100% 100%
양성대조군1(드럼스틱씨) 102.2% 100.9% 101.2%
양성대조군2(구기자) 101.3% 103.0% 102.6%
양성대조군3(잇꽃) 105.2% 103.3% 103.5%
실시예 1 110.3% 114.0% 111.2%
실시예 2 114.6% 117.2% 114.3%
실시예 3 107.2% 109.3% 107.2%
실시예 4 116.4% 118.0% 115.4%
실시예 5 108.3% 109.1% 106.5%
비교예 1 106.9% 106.4% 103.0%
비교예 2 117.3% 119.4% 116.6%
비교예 3 105.7% 107.3% 105.5%
비교예 4 110.1% 113.5% 110.3%
비교예 5 108.1% 109.7% 107.4%
상기 표 4의 측정결과를 살펴보면, 단독 추출물을 사용한 드럼스틱씨 추출물(양성대조군 1), 구기자 추출물(양성대조군 2) 또는 잇꽃 추출물(양성대조군 3)과 비교할 때, 실시예 1 ~ 5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두피세포 재생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을 보였다.
잇꽃 추출물을 8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3과 비교할 때, 두피세포 재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이 크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잇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양성대조군 3 과 비교할 때, 효과 증대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잇꽃 추출물을 15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4와 비교할 때, 오히려 두피세포 재생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이 낮거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실험예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세포 독성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기자 추출물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3 및 루이보스 추출물을 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5와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두피세포 재생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구기자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구기자 추출물로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두피 개선 및/또는 모발개선 효과에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손상 모발 개선 효과 측정
정상모발을 10% 과산화산소가 포함된 암모니아수에 20분간 침지한 뒤 흐르는 물에서 30초간 세척한 후 35℃, 상대습도 45%에서 2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손상 모발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손상 모발 모델을 각각 표 3의 양성대조군 1 ~ 3,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3 ~ 4의 화장료(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각각에 10분간 침지한 뒤 35℃, 상대습도 45%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준비한 시료(모발) 각각을 크리프 시험기를 이용하여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모발의 각 말단을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고정한 뒤 클램핑거리(clamping distance) 20mm, 인장속도 20mm/분으로 설정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처리군 별 시료는 10회 반복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계산하였으며, 시료별 분석된 인장강도의 세기를 표 3에 타내었으며,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머리카락의 강도가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기 표 5에서 음성대조군은 정상모발에 대한 인장강도 측정결과이고, 양성대조군은 손상모발을 화장료(천연식물 복합 추출물)로 처리하지 않은 것이다.
구분 인장강도(cN)
음성대조군(정상모발) 163.5
양성대조군(손상모발) 128.3
양성대조군1(드럼스틱씨) 134.6
양성대조군2(구기자) 130.5
양성대조군3(잇꽃) 132.2
실시예 1 148.2
실시예 2 150.3
실시예 3 144.0
실시예 4 150.5
실시예 5 142.3
비교예 3 137.9
비교예 4 138.5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3 ~ 4 모두 손상모발인 양성대조군과 비교할 때, 모두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손상된 모발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추출물 단독으로 사용한 양성대조군1(드럼스틱씨), 양성대조군2(구기자) 및 양성대조군3(잇꽃)은 인장강도 증가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구기자 추출물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5와 비교할 때, 인장강도 향상 효과가 크게 낮았으며, 루이보스 추출물을 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4 역시 모발 개선 효과가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기 표 5의 실험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이 손상된 모발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 헤어용 샴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 5에서 제조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6의 조성 및 조성비로 혼합하여 헤어용 삼푸를 제조하였다.
구분 항량 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실시예 1 ~ 5) 8.9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킬레이트제 0.030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보존제 0.400
글리세린(Glycerin) 보습제 4.00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보습제 0.400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점도증진제 1.000
폴리쿼터늄-67(Polyquaternium-67) 막 형성제 0.4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계면활성제 12.000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계면활성제 1.000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계면활성제 6.000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pH 조절제 0.150
향료(Fragrance)   0.500
정제수 용매 나머지 잔량
100 중량%
제조예 2 : 헤어용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 5에서 제조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7의 조성 및 조성비로 혼합하여 헤어용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실시예 1 ~ 4) 10.1
다이실록세인(Disiloxane) 거품형성 억제제 1.0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소수성
점도조절제
3.0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Jojoba) Seed Oil) 헤어 컨디셔닝제 1.0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헤어 컨디셔닝제 1.0
다이메티콘(Dimethicone) 두피 컨디셔닝제 2.0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두피 컨디셔닝제 1.0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Avocado) Oil) 두피 컨디셔닝제 1.0
올리브오일(Olea Europaea(Olive) Fruit Oil) 두피 컨디셔닝제 1.0
알란토인(Allantoin) 두피 컨디셔닝제 0.1
베타인(Betaine) 보습제 3.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보습제 4.0
글리세린(Glycerin) 보습제 12.0
1,2-헥산다이올 보존제 2.0
향료 - 0.1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용매 9.0
부틸렌글라이콜 용매 8.0
정제수 용매 나머지 잔량
100 중량%
제조예 3 : 헤어용 트리트먼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 5에서 제조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8의 조성 및 조성비로 혼합하여 헤어용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실시예 1 ~ 4) 10.7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3.000
피이지-45M(PEG-45M) 0.600
글리세린(Glycerin) 1.0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30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010
베타인(Betaine) 0.100
벤조페논-5(Benzophenone-5) 0.030
폴리글루타믹애씨드(Polyglutamic Acid) 0.000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000
세테아릴알코올(Butylene Glycol) 6.00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5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1.000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2.000
다이메티콘(Dimethicone) 2.500
미네랄오일(Mineral Oil) 1.000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0.010
멘톨(Menthol) 0.600
향료(Fragrance) 0.300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1.000
트라이데세스-12(Trideceth-12) 0.10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0.200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1.700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0.300
정제수 나머지 잔량 100 중량%
제조예 4 : 헤어용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 5에서 제조한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9의 조성 및 조성비로 혼합하여 헤어용 팩을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 함유 헤어케어 화장료(실시예 1 ~ 4) 8.2
피이지-45M(PEG-45M) 바인더 0.60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항산화제 0.500
프로필렌글라이콜 보습제 3.000
부틸렌글라이콜 보습제 0.100
글리세린 보습제 1.0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킬레이트제 0.030
시트릭애씨드 pH 조절제 0.010
베타인 헤어 컨디셔닝제 0.100
미네랄오일 헤어 컨디셔닝제 1.000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헤어 컨디셔닝제 2.000
하이드롤라이즈드콩단백질(Hydrolyzed Soy Protein) 헤어 컨디셔닝제 0.100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 헤어 컨디셔닝제 0.100
하이드롤라이즈드옥수수단백질(Hydrolyzed Corn Protein) 헤어 컨디셔닝제 0.100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Hydrolyzed Keratin) 헤어 컨디셔닝제 0.100
다이메티콘(Dimethicone) 두피 컨디셔닝제 2.500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두피 컨디셔닝제 0.100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유화 안정제 0.150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유화 안정제 0.500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유화 안정제 5.000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유화 안정제 1.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유화제 1.000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Steartrimonium Chloride) 정전기 방지제 3.000
멘톨 Denaturant 0.100
다이메티콘올(Dimethiconol) 진정제(Emollient) 0.500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진정제(Emollient) 0.100
향료   0.750
1,2-헥산다이올 용매 0.100
정제수 용매 나머지 잔량
100 중량%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면서, 우수한 두피세포 재생활성,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 및 모성장 유도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은 두피개선,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헤어케어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30 ~ 50 중량부, 창포 추출물 60 ~ 80 중량부,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90 ~ 120 중량부 및 루이보스 추출물 60 ~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수행하여 수득한 추출물이고,
    상기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은 잇꽃 추출물을 바실러스 속균 및 누룩균 1 : 0.1 ~ 0.2 CFU 비율로 혼합한 혐기성 혼합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이고,
    상기 바실러스 속균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017,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F1337,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F1005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36를 포함하고,
    상기 누룩균은 라이조푸스(Rhyzopus), 우사미(Usam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및/또는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 soja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헤어케어 제품은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염색제, 앰플, 샴푸 또는 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제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제품은 샴푸이며,
    용제, 상기 화장료, 두피컨디셔닝제, 모발 컨디셔닝제, 증점제, 향료, pH 조절제 및 금속이온봉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제품.
  8. 드럼스틱씨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창포 추출물, 잇꽃 추출물 및 루이보스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1단계; 및
    드럼스틱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30 ~ 50 중량부, 창포 추출물 60 ~ 80 중량부,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 90 ~ 120 중량부 및 루이보스 추출물 60 ~ 80 중량부로 혼합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건조된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분쇄하여 구기자 분말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구기자 분말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3단계; 및 여과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 건조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고,
    상기 잇꽃 추출물의 발효물은, 잇꽃 씨를 분쇄하여 잇꽃 분말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잇꽃 분말을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2단계; 추출액을 물과 1 : 0.5 ~ 1.5 부피비로 희석한 희석용액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희석용액에 혐기성균을 접종한 후, 40 ~ 50℃에서 10 ~ 20일간 혐기성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4단계; 상기 발효액을 살균 처리 후, 여과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5단계; 및 발효물을 숙성, 농축 및 동결 건조시키는 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고,
    상기 열수 추출 공정은 잇꽃 분말 및 물을 1 : 3 ~ 5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 90℃에서, 5 ~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혐기성균은 바실러스 속균 및 누룩균을 1 : 0.1 ~ 0.2 CFU 비율로 혼합한 혐기성 혼합 균주를 포함하고,
    상기 바실러스 속균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017,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F1337,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F1005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36를 포함하고,
    상기 누룩균은 라이조푸스(Rhyzopus), 우사미(Usam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및/또는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 soja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220041706A 2022-04-04 2022-04-04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6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06A KR102461354B1 (ko) 2022-04-04 2022-04-04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06A KR102461354B1 (ko) 2022-04-04 2022-04-04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354B1 true KR102461354B1 (ko) 2022-10-31

Family

ID=838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706A KR102461354B1 (ko) 2022-04-04 2022-04-04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3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460A (ko)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디에프아이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KR20170133560A (ko) 2016-05-25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994B1 (ko) * 2017-03-15 2018-08-06 산청군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20200120315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세러데이나인 씨앗컴플렉스를 함유한 두피케어 및 모발 강화 개선용 조성물
KR102227539B1 (ko) * 2020-07-30 2021-03-15 (주)디마인화장품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460A (ko)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디에프아이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두피개선 화장 조성물
KR20170133560A (ko) 2016-05-25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994B1 (ko) * 2017-03-15 2018-08-06 산청군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20200120315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세러데이나인 씨앗컴플렉스를 함유한 두피케어 및 모발 강화 개선용 조성물
KR102227539B1 (ko) * 2020-07-30 2021-03-15 (주)디마인화장품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094846B1 (ko) 피부 개선에 효능이 있는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227701B1 (ko)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6926B1 (ko)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5969B1 (ko) 미백효과를 가지는 복합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1354B1 (ko)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120051216A (ko) 화장품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60101B1 (ko) 두피개선 및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15332B1 (ko) 피버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9220B1 (ko) 두피 보호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3504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17864B1 (ko) 손상모발 개선용 헤어케어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제품
KR20130108010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5343B1 (ko) 오미자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