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502A -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502A
KR20200020502A KR1020180096281A KR20180096281A KR20200020502A KR 20200020502 A KR20200020502 A KR 20200020502A KR 1020180096281 A KR1020180096281 A KR 1020180096281A KR 20180096281 A KR20180096281 A KR 20180096281A KR 20200020502 A KR20200020502 A KR 2020002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oil
nanodiamond
liposome
nanoliposo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960B1 (ko
Inventor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이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현 filed Critical 이강현
Priority to KR102018009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60B1/ko
Priority to PCT/KR2018/016045 priority patent/WO2020036266A1/ko
Publication of KR2020002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유와 나노다이아몬드를 레시틴을 통해 유화시켜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상기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포함된 나노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탈착이 소량씩 장시간에 걸쳐서 이루어지므로 약리 작용 시간이 매우 길어져 장시간의 지속적인 생리활성을 제공할 수 있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Process for preparing nano-liposome using horse fat and nanodiamo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리포좀 제조방법 및 제조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리포좀은 인지질 2중층 구조를 가진 소형 구체로, 양친매성의 인지질이 수상에서 소수성의 힘에 의해 자가배열 되어 있는 구조체이다. 리포좀을 의약이나 화장품 등에 효능물질의 전달체로 활용했을 때 가지는 장점을 열거하면 (a) 인지질이라는 생체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생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고 독성이 없고, (b) 수용성 또는 지용성 성분 모두를 리포좀 내로 포집할 수 있으며, (c) 리포좀의 제조방법, 표면 전하, 지질 조성 등에 따라 크기 및 형태 특성 등을 조절하여 다양하게 만들 수 있고, (d) 포접 물질과 리포좀 사이에 화학적 결합 없이 쉽게 제조가 가능하고, (e) 포접 물질이 약물일 경우 특정 조직에 표적이 가능하여 약물의 치료 효과를 높이고 약물을 거의 모든 투여 경로(경구, 피하, 정맥, 근육 주사 또는 복강 주사)로 투여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이점이 있다.
리포좀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포접하고 있던 기능성 성분을 발산하는데, 장시간에 걸쳐 발산되어야 약리 작용시간이 길어져 장시간의 지속적인 생리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마유는 말의 기름으로 예부터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잔주름이나 노화예방으로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피부 미용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마유는 염증을 가라앉게 해주며 열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화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의 피부를 보호하는 피지의 주요성분으로 강력한 항균 작용을 하는 팔미톨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천연보호막을 형성시켜 피부의 고보습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해주는 비타민 E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름 그 자체가 훌륭한 화장품 역할을 할 수 있어 피부 미용제에도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마유는 피지에 가장 가까운 성분으로, 지방산의 구성비, 유분, 수분의 밸런스도 거의 같기 때문에 인간의 피부와 친화성이 높으며 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 포함되어 있어 피부에 불포화지방산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나노다이아몬드를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장시간에 걸쳐 발산하여 약리 작용 시간이 현저하게 길어 장시간의 지속적인 생리 활성을 갖는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마유와 나노다이아몬드를 레시틴을 통해 유화시켜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으로서, 나노다이아몬드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수상용액 제조단계; 마유와 인지질을 포함하는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유상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수상용액과 상기 유상용액을 혼합 교반하여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리포좀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상용액 제조단계는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을 나노다이아몬드와 함께 정제수에 첨가하고 80~100℃ 으로 가온하며 용해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다이아몬드는 탄소의 폭발법에 의해 만들어진 결함이 있는 그래핀 구조를 갖는 1~100nm 크기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상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나노다이아몬드 1 내지 5 ppm 수용액을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상용액 제조단계는 마유를 80~100℃ 가온하면서 인지질에 용해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상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마유를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4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을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5 내지 3.5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여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포좀 제조단계는 상기 수상용액에 상기 유상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고, 교반 후 온도가 40℃ 이하가 되었을 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반복 가공함으로써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포좀 제조단계는 상기 수상용액에 상기 유상용액을 부어가면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고, 온도 40℃ 이하가 되었을 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20,000 내지 30,000psi 압력으로 2회 내지 5회 반복 가공함으로써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함이 있는 나노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수상용액과 마유 및 인지질이 포함된 유상용액을 유화시켜 제조된 나노리포좀이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상기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포함된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나노리포좀은 상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있는 나노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수상코어, 상기 수상코어를 둘러싼 인지질로 구성된 유상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된 상태로 수상코어에 포함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된 상태로 수상코어에 포함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유와 나노다이아몬드를 식물성 레시틴을 통해 유화시킨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활용하여 나노 리포좀을 제조함으로써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탈착이 소량씩 장시간에 걸쳐서 이루어지므로 약리 작용 시간이 매우 길어져 장시간의 지속적인 생리활성을 제공할 수 있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은 마유와 나노다이아몬드를 식물성 레시틴을 통해 유화시킨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활용하여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나노다이아몬드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수상용액 제조단계(S10), 마유를 포함하는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유상용액 제조단계(S20) 및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을 혼합 교반하여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리포좀 제조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상용액 제조단계(S10)는 나노다이아몬드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을 나노다이아몬드와 함께 정제수에 첨가하고 80~100℃ 으로 가온하며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수상용액은 상기 나노리포좀을 만드는 데 있어 연속상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물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메틸파라벤(methylparaben)과 같은 방부제도 상기 수상용액에 포함되어질 수 있다. 이때 물은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총 중량에 대해 30~8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유화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80 중량% 초과시에는 입자 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생리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성분으로서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나노다이아몬드는 탄소의 폭발법에 의해 만들어진 결함이 있는 그래핀 구조를 갖는 1~100nm 크기의 분말로서, 나노성 입자들이 서로 응집된 그레인 집합체 형태이며 내마모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물질 흡착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나노다이아몬드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의 고온 고압의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나노다이아몬드는 탄소성분이 비정형 탄소와 다이아몬드 및 다이아몬드 표면에 결합된 구성체로 80% 이상 포함되고, 산소성분이 결합기의 형태로 5% 이상 포함된다. 또한 Si, S, Cu 및 Fe와 같은 불순물을 10% 이하로 포함한다. 상기 비정형 탄소 성분은 고온으로 가열하면 제거되기 때문에 후술할 단계에서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 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고 주 구성체가 다이아몬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은 30 ∼ 300 Å의 범위의 크기를 갖고 평균 크기는 100 내지 150 Å이다. 이와 같은 결함은 내부가 아닌 나노입자들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된 외부 표면에 주로 분포한다. 나노다이아몬드의 비표면적은 500~600m2/g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 교반하면서 나노다이아몬드를 첨가하면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활성 성분이 나노다이아몬드의 표면 결함 구조에 흡착된다. 일반적으로 고온 고압에 강한 식물 추출 성분이 아니라면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활용한 리포좀 제조단계에서 모두 파괴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나노다이아몬드를 사용함으로써 고온 고압에 취약한 식물 추출 생리활성 성분도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 나노다이아몬드는 나노다이아몬드 1∼5 ppm수용액을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노다이아몬드 2~3 ppm 수용액을 20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상용액은 피부 보습 효과를 위해서 1.3 부틸렌글리콜(1.3 butylene glycol)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80~100℃ 으로 가온하며 용해시키는데, 80℃ 미만으로 가온하는 경우 레시틴이나 첨가한 수상용액들이 완전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유화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초과하여 가온하는 경우 수상용액 속의 수분 증발이 많아지기 때문에 리포좀 형성에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90~97℃로 가온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상용액 제조단계(S20)는 마유를 포함하는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마유를 80~100℃ 가온하면서 인지질에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마유는 지용성 성분으로 리포좀의 인지질 구조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마유는 인간의 지방산 구조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인체의 적합성이 매우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식물성 오일은 많은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물이라는 종의 한계가 있어 피부 흡수력이 좋지 않았지만 마유를 리포좀에 활용함으로써 훨씬 더 피부에 적합도가 높은 인지질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마유는 제주도 마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마유는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4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마유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리포좀 인지질 2중층 형성에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 초과시에는 점도가 높아져서 리포좀 구체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지질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과 같은 천연 인지질이나, 디팔미토일포스타티딜콜린, 수첨 레시틴과 같은 합성 인지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두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레시틴의 친양쪽성 분자구조로 인해 유화제로서 수용성인 활성 성분을 유화시킬 수 있다. 특히, 불포화 레시틴은 피부 친화력과 침투력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더 유연하고 변형이 용이하므로, 본 발명의 인지질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인지질은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5 내지 3.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인지질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 리포좀 2중층 구조가 미 형성될 문제점이 있고, 3.5 중량% 초과시에는 리포좀 점도가 높아져서 리포좀 제형이 크림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상용액에는 보조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화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 유화제는 OLIVOIL AVENATE EMULSIFIER (Kalichem)를 포함하여 다양한 것이 시중에 시판되고 있으나 시판되는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유화제는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0.1∼5.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80~100℃으로 가온하며 용해시키는데, 80℃ 미만으로 가온하는 경우 유화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초과하여 가온하는 경우 보조유화제가 타거나 산폐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90~97℃로 가온하여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포좀 제조단계(S30)는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을 혼합 교반하여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상용액에 상기 유상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고, 교반 후 온도가 40℃ 이하가 되었을 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반복 가공함으로써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좀 제조단계(S30)는 수상용액에 유상용액을 부어가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2,500 내지 3,500rpm으로 30분 내지 60분 동안 교반한다. 교반 후 온도 40℃ 이하가 되었을 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20,000 내지 30,000psi 압력으로 2회 내지 5회 반복 가공한다. 마이크로플루다이저 이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500 내지 5,500rpm으로 5 내지 15분간 원심분리 후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층분리 현상이 없다면 안정적인 리포좀이 제조된 것으로 보고 단계를 종료한다.
마이크로플루다이저의 고온 고압의 혹한 상황에서도 나노다이아몬드의 표면 구조는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그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활성 성분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나노리포좀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활성 성분을 발산하는데, 이때 나노다이아몬드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활성 성분은 장시간에 걸쳐 발산된다. 이는 생리활성 물질의 표면 탈착이 소량씩 장시간에 걸쳐서 이루어지므로 약리 작용 시간이 매우 길어져 일반적인 나노리포좀에 비해서 장시간의 지속적인 생리 활성을 가져온다. 이는 약효가 지속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이뤄지기 때문에 훨씬 높은 약리 효능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리포좀은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있는 나노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수상용액과 마유 및 인지질이 포함된 유상용액을 유화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있는 나노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수상코어, 상기 수상코어를 둘러싼 인지질로 구성된 유상쉘로 구성된다.
마유 성분은 리포좀 구체 내부와 외부에 레시틴과 보조유화제에 의해 2중층 인지질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상코어에도 보조유화제에 의해서 O/W 형태로 유화되어 존재한다.
상기 수상코어는 연속상을 형성하는 구형 구조로, 물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메틸파라벤(methylparaben)과 같은 방부제도 상기 수상코어에 포함되어질 수 있으며, 피부 보습 효과를 위해서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은 상기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는 것으로 나노리포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상쉘은 수상코어와 나노리포좀 외부를 향한 친수성 머리 및 유상쉘 내부를 향한 친유성 꼬리로 구성되는 인지질 구조를 갖는 이중층을 형성하는 쉘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의 입도는 100 내지 600nm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된 상태로 수상코어에 포함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이거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관련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품이거나 의약품일 경우 일반의약품 또는 전문의약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샴푸,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시료의 준비
(1)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 : 피부 주름, 피부 미백, 피부 항산화, 피부 항염, 피부 항균, 피부탄력 그리고 피부 장벽 개선에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본 임상실험은 주름기능성에 대한 본 조성물 함유 여부에 따른 대조임상을 실시하였습니다.
병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우엉추출물, 카렌듈라추출물, 레몬추출물, 도약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비누풀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마늘추출물, 아니카플라워추출물, 서양송악추출물, 왜광대수염꽃추출물, 물냉이꽃/잎추출물, 구조소나무잎추출물 및 로즈마리잎추출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으로 준비하였다.
(2) 나노리포좀의 제조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90℃까지 가온된 아래 표 1의 수상 용액의 혼합물에, 마찬가지로 90℃까지 가온된 아래 표 1의 유상 용액의 혼합물을 혼합하고 3,000rpm에서 30분 이상 교반한 후 온도가 40℃이하가 되었을 때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로 25,000 psi 압력으로 3회 반복 가공하였다. 이후 5,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의 층분리 현상이 없이 안정적인 리포좀이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수상용액
정제수 20.0 20.0 20.0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 2.5 2.5 2.5
나노다이아몬드 수용액 25.0 - 25.0
1,3 부틸렌 글리콜 20.0 20.0 20.0
유상용액 마유 25.0 25.0 -
대두 레시틴 2.5 2.5 2.5
천연 보조 유화제 1.5 1.5 1.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 천연 유화제는 OLIVOIL AVENATE EMULSIFIER (Kalichem)
* 나노 다이아몬드 분말은 입자 크기가 100nm 이하의 것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정제수에 넣어 2.5ppm 수용액으로 사용하였음.
*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항산화제로서 사용되었음.
<실험예 1> 용출 특성
용출시간(min)에 따른 용출량(%) 및 90% 이상 용출되는데 걸린 시간(min)을 확인하였다. 용출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용출시험장치: Electrolab TDT-08L
- 용출액: 1) 아세트산·아세트산나트륨완충액, pH 6.8 500 mL
2) 정제수 500 mL
- 용출액의 온도: 37 ± 0.5 ℃
- 회전속도: 50 ± 2 rpm
그 결과 표 2(용출액 1) 및 표 3(용출액 2)와 같이 모든 용출액에서 대조군인 비교예보다 실시예의 나노리포좀이 느린 용출 속도률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활성 성분이 장시간에 걸쳐 발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생리활성 물질의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부분으로부터의 탈착이 소량씩 장시간에 걸쳐서 이루어지므로 약리 작용 시간이 매우 길어져 일반적인 나노리포좀에 비해서 장시간의 지속적인 생리 활성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출액 1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용출량(%) 30min 10 15 25
60min 20 40 40
90min 30 60 55
120min 35 75 60
90% 이상 용출 시간(min) 210 140 170
용출액 2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용출량(%) 30min 10 20 25
60min 25 30 35
90min 40 55 50
120min 45 80 75
90% 이상 용출 시간(min) 200 130 150
<실험예 2> 임상 특성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전성분은 하기 표 4와 같다. 상기 제조된 크림에 대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성상 미황색 크림상
농도 100%
전성분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세테아릴알코올, 1,2-헥산디올, 판테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디메치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비스-피이지-18, 메칠에텔디메칠실란, 카보머, 아데노신, 트로메타민, 향료, 잔탄검, 병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레시틴, 디소듐이디티에이, 에탄올, 페녹시에탄올, 우엉추출물, 카렌듈라추출물, 레몬추출물, 도약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비누풀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마늘추출물, 아니카플라워추출물, 서양송악추출물, 왜광대수염꽃추출물, 물냉이꽃/잎추출물, 구조소나무잎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마유, 토코페놀, 포타슘올리보일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단백질, 글리세릴올리에이트, 포타슘솔베이트, 소듐벤조에이트, 벤질알코올, 나노다이아몬드
(1) 시험대상자
시험대상자는 피부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질환이 없고, 민감한 피부가 아니며 화장품 알레르기가 없는 만 20~50세의 성인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 시험 방법 및 절차
피부 상태 확인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가운으로 상의를 갈아입은 후 항온항습 조건 (온도20~24℃, 습도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적용 부위를 촬영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전문가 2명에 의해 피부 반응 확인이 진행되었다.
(3) 시험제품 적용 부위
시험 부위는 등의 평평한 부위를 선정하였다. 시험 부위를 다음 평가할 때 인식하기 위해 시험 부위에 표시하여 다름 평가 때 동일한 부위를 가지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4) 시험 방법
1) 유도기(Induction phase)
유도기는 2주간 3일 간격으로 시험부위에 시험물질 20㎕를 5회 첩포 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 ~ 1시간 후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2) 휴지기(Resting period)
유도기에서 5회 첩포가 끝난 후부터 2주간이며, 이 기간 동안은 시험 부위에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3) 야기기(Challenge phase)
휴지기가 끝나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던 부위(naive site)에 시험물질 20㎕를 48시간 동안 1회 첩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 48시간, 96시간까지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단, 의심 소견이 있을 경우는 그 후에도 관찰하였다.
(5) 평가 방법 및 판정 기준
1) 피부 누적 자극 평가
유도기는 피부의 자극반응 및 누적자극 반응을 관찰하기 위한 과정으로 첩포 제거 후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제품의 자극성 및 누적 자극성은 반응의 경향과 강도로서 판단한다. 판단 기준은 Frosch & Kligman와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의 guideline의 기준을 근거로 하여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판단한다.
Grade Characteristics
0 No reaction
1 Slight erythema, spotty or diffuse
2 Moderate uniform erythema
3 Intense erythema with edema
4 Intense erythema with edema and vesicle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는 점수를 부여한다.
- 시험과정 중 1 주일 이상(3 회 이상) 무반응이면서 검사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는 그 전의 점수를 부여한다.
- 자극 정도가 grade 3 이상의 경우는 첩포를 중단하고 유도기 동안 3 점을 부여 한다. 그러나 첩포를 중단한 상태에서도 반응이 강해지는 경우에는 4 점까지 점수를 부여한다. 단, 1 회 이상 첩포를 하지 않거나 기타 이유로 중단한 경우는 제외한다.
2) 피부 자극 지수 계산 및 판정 기준
피부 반응도 및 피부 자극 지수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구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시험제품의 피부 자극 정도는 아래의 표 6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피부 자극 지수 구분
0.00 - 0.25 비자극성
0.26 - 1.00 약한 자극성
1.01 - 2.50 중등도 자극성
2.51 - 4.00 강한 자극성
3) 피부 감작성 평가
야기기는 감작성 유무를 검색하기 위한 과정으로 피부 반응 정도는 아래의 표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ICDRG 기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다.
Grade Characteristics
1(+?) Doubtful reaction; faint erythema only
2(+) Weak positive reaction; erythema, infiltration, possibly papules
3(++) Strong positive reaction; erythema, infiltration, papules, vesicles
4(+++) Extreme positive reaction; intense erythema and infiltration and coalescing vesicles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는 피부 감작성이 있다고 판정한다.
- 홍반(erythema), 부종(oedema), 구진(papules), 수포(vesicles)를 동반하는 임상형을 가질 경우(3 (++) 이상)
- 1차 야기 첩포 후 첫 번째 관찰에서 두 번째 관찰(첩포 후 48, 96시간)까지 반응의 강도가 증가되는 경우
- 해부학적으로 다른 부위에 두 번째 야기 첩포를 했을 때 유사한 반응이 나타날 경우
4) 시험대상자 주관적 반응 평가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시험대상자는 시험제품 사용 후 느끼는 따끔거림, 화끈거림, 가려움의 정도에 대하여 직접 설문평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6) 피부 누적 자극 평가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도기 동안 1st에서 1+ Grade 2명, 4st에서 1+ Grade 1명 관찰되었다. 관찰된 피부 반응 중 2회 반응이 나타난 시험대상자는 1명 있었으나 어떤 경향성이나 특이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피부 자극 지수는 0.02로 판정기준에 따라 비자극 제품으로 판단되었다.
1st 1+ 2
2+ -
3+ -
4+ -
2st 1+ -
2+ -
3+ -
4+ -
3st 1+ -
2+ -
3+ -
4+ -
4st 1+ 1
2+ -
3+ -
4+ -
5st 1+ -
2+ -
3+ -
4+ -
(7) 피부 감작성 평가 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야기기 동안 첩포 제거 30분 후 1명에게서 1(+?)grade의 피부 반응이 관찰되었고, 첩포 제거 48시간 경과 후 1명에게서 1(+?)grade의 피부 반응이 관찰되었다.
Challenge phase 0.5hrs 1(+?) 1
2(+) -
3(++) -
4(+++) -
48hrs 1(+?) 1
2(+) -
3(++) -
4(+++) -
96hrs 1(+?) -
2(+) -
3(++) -
4(+++) -
(8) 피부 자극에 대한 시험대상자의 주관적 평가 결과
시험대상자의 주관적 피부 자극 정도에 대한 평가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첩포 제거 후 인원
1 2 3
따끔함 0.5hrs 1 - -
48hrs - - -
96hrs 1 - -
화끈거림 0.5hrs 1 - -
48hrs - - -
96hrs - - -
가려움 0.5hrs 1 4 -
48hrs 1 - -
96hrs - - -
*단계: 1(약함), 2(보통), 3(강함)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마유와 나노다이아몬드를 레시틴을 통해 유화시켜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2. 나노다이아몬드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수상용액 제조단계;
    마유와 인지질을 포함하는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유상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수상용액과 상기 유상용액을 혼합 교반하여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리포좀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용액 제조단계는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을 나노다이아몬드와 함께 정제수에 첨가하고 80~100℃ 으로 가온하며 용해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다이아몬드는 탄소의 폭발법에 의해 만들어진 결함이 있는 그래핀 구조를 갖는 1~100nm 크기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나노다이아몬드 1 내지 5 ppm 수용액을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용액 제조단계는 마유를 80~100℃ 가온하면서 인지질에 용해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마유를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4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을 상기 수상용액과 유상용액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1.5 내지 3.5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여 유상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제조단계는 상기 수상용액에 상기 유상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고, 교반 후 온도가 40℃ 이하가 되었을 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반복 가공함으로써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제조단계는 상기 수상용액에 상기 유상용액을 부어가면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고, 온도 40℃ 이하가 되었을 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20,000 내지 30,000psi 압력으로 2회 내지 5회 반복 가공함으로써 나노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0. 결함이 있는 나노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수상용액과 마유 및 인지질이 포함된 유상용액을 유화시켜 제조된 나노리포좀이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상기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포함된 나노리포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상기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되어 있는 나노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수상코어, 상기 수상코어를 둘러싼 인지질로 구성된 유상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
  12.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된 상태로 수상코어에 포함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기능성 식물 추출 생리 활성 성분이 나노다이아몬드의 결함이 있는 부분에 결착된 상태로 수상코어에 포함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6281A 2018-08-17 2018-08-17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10214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81A KR102142960B1 (ko) 2018-08-17 2018-08-17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PCT/KR2018/016045 WO2020036266A1 (ko) 2018-08-17 2018-12-17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81A KR102142960B1 (ko) 2018-08-17 2018-08-17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502A true KR20200020502A (ko) 2020-02-26
KR102142960B1 KR102142960B1 (ko) 2020-08-10

Family

ID=6952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281A KR102142960B1 (ko) 2018-08-17 2018-08-17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2960B1 (ko)
WO (1) WO2020036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72B1 (ko) * 2023-12-05 2024-04-29 주식회사 어테이션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15A (ko) * 2014-06-27 2016-01-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포접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60132295A (ko) * 2015-05-08 2016-11-17 나노리소스 주식회사 생리활성물질-나노다이아몬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48B1 (ko) * 2007-10-19 2010-03-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타민c 유도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00104144A (ko) * 2009-03-16 2010-09-29 주식회사 제마유 마유 및 말태반 추출물이 내포된 수용성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76282B1 (ko) * 2015-05-08 2018-07-10 나노리소스 주식회사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생리 활성물질의 경피 전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15A (ko) * 2014-06-27 2016-01-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포접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60132295A (ko) * 2015-05-08 2016-11-17 나노리소스 주식회사 생리활성물질-나노다이아몬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266A1 (ko) 2020-02-20
KR102142960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5377B2 (ja) 脂質及び界面活性剤の高分子集合体を含む組成物
JP4203394B2 (ja) 高濃度のトリテルペノイドを含有する微小化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8915B2 (ja) 多重層リポソ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21959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US2006002424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employing membrane structured solid nanoparticles for enhanced delivery of oral care actives
US103220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smeceutical ingredients containing epi-dermal delivery mechanisms
LU101384A1 (en) Encapsulated Cannabinoid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CN111093633A (zh) 双相大麻素递送
HU213669B (en) Preparation suitable for local treatment and comprising suspension of solid lipid particles, as well as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local treatment of body
JPH07309711A (ja) 痩身組成物および人体の肉付および/または過体重を減らすおよび/またはこれらと闘うための該組成物の用途並びにその方法
KR20110076068A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AT505086B1 (de) Pharmazeutisches mittel gegen juckreiz und juckreizbedingten schmerz
KR100785484B1 (ko)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20060061879A (ko) 나노사이즈의 리포좀과 수중유상 에멀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3180B1 (ko) 신규한 경피흡수용 약물전달체, 그를 이용한 탈모방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KR102142960B1 (ko)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101775266B1 (ko) 신규한 트라넥사민산 담지 액정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61458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82355B1 (ko)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160099417A (ko) 나노 운반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E10360503A1 (de) Kombinations- Set und Verfahren zur bioregenerativen Behandlung von Haut
KR20210115591A (ko) 트라넥사민산 담지 경피전달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
Jose et al. Ethosomes as a Promising Delivery Carrier for Herbal Drugs: Recent Developments
KR100501309B1 (ko)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40742B1 (ko) 크기가 조절된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