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209A - 전류 차단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차단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209A
KR20160065209A KR1020167012519A KR20167012519A KR20160065209A KR 20160065209 A KR20160065209 A KR 20160065209A KR 1020167012519 A KR1020167012519 A KR 1020167012519A KR 20167012519 A KR20167012519 A KR 20167012519A KR 20160065209 A KR20160065209 A KR 2016006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izing member
energizing
case
deformable
predetermin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065B1 (ko
Inventor
타카유키 히로세
모토아키 오쿠다
히로야스 니시하라
토시아키 이와
요시히로 오가와
마코토 미츠야스
노리미츠 아키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이글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이글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6006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685Means to protect pressure sensitive element against ove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6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electric overloads, e.g. includin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4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2/124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77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with provisions for direct mounting on a battery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2071/0292Housing or frames containing grooves or slots for guiding 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6Pressur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전류 차단 장치는,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와 제1 변형 부재와 제2 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통전 부재는,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전 부재는, 제1 통전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변형 부재는,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고,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제2 통전 부재와 비접촉이 된다. 제2 변형 부재에는,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한 형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돌기가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한다. 제1 통전 부재에, 제1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통전 부재에, 제2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류 차단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CURRENT BREAKER AND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3년 10월 16일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제2013-21580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원용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전류 차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축전 장치가 과충전 되거나,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했을 때에, 전극 단자 간(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류 차단 장치는, 전극 단자와 전극의 사이(정극 단자와 정극의 사이 또는 부극 단자와 부극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38529호에는, 케이스에 제1 통전 부재(코킹(caulking) 부품)를 고정하고, 제1 통전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통전 부재(집전 단자)를 배치하는 전류 차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38529호를, 특허문헌 1이라 칭한다. 제1 통전 부재에는 변형 부재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변형 부재의 중앙부는, 제2 통전 부재에 접하고 있다. 변형 부재의 단부는, 절연체(내부 아래 개스킷)를 개재하여(via) 제2 통전 부재에 접하고 있다. 변형 부재의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에 접하고 있을 때에는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가 도통하고 있고, 변형 부재의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이반하면(separate)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가 비도통(nonconducted)이 된다. 특허문헌 1의 전류 차단 장치는, 축전 장치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변형 부재의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이반하고,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를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전극 단자와 전극의 사이의 도통을 차단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38529호
전류 차단 장치가 확실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축전 장치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변형 부재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원활하게 이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 통전 부재에 대한 변형 부재의 위치가 설계값으로부터 어긋나면, 제2 통전 부재에 대한 변형 부재의 위치도 설계값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 결과, 전류 차단 장치의 동작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신뢰성이 높은 전류 차단 장치를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전류 차단 장치는, 축전 장치의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전극 단자와 전극의 사이의 도통을 차단한다. 그 전류 차단 장치는,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와, 제1 변형 부재와, 제2 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통전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통전 부재는, 상기 제1 통전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통전 부재와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변형 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상기 제2 통전 부재와 비접촉이 된다. 상기 제2 변형 부재는,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변형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변형 부재에는,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한 형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중앙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중앙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 통전 부재의 상기 제2 통전 부재측에,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상기 제1 변형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도 개시한다.
상기의 전류 차단 장치는, 변형 부재(제1 변형 부재, 제2 변형 부재)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통전 부재(제1 통전 부재, 제2 통전 부재)에 대한 변형 부재의 위치가 설계값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케이스 내의 압력 변화에 대하여, 전류 차단 장치의 동작, 즉, 변형 부재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전류 차단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축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축전 장치로 이용되고 있는 전류 차단 장치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축전 장치로 이용되고 있는 전류 차단 장치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축전 장치의 기술적 특징의 몇가지를 기술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사항은, 각각 단독으로 기술적인 유용성을 갖고 있다.
축전 장치는, 케이스와, 전극 조립체와, 전극 단자와, 전류 차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 조립체는,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고, 정극 및 부극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전극 단자는, 케이스의 내외를 통하고 있어도 좋다. 즉, 전극 단자의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전극 단자의 다른 일부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전류 차단 장치는, 부극 단자와 부극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류 차단 장치는, 부극 단자와 부극의 통전 경로 상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내압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부극 단자와 부극을 도통 상태에서 비도통 상태로 전환한다 .전류 차단 장치는, 정극 단자와 정극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류 차단 장치는, 정극 단자와 정극의 통전 경로 상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내압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정극 단자와 정극을 도통 상태에서 비도통 상태로 전환한다.
전류 차단 장치는,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와, 제1 변형 부재와, 제2 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 통전 부재는, 축전 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도전 부재는, 정극 단자의 일부, 또는, 부극 단자의 일부여도 좋다.
제2 통전 부재는, 제1 통전 부재와 간격을 갖고 제1 통전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는,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의 두께는, 단부의 두께보다 얇아도 좋다. 또한,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에,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파단의 기점이 되는 파단홈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파단홈은,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에 있어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일순(circular shape)하고 있어도 좋다. 제1 통전 부재가 전극 단자(정극 단자 또는 부극 단자)의 일부의 경우, 제2 통전 부재는, 전극 단자에 대향하고 있어도 좋다. 제1 통전 부재가 전극 단자의 일부가 아닌 경우, 제2 통전 부재는, 전극 단자에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절연 부재가,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 절연 부재에 의해,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절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 외에서는,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절연성의 시일 부재(sealing member)가,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시일 부재는, 시일 부재, 제1 통전 부재 및 제2 통전 부재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전류 차단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격리한다. 시일 부재는, 상기한 절연 부재의 외측에서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를 시일 하고 있어도 좋다. 시일 부재는, 절연 부재와 비 접촉 상태로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통전 부재의 제2 통전 부재측, 및/또는, 제2 통전 부재의 제1 통전 부재측에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절연 부재가, 그 홈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절연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 부재가 제1 변형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절연 부재가 시일 부재에 접촉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변형 부재는, 제1 통전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변형 부재는, 절연 부재의 내측에서 제1 통전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변형 부재는, 절연 부재와 비접촉 상태로 제1 통전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변형 부재는,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변형 부재의 단부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1 변형 부재의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변형 부재의 중앙부는, 파단홈에 둘러싸인 위치에서 제2 통전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변형 부재는,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제2 통전 부재와 비접촉이 되어도 좋다. 제1 변형 부재는,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지듯이 반전해도 좋다.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가 파단하고, 제1 변형 부재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져도 좋다.
제1 통전 부재의 제2 통전 부재측에, 제1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규제 구조는, 제1 통전 부재의 제2 통전 부재측에 설치되어 있는 패임(recess)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변형 부재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tial edge)이 패임의 측면에 접하고 있어도 좋다. 제1 통전 부재에 대한 제1 변형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변형 부재는, 제2 통전 부재에 대해서 제1 변형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2 통전 부재가, 제1 변형 부재와 제2 변형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변형 부재는, 제2 통전 부재와 전극 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변형 부재는, 제2 통전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변형 부재의 제2 통전 부재측의 중앙부에, 제2 통전 부재를 향하여 돌출한 형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돌기가,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제1 통전 부재의 파단홈에 둘러싸인 부분에 대향하고 있어도 좋다. 돌기는, 절연성이어도 좋다.
제2 변형 부재는,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돌기가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해도 좋다. 즉, 제2 변형 부재는, 케이스의 내압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1 위치에 존재하고 있고, 케이스의 내압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중앙부가 제2 통전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제2 위치에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제2 통전 부재의 제1 통전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제2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규제 구조는, 제2 통전 부재의 제1 통전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패임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2 변형 부재의 외주연이 패임의 측면에 접하고 있어도 좋다. 제2 통전 부재에 대한 제2 변형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변형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쌍방은, 전극 단자와 전극의 통전 경로상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극 단자와 전극의 일방에 제1 변형 부재가 접속되어 있고, 전극 단자와 전극의 타방에 제2 통전 부재가 접속되어 있고, 제1 변형 부재와 제2 통전 부재의 도통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전극 단자와 전극의 타방이 제1 변형 부재와 절연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전극 단자와 전극의 일방이 제2 통전 부재와 절연되어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축전 장치의 일 예로서, 2차 전지, 커패시터 등을 들 수 있다. 2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일 예로서,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대향하는 전극쌍(부극 및 정극)을 갖는 셀이 복수 적층된 적층 타입의 전극 조립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대향하는 전극쌍을 갖는 시트 형상의 셀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가공된 권회형의 전극 조립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축전 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축전 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의 쌍방이 케이스의 일방향에 노출되어 있는 축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원통형의 전지와 같이, 케이스가 일방의 극성(예를 들면 정극)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하고, 타방의 극성(예를 들면 부극)의 전극 단자가 케이스로부터 절연 된 상태로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타입의 축전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류 차단 장치가 부극 단자와 부극에 접속되어 있는 축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전류 차단 장치가 정극 단자와 정극에 접속되어 있는 축전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제1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축전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축전 장치(100)는, 케이스(18)와, 전극 조립체(52)와, 정극 단자(2)와, 부극 단자(30)와, 전류 차단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8)는, 금속제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케이스(18)는, 덮개부(18a)와 본체부(18b)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8)의 내부에는, 전극 조립체(52)와 전류 차단 장치(50)가 수용되어 있다. 전극 조립체(52)는, 정극과 부극을 구비하고 있다(도시 생략). 정극 탭(16)이 정극에 고정되어 있고, 부극 탭(20)이 부극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18)의 내부는,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고, 대기가 제거되어 있다.
정극 단자(2)와 부극 단자(30)가, 케이스(18)의 내외를 통하고 있다. 정극 단자(2)와 부극 단자(30)는, 케이스(18)의 일방향(도 1의 지면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정극 단자(2)와 부극 단자(30)의 쌍방이, 전극 조립체(52)에 대해서 같은 방향(덮개부(18a)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정극 단자(2)는, 볼트부(8)를 구비하고 있다. 정극 단자(2)는, 볼트부(8)에 너트(10)를 걸어맞춤 함으로써, 케이스(18)에 고정되어 있다. 정극 단자(2)의 일단은 케이스(18)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타단은 케이스(18)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극 단자(30)는, 볼트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부극 단자(30)는, 볼트부(36)에 너트(38)를 걸어맞춤 함으로써, 케이스(18)에 고정되어 있다. 부극 단자(30)의 일단은 케이스(18)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타단은 케이스(18)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정극 단자(2)에, 정극 리드(14)가 접속되어 있다. 정극 리드(14)는, 정극 탭(16)에 접속되어 있다. 정극 단자(2)는, 정극 리드(14)를 통하여, 정극 탭(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정극 단자(2)는, 전극 조립체(52)의 정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극 리드(14)는, 절연 부재에 의해 케이스(18)에서 절연되어 있다. 절연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절연 시트(12)가 이용된다. 정극 단자(2) 및 너트(10)는, 절연 부재(58)에 의해 케이스(18)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정극 단자(2)와 케이스(18)의 사이에 절연성의 시일 부재(56)가 배치되어 있다. 정극 단자(2)와 케이스(18)의 간극은, 시일 부재(56)에 의해 시일되고 있다. 또한, 버스바(Busbar;4)가, 버스바 볼트(6)에 의해, 정극 단자(2)에 고정되어 있다.
부극 단자(30)는, 전류 차단 장치(50)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차단 장치(50)의 상세는 후술 한다. 전류 차단 장치(50)는, 금속제의 접속 부재(26)를 통하여, 부극 리드(2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26)와 부극 리드(24)는, 일체로 형성된 1개의 부재라도 좋다. 부극 단자(30)는, 부극 리드(24)를 통하여, 부극 탭(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부극 단자(30)는, 전극 조립체(52)의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 리드(24)는, 절연 부재에 의해 케이스(18)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절연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절연 시트(22)가 이용된다. 부극 단자(30) 및 너트(38)는, 절연 부재(28)에 의해 케이스(18)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부극 단자(30)와 케이스(18)의 사이에 절연성의 시일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부극 단자(30)와 케이스(18)의 간극은, 시일 부재(42)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또한, 버스바(32)가, 버스바 볼트(34)에 의해, 부극 단자(30)에 고정되어 있다.
축전 장치(100)에서는, 케이스(18)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 부극 단자(30)와 부극 탭(20)이, 전류 차단 장치(5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즉, 부극 단자(30)와 부극의 사이가 도통하고 있다. 케이스(18)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전류 차단 장치(50)가, 부극 단자(30)와 부극 탭(20)의 도통을 차단하고, 축전 장치(10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전류 차단 장치(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류 차단 장치(50)는, 부극 단자(30)의 확경부(enlarged diameter portion;37)와, 금속제의 파단판(88)과, 금속제의 제1 변형 부재(80)와, 금속제의 제2 변형 부재(9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확경부(37)(부극 단자(30))는, 케이스(18)에 고정되어 있다. 부극 단자(30)는, 제1 통전 부재의 일 예이다. 파단판(88)은, 확경부(37)와 간격을 갖고 확경부(37)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파단판(88)은, 제2 통전 부재의 일 예이다. 전극 조립체(52)(도 1도 참조)와 케이스(18)의 사이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52)의 상방에, 제2 변형 부재(93), 파단판(88), 제1 변형 부재(80), 확경부(37)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확경부(37)의 파단판(88)측의 면에는, 홈(92)과 패임(86)이 설치되어 있다. 패임(86)은,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의 일 예이다. 패임(86)은, 홈(92)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패임(86)은, 홈(92)을 획정하고 있는 일방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확경부(37)의 파단판(88)에 대향하는 대향면(35)은, 중앙을 향하여 패여 있다. 환언하면, 대향면(35)은,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함으로써, 파단판(88)에서 떨어지듯이 경사져 있다. 대향면(35)이란, 확경부(37)의 파단판(88)에 대향하는 면 중, 제1 변형 부재(8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면을 의미한다. 또한, 「홈」은, 2개의 측벽에 둘러싸인 저면을 갖는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패임」은, 단순히 주위보다도 높이가 낮은 형태로서, 단차를 갖는 형태를 의미한다.
파단판(88)의 확경부(37)측에, 홈(96)이 설치되어 있다. 홈(96)은, 홈(9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파단판(88)에는, 접속 부재(26)가 고정되어 있다. 파단판(88)은, 접속 부재(26), 부극 리드(24)를 통하여, 부극 탭(20)과 도통하고 있다(도 1도 참조). 또한, 파단판(88)과 접속 부재(26)는, 일체로 형성된 1개의 부재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26)와 부극 리드(24)는 일체의 부재라도 좋다. 그 때문에, 파단판(88), 접속 부재(26), 및 부극 리드(24)의 전부가 일체의 부재라도 좋다. 파단판(88)의 중앙부(88a)의 두께는, 단부(88b)의 두께보다 얇다. 또한, 중앙부(88a)의 주위에는, 파단홈(90)이 설치되어 있다. 파단홈(90)은, 중앙부(88a)에서 연속적으로 일순하고 있다. 파단판(88)의 확경부(37)와는 반대측에, 패임(89)이 설치되어 있다. 패임(89)은, 파단판(88)의 단부(88b)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78)가, 부극 단자(30)의 확경부(37)와 파단판(88)을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78)는, 금속제의 외측부(72)와, 절연성의 제1 내측부(74)와, 절연성의 제2 내측부(7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내측부(74)는, 외측부(7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내측부(75)의 상방(케이스(18)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측부(75)는, 외측부(7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내측부(75)의 하방(전극 조립체(52)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부(72)에 의해, 확경부(37)와 파단판(88)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내측부(74)와 제2 내측부(75)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 외측부(72)를 코킹함으로써, 파단판(88)을 확경부(37)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내측부(74, 75)는, 확경부(37)와 파단판(88)을 절연 하고 있다.
절연 부재(94)가, 확경부(37)(부극 단자(30))와 파단판(8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 부재(94)는, 확경부(37)와 파단판(88)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즉, 절연 부재(94)는, 확경부(37)와 파단판(88)이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절연 부재(94)는, 후술하는 제1 변형 부재(80)의 중앙부(80a)와 파단판(88)의 중앙부(88a) 이외의 개소에서, 확경부(37)와 파단판(88)이 직접 도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절연 부재(94)의 일부가, 홈(92, 96)내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 부재(94)는, 제1 변형 부재(8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제1 변형 부재(80)는, 금속성의 다이어프램이다. 제1 변형 부재(80)는, 확경부(37)와 파단판(8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변형 부재(80)의 단부(80b)는, 확경부(37)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변형 부재(80)의 외주연이 확경부(37)의 패임(86)의 측벽에 맞닿는 상태로, 제1 변형 부재(80)의 단부(80b)가 확경부(37)에 용접되어 있다. 패임(86)의 측벽은, 제1 변형 부재(80)의 외주연이 맞닿는 맞닿음면이다. 패임(86)은,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1 변형 부재(80)의 외주연을 패임(86)의 측벽에 맞닿음 시킴으로써, 확경부(37)에 대한 제1 변형 부재(8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변형 부재(80)의 중앙부(80a)가, 확경부(37)로부터 떨어지듯이 돌출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 변형 부재(80)는, 단부(80b)에서 중앙부(80a)를 향함으로써, 파단판(88)에 가까워지고 있다. 제1 변형 부재(80)의 중앙부(80a)는, 파단홈(90)의 내측에서, 파단판(88)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류 차단 장치(50)를 평면에서 볼 때(도 2의 위에서 보면), 중앙부(80a)가, 파단홈(90)에 둘러싸인 범위에서, 파단판(88)에 용접되어 있다.
제2 변형 부재(93)는, 금속제의 다이어프램이다. 제2 변형 부재(93)는, 파단판(88)에 대해서, 제1 변형 부재(8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파단판(88)은, 제1 변형 부재(80)와 제2 변형 부재(9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변형 부재(93)의 단부(93b)가, 파단판(88)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변형 부재(93)의 외주연이 파단판(88)의 패임(89)의 측벽에 맞닿은 상태로, 제2 변형 부재(93)의 단부(93b)가 파단판(88)에 용접되어 있다. 패임(89)의 측벽은, 제2 변형 부재(93)의 외주연이 맞닿는 맞닿음면이다. 패임(89)은,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2 변형 부재(93)의 외주연을 패임(89)의 측벽에 맞닿음 시킴으로써, 파단판(88)에 대한 제2 변형 부재(93)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변형 부재(93)의 파단판(88)측에는, 절연성의 돌기(95)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95)는, 제2 변형 부재(93)의 중앙부(93a)에 배치되어 있고, 파단판(88)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형상이다. 돌기(95)는, 파단판(88)의 중앙부(88a)에 대향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류 차단 장치(50)를 평면에서(도 2의 상하 방향에서 관찰)보았을 때에, 돌기(95)가, 파단홈(90)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변형 부재(93)는, 단부(93b)로부터 중앙부(93a)를 향함으로써, 파단판(88)에서 떨어지듯이 돌출하고 있다.
시일 부재(84)가, 확경부(37)와 파단판(8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84)는, 절연성의 O링이다. 시일 부재(84)는, 절연 부재(9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84)는, 확경부(37)와 파단판(88)을 절연함과 함께, 전류 차단 장치(50)의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하고 있다. 즉, 시일 부재(84)는, 확경부(37)와 파단판(88)을 시일 하고, 전류 차단 장치(50)의 내부의 공간을, 전류 차단 장치(50)의 외부의 공간(케이스(18)내의 공간)과 차단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절연 부재(94)의 일부가, 홈(92, 96)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절연 부재(94)는, 시일 부재(84)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케이스(18)의 내압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 부극 단자(30)는, 제1 변형 부재(80), 파단판(88), 접속 부재(26), 부극 리드(24), 부극 탭(20)을 통하여, 부극과 도통하고 있다. 케이스(18)의 내압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돌기(95)와 파단판(88)의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축전 장치(100)가 과충전 상태가 되거나, 과온도 상승 상태가 되면, 케이스(18)의 내압이 상승하여, 소정값을 초과한다. 케이스(18)의 내압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제2 변형 부재(93)가, 파단판(88)을 향하여 변형한다. 즉, 중앙부(93a)가, 파단판(88)의 중앙부(88a)를 향하여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2 변형 부재(93)가, 단부(93b)를 지점으로 하여 반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8)의 내압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제2 변형 부재(93)의 중앙부(93a)는 파단판(88)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1 위치에 존재하고 있고, 케이스(18)의 내압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제2 변형 부재(93)의 중앙부(93a)는 파단판(88)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제2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돌기(95)가 파단판(88)에 접촉하고, 파단판(88)이 파단홈(90)을 기점으로서 파단한다. 제1 변형 부재(80)와 파단판(88)이 분리되고, 파단판(88)과 제1 변형 부재(80)가 비도통이 된다. 부극 단자(30)와 부극이 비도통이 되기 때문에, 정극 단자(2)와 부극 단자(30)(도 1도 참조)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단판(88)이 파단하면, 제1 변형 부재(80)의 중앙부(80a)가, 파단판(88)측으로부터 확경부(37)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1 변형 부재(80)가 반전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확경부(37)의 대향면(35)이 패여 있기 때문에, 제1 변형 부재(80)의 반전이 확경부(37)(부극 단자(30))에 지장을 줄 일은 없다. 파단판(88)이 파단한 후에, 제1 변형 부재(80)와 파단판(88)이 재도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18) 내의 압력이 상승해 전류 차단 장치(50)가 작동한 후에, 정극 단자(2)와 부극 단자(30)의 사이에 재차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 부재(93)가 반전하면, 돌기(95)의 일부가, 파단판(88)의 상방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돌기(95)가, 파단판(88)의 중앙 부분을 통과한다. 돌기(95)는, 제1 변형 부재(80)가 하방(파단판(88)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제1 변형 부재(80)와 파단판(88)이 재도통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축전 장치(100)의 이점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확경부(37)(부극 단자(30))에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패임(8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변형 부재(80)의 외주연을 패임(86)의 측벽에 맞닿게 한 상태로, 확경부(37)에 제1 변형 부재(8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확경부(37)에 대해서 제1 변형 부재(80)가 위치 어긋남 하지 않는 상태로, 제1 변형 부재(80)를 확경부(37)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변형 부재(80)의 반전이 원활하게되고, 제1 변형 부재(80)를 파단판(88)에서 확실히 이반 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파단판(88)에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패임(89))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변형 부재(93)의 외주연을 패임(89)의 측벽에 맞닿게 한 상태로, 파단판(88)에 제2 변형 부재(93)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파단판(88)에 대해서 제2 변형 부재(93)가 위치 어긋남 되지 않은 상태로, 제2 변형 부재(93)를 파단판(88)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변형 부재(93)의 반전이 원활하게되어, 파단판(88)을 확실히 파단할 수 있다. 제1 변형 부재(80) 및 제2 변형 부재(93)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전류 차단 장치(50)가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94)는, 제1 변형 부재(80) 및 시일 부재(84)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연 부재(94)가 제1 변형 부재(80)에 접촉하여, 제1 변형 부재(80)의 가동 범위를 좁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94)가 제1 변형 부재(80)에 접촉하여, 케이스(18) 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전에 제1 변형 부재(80)의 형상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 부재(80)의 외주연은 확경부(37)의 패임(86)의 측벽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1 변형 부재(80)가 절연 부재(94)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도 규제되어 있다. 또한, 절연 부재(94)가 시일 부재(84)에 접촉하여, 시일 부재(84)의 존재 공간을 좁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일 부재(84)의 존재 공간이 좁아지면, 시일 부재(84)의 충전율이 증대되고, 시일 부재(84)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전류 차단 장치(50)에서는, 제2 변형 부재(93)가, 전류 차단 장치(50)의 내부와 외부를 사이에 두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변형 부재(93)에는, 케이스(18)의 내압 변화가 직접 작용한다. 케이스(18)의 내압에 따라 반전하는 제2 변형 부재(93)를 이용함으로써, 케이스(18)의 내압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파단판(88)을 확실히 파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 부재(93)를 이용함으로써, 파단판(88)을 전류 차단 장치(50)의 외부(케이스(18)의 내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파단판(88)이 파단했을 때에 아크가 발생해도, 아크가 케이스(18) 내의 가스(예를 들면 수소)와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을 참조하여, 축전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축전 장치(200)는, 축전 장치(100)의 변형 예로서, 전류 차단 장치(250)의 구조가 축전 장치(100)의 전류 차단 장치(50)와 상이하다. 축전 장치(200)에 대해서, 축전 장치(100)와 같은 부품은, 축전 장치(100)와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 하는 일이 있다.
전류 차단 장치(250)는,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의 형태가 전류 차단 장치(50)와 상이하다. 전류 차단 장치(250)에는, 파단판(88)의 단부(88b)에 삽입구멍(289)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변형 부재(93)의 단부(93b)를 삽입구멍(289)에 삽입함으로써, 제2 변형 부재(93)의 외주연이, 삽입구멍(289)의 저면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파단판(88)에 대한 제2 변형 부재(93)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전류 차단 장치(50, 250)에서는, 제1 변형 부재(80)의 단부(80b)를 고정하는 제1 통전 부재가, 부극 단자(30)의 일부(확경부(37))이다. 제1 통전 부재는, 그 자체가 외부 배선 등을 접속하는 외부 단자의 일부라도 좋고, 제1 통전 부재와는 별도로 외부 배선 등을 접속하는 외부 단자를 설치하고, 제1 통전 부재와 그 외부 단자를 도전성의 리드(lead) 등으로 접속해도 좋다. 또한, 제1 통전 부재에 제1 변형 부재를 직접 고정하지 않고, 제1 통전 부재에 도전성의 리드를 접속하고, 그 리드에 제1 변형 부재를 접속해도 좋다. 또한, 제1 통전 부재가 전극 단자와는 다른 부품의 경우, 제1 통전 부재와 전극(정극 또는 부극)을 접속하고, 파단판(제2 통전 부재)과 전극 단자를 접속해도 좋다. 또한, 제2 변형 부재(93)는 금속제가 아니어도 좋다.
전류 차단 장치(250)에서는,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패임(86)이고,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삽입구멍(289)이다.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 및,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의 쌍방이 삽입구멍이어도 좋다. 혹은,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삽입구멍이고,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패임이라도 좋다. 또한, 확경부(37)(제1 통전 부재)에만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고 있고, 파단판(88)에는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혹은, 확경부(37)(제1 통전 부재)에는 제1 변형 부재(8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파단판(88)에만 제2 변형 부재(9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축전 장치는, 제1 통전 부재와 제1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하는 절연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제1 통전 부재와 제1 통전 부재의 적어도 일방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 때문에, 전류 차단 장치의 구조, 및, 축전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재료는 여러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축전 장치의 일 예인 리튬이온 2차 전지에 대해서, 축전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재료를 예시한다.
전극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극 조립체는, 정극과, 부극과, 정극과 부극의 사이의 위치에 개재하고 있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정극은, 정극용 금속박과, 정극용 금속박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정극 활물질층을 가진다. 정극 탭은, 정극 활물질층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정극용 금속박에 상당한다. 부극은, 부극용 금속박과 부극용 금속박 상에 형성되고 있는 부극 활물질층을 가진다. 부극 탭은, 부극 활물질층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극용 금속박에 상당한다. 또한,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재료(활물질, 바인더, 도전조제(conduction assisting agent) 등)에는 특히 제한이 없고, 공지의 축전 장치 등의 전극에 이용되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정극용 금속박으로서,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탄(Ti), 스테인리스강 또는 그러한 복합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복합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극 리드의 재료로서, 정극용 금속박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정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이 침입 및 이탈 가능한 재료이면 좋고, Li2MnO3, Li(NiCoMn)0.33O2, Li(NiMn)0.5O2, LiMn2O4, LiMnO2, LiNiO2, LiCoO2, LiNi0.8Co0.15Al0.05O2, Li2MnO2, LiMn2O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혹은, 황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 이용해도 좋다. 정극 활물질은, 필요에 따라서 도전재, 결착제 등과 함께 정극용 금속박에 도포된다.
부극용 금속박으로서 알루미늄, 니켈, 동(Cu) 등 , 또는 그러한 복합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동 또는 동을 포함한 복합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극 리드의 재료로서, 부극용 금속박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부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이 침입 및 이탈 가능한 재료를 이용한다. 리튬(Li), 나트륨(Na) 등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금속을 포함한 전이 금속 산화물(transition metal oxide), 천연 흑연, 메소카본마이크로비즈(meso-carbon microbeads), 고배향성 그라파이트, 하드카본, 소프트카본 등의 탄소 재료, 실리콘 단체 또는 실리콘 함유 합금 또는 실리콘 함유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극 활물질은, 전지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튬(Li)을 포함하지 않는 재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극 활물질은, 필요에 따라서 도전재, 결착제 등과 함께 부극용 금속박에 도포된다.
세퍼레이터는, 절연성을 갖는 다공질을 이용한다. 세퍼레이터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메틸셀룰로오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전해액은, 비수계의 용매에 지지염(전해질)을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계의 용매로서, 에틸렌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등의 쇄상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는 용매, 아세트산 에틸,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용매, 또는 이러한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염(전해질)으로서 예를 들면, LiPF6, LiBF4, LiAsF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기술에는, 이상으로 예시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의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의 청구항에 기재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의 목적을 함께 달성 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중의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Claims (9)

  1. 축전 장치의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전극 단자와 전극 사이의 도통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통전 부재와,
    상기 제1 통전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통전 부재와,
    상기 제1 통전 부재와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제2 통전 부재와 비접촉이 되는 제1 변형 부재와,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1 변형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한 형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중앙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상기 중앙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는 제2 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통전 부재의 상기 제2 통전 부재측에,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단부는, 상기 규제 구조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구조가, 상기 제2 통전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패여있는 패임이며,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단부가 상기 패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외주연이 패임의 측면에 접하고 있는 전류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통전 부재에 용접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상기 제1 변형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
  5. 축전 장치의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전극 단자와 전극의 사이의 도통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통전 부재와,
    상기 제1 통전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통전 부재와,
    상기 제1 통전 부재와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제2 통전 부재와 비접촉이 되는 제1 변형 부재와,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1 변형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한 형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중앙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중앙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접촉하는 제2 변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통전 부재의 상기 제1 변형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구조가, 상기 제2 통전 부재측과는 반대측에 패여 있는 패임이며,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단부가 상기 패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외주연이 패임의 측면에 접하고 있는 전류 차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 통전 부재에 용접되고 있는 전류 차단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류 차단 장치를 갖추는 축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장치는, 2차 전지인 축전 장치.
KR1020167012519A 2013-10-16 2014-09-16 전류 차단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 KR101663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5804 2013-10-16
JP2013215804 2013-10-16
PCT/JP2014/074434 WO2015056511A1 (ja) 2013-10-16 2014-09-16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209A true KR20160065209A (ko) 2016-06-08
KR101663065B1 KR101663065B1 (ko) 2016-10-06

Family

ID=5282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519A KR101663065B1 (ko) 2013-10-16 2014-09-16 전류 차단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78377B2 (ko)
JP (1) JP6019248B2 (ko)
KR (1) KR101663065B1 (ko)
CN (1) CN105637678B (ko)
DE (1) DE112014004757B4 (ko)
WO (1) WO20150565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94A (ko) * 2017-06-13 2018-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단자와 멤브레인 일체형 캡 플레이트를 갖는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5836B (zh) * 2016-06-27 2019-04-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顶盖及动力电池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JP6493352B2 (ja) * 2016-10-13 2019-04-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CN110214384B (zh) * 2017-01-25 2022-06-03 三洋电机株式会社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3536A (ja) * 1994-11-29 1996-06-11 Fuji Photo Film Co Ltd 密閉型非水二次電池
JPH09102330A (ja) * 1995-07-31 1997-04-15 Alps Electric Co Ltd 圧力遮断センサ
JP2003031207A (ja) * 2001-05-11 2003-01-31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安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池
JP2012038529A (ja) 2010-08-05 2012-02-23 Toyota Motor Corp 電池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電気機器
JP2013175428A (ja) * 2012-01-27 2013-09-05 Sanyo Electric Co Ltd 角形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7539A (en) * 1994-05-23 1996-10-22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cell
US5707756A (en) * 1994-11-29 1998-01-13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0739047A3 (en) * 1995-04-21 1999-04-07 Wako Electronics Co., Ltd. Safety device for use in secondary battery
JPH08293301A (ja) * 1995-04-21 1996-11-05 Wako Denshi Kk 二次電池の安全装置
JP4013272B2 (ja) 1997-02-12 2007-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の安全装置
US6210824B1 (en) * 1998-01-15 2001-04-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urrent interrupt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3154279B2 (ja) 1998-11-13 2001-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二次電池
US6524739B1 (en) 1998-08-25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US6342826B1 (en) *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JP2002216743A (ja) * 2001-01-19 2002-08-02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圧力遮断センサ
JP2008027668A (ja) * 2006-07-19 2008-02-07 Sony Corp 電池
JP5084205B2 (ja) * 2006-08-11 2012-11-28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9266714A (ja) 2008-04-28 2009-11-12 Komatsulite Mfg Co Ltd 安全装置
JP5430978B2 (ja) * 2009-03-10 2014-03-05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748030B2 (en) * 2010-06-0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5578371B2 (ja) 2011-11-09 2014-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放電方法
JP5788815B2 (ja) 2012-01-27 2015-10-07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JP5886059B2 (ja) 2012-01-27 2016-03-16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16401B2 (ja) 2012-01-27 2016-05-11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非水電解質二次電池を備える車両
JP5976340B2 (ja) 2012-02-29 2016-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0020146B2 (en) 2012-04-12 2018-07-10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Current interruption device and electric storage devic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3536A (ja) * 1994-11-29 1996-06-11 Fuji Photo Film Co Ltd 密閉型非水二次電池
JPH09102330A (ja) * 1995-07-31 1997-04-15 Alps Electric Co Ltd 圧力遮断センサ
JP2003031207A (ja) * 2001-05-11 2003-01-31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安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池
JP2012038529A (ja) 2010-08-05 2012-02-23 Toyota Motor Corp 電池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電気機器
JP2013175428A (ja) * 2012-01-27 2013-09-05 Sanyo Electric Co Ltd 角形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94A (ko) * 2017-06-13 2018-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단자와 멤브레인 일체형 캡 플레이트를 갖는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4757T5 (de) 2016-08-11
WO2015056511A1 (ja) 2015-04-23
JP6019248B2 (ja) 2016-11-02
US9478377B2 (en) 2016-10-25
CN105637678A (zh) 2016-06-01
US20160268077A1 (en) 2016-09-15
KR101663065B1 (ko) 2016-10-06
JPWO2015056511A1 (ja) 2017-03-09
DE112014004757B4 (de) 2017-11-23
CN105637678B (zh)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065B1 (ko) 전류 차단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축전 장치
JP2015122293A (ja) 電流遮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220964B2 (ja) 蓄電装置
KR101895365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JP6271353B2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160513B2 (ja) 蓄電装置およびその蓄電装置の放電方法
JP2015153665A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498581B2 (ja) 蓄電装置及び電流遮断装置
WO2015146365A1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123648B2 (ja) 蓄電装置
JP2015079631A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2017045660A (ja) 蓄電装置
JP6152783B2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126513B2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WO2015076138A1 (ja) 電流遮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565491B2 (ja) 蓄電装置
JP6446966B2 (ja) 電流遮断装置を備えた蓄電装置
JP6314692B2 (ja) 電流遮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6529881B2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