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064A - 골프공 - Google Patents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064A
KR20160064064A KR1020160064776A KR20160064776A KR20160064064A KR 20160064064 A KR20160064064 A KR 20160064064A KR 1020160064776 A KR1020160064776 A KR 1020160064776A KR 20160064776 A KR20160064776 A KR 20160064776A KR 20160064064 A KR20160064064 A KR 20160064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acid
core
intermediate layer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081B1 (ko
Inventor
가즈히코 이소가와
고스케 다치바나
다카히로 시게미츠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6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45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6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4520B2/ja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2Special cores
    • A63B37/06Elastic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63B37/0029Physical properties
    • A63B37/0033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39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3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3Hardness
    • A63B37/0044Hardness gradi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5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4Substantially rigid,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63B37/00621Centre 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63B37/00622Surface 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2Hardness
    • A63B37/0063Hardness gradi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4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6Multi-piece balls, i.e. having two or more intermedi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2Hardness distribution amongst different bal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2Hardness distribution amongst different ball layers
    • A63B37/00922Hardness distribution amongst different ball layers whereby hardness of the cover is lower than hard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비거리가 크고, 어프로치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골프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 골프공으로서, 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Ho)와 표면 경도(Hs1)의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 이하, 외층 코어의 두께를 구형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12.5% 간격으로 등분한 9점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플롯했을 때에, 최소 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며,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보다 크다.

Description

골프공{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거리가 크고, 어프로치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버샷의 골프공의 비거리를 늘리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반발성이 높은 코어를 이용하는 방법과, 코어의 중심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경도가 높아지는 경도 분포를 갖는 코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골프공의 초속(初速)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후자는, 타출각을 높여, 저스핀으로 하는 효과가 있다. 고타출각 및 저스핀의 골프공은, 비거리가 커진다.
코어의 반발성을 높이는 기술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4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가교제로서 아크릴산아연과, 공가교조제로서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미리스트산과, 공가교조제로서 산화아연과, 반응 속도 지연제를 배합한 내핵을 갖는 솔리드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기재 고무에, 충전재, 유기 과산화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구리염이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고무 조성물의 가교 성형물을 구성 요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폴리부타디엔 및 다른 엘라스토머의 폴리부타디엔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베이스 엘라스토머, 불포화의 모노카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염, 프리라디칼 개시제 및 비공역 디엔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성형된 골프공, 또는 그 구성 성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고무 재료에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을 혼합한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의 마스터 배치를 미리 작성하고, 이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상기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작성하며, 이 고무 조성물의 가열 성형물을 골프공의 구성 요소로 하는 골프공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의 마스터 배치가, 하기 (A)∼(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A) 비닐 함량 0∼2% 및 시스 1,4-결합 함량 80% 이상 갖고, 그리고 활성 말단을 갖는 폴리부타디엔으로서, 그 활성 말단이 적어도 1종의 알콕시실란 화합물로 변성되는 변성 폴리부타디엔 20∼100 질량%
(B) 상기 (A) 고무 성분 이외의 디엔계 고무 80∼0 질량%
[상기 숫자는, (A)와 (B)의 합계량을 100으로 한 경우의 질량%를 나타냄]
(C)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
예컨대, 특허문헌 5∼8은, 경도 분포를 갖는 코어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5에는, 기재 고무, 공가교제 및 유기과산화물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어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투피스 골프공에 있어서, 해당 코어가 JIS-C형 경도계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 중심 경도 1: 58∼73, 중심으로부터 5∼10 ㎜에서의 경도 2: 65∼75, 중심으로부터 15 ㎜에서의 경도 3: 74∼82, 표면 경도 4: 76∼84의 경도 분포를 갖고, 경도 2가 경도 범위 내에서 거의 일정하며, 그리고 그 외가 1<2<3≤4인 관계를 만족하는 투피스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솔리드 코어와, 이것을 피복하는 커버층을 구비하는 솔리드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코어가, 시스-1,4-결합을 60% 이상 함유하고, 희토류 원소계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60∼100 질량% 포함하는 고무 기재 100 질량부에 대하여, 유기 황 화합물 0.1∼5 질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금속염, 무기 충전제 및 노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됨과 함께, 솔리드 코어의 초기 하중 10 kgf로부터 최종 하중 130 kgf까지 부하했을 때의 변형량이 2.0∼4.0 ㎜이며, 그리고 솔리드 코어가 하기 표의 경도 분포를 갖는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01
특허문헌 7에는, 솔리드 코어와, 이것을 피복하는 커버층을 구비하는 솔리드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코어가, 시스-1,4-결합을 60% 이상 함유하고, 희토류 원소계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60∼100 질량부 포함하는 고무 기재 100 질량부에 대하여, 유기 황 화합물 0.1∼5 질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금속염,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됨과 함께, 솔리드 코어의 초기 하중 10 kgf로부터 최종 하중 130 kgf까지 부하했을 때의 변형량이 2.0∼4.0 ㎜이며, 그리고 솔리드 코어가 하기 표의 경도 분포를 갖는 솔리드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02
특허문헌 8에는, 코어와, 이것을 피복하는 포위층과, 이것을 피복하는 해당중간층과, 이것을 피복하며, 표면에 다수의 딤플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멀티피스 솔리드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고무재를 주재로서 형성되고, 코어의 중심으로부터 코어 표면까지 경도가 점차 증가하며, 코어 중심과 코어 표면의 경도차가 JIS-C 경도로 15 이상이고, 그리고 코어 중심으로부터 약 15 ㎜ 떨어진 위치와 코어 중심의 단면 경도의 평균값을 (I), 코어 중심으로부터 약 7.5 ㎜ 떨어진 위치의 단면 경도를 (II)로 한 경우, 양 경도차 (I)-(II)가 JIS-C 경도로 ±2 이내임과 함께, 상기의 포위층, 중간층 및 커버의 경도가, 커버 경도>중간층 경도>포위층 경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피스 솔리드 골프공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소61-3717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제2008-21268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표 제2008-52395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특허공개 제2009-11925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특허공개 평6-154357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특허공개 제2008-19447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특허공개 제2008-194473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특허공개 제2010-253268호 공보
본 발명은, 비거리가 크고, 어프로치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골프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배치된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배치된 커버를 갖는 골프공으로서, 상기 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Ho)와 표면 경도(Hs1)의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 이하이며, 상기 외층 코어의 두께를, 구형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12.5% 간격으로 등분한 9점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플롯했을 때에, 최소 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고,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slab hardness)(Hm)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골프공은, 외강 내유 구조의 정도가 작은 구형의 내층 코어와, 이 구형의 내층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고, 그 경도가 상기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커버를 갖고, 중간층 경도가 커버 경도보다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골프공의 비거리가 커져, 어프로치 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에서의 경도(Hb)와, 외층 코어의 표면 경도(Hs2)의 경도차(Hs2-Hb)는, JIS-C 경도로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 코어의 중심 경도(Ho)는 JIS-C 경도로 4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상기 구형 코어의 표면 경도(Hs2)는 JIS-C 경도로 80 이상 96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 경도(Ho)와 상기 표면 경도(Hs2)의 경도차(Hs2-Ho)는, JIS-C 경도로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 코어의 직경은, 10 ㎜∼25 ㎜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의 경도차(Hm-Hc)는,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0.5 ㎜ 이상 1.6 ㎜ 이하가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의 두께는 0.8 ㎜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은, 상기 구형 코어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중간층과, 이 제1 중간층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중간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가,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보다 작고,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와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의 경도차(Hm2-Hm1)가 쇼어 D 경도로 8 이상이며,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의 경도차(Hm2-Hc)가,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이 복수의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중간층의 총 두께가 1.0 ㎜ 이상 3.0 ㎜ 이하이며, 상기 커버의 두께가 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 코어는, (a) 기재 고무, (b) 공가교제, (c) 가교 개시제 및 (d) 산 및/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상기 (b) 공가교제로서,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산 및/또는 그 염은,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및/또는 그 염이다. 상기 (d) 지방산 및/또는 그 염의 지방산 성분의 탄소수는, 1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d) 산 및/또는 그 염을 1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미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e) 유기 황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유기 황 화합물은, 티오페놀류, 디페닐디술피드류, 티오나프톨류, 티우람디술피드류 또는 이들의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2-티오나프톨이 적합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e) 유기 황 화합물을 0.05 질량부∼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고, (f) 금속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공가교제를 15 질량부∼5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 가교 개시제를 0.2 질량부∼5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공은, 상기 중간층과 커버의 사이에 배치된 보강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거리가 크고, 어프로치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골프공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이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공이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3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3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4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5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6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7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8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9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0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1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2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3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4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5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6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7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8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9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0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1은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2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배치된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배치된 커버를 갖는 골프공으로서, 상기 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Ho)와 표면 경도(Hs1)의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 이하이며, 상기 외층 코어의 두께를, 구형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12.5% 간격으로 등분한 9점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플롯했을 때에, 최소 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며, 상기 중간층의 경도(Hm)가 상기 커버의 경도(Hc)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골프공의 구조
본 발명의 골프공은,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 골프공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골프공을 설명한다.
상기 내층 코어의 형상은, 구형이다. 상기 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Ho)와 표면 경도(Hs1)의 경도차(Hs1-Ho)는, JIS-C 경도로 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상기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를 초과하면, 골프공의 반발성이 저하되고, 타격 직후의 골프공 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경도차(Hs1-Ho)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JIS-C 경도로 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상기 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Ho)는, JIS-C 경도로,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심 경도가, JIS-C 경도로 40 이상이면, 반발성이 향상된다. 또한, 드라이버샷의 스핀 억제의 관점에서, 중심 경도는 JIS-C 경도로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 코어의 표면 경도(Hs1)는, JIS-C 경도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5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경도가 JIS-C 경도로 50 이상이면, 반발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드라이버샷에서의 저스핀화의 관점에서, 표면 경도는 JIS-C 경도로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 코어의 직경은 1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2.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 코어의 직경이 10.0 ㎜ 이상이면, 드라이버샷의 스핀량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층 코어의 직경은, 2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9.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 코어의 직경이 25.0 ㎜ 이하이면, 골프공의 반발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외층 코어는, 내층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다. 외층 코어의 형태로서는, 상기 내층 코어의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 코어는, 상기 외층 코어의 두께를, 구형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12.5% 간격으로 등분한 9점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플롯했을 때에, 최소 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다. R2가 0.95 이상이면,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의 직선성이 높아지고, 드라이버 스핀량이 저하되어, 비거리가 커진다.
외층 코어의 경도는, 상기 외층 코어의 두께를 구형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12.5% 간격으로 등분한 9점에서 JIS-C 경도를 측정한다. 즉, 외층 코어의 최내점(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 0%), 상기 외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2.5%, 25%, 37.5%, 50%, 62.5%, 75%, 87.5%, 100%(구형 코어의 표면 경도 Hs2)의 9점에 있어서, JIS-C 경도를 측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된 JIS-C 경도를 종축으로 하고, 경계점으로부터의 거리(%)를 횡축으로 하여, 측정 결과를 플롯하여 그래프를 작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플롯으로부터 최소 제곱법에 의해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다. 최소 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는, 얻어진 플롯의 직선성을 지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R2가 0.95 이상이면,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가 대략 직선인 것을 의미한다. 경도 분포가 대략 직선형인 외층 코어를 갖는 골프공은, 드라이버샷의 스핀량이 저하된다. 그 결과,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커진다. 상기 선형 근사 곡선의 R2는, 0.96 이상이 바람직하고, 0.97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선성이 높아짐에 따라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보다 커진다.
상기 외층 코어의 최내점에서의 경도(Hb)와, 외층 코어의 표면 경도(Hs2)의 경도차(Hs2-Hb)는, JIS-C 경도로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이상이며, 4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상기 경도차(Hs2-Hb)가 JIS-C 경도로 20 이상이면 드라이버샷에 있어서, 한층 저스핀화가 도모되고, 45 이하이면 내구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상기 외층 코어의 표면 경도(Hs2)는, JIS-C 경도로, 80 이상이 바람직하고, 8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경도가 JIS-C 경도로 80 이상이면, 드라이버샷의 스핀량이 한층 저하된다. 또한, 내구성의 관점에서, 표면 경도는 JIS-C 경도로 96 이하가 바람직하고, 9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9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 코어의 최내점의 경도(Hb)는, JIS-C 경도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5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최내점에서의 경도가 JIS-C 경도로 50 이상이면, 타격시의 공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드라이버샷에서의 저스핀화의 관점에서, 최내점에서의 경도는 JIS-C 경도로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 코어의 두께는, 6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 이상이며, 16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이다. 상기 두께가 6 ㎜ 이상이면, 타격시의 공 속도의 저하가 억제되고, 16 ㎜ 이하이면 드라이버샷에서의 저스핀화의 효과가 보다 양호해진다.
상기 구형 코어의 표면 경도(Hs2)(외층 코어의 표면 경도와 동의)와 중심 경도(Ho)(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와 동의)의 경도차(Hs2-Ho)는, JIS-C 경도로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2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바람직하며,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 코어 표면과 코어 중심의 경도차가 상기 범위 내이면, 고타출각 및 저스핀의 비거리가 큰 골프공이 얻어진다.
상기 구형 코어의 직경은 36.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7.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8.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형 코어의 직경이 36.0 ㎜ 이상이면, 내층 코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골프공의 반발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구형 코어의 직경은, 40.6 ㎜ 이하가 바람직하고, 40.3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형 코어의 직경이 40.6 ㎜ 이하이면, 내구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상기 구형 코어는, 직경 36.0 ㎜∼40.6 ㎜의 경우, 초기 하중 98 N을 부하한 상태로부터 최종 하중 1275 N을 부하했을 때까지의 압축 변형량(압축 방향으로 코어가 줄어드는 양)이, 2.2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4.0 ㎜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이다. 상기 압축 변형량이, 2.2 ㎜ 이상이면 타구감이 보다 양호해지고, 4.0 ㎜ 이하이면, 반발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상기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더 갖는다. 상기 중간층은, 구형 코어와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1층 갖고 있으면 좋고, 2층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커버는, 골프공 본체의 최외층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골프공으로서는, 예컨대,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단층의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 4피스 골프공;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이층 이상의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 멀티피스 골프공(5피스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4-피스 골프공의 양태에 관해서는, 바람직한 양태 A로서 설명하고, 5피스 이상의 멀티피스 골프공의 양태에 관해서는, 바람직한 양태 B로서 설명한다. 특별히 한정이 없는 경우에는, 양자에게 공통의 설명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A에서는, 상기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일층의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양태 A에 따른 골프공(2)이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이 골프공(2)은, 구형의 내층 코어(4)와 상기 내층 코어(4)의 외측에 설치된 외층 코어(6)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7), 구형 코어(7)의 외측에 설치된 단층의 중간층(8)과, 이 중간층(8)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12)를 갖는다. 중간층(8)과 커버(12)의 사이에는, 중간층(8)과 커버(12)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층(10)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커버(12)의 표면에는, 다수의 딤플(14)이 형성되어 있다. 골프공(2)의 표면중 딤플(14) 이외의 부분은, 랜드(16)이다. 이 골프공(2)은, 커버의 외측에 페인트층 및 마크층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층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바람직한 양태 A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8)의 슬래브 경도(Hm)는 상기 커버(12)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크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비거리화와 어프로치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와 커버의 슬래브 경도(Hc)의 경도차(Hm-Hc)는,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3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바람직하며, 3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도차(Hm-Hc)가 상기 범위내이면, 드라이버샷에서의 저스핀화 및 어프로치샷에서의 고스핀화가 도모된다. 또한, 중간층을 이층 이상 갖는 경우에는, 커버와, 커버에 인접하는 중간층(최외층 중간층)의 경도차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면 좋다.
상기 바람직한 양태 A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는, 쇼어 D 경도로 5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3 이상이며,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7 이하이다.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55 이상이면, 골프공(커버를 제외함)의 외강 내유 정도가 높아져, 드라이버샷에 있어서 한층 저스핀화가 도모된다. 또한,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70 이하이면, 어프로치 성능이 보다 양호해진다.
상기 바람직한 양태 A에 있어서, 중간층의 두께는, 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이상이다. 중간층의 두께가, 0.5 ㎜ 이상이면,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중간층의 두께는, 1.6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 이하이다. 중간층의 두께가, 1.6 ㎜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구형 코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골프공의 반발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양태 B에서는, 상기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중간층과, 이 제1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제2 중간층과, 이 제2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다. 상기 중간층은, 구형 코어와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의 2층을 갖고 있으면 좋고, 3층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중간층을 3층 이상 갖는 경우, 중간층 중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1 중간층, 중간층 중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2 중간층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골프공 본체의 최외층에 형성된다.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양태 B에 따른 골프공(2)이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이 골프공(2)은, 구형의 내층 코어(4)와 상기 내층 코어(4)의 외측에 설치된 외층 코어(6)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7), 구형 코어(7)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중간층(8)과, 이 제1 중간층(8)의 외측에 설치된 제2 중간층(9)과, 이 제2 중간층(9)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12)를 갖는다. 제2 중간층(9)과 커버(12)의 사이에는, 제2 중간층(9)과 커버(12)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층(10)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커버(12)의 표면에는, 다수의 딤플(14)이 형성되어 있다. 골프공(2)의 표면 중 딤플(14) 이외의 부분은, 랜드(16)이다. 이 골프공(2)은, 커버의 외측에 페인트층 및 마크층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층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와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의 경도차(Hm2-Hm1)는, 쇼어 D 경도로 8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이며, 3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상기 경도차(Hm2-Hm1)가 상기 범위 내이면, 골프공(커버를 제외함)의 외강 내유 정도가 높아지고, 드라이버샷에 있어서 한층 저스핀화가 도모된다. 또한,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이 증대하여, 어프로치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는,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며,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2 이하이다.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이면, 드라이버샷에 있어서 한층 저스핀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60 이하이면, 어프로치 성능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는, 쇼어 D 경도로 5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3 이상이며,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7 이하이다.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55 이상이면, 골프공(커버를 제외함)의 외강 내유 정도가 높아지고, 드라이버샷에 있어서 한층 저스핀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70 이하이면, 어프로치 성능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중간층을 3층 이상으로 하는 경우,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의 경도는, 제1 중간층의 경도보다 크고, 제2 중간층의 경도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중간층의 경도는, 제1 중간층의 경도를 가장 작게 하고, 이 외측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내측에서 순차 고경도가 되도록 설계하여, 제2 중간층의 경도를 가장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의 두께는, 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이상이다.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의 두께가, 0.5 ㎜ 이상이면,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제1 중간층 및 제2 중간층의 두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 이하이다. 중간층의 두께가, 1.5 ㎜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구형 코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골프공의 반발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총 두께는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며,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중간층의 총 두께가 1.0 ㎜ 이상이면,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중간층의 두께가, 3.0 ㎜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구형 코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골프공의 반발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B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의 경도차(Hm2-Hc)는,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3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바람직하며, 4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도차(Hm2-Hc)가 상기 범위 내이면, 드라이버샷에서의 저스핀화 및 어프로치샷에서의 고스핀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상기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다.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는, 48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 이하이다. 커버의 슬래브 경도가, 쇼어 D 경도로, 48 이하이면, 어프로치샷의 스핀량이 증가하여 컨트롤성이 향상된다. 커버의 슬래브 경도는, 쇼어 D 경도로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이다. 쇼어 D 경도로 20 이상이면, 커버의 내찰과상성이 향상된다.
커버의 두께는, 0.8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이다. 커버의 두께가 0.8 ㎜ 이하이면, 드라이버샷에 있어서 한층 저스핀화가 도모된다. 커버의 두께는,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다. 커버가 지나치게 얇으면, 커버의 성형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커버에는, 통상, 표면에 딤플이라고 불리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딤플의 총수는, 200개 이상 500개 이하가 바람직하다. 딤플의 총수가 200개 미만에서는, 딤플의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또한, 딤플의 총수가 500개를 초과하면, 개개의 딤플의 사이즈가 작아져, 딤플의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형성되는 딤플의 형상(평면에서 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형; 대략 삼각형, 대략 사각형, 대략 오각형, 대략 육각형 등의 다각형; 기타 부정 형상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중간층과 커버의 사이에 보강층을 구비해도 좋다. 보강층은, 중간층과 견고하게 밀착하고 커버와도 견고하게 밀착한다. 보강층에 의해, 중간층으로부터 커버의 박리가 억제된다. 특히, 얇은 커버를 갖는 골프공이, 클럽페이스의 엣지로 타격되면 주름이 생기기 쉽다. 보강층에 의해 주름이 억제된다.
주름의 억제의 관점에서, 보강층의 두께는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강층이 용이하게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두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2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는, 골프공의 단면이 현미경으로 관찰됨으로써 측정된다. 조면 처리에 의해 중간층의 표면이 요철을 구비하는 경우는, 볼록부의 바로 위쪽에서 두께가 측정된다.
주름의 억제의 관점에서, 보강층의 연필 경도는 4B 이상이 바람직하고, B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골프공이 타격되었을 때의, 커버로부터 중간층까지의 힘의 전달 손실이 작다는 관점에서, 보강층의 연필 경도는 3H 이하가 바람직하다. 연필경도는, JIS K5400 규격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골프공은, 직경 40 ㎜∼45 ㎜의 경우, 초기 하중 98 N을 부하한 상태로부터 최종 하중 1275 N을 부하했을 때의 압축 변형량(압축 방향으로 줄어드는 양)은, 1.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4 ㎜ 이상이며, 3.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상기 압축 변형량이 1.8 ㎜ 이상인 골프공은, 지나치게 딱딱해지지 않아 타구감이 좋다. 한편, 압축 변형량을 3.6 ㎜ 이하로 함으로써, 반발성이 높아진다.
골프공 본체 표면에는, 도막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 이상이 바람직하고, 7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막 두께가 5 ㎛ 미만이 되면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도막이 마모 소실되기 쉬워지고, 막 두께가 50 ㎛를 넘으면 딤플의 효과가 저하되어 골프공의 비행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2) 외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의 골프공은, 상기 외층 코어가, (a) 기재 고무, (b) 공가교제, (c) 가교 개시제 및 (d) 산 및/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상기 (b) 공가교제로서,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외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외층 코어는, 코어 경도 분포가,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기 쉽다.
상기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외층 코어의 경도 분포가,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외층 코어를 성형할 때의 외층 코어 내부 온도는, 외층 코어의 내부에서 높고, 외층 코어 표면을 향하여 저하된다. 기재 고무의 가교 반응의 반응열이 외층 코어 내부에서 머무르기 때문이다. (d) 상기 산 및/또는 그 염은, 외층 코어 성형시에 있어서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과 반응한다. 즉,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과 양이온을 교환하고,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에 의한 금속 가교를 절단한다. 이 양이온의 교환 반응은, 온도가 높은 외층 코어의 내부에 있어서 일어나기 쉽고, 표면을 향하여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외층 코어 내부의 가교 밀도가,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높아지기 때문에, 외층 코어 경도가,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d) 산 및/또는 그 염과 함께 (e) 유기 황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경도 분포의 경사를 제어할 수 있고, 코어의 외강 내유 구조의 정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a) 기재 고무로서는, 천연 고무 및/또는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고무,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반발에 유리한 시스-1,4-결합을, 4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갖는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이 적합하다.
상기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은, 1,2-비닐 결합의 함유량이 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1,2-비닐 결합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반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은, 희토류 원소계 촉매로 합성된 것이 적합하며, 특히, 란탄계열 희토류 원소 화합물인 네오디뮴 화합물을 이용한 네오디뮴계 촉매의 사용이, 1,4-시스 결합이 고함량, 1,2-비닐 결합이 저함량인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우수한 중합 활성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은, 무니 점도(ML1+4(100℃))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며, 14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무니 점도(ML1+4(100℃))란, JIS K6300에 준하여, L 로터를 사용하고, 예비 가열 시간 1분간, 로터의 회전 시간 4분간, 100℃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이다.
상기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으로서는, 분자량 분포 Mw/Mn(Mw: 중량 평균 분자량, Mn: 수 평균 분자량)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6 이상이며,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4 이하이다.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의 분자량 분포(Mw/Mn)가 지나치게 작으면 작업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크면 반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분자량 분포는,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라피(도소사 제조, 「HLC-8120GPC」)에 의해, 검지기로서 시차 굴절계를 이용하여, 컬럼: GMHHXL(도소사 제조), 컬럼 온도: 40℃, 이동상: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조건으로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서 산출한 값이다.
다음으로, (b) 공가교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b) 공가교제로서,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함유한다. 이하,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은, 공가교제로서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것으로, 기재 고무 분자쇄에 그라프트 중합함으로써, 고무 분자를 가교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 조성물이, (b1) 공가교제로서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만을 함유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은, 후술하는 (f)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 중에서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f) 금속 화합물로 중화함으로써, 공가교제로서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사용하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가교제로서,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그 금속염을 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f) 금속 화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1가의 금속 이온; 마그네슘, 칼슘, 아연, 바륨, 카드뮴 등의 2가의 금속 이온; 알루미늄 등의 3가의 금속 이온; 주석, 지르코늄 등의 그 밖의 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금속 성분으로서는, 마그네슘, 칼슘, 아연, 바륨, 카드뮴 등의 2가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2가의 금속염을 이용함으로써, 고무 분자 사이에 금속 가교가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특히, 2가의 금속염으로서는, 얻어지는 골프공의 반발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부터, 아크릴산아연이 적합하다. 또한,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의 함유량이 15 질량부 미만에서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부재를 적당한 경도로 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c) 가교 개시제의 양을 증가하지 않으면 안되고, 골프공의 반발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의 함유량이 50 질량부를 넘으면,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부재가 지나치게 딱딱해져, 골프공의 타구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가교 개시제는, (a) 기재 고무 성분을 가교하기 위해서 배합되는 것이다. (c) 가교 개시제로서는, 유기 과산화물이 적합하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구체적으로는, 디쿠밀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과산화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디쿠밀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 가교 개시제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고, 5.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다. 0.2 질량부 미만에서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부재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골프공의 반발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5.0 질량부를 넘으면,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부재를 적절한 경도로 하기 위해서, 전술한 (b) 공가교제의 사용량을 감량할 필요가 있어, 골프공의 반발성이 부족하거나, 내구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다음에, (d) 산 및/또는 그 염에 관해서 설명한다. (d) 산 및/또는 그 염은, 외층 코어 성형시에 외층 코어 내부에 있어서,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에 의한 금속 가교를 절단하는 작용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d) 산 및/또는 그 염은,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과 양이온 성분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이면, 지방족산 및/또는 그 염, 혹은 방향족산 및/또는 그 염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서는, 예컨대, 프로톤산 및/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톤산으로서는, 카르복실산, 술폰산, 인산 등의 옥소산; 염산, 불화수소산 등의 수소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옥소산이 바람직하고, 카르복실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서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이 적합하다.
(d)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은, 지방족 카르복실산(본 발명에 있어서, 단순히 「지방산」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또는 그 염, 혹은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지방족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으로서는, 탄소수가 1∼30인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30인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5∼25인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이다. 또한, (d)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에는, 공가교제로서 사용하는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포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화 지방산의 구체예(IUPAC명)로는, 메탄산(C1), 에탄산(C2), 프로판산(C3), 부탄산(C4), 펜탄산(C5), 헥산산(C6), 헵탄산(C7), 옥탄산(C8), 노난산(C9), 데칸산(C10), 운데칸산(C11), 도데칸산(C12), 트리데칸산(C13), 테트라데칸산(C14), 펜타데칸산(C15), 헥사데칸산(C16), 헵타데칸산(C17), 옥타데칸산(C18), 노나데칸산(C19), 이코산산(C20), 헨이코산산(C21), 도코산산(C22), 트리코산산(C23), 테트라코산산(C24), 펜타코산산(C25), 헥사코산산(C26), 헵타코산산(C27), 옥타코산산(C28), 노나코산산(C29), 트리아콘탄산(C30)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의 구체예(IUPAC명)로는, 에텐산(C2), 프로펜산(C3), 부텐산(C4), 펜텐산(C5), 헥센산(C6), 헵텐산(C7), 옥텐산(C8), 노넨산(C9), 데센산(C10), 운데센산(C11), 도데센산(C12), 트리데센산(C13), 테트라데센산(C14), 펜타데센산(C15), 헥사데센산(C16), 헵타데센산(C17), 옥타데센산(C18), 노나데센산(C19), 이코센산(C20), 헨이코센산(C21), 도코센산(C22), 트리코센산(C23), 테트라코센산(C24), 펜타코센산(C25), 헥사코센산(C26), 헵타코센산(C27), 옥타코센산(C28), 노나코센산(C29), 트리아콘텐산(C3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의 구체예(관용명)로는, 예컨대, 포름산(C1), 아세트산(C2), 프로피온산(C3), 부티르산(C4), 발레르산(C5), 카프론산(C6), 에난트산(C7), 카프릴산(C8), 펠라곤산(C9), 카프르산(C10), 라우린산(C12), 미리스트산(C14), 미리스트올레산(C14), 펜타데실산(C15), 팔미트산(C16), 팔미톨레산(C16), 마르가르산(C17), 스테아르산(C18), 엘라이딘산(C18), 바크센산(C18), 올레산(C18), 리놀산(C18), 리놀렌산(C18),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C18), 아라키딘산(C20), 가돌레산(C20), 아라키돈산(C20), 에이코센산(C20), 베헨산(C22), 에루크산(C22), 리그노세르산(C24), 네르본산(C24), 세로틴산(C26), 몬탄산(C28), 멜리스산(C3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카프르산,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또는 올레산이다.
방향족 카르복실산은, 방향환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벤조산(C7), 프탈산(C8), 이소프탈산(C8), 테레프탈산(C8), 헤미멜리트산(벤젠-1,2,3-트리카르복실산)(C9), 트리멜리트산(벤젠-1,2,4-트리카르복실산)(C9), 트리메신산(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C9), 멜로판산(벤젠-1,2,3,4-테트라카르복실산)(C10), 프레니트산(벤젠-1,2,3,5-테트라카르복실산)(C10), 피로멜리트산(벤젠-1,2,4,5-테트라카르복실산)(C10), 멜리트산(벤젠헥사카르복실산)(C12), 디펜산(비페닐-2,2'-디카르복실산)(C12), 톨루엔산(메틸벤조산)(C8), 크실릴산(C9), 프리니틸산(2,3,4-트리메틸벤조산)(C10), γ-이소듀릴산(2,3,5-트리메틸벤조산)(C10), 듀릴산(2,4,5-트리메틸벤조산)(C10), β-이소듀릴산(2,4,6-트리메틸벤조산)(C10), α-이소듀릴산(3,4,5-트리메틸벤조산)(C10), 쿠민산(4-이소프로필벤조산)(C10), 우비트산(5-메틸이소프탈산)(C9), α-톨루엔산(페닐아세트산)(C8), 히드로아트로프산(2-페닐프로판산)(C9), 히드로신남산(3-페닐프로판산)(C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실기, 알콕시기 또는 옥소기로 치환된 방향족 카르복실산으로는, 예컨대, 살리실산(2-히드록시벤조산)(C7), 아니스산(메톡시벤조산)(C8), 크레소틴산(히드록시(메틸)벤조산)(C8), o-호모살리실산(2-히드록시-3-메틸벤조산)(C8), m-호모살리실산(2-히드록시-4-메틸벤조산)(C8), p-호모살리실산(2-히드록시-5-메틸벤조산)(C8), o-피로카테킨산(2,3-디히드록시벤조산)(C7), β-레조르실산(2,4-디히드록시벤조산)(C7), γ-레조르실산(2,6-디히드록시벤조산)(C7), 프로토카테킨산(3,4-디히드록시벤조산)(C7), α-레조르실산(3,5-디히드록시벤조산)(C7), 바닐린산(4-히드록시-3-메톡시벤조산)(C8), 이소바닐린산(3-히드록시-4-메톡시벤조산)(C8), 베라트르산(3,4-디메톡시벤조산)(C9), o-베라트르산(2,3-디메톡시벤조산)(C9), 오르셀린산(2,4-디히드록시-6-메틸벤조산)(C8), m-헤미핀산(4,5-디메톡시프탈산)(C10), 갈산(3,4,5-트리히드록시벤조산)(C7), 시링산(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산)(C9), 아사론산(2,4,5-트리메톡시벤조산)(C10), 만델산(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C8), 바닐만델산(히드록시(4-히드록시-3-메톡시페닐)아세트산)(C9), 호모아니스산((4-메톡시페닐)아세트산)(C9), 호모겐티스산((2,5-디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C8), 호모프로토카테킨산((3,4-디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C8), 호모바닐린산((4-히드록시-3-메톡시페닐)아세트산)(C9), 호모이소바닐린산((3-히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C9), 호모베라트르산((3,4-디메톡시페닐)아세트산)(C10), o-호모베라트르산((2,3-디메톡시페닐)아세트산)(C10), 호모프탈산(2-(카르복시메틸)벤조산)(C9), 호모이소프탈산(3-(카르복시메틸)벤조산)(C9), 호모테레프탈산(4-(카르복시메틸)벤조산)(C9), 프탈산(2-(카르복시카르보닐)벤조산)(C9), 이소프탈론산(3-(카르복시카르보닐)벤조산)(C9), 테레프탈론산(4-(카르복시카르보닐)벤조산)(C9), 벤질산(히드록시디페닐아세트산)(C14), 아트로락트산(2-히드록시-2-페닐프로판산)(C9), 트로파산(3-히드록시-2-페닐프로판산)(C9), 멜리로트산(3-(2-히드록시페닐)프로판산)(C9), 플로레트산(3-(4-히드록시페닐)프로판산)(C9), 히드로카페산(3-(3,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산)(C9), 히드로페룰산(3-(4-히드록시-3-메톡시페닐)프로판산)(C10), 히드로이소페룰산(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판산)(C10), p-쿠마르산(3-(4-히드록시페닐)아크릴산)(C9), 움벨산(3-(2,4-디히드록시페닐)아크릴산)(C9), 카페산(3-(3,4-디히드록시페닐)아크릴산)(C9), 페룰산(3-(4-히드록시-3-메톡시페닐)아크릴산)(C10), 이소페룰산(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아크릴산)(C10), 시나프산(3-(4-히드록시-3,5-디메톡시페닐)아크릴산)(C11) 등을 들 수 있다.
(d) 산의 염의 양이온 성분으로서는, 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및 유기 양이온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금속 이온으로서는, 예컨대, 나트륨, 칼륨, 리튬, 은 등의 1가의 금속 이온; 마그네슘, 칼슘, 아연, 바륨, 카드뮴, 구리,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의 2가의 금속 이온; 알루미늄, 철 등의 3가의 금속 이온; 주석, 지르코늄, 티탄 등의 그 밖의 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염의 양이온 성분으로서는, 아연 이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상기 유기 양이온이란, 탄소쇄를 갖는 양이온이다. 상기 유기 양이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유기 암모늄 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암모늄 이온으로서는, 예컨대, 스테아릴암모늄 이온, 헥실암모늄 이온, 옥틸암모늄 이온, 2-에틸헥실암모늄 이온 등의 1급 암모늄 이온, 도데실(라우릴)암모늄 이온, 옥타데실(스테아릴)암모늄 이온 등의 2급 암모늄 이온; 트리옥틸암모늄 이온 등의 3급 암모늄 이온; 디옥틸디메틸암모늄 이온,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이온 등의 4급 암모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양이온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d) 산 및/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고, 40 질량부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d) 산 및/또는 그 염을 첨가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외층 코어의 외강 내유 정도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얻어지는 외층 코어의 경도가 전체적으로 저하되어, 반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공가교제로서 사용되는 아크릴산아연의 표면은, 고무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 처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 표면 처리된 아크릴산아연을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표면 처리제인 (d) 산 및/또는 그 염의 양은, (d) 성분의 함유량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아크릴산아연의 표면 처리에 이용되고 있는 (d) 산 및/또는 그 염은, (b) 공가교제와의 양이온 교환 반응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d) 산 및/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산 및/또는 그 염의 종류 및 그 조합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d) 산 및/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산 및/또는 그 염의 탄소수 및 그 조합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산 및/또는 그 염이, 금속 가교를 절단하는 작용은, 첨가하는 산 및/또는 그 염의 몰수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동시에, 산 및/또는 그 염은, 외층 코어의 가소제로서 작용한다. 첨가하는 (d) 산 및/또는 그 염의 배합량(질량)이 증가하면, 외층 코어 전체가 연화된다. 이 가소 효과는, 첨가하는 산 및/또는 그 염의 배합량(질량)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 작용을 고려하면, 예컨대, 탄소수가 작은(분자량이 작은) 산 및/또는 그 염을 사용하면, 탄소수가 큰(분자량이 큰) 산 및/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동일한 배합량(질량)으로, 첨가하는 몰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저탄소수의 산 및/또는 그 염은, 가소 효과에 의해 외층 코어 전체가 연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금속 가교를 절단하는 작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서, 탄소수가 1∼14인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는,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질량부 이상이고, 2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질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탄소수가 1∼14인 카르복실산염의 탄소수는, 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이며, 유기 양이온 중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예컨대,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서, 탄소수가 15∼30인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는,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부 이상이고, 40 질량부 미만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탄소수가 15∼30인 카르복실산염의 탄소수는, 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이며, 유기 양이온 중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d) 산 및/또는 그 염으로서, 탄소수가 15∼30인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며, 7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고무 조성물은, (e) 유기 황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조성물이 (d) 산 및/또는 그 염에 더하여, (e) 유기 황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코어 경도 분포의 대략 직선성을 유지하면서, 외층 코어의 외강 내유 구조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e) 유기 황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황 원자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티올기(-SH) 또는 황수가 2∼4인 폴리술피드 결합(-S-S-, -S-S-S- 또는 -S-S-S-S-)을 갖는 유기 화합물, 혹은 이들의 금속염(-SM, -S-M-S-, -S-M-S-S-, -S-S-M-S-S-, -S-M-S-S-S- 등, M은 금속 원자)을 들 수 있다. 또한, (e) 상기 유기 황 화합물은, 지방족 화합물(지방족 티올, 지방족 티오카르복실산, 지방족 디티오카르복실산, 지방족 폴리술피드 등), 복소환식 화합물, 지환식 화합물(지환식 티올, 지환식 티오카르복실산, 지환식 디티오카르복실산, 지환식 폴리술피드 등) 및 방향족 화합물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e) 유기 황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티오페놀류, 티오나프톨류, 폴리술피드류, 티오카르복실산류, 디티오카르복실산류, 술펜아미드류, 티우람류, 디티오카르바민산염류, 티아졸류 등을 들 수 있다. 구형 코어의 경도 분포가 커진다고 하는 관점에서, (e) 유기 황 화합물로서는, 티올기(-SH)를 갖는 유기 황 화합물 또는 그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티오페놀류, 티오나프톨류 또는 이들의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금속염으로서는, 예컨대, 나트륨, 리튬, 칼륨, 구리(I), 은(I) 등의 1가의 금속염, 아연,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티탄(II), 망간(II), 철(II), 코발트(II), 니켈(II), 지르코늄(II), 주석(II) 등의 2가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티오페놀류로서는, 예컨대, 티오페놀; 4-플루오로티오페놀, 2,5-디플루오로티오페놀, 2,4,5-트리플루오로티오페놀, 2,4,5,6-테트라플루오로티오페놀, 펜타플루오로티오페놀 등의 플루오로기로 치환된 티오페놀류; 2-클로로티오페놀, 4-클로로티오페놀, 2,4-디클로로티오페놀, 2,5-디클로로티오페놀, 2,6-디클로로티오페놀, 2,4,5-트리클로로티오페놀, 2,4,5,6-테트라클로로티오페놀, 펜타클로로티오페놀 등의 클로로기로 치환된 티오페놀류; 4-브로모티오페놀, 2,5-디브로모티오페놀, 2,4,5-트리브로모티오페놀, 2,4,5,6-테트라브로모티오페놀, 펜타브로모티오페놀 등의 브로모기로 치환된 티오페놀류; 4-요오도티오페놀, 2,5-디요오도티오페놀, 2,4,5-트리요오도티오페놀, 2,4,5,6-테트라요오도티오페놀, 펜타요오도티오페놀 등의 요오도기로 치환된 티오페놀류; 또는 이들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금속염으로서는, 아연염이 바람직하다.
티오나프톨류(나프탈렌티올류)로서는, 예컨대, 2-티오나프톨, 1-티오나프톨, 2-클로로-1-티오나프톨, 2-브로모-1-티오나프톨, 2-플루오로-1-티오나프톨, 2-시아노-1-티오나프톨, 2-아세틸-1-티오나프톨, 1-클로로-2-티오나프톨, 1-브로모-2-티오나프톨, 1-플루오로-2-티오나프톨, 1-시아노-2-티오나프톨, 1-아세틸-2-티오나프톨, 또는 이들의 금속염을 들 수 있고, 1-티오나프톨, 2-티오나프톨 또는 이들의 아연염이 바람직하다.
술펜아미드계 유기 황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술펜아미드, N-옥시디에틸렌-2-벤조티아졸술펜아미드, N-t-부틸-2-벤조티아졸술펜아미드를 들 수 있다. 티우람계 유기 황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술피드, 테트라부틸티우람디술피드,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술피드를 들 수 있다. 디티오카르바민산염류로서는, 예컨대,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에틸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구리(II),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철(III),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셀레늄,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텔루륨 등을 들 수 있다. 티아졸계 유기 황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머캅토벤조티아졸(MBT), 디벤조티아질디술피드(MBTS), 2-머캅토벤조티아졸의 나트륨염, 아연염, 구리염 또는 시클로헥실아민염, 2-(2,4-디니트로페닐)머캅토벤조티아졸, 2-(2,6-디에틸-4-모리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 등을 들 수 있다. (e) 상기 유기 황 화합물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 유기 황 화합물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이고, 5.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0.05 질량부 미만에서는, (e) 유기 황 화합물을 첨가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골프공의 반발성이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5.0 질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골프공의 압축 변형량이 커져, 반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고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안료, 중량 조정 등을 위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착해제, 연화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 조성물이, 공가교제로서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만을 함유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은, (f) 금속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상기 금속 화합물로서는, 고무 조성물 중에 있어서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중화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f) 상기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륨, 수산화구리 등의 금속 수산화물;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구리 등의 금속 산화물;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리튬, 탄산칼륨 등의 금속 탄산화물을 들 수 있다. (f) 상기 금속 화합물로서 바람직한 것은, 2가 금속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연 화합물이다. 2가 금속 화합물은,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반응하여, 금속 가교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연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반발성이 높은 골프공이 얻어진다. 이들 (f) 금속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f) 금속 화합물의 함유량은, 소망으로 하는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중화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하면 좋다.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안료로서는, 예컨대, 백색 안료, 청색 안료, 자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백색 안료로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은폐성이 양호하다는 이유로부터, 루틸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티탄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이고, 8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하이다.
고무 조성물이 백색 안료와 청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청색 안료는, 백색을 선명히 보이기 위해서 배합되고, 예컨대, 군청, 코발트블루, 프탈로시아닌블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색 안료로서는, 예컨대, 안트라퀴논바이올렛, 디옥사진바이올렛, 메틸바이올렛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이고, 0.2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하이다. 0.001 질량부 미만에서는, 푸름이 불충분하여, 노란 기운이 있는 색으로 보이고, 0.2 질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푸르게 되어 선명한 백색 외관이 아니게 된다.
고무 조성물에 이용하는 충전제로서는, 주로 최종 제품으로서 얻어지는 골프공의 중량을 조정하기 위한 중량 조정제로서 배합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 배합하면 좋다. 상기 충전제로서는,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텅스텐 분말, 몰리브덴 분말 등의 무기 충전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산화아연이다. 산화아연은, 가류 조제로서 기능하고, 구형 코어 전체의 경도를 높인다고 생각되고 있다. 상기 충전제의 함유량은,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3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2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함유량이 0.5 질량부 미만에서는, 중량 조정이 어려워지고, 30 질량부를 초과하면 고무 성분의 중량 분률이 작아져 반발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노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해제의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내층 코어용 조성물
내층 코어의 재료로서는, 고무 조성물 혹은 수지 조성물을 채용할 수 있다. 내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로서는, 예컨대, (a) 기재 고무, (b) 공가교제, (c) 가교 개시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들 수 있다. (a) 기재 고무, (b) 공가교제, (c) 가교 개시제로서는, 외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에는, (a) 기재 고무, (b) 공가교제, (c) 가교 개시제에 더하여, (f) 유기 황 화합물, (e) 금속 화합물, 충전제, 노화 방지제, 착해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에 관해서도, 외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에는, 상기 (d) 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에 (d) 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40 질량부 초과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성분으로서는, 올레핀과, 탄소수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원 공중합체, 올레핀과 탄소수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삼원 공중합체, 올레핀과, 탄소수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원 공중합체의 금속 이온 중화물로 이루어지는 이원계 아이오노머 수지, 올레핀과 탄소수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삼원 공중합체의 금속 이온 중화물로 이루어지는 삼원계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원 공중합체의 구체예를 상품명으로 예시하면, 예컨대,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사에서 상품명 「뉴크렐(NUCREL)(등록상표)(예컨대, 「뉴크렐 N1050H」, 「뉴크렐 N2050H」, 「뉴크렐 N1110H」, 「뉴크렐 N0200H」)」로 시판되고 있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삼원 공중합체의 구체예를 상품명으로 예시하면,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품명 「뉴크렐(NUCREL)(등록상표)(예컨대, 「뉴크렐 AN4318」, 「뉴크렐 AN4319」)」등을 들 수 있다.
이원계 아이오노머 수지의 구체예를 상품명으로 예시하면,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주)에서 시판되고 있는 「하이밀란(Himilan)(등록상표)(예컨대, 하이밀란 1555(Na), 하이밀란 1557(Zn), 하이밀란 1605(Na), 하이밀란 1706(Zn), 하이밀란 1707(Na), 하이밀란 AM7311(Mg), 하이밀란 AM7329(Zn) 등」을 들 수 있다. 삼원계 아이오노머 수지의 구체예를 상품명으로 예시하면,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주)에서 시판되고 있는 「하이밀란(Himilan)(등록상표)(예컨대, 하이밀란 AM7327(Zn), 하이밀란 1855(Zn), 하이밀란 1856(Na), 하이밀란 AM7331(N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성분으로서 이원 공중합체, 삼원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금속 화합물을 배합해도 좋다. 금속 화합물로서는, 외층 코어용 고무 조성물에 이용되는 (e)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내층 코어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양이온성 부위와 음이온성 부위를 갖는 양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해도 좋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알킬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이미다졸륨베타인형, 알킬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등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 아미드아미노산형 양성 계면 활성제, 알킬아미노지방산염; 알킬아민옥사이드; β-알라닌형 양성 계면 활성제, 글리신형 양성 계면 활성제; 술포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 포스포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디메틸라우릴베타인, 올레일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올레일베타인), 디메틸올레일베타인, 디메틸스테아릴베타인, 스테아릴디히드록시메틸베타인,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라우릴디히드록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미리스틸디히드록시메틸베타인, 베헤닐디히드록시메틸베타인, 팔미틸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올레일디히드록시메틸베타인,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린산아미드알킬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알킬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린산아미드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야자유지방산아미드디알킬히드록시알킬술포베타인, N-알킬-β-아미노프로피온산염, N-알킬-β-이미노프로피온산염, 알킬디아미노알킬글리신, 알킬폴리아미노알킬글리신, 알킬아미노지방산나트륨, N,N-디메틸옥틸아민옥사이드, N,N-디메틸라우릴아민옥사이드, N,N-디메틸스테아릴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기재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며, 10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내층 코어에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을 배합해도 좋다.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을 배합함으로써, 반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은, 염기성 포화 지방산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은, 탄소수가 4∼22인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5∼18인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의 구체예로서는, 염기성 카프릴산마그네슘, 염기성 카프릴산칼슘, 염기성 카프릴산아연, 염기성 라우린산마그네슘, 염기성 라우린산칼슘, 염기성 라우린산아연, 염기성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염기성 미리스트산칼슘, 염기성 미리스트산아연, 염기성 팔미트산마그네슘, 염기성 팔미트산칼슘, 염기성 팔미트산아연, 염기성 올레산마그네슘, 염기성 올레산칼슘, 염기성 올레산아연, 염기성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염기성 스테아르산칼슘, 염기성 스테아르산아연, 염기성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마그네슘, 염기성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칼슘, 염기성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아연, 염기성 베헨산마그네슘, 염기성 베헨산칼슘, 염기성 베헨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d)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으로서는, 염기성 지방산아연이 바람직하고, 염기성 스테아르산아연, 염기성 라우린산아연 및 염기성 카프릴산아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염기성 지방산 금속염의 함유량은, 기재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3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이며, 8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이다.
(4) 중간층용 조성물
중간층에는,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중간층용 조성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수지 성분으로서는, 아이오노머 수지, 스티렌 블록 함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열가소성 스티렌 엘라스토머가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 성분으로서는, 아이오노머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는 고탄성이다.
아이오노머 수지와 다른 수지가 병용되어도 좋다. 병용되는 경우는,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아이오노머 수지가 수지 성분의 주성분으로 된다. 수지 성분 중의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5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과 탄소수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원 공중합체 중의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 올레핀과 탄소수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삼원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가 2∼8개인 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헵텐, 옥텐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에스테르 등이 이용되고, 특히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에틸렌-(메트)아크릴산 이원 공중합체의 금속 이온 중화물,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삼원 공중합체의 금속 이온 중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구체예를 상품명으로 예시하면, 미쓰이듀퐁폴리케미칼(주)에서 시판되고 있는 「하이밀란(Himilan)(등록상표)(예컨대, 하이밀란 1555(Na), 하이밀란 1557(Zn), 하이밀란 1605(Na), 하이밀란 1706(Zn), 하이밀란 1707(Na), 하이밀란 AM3711(Mg) 등을 들 수 있고, 삼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하이밀란 1856(Na), 하이밀란 1855(Zn), 하이밀란 AM7329(Z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듀퐁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서린(Surlyn)(등록상표)(예컨대, 서린 8945(Na), 서린 9945(Zn), 서린 8140(Na), 서린 8150(Na), 서린 9120(Zn), 서린 9150(Zn), 서린 6910(Mg), 서린 6120(Mg), 서린 7930(Li), 서린 7940(Li), 서린 AD8546(Li) 등을 들 수 있고, 삼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서린 8120(Na), 서린 8320(Na), 서린 9320(Zn), 서린 6320(Mg), HPF1000(Mg), HPF2000(Mg)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엑손모빌가가꾸(주)에서 시판되고 있는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아이오텍(Iotek)(등록상표)(예컨대, 아이오텍 8000(Na), 아이오텍 8030(Na), 아이오텍 7010(Zn), 아이오텍 7030(Zn) 등을 들 수 있고, 삼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아이오텍 7510(Zn), 아이오텍 7520(Z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상품명의 다음의 괄호 내에 기재한 Na, Zn, Li, Mg 등은, 이들의 중화 금속 이온의 금속종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스티렌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미쓰비시가가꾸(주)에서 시판되고 있는 「라바론(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층용 조성물은, 전술한 수지 성분 외에, 백색 안료(예컨대, 산화티탄), 청색 안료, 적색 안료 등의 안료 성분, 산화아연, 탄산칼슘이나 황산바륨 등의 중량 조정제, 분산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형광 재료 또는 형광 증백제 등을, 커버의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해도 좋다.
(5) 보강층용 조성물
보강층은, 중간층과 견고하게 밀착하고, 커버와도 견고하게 밀착한다. 보강층에 의해, 중간층으로부터 커버의 박리가 억제된다. 특히, 상기 중간층이 기재 수지를 함유하는 중간층용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 기재 수지를 함유하는 커버용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기재 수지와 상기 커버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기재 수지가 상이한 경우(예컨대, 중간층용 조성물이 기재 수지로서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하고, 커버용 조성물이 기재 수지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중간층과 커버의 사이에 설치된 보강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층은,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보강층용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 성분으로서는, 2액 경화형 열경화성 수지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2액 경화형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보강층의 강도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 2액 경화형 에폭시 수지 및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보강층용 조성물은, 착색재(예컨대, 이산화티탄), 인산계 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자외선 흡수제, 블로킹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첨가제는, 2액 경화형 열경화성 수지의 주제(主劑)에 첨가되어도 좋고, 경화제에 첨가되어도 좋다.
(6) 커버용 조성물
본 발명의 골프공의 커버는,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커버용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이오노머 수지, 알케마(주)에서 상품명 「페박스(등록상표)(예컨대, 「페박스 2533」)」로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도레이·듀퐁(주)에서 상품명 「하이트렐(등록상표)(예컨대, 「하이트렐 3548」, 「하이트렐 4047」)」로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BASF 재팬에서 상품명 「엘라스토란(등록상표)」으로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미쓰비시가가꾸(주)에서 상품명 「라바론(등록상표)」으로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스티렌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골프공의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용 조성물은, 수지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용 조성물의 수지 성분 중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용 조성물은, 전술한 수지 성분 외에, 백색 안료(예컨대, 산화티탄), 청색 안료, 적색 안료 등의 안료 성분, 산화아연, 탄산칼슘이나 황산바륨 등의 비중 조정제, 분산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형광 재료 또는 형광 증백제 등을, 커버의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해도 좋다.
상기 백색 안료(예컨대, 산화티탄)의 함유량은, 커버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1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안료의 함유량을 0.5 질량부 이상으로 함에 따라, 커버에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백색 안료의 함유량이 10 질량부 초과가 되면, 얻어지는 커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7) 골프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내층 코어는, 상기 내층 코어용의 고무 조성물 또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내층 코어를 고무 조성물로 형성하는 경우, 내층 코어는, 혼련 후의 고무 조성물을 금형 내에서 가열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내층 코어에 성형하는 온도는, 140℃ 이상이 바람직하고, 14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6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시의 압력은, 5 MPa∼30 MPa가 바람직하다. 성형 시간은, 10분간∼40분간이 바람직하다.
내층 코어를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는 경우, 내층 코어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한 성형은,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냉각함으로써 행할 수 있고, 예컨대, 1 MPa∼100 MPa의 압력으로 형 체결한 금형 내에, 160℃∼260℃로 가열한 수지 조성물을 1초∼100초로 주입하여, 30초∼300초간 냉각하여 형 개방함으로써 행한다.
외층 코어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외층 코어용의 고무 조성물로부터 중공 각(殼)형의 쉘을 성형하고, 내층 코어를 복수의 쉘로 피복하여 압축 성형하는 방법(바람직하게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중공 각형의 하프 쉘을 성형하고, 내층 코어를 2장의 하프 쉘로 피복하여 압축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고무 조성물을 압축 성형하여 하프 쉘로 성형하는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1 MPa 이상, 100 MPa 이하의 압력에서, 10℃ 이상, 60℃ 이하의 성형 온도를 들 수 있다. 하프 쉘을 이용하여 외층 코어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내층 코어를 2장의 하프 쉘로 피복하여 압축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하프 쉘을 압축 성형하여 외층 코어로 성형하는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1 MPa 이상, 100 MPa 이하의 성형 압력에서, 140℃ 이상, 180℃ 이하의 성형 온도를 들 수 있다. 상기 성형 조건으로 함에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갖는 외층 코어를 성형할 수 있다.
고무 조성물은, (a) 기재 고무, (b)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금속염, (c) 가교 개시제, (d) 산 및/또는 그 염, 및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혼련함으로써 얻어진다. 혼련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혼련 롤, 벤버리 믹서, 니이더 등의 공지의 혼련기를 이용하여 행하면 좋다.
본 발명의 골프공의 중간층, 커버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로부터 중공 각형의 쉘을 성형하고, 구형 코어 또는 중간층이 형성된 구형 코어를 복수의 쉘로 피복하여 압축 성형하는 방법(바람직하게는,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로부터 중공 각형의 하프 쉘을 성형하고, 구형 코어 또는 중간층이 형성된 구형 코어를 2장의 하프 쉘로 피복하여 압축 성형하는 방법), 혹은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을 구형 코어 또는 중간층이 형성된 구형 코어상에 직접 사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압축 성형법에 의해 중간층 또는 커버를 성형하는 경우, 하프 쉘의 성형은, 압축 성형법 또는 사출 성형법의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지만, 압축 성형법이 적합하다.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을 압축 성형하여 하프 쉘로 성형하는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1 MPa 이상, 20 MPa 이하의 압력에서,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의 유동 개시 온도에 대하여, -20℃ 이상, 70℃ 이하의 성형 온도를 들 수 있다. 상기 성형 조건으로 함에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하프 쉘을 성형할 수 있다. 하프 쉘을 압축 성형하여 중간층 또는 커버로 성형하는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0.5 MPa 이상, 25 MPa 이하의 성형 압력에서,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의 유동 개시 온도에 대하여, -20℃ 이상, 70℃ 이하의 성형 온도를 들 수 있다. 상기 성형 조건으로 함에 따라, 균일한 커버 두께를 갖는 골프공 커버를 성형할 수 있다.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중간층 또는 커버를 성형하는 경우, 압출하여 얻어진 펠렛형의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해도 좋고, 혹은 기재 수지 성분이나 안료 등의 재료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직접 사출 성형해도 좋다. 성형용 상하 금형으로서는, 반구형 캐비티를 갖고, 핌플 부착으로, 핌플의 일부가 진퇴 가능한 홀드핀을 겸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에 의한 중간층 또는 커버의 성형은, 홀드핀을 돌출하고, 코어를 투입하여 홀드시킨 후,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을 주입하여, 냉각함으로써 중간층 또는 커버를 성형할 수 있고, 예컨대, 9 MPa∼15 MPa의 압력으로 형 체결한 금형 내에, 200℃∼250℃로 가열한 중간층용 조성물 또는 커버용 조성물을 0.5초∼5초로 주입하고, 10초∼60초간 냉각하여 형 개방함으로써 행한다.
커버가 성형된 골프공 본체는, 금형으로부터 꺼내고, 필요에 따라서, 디버링(deburring), 세정, 샌드 블래스트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망에 따라, 도막이나 마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변경, 실시의 양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평가 방법]
(1) 슬래브 경도(쇼어 D 경도)
중간층용 조성물, 커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두께 약 2 ㎜의 시트를 제작하고 23℃에서 2주간 보존하였다. 이 시트를, 측정 기판 등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3장 이상 중첩한 상태로, ASTM-D2240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경도계 쇼어 D형을 구비한 고분시케이키사 제조 자동 고무 경도계 P1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코어 경도(JIS-C 경도)
하기의 방법에 의해, 코어 경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코어 경도는, 4점에서 경도를 측정하여, 이들을 평균함으로써 산출하였다.
· 코어 표면 경도(Hs2)
스프링식 경도계 JIS-C형을 구비한 고분시케이키사 제조 자동 고무 경도계 P1형을 이용하여, 구형 코어의 표면부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구형 코어 표면 경도로 하였다.
· 내층 코어 표면 경도(Hs1)
구형 코어를 반구형으로 절단하고,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에서 형성되는 제1 원과, 이 제1 원과 동심이고, 그리고 반경이 제1 원의 반경보다 10% 작은 제2 원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내층 코어 표면 경도로 하였다. 각 원의 반경은 이하와 같다.
제1 원의 반경: r1=내층 코어의 반경
제2 원의 반경: r2=r1×0.9
· 외층 코어 최내점 경도(Hb)
구형 코어를 반구형으로 절단하고,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에서 형성되는 제1 원과, 이 제1 원과 동심으로서, 그리고 반경이 제1 원의 반경보다 외층 코어의 두께의 10%만큼 큰 제3 원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외층 코어 최내점 경도로 하였다. 각 원의 반경은 이하와 같다.
제1 원의 반경: r1=내층 코어의 반경
제3 원의 반경: r3=r1+(외층 코어의 두께×0.1)
· 내층 코어 중심 경도(Ho), 외층 코어 12.5%∼87.5% 지점의 경도
구형 코어를 반구형으로 절단하고, 내층 코어의 중심점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내층 코어 중심 경도로 하였다. 또한,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어서 경도를 측정하였다.
(3) 압축 변형량(㎜)
코어 또는 골프공에 초기 하중 98 N을 부하한 상태로부터 최종 하중 1275 N을 부하했을 때까지의 압축 방향의 변형량(압축 방향으로 코어 또는 골프공이 줄어드는 양)을 측정하였다.
(4) 반발 계수
각 코어 또는 골프공에 198.4 g의 금속제 원통물을 45 m/초의 속도로 충돌시키고, 충돌 전후의 상기 원통물 및 코어 또는 골프공의 속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속도 및 질량으로부터 각 코어 또는 골프공의 반발 계수를 산출하였다. 측정은 각 코어 또는 골프공에 관해서 12개씩 행하고, 그 평균값을 그 코어 또는 골프공의 반발 계수로 하였다. 또한, 반발 계수는, 골프공 No.1∼No.27에 관해서는, 골프공 No.18의 반발 계수를 100으로 하여, 지수화한 값으로 나타냈다. 또한, 골프공 No.28∼No.56의 반발 계수에 관해서는, 골프공 No.46의 반발 계수를 100으로 하여, 지수화한 값으로 나타냈다.
(5) 드라이버샷의 비거리(m) 및 스핀량(rpm)
트루템퍼사 제조의 스윙 로봇 M/C에, 티탄 헤드를 구비한 드라이버(던롭스포츠사 제조, XXIO S 로프트 10.0°)를 부착하고, 헤드 스피드 45 m/초로 골프공을 타격하며, 타격 직후의 골프공의 스핀 속도, 및 비거리(타출 시점(始點)에서 정지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골프공에 관해서 10회씩 행하고, 그 평균값을 그 골프공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또한, 타격 직후의 골프공의 스핀 속도는, 타격된 골프공을 연속 사진 촬영함으로써 측정하였다.
(6) 어프로치샷의 스핀량
트루템퍼사제조 스윙 로봇 M/C에, 샌드웨지(클리블랜드골프사 제조 CG15 포지드 웨지(52°))를 부착하고, 헤드 스피드 21 m/초로 골프공을 타격하며, 타격된 골프공을 연속 사진 촬영함으로써 스핀량(rpm)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골프공에 관해서 10회씩 행하고, 그 평균값을 스핀량으로 하였다.
(7) 내구성
트루템퍼사 제조의 스윙 로봇 M/C에, 티탄 헤드를 구비한 드라이버(던롭스포츠사 제조, 상품명 「XXIO」, 샤프트 경도: S, 로프트각: 10.0°)를 부착하고, 헤드 스피드를 45 m/초로 설정하였다. 각 골프공을, 항온기로 23℃에서 12시간 보관하였다. 각 골프공을 항온기로부터 꺼낸 후, 신속하게 타격하여, 골프공이 깨지기까지의 반복 타격 횟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골프공에 관해서 12개씩 행하였다. 각 골프공의 내구성은, 골프공 No.1의 타격 횟수를 100으로 하여, 각 골프공에 관한 타격 횟수를 지수화한 값으로 나타냈다. 지수화된 값이 클수록, 골프공이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골프공의 제작]
(1) 내층 코어의 제작
고무 조성물 No.1, 2를 이용하는 경우
표 3에 나타내는 배합의 고무 조성물을 혼련 롤에 의해 혼련하고, 반구형 캐비티를 갖는 상하 금형내에서, 표 6∼8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구형의 내층 코어를 얻었다.
고무 조성물 No.18∼21을 이용하는 경우
표 3에 나타내는 배합 재료를 드라이 블렌드하고, 이축 혼련형 압출기에 의해 믹싱하여, 스트랜드형으로 냉수 중에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펠레타이저에 의해 절단하여 펠렛형의 내층 코어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압출 조건은, 스크류 직경 45 ㎜, 스크류 회전수 200 rpm, 스크류 L/D=35이며, 배합물은, 압출기의 다이의 위치에서 160∼230℃로 가열되었다. 얻어진 펠렛형의 내층 코어용 조성물을 220℃로 사출 성형하여, 구형의 내층 코어를 얻었다.
(2) 구형 코어의 제작
표 3에 나타내는 배합의 고무 조성물을 혼련하고, 이 고무 조성물로부터 하프 쉘을 성형하였다. 하프 쉘의 성형은, 고무 조성물을 하프 쉘 성형용 금형의 하부틀의 오목부마다 하나씩 투입하여 가압하였다. 압축 성형은 성형 온도 30℃, 성형 시간 1분, 성형 압력 10 MPa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내층 코어를 2장의 하프 쉘로 피복하였다. 이 내층 코어 및 하프 쉘을, 모두 반구형 캐비티를 구비한 상부틀 및 하부틀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투입하고, 표 6∼8에서 나타낸 조건으로 가열 프레스하여 구형 코어를 얻었다. 또한, 황산바륨의 배합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골프공의 질량이 45.6 g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Figure pat00003
BR-730: JSR사 제조,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시스-1,4-결합 함유량=96 질량%, 1,2-비닐 결합 함유량=1.3 질량%, 무니 점도(ML1+4(100℃))=55, 분자량 분포(Mw/Mn)=3)
산셀러 SR: 산신가가꾸고교사 제조, 아크릴산아연(10 질량% 스테아르산 코팅품)
ZN-DA90S: 니혼죠류고교사 제조, 아크릴산아연(10질량% 스테아르산아연 코팅품)
산화아연: 도호아엔사 제조, 「긴레이 R」
황산바륨: 사카이가가꾸사 제조, 「황산바륨 BD」,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골프공의 질량이 45.6 g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2-티오나프톨: 도쿄가세이고교사 제조
비스펜타브로모페닐디술피드: 가와구치가가꾸고교사 제조
디쿠밀퍼옥사이드: 니치유사 제조, 「퍼쿠밀(등록상표) D」
옥탄산아연: 미츠와가가꾸야꾸힌사 제조
스테아르산아연: 와코쥰야쿠고교사 제조
미리스트산아연: 와코쥰야쿠고교사 제조
하이밀란 AM7327: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사 제조, 아연 이온 중화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부틸 삼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뉴크렐 AN4319: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사 제조,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염기성 올레산 Mg: 닛토카세이고교사 제조(금속 함유량: 1.4 몰%)
염기성 올레산 Mg: 닛토카세이고교사 제조(금속 함유량: 1.7 몰%)
수산화마그네슘: 와코쥰야쿠고교사 제조
올레일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루브리졸사 제조 「Chembetaine OL」의 정제품(수분과 염분을 제거)
노크랙 200: 오우치신코가가꾸고교사 제조, 2,6-디-t-부틸-4-메틸페놀
(3) 중간층용 조성물, 커버용 조성물의 조제
표 4, 5에 나타낸 배합 재료를 이용하여, 이축 혼련형 압출기에 의해 믹싱하여, 펠렛형의 중간층용 조성물 및 커버용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압출 조건은, 스크류 직경 45 ㎜, 스크류 회전수 200 rpm, 스크류 L/D=35이며, 배합물은, 압출기의 다이의 위치에서 160∼230℃로 가열되었다.
Figure pat00004
서린 8945: 듀퐁사 제조, 나트륨 이온 중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계 아이오노머 수지
하이밀란 AM7329: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사 제조, 아연 이온 중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계 아이오노머 수지
라바론 T3221C: 미쓰비시가가꾸사 제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이산화티탄: 이시하라산교사 제조
Figure pat00005
엘라스토란 NY82A: BASF 재팬사 제조,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엘라스토란 NY85A: BASF 재팬사 제조,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엘라스토란 NY90A: BASF 재팬사 제조,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엘라스토란 NY97A: BASF 재팬사 제조,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티누빈 770: BASF 재팬사 제조,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
(4) 골프공 본체의 제작
4피스 골프공 No.1∼No.27의 중간층
상기에서 얻은 중간층용 조성물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구형 코어상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구형 코어를 피복하는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중간층 성형시에는, 홀드핀을 돌출하고, 구형 코어를 투입후 홀드시켜, 80톤의 압력으로 형 체결한 금형에 260℃로 가열한 중간층용 조성물을 0.3초로 주입하고, 30초간 냉각하여 형 개방하여 중간층 피복 구체를 꺼냈다.
5피스 골프공 No.28∼No.56의 중간층
제1 중간층
상기에서 얻은 중간층용 조성물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구형 코어상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구형 코어를 피복하는 제1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제1 중간층 성형시에는, 홀드핀을 돌출하고, 구형 코어를 투입후 홀드시켜, 80톤의 압력으로 형 체결한 금형에 260℃로 가열한 중간층용 조성물을 0.3초로 주입하고, 30초간 냉각하여 형 개방하여 제1 중간층 피복 구체를 꺼냈다.
제2 중간층
상기에서 얻은 중간층용 조성물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제1 중간층 피복 구체상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 중간층 피복 구체를 피복하는 제2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제2 중간층 성형시에는, 홀드핀을 돌출하고, 구형 코어를 투입후 홀드시켜, 80톤의 압력으로 형 체결한 금형에 260℃로 가열한 중간층용 조성물을 0.3초로 주입하고, 30초간 냉각하여 형 개방하여 중간층 피복 구체를 꺼냈다.
보강층
성형한 중간층에 2액 경화형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보강층을 형성하였다. 2액 경화형 수지로서는, 2액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기재 폴리머로 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이 도료 조성물의 주제액은, 30 질량부의 비스페놀 A형 고형 에폭시 수지와, 70 질량부의 용제로 이루어진다. 이 도료 조성물의 경화제액은, 40 질량부의 변성 폴리아미드아민과, 5 질량부의 산화티탄과, 55 질량부의 용제로 이루어진다. 주제액과 경화제액의 질량비는 1/1이다. 이 도료 조성물을 중간층의 표면에 스프레이 건으로 도포하고, 23℃의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유지하여, 보강층을 얻었다. 이 보강층의 두께는 6 ㎛였다.
커버
하프 쉘의 압축 성형은, 얻어진 펠렛형의 커버용 조성물을 하프 쉘 성형용 금형의 하부틀의 오목부마다 하나씩 투입하여 가압하였다. 압축 성형은 성형 온도 160℃, 성형 시간 2분, 성형 압력 11 MPa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보강층을 형성한 중간층 피복 구체를, 2장의 하프 쉘로 동심원형으로 피복하여, 캐비티면에 다수의 핌플을 구비한 금형에 투입하고, 압축 성형에 의해 커버를 성형하였다. 압축 성형은 성형 온도 150℃, 성형 시간 3분, 성형 압력 13 MPa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성형 후의 커버에는, 핌플의 형상이 반전된 형상의 딤플이 다수 형성되었다.
도막
얻어진 골프공 본체의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표면 처리를 행한 후, 2액 경화형 우레탄 페인트를 에어건에 의해 도장하고, 건조 경화하여, 직경 42.7 ㎜, 질량 45.6 g의 골프공을 얻었다. 얻어진 골프공에 관해서 평가한 결과를 표 6∼11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표 6∼8의 결과로부터,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 이하이며,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가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큰 골프공은, 모두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크고(241 m 이상),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이 많으며(6000 rpm 이상), 그리고 내구성이 우수하였다.
골프공 No.1, 2, 7은,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은 크지만,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미만이며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가 작았다. 골프공 No.17은,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는 크지만,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가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작기 때문에,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이 작았다. 골프공 No. 18은,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은 크지만,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10으로 크기 때문에,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가 작았다.
표 9∼11의 결과로부터,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 이하이고,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가 제2 커버의 슬래브 경도(Hm2)보다 작고,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큰 골프공은, 모두 드라이버샷의 비거리가 크고,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이 많으며, 그리고 내구성이 우수하였다.
골프공 No.28, 29, 34는,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은 크지만,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미만이며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가 작았다. 골프공 No.44는,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는 크지만,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가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작기 때문에,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이 작았다. 골프공 No.45는,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은 크지만,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가 제2 중간층 커버의 슬래브 경도(Hm2)보다 크기 때문에, 드라이버샷에서의 스핀량이 크고, 비거리가 작았다. 골프공 No.46은,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은 크지만,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10으로 크기 때문에,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가 작았다. 골프공 No.59는, 드라이버샷에서의 비거리는 크고, 어프로치샷에서의 스핀량도 크지만, 중간층이 1층이므로 내구성이 뒤떨어진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골프공은, 비거리가 크고, 어프로치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2: 골프공, 4: 내층 코어, 6: 외층 코어, 8: 중간층(제1 중간층), 9: 중간층(제2 중간층), 10: 보강층, 12: 커버, 14: 딤플, 16: 랜드

Claims (15)

  1. 구형의 내층 코어와 외층 코어로 이루어지는 구형 코어와, 이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커버를 갖는 골프공으로서,
    상기 내층 코어의 중심 경도(Ho)와 표면 경도(Hs1)의 경도차(Hs1-Ho)가, JIS-C 경도로 5 이하이며,
    상기 외층 코어의 두께를, 구형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12.5% 간격으로 등분한 9점에서 측정한 JIS-C 경도를, 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플롯했을 때에, 최소 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선형 근사 곡선의 R2가 0.95 이상이며,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slab hardness)(Hm)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코어와 내층 코어의 경계점에서의 경도(Hb)와, 외층 코어의 표면 경도(Hs2)의 경도차(Hs2-Hb)가, JIS-C 경도로 20 이상인 골프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코어의 중심 경도(Ho)가 JIS-C 경도로 40 이상 80 이하이고, 상기 구형 코어의 표면 경도(Hs2)가 JIS-C 경도로 80 이상 96 이하이며, 상기 중심 경도(Ho)와 상기 표면 경도(Hs2)의 경도차(Hs2-Ho)가, JIS-C 경도로 20 이상인 골프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의 경도차(Hm-Hc)가,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이고, 상기 중간층은, 두께가 0.5 ㎜ 이상 3.0 ㎜ 이하이며, 상기 커버의 두께가 0.8 ㎜ 이하이고, 상기 내층 코어의 직경이 10 ㎜∼25 ㎜인 골프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구형 코어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중간층과, 이 제1 중간층의 외측에 설치된 제2 중간층을 갖고, 상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가,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보다 큰 골프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1)와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의 경도차(Hm2-Hm1)가 쇼어 D 경도로 8 이상이며, 상기 제2 중간층의 슬래브 경도(Hm2)와 상기 커버의 슬래브 경도(Hc)의 경도차(Hm2-Hc)가, 쇼어 D 경도로 30 이상인 골프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총 두께가 1.0 ㎜ 이상 3.0 ㎜ 이하이며, 상기 커버의 두께가 0.8 ㎜ 이하인 골프공.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코어가, (a) 기재 고무, (b) 공가교제, (c) 가교 개시제 및 (d) 산, 또는 그 염, 또는 둘다를 함유하고, 상기 (b) 공가교제로서,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또는 둘다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골프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산, 또는 그 염, 또는 둘다가, 탄소수가 1∼30인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또는 둘다인 골프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산, 또는 그 염, 또는 둘다가, 지방산, 또는 그 염, 또는 둘다인 골프공.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이,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d) 산, 또는 그 염, 또는 둘다를 1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미만 함유하는 골프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이, (e) 유기 황 화합물로서, 티오페놀류, 디페닐디술피드류, 티오나프톨류, 티우람디술피드류 또는 이들의 금속염을 0.05 질량부∼5 질량부 더 함유하는 골프공.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이, 상기 (b1)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함유하고, (f) 금속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골프공.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이, 상기 (b2) 탄소수가 3∼8개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골프공.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이, (a)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공가교제를 15 질량부∼50 질량부 함유하고, (c) 가교 개시제를 0.2 질량부∼5 질량부 함유하는 골프공.
KR1020160064776A 2012-06-01 2016-05-26 골프공 KR101945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6599A JP5484519B2 (ja) 2012-06-01 2012-06-01 ゴルフボール
JPJP-P-2012-126599 2012-06-01
JP2012126600A JP5484520B2 (ja) 2012-06-01 2012-06-01 ゴルフボール
JPJP-P-2012-126600 2012-06-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90A Division KR20130135755A (ko) 2012-06-01 2013-05-28 골프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064A true KR20160064064A (ko) 2016-06-07
KR101945081B1 KR101945081B1 (ko) 2019-02-01

Family

ID=485207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90A KR20130135755A (ko) 2012-06-01 2013-05-28 골프공
KR1020160064776A KR101945081B1 (ko) 2012-06-01 2016-05-26 골프공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90A KR20130135755A (ko) 2012-06-01 2013-05-28 골프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95489B2 (ko)
EP (1) EP2668979B1 (ko)
KR (2) KR20130135755A (ko)
CN (1) CN103446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7053B2 (ja) * 2010-12-29 2015-03-1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6440593B2 (ja) * 2015-08-07 2018-12-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6638374B2 (ja) * 2015-12-17 2020-01-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7047591B2 (ja) * 2018-05-16 2022-04-0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7484159B2 (ja) * 2019-12-20 2024-05-16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01555A (ja) * 2021-06-21 2023-01-06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178A (ja) 1984-07-28 1986-0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ソリツドゴルフボ−ル
JPH06154357A (ja) 1992-11-26 1994-06-03 Sumitomo Rubber Ind Ltd ツ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H07112036A (ja) * 1993-10-15 1995-05-02 Sumitomo Rubber Ind Ltd ツ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3762505B2 (ja) * 1996-12-20 2006-04-05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フォー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7319660A (ja) * 2006-05-31 2007-12-13 Bridgestone Sports Co Ltd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523952A (ja) 2004-12-21 2008-07-10 キャラウェイ・ゴルフ・カンパニ ゴルフボール
JP2008194471A (ja) 2007-02-13 2008-08-28 Bridgestone Sports Co Ltd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194473A (ja) 2007-02-13 2008-08-28 Bridgestone Sports Co Ltd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212681A (ja) 2007-03-02 2008-09-18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09119256A (ja) 2007-11-09 2009-06-04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JP2010253268A (ja) 2009-04-27 2010-11-11 Bridgestone Sports Co Ltd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475A (ja) 1984-11-08 1986-05-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ツ−ピ−スソリツドゴルフボ−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79562A (en) * 1993-06-01 1998-07-14 Melvin; Terrence Multi-core, multi-cover golf ball
AU736405B2 (en) * 1996-12-20 2001-07-26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Four piece solid golf ball
US6248027B1 (en) * 1997-05-29 2001-06-19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2002113130A (ja) * 2000-10-10 2002-04-16 Sumitomo Rubber Ind Ltd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US7481956B2 (en) * 2004-07-26 2009-01-27 Acushnet Company Method for molding castable light stable polyurethane and polyurea golf balls
US7175542B2 (en) * 2005-04-07 2007-02-13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7530905B2 (en) 2006-02-24 2009-05-12 Bridgestone Sports Co., Ltd. Molded rubber material for golf ball, method of producing the material, and golf ball
US7614966B2 (en) * 2006-05-10 2009-11-10 Sri Sports Limited Golf ball
US7410429B1 (en) * 2007-07-03 2008-08-12 Acushnet Company Negative hardness gradient inner core for dual core golf ball
US7625302B2 (en) * 2007-10-29 2009-12-01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US8337331B2 (en) * 2008-01-10 2012-12-25 Acushnet Company Very-low melt flow thermoplastic composition for golf ball core layers
JP5207363B2 (ja) * 2008-04-15 2013-06-1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5238986B2 (ja) * 2008-04-15 2013-07-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4706875B2 (ja) * 2008-05-26 2011-06-2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5095590B2 (ja) * 2008-09-24 2012-12-1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5165523B2 (ja) * 2008-10-10 2013-03-2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8366568B2 (en) * 2008-12-24 2013-02-05 Sri Sports Limited Golf ball
JP5154530B2 (ja) * 2009-10-15 2013-02-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4927934B2 (ja) * 2009-12-28 2012-05-09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5331756B2 (ja) * 2010-06-29 2013-10-3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5601955B2 (ja) * 2010-10-07 2014-10-0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9039545B2 (en) * 2010-10-22 2015-05-26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5828654B2 (ja) * 2011-03-28 2015-12-0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178A (ja) 1984-07-28 1986-0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ソリツドゴルフボ−ル
JPH06154357A (ja) 1992-11-26 1994-06-03 Sumitomo Rubber Ind Ltd ツ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H07112036A (ja) * 1993-10-15 1995-05-02 Sumitomo Rubber Ind Ltd ツ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3762505B2 (ja) * 1996-12-20 2006-04-05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フォー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523952A (ja) 2004-12-21 2008-07-10 キャラウェイ・ゴルフ・カンパニ ゴルフボール
JP2007319660A (ja) * 2006-05-31 2007-12-13 Bridgestone Sports Co Ltd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194471A (ja) 2007-02-13 2008-08-28 Bridgestone Sports Co Ltd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194473A (ja) 2007-02-13 2008-08-28 Bridgestone Sports Co Ltd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8212681A (ja) 2007-03-02 2008-09-18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09119256A (ja) 2007-11-09 2009-06-04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JP2010253268A (ja) 2009-04-27 2010-11-11 Bridgestone Sports Co Ltd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8979A2 (en) 2013-12-04
KR101945081B1 (ko) 2019-02-01
CN103446719B (zh) 2017-09-08
US20130324320A1 (en) 2013-12-05
CN103446719A (zh) 2013-12-18
US10195489B2 (en) 2019-02-05
KR20130135755A (ko) 2013-12-11
EP2668979B1 (en) 2017-01-04
EP2668979A3 (en)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081B1 (ko) 골프공
KR101364420B1 (ko) 골프공
JP5687053B2 (ja) ゴルフボール
KR101565202B1 (ko) 골프공
KR101380313B1 (ko) 골프공
EP2537888A2 (en) Golf ball
JP5478668B2 (ja) ゴルフボール
KR101453676B1 (ko) 골프공
JP5478568B2 (ja) ゴルフボール
JP6787048B2 (ja) ゴルフボール
KR102586313B1 (ko) 골프공
JP5484520B2 (ja) ゴルフボール
JP5484519B2 (ja) ゴルフボール
JP5478561B2 (ja) ゴルフボール
JP6513146B2 (ja) ゴルフボール
JP6780391B2 (ja) ゴルフボール
KR101380307B1 (ko) 골프공
JP5975607B2 (ja) ゴルフボール
JP5968076B2 (ja) ゴルフ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