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220A -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220A
KR20160059220A KR1020140160834A KR20140160834A KR20160059220A KR 20160059220 A KR20160059220 A KR 20160059220A KR 1020140160834 A KR1020140160834 A KR 1020140160834A KR 20140160834 A KR20140160834 A KR 20140160834A KR 20160059220 A KR20160059220 A KR 20160059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cabin
ship
emergency esca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485B1 (ko
Inventor
성백수
Original Assignee
성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백수 filed Critical 성백수
Priority to KR102014016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485B1/ko
Priority to PCT/KR2015/011073 priority patent/WO2016080659A1/ko
Priority to CN201580061801.1A priority patent/CN107646010B/zh
Publication of KR2016005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일단은 선실의 출입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문과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고,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은폐되었다가 필요시에 노출되어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고 발로 디딜 수 있는 사다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선박이 전도되어 가는 중에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도 상기 사다리부재에 의하여 출입문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탈출한 후에는 상기 손잡이부재에 의하여 경사진 통로를 용이하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APPARATUS OF ESCAPE FOR EMERGENCY IN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 전도되거나 전복되어 수평방향 통행로가 수직방향으로 바뀌었을 때에도 선실과 통로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선체 밖으로 탈출할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단위의 화물이나 승객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어업을 위해 사용되는 운송수단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중대형 선박의 경우 장기간 해상에 떠있는 관계로 선체 내부에 기관실 및 선원실 등을 마련하기 위해 다수의 격벽에 의해 격리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객선인 경우에는 다수의 격벽에 의하여 복수의 선실이 구비되고, 선실과 선실 또는 외부와 통하는 통로가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경우 선체가 암초에 부딪히거나 선박들 간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사고, 또는 선박의 구조적인 결함과 과적에 의한 사고 등으로 선박이 침몰하거나 또는 파손의 우려에 노출되어 있다. 사고시에는 선체 내부의 기관실, 선원실, 선실 등의 독립공간은 복잡한 통로와 연결되는데, 이로 인해 선박의 침수 또는 좌초로 인해 해수가 선체 내부로 유입되면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11-0117290호(2011.10.27 공개)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2-0096820호(2012.08.31 공개) 문헌3: 공개특허공보 10-2014-0083953호(2014.07.04 공개)
그러나 선박이 사고에 의하여 전도되어 기울게 되는 경우에는 선실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지게 된다. 이와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는 출입문까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이 전도되어 가는 도중에,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도 외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는 일단은 선실의 출입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문과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고,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고 발로 디딜 수 있는 사다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함몰되는 장홈과 상기 장홈에 형성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바닥면에서 탈부착되는 지지판이 추가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다리부재는 사다리와;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상기 사다리가 안착되는 사다리안착홈; 및 일단은 선실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사다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선실과 상기 통로의 벽면에는 가로 방향의 가로바와; 일단은 상기 가로바와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세로바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재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바와 인접한 상기 세로바 사이는 30~50cm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선박이 전도되어 가는 중에 선실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도 상기 사다리부재에 의하여 출입문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선실을 탈출한 후에는 상기 손잡이부재에 의하여 경사진 통로를 용이하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탈출장치는 기존 선박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저렴한 비용에 의하여 안전하게 탈출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탈출 장치가 장착된 선박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다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다리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다리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손잡이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가 장착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다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탈출 장치가 장착된 선박(1)은 다수의 승객을 운송하는 여객선으로서 복수의 선실(3)과 복수의 통로(5)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 장치는 대형 여객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벽에 의하여 선실이 구비되는 선박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는 사다리부재(20)와 손잡이부재(50)로 구성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사다리부재(2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의 사다리부재(20)는 복수의 함몰홈(21)으로 이루어지는데, 복수로 함몰홈(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를 이루고, 일단은 선실의 출입문(7)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문(7)과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게 된다. 복수의 상기 함몰홈(21)은 상기 선실(3)의 바닥면(9)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고 발로 디딜 수 있게 된다. 상기 함몰홈(21)과 인접한 상기 함몰홈(21) 사이는 30~50cm의 간격을 유지되어 승객이 상기 함몰홈(21)을 짚고 올라가기 편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사다리부재(20)는 상기 선실(3)의 바닥면(9)에 은폐되었다가 선박(1)이 전복되기 위한 전도 과정에서 기울어질 때, 상기 선실(3)의 바닥면(9)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지게 된다. 이때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고 발로 디딜 수 있는 부재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재(20)의 일단은 선실(3)의 출입문(7)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문(7)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출입문(7)과 인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다리부재(20)는 상기 선실(3)의 바닥면(9)에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1)이 전도되어 바닥면(9)이 경사진 경우에는 승객은 상기 복수의 함몰홈(21)을 이용하여서 상부에 위치하는 출입문(7)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함몰홈(21)이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재(20)의 상부면에는 지지판(30)이 안착되어서, 상기 사다리부재(20)를 은폐하고 승객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0)의 상부면은 상기 선실의 바닥면(9)과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다리부재(20)는 상기 선실(3)의 바닥면(9)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함몰되는 장홈(25)과 상기 장홈(25)에 형성되는 지지바(27)로 구성된다.
따라서 탈출을 시도하는 승객이 상기 지지바(27)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상기 출입문(7)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부재(20)에는 상술한 다른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판(27)이 안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사다리(40)가 구비되고, 상기 선실(3)의 바닥면(9)에는 사다리안착홈(43)이 형성되어서 상기 사다리(40)가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4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연결줄(45)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바닥면(9)이 경사지는 비상시에는 상기 사다리(40)를 이용하여서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다리(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줄(45)에 의하여 선박(3)이 좌측으로 전도되거나 우측으로 전도되어도 상기 사다리(40)는 상기 출입문(7)과 연결되어서 승객이 용이하게 탈출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안착홈(43)이 사다리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비상시에 당황한 승객들이 상다리 형상으로 함몰되는 상기 사다리안착홈(43)에 안착된 상기 사다리(40)를 이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안착홈(43)은 사다리 전체가 안착되는 직사각 모양으로 함몰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다리(400가 상기 사다리안착홈(43)에 안착될 때 상기 연결줄(45)는 사슬모양으로 이루어지므로 절첩이 되어서 상기 사다리안착홈(43)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에는 손잡이부재(50)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5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실(3)과 상기 통로(5)의 벽면에는 가로 방향의 가로바(51)가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가로바(51)는 통로의 바닥면에서 어른의 허리 높이 정도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51)의 하부에는 복수의 세로바(53)가 고정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바(53)의 일단은 상기 고정바(51)에 고정되고, 타단은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바(53)와 인접한 상기 세로바(53) 사이는 30~50cm의 간격을 유지되어 승객이 상기 세로바(53)를 짚고 올라가기 편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다리부재(20)에 의하여 선박(1)이 경사지게 전도되는 경우에, 선실(3)에서 출입문(7)으로 용이하게 통로(5)로 탈출할 수 있고, 경사진 통로(5)에서는 상기 손잡이부재(50)에 의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선박, 3: 선실,
5: 통로, 9: 바닥면,
20: 사다리부재, 21: 함몰홈,
25: 장홈, 27: 지지바,
30: 지지판, 40: 사다리,
43: 사다리안착홈, 45: 연결줄,
50: 손잡이부재, 51: 가로바,
53: 세로바

Claims (6)

  1. 선실과 통로가 구비된 선박에 있어서,
    일단은 선실의 출입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문과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고,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승객이 손으로 파지하고 발로 디딜 수 있는 사다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는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함몰되는 장홈과 상기 장홈에 형성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바닥면에서 탈부착되는 지지판이 추가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는 사다리와; 상기 선실의 바닥면에 상기 사다리가 안착되는 사다리안착홈; 및 일단은 선실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사다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과 상기 통로의 벽면에는 가로 방향의 가로바와; 일단은 상기 가로바와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세로바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재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바와 인접한 상기 세로바 사이는 30~50cm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KR1020140160834A 2014-11-18 2014-11-18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KR10162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834A KR101626485B1 (ko) 2014-11-18 2014-11-18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PCT/KR2015/011073 WO2016080659A1 (ko) 2014-11-18 2015-10-20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CN201580061801.1A CN107646010B (zh) 2014-11-18 2015-10-20 船舶紧急出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834A KR101626485B1 (ko) 2014-11-18 2014-11-18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20A true KR20160059220A (ko) 2016-05-26
KR101626485B1 KR101626485B1 (ko) 2016-06-01

Family

ID=5601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834A KR101626485B1 (ko) 2014-11-18 2014-11-18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6485B1 (ko)
CN (1) CN107646010B (ko)
WO (1) WO2016080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04B1 (ko) * 2019-05-20 2020-09-02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290A (ko) 2010-04-21 2011-10-27 정재석 선박의 전복 방지 시스템
KR20120096820A (ko) 2011-02-23 2012-08-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전복 방지 장치
KR20140083953A (ko)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KR20150146192A (ko) * 2014-06-23 2015-12-31 정지윤 은폐 구조를 갖는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1215D0 (en) * 1987-05-12 1987-06-17 Watson C C Escape apparatus for ships
KR100873023B1 (ko) * 2008-05-02 2008-12-11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사다리가 내장된 건축용 천정 점검구 시스템.
KR101153789B1 (ko) * 2010-01-26 2012-06-13 주식회사 에스엠텍 절첩식 구난 사다리
JP2011219223A (ja) * 2010-04-09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NO333316B1 (no) * 2011-03-29 2013-04-29 Asbjorn Brevik Dyb Romningsvei
KR20130011211A (ko) * 2011-07-21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복층형 선원대피처
KR20140003003U (ko) * 2014-04-30 2014-05-21 김문규 선박의 통행 손잡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290A (ko) 2010-04-21 2011-10-27 정재석 선박의 전복 방지 시스템
KR20120096820A (ko) 2011-02-23 2012-08-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전복 방지 장치
KR20140083953A (ko)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KR20150146192A (ko) * 2014-06-23 2015-12-31 정지윤 은폐 구조를 갖는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04B1 (ko) * 2019-05-20 2020-09-02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46010B (zh) 2020-04-28
CN107646010A (zh) 2018-01-30
WO2016080659A1 (ko) 2016-05-26
KR101626485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665B1 (ko) 비상사다리를 구비한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BRPI0923028B1 (pt) unidade de treinamento móvel
KR101626485B1 (ko)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JP2014532005A (ja) 調整可能な腹盤木を有する乗り入れ式船舶リフト
KR20140083952A (ko)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KR20140046779A (ko) 선박 데크하우스의 배치구조
JP6222421B2 (ja) 救命艇
JP2014205573A5 (ko)
KR102151104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KR101639474B1 (ko) 안전한 비상탈출구조를 갖는 선박
WO2015167125A1 (ko) 선박의 통행 손잡이 구조
KR101607686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JP6319925B1 (ja) 船舶
CN205854448U (zh) 一种多用途救生浮岛
KR20160017764A (ko) 선실구조
JP2019094020A (ja) 鉄道車両
JP2015077848A (ja) 救命艇用シート、および救命艇
KR101578033B1 (ko)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KR101643963B1 (ko) 클라이밍 탈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IT202000009886A1 (it) Imbarcazione da diporto con una struttura di ponte migliorata
KR20170001631U (ko) 슬라이드 타입 비상 탈출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US1043914A (en) Life-boat.
ES2595116B1 (es) Flotador de abarloamiento y rescate
RU2519974C1 (ru) Способ оперативной эвакуации пассажиров и членов экипажа из затонувшего плавсредства
KR20170050074A (ko) 비상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