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033B1 -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033B1 KR101578033B1 KR1020140156636A KR20140156636A KR101578033B1 KR 101578033 B1 KR101578033 B1 KR 101578033B1 KR 1020140156636 A KR1020140156636 A KR 1020140156636A KR 20140156636 A KR20140156636 A KR 20140156636A KR 101578033 B1 KR101578033 B1 KR 101578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hull
- deckhouse
- deck house
- cargo loa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고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통로에 상응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1 및 제2 통로를 통해서 상기 선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선체의 거주구 및 측벽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거주구 및 측벽 사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는 거주구(Accommodation)를 포함하고, 거주구는 선체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거주구는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는 배를 운행 하는데 필요한 동력부분 또는 장비를 포함할 수 있어, 거주구 및 선체 간의 이동이 요구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9915호는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에 관한 것으로서, 거주구의 외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데크, 데크에 결합되고 데크를 회동시켜 거주구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접는 폴딩수단, 수용공간 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단 및 계단에 결합되고 계단을 회동시켜 수용공간 내에 수용시키는 수용수단을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1652호는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갑판, 상갑판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데크 및 최상층에 네비게이션 브릿지 데크를 구비한다. 거주구의 외측부에 위치되는 외부 계단은 외측부가 외측벽에 의하여 둘러싸이도록 형성되고, 외측벽에는 상갑판과 동일한 높이에 상갑판과 바로 연결되는 제 1 도어가 형성되고, 외부 계단은 상갑판으로부터 최상층의 네비게이션 브릿지 데크까지 연결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벽과 데크 하우스 사이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측벽과 데크 하우스의 통로를 통하여 왕복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벽 및 데크 하우스 각각에서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측벽 승강 수단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고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통로에 상응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1 및 제2 통로를 통해서 상기 선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데크 하우스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특정 지점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는 통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부면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내부에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고 그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제2 통로를 형성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측벽에서 상기 제1 통로를 통해서 상기 선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선체 승강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통로가 형성된 데크 하우스에서 상기 제2 통로를 통해서 상기 데크 하우스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측벽과 데크 하우스 사이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측벽과 데크 하우스의 통로를 통하여 왕복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측벽 및 데크 하우스 각각에서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측벽 승강 수단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벽 승강 수단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벽 승강 수단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데크 하우스(120) 및 화물 적재부(130)를 포함한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화물들을 적재할 수 있는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물창들은 선체(10)의 갑판 아래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선체 횡격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해치 커버를 포함하여 선체(1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고 복수의 화물창들과 화물 적재부(1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0)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화물창과 동일한 길이(즉, 선체(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0)의 양 상부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즉, 각각의 전단 및 후단이 동일한 연장선상에 있음)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서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데크 하우스(120)의 길이(즉, 선체(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양단에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2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 및 조타실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그 적어도 일부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을 향해 절곡되거나(즉, ㄷ 형상) 또는 일자로(즉, ㅡ 형상) 형성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부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다. 화물 적재부(130)는 복수의 화물들이 적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0)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를 통해 복수의 화물창들과 분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0)의 상부에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2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연결하여 복수의 화물들 간의 정렬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제1 통로(210), 제2 통로(220), 승강 수단(230) 및 통로 덮개(240)를 포함한다.
제1 통로(210)는 선체(10)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벽들(1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체(1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로(210)는 선체(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각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선체(10)의 길이 방향과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로(210)는 선체(10)의 하단부터 선체(10)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특정 부분에 대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10)부분이 복수개의 층으로 되어 있을 때, 해당 복수개의 층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특정 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로(2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는 데크 하우스에서 제1 통로(210)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통로(220)는 선체(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각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선체(10)의 길이 방향과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로(220)는 제1 통로(210)가 형성하고 있는 선체(10)의 길이 방향과의 각도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통로(220)는 데크 하우스의 하단부터 상단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특정 부분에 대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수단(230)는 제1 통로(210) 및 제2 통로(220)를 통하여 선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230)은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단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230)이 엘리베이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는 데크 하우스의 상단 면 또는 복수의 측벽들의 하단면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데크 하우스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데크 하우스의 상단 면에 설치될 수 있다.
통로 덮개(240)는 제1 통로(210)의 내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제1 통로(210)가 있는 특정 지점을 외부로부터 차단 시킬 수 있도록 제1 통로의 오픈된 일단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통로 덮개(240)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 및 데크 하우스(120)의 위치에 따라서 제1 통로(210)의 오픈된 일단을 덮거나 또는 오픈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로 덮개(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데크 하우스(120)에 구비되어 있는 특정 구조물을 통하여 데크 하우스(120)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 하우스(120)의 제2 통로(220) 부분에 복수의 측벽들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고, 통로 덮개(240)의 특정 부분에 데크 하우스(120)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 데크 하우스(120)의 돌출된 부분과 통로 덮개(240)에 있는 돌출된 부분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따라 서로 접촉되어 통로 덮개(240)가 특정 방향으로 밀고 당겨질 수 있다. 즉, 통로 덮개(24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1 통로(210)를 덮거나 오픈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230)이 계단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 통로(220)를 덮는 다른 통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통로(220)를 덮는 통로 덮개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 및 데크 하우스(120)의 위치에 따라서 제2 통로(220)의 오픈된 일단을 덮거나 또는 오픈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 하우스(120)가 이동 중에 있는 경우에는 제2 통로(220)의 하단, 즉, 측벽 쪽에 위치한 오픈된 부분을 통로 덮개를 통하여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a를 참조하면, 데크 하우스(120)의 제2 통로(2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제1 통로(210)가 있는 특정 지점에 도달한 경우에는, 승강 수단(230)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 사이를 왕복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230)이 엘리베이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 통로(210)를 덮고 있던 통로 덮개(240)를 동작 시켜 제1 통로(210)를 오픈 시키고 제1 통로(210) 및 제2 통로(220)가 연결되어 승강 수단(230)이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 사이를 상하 왕복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230)이 계단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 통로(210)를 덮고 있던 통로 덮개(240) 및 제2 통로(220)를 덮고 있던 통로 덮개를 동작시켜 제1 통로(210) 및 제2 통로(220)를 오픈 시키고 제1 통로(210) 및 제2 통로(22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계단을 통하여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 사이를 상하 왕복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b를 참조하면, 데크 하우스(120)의 제2 통로(2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제1 통로(210)가 있는 특정 지점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및 데크 하우스(120)가 이동 중인 경우에는, 승간 수단(230)은 데크 하우스(120)의 제2 통로(22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230)이 엘리베이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데크 하우스(120)의 상단 부분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제1 통로(210) 및 제2 통로(220)가 연결되지 않아 엘리베이터를 운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데크 하우스(120)의 제2 통로(220)에 엘리베이터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벽 승강 수단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측벽 승강 수단(310)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320)을 포함한다.
측벽 승강 수단(310)은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통로(210)를 통하여 복수의 측벽들 (110)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로(210)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그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측벽 내부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210)는 측벽 내부의 일 부분에 대하여 상하 왕복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320)은 데크 하우스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통로(220)를 통하여 데크 하우스(12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통로(220)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그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데크 하우스(120) 내부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로(220)는 데크 하우스 내부의 일 부분에 대하여 상하 왕복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 승강 수단(310)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320)은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210) 및 제2 통로(220)의 일단에는 도 2에서 설명한 통로 덮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 승강 수단(310) 및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320)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과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복수의 측벽들
120: 데크 하우스
130: 화물 적재부
210: 제1 통로
220: 제2 통로
230: 승강 수단
310: 측벽 승강 수단
320: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
10: 선체
20: 가이드바
110: 복수의 측벽들
120: 데크 하우스
130: 화물 적재부
210: 제1 통로
220: 제2 통로
230: 승강 수단
310: 측벽 승강 수단
320: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
10: 선체
20: 가이드바
Claims (6)
-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고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통로에 상응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1 및 제2 통로를 통해서 상기 선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데크 하우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하우스가 상기 특정 지점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특정 지점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는 통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부면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내부에 제1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고 그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제2 통로를 형성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제1 통로가 형성된 측벽에서 상기 제1 통로를 통해서 상기 선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선체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가 형성된 데크 하우스에서 상기 제2 통로를 통해서 상기 데크 하우스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데크 하우스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636A KR101578033B1 (ko) | 2014-11-12 | 2014-11-12 |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636A KR101578033B1 (ko) | 2014-11-12 | 2014-11-12 |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8033B1 true KR101578033B1 (ko) | 2015-12-16 |
Family
ID=5508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6636A KR101578033B1 (ko) | 2014-11-12 | 2014-11-12 |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803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915B1 (ko) | 2009-08-19 | 2011-10-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 |
KR101282350B1 (ko) * | 2011-09-29 | 2013-07-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
KR101291652B1 (ko) | 2011-05-16 | 2013-08-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 |
-
2014
- 2014-11-12 KR KR1020140156636A patent/KR101578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915B1 (ko) | 2009-08-19 | 2011-10-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 |
KR101291652B1 (ko) | 2011-05-16 | 2013-08-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 |
KR101282350B1 (ko) * | 2011-09-29 | 2013-07-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7702B1 (ko) | 컨테이너선의 커버 시스템 | |
KR20140060914A (ko) |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 |
RU2008118425A (ru) | Вертикаль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трап | |
KR101291652B1 (ko) |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 | |
KR101578033B1 (ko) |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
JP5982523B1 (ja) | 二種類の荷役装置による同時荷役貨物船 | |
US9199701B2 (en) | Privacy enclosure for boat | |
KR101267995B1 (ko) |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 |
ITBO20120200A1 (it) | Apparato di sollevamento per dispositivi di interfaccia con l'ambiente esterno in un sommergibile e sommergibile comprendente detto apparato | |
US9340268B2 (en) |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 |
JP2001030979A (ja) | ロールオン・オフ船 | |
KR101626485B1 (ko) |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 |
KR101021522B1 (ko) | 선박 데크 하우스의 통행로 배치구조 | |
KR20180001110U (ko) | 헬리콥터 운반크레인 | |
KR20160056610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60056611A (ko) | 통로부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 |
KR102106683B1 (ko) | 선박 | |
KR200489086Y1 (ko) | 헬리 데크 | |
KR20190012561A (ko) |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90012560A (ko) | 휠 하우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30001730U (ko) | 선박의 출입용 사다리 장치 | |
KR20180044752A (ko) | 헬리데크의 데크 플로어 접근장치 | |
KR20120132944A (ko) | 선박용 데크하우스의 외부통로구조 | |
KR20150092969A (ko) |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 |
WO2012163957A1 (en) | A launch and retrieva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