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561A -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561A
KR20190012561A KR1020170095707A KR20170095707A KR20190012561A KR 20190012561 A KR20190012561 A KR 20190012561A KR 1020170095707 A KR1020170095707 A KR 1020170095707A KR 20170095707 A KR20170095707 A KR 20170095707A KR 20190012561 A KR20190012561 A KR 20190012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ship
support ba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천
백종엽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561A/ko
Publication of KR2019001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B63B2704/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도어 구조는, 이동통로(Passage way)를 이루며 레일부가 마련되는 격벽에 설치되어, 구획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되, 상기 단차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시 이웃한 상기 레일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보조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Door structure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나 여객선과 같이 대형 선박은 수십 명에서 수천 이상의 승무원 및 승선인이 승선하는데, 특히 긴 시간 동안 조류, 기상악화 등 거친 환경 속에서 운항되는 선체에 승선인들이 머무르기 때문에 승선자들을 위한 근무 공간, 휴식 공간 및 생활 공간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근무, 휴식, 생활공간을 위해 선박에는 선실이 설치된다. 선실은 선박을 운항하는데 필요한 항해 설비, 통신 설비 등과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필요한 컨트롤 설비가 마련되는 근무 공간(데크 하우스로 구분됨)과 선원, 승선인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생활공간으로서의 선실은 여객선 등에 머무는 수많은 승선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거나 복도를 사이에 두고 여러 방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층에 폐쇄된 공간 내에 마련되는 구조물을 이룬다.
여기서, 승무원들이 근무하는 공간으로서의 데크 하우스는 생활공간과 달리 상갑판 상에서 예를 들어 선박의 선미에 돌출되는 복층의 구조로 마련되어, 생활공간에 머무는 승선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상 탈출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생활공간을 이루기 위한 선실은 수백에서 수천 이상의 승선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상갑판의 하부에 복수의 층으로 구획되며, 하나의 층에서도 복도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일렬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근무 공간에 비하여 비상 탈출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기울임, 전복 등과 같은 비상 시 생활공간으로서의 선실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비상 탈출이 필요하며, 비상 탈출을 위한 선박의 구조 변경을 위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 발생시 승선인의 탈출이 용이할 수 있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도어 구조는, 이동통로(Passage way)를 이루며 레일부가 마련되는 격벽에 설치되어, 구획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되, 상기 단차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시 이웃한 상기 레일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보조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선박용 도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부는, 2 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베이스바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를 가로지르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바의 강도를 높이도록, 상기 지지바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선박 내부의 폭발사고 등으로 인해 선박으로 해수 유입이 이루지거나, 선박의 전복 등으로 인하여 선박이 침몰할 위기 등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승선인의 비상탈출이 용이할 수 있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레일이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되, 단차부 내에 설치되어, 특히 보조 레일이 도어부의 아웃사이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도어부의 개방시 이웃한 레일부와 간섭되지 않아, 도어부의 이용이 용이하면서도, 도어부에 마련되는 보조레일을 통해 안전 대피로의 길을 안내받을 수 있어 대피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2의 I-I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레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레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2의 I-I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레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레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박용 도어 구조(200)를 포함하는데, 선박(100)은 여객선, 화물선, 컨테이너 운반선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선박용 도어 구조(200)는 다양한 변형예를 이룰 수 있으며, 선박용 도어 구조(200)의 실시예는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대형 구조물로서, 운항을 위한 엔진(도시하지 않음), 발전기(도시하지 않음), 선실(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되고, 엔진 등의 설비는 엔진룸(도시하지 않음)과 같이 별도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안전 및 공간의 활용에 따라 선박(100)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다수의 데크(도시하지 않음)로 상하 공간이 구획될 수 있음은 물론, 좌우 공간이 격벽(11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선체 내부에서 복수의 층을 이루는 데크는 상하 일렬로 복수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수평하게 선체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데크 상의 공간을 격벽(110)의 좌우 공간을 분할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층의 데크 상에서, 이웃한 공간과 분리되도록 설치된 격벽(110)은 폐쇄된 공간을 이루되 이웃한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박용 도어 구조(200)가 마련된다.
선박용 도어 구조(200)는, 출입문을 이루는 구조로서 격벽(110)을 통해 분리된 공간을 개방하여 승선인이 출입 가능하도록 하며, 선박용 도어 구조(200)는, 도어부(210), 브라켓(230)을 포함한다.
도어부(210)는 이동통로(Passage way)를 이루는 격벽(110)에 설치되는데, 격벽(110)에는 승선인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절단된 형태를 이루는 구멍(개구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을 개폐하도록 도어부(210)가 설치되어, 격벽(110)을 통해 구획된 공간의 출입구를 도어부(210)가 개폐한다.
여기서, 이동통로는 엔진룸, 선실 등과 같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110)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공간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실이 제1룸, 제2 룸과 같이 복수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제1 룸과 제2 룸이 서로 이격/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1 룸과 제2 룸 사이의 공간이 이동통로가 될 수 있다. 즉 이동통로는 제1 룸과 제2 룸 사이를 관통하는 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210)는 예를 들어 여닫이문(hinged door, 일례로 외여닫이문, 쌍여닫이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도어부(210)는 선실 등과 같은 공간으로부터 선실의 외부인 이동통로를 향해 개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도어부(21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이웃한 제1 룸과 제2 룸의 도어부(21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주하는 제1, 2 룸의 도어부(210)가 서로 방해되지 않아, 선실의 출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11) 및 보조 레일(212)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1)는, 도어부(210) 상에서 보조 레일(212)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일부(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부(211A)를 이룬다.
즉 단차부(211A)는 보조 레일(212)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이루는데, 보조 레일(212)의 주변에 여유 공간을 이룸으로써, 승선인의 손이 단차부(211A)의 내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부(210)는 세로 길이 방향의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이러한 도어부(210)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단차부(211A)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210)는 격벽(110)의 두께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부(210)의 두께는 단차부(211A)가 이루어지기에 충분한 두께를 이룰 수 있다.
보조 레일(212)은, 격벽(110)에 마련되는 레일부(220)가 도어부(210) 상에서 끓기지 않도록 도어부(210)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레일부(220)를 연장시키는 구성으로서, 보조 레일(212)의 형태는 레일부(220)와 동일/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어, 레일부(220)가 일자 형태의 봉 또는 바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조 레일(212) 또한 봉 또는 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레일부(220)가 사다리 형태를 이루는 경우 보조 레일(212) 또한 사다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레일(212)은 레일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되, 단차부(211A) 내에 설치되어, 특히 보조 레일(212)은 도어부(210)의 아웃사이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도어부(210)의 개방시 이웃한 레일부(22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보조 레일(212)에 의한 도어부(210)의 개방각도 제한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부(220)는, 선박의 기울임, 전복 등과 같은 위험 상황 발생시, 승선인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승선인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격벽(110)에서 이동통로의 출구 방향(예를 들어 상부 데크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레일부(220)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부(220)는, 베이스바(221)와 지지바(2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221)는 승선인이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봉 또는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동통로의 출구 방향을 따라 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도 1 참조).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바(221)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하 2열을 이룰 수 있는데, 선박의 기울임이 미세하여 승선인이 똑바로 서서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상부의 베이스바(221A)가 성인의 허리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의 베이스바(221B)가 어린이의 허리 위치에 배치되어,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도 자신의 손이 편리하게 닿을 수 있어, 탈출이 용이할 수 있다.
지지바(222)는 한 쌍의 베이스바(221)를 가로지를 수 있어, 베이스바(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바(222)가 일렬로 마련되어, 레일부(220)는 격벽(110)에서 출구 방향을 따라 배치된 사다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박(100)의 기울임이 미세한 경우에는, 승선인은 베이스바(221)를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고, 선박(100)이 전복되는 등 승선인이 선박(100) 내에서 똑바로 서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승선인이 지지바(222)를 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어, 레일부(220)를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탈출이 용이할 수 있다.
브라켓(230)은 격벽(110)과 레일부(220)를 연결하는 매개물로서, 격벽(110)에 설치되어 레일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부(220)는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이 격벽(1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레일부(220)의 양단이 절곡되고 중심부가 격벽(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격벽(110)으로부터 이격된 레일부(220)의 중심을 브라켓(230)이 연결하여 레일부(220)가 격벽(110)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30)은 레일부(220) 뿐만 아니라 보조 레일(212)을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레일부(220)를 연결하는 방법과 동일/유사하게 보조 레일(212)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브라켓(23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브라켓(230)의 일단은 격벽(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일부(22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브라켓(230)이 격벽(110)과 레일부(220)에 연결시 그 연결방법은 볼팅, 용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230)은, 지지바(22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지바(222)에 연결될 수 있어, 지지바(222)는 브라켓(230)을 통해 격벽(110)에 연결된 형태를 이루어, 승선인이 지지바(222)를 밟고 이동시에도 레일부(220)는 충분한 강도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박(100) 내부의 폭발사고 등으로 인해 선박(100)으로 해수 유입이 이루지거나, 선박(100)의 전복 등으로 인하여 선박(100)이 침몰할 위기 등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승선인의 비상탈출이 용이할 수 있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선박 110: 격벽
200: 선박용 도어 구조 210: 도어부
211: 베이스 플레이트 211A: 단차부
212: 보조 레일 220: 레일부
221: 베이스바 221A: 상부의 베이스바
221B: 하부의 베이스바 222: 지지바
230: 브라켓

Claims (5)

  1. 이동통로(Passage way)를 이루며 레일부가 마련되는 격벽에 설치되어, 구획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되, 상기 단차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시 이웃한 상기 레일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보조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2 열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베이스바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를 가로지르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바의 강도를 높이도록,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도어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선박용 도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095707A 2017-07-27 2017-07-27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12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07A KR20190012561A (ko) 2017-07-27 2017-07-27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07A KR20190012561A (ko) 2017-07-27 2017-07-27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61A true KR20190012561A (ko) 2019-02-11

Family

ID=6537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707A KR20190012561A (ko) 2017-07-27 2017-07-27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330A (zh) * 2019-06-19 2019-09-06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货舱的密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330A (zh) * 2019-06-19 2019-09-06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货舱的密封装置
CN110203330B (zh) * 2019-06-19 2021-02-02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货舱的密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417B2 (en) Water craft having open upper deck, AFT swim deck and collapsible bulwarks
US6182926B1 (en) Aircraft crew rest station for a long distance airline flight
JPS5878885A (ja) 大型客船
KR101702994B1 (ko) 해양선박
KR20190012561A (ko) 선박용 도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820179B2 (ja) 船舶の居住区構造及び貨物運搬船
KR101267995B1 (ko)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KR20140046779A (ko) 선박 데크하우스의 배치구조
CN107646010B (zh) 船舶紧急出口装置
KR101201353B1 (ko) 선박의 타워형 데크하우스용 브리지윙 지지대
KR20170121860A (ko) 선실의 비상탈출로가 구비된 선박
KR101607686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KR20160009201A (ko) 선실구조
KR20160017764A (ko) 선실구조
KR102348807B1 (ko) 비상 탈출이 용이한 선박
KR101563733B1 (ko) 2층 구조를 갖는 구명정
KR20150001013U (ko) 선박의 대피소
US2262219A (en) Lifesaving and treasure recovering device for ships
JP2018065527A (ja) 乗り合い小型船舶
JP3166830U (ja) 通路付きハッチコーミング
NO328531B1 (no) Romningssystem for marin konstruksjon
KR101358339B1 (ko) 여객선
DK179427B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JP6257048B2 (ja) 船舶の室構造、及び、船舶
Aarnio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