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152A -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152A
KR20140013152A KR1020120078678A KR20120078678A KR20140013152A KR 20140013152 A KR20140013152 A KR 20140013152A KR 1020120078678 A KR1020120078678 A KR 1020120078678A KR 20120078678 A KR20120078678 A KR 20120078678A KR 20140013152 A KR20140013152 A KR 20140013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residence
ship
moving means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353B1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3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10Independent shelters; Arrangement of independent splinter-pro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선박 요새화 시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적의 선박 침입시 선원들을 보호하고 선박의 조종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의하면, 해적의 선상 난입시에도 선박의 조종성을 유지하여 위험 지역을 벗어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 수행이 가능하고, 구조 신청등을 위한 별도의 전자 장비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또한 선박의 선원들이 생활하는 거주구 전체가 요새화 됨으로써 선원들이 별도의 공간으로 피신할 필요가 없고, 또한 선원들의 원활한 식량 공급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CITADEL STRUCTURE OF SHIP DECK HOUSE}
본 발명은 요새화된 선박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적의 선박 침입시 선원들을 보호하고 선박의 조종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말리아 해상 등에서 운항되는 선박이 해적들에 의해 피랍되는 문제가 국제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박 내에 해적들에 대항하기 위한 설비들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나, 국내외 법규상 선박들이 무기를 갖추는 것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적에 대한 방어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통상 해적은 고무 보트와 같은 소형 보트를 타고 선미 또는 선체의 측면 등으로 접근한 뒤 갑판에 로프를 걸어 선체에 올라 선박을 피랍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선박에 탑승해 있는 선원들은 소총 등과 같은 무기를 소지하고 있지 못하는 것에 반해, 해적들은 화기를 소지하고 있는 관계로, 일단 해적이 선상에 오르게 되면, 선박이 피랍되는 것을 막기는 매우 어렵다. 이에 해적이 선체에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방안이 1차적으로 필요하다 할 것이며, 해적이 선체에 오른 경우라 하더라도 선원들이 해적에게 제압당하지 않을 수 있는 2차적인 방안 역시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방어책으로 선박의 일부 공간을 요새화하여 선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 은 종래의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는 방법 중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은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선체(100) 내에 식료품을 저장하기 위한 식료품 저장고(110)를 포함한다. 식료품 저장고(110)는 해적이 선상에 난입한 경우에 선원들이 해적에 의해 제압되지 않고 대피할 수 있도록 요새화된다. 이를 위해 식료품 저장고(110)에는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수단 및 내측에 잠금 장치가 마련된 도어 등을 구비한다.
식료품 저장고(110)를 요새화하여 선원들이 피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면 선박의 피랍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더라도, 그 내부에 보관된 식료품을 바탕으로 선원들이 얼마 동안 버틸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으나, 간이 화장실등의 공간을 별도로 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또한 구출등을 위해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식료품 저장고(110)의 요새화를 통한 해적으로부터의 방어 방법은 무엇보다도 배의 조종성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방어에 선박 방어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또한 협소한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제약된다.
그리고 식료품 저장고(110)의 위치가 발각시 선원들이 피할 수 있는 대안이 없고, 협소한 공간에서 수용 인원이 많은 경우에 별도의 환풍 시설등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적의 선상 난입시 선원들의 피난 방향이 해적들의 선미에서 선수로의 진입방향과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피신을 해야 함으로, 즉, 거주구는 선미에 있기 때문에 거주구에 위치한 식료품 저장고로의 피신을 위해서는 선원들이 해적들의 진입 방향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피신을 하게 되고 따라서 선원들이 위험에 노출될 확률이 훨씬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선박 요새화 시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적의 선박 침입시 선원들을 보호하고 선박의 조종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의하면, 다층 구조의 복수개의 데크(deck)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에 있어서, 공간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문을 구비하고, 상기 방탄문에 의하여만 외부 출입이 가능한 제 1 데크(deck) 거주구; 및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의 상층(upper floor)에 위치하고, 상기 선박을 조종할 수 있는 제 2 데크(deck)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는 상기 선박의 메인 데크 거주구, 상기 메인 데크 거주구의 상층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3 데크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는 최상층에 상기 선박의 통신 및 조종 기능을 갖춘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 거주구, 상기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의 하층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4 데크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 및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 사이에서의 이동은 상기 거주구(deck house) 내부의 이동 수단을 통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4 데크 거주구 및 상기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 사이에는 내부 이동 수단 및 외부 이동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이동 수단은 상기 제 4 데크 거주구 및 상기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사이에 설치된 사다리(lad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이동 수단은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에서의 원격에 의한 출입 차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를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는 상기 선박의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에 포함된 스커틀(scuttle) 또는 창문(windo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탄문은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의하면, 다층 구조의 복수개의 데크(deck)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에 있어서, 공간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문을 구비하여 상기 방탄문에 의하여만 외부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방탄문을 원격으로 폐문(close)함으로써 상기 선박의 거주구가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탄문은 상기 거주구의 저층 데크 거주구상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방탄문의 원격에 의한 폐문은 상기 선박을 조종할 수 있는 상기 저층 데크 거주구의 상층에 위치한 상층 데크 거주구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층 데크 거주구 및 상기 상층 데크 거주구 사이에서의 이동은 상기 거주구(deck house) 내부의 이동 수단을 통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이동 수단은 상기 상층 데크 거주구에서의 원격에 의한 출입 차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의하면, 해적의 선상 난입시에도 선박의 조종성을 유지하여 위험 지역을 벗어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 수행이 가능하고, 구조 신청등을 위한 별도의 전자 장비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의하면, 선박의 선원들이 생활하는 거주구 전체가 요새화 됨으로써 선원들이 별도의 공간으로 피신할 필요가 없고, 또한 선원들의 원활한 식량 공급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는 방법 중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서 메인 데크 거주구 구조(main deck structure)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계에 공지 및 주지된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기술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내용을 기초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는 해상에서 운항되는 선박을 위한 것이나 그 명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상을 운항하는 선원들이 생활하는 거주구가 설치된 모든 해상 운송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의 "00 데크(deck) 거주구"라 함은 거주구에서 서로 데크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선박(100)의 선미에 구축된 거주구(200)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선박의 거주구(200)는 다층 구조의 복수개의 데크(deck) 거주구를 구비하고, 각 데크 거주구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계단등의 내부이동 수단과 inclined ladder와 같은 외부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거주구 요새화 구조에서는 메인 데크 거주구로부터 상층의 일부 데크 거주구(220)에는 inclined ladder와 같은 외부 이동수단(traffic)을 설치하지 않고, 단지 방탄문의 출입문만을 설치함으로써 해적 출현시 일부 데크 거주구(220)의 방탄문을 폐문함으로써 거주구 전체가 요새화가 될 수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선박에서의 한층 데크 거주구의 높이가 약 3.2m 정도이므로 메인 데크 거주구로부터 상층으로 3개의 데크 거주구에 대하여 외부 이동수단이 없이 방탄문만 폐쇄함으로써 전체 약 10m 미터 높이의 성채 유사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거주구 전체가 요새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문을 구비하고, 방탄문에 의하여만 외부 출입이 가능한 제 1 데크(deck)거주구(220) 및 제 1 데크 거주구(220)의 상층(upper floor)에 위치하고, 선박의 조종할 수 있는 제 2 데크(deck) 거주구(210)를 포함하고, 방탄문을 제 2 데크 거주구에서 원격으로 폐문(close)함으로써 선박의 거주구가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 1 데크 거주구(220) 및 제 2 데크 거주구(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크 거주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 에서는 제 1 데크 거주구(220)는 메인 데크 거주구로부터 상층 3개의 데크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이고, 제 2 데크 거주구(210)는 제 1 데크 거주구(220)의 상층에 위치하고, 5개의 데크 거주구를 포함하고 가장 상층에 선박의 조종과 통신 기능을 갖춘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거주구(2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로의 이동수단이 오로지 방탄문만 존재하는 제 1 데크 거주구(220) 및 제 2 데크 거주구(210) 사이에서의 이동은 거주구(deck house) 내부의 이동 수단을 통하여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데크 거주구에서 외부로의 유일한 출입 수단인 방탄문과 제 1 데크 거주구 및 제 2 데크 거주구 사이의 내부 이동 수단(예,엘리베이터)은 제 2 데크 거주구에서 원격에 의한 출입 차단이 가능하다. 즉, 제 2 데크 거주구의 네이게이션 데크 거주구에서 원격 조정에 의하여 방탄문과 내부 이동수단이 차단됨으로써 메인 데크 거주구로부터 가장 상층의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230)까지의 거주구 전체가 요새화되어 외부로부터의 진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2에서의 거주구 구조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거주구가 메인 데크 거주구(310) 및 A deck 거주구(320), B deck 거주구(330), C deck 거주구(340), D deck 거주구(350), 최상층에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를 포함한다.
A deck 거주구(320)는 식당으로 이용될 수 있고, B deck 거주구(330)는 의료실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각 deck 거주구의 기능 및 위치는 선주의 성향이나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고정된것은 아니다. 다만, 거주구의 최상층에 선박의 조종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가 위치하는 것을 대체적으로 공통적인 사항이다.
거주구의 저층에 위치한 제 1 데크 거주구(220)는 메인 deck 거주구, A deck 거주구(320) 및 B deck 거주구(330)를 포함하는 것으로,외부로의 이동 수단이 방탄문(370)만 존재한다.
방탄문(370)은 메인 deck 거주구의 공간상에 설치되며 , A deck 거주구(320) 및 B deck 거주구(330)에는 외부로의 이동 수단이 없는 것이다.
즉, 제 2 데크 거주구(210)구역에 존재하는 inclined ladder(360-1,360-2,360-3)과 같은 외부 이동 수단이 없이 방탄문에 의한 외부출입만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3 에서 제 1 데크 거주구(220) 상층(upper floor)에 위치하고, 제 2 데크 거주구(deck)(210)는 C deck 거주구(340), D deck 거주구(350), 최상층에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 거주구는 최상층에 위치하며, 선박(100)의 통신 및 조종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 의하면 메인 deck 거주구, A deck 거주구(320) 및 B deck 거주구(330)를 포함하는 제 1 데크 거주구(220)는 방탄문이 폐쇄된 경우에 제 1 데크 거주구(220) 및 제 2 데크 거주구(210) 사이에서의 이동은 거주구(deck house) 내부의 이동 수단을 통하여만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이동 수단은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230)에서 원격으로 출입 차단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일 수 있다.
C deck 거주구(340), D deck 거주구(350), 최상층에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를 포함하는 제 2 데크 거주구사이의 이동은 내부 이동 수단 및 외부 이동 수단을 갖추고 있다.
즉, 메인 데크 거주구로부터 상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크 거주구를 방탄문(370)을 폐쇄하여 성채화함으로써 요새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위쪽에서의 외부 이동 수단을 이용한 선원들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제 2 데크 거주구에서의 외부 이동 수단은 C deck 거주구(340), D deck 거주구(350), 최상층에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에 설치된 inclined 사다리(ladder)(360-1,360-2,360-3)를 일 실시예로 볼 수 있다.
inclined ladder(360-1)은 C deck 거주구(340)와 D deck 거주구(350)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이동 수단의 예이고, inclined ladder(360-2)은 D deck 거주구(350)와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이동 수단의 예이며, inclined ladder(360-3)은 C deck 거주구(340)와 네비게이션 deck 거주구(230)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이동 수단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내부 이동 수단의 예로서, 엘리베이터(도 4의 420) 또는 내부 이동 계단(430)을 일 예로 들수 있고, 엘리베이터(420) 또는 내부 이동 계단(430)은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거주구(230)에서의 원격 조정에 의하여 셧 다운(shut down) 또는 차단하여, 거주구 전체에 대하여 외부에서의 침입이 불가능한 성채로 요새화(citadel)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엘리베이터는 선박의 메인 데크 거주구(310)에 정지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shut down)함으로써 선상 하부에서 선박의 거주구로 해적들이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을 두꺼운 구조로 설치하거나 방탄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바닥 해체를 통한 해적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내부 이동 계단(430) 역시 원격으로 차단함으로써 평상시에서는 선원들의 이동을 위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하다가 해적 출몰등의 위급 상황(emergency situation)에서는 차단되는 것이다.
거주구의 요새화는 외부와 연결되는 방탄문(410,410-1)의 폐쇄, 메인데크 거주구 하부에서 진입 경로(엘리베이터(420. 내부 이동 계단(430))의 폐쇄를 통하여 메인데크 거주구로의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은 없다. 결과적으로 거주구로의 해적 진입은 완벽히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는 메인 데크 거주구(310), A 데크 거주구(320), B 데크 거주구(330)등의 저층 데크 거주구에는 상층 데크 거주구(C데크 거주구(340), D데크 거주구(350),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230))로의 외부 이동을 위한 외부 사다리(inclined ladder)(360-1,360-2 및 360-3)등을 갖추지 않음으로써 저층 데크 거주구 전체가 성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층 데크 거주구의 방탄문의 폐쇄로 인하여 저층 데크 거주구 전체가 약 10m 이상의 진입 불가능한 성채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선상 하부에서 거주구로의 내부 진입 수단도 모두 차단됨으로써 거주구가 용이하게 요새화(citadel)가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에서 메인 데크 거주구 구조(main deck structure)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거주구 요새화 구조에서 저층 데크 거주구에 속하는 한 데크 거주구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예로 메인 데크 거주구로 가정하는 경우에 외부로의 이동 수단은 선박의 포트(port)와 스타보트(starboard)에 위치한 방탄문(410,410-1)에 의하며, 방탄문이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에서 원격으로 폐쇄된 경우에 외부에서 거주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경로는 없게 된다.
도 4의 메인 데크 거주구에는 여러가지 개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의 일 예로는 선박(100)의 각 데크 거주구에 포함된 스커틀(scuttle) 또는 창문(window)(440)일 수 있다.
각 데크 거주구에 포함된 개구(440)는 선원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커버될 수 있고, 커버를 위한 두꺼운 철판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창문(window) 안쪽에 설치된 방탄 철판등을 구비하고 해적의 선상 난입시에 외부로의 출입을 허용하는 방탄문(410.410-1)이 원격에 의해 빠르게 폐쇄되고 나면, 선원들이 창문의 커버를 위해 방탄 철탄등을 인위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창문(window)등과 같은 방탄 철판에 의해 커버는 요새화를 위한 경제적 측면에서 인위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외부 출입문의 방탄문(410,410-1)과 같이 원격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방탄 철판의 일 실시예로 선실 내부에 위치한 steel dead light cover 또는 sliding cov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요새화에 의하면 종래의 식료품 저장고와 같은 협소한 공간을 통한 요새화방법과는 다르게 선원들이 평상시 생활하는 거주구 전체 공간이 간단하게 요새화됨으로써 선박의 조종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선원들이 평상시와 동일하게 생활 공간을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즉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거주구 데크 거주구 210 : 제 2 데크 거주구(상층 데크 거주구)
220 : 제 1 데크 거주구(하층 데크 거주구) 230 :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
410 : 방탄문 440 : 창문(scuttle or window)

Claims (14)

  1. 다층 구조의 복수개의 데크(deck)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거주구에 있어서,
    공간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문을 구비하고, 상기 방탄문에 의하여만 외부 출입이 가능한 제 1 데크(deck) 거주구; 및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의 상층(upper floor)에 위치하고, 상기 선박을 조종할 수 있는 제 2 데크(deck)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는
    상기 선박의 메인 데크 거주구, 상기 메인 데크 거주구의 상층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3 데크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는
    최상층에 상기 선박의 통신 및 조종 기능을 갖춘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 거주구, 상기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의 하층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4 데크 거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 및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 사이에서의 이동은 상기 거주구(deck house) 내부의 이동 수단을 통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 4 데크 거주구 및 상기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 사이에는 내부 이동 수단 및 외부 이동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이동 수단은 상기 제 4 데크 거주구 및 상기 네비게이션 데크 거주구사이에 설치된 사다리(lad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7.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이동 수단은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에서의 원격에 의한 출입 차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를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선박의 상기 제 1 데크 거주구에 포함된 스커틀(scuttle) 또는 창문(wind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방탄문은 상기 제 2 데크 거주구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11. 다층 구조의 복수개의 데크(deck)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에 있어서,
    공간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탄문을 구비하여 상기 방탄문에 의하여만 외부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방탄문을 원격으로 폐문(close)함으로써 상기 선박의 거주구가 외부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방탄문은 상기 거주구의 저층 데크 거주구상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방탄문의 원격에 의한 폐문은 상기 선박을 조종할 수 있는 상기 저층 데크 거주구의 상층에 위치한 상층 데크 거주구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13.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저층 데크 거주구 및 상기 상층 데크 거주구 사이에서의 이동은 상기 거주구(deck house) 내부의 이동 수단을 통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이동 수단은 상기 상층 데크 거주구에서의 원격에 의한 출입 차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거주구(deck house)의 요새화 구조.
KR1020120078678A 2012-07-19 2012-07-19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KR101408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78A KR101408353B1 (ko) 2012-07-19 2012-07-19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78A KR101408353B1 (ko) 2012-07-19 2012-07-19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52A true KR20140013152A (ko) 2014-02-05
KR101408353B1 KR101408353B1 (ko) 2014-06-19

Family

ID=5026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678A KR101408353B1 (ko) 2012-07-19 2012-07-19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156B1 (ko) 2017-06-09 202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선의 선미 측 진동 및 응력 감소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1699B2 (ja) * 2004-12-28 2011-07-13 カヤバ システム マシナリー株式会社 船内扉の開閉システム
KR20110073865A (ko) * 2009-12-24 2011-06-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 항해조종실을 가지는 시추선
KR101225151B1 (ko) * 2010-08-31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요새화 된 식료품 저장고를 구비하는 선박
KR101271139B1 (ko) * 2010-10-12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모듈형 거주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353B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0970A (ko)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시스템
CN107458539B (zh) 船舶防海盗安全舱室及防海盗船舶
CN102837809B (zh) 一种国际航行防海盗船舶及防御方法
KR101271139B1 (ko) 선박의 모듈형 거주구
KR20160094905A (ko) 비상용 줄사다리를 구비한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KR20140060914A (ko)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08353B1 (ko) 선박 거주구의 요새화 구조
KR101069915B1 (ko)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박 거주구의 외부 통행로
KR20120127943A (ko)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
CN202754129U (zh) 一种国际航行防海盗船舶
KR20130011211A (ko) 선박의 복층형 선원대피처
KR101267995B1 (ko)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JP2012206672A (ja) 船舶の侵入防止構造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KR102065997B1 (ko) 선박의 대피 설비와 이의 운용 방법
KR20140004028U (ko) 해적 침입 방지를 위한 거주구의 통행로 구조
KR101021522B1 (ko) 선박 데크 하우스의 통행로 배치구조
KR101452024B1 (ko) 유람선
KR101732496B1 (ko) 건습식 하이브리드 잠수정
JP3401562B2 (ja) 双胴式水中観光船
KR101271137B1 (ko) 선박의 데크하우스 배치구조
KR20090037545A (ko) 선박의 분리형 데크하우스
KR101639474B1 (ko) 안전한 비상탈출구조를 갖는 선박
KR101616305B1 (ko)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방법
KR101201353B1 (ko) 선박의 타워형 데크하우스용 브리지윙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