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13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13A
KR20160058713A KR1020150160968A KR20150160968A KR20160058713A KR 20160058713 A KR20160058713 A KR 20160058713A KR 1020150160968 A KR1020150160968 A KR 1020150160968A KR 20150160968 A KR20150160968 A KR 20150160968A KR 20160058713 A KR20160058713 A KR 2016005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gulating
contact
housing
terminal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821B1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히데토 나카무라
도모나리 이토우
다카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판형의 레버에 의해 수측 하우징과 암측 하우징을 감합(嵌合)하는 레버식 커넥터에서, 감합 과정에서의 양 하우징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형 감합부(13)는, 단자 수용부(10)를 사이에 두고 벽(壁)형 수용부(16)와 반대측에 배치된 벽형 규제부(20)를 갖고, 후드부(41)는, 벽형 규제부(20)를 따르도록 배치된 규제벽부(44)와, 벽형 수용부(16)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규제벽부(44)와 대향하는 대향벽부(45)를 가지며, 규제벽부(44)의 내면에는 규제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3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대향벽부(45)의 외면(상면)이 벽형 수용부(16)와 비접촉의 상태에서,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와 벽형 규제부(20)의 내면이 접촉하고,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와 규제 돌출부(48)가 접촉함으로써, 암측 하우징(F)과 수측 하우징(M) 사이에서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후드부를 갖는 수측 하우징과, 후드부에 감입(嵌入)되는 단자 수용부를 갖는 암측 하우징을,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감합(嵌合)하는 레버식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14142호 공보
이 레버식 커넥터는, 레버가 단일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단자 수용부의 외벽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 하우징의 둘레면들 사이에는, 치수 공차를 고려하여,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레버의 캠 홈과 후드부의 캠 종동자(cam follower)의 결합 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양 하우징의 자세가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양 하우징의 기울어짐이 커지면, 수측 하우징의 단자 금구와 암측 하우징의 단자 금구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도 커져, 결과적으로, 감합 저항이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단일판형의 레버에 의해 수측 하우징과 암측 하우징을 감합하는 레버식 커넥터에서, 감합 과정에서의 양 하우징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와, 상기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角筒)형의 통형 감합부를 구비한 암측 하우징과,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는 벽(壁)형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대략 단일판형의 레버와,
대략 각통형의 후드부를 갖는 수측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의 외면에 형성된 캠 종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통형 감합부 사이의 감합 공간에 상기 후드부를 얕게 수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캠 홈의 입구에 진입시키면,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이 초기 상태가 되고,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 홈과 상기 캠 종동자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이 감합되는 레버식 커넥터로서,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벽형 수용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벽형 규제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규제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규제벽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수용부를 따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규제벽부와 대향하는 대향벽부와,
상기 규제벽부의 내면에 형성된 규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가 회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대향벽부의 외면이 상기 벽형 수용부와 비접촉의 상태에서, 상기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外緣部)와 상기 벽형 규제부의 내면과의 접촉, 및 상기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와 상기 규제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 사이에서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통형 감합부의 내주면과 후드부의 외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고, 이 클리어런스에 의해 양 하우징 사이에서 자세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클리어런스에 기인하는 양 하우징 사이의 자세의 기울어짐은, 통형 감합부의 벽형 수용부와 후드부의 대향벽부가 접촉하고, 또한 통형 감합부의 벽형 규제부와 후드부의 규제벽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규제벽부의 내면에 규제 돌출부를 형성하고, 대향벽부의 외면이 벽형 수용부와 비접촉의 상태에서,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와 규제 돌출부를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양 하우징 사이에서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암측 하우징의 정면도.
도 2는 암측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3은 수측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수측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5는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고 양 하우징의 감합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레버의 회동이 개시되고 양 하우징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양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레버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양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1)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규제 돌출부가,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의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수용부와 규제 돌출부 사이의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이 적어진다.
(2)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와 상기 수측 하우징에 설치한 수형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이전에, 상기 단자 수용부의 상기 선단 외연부가 상기 규제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암형 단자 금구와 수형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은, 양 하우징 사이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질수록 증대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암형 단자 금구와 수형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이전에, 양 하우징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하였다. 이에 의해, 양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수측 하우징에는, 상기 암측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탭(tab)의 돌출단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수형 단자 금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수용부의 상기 선단 외연부가 상기 규제 돌출부에 접촉할 때에, 돌출단의 위치가 상기 암측 하우징에 가까운 측의 상기 탭이, 상기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에 대해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또한 돌출단의 위치가 상기 암측 하우징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탭이, 상기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와 비접촉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의 최대값을 저감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와 상기 후드부의 내주 사이를 밀봉하는 링형의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후드부를 직경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돌출부가 위치 결정 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 돌출부와는 별도로 전용의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면, 형상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는, 2개의 암측 하우징(F)과 1개의 수측 하우징(M)을, 각 암측 하우징(F)에 설치한 레버(30)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감합하는 것이다. 한편, 2개의 암측 하우징(F)은 좌우 대칭의 형태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암측 하우징(F)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쪽의 암측 하우징(F)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은,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난 방향을, 그대로 상방, 하방이라고 정의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측 하우징(F)은, 블록 형상을 이루는 단자 수용부(10)와, 단자 수용부(10)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형의 통형 감합부(13)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단자 수용부(10)의 전단면과 통형 감합부(13)의 전단은 동일한 위치에 있다. 단자 수용부(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11)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1) 내에는, 각각, 후방으로부터 암형 단자 금구(12)가 삽입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서, 모든 암형 단자 금구(12)의 전단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로 맞춰져 있다.
단자 수용부(10)와 통형 감합부(13)는, 그 후단부(도 2,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우측의 단부) 근처에서 연결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0)의 외주와 통형 감합부(13)의 내주 사이에는, 암측 하우징(F)의 전면(前面)(도 2,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좌측의 면)으로 개방된 대략 각통형의 감합 공간(14)이 구성되어 있다. 감합 공간(14)의 후단부(안쪽 단부)에는, 단자 수용부(10)의 외주에 밀착된 형태의 링 형상을 이루는 시일 부재(15)가 부착되어 있다.
통형 감합부(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벽부가 되는 벽형 수용부(16)와, 하벽부가 되는 벽형 규제부(20)와, 좌우 한 쌍의 벽형 연결부(21)에 의해 대략 각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형 수용부(16) 내에는, 암측 하우징(F)의 후단면으로 개방된 수용 공간(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7) 내에는, 레버(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8)이, 축선을 상하 방향(양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형 수용부(16)의 전면벽에는, 후술하는 캠 종동자(47)를 수용 공간(17)에 진입시키기 위한 진입용 개구부(19)가 개구되어 있다. 벽형 규제부(20)는, 단자 수용부(10)를 사이에 두고 벽형 수용부(16)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 양 벽형 연결부(21)는, 벽형 수용부(16)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와, 벽형 규제부(20)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다.
레버(30)는, 전체로서 대략 수평의 단일판 형상을 이룬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에는, 베어링 구멍(31)과 캠 홈(32)과 조작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구멍(31)은, 레버(30)를 상하 방향(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형태이다. 캠 홈(32)은, 그 입구(32E)를 레버(30)의 외주 가장자리로 개구시키고 있고, 베어링 구멍(3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경로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3)는, 레버(30)의 외주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돌출시킨 형태이다.
레버(30) 중 베어링 구멍(31)과 캠 홈(32)을 포함하는 영역은, 수용 공간(17)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구멍(31)이 지지축(18)에 감합되어 있다. 레버(30)는, 지지축(18) 및 베어링 구멍(31)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위치(도 8을 참조)와, 감합 위치(도 9를 참조) 사이에서 요동(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30)를 요동시킬 때에는, 수용 공간(17)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33)를 잡고 조작을 행한다. 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 홈(32)의 입구(32E)가, 전방[수측 하우징(M)측]을 향해 개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하우징(M)은, 하나의 단자 유지부(40)와 좌우 대칭의 한 쌍의 후드부(41)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자 유지부(40)는, 양 하우징(F, M)이 감합된 상태에서, 단자 수용부(10)의 전단면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각 후드부(41)는, 대략 각통 형상을 이루며, 단자 수용부(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전방(도 4 내지 도 7에서의 우측)을 향해 연장된 형태이다. 단자 유지부(40)에는, 복수 개의 수형 단자 금구(42L, 42S)가 압입 등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수형 단자 금구(42L, 42S)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을 이루며, 측방에서 보아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형 단자 금구(42L, 42S)의 하향의 기단부는, 회로 기판(도시 생략)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수형 단자 금구(42L, 42S)의 선단부는, 단자 유지부(40)로부터 전방으로[즉, 암측 하우징(F)을 향해) 캔틸레버형으로 돌출되고 후드부(41)로 포위된 탭(43L, 43S)으로 되어 있다. 후드부(41) 내에서, 수형 단자 금구(42L, 42S)는 긴 것과 짧은 것의 2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긴 수형 단자 금구(42L)는, 탭(43L)의 돌출단(전단)의 위치가 비교적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데 비해, 짧은 수형 단자 금구(42S)는, 탭(43S)의 돌출단(전단)의 위치가, 긴 수형 단자 금구(42L)의 탭(43L)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장단 양 탭(43L, 43S)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는 과정에서, 탭들(43L, 43S)과 암형 단자 금구(12)의 접촉 개시의 타이밍이 상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41)는, 하벽부가 되는 규제벽부(44)와, 상벽부가 되는 대향벽부(45)와, 좌우 한 쌍의 측벽부(46)에 의해 대략 각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벽부(45)는, 상하 방향에서 규제벽부(4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벽부(45)의 외면(상면)에는, 축선을 상하 방향으로 향하게 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캠 종동자(47)가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F, M)을 감합할 때에는, 먼저, 레버(30)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시키고, 감합 공간(14) 내에 후드부(41)를 얕게 진입시킨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종동자(47)가 캠 홈(32)의 입구(32E)에 진입하여, 양 하우징(F, M)이 초기 상태가 된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30)를 회동시키면, 캠 홈(32)과 캠 종동자(47)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서로 끌어 당겨져,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이 진행된다. 이 동안에, 감합 공간(14)에 대한 후드부(41)의 진입량이 증대되어, 수형 단자 금구(42L, 42S)의 탭(43L, 43S)이, 단자 수용부(10) 내에 진입하여 암형 단자 금구(12)와의 접촉을 개시한다. 그리고, 레버(30)가 감합 위치에 도달하면,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이 완료되고, 암형 단자 금구(12)와 수형 단자 금구(42L, 42S)가 도통(導通)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양 하우징(F, M)의 감합에 따라 후드부(41)가 감합 공간(14)에 진입해 가는 과정, 및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어 후드부(41)의 진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규제벽부(44)가 벽형 규제부(20)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규제벽부(44)의 외면(하면)과 벽형 규제부(20)의 내면(상면)이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후드부(41)가 감합 공간(14)에 진입한 상태, 및 진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대향벽부(45)가 벽형 수용부(16)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대향벽부(45)의 외면(상면)과 벽형 수용부(16)의 내면(하면)이 대향한다.
통형 감합부(13)의 내주면과 후드부(41)의 외주면 사이에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는 과정에서는, 양 하우징(F, M)[통형 감합부(13)와 후드부(41)]의 상면부에서 캠 홈(32)과 캠 종동자(47)의 감합 부분이 선행하고, 양 하우징(F, M)의 하측 부분이 추종하는 형태가 된다. 그 때문에,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는, 양 하우징(F, M)이, 캠 홈(32)과 캠 종동자(47)와의 접촉 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각 하우징(F, M)의 전단면을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게 하도록 자세를 기울이려고 한다.
이때, 상기 클리어런스에 기인하는 양 하우징(F, M) 사이의 자세의 기울어짐은, 벽형 수용부(16)의 내면 전단 가장자리(내면 선단 가장자리)와 대향벽부(45)의 외면이 접촉하고, 또한 벽형 규제부(20)의 내면과 규제벽부(44)의 외면 전단 가장자리(외면 선단 가장자리)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가 된다.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커지면, 수형 단자 금구(42L, 42S)와 암형 단자 금구(12)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도 커지고, 결과적으로, 양 하우징(F, M) 사이에서의 감합 저항이 커진다. 그래서, 감합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규제벽부(44)에 복수의 규제 돌출부(48)를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규제 돌출부(48)는, 폭 방향[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과 규제 돌출부(48)의 돌출 방향의 양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병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규제 돌출부(48)는, 규제벽부(44)의 내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규제 돌출부(48)의 돌출 방향은, 벽형 규제부(20)와의 대향 방향과 반대의 방향, 즉, 단자 수용부(10)의 외면(하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규제 돌출부(48)의 형성 영역은, 규제벽부(44)의 전단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규제벽부(44)의 후단에 이르는 범위이며, 각 규제 돌출부(48)에서 공통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양 하우징(F, M)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가, 규제 돌출부(48)의 전단에 접근한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레버(30)의 회동을 개시하면, 회동의 개시 직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하우징(F, M)이 그 전단면끼리를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도록 자세를 기울여,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가 벽형 규제부(20)의 내면에 접촉하고,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가, 규제 돌출부(48)의 전단부에 접촉한다.
이때, 대향벽부(45)의 외면(상면)은 벽형 수용부(16)의 선단 내연부(內緣部)(16E)와 접촉하지 않고(도 6에서는 언뜻 보면 접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접촉은 하고 있지 않음), 대향벽부(45)와 벽형 수용부(16) 사이에는, 치수 공차를 고려한 클리어런스가 남아 있다. 즉,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은, 대향벽부(45)의 외면과 벽형 수용부(16)의 선단 내연부(16E)가 접촉하는 상태보다 작게 억제되어 있다. 또한, 이때, 모든 탭(43L, 43S)은, 암형 단자 금구(12)와 비접촉이다. 즉, 긴 탭(43L)은, 암형 단자 금구(12)에 대해 접근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나, 짧은 탭(43S)은, 암형 단자 금구(12)에 대해 크게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레버(30)의 회동과 양 하우징(F, M)의 감합이 진행되면,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가 벽형 규제부(20)의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가 규제 돌출부(48)의 상면을 미끄럼 접촉해 간다. 이 동안에, 벽형 규제부(20)의 상면에서의 규제벽부(44)의 미끄럼 접촉 영역은, 양 하우징(F, M)의 감합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높아지기 때문에, 암측 하우징(F)은, 수측 하우징(M)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한편, 단자 수용부(10)에서의 규제 돌출부(48)에 대한 미끄럼 접촉 부위는, 선단 외연부(10E)인 채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 하우징(F, M)의 감합이 진행됨에 따라, 암측 하우징(F)의 자세가, 수측 하우징(M)에 대해 기울어짐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 그리고,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면, 양 하우징(F, M) 사이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최소가 된다.
또한,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는,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가 규제 돌출부(48)에 접촉한 후에, 긴 탭(43L)이 암형 단자 금구(12)와의 접촉을 개시하고, 그 후, 짧은 탭(43S)이 암형 단자 금구(12)와의 접촉을 개시한다. 이 후, 긴 탭(43L)과 암형 단자 금구(12)와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고, 계속해서, 짧은 탭(43S)과 암형 단자 금구(12)와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된다. 이 동안에,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 돌출부(48)에 의해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작게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탭(43L, 43S)[수형 단자 금구(42L, 42S)]과 암형 단자 금구(12) 사이의 접촉 저항도 작게 억제된다.
양 하우징(F, M)이 감합된 상태에서는, 단자 수용부(10)를 포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시일 부재(15)가, 단자 수용부(10)의 외주면과 후드부(41)의 내주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때, 시일 부재(15)의 탄성 휘어짐량이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면, 시일 부재(15)에 의한 시일 성능이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후드부(41)의 대향벽부(45)의 내면(하면)과, 좌우 양 측벽부(46)의 내면에, 위치 결정 돌출부(49)를 형성하고 있다.
위치 결정 돌출부(49)는, 규제 돌출부(48)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리브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 돌출부(49)의 형성 영역은, 규제 돌출부(48)와 동일한 범위이다. 양 하우징(F, M)이 감합된 상태에서는, 대향벽부(45)의 위치 결정 돌출부(49)와 규제벽부(44)의 규제 돌출부(48)가, 단자 수용부(10)의 전단부에 대해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양 하우징(F, M)이 감합된 상태에서는, 좌우 양 측벽부(46)의 위치 결정 돌출부(49)가, 단자 수용부(10)의 전단부에 대해 좌우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한다. 이들의 접촉 작용에 의해, 단자 수용부(10)[암측 하우징(F)]와 후드부(41)[수측 하우징(M)]가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이차원 방향(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15)의 탄성 휘어짐량이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화되기 때문에,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된 시일 성능이 발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는,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10)와, 단자 수용부(10)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형의 통형 감합부(13)를 구비한 암측 하우징(F)과, 캠 홈(32)이 형성되고, 통형 감합부(13)를 구성하는 벽형 수용부(16)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대략 단일판형의 레버(30)와, 대략 각통형의 후드부(41)를 갖는 수측 하우징(M)과, 후드부(41)의 외면에 형성된 캠 종동자(4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0)와 통형 감합부(13) 사이의 감합 공간(14)에 후드부(41)를 얕게 수용하고, 캠 종동자(47)를 캠 홈(32)의 입구(32E)에 진입시키면, 양 하우징(F, M)이 초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30)를 회동시키면, 캠 홈(32)과 캠 종동자(47)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F, M)이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레버식 커넥터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통형 감합부(13)의 내주면과 후드부(41)의 외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고, 이 클리어런스에 의해 양 하우징(F, M) 사이에서 자세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클리어런스에 기인하는 양 하우징(F, M) 사이의 자세의 기울어짐은, 벽형 수용부(16)와 대향벽부(45)가 접촉하고, 또한 벽형 규제부(20)와 규제벽부(44)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가 된다.
그래서, 감합 과정에서의 양 하우징(F, M)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레버식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10)를 사이에 두고 벽형 수용부(16)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통형 감합부(13)를 구성하는 벽형 규제부(20)와, 벽형 규제부(20)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후드부(41)를 구성하는 규제벽부(44)와, 벽형 수용부(16)를 따르도록 그리고 규제벽부(4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후드부(41)를 구성하는 대향벽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규제벽부(44)의 내면에는 규제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3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는, 대향벽부(45)의 외면이 벽형 수용부(16)와 비접촉(도 6에서는 언뜻 보면 접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접촉은 하고 있지 않음)의 상태에서, 규제벽부(44)의 선단 외연부(44E)와 벽형 규제부(20)의 내면을 접촉시키고,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와 규제 돌출부(48)를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접촉 형태로 함으로써, 양 하우징(F, M) 사이에서의 자세의 기울어짐을 억제 또는 규제할 수 있었다.
또한, 암형 단자 금구(12)와 수형 단자 금구(42L, 42S) 사이의 접촉 저항은, 양 하우징(F, M) 사이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질수록 증대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 암측 하우징(F)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12)와 수측 하우징(M)에 설치한 수형 단자 금구(42L, 42S)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이전에,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가 규제 돌출부(48)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암형 단자 금구(12)와 수형 단자 금구(42L, 42S)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이전에, 양 하우징(F, M)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양 단자 금구(12, 42L, 42S) 사이의 접촉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측 하우징(M)에는, 암측 하우징(F)을 향해 돌출되는 탭(43L, 43S)의 돌출단의 위치가 상이한 2종류(복수 종류)의 수형 단자 금구(42L, 42S)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 수용부(10)의 선단 외연부(10E)가 규제 돌출부(48)에 접촉할 때에, 돌출단의 위치가 암측 하우징(F)[암형 단자 금구(12)]에 가까운 긴 탭(43L)이, 암측 하우징(F)의 암형 단자 금구(12)에 대해 접근하여 대향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돌출단의 위치가, 긴 탭(43L)보다 암측 하우징(F)[암형 단자 금구(12)]으로부터 먼 짧은 탭(43S)은, 암형 단자 금구(12)와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암형 단자 금구(12)와 수형 단자 금구(42L, 42S) 사이의 접촉 저항의 최대값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돌출부(48)는, 양 하우징(F, M)의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양 하우징(F, M)의 감합 과정에서는, 단자 수용부(10)와 규제 돌출부(48) 사이의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이 적어진다.
또한, 레버식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10)의 외주와 후드부(41)의 내주 사이를 밀봉하는 링형의 시일 부재(15)를 구비하고 있고, 규제 돌출부(48)는, 양 하우징(F, M)이 감합된 상태에서 단자 수용부(10)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용부(10)와 후드부(41)를 직경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 돌출부(48)가 위치 결정 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 돌출부(48)와는 별도로 전용의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면, 형상의 간소화가 실현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규제 돌출부가, 폭 치수가 비교적 작은 리브형이지만, 규제 돌출부는, 폭 치수가 큰 형태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규제 돌출부의 폭 방향에서의 형성 범위는, 규제벽부의 전폭보다 좁은 영역이어도 좋고, 규제벽부의 전폭에 걸쳐 연속된 영역이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암형 단자 금구와 수형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이전에,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를 규제 돌출부에 접촉시켰으나, 암형 단자 금구와 수형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된 후에,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가 규제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암측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탭의 돌출단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수형 단자 금구를 설치하였으나, 복수의 수형 단자 금구는, 탭의 선단의 위치가 모두 맞춰진 1종류의 것이어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규제 돌출부가 위치 결정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나, 규제 돌출부와는 별도로 전용의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측 하우징이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나, 수측 하우징은 와이어 하니스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가 규제 돌출부에 접촉할 때에, 긴 탭이 암형 단자 금구에 대해 접근하여 대향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가 규제 돌출부에 접촉할 때에, 긴 탭이, 암형 단자 금구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F: 암측 하우징 M: 수측 하우징
10: 단자 수용부 10E: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
12: 암형 단자 금구 13: 통형 감합부
15: 시일 부재 16: 벽형 수용부
20: 벽형 규제부 30: 레버
32: 캠 홈 41: 후드부
42L, 42S: 수형 단자 금구 43L, 43S: 탭
44: 규제벽부 44E: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
45: 대향벽부 47: 캠 종동자
48: 규제 돌출부

Claims (5)

  1. 블록형의 단자 수용부와, 상기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각통(角筒)형의 통형 감합부(嵌合部)를 구비한 암측 하우징과,
    캠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는 벽(壁)형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단일판형의 레버와,
    각통형의 후드부를 갖는 수측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의 외면에 형성된 캠 종동자(cam follower)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통형 감합부 사이의 감합 공간에 상기 후드부를 얕게 수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캠 홈의 입구에 진입시키면,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이 초기 상태가 되고,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 홈과 상기 캠 종동자의 감합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이 감합되는 레버식 커넥터로서,
    상기 통형 감합부를 구성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벽형 수용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벽형 규제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규제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규제벽부와,
    상기 후드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형 수용부를 따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규제벽부와 대향하는 대향벽부와,
    상기 규제벽부의 내면에 형성된 규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가 회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대향벽부의 외면이 상기 벽형 수용부와 비접촉의 상태에서, 상기 규제벽부의 선단 외연부(外緣部)와 상기 벽형 규제부의 내면과의 접촉, 및 상기 단자 수용부의 선단 외연부와 상기 규제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 사이에서의 자세의 기울어짐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의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와 상기 수측 하우징에 설치한 수형 단자 금구 사이의 접촉 저항이 최대가 되기 이전에, 상기 단자 수용부의 상기 선단 외연부가 상기 규제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측 하우징에는, 상기 암측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탭(tab)의 돌출단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수형 단자 금구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 수용부의 상기 선단 외연부가 상기 규제 돌출부에 접촉할 때에, 돌출단의 위치가 상기 암측 하우징에 가까운 측의 상기 탭이, 상기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에 대해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또한 돌출단의 위치가 상기 암측 하우징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탭이, 상기 암측 하우징에 설치한 암형 단자 금구와 비접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와 상기 후드부의 내주 사이를 밀봉하는 링형의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암측 하우징과 상기 수측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후드부를 직경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50160968A 2014-11-17 2015-11-17 레버식 커넥터 KR101797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2388 2014-11-17
JP2014232388A JP2016096094A (ja) 2014-11-17 2014-11-17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13A true KR20160058713A (ko) 2016-05-25
KR101797821B1 KR101797821B1 (ko) 2017-11-14

Family

ID=5596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968A KR101797821B1 (ko) 2014-11-17 2015-11-17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53393B2 (ko)
JP (1) JP2016096094A (ko)
KR (1) KR101797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6095A (ja) * 2014-11-17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207414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228501A (ja) * 2016-06-24 2017-12-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79231B2 (ja) * 2018-03-06 2021-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2562B2 (ja) * 1999-06-14 2003-06-0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87737B2 (ja) * 2002-02-26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87736B2 (ja) * 2002-02-26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014142A (ja) 2002-06-03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5316306B2 (ja) * 2009-08-17 2013-10-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34501B2 (ja) * 2009-10-09 2014-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28211B2 (ja) * 2010-11-29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85597B2 (ja) * 2012-06-15 201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96095A (ja) * 2014-11-17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821B1 (ko) 2017-11-14
JP2016096094A (ja) 2016-05-26
US9553393B2 (en) 2017-01-24
CN105610007A (zh) 2016-05-25
US20160141789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21B1 (ko) 레버식 커넥터
JP2008130244A (ja) コネクタ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JP6548035B2 (ja) コネクタ
CN110892592A (zh) 用于电连接器的端子位置保证装置
JP2011040337A (ja) コネクタ
JP201112405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7009308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795166B1 (ko) 레버식 커넥터
JP2009104837A (ja) コネクタ
JP6025062B2 (ja) コネクタ
US985339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O2017159304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9133759A (ja) コネクタ
US9004932B2 (en) Connector having a sealing ring with projections positioned in recesses on an inner periphery of a tubular fitting
WO2017154530A1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1103484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164145A (ja) コネクタ
JP497350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24691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621693B2 (ja) コネクタ
JP2009259693A (ja) 防水コネクタ
JP2006120535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8113205A (ja) コネクタ
JP440752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