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684A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8684A KR20160058684A KR1020150154411A KR20150154411A KR20160058684A KR 20160058684 A KR20160058684 A KR 20160058684A KR 1020150154411 A KR1020150154411 A KR 1020150154411A KR 20150154411 A KR20150154411 A KR 20150154411A KR 20160058684 A KR20160058684 A KR 201600586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b
- cooling plate
- plate
- cooling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 H01M2/101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의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된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는,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전지 모듈내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전지의 용량 특성 저하를 방지하고, 전지 수명특성 및 전지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는,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전지 모듈내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전지의 용량 특성 저하를 방지하고, 전지 수명특성 및 전지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한 냉각 효과와 함께,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인접하는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상기 이차전지는 원통형, 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경우, 하나의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하여 복수 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대용량 이차 전지 어셈블리(이하 '전지모듈'이라 한다)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전지케이스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양, 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음극의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예컨대 각형 이차전지의 경우 전지케이스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 후,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각각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지모듈은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단위전지가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각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어야 한다.
전지 모듈의 열 방출 특성은 전지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전지의 충방전시 열 출입이 수반되며, 이때 발생하는 열량은 단위전지의 용량, 즉 스택킹된 단위전지의 수에 비례한다. 충방전시 발생한 열은 휴지기 동안에 방출되게 되는데, 두꺼운 전지일수록 방전시 발생한 열이 휴지기 동안에 충분히 방출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발생한 열이 전지 내에 누적될 경우, 전지내부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전지 성능이 저하시키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지 모듈이 전동 청소기, 전동 스쿠터 또는 자동차용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기 때문에, 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당한 온도까지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지모듈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냉각 플레이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냉각 효과와 함께,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인접하는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어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이 억제되는 등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및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형의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플레이트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된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방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이차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가 개재된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는,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전지 모듈내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전지의 용량 특성 저하를 방지하고, 전지 수명특성 및 전지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험예 1에서의 냉각 플레이트의 방열 효과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2에서의 냉각 플레이트의 사이클 특성 개선 효과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경우 네일(nail) 관통 실험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경우 네일(nail) 관통 실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험예 1에서의 냉각 플레이트의 방열 효과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2에서의 냉각 플레이트의 사이클 특성 개선 효과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경우 네일(nail) 관통 실험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경우 네일(nail) 관통 실험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냉각 플레이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20)는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로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내에 그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부(2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22)가 형성된 것이다. 또, 상기 냉각부(21)의 상부에는 이차전지 모듈내 냉각 플레이트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보강부(23)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냉각 플레이트는 단위전지들 사이에 개재되어 단위 전지의 부피 팽창 및 파손을 방지하고,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켜 단위전지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 냉각 플레이트로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의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가 사용되었으며, 전지 모듈내 공간의 여유 없이 단위전지 사이에 밀착되어 포함되었다. 이에 따라 네일 관통 실험시와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냉각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기게 되고, 이는 인접하는 단위전지를 변형시켜 쇼트가 발생하였다. 또, 충방전 동안에, 특히 고온에서의 충방전 동안에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이 충방전 사이클 사이의 휴지기(rest step) 동안에 충분히 냉각되지 못하고 누적되어 전지 용량의 퇴화를 가속화하여 수명 특성 및 전지 성능의 신뢰성을 저하시켰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네일 관통 실험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자극이 인가될 경우,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인접하는 단위전지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로서 쇼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냉각 플레이트(20) 내부에 빈 공간 형태의 냉각부(21)를 마련하고, 또, 상기 냉각부에 보강 리브(22)를 형성하여 요철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보강 효과와 함께 공간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전지의 안전성, 수명특성 그리고 전지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20)는 그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부(2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또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22)가 형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상기한 냉각부가 형성된 단일 구조체일 수도 있고, 또는 둘 이상의 판재가 상기한 냉각부가 형성되도록 대향 배치된 2층 이상의 구조체일 수도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2층 구조체일 경우,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 사이에 냉각 플레이트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제1판재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리브와, 제2판재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판재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2배 내지 0.5배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0.25배 내지 0.4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판재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제1리브는 0.1mm 내지 1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단위 냉각부내 0.1mm 내지 1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리브에 있어서, 단위 리브들 각각의 너비 및 이격 거리는 상기한 범위내에서 균일할 수도 있고, 불균일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리브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1배 내지 0.3배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5배 내지 0.25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리브에 있어서, 단위 리브들 각각의 높이는 상기한 범위내에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판재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제2리브는 0.1mm 내지 1mm 의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단위 냉각부내 0.1mm 내지 1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리브에 있어서, 단위 리브들 각각의 너비 및 이격 거리는 상기한 범위내에서 균일할 수도 있고, 불균일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2리브는 상기 냉각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1배 내지 0.3배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5배 내지 0.25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리브에 있어서, 단위 리브들 각각의 높이는 상기한 범위내에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리브는 상기한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질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리브는 상기한 범위 내에서 서로 맞대응하거나, 서로 엇갈려 위치할 수 있도록 동일한 이격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만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이격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리브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리브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각형, 반구형, 피라미드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형태가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리브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 내,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 사이에 복수 개의 상기 냉각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는 제1판재와 제2판재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맞닿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부는 0.1mm 내지 2mm의 너비, 보다 구체적으로 0.5mm 내지 1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단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리브의 단부와 제2리브의 단부가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05배 내지 0.15배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배 내지 0.14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거나 또는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각 단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각 단부가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05배 내지 0.1배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 0.06배 내지 0.08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중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2층 구조체의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부 내 돌출 형성된 보강 리브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가 2층 구조체일 경우,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판재(20a) 및 제2판재(20b)를 포함하고, 냉각 플레이트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냉각부(21)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21)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2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22)는 상기 제1판재(20a)에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제1리브(22a)와, 제2판재(20b)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리브(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판재(20a)와 제2판재(20b) 사이에 복수 개의 상기 냉각부(21)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21c)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21c)는 제1판재(20a)와 제2판재(20b)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제1판재(20a)와 제2판재(20b), 제1리브(22a), 제2리브(22b) 및 구획부(22c)의 구체적인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도 2에서 a1은 상기 제1판재(20a)의 두께를, b1은 상기 제2판재의 두께를, c1은 제1리브(22a)의 높이를, d1은 제2리브(22b)의 높이를, 그리고 e1은 상기 제1리브(22a) 말단부와 제2리브(22b) 말단부 사이의 간격(또는 이격 거리)를 나타내며, 그 구체적인 값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의 단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대향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의 단부가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05 내지 0.15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이격 거리(e1)을 두고 떨어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판재 및 제2판재의 두께(a1, b1),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높이(c1, d1), 그리고 제1리브말단과 제2리브말단의 이격 거리(e1)의 총 길이(a1+b1+c1+d1+e1)가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한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는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의 각 단부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거나 또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의 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의 단부가 서로 중첩될 경우, 그 중첩부의 높이(e2)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05 내지 0.1배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 0.06 내지 0.08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판재 및 제2판재의 두께(a2, b2) 및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높이(c2, d2)의 총 길이에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가 중접된 높이를 뺀 길이(a1+b1+c1+d1-e1)가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한다.
또, 상기 제1리브(22a)와 제2리브(22b)의 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판재 및 제2판재의 두께(a3, b3) 그리고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높이(c3, d3)의 총 길이(a3+b3+c3+d3)가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한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상기한 냉각부(21)의 상부에 이차전지 모듈내 냉각 플레이트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보강부(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냉각부(21)가 위치하는 면은 단위전지의 발열 면과 접하고, 보강부(22)는 상기 단위전지의 외측을 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23)는 사각 평판일 수 있으며, 상기 냉각부(21)의 상부에 냉각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냉각부와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된 후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구체적으로 평판상의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고, 또, 단위전지의 전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 플레이트는 전면이 단위전지의 일측 전면과 접하고, 일 측단은 상기 단위전지의 외측을 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 모듈로 공급된 냉각용 공기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 내 메쉬를 통해 유동되면서 냉각 플레이트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냉각시키게 된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로는 통상 냉각 플레이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구리, 은,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제1판재, 제2판재, 제1리브, 제2리브, 구획부, 및 보강부 역시 상기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의 두께는 1.5mm 내지 3m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7mm 내지 2mm일 수 있다.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70부피% 내지 90부피%의 개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의 개구율을 가질 때,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 방지 및 냉각 효율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차전지 모듈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 개재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100)은, 충방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전지(10)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단위전지(10) 사이에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20)가 개재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 내에 그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부(2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22)가 형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 모듈(100)은 복수 개의 단위전지가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결속 밴드(미도시)에 의해 조임, 모듈화되어 구성되는데, 이때 이차전지 모듈(100)은 각 단위전지(10)들의 사이에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이차전지 모듈(100)은, 바람직하게는 결속밴드의 조임시 단위전지(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엔딩 플레이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외부 케이스를 이루는 별도의 하우징(미도시)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된 냉각용 공기는 단위전지(10) 사이에 개재된 냉각 플레이트(20)를 지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이 교환되고, 교환된 공기는 하우징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이차전지 모듈(100)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10)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단위로서,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전지(10)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전지케이스, 한쪽 말단(예컨대,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말단(예컨대, 타단)은 상기 전지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의 전극리드와, 상기 전지케이스의 입구를 밀봉시킨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전지(10)에 있어서의 전지케이스는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일 수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주 면을 따라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가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전지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상,하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층과 이를 덮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압착성을 가져 실링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부층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Polyolepin Layer)과,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수분과 산소의 배리어층으로서 역할을 하는 금속박층(주로 알루미늄층이다)과, 보호층으로 작용하는 외부층(주로 나일론층이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막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CPP(Casted Polypropylene)가 있다.
또, 상기 실링부는 전지케이스의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가 접하는 외주면 부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을 상호 열 압착시켜 형성한다. 이때, 전극 리드가 안치되지 않은 외주면 부분은 상,하 라미네이트 시트가 동일한 수지층이므로, 직접적인 용융에 의해 균일한 밀봉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압착 공정은 전기열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120 내지 250℃ 하에서, 0.1MPa 내지 10MPa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전극 리드가 안치되는 전지케이스 상단부 외주 면에는, 전극 리드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 리드의 두께 및 전지케이스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 리드와의 사이에 절연 필름을 개재한 상태에서 열 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 상기 전극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된 스택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또,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권취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또,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된 단위 전극조립체가 복수 개 중첩되고, 각각의 중첩부는 분리필름이 개재되며, 상기 분리필름은 각각의 단위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상기 스택형 및 젤리-롤형 구조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82058호, 제2001-0082059호 및 제2001-008206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본 발명의 내용에 참조로서 합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음극판은 음극집전체, 및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음극활물질이 코팅된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음극판에 있어서, 음극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음극집전체는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음극집전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한 음극활물질 코팅부은 음극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비정질탄소 등의 탄소질 재료; Si, Al, Sn, Pb, Zn, Bi, In, Mg, Ga, Cd, Si합금, Sn합금 또는 Al합금 등 리튬과 합금화가 가능한 금속질 화합물; 또는 금속질 화합물과 탄소질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물; 또는 SiOx(0<x<2)과 같은 실리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금속 리튬 박막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는 음극활물질 입자들 간의 부착 및 음극활물질과 음극집전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또는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인더는 음극활물질 코팅부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탄소섬유 등의 탄소계 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전재는 음극활물질 코팅부 총 중량에 대하여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양극집전체, 및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양극활물질이 코팅된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양극판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양극집전체는 통상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양극집전체 표면 상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한 양극판에 있어서, 양극활물질 코팅부는 양극집전체 양면에 모두 코팅될 수도 있고, 양극집전체의 어느 일면에만 활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으나, 이차전지의 용량을 고려하면 양면에 모두 양극활물질이 코팅된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양극판은 이후 충방전 과정에서의 단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극판 평탄코팅부의 양 끝단, 즉, 양극판 평판코팅부의 시작부 및 말단부에 절연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연테이프는 앞서 음극판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탭은 레이저용접, 초음파용접, 저항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또 상기 양극 탭에는 절연테이프가 부착되어 전극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단위전지(10)는 전극조립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 및 상기 전극 탭들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 리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극 단자는 단위전지의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전극 단자는 상기 전지모듈의 한 변 또는 두 변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은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또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상에 겔 폴리머 전해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겔 폴리머 중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분리막 내 포함되는 기공은 0.01㎛ 내지 10㎛의 기공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분리막은 5㎛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분리막은 분리막이 열에 의해 수축되더라도 음극 전극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음극판의 종료부보다 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리막은 음극 종료부로부터 5mm 이상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전지 팩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대형 디바이스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평판형 Al 냉각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제1판재의 두께(a1): 0.5mm, 제2판재의 두께(b1): 0.5mm, 제1리브의 높이(c1): 0.3mm, 제2리브의 높이(d1): 0.3mm, 제1리브 말단과 제2리브 말단의 이격 거리(e1): 0.2mm, 제1 및 제2리브의 너비: 각각 0.2mm, 제1리브와 제2리브 사이의 이격 거리: 0.2mm, 구획부의 너비: 0.5mm,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1.7mm, 개구율: 80부피%).
드라이 룸에서 바이셀(bicell)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셀 외장재에 각각의 전극조립체에서의 전극단자가 일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수납하고, 1M LiPF6 카보네이트계 전해액을 주입한 후, 셀 외장재의 외주면을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29개의 파우치형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Al 재질로 된 모듈케이스에 상기에서 준비한 냉각 플레이트를 모듈케이스 내부가 29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29개의 단위전지를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밀착되도록 각 공간에 하나씩 수납하였다. 이때 29개의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들은 전지모듈의 한 면에서만 돌출되도록 같은 방향으로 수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된 단위전지간 그리고 단위전지와 외부단자와의 연결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단자 어셈블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단자 어셈블리에는 모든 단위전지의 전극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는 단자 어셈블리에 이미 구성되어 있는 버스 바와의 체결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버스 바는 단자 어셈블리의 외부로 돌출된 입출력 단자와도 기 연결되어 있다. 그 후 단자 어셈블리를 상기 전극단자들이 형성된 부분에 결합한 다음, 케이스 바디와 용접하여 모듈케이스가 완전 밀봉된 구조의 전지모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냉각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의 냉각 플레이트 대신에 평판형 알루미늄 냉각 플레이트(두께: 1.7mm)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방열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의 냉각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지모듈내 방열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냉각 플레이트 각각 개재하여 바이셀(bicell) 구조를 갖는 29개의 단위 전지들을 스택킹하여 전지모듈(29stack 42Ah급 전지)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전지 모듈에 대해 2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에서 4.2V/38mA까지 1C로 충전한 다음, 정전류(CC) 조건에서 3.0V까지 1C로 방전하였다. 방전 C-rate를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온도 상승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방전 C-rate | 비교예 2 | 실시예 | ||
온도상승(℃) | 30분 휴지기 후 온도 감소(℃) | 온도상승(℃) | 30분 휴지기 후 온도 감소(℃) | |
0.5C | 3 | -3 | 2 | -2 |
1.0C | 7 | -7 | 3 | -3 |
2.0C | 13 | -11 | 6 | -5 |
실험결과, 비교예 2의 경우 2C로 방전할 때 약 13℃ 상승하였으며, 상승된 열은 휴지기 동안에 완전히 냉각되지 못하고 누적되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의 경우, 상승한 온도가 휴기기 동안에 거의 완전히 냉각되었다. 이로부터 실시예의 냉각 플레이트의 경우 방전시 발생한 열이 거의 누적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의 냉각 플레이트에 대한 방열 효과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 1, 2 중 냉각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전지모듈에서의 온도 상승이 가장 켰다. 또, 단순 평판형의 냉각플레이트를 사용한 비교예 2의 전지모듈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방열 효과가 상승하여 온도의 증가가 적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전지 모듈은 비교예 2에 비해 더욱 현저히 개선된 방열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전지 수명 특성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의 냉각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용량 전지 셀의 장기 사이클 시험시 발생하는 열누적 현상 방지효과를 평가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냉각 플레이트 각각 개재하여 바이셀(bicell) 구조를 갖는 29개의 단위 전지들을 스택킹하여 전지모듈(29stack 42Ah급 전지)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전지 모듈에 대해 4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에서 4.2V/38mA까지 1C로 충전한 다음, 정전류(CC) 조건에서 3.0V까지 1C로 방전하였다. 이를 1사이클로 하여 200사이클 반복 실시하였다. 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전지모듈에 대해 4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에서 4.2V/38mA까지 2C로 충전한 다음, 정전류(CC) 조건에서 3.0V까지 2C로 방전하였다. 이를 1사이클로 하여 200사이클 반복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냉각 플레이트는 방전시 온도 상승 억제와 빠른 냉각 효과로 비교예 2의 냉각 플레이트에 비해 완화된 열 누적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의 적용으로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관통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전지 모듈을 전지 용량의 1/2 C 전류로 4.2 V로 충전(CC-CV, 50mA cut-off)한 후, 직경이 1cm인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강철봉(steel bar)을 5cm/분의 속도로 관통시키는 시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이차전지모듈에서는 모두 냉각 플레이트내 관통 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의 냉각 플레이트내 형성된 관통 홀의 직경은 3mm로 비교예 2의 관통 홀의 직경(4mm)에 비해 작았으며, 또 관통 홀을 포함하는 냉각 플레이트와 인접한 단위전지에 있어서, 관통 또는 변형이 발생한 단위전지의 수가 실시예의 경우 3개로 비교예 2(4개)에 비해 감소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비교예 2의 냉각 플레이트의 경우 네일 관통 압력이 관통 방향(또는 수직방향)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인접 단위전지에 동일방향으로 전달되는 반면, 실시예의 경우 네일의 관통시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부내 빈 공간이 벌어지면서 인접하는 냉각부들로 관통 압력이 수평으로 전달되고, 또 인접하는 냉각부가 관통 압력을 흡수하면서 변형된다. 그 결과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인접하는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쇼트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도 8은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경우 네일(nail) 관통 실험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경우 네일(nail) 관통 실험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일(또는 강철봉)(T) 관통 시 기존의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P)는 내부가 꽉 차있는 단일 형태의 플레이트이므로, 플레이트 자체의 두께로 인한 변형이 크게 생기게 된다.
그러나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냉각 플레이트(20)는 냉각부(21)의 존재로 인하여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빈 공간만큼 두께 방향의 변형이 적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중간이 빈 이중 구조의 냉각 플레이트(20)를 적용하여 네일(T) 관통에 따른 플레이트의 변형을 줄이고, 이에 따라 하부 단위 전지(10)의 변형을 줄여 단위 전지(10)의 단락(short)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참작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 판재(20a) 및 제2 판재(20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네일(또는 강철봉) 관통 시 단위 전지의 변형이 줄어 단락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는 빈 공간 형태를 가지는 냉각부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달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제1 판재(20a) 및 제2 판재(20b)가 반드시 분리 가능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조립의 편의를 위해 제1 판재(20a) 및 제2 판재(20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지만,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흡열재 또는 상 변이 물질을 적용한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에서 냉각 플레이트에 흡열재를 적용하는 방식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냉각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냉각부(21)의 내부에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인 흡열재(미도시)를 집어 넣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즉, 냉각부(21) 내부에 흡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부(21)의 내부에 흡열재를 집어 넣을 경우 냉각 플레이트(20)가 단위 전지(10)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이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흡열재를 냉각부(21)에 넣을 경우 전지의 성능, 안전성, 신뢰성, 및 수명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흡열재로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겔 물질이나. 실리콘 오일처럼 발화점 높은 액체 또는 플래쉬 포인트(flash point: 물질이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여 인화할 수 있는 최저 온도)가 없는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냉각부(21)의 내부에 캡슐(미도시)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실시하는 또 다른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이때 캡슐의 내부에는 온도에 따라 상 변이가 가능한 물질을 집어넣을 수 있다.
즉, 냉각부(21)의 내부에 캡슐이 구비되고, 캡슐의 내부에는 상 변이 물질(Phase Change Material) 이 들어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 변이 가능한 물질로서 물처럼 열용량이 높은 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액체로 된 상 변이 물질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단위 전지(10)에서 열이 발생하면, 캡슐 내부에서 상 변이 가능한 물질이 액체에서 기체로 승화하게 되는데, 이때 상 변이 물질은 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냉각 플레이트(20)는 단위 전지(10)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큰 열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면 냉각 플레이트(20)가 단위 전지(10)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이 현저히 커지므로, 전지의 성능, 안전성, 신뢰성, 및 수명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단위전지
20 냉각 플레이트
20a 제1판재
20b 제2판재
21 냉각부
22 보강리브
22a 제1리브
22b 제2리브
22c 구획부
23 보강부
100: 이차전지 모듈
20 냉각 플레이트
20a 제1판재
20b 제2판재
21 냉각부
22 보강리브
22a 제1리브
22b 제2리브
22c 구획부
23 보강부
100: 이차전지 모듈
Claims (26)
- 평판형의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냉각부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된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결합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제1판재에 돌출형성된 제1리브와, 제2판재에 돌출 형성된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냉각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부는 제1판재와 제2판재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0.1mm 내지 2mm의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단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단부는 냉각 플레이트 두께에 대하여 0.05배 내지 0.15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각 단부는 냉각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05배 내지 0.1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의 단부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판재는 각각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2배 내지 0.5배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와 제2리브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0.1배 내지 0.3배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리브는 0.1mm 내지 1mm의 너비를 가지며, 0.1mm 내지 1mm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리브는 0.1mm 내지 1mm의 너비를 가지며, 0.1mm 내지 1mm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리브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각형, 반구형 및 피라미드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구리, 은 및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1.5mm 내지 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70부피% 내지 90부피%의 개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충,방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이차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제1항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개재된 이차전지 모듈.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상기 단위전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 제1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 제22항에 있어서,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인 전지팩.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 저장용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지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내부에는 흡열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내부에는 캡슐이 구비되고, 상기 캡슐의 내부에는 상 변이 물질이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5861814.0A EP3223357B1 (en) | 2014-11-17 | 2015-11-10 |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a cooling plate |
PCT/KR2015/012048 WO2016080696A1 (ko) | 2014-11-17 | 2015-11-10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US15/515,221 US10847850B2 (en) | 2014-11-17 | 2015-11-10 |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JP2017519302A JP6448069B2 (ja) | 2014-11-17 | 2015-11-10 | 二次電池用冷却プレート及びこれを含む二次電池モジュール |
CN201510791547.2A CN105609892B (zh) | 2014-11-17 | 2015-11-17 | 二次电池用冷却板及包括该冷却板的二次电池模块 |
CN201520917680.3U CN205595422U (zh) | 2014-11-17 | 2015-11-17 | 二次电池用冷却板及包括该冷却板的二次电池模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0228 | 2014-11-17 | ||
KR20140160228 | 2014-11-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8684A true KR20160058684A (ko) | 2016-05-25 |
KR101816974B1 KR101816974B1 (ko) | 2018-02-21 |
Family
ID=5611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4411A KR101816974B1 (ko) | 2014-11-17 | 2015-11-04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847850B2 (ko) |
EP (1) | EP3223357B1 (ko) |
JP (1) | JP6448069B2 (ko) |
KR (1) | KR101816974B1 (ko) |
CN (1) | CN205595422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80182A1 (ko) * | 2016-10-26 | 2018-05-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WO2018081643A3 (en) * | 2016-10-28 | 2018-06-28 | Inevit, Llc | Battery cells eletrically insulated from an integrated cooling plate in a battery module |
KR20210139466A (ko) * | 2019-06-18 | 2021-11-22 |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 온도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80696A1 (ko) * | 2014-11-17 | 2016-05-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KR101816974B1 (ko) | 2014-11-17 | 2018-0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US10269682B2 (en) * | 2015-10-09 | 2019-04-23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Cooling devices, packaged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packaging semiconductor devices |
JP6817129B2 (ja) * | 2017-03-30 | 2021-01-20 |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JP7107088B2 (ja) * | 2018-08-17 | 2022-07-2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US10886580B2 (en) * | 2018-08-28 | 2021-01-05 | Rivian Ip Holdings, Llc | Cylindrical battery cell packaging and cooling configuration |
CN111192985A (zh) | 2018-11-15 | 2020-05-22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电池包的箱体及电池包 |
CN111384463B (zh) * | 2018-12-29 | 2021-10-01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池 |
US20220209281A1 (en) * | 2019-05-02 | 2022-06-30 | OERLIKON FRICTION SYSTEMS (GERMANY) GmbH | Pressure module, in particular for lithium-ion battery cells |
US20220255161A1 (en) * | 2019-07-22 | 2022-08-11 | Carrar Ltd | Electric batteries cooling system |
CN110429359B (zh) * | 2019-08-05 | 2024-09-24 | 江苏远致达轨道交通发展有限公司 | 新能源客车的动力电池及电池舱冷却装置 |
JP7218691B2 (ja) * | 2019-08-29 | 2023-02-07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 |
JP7424033B2 (ja) * | 2019-12-19 | 2024-01-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温度調整装置 |
CN111477997B (zh) * | 2020-03-25 | 2022-01-11 | 安徽沃博源科技有限公司 | 液冷板及液冷装置 |
CN111463519B (zh) * | 2020-04-08 | 2022-11-22 |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缓冲隔热冷却板、动力电池包及汽车 |
KR20210126979A (ko) * | 2020-04-13 | 2021-10-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
JP7142063B2 (ja) * | 2020-09-24 | 2022-09-2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セル冷却体、蓄電モジュール、及び車両 |
JP7491196B2 (ja) * | 2020-11-25 | 2024-05-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 |
CN113954695A (zh) * | 2021-09-27 | 2022-01-21 |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 电动汽车电池冷却控制方法、装置、设备及车辆 |
WO2023162438A1 (ja) * | 2022-02-22 | 2023-08-3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池パック |
DE102022123460B3 (de) | 2022-09-14 | 2023-09-07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raktionsbatteriemodul |
US20240204288A1 (en) * | 2022-12-16 | 2024-06-20 | 24M Technologies, Inc. | Electrochemical cell systems with multi-chamber cooling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
DE102023106454A1 (de) | 2023-03-15 | 2024-09-19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Batteriemodul mit einem zwischen direkt gekühlten Batteriezellen angeordnetem Stützelement |
CN116759678B (zh) * | 2023-08-24 | 2023-12-29 | 深圳市杰成镍钴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池放电装置及其冷却控制方法、放电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044561A3 (de) * | 1980-07-21 | 1982-07-14 | MüANYAGIPARI KUTATO INTEZET | Wärmetauscher, insbesondere zum Wärmeaustausch zwischen gasförmigen Medien |
US6586132B1 (en) * | 1999-03-03 | 2003-07-0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ealed battery pack |
KR100497147B1 (ko) | 2000-02-08 | 2005-06-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515572B1 (ko) | 2000-02-08 | 2005-09-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0515571B1 (ko) | 2000-02-08 | 2005-09-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첩 전기 화학 셀 |
JP4308515B2 (ja) * | 2002-12-27 | 2009-08-0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 |
JP4797325B2 (ja) | 2004-01-13 | 2011-10-1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冷却液および冷却システム |
KR100627335B1 (ko) * | 2004-06-25 | 2006-09-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
KR100669333B1 (ko) | 2005-01-25 | 2007-01-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KR100648697B1 (ko) | 2005-03-11 | 2006-1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KR20060102851A (ko) * | 2005-03-25 | 2006-09-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KR101256074B1 (ko) | 2006-07-26 | 2013-04-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격부재를 갖는 전지 모듈 |
JP2010073406A (ja) * | 2008-09-17 | 2010-04-02 | Toyota Motor Corp | 組電池 |
KR20110024954A (ko) * | 2009-09-03 | 2011-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각용 유로를 갖는 이차 전지 모듈 |
DE102009058809A1 (de) | 2009-12-18 | 2011-06-22 | Valeo Klimasysteme GmbH, 96476 | Kühl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antriebsbatterie und Fahrzeugantriebsbatteriebaugruppe mit Kühlvorrichtung |
JP2013516742A (ja) * | 2010-01-08 | 2013-05-13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熱伝達流体と相変化材料の組み合わせによる電気化学セルの熱管理法 |
US9780421B2 (en) | 2010-02-02 | 2017-10-03 | Dana Canada Corporation | Conformal heat exchanger for battery cell stack |
JP2012015071A (ja) * | 2010-07-05 | 2012-01-19 | Denso Corp | 電池パック |
JP5510044B2 (ja) * | 2010-05-10 | 2014-06-04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池パック |
KR101084224B1 (ko) | 2010-06-10 | 2011-11-17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JP5659622B2 (ja) * | 2010-08-19 | 2015-01-28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池パック |
JP5477241B2 (ja) * | 2010-09-21 | 2014-04-23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池パック |
KR101543477B1 (ko) | 2010-11-08 | 2015-08-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팩 |
JP2012119156A (ja) | 2010-11-30 | 2012-06-21 | Sanyo Electric Co Ltd | 組電池及びこれを装備する電動車両 |
AT511541A1 (de) * | 2011-05-16 | 2012-12-15 | Avl List Gmbh | Wiederaufladbare batterie |
KR101261736B1 (ko) * | 2011-06-13 | 2013-05-07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배터리 팩 |
JP2013084444A (ja) * | 2011-10-08 | 2013-05-09 | Sanyo Electric Co Ltd |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
KR101509853B1 (ko) | 2012-02-07 | 2015-04-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
JP2013161720A (ja) | 2012-02-07 | 2013-08-19 | Suzuki Motor Corp | 電池パックの冷却装置 |
KR101816974B1 (ko) | 2014-11-17 | 2018-0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
2015
- 2015-11-04 KR KR1020150154411A patent/KR1018169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1-10 JP JP2017519302A patent/JP6448069B2/ja active Active
- 2015-11-10 EP EP15861814.0A patent/EP3223357B1/en active Active
- 2015-11-10 US US15/515,221 patent/US10847850B2/en active Active
- 2015-11-17 CN CN201520917680.3U patent/CN205595422U/zh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80182A1 (ko) * | 2016-10-26 | 2018-05-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WO2018081643A3 (en) * | 2016-10-28 | 2018-06-28 | Inevit, Llc | Battery cells eletrically insulated from an integrated cooling plate in a battery module |
KR20210139466A (ko) * | 2019-06-18 | 2021-11-22 |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 온도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팩 |
US11936026B2 (en) | 2019-06-18 | 2024-03-19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 Temperature control component and battery p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23357B1 (en) | 2020-04-22 |
CN205595422U (zh) | 2016-09-21 |
JP2017534143A (ja) | 2017-11-16 |
EP3223357A4 (en) | 2017-11-08 |
KR101816974B1 (ko) | 2018-02-21 |
US10847850B2 (en) | 2020-11-24 |
US20170222283A1 (en) | 2017-08-03 |
JP6448069B2 (ja) | 2019-01-09 |
EP3223357A1 (en) | 201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974B1 (ko)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
KR100942986B1 (ko) | 전지셀 사이에 접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 |
KR101023865B1 (ko) | 이차 전지 | |
WO2016080696A1 (ko)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
JP6152483B2 (ja) | 電池モジュール | |
KR102058194B1 (ko) | 배터리 모듈 | |
KR101499471B1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 |
KR101772800B1 (ko) | 이차전지 | |
KR101799173B1 (ko) |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 |
KR101858790B1 (ko) | 파우치형 이차 전지 | |
JP7055427B2 (ja) | パウチ型二次電池 | |
KR101459179B1 (ko) | 파우치형 이차 전지 | |
KR20140067246A (ko) | 노즐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셀 | |
KR20160148404A (ko)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US20220263166A1 (en) |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KR101783515B1 (ko) |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
KR101520152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101495948B1 (ko) | 파우치형 2차전지 | |
KR101799172B1 (ko) |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 |
KR101561121B1 (ko) | 효율적인 냉각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 | |
KR101472202B1 (ko) |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 전지 | |
CN108140877B (zh) | 二次电池 | |
KR102197360B1 (ko) | 향상된 기계적 강도의 단면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 |
JP2020077527A (ja) | 蓄電池モジュール | |
KR10145940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