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877A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877A
KR20160057877A KR1020140159055A KR20140159055A KR20160057877A KR 20160057877 A KR20160057877 A KR 20160057877A KR 1020140159055 A KR1020140159055 A KR 1020140159055A KR 20140159055 A KR20140159055 A KR 20140159055A KR 20160057877 A KR20160057877 A KR 2016005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colored photosensitive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049B1 (ko
Inventor
김연옥
최경식
박석봉
Original Assignee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filed Critical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049B1/ko
Priority to TW104136914A priority patent/TWI751966B/zh
Priority to CN201510781813.3A priority patent/CN105607421A/zh
Publication of KR2016005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1/00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 C09B11/04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derived from triarylmethanes, i.e. central C-atom is substituted by amino, cyano, alkyl
    • C09B11/10Amino derivatives of triarylmethanes
    • C09B11/24Phthaleins containing amino groups ; Phthalanes; Fluoranes; Phthalides; Rhodamine dyes; Phthaleins having heterocyclic aryl rings; Lactone or lactame forms of triarylmetha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합체; 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착색제; 및 불소 및 실리콘 성분을 모두 함유하면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화막으로 형성시에 폴리이미드계 배향액에 대한 친수성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탄성회복률, 해상도, 내화학성 및 두께 특성도 만족시키므로, 차광성 스페이서로 제조되어 LCD 및 OLED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SHIELDING SPACER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의 패널 등에 사용되는 보호막, 층간절연막, 스페이서, 차광부 등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적합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차광성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디스플레이(LCD)의 액정셀에 있어서, 상하 투명 기판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스페이서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LCD는 투명 기판 사이의 일정한 간격(gap)에 주입된 액정 물질에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전기 광학 소자이므로 두 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만일 상기 투명 기판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면 그 부분을 인가하는 전압과 통과되는 빛의 투과도가 달라져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밝기를 나타내는 불량이 야기된다. LCD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투명 기판 간의 일정한 간격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기판상에 도포하고, 마스크를 이용하여 자외선 등을 노광한 후 현상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최근에는 스페이서에 차광성 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컬럼 스페이서와 블랙 매트릭스를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한 블랙 컬럼 스페이서(차광성 스페이서)를 제조함으로써 공정 절차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0-250256 호는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도막의 내침식성이 우수한 고정밀 패턴 형성용 칼라 레지스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0-186175 호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한 칼라필터 제조에 적합하도록 발액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조성물들은 모두 도막으로 형성시에 발액성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차광성 스페이서 등으로 형성할 경우 후공정으로 폴리이미드계 배향액을 도포시에 발액성으로 인하여 폴리이미드 미발림 및 핀홀(pin hole)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0-250256 호 (2010.11.0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0-186175 호 (2010.08.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성이 우수하고 차광성 스페이서 등으로 형성시에 폴리이미드계 배향액에 대한 친액성이 향상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공중합체; (b) 중합성 화합물; (c) 광중합 개시제; (d) 착색제; 및 (e) 불소 및 실리콘 성분을 모두 함유하면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차광성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막으로 제조시에 폴리이미드계 배향액에 대한 친액성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노광 마진 및 현상 마진이 우수하여, 경화막으로 제조시에 탄성회복률, 해상도, 내화학성 및 코팅 두께와 같은 컬럼 스페이서의 특성 뿐만 아니라, 투과도 및 광학밀도와 같은 블랙 매트릭스의 특성도 골고루 만족시키므로, LCD 및 OLED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부품에 사용되는 차광성 스페이서 등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차광성 스페이서(블랙 컬럼 스페이서)의 단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공중합체, (b) 중합성 화합물, (c) 광중합 개시제, (d) 착색제, 및 (e)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f) 에폭시 수지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화합물, (g) 용매, 및/또는 (h)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이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중합체는 (a-1)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및 (a-2) 방향족환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a-3) 상기 (a-1) 및 (a-2)와 상이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현상단계에서는 현상성을 구현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이면서, 또한 코팅 후 도막을 형성하는 기저 역할 및 최종 패턴을 구현하는 구조물 역할을 한다.
(a-1)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본 발명에서 구성단위 (a-1)은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무수물은, 분자에 하나 이상의 카복실기가 있는 중합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로서, 구체적인 예로서,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신남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말레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푸마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시트라콘산 무수물, 메사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복실산 및 이의 무수물; 3가 이상의 불포화 폴리카복실산 및 이의 무수물;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등의 2가 이상의 폴리카복실산의 모노[(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공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성단위 (a-1)의 함량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단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5 내지 65 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몰%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현상성의 유지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a-2) 방향족환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상기 구성단위 (a-2)는 방향족환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며, 방향족환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트리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에틸스티렌, 트리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헥실스티렌, 헵틸스티렌, 옥틸스티렌 등의 알킬 치환기를 갖는 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요오도스티렌 등의 할로겐을 갖는 스티렌; 메톡시스티렌, 에톡시스티렌, 프로폭시스티렌 등의 알콕시 치환기를 갖는 스티렌; 4-히드록시스티렌, p-히드록시-α-메틸스티렌, 아세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디비닐벤젠, 비닐페놀, o-비닐벤질메틸에테르, m-비닐벤질메틸에테르, p-비닐벤질메틸에테르, 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공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중 스티렌계 화합물인 것이 중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단위 (a-2)의 함량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단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2 내지 70 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 몰%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내화학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a-3) 상기 (a-1) 및 (a-2)와 상이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상기 (a-1) 및 (a-2) 외에도, (a-1) 및 (a-2)와는 상이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1) 및 (a-2)와는 상이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류;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바졸, N-비닐모폴린 등의 N-비닐을 포함하는 삼차아민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등의 불포화 에테르류;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5-에폭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5,6-에폭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6,7-에폭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3-에폭시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α-에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α-n-프로필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α-n-부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N-(4-(2,3-에폭시프로폭시)-3,5-디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N-(4-(2,3-에폭시프로폭시)-3,5-디메틸페닐프로필)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N-페닐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4-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불포화 이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공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중에서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또는 불포화 이미드류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및/또는 N-치환 말레이미드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인 것이 공중합성 및 절연막의 강도 향상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단위 (a-3)의 함량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단위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10 내지 80 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 몰%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유지시키고 잔막율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단위 (a-1) 내지 (a-3)을 갖는 공중합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테트라히드로퓨란 등)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3,000 내지 5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40,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기판과의 밀착성, 물리/화학적 물성, 및 점도 면에서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전체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의 공중합체의 함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즉 용매를 제외한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현상 후의 패턴 현상이 양호하고 내화학성 등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분자량 조절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용매, 상기 구성단위 (a-1) 내지 (a-3)를 넣고 질소를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분자량 조절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용매, 상기 구성단위 (a-1) 내지 (a-3)을 넣고 질소를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부틸메캅탄, 옥틸메캅탄 등의 메캅탄 화합물 또는 α-메틸스티렌다이머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등일 수 있다. 이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일 수 있다.
(b)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 개시제의 작용으로 중합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관능성의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적어도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가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단관능 또는 다관능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내화학성 측면에서 2관능 이상의 다관능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숙신산의 모노에스테르화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와 숙신산의 모노에스테르화물,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즉 용매를 제외한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일 경우 패턴 형성이 용이하며, 현상시 하단부에 스컴(scum) 등의 패턴 형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c)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는 공지의 중합 개시제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오늄염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디케톤계 화합물, α-디케톤계 화합물, 다핵 퀴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디아조계 화합물, 이미드설포네이트계 화합물, 옥심계 화합물, 카바졸계 화합물, 설포늄 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700호, 제2005-0084149호, 제2008-0083650호, 제2008-0080208호, 제2007-0044062호, 제2007-0091110호, 제2007-0044753호, 제2009-0009991호, 제2009-0093933호, 제2010-0097658호, 제2011-0059525호, 제2011-0091742호, 제2011-0026467호 및 제2011-0015683호, 및 국제특허공개 WO 2010/102502호 및 WO 2010/133077호에 기재된 옥심계 화합물 중의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고감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의 상품명으로서는 OXE-01(BASF), OXE-02(BASF), N-1919(ADEKA), NCI-930(ADEKA), NCI-831(ADEKA) 등의 시판품이 고감도, 해상도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즉 용매를 제외한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노광에 의한 경화가 충분히 이루어져 우수한 가 현상시에 기판과 충분히 밀착될 수 있다.
(d) 착색제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차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착색제는 무기 또는 유기의 2종 이상의 혼합 착색제일 수 있으며, 발색성이 높고 내열성이 높은 착색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두 가지 이상의 유기 착색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블랙 매트릭스의 빛샘을 방지하고 마스크 얼라인이 가능한 투과율을 확보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흑색 착색제 및 청색 착색제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흑색 착색제는 흑색 무기 착색제 및/또는 흑색 유기 착색제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로서 흑색 유기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흑색 무기 착색제 및 청색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색 무기 착색제, 흑색 유기 착색제, 및 청색 착색제로서는 공지의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컬러 인덱스(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안료(pigment)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공지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흑색 무기 착색제의 구체예로는 카본 블랙, 티타늄 블랙, Cu-Fe-Mn-기저의 산화물 및 합성 철 블랙과 같은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패턴 특성 및 내화학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흑색 유기 착색제의 구체예로는 아닐린 블랙, 락탐 블랙, 페릴렌 블랙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락탐 블랙(예: 바스프사의 Black 582)을 사용하는 것이 광학밀도, 유전율, 투과도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청색 착색제의 구체예로는 C.I 피그먼트 블루 15:6, C.I 피그먼트 블루 15:4, C.I 피그먼트 블루 60, C.I 피그먼트 블루 16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C.I 피그먼트 블루 15:6를 사용하는 것이 빛샘을 방지하는데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 무기 착색제, 흑색 유기 착색제 및 청색 착색제의 함량은, 용매를 제외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즉 고형분 기준)에 대하여, 각각 0 내지 20 중량%, 10 내지 40 중량%, 및 0 내지 15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 초과 20 중량% 이하, 10 내지 40 중량%, 및 0 초과 15 중량%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0 초과 10 중량% 이하, 10 내지 40 중량%, 및 1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빛샘 방지가 가능한 높은 광학밀도 달성에 유리하고, 마스크 얼라인먼트에 필요한 투과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착색제를 분산시키기 위해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예로는 착색제 분산제로 공지된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분산제로는 BYK사의 디스퍼빅(Disperbyk)-182, -183, -184, -185, -2000, -2150, -2155, -2163, -2164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미리 착색제에 표면 처리하는 방식으로 착색제에 내부 첨가시켜 사용하거나, 착색제와 함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제조시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를 바인더와 함께 혼합한 후,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바인더는 본 발명에 기재된 상기 공중합체(a), 공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착색제는 분산제, 바인더, 용매 등과 혼합된 착색 분산액(mill base)의 형태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e)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코팅성 향상 및 결점 생성 방지 효과를 위해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불소(F) 및 실리콘(Si) 성분을 모두 함유하면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시판되는 제품의 구체예로는 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DIC)사의 메가피스(Megaface) RS-5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대하여 0.0001 내지 0.01 중량%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1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다. 여기서 상기 함량의 기준이 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중량은 용매를 포함한 전체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도포 특성 및 폴리이미드계 배향액에 대한 친액성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f) 에폭시 수지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화합물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화합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400 내지 10,000인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수지 화합물은 잔텐계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 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텐(9H-xanthene)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로 라벨링된 탄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또는
Figure pat00005
에 포함된 *로 라벨링된 탄소로 대체되고;
L1 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0알킬렌기, C3-20시클로알킬렌기 또는 C1-10알킬렌옥시기이며;
R1 내지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10알킬기, C1-10알콕시기, C2-10알케닐기 또는 C6-14아릴기이고;
R8 은 H, 메틸기, 에틸기, CH3CHCl-, CH3CHOH-, CH2=CHCH2- 또는 페닐기이며;
n 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C1-10알킬렌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 sec-부틸렌기, t-부틸렌기, 펜틸렌기, 이소펜틸렌기, t-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이소옥틸렌기, t-옥틸렌기, 2-에틸헥실렌기, 노닐렌기, 이소노닐렌기, 데실렌기, 이소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3-20시클로알킬렌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시클로프로필렌기, 시클로부틸렌기,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시클로헵틸렌기, 데칼리닐렌기, 아다만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1-10알킬렌옥시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렌옥시기, 에틸렌옥시기, 프로필렌옥시기, 부틸렌옥시기, sec-부틸렌옥시기, t-부틸렌옥시기, 펜틸렌옥시기, 헥실렌옥시기, 헵틸렌옥시기, 옥틸렌옥시기, 2-에틸-헥실렌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1-10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t-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t-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1-10알콕시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틸옥시기, sec-부톡시기, t-부톡시기, 펜톡시기, 헥실옥시기, 헵톡시기, 옥틸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2-10알케닐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기, 알릴기, 부테닐기, 프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6-14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기, 톨릴기, 크실릴,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잔텐계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잔텐계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불포화 염기산과 반응시켜 에폭시 부가물을 수득한 뒤 이를 다염기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얻은 화합물이거나, 또는 이를 추가로 단관능 또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염기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계피산, 소르빈산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염기산 무수물로서는 석신산 무수물, 말레인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1,2,4,5-cyclohexa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또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에테르, 에틸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이소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이소부틸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Z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잔텐계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잔텐계 골격 구조가 경화물과 기재 간의 밀착성, 내알칼리성, 가공성, 강도 등을 보다 향상시키고, 현상 후 비경화부를 제거시에 미세 패턴에서 화상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즉 용매를 제외한 중량),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해상도와 내화학성이 보다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패턴 형상을 유지하면서 패턴 간의 일정한 단차를 원하는 마진폭(허용폭)으로 구현하기가 보다 유리할 수 있다.
(g) 용매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성분들을 용매와 혼합한 액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전술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성분들과 상용성을 가지되 이들과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용매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용매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에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2-히드록시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의 알콕시알킬아세테이트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최종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성,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용매를 제외한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가 통상적으로 5 내지 70 중량%가 되는 양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 중량%가 되는 양일 수 있다.
(h) 실란 커플링제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기판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복실기, (메트)아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비닐기, 에폭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반응성 치환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트리메톡시실릴 벤조산,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아미노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 중에서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 기판과의 접착성이 좋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예: Shin-Etsu사의 KBE-9007) 또는 페닐아미노트리메톡시실란인 것이 좋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즉 용매를 제외한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성이 향상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제, 안정제 등의 기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막으로 제조시에 폴리이미드계 배향액에 대한 친액성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경화막과 폴리이미드계 배향액 간에 10° 미만의 접촉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미만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차광성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후공정으로 폴리이미드 도포시에 미발림 및 핀홀(pin hole)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차광성 스페이서로 제조시에 탄성회복률, 해상도, 내화학성 및 코팅 두께와 같은 컬럼 스페이서의 특성 뿐만 아니라 투과도 및 광학밀도와 같은 블랙 매트릭스의 특성도 골고루 만족시킬 수 있어서, 노광 마진 및 현상 마진이 모두 우수하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상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착색제를 미리 용매와 혼합하여 착색제의 평균 입경이 원하는 수준으로 될 때까지 비드밀 등을 이용하여 분산시킨다. 이때,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공중합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배합될 수도 있다. 이 분산액에 공중합체 및 계면활성제의 나머지, 에폭시 수지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화합물,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 또는 추가의 용매를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더 배합한 뒤, 충분히 교반하여 목적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차광성 스페이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컬럼 스페이서와 블랙 매트릭스가 일체로 형성된 블랙 컬럼 스페이서(black column spacer; BCS)를 제공한다. 상기 블랙 컬럼 스페이서 패턴의 일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컬럼 스페이서, 블랙 매트릭스 또는 블랙 컬럼 스페이서는 도막 형성 단계, 노광 단계, 현상 단계, 및 가열 처리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막 형성 단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전처리를 한 기판 상에 스핀 또는 슬릿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두께, 예를 들어 2 내지 25 ㎛의 두께로 도포한 후, 7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0분 동안 예비경화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도막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 형태의 마스크를 개재한 뒤, 200 내지 500 nm의 활성선을 조사한다. 이 때 일체형의 블랙 컬럼 스페이서의 제조를 위해서는 컬럼 스페이서와 블랙 매트릭스가 동시에 구현 가능하도록 투과율이 상이한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조사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아르곤 가스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X선, 전자선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노광량은 조성물 각 성분의 종류, 배합량 및 건조 막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고압 수은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500 mJ/㎠ (365 nm 파장에서)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노광 단계에 이어,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을 현상액으로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용해 및 제거함으로써 노광 부분만을 잔존시켜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현상에 의해 수득된 화상 패턴을 상온까지 식힌 후에, 열풍순환식 건조로에서 180℃ 내지 250℃에서 10~60분간 후경화(post-bake)하여 원하는 최종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는 우수한 물성에 기인하여 LCD, OLED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부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차광성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상기 LCD, OLED 디스플레이 등은 본 발명의 차광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광성 스페이서를 적용할 수 있는 LCD, OLED 디스플레이 등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공중합체의 제조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를 장착한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비의 단량체 혼합물 100g,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300g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g을 첨가한 다음, 70℃로 상승시켜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형분 함량이 31중량%인 공중합체를 중합하였다. 생성된 공중합체의 산가는 100㎎KOH/g이었고,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은 20,000이었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몰%)
메타크릴산 스티렌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35 4 10 51
제조예 2: 잔텐계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로부터 유도된 화합물
교반기, 온도계, 질소치환장치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플라스크 내에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160g을 넣고, 여기에 3,3'-(스피로[플루오렌-9,9'-잔텐]-3',6'-디일비스(옥시))비스(2-히드록시프로판-3,1-디일) 디아크릴레이트 (3,3'-(spiro[fluorene-9,9'-xanthene]-3',6'-diylbis(oxy))bis(2-hydroxypropane-3,1-diyl) diacrylate) 100g, 및 염화백금산 0.1g을 넣고 온도를 80℃로 높였다. 여기에,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47.6g을 PGMEA 80g에 희석하여 천천히 적가한 뒤, 100℃까지 승온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상온(25℃)으로 냉각한 후 파라톨루엔술폰산 피리디늄염을 0.3g 추가하였다. 그 결과 중량평균분자량(Mw)이 6,000이고 산가가 107㎎KOH/g이고 고형분 함량이 50중량%인 중합체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착색 분산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8 g, 고분자 분산제(DISPERBYK-2000, BYK사) 8 g, 카본 블랙 12 g, 유기 블랙으로서 락탐 블랙(Black 582, 바스프사) 53 g, C.I 피그먼트 블루 15:6 16 g 및 용매로서 PGMEA 384 g을 페인트 쉐이커를 이용하여 25~60℃에서 6시간 동안 분산 처리하였다. 0.3 mm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여 분산을 진행하였으며, 분산 종료 후 필터로 비드와 분산액을 분리하여, 착색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8: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잔텐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로부터 유도된 화합물, 중합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Nippon Kayaku사), 광중합 개시제 c-1(옥심계 광개시제, NCI831, ADEKA사) 및 광중합 개시제 c-2(트리아진계 개시제, T-Y, PHARMASYNTEHSE),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표 2에 기재된 e-1 내지 e-6 중 어느 하나, 및 착색제로서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착색 분산액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배합량으로 용매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44.0g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배합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표명 제조사 설명
e-1 Megaface RS-55 DIC 불소 및 실리콘을 함유하고 이중결합을 가짐
e-2 Megaface F-563 DIC 불소계 계면활성제
e-3 BYK-307 BYK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e-4 Megaface RS-72-K DIC 반응성 불소계 계면활성제
e-5 Rad-2010 TEGO 반응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e-6 Rad-2250 TEGO 반응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구분 제조예1
공중합체
제조예2 화합물 중합성
화합물
광개시제
(c-1)
광개시제
(c-2)
착색
분산액
계면활성제 용매
실시예 1 12.4g 6.6g 3.8g 0.1g 0.5g 32.5g (e-1) 0.009g 44.0g
실시예 2 12.4g 6.6g 3.8g 0.1g 0.5g 32.5g (e-1) 0.006g 44.0g
실시예 3 12.4g 6.6g 3.8g 0.1g 0.5g 32.5g (e-1) 0.004g 44.0g
실시예 4 10.7g 8.3g 3.8g 0.1g 0.5g 32.5g (e-1) 0.006g 44.0g
비교예 1 12.4g 6.6g 3.8g 0.1g 0.5g 32.5g (e-1) 0.015g 44.0g
비교예 2 12.4g 6.6g 3.8g 0.1g 0.5g 32.5g (e-2) 0.026g 44.0g
비교예 3 12.4g 6.6g 3.8g 0.1g 0.5g 32.5g (e-2) 0.009g 44.0g
비교예 4 12.4g 6.6g 3.8g 0.1g 0.5g 32.5g (e-3) 0.026g 44.0g
비교예 5 12.4g 6.6g 3.8g 0.1g 0.5g 32.5g (e-3) 0.009g 44.0g
비교예 6 12.4g 6.6g 3.8g 0.1g 0.5g 32.5g (e-4) 0.038g 44.0g
비교예 7 12.4g 6.6g 3.8g 0.1g 0.5g 32.5g (e-5) 0.038g 44.0g
비교예 8 12.4g 6.6g 3.8g 0.1g 0.5g 32.5g (e-6) 0.038g 44.0g
시험예 1: 도포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3㎎의 양으로 10㎝x10㎝의 유리기판에 떨어뜨리면서 스핀코팅하여 도포성을 평가하였다.
버나드 셀이나 간섭 줄무늬가 보이지 않으며 불균일이 없는 도포막이 수득될 경우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시험예 2: 블랙 컬럼 스페이서 두께 측정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후, 80℃에서 150초간 예비경화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도막에, 100% 풀톤(full-tone) 컬럼 스페이서(CS) 패턴과 20% 하프톤(half-tone) 블랙 매트릭스 패턴으로 구성된 패턴 마스크를 적용하고, 365㎚의 파장의 빛을 40mJ/㎠로 조사하였다. 이어서 수산화칼륨이 1중량%로 희석된 수용액으로 23℃에서 브레이크 포인트(BP) 시간 확인 후 추가 15초간 현상한 뒤, 순수한 물로 1분간 세정하였다. 상기 형성된 패턴을 230℃ 오븐에서 30분간 후경화하여 경화막을 얻었다.
그 결과 블랙 매트릭스와 컬럼 스페이서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블랙 컬럼 스페이서 패턴(도 1 참조)을 얻은 뒤, 단차측정장비(SIS-2000, SNU precision사제)를 이용해서 컬럼 스페이서부 두께(A) 및 블랙 매트릭스부 두께(B)를 측정하였다. 이 때 블랙 매트릭스부의 두께(B)가 2.0±0.5㎛ 수준일 때 우수한 차광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3: 폴리이미드의 접촉각(PI 발림성) 평가
상기 시험예 2의 절차대로 경화막을 제조하되, 3x3㎝ 영역을 가지는 20% 하프톤(half-tone)으로 구성된 마스크를 개재하고 실시하여 후경화 후의 두께가 2.0(±0.2)㎛인 경화막을 제조하였다.
그 후, 노광영역의 잔존 패턴부에 순수한 폴리이미드(PI)를 6mg 적하하고 접촉식 타입의 접촉각계(MD300, KYOWA사제)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접촉각이란 고체와 액체가 접촉하는 점에 있어서의 액체 표면에 대한 접선과 고체 표면이 이루는 각으로서, 액체를 포함하는 쪽의 각도로 PI 접촉각을 정하였다. PI 접촉각이 낮을수록 PI 발림성이 우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구분

도포 특성
블랙 컬럼 스페이서
PI 접촉각
(°)
컬럼 스페이서 두께
(㎛)
블랙 매트릭스 두께
(㎛)
실시예 1 양호 3.00 2.01 5.4
실시예 2 양호 3.05 2.02 4.1
실시예 3 양호 3.04 1.98 3.0
실시예 4 양호 3.03 2.12 4.2
비교예 1 양호 3.01 2.02 16.5
비교예 2 양호 3.08 1.98 17.3
비교예 3 불량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비교예 4 양호 3.02 2.05 9.4
비교예 5 불량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비교예 6 양호 3.07 2.08 23.5
비교예 7 양호 3.03 2.02 26.2
비교예 8 양호 2.98 1.95 27.5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예를 들어 컬럼 스페이서 및 블랙 매트릭스는, 도포 특성, 두께 및 PI 접촉각 면에서 골고루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LCD, OLED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부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8 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은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저조하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8의 PI 접촉각은 모두 높게 측정되어 PI 발림성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A: 컬럼 스페이서부의 두께,
B: 블랙 매트릭스부의 두께,
C: 컬럼 스페이서부의 선폭(CD).

Claims (7)

  1. (a) 공중합체;
    (b) 중합성 화합물;
    (c) 광중합 개시제;
    (d) 착색제; 및
    (e) 불소 및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고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내지 0.0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경화막과 폴리이미드계 배향액 간에 1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f) 에폭시 수지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화합물이 잔텐계 골격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착색제로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서 흑색 유기 착색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착색제로서 상기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서 흑색 무기 착색제 0 초과 20 중량% 이하, 및 청색 착색제 0 초과 15 중량% 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0140159055A 2014-11-14 2014-11-14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KR10178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055A KR101784049B1 (ko) 2014-11-14 2014-11-14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TW104136914A TWI751966B (zh) 2014-11-14 2015-11-09 著色感光性樹脂組成物以及由其製備之遮光隔片
CN201510781813.3A CN105607421A (zh) 2014-11-14 2015-11-13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以及由其制备的遮光隔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055A KR101784049B1 (ko) 2014-11-14 2014-11-14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77A true KR20160057877A (ko) 2016-05-24
KR101784049B1 KR101784049B1 (ko) 2017-10-10

Family

ID=5598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055A KR101784049B1 (ko) 2014-11-14 2014-11-14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84049B1 (ko)
CN (1) CN105607421A (ko)
TW (1) TWI7519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489A (ko) 2018-03-09 2019-09-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랙 매트릭스, 컬럼 스페이서 또는 블랙 컬럼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534261B2 (en) 2016-10-31 2020-01-1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shielding spacer prepared therefr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383A (ko) * 2017-02-15 2019-09-25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감광성 착색 조성물, 경화물, 착색 스페이서,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1594A (en) * 1993-12-27 1997-06-24 Hoechst Japan Limited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100439650B1 (ko) * 2002-08-14 2004-07-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를 이용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JP2004317656A (ja) 2003-04-14 2004-11-11 Fuji Photo Film Co Ltd 熱現像感光材料
JP4245179B2 (ja) * 2006-09-29 2009-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ターン形成用基材及び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並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0164965A (ja) * 2008-12-19 2010-07-29 Mitsubishi Chemicals Corp カラーフィルタ画素形成用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TWI570509B (zh) * 2010-10-05 2017-02-11 Sumitomo Chemical Co Coloring th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TW201229667A (en) * 2010-12-01 2012-07-16 Sumitomo Chemical Co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N102681343A (zh) * 2011-03-08 2012-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
TWI624726B (zh) * 2011-05-23 2018-05-21 Sumitomo Chemical Co Colored curable resin composition
JP5785810B2 (ja) * 2011-07-28 2015-09-30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JP6237236B2 (ja) * 2012-12-18 2017-11-29 横浜ゴム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JP2014137446A (ja) * 2013-01-16 2014-07-28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方法
KR101658374B1 (ko) * 2013-01-25 2016-09-22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컬럼 스페이서 및 블랙 매트릭스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261B2 (en) 2016-10-31 2020-01-1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shielding spacer prepared therefrom
KR20190106489A (ko) 2018-03-09 2019-09-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랙 매트릭스, 컬럼 스페이서 또는 블랙 컬럼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07421A (zh) 2016-05-25
TW201624130A (zh) 2016-07-01
KR101784049B1 (ko) 2017-10-10
TWI751966B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374B1 (ko) 컬럼 스페이서 및 블랙 매트릭스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4911256B1 (ja) 染料分散液、カラーフィルター用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10089816A (ko)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액정 표시 소자
KR20150134989A (ko) 컬럼 스페이서 및 블랙 매트릭스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832097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JP7240807B2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る遮光スペーサ
KR101755318B1 (ko) 컬럼 스페이서의 제조방법
KR102437844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 컬럼 스페이서
KR20140103372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성 스페이서
KR20140104768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784049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KR101829998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성 스페이서
JP7079198B2 (ja) 黒色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る黒色カラムスペーサ
KR20180135370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광성 스페이서
JP7228340B2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る遮光スペーサ
US10747109B2 (en) Colore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shielding spacer prepared therefrom
KR20140055575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143951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스페이서
KR20150028524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999803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스페이서
KR20130104305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성 스페이서
KR20140110372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80061875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차광성 스페이서
KR20190059372A (ko)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80110496A (ko) 패턴의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