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372A -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372A
KR20190059372A KR1020170156915A KR20170156915A KR20190059372A KR 20190059372 A KR20190059372 A KR 20190059372A KR 1020170156915 A KR1020170156915 A KR 1020170156915A KR 20170156915 A KR20170156915 A KR 20170156915A KR 20190059372 A KR20190059372 A KR 2019005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ed photosensitive
meth
weight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진
김태욱
전준호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372A/ko
Publication of KR2019005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3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0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substances, e.g. indicators, for forming visible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알칼리 가용성 수지, 착색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글리콜우릴 계열 화합물을 통해 착색 효율 및 패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backlight)와 같은 별도 광원을 사용하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 화소별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컬러 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컬러 필터는 RGB 각각의 화소에 대응되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을 도포 및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파장에 대해 흡수 또는 흡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최근 고해상도, 고휘도의 색재현 특성이 요구됨에 따라, 컬러필터의 단위 부피 혹은 단위 면적 당 상기 착색제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착색제에 의한 액정층과 같은 표시 패널의 오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증가되는 경우, 바인더 수지, 중합성 단량체 등과 같은 성분들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패턴 밀착성, 열 안정성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고해상도의 화상 표시 장치일수록, 상기 컬러 필터의 피치 혹은 사이즈 역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패턴 안정성, 휘도, 색재현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컬러 필터 혹은 착색 패턴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2754호는 안료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고해상도의 색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모두 만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2754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색재현 특성 및 도막 형성 특성을 갖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향상된 색재현 특성 및 기계적 신뢰성을 갖는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알칼리 가용성 수지; 착색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상기 글리콜우릴 구조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탄화수소 그룹이며,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함).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적어도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5. 위 4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광중합성 단량체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7. 위 1에 있어서,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상기 중합성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10 내지 80중량부 및 상기 착색제 3 내지 60중량부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8. 위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로 형성된 착색 패턴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9. 위 8의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우릴 구조의 판상형, 대칭형 구조에 의해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수축력, 혹은 패턴 밀도가 향상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 혹은 착색 패턴의 단위 부피당 착색제의 함량 혹은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사이즈의 착색 패턴으로도 우수한 휘도, 색재현 특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의 착색제 양으로도 우수한 색재현 특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등과 같은 막 형성 관련 성분들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열성, 밀착성, 감도, 현상성 등과 같은 막 형성 특성, 기계적 신뢰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고 휘도 및 고 신뢰성의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LCD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우수한 패턴 신뢰성 및 착색 특성을 갖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착색 감광성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현상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상기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과 함께 알칼리 가용성 수지, 착색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광중합성 단량체, 기타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글리콜우릴(glycolurill)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광경화 혹은 열경화에 의해 가교되어 수축성을 갖는 화합물로서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이하, "중합성 화합물"로도 약칭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글리콜우릴 구조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1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그룹은 예를 들면, 산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적어도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상기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하기의 화학식 1-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3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학식 1 중, R1, R2, R3 및 R4 모두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04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화학식 1 중,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이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브릿지 부위를 통해 (메타)아크릴레이트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pat00005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판상 구조를 가지며 대칭성을 갖는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므로, 경화시 우수한 패킹 밀도(packing density)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로 형성된 착색 패턴의 수축률이 증가하여 단위 부피 당 착색제의 함량 및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착색제로도 우수한 색 재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의 향상된 패킹 혹은 수축 특성에 의해 상기 착색제가 예를 들면, 화소부로 유출되어 색 번짐, 휘도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휘도, 색재현 특성 구현을 위해 소요되는 착색제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착색제외의 다른 패턴 형성 혹은 막 형성 관련 성분들(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단량체 등)의 양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패턴 밀착성, 노광 및 현상 감도, 내열성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글리콜우릴 구조에 결합된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학식 1-3에서와 같이 덴드리머 유사 구조로 복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이 확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성물의 반응성 및 감도가 추가로 향상되어 착색 패턴의 경도 및 기계적 신뢰성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상기 상기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은 약 10 내지 3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약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술한 패킹 밀도 증가를 통한 착색 특성, 기계적 특성 향상이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약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도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광반응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분산 안정성이 떨어지고,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착색 특성 및 기계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약 20 내지 3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알칼리 가용성 수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수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현상 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종류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류;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디카르복실산류 및 이들의 무수물;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양 말단에 카르복시기와 수산기를 갖는 폴리머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아크릴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량체를 더 사용하여 중합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m-메톡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o-비닐벤질메틸에테르, m-비닐벤질메틸에테르, p-비닐벤질메틸에테르, o-비닐 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벤질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o-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m-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p-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o-메틸페닐말레이미드, N-m-메틸페닐말레이미드, N-p-메틸페닐말레이미드, N-o-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m-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p-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등의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족(메타)아크릴레이트류;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류;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3-에틸옥세탄,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옥세탄,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2-페닐옥세탄, 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옥세탄 등의 불포화 옥세탄 화합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옥시란 화합물 등을 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산가는 약 20 내지 200(KOH㎎/g)일 수 있다. 상기 산가 범위에서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턴 해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적절한 현상, 패턴 특성 및 착색제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약 30 내지 150(KOH㎎/g)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예를 들면,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Mw)은 약 3,000 내지 5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30,000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범위 내에서 현상 공정에서의 막 손실 및 패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분자량 분포[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는 약 1.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현상 및 패턴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약 1.8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약 10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7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조성물의 코팅성, 막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착색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착색제로서 적어도 1종의 안료,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안료 또는 무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안료의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아조 안료, 불용성 아조 안료, 프타로시아닌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이소인돌린 안료, 페리렌 안료, 페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디안트라퀴노닐 안료, 안트라피리미딘 안료, 안탄트론(anthanthrone) 안료, 인단트론(indanthrone) 안료, 프라반트론 안료, 피란트론(pyranthrone) 안료, 디케토피로로피롤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착염 등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철, 코발트, 알루미늄, 카드뮴, 납, 구리, 티탄, 마그네슘, 크롬, 아연, 안티몬 등과 같은 금속의 산화물 또는 복합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로는 색지수(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피그먼트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하기에 나열된 색지수(C.I.) 번호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C.I. 피그먼트 안료 등 중,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 옐로우 138, C.I. 피그먼트 옐로우 139, 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C.I. 피그먼트 옐로우 185, C.I. 피그먼트 오렌지 38, C.I. 피그먼트 레드 122, C.I. 피그먼트 레드 166, C.I. 피그먼트 레드 177, C.I. 피그먼트 레드 208, C.I. 피그먼트 레드 242, C.I. 피그먼트 레드 254, C.I. 피그먼트 레드 255,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23, C.I. 피그먼트 블루 15:3, 피그먼트 블루 15:6, C.I. 피그먼트 그린 7, C.I. 피그먼트 그린 36, C.I. 피그먼트 그린 5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안료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들이며, 원하는 색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것을 선택 및 조합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료의 조성물 내 균일한 분산을 위해 안료 분산제를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료 분산제 내에 안료를 분산시켜 균일한 입경을 갖는 안료 분산액을 형성하고, 상기 안료 분산액을 착색 감광성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안료 분산제의 예로서, BMA(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DMAEMA(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아민계 분산제, (메트)아크릴산-스티렌 코폴리머,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코폴리머, 스티렌-말레산 코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수지 타입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유기용매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 및 내용매성, 경시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염료로는 설폰산이나 카복실산 등의 산성기를 갖는 산성 염료 또는 이의 유도체, 아조계, 크산텐계, 프탈로시아닌계의 산성염료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예를 들면 컬러 인덱스(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내에 염료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이나, 염색 노트(색염사)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C.I. 솔벤트 계열, 또한, C.I. 애시드 계열, C.I.다이렉트 계열, C.I. 모단토 계열 염료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약 3 내지 6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착색제의 외부 유출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색 재현성을 구현할 수 있다.
광중합성 단량체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노광 공정에 의해 추가 가교 혹은 중합되어 착색 패턴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중합성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단관능 단량체, 2관능 단량체 또는 다관능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경화특성 구현을 위해 2관능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단량체의 예로서 노닐페닐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2관능 단량체의 예로서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테르, 3-메틸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다관능 단량체의 예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레이티드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의 함량은 예를 들면,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약 5 내지 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착색제의 색 재현성을 저하시키 않으면서 착색 패턴의 강도 및 기계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상술한 광중합성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노광 공정에 의해 상기 중합성 화합물 및/또는 광중합성 단량체를 가교 혹은 중합을 유도하기 위해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옥심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톤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의 예로서,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예를 들면,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약 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착색제의 색 재현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노광 공정에 대한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에 의해 중합이 개시된 후, 중합 진행을 촉진시키기 위해 광중합 보조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중합 보조제는 예를 들면, 아민계 화합물, 알콕시안트라센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의 예로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메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벤조산2-디메틸아미노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N,N-디메틸파라톨루이딘,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미힐러즈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에틸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콕시안트라센계 화합물의 예로서 9,10-디메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메톡시안트라센,9,10-디에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에톡시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첨가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은 코팅성, 밀착성, 경도 등의 막 특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타 고분자 화합물, 경화제, 계면 활성제, 밀착 촉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 방지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기타 고분자 화합물은 착색 패턴의 경도, 밀착성 등을 고려하여 추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말레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착색 패턴의 심부 경화를 통한 강도 증진을 위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또는 옥세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불소 원자를 가지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밀착 촉진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예로서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2,6-디-t-부틸-4-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티리아졸, 알콕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응집 방지제의 예로서 예컨대 폴리아크릴산 혹은 이의 염을 들 수 있다.
용제
용제는 상술한 중합성 화합물 및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충분히 용해시키며, 착색제의 석출을 야기하지 않은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예로서, 글리콜 에테르계,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톡시 알코올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등), 아세테이트계(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톡시 아세테이트 등), 셀로솔브계(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프로필 셀로솔브 등), 탄화수소계(노말 헥산, 노말 헵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감마-부티롤락톤 등의 용매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포성 및 건조성을 고려하여 비점이 100℃ 내지 200℃인 유기 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에틸락테이트, 부탈락테이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술한 조성물의 성분들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100중량부 중 약 6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스핀 코터, 슬릿 앤 스핀 코터, 슬릿 코터(다이 코터, 커튼플로우 코터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다), 잉크젯 등을 이용한의 도포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 장치 >
상술한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해 착색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착색 패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컬러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면 유리 기판 상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색상별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유리 기판 및 블랙 매트릭스 상에 상기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예비 착색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예비 착색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각 화소에 대응하는 착색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광 공정은 상기 화소 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마스크를 사용한 자외선 노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비노광 영역을 현상액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착색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현상액은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 알칼리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알칼리성 화합물의 예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암모늄, 인산이수소암모늄, 인산이수소칼륨,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붕산나트륨, 붕산칼륨,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알칼리성 화합물의 예로서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현상 공정 이후, 예를 들면 150 내지 230℃에서 포스트 베이킹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착색패턴들을 덮는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오버 코팅층 상에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은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ITO)와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공정들에 의해 착색 패턴을 포함하는 컬러필터가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통해 수축 특성이 강화되어 미세 치수의 착색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은 양의 착색제로도 원하는 색 재현 특성 및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백 라이트를 포함하는 LCD 장치일 수 있다.
상기 LCD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하부 편광판 및 TFT 어레이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화소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화소 전극이 형성된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상에 액정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TFT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도록 상술한 컬러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층이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하도록 컬러필터를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 상에는 상부 편광판, 보호 기판 등이 적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의 패킹 특성에 의해 착색제의 화소부 혹은 액정층으로의 번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Whited OLED)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백색 OLED 소자 기판 상에 상기 컬러필터가 적층될 수 있으며, OELD의 자발광에 대한 내광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험예
합성예 1: 화학식 1-1 화합물(A-1)의 합성
냉각관, 교반기를 갖춘 4구 둥근 플라스크에 1,3,4,6-테트라키스(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29.6중량부, 톨루엔 500중량부를 넣고 교반하면서 바륨 히드록사이드 0.6중량부, 포름알데히드 11.4중량부와 아크릴산 8.4중량부를 투입하였다. 환류반응을 12시간 지속하였으며, TLC를 통해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3회 유기액을 세정 후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 고체인 상기 화학식 1-1의 화합물 42.4중량부(수율 85%)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2: 화학식 1-2 화합물(A-2)의 합성
냉각관, 교반기를 갖춘 4구 둥근플라스크에 1,3,4,6-테트라키스 (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33.9중량부, 톨루엔 500중량부를 넣고 교반하면서 바륨 히드록사이드 0.6중량부, 포름알데히드 6.4중량부와 아크릴산 12.4중량부를 투입하였다. 환류반응을 12시간 지속하였으며, TLC를 통해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3회 유기액을 세정 후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을 고체인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 47.4중량부(수율 89%)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3: 화학식 1-3 화합물(A-3)의 합성
냉각관, 교반기를 갖춘 4구 둥근플라스크에 1,3,4,6-테트라키스(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19.9중량부, 톨루엔 500중량부를 넣고 교반하면서 바륨 히드록사이드 0.6중량부, 포름알데히드 7.5중량부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22.3중량부를 투입하였다. 환류반응을 12시간 지속하였으며, TLC를 통해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반응기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3회 유기액을 세정 후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 고체인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 44.5중량부(수율 89%)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중량부)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중합성 화합물 A-1 4.27 - - - - - -
A-2 - 4.27 - - - - -
A-3 - - 4.27 2.27 1.27 5.10 -
착색제 B-1 4.03 3.21 3.21 3.21 3.21 3.21 3.21
B-2 1.97 0.80 0.80 0.80 0.80 0.80 0.80
알칼리 가용성 수지 C 4.02 4.02 4.02 4.02 4.02 4.02 4.02
광중합성 단량체 D - - - 2.00 3.00 - 4.27
광중합 개시제 E 1.31 1.31 1.31 1.31 1.31 1.31 1.31
용제 F 84 84 84 84 84 84 84
첨가제 G-1 0.1 0.1 0.1 0.1 0.1 0.1 0.1
G-2 0.1 0.1 0.1 0.1 0.1 0.1 0.1
G-3 0.2 0.2 0.2 0.2 0.2 0.2 0.2
(A-1) 합성예 1(화학식 1-1)의 글리콜우릴 구조 포함 중합성 화합물
(A-2) 합성예 1(화학식 1-2)의 글리콜우릴 구조 포함 중합성 화합물
(A-3) 합성예 1(화학식 1-3)의 글리콜우릴 구조 포함 중합성 화합물
(B-1) C.I.피그먼트 그린 58
(B-2) C.I.피그먼트 엘로우 138
(C) 메타크릴산과 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몰비 31:69, 산가 100mgKOH/g,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 20,000)
(D) 광중합성 단량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SHIN-NAKAMURA CHEMICAL CO.,LTD. 제조)
(E) 광중합 개시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 369; Ciba SpecialtyChemical사 제조)
(F) 용제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G-1) 계면활성제(SH-8400 토레이 실리콘 제조)
(G-2) 에폭시 수지(SUMI-EPOXY ESCN-195XL; 스미또모 카가꾸 고교㈜ 제조)
(G-3) 밀착성 증진제(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컬러필터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착색 감광성 조성물을 스핀 코팅법으로 유리 기판(#1737, 코닝사 제조) 위에 도포한 다음, 가열판 위에 놓고 10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유지하여 박막을 형성시켰다.
상기 박막 위에 투과율 1 내지 100%의 범위에서 계단 형상 패턴을 갖는 시험 포토마스크를 배치하고 시험 포토마스크와의 간격을 1000㎛로 하고, 초고압 수은 램프(USH-250D, 우시오 덴끼(주) 제조)를 이용하여 대기 분위기 하에서 40mJ/㎠의 노광량(365㎚)으로 광조사하였다.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박막을 pH 12.5의 KOH 수용액 현상 용액에 스프레이 현상기를 이용하여 80초 동안 현상하였다.
상기 박막이 코팅된 유리 기판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씻어준 다음, 질소가스를 불어서 건조하고, 220℃의 가열 오븐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컬러필터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컬러필터의 패턴 형상(박막) 두께는 1.9 내지 2.1㎛였다.
(1) 감도 평가
상술한 컬러필터의 제조과정 중 현상 후 패턴의 뜯김이 없는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 노광량(mJ/㎠)을 측정하여 아래의 기준으로 감도를 평가하였다.
<감도 평가 기준>
○(우수): 30 mJ/㎠ 이하
△(양호): 30 초과 40 이하 mJ/㎠
×(불량): 40 mJ/㎠ 초과
(2) 밀착성 평가
상기에 제조된 컬러필터를 10×10mm의 영역내에서 100개의 매트릭스 구조로 절개한 후, 그 위에 테이프를 접착하고 수직으로 강하게 이형시키면서 박리되어 나온 매트릭스의 개수를 세어 밀착성을 평가하였다(박리된 개수/100).
(3) 내열성
상기에 제조된 컬러필터에 대해 230℃/2hr 열처리 전후의 색변화(내열성)를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L*, a*, b* 로 정의되는 3차원 색도계에서의 색변화를 나타내는 하기 수식 1을 사용하여, 색변화치가 작을수록 내열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수식 1]
△Eab* =[(△L*)2+(△a*)2+(△b*)2]1 /2
(4) NMP내용제성
상기에 제조된 컬러필터를 3x3cm로 자른 후, 14.6ml의 NMP 용액에 80℃에서 40분간 침지시켰다. 이후 재수집된 NMP 용액의 흡광도를 UV-Vis spectrometer로 평가하였다.
(5) 착색성
상기에 제조된 컬러필터에 대해 230℃/20min 열처리 후의 막두께를 사용하여 색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Gy=0.654에서의 기준막 대비 막두께 차이(㎛)를 표시하여 착색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감도 ×
밀착력 95/100 100/100 100/100 100/100 95/100 97/100 100/100
내열성 2.2 1.6 1.3 2.4 2.7 2.8 3.2
내용제성 1.2 0.9 0.5 0.8 1.4 1.8 2.2
착색성 -0.2 -0.3 -0.1 -0.1 0.0 -0.1 +0.1
표 2를 참조하면,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이 포함된 실시예들의 경우, 상기 중합성 화합물 대신 4관능 아크릴레이트 광중합성 단량체만 사용된 비교예에 비해 감도, 밀착력, 내열성, 내용제성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소정의 착색 특성 구현을 위해 필요한 막 두께가 감소하여 수축 특성 및 패킹 밀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이 다소 감소한 실시예 5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보다 열등한 결과가 얻어졌다.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이 과량으로 포함된 실시예 6의 경우 오히려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내열성 및 내용제성이 감소하였다.

Claims (9)

  1. 글리콜우릴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알칼리 가용성 수지;
    착색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상기 글리콜우릴 구조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1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30의 탄화수소 그룹이며,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적어도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3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중합성 단량체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고형분 총 100중량부 중, 상기 중합성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부,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10 내지 80중량부 및 상기 착색제 3 내지 60중량부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착색 감광성 조성물로 형성된 착색 패턴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9. 청구항 8의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70156915A 2017-11-23 2017-11-23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59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15A KR20190059372A (ko) 2017-11-23 2017-11-23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15A KR20190059372A (ko) 2017-11-23 2017-11-23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72A true KR20190059372A (ko) 2019-05-31

Family

ID=6665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15A KR20190059372A (ko) 2017-11-23 2017-11-23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3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754A (ko) 2007-12-28 2009-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754A (ko) 2007-12-28 2009-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710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TWI620013B (zh) 感光性樹脂組成物、包含其的感光性樹脂層和彩色濾光片
KR101400193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JP2006265548A (ja) 着色組成物
KR20120035995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액정표시장치
CN109870877B (zh)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彩色滤光片和图像显示装置
KR101962481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JP2021152145A (ja)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40008033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컬러 필터
KR20140020495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498590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79562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9946923B (zh) 着色感光性组合物、滤色器及图像显示装置
KR102386493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102545896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KR20190059372A (ko)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50028524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28483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383693B1 (ko) 착색 감광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508343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컬러 필터 및 상기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048072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510303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443757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73895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액정표시장치와 촬상소자
KR102011090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