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867A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867A
KR20160055867A KR1020167009573A KR20167009573A KR20160055867A KR 20160055867 A KR20160055867 A KR 20160055867A KR 1020167009573 A KR1020167009573 A KR 1020167009573A KR 20167009573 A KR20167009573 A KR 20167009573A KR 20160055867 A KR20160055867 A KR 2016005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release liner
doubl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365B1 (ko
Inventor
쥔이 띵
노보루 요시다
랑페이 인
마사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7/02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128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측으로부터 우선 박리시키는 것과 관계없이 박리 라이너를 쉽게 박리시킬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기재층과 해당 기재층 양면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과 해당 점착제층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상기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표면의 박리력은 모두 0.01N/50mm 이상 0.30N/50mm 미만이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각종 사무 자동화 기기, 휴대기기, 전자부품에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제조(조립)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팜톱 컴퓨터라고도 함) 등 휴대기기의 소형화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부품도 소형화, 박형화 되어야 한다. 일례로, 대표적 휴대기기인 휴대폰에 사용되는 주요부품은 모두 박층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의 표시부는 주로 LCD모듈과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바, 발광, 반사, 차광, 도광 등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각종 시트 형상의 부품이 적층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러한 부품을 조립(접합)하는 데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특허문헌1 참조)를 설계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대표적인 구성은 기재층(11)의 하나의 표면에 점착제층(1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표면(12')에 점착제층(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일반적인 형태로는 점착제층(12')이 박리 라이너(점착방지필름)(13)에 의해 보호되고, 점착제층(12)이 박리 라이너(13)의 다른 일측 표면(점착제층(12')과 반대되는 일측의 표면)과 접촉되는 방식에 의해 롤 형상으로 감기는 형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특개2012-52099호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13)로서, 박리 라이너의 박리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기재층(11) 및 이의 양측 표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12, 12')으로 구성되는 점착체의 일측 표면에 설치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체의 일측 표면 사이의 박리력(점착체에서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과 점착체의 다른 일측 표면에 설치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체의 다른 일측 표면 사이의 박리력은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이러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전기, 전자부품 등 피점착체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박리력이 작은 일측(경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를 먼저 박리시켜 피점착체의 임의의 하나의 부품에 부착시키고, 박리력이 큰 일측(중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켜 다른 하나의 부품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경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를 먼저 (중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보다 먼저) 박리시켜야 하는데, 이의 경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 어느 측이 경박리 측인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이 밖에, 중박리 측의 박리력과 경박리 측의 박리력의 차이〔(중박리 측의 박리력)-(경박리 측의 박리력)〕가 과소한 경우, 박리 조작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박리력의 차이가 과대하여 중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를 먼저 박리시킬 때, 경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 표면 사이의 계면에'들뜸'(공극이 생기는 현상)이 나타나 심지어 박리(이른바'원하지 않는 피박리현상')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경박리 측의 박리 라이너를 먼저 박리시켜야 하므로,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각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에 부착되는 부품이 이미 결정된 경우 부품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부착시키는 순서도 이에 의해 결정되므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할 시의 자유도(선택성)와 조작성이 저하된다. 한편, 부착되는 부품의 순서와 대응되도록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면에 박리 라이너(경박리 라이너, 중박리 라이너)가 설치되는 상황에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할 때의 자유도(선택성)와 조작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들뜸 현상 또는 원하지 않는 피박리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일측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켜도 해당 박리 라이너를 점착면으로부터 쉽게 박리시킬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심도 있는 연구를 거친 결과,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점착제층과 접촉되는 2장의 박리 라이너의 접촉면을 모두 경박리형으로 제작하면 들뜸 현상 또는 원하지 않는 피박리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의 경우 테이프를 사용할 때 어느 측의 박리 라이너를 우선 박리시키는 것과 관계없이, 모두 박리 라이너를 쉽게 박리시킬 수 있어 사용할 때의 자유도와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을 기초로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기재층과 기재층 양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며,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의 박리력이 모두 0.01N/50mm 이상, 0.30N/50mm 미만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이의 기재로서의 필름 또는 시트의 표면에 박리처리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처리층은 경박리형의 박리처리층인 것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는 상기 점착제층 표면의 박리력이 0.01N/50mm 이상, 0.30N/50mm 미만인 박리처리층이 있다.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접촉면과의 박리력이 0.05N/50mm 이상, 0.28N/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7N/50mm 이상, 0.25N/5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점착력이 2~20N/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점착제층의 피점착체에 대한 유지력이 5.0mm/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하나의 바람직한 방식에서, 상기 기재층 양측의 2장의 박리 라이너의 점착제층 표면과의 박리력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또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방식에서, 상기 기재층 양면에 설치되는 2장의 박리 라이너와 상기 점착제층 표면의 박리력은 상이하다. 즉,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설치되는 점착제층의 표면에 대한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은 상이하다. 상기 방식에서, 박리력이 비교적 큰 쪽의 박리력이 비교적 작은 쪽의 박리력의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시트를 기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 상기 박리처리층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점착제층의 두 표면과 합착되는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은 모두 경박리형 표면이므로,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 점착제층의 들뜸 현상 또는 원하지 않는 피박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때 부착되는 부품의 순서에 따라 대응되는 박리면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박리 라이너를 임의의 박리면의 임의의 한 곳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때의 자유도(선택성) 및 조작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방식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한 사항 외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은 해당 분야의 기술자가 설계한 종래의 기술 사항에 근거하여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공개된 내용과 해당 분야의 기술적 상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과 기재층 양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박리 라이너의 2개의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모두 경박리형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의 경우,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박리 라이너의 표면이 모두 경박리형 표면이므로, 박리 라이너를 일측의 점착제층 표면으로부터 박리시킬 때 다른 일측의 점착제층 표면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계면에 이른바 '들뜸'(박리 라이너와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함) 또는 '원하지 않는 피박리현상'(규정된 계면에서 박리될 수 없지만 다른 계면에서 오히려 박리가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명세서에서, '경박리형' 박리 라이너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 즉 후술의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박리 라이너의 180° 박리 강도('박리력'이라고도 함)가 0.01N/50mm이상 0.30N/50mm미만, 바람직하게는 0.05N/50mm이상 0.28N/50mm이하, 더욱바람직하게는, 0.07N/50mm 이상 0.25N/50mm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식에 대하여 도면과 표를 결부시켜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각 실시방식에서, 지지체인 기재층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시트 형상 제품, 즉 양면 점착 시트도 포함된다.
(기재층)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지지체인 기재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기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강도, 두께 정밀도 및 얇은 정도 등 측면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계 기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계 기재의 재질 또는 소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계,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스틸렌계 수지(폴리스틸렌 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등이 있다. 이 중, 가격 및 강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 기재는 단일층이거나 복수층일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요구되는 강도, 유연성 및 양면 점착 테이프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박리 라이너가 포함되지 않은 점착체의 두께와 요철 적응성('요철흡수성'이라고도 함, 테이프 부착시 피점착체의 요철 형상에 쉽게 적응되는 특성을 가리킴) 등 측면을 고려하여 기재층의 두께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재층의 두께가 15㎛ 이하(나아가 13㎛ 이하, 예를 들어 12㎛ 이하)인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본 명세서에 공개된 기술의 의미가 효과적으로 응용 및 발휘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의 하한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처리성 등 관점에서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2㎛ 이상인 것이 적절하고,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식에서, 기재층의 두께를 4~12㎛로 설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이하 '점착제 조성물')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산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 공지의 점착제일 수 있다. 점착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유액형 점착제, 용제형 점착제, 열용융형 점착제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기술에서의 점착제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 아크릴산계 점착제와 고무계 점착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내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측면과 설계적 자유도의 측면을 고려하여 아크릴산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계 점착제는 아크릴산계 중합체를 주요 성분 또는 기초 중합체로 한다. 이 밖에, 기초 중합체(점착제의 기본 성분)로서,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4~12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반적으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킴)를 단량체 주요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4~12인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4~12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량체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고, 단량체 성분 총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 총량 중의 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력과 유지력이 저하되어 점착 테이프 또는 점착 시트에 요구되는 양호한 점착력과 유지력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단량체 성분 총량 중의 C4-1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상한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98 중량% 이하인 것으로 98 중량% 이하(예를 들어 97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산계 기초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일반적으로 30만 이상 200만 이하(바람직하게는 60만~15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만~13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계 기초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미만인 경우, 점착제에서 요구되는 점착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200만을 초과하는 경우, 점착력의 점도가 상승하어 도포성 불량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밖에, 응집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산계 점착제에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점착력과 응집력의 균형을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측면을 고려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있어, 이의 1개의 분자에 최소한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구비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지방족 고리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이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가교제의 가교점 등을 도입하기 위해 가교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가교보조제에 대하여, 1개의 분자에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구비하는 폴리하이드록시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하이드록시기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올, 지환족 폴리올, 방향족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아크릴산계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등이 있다.
가교보조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아크릴산계 중합체의 극성이 크므로, 폴리올레핀 등 극성이 낮은 피점착체에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점착제에 점착부여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점착부여제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로진계, 테르펜계, 탄화수소계, 에폭시계, 폴리아미드계, 탄성체계, 페놀계, 케톤계 등 각종 점착부여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진(rosin)계 점착부여수지의 예로는 검(gum) 로진, 우드(wood) 로진, 톨유(tall oil) 로진 등 미변성 로진(생(raw) 로진)과 수소화, 불균등화, 중합 등을 통해 이러한 미변성 로진을 변성시킨 변성 로진(수소화 로진, 불균등화 로진, 중합 로진, 기타 화학적 개질을 거친 로진 등) 및 기타 각종 로진 유도체 등등이 있다. 상기 로진 유도체의 예로는 알콜계를 사용하여 미변성 로진을 에스테르화한 산물(즉, 로진의 에스테르화물)과 알콜계를 사용하여 변성 로진(수소화 로진, 불균등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을 에스테르화한 산물(즉,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화물 등) 등 로진 에스테르계; 불포화지방산을 사용하여 미변성 로진 또는 변성 로진(수소화 로진, 불균등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을 변성시킨 불포화지방산 변성 로진계; 불포화지방산을 사용하여 로진 에스테르계를 변성시킨 불포화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계;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수소화 로진, 불균등화 로진, 중합 로진 등), 불포화지방산 변성 로진계 또는 불포화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계 중의 카르복실기를 환원처리 함으로써 얻은 로진 알콜계;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 각종 로진 유도체 등 로진계(특히 로진 에스테르계)의 금속염; 산 촉매를 사용하여 페놀을 로진계(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 각종 로진 유도체 등)에 첨가함으로써 열중합을 거쳐 얻은 로진 페놀 수지 등등이 있다.
테르펜계 점착부여수지의 예로는, α-피넨 중합체와 β-피넨 중합체, 디테르펜 중합체 등 테르펜계 수지가 있다. 이러한 테르펜계 수지는 변성(페놀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화 변성, 알킬 변성 등)을 거친 변성 테르펜계 수지이다. 상기 테르펜계 변성 수지의 예로는, 테르펜-페놀계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계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계 수지, 수소화 테르펜계 수지 등이 있다.
탄화수소계 점착부여수지의 예로는,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사이클로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스티렌-올레핀계 공중합체 등),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화 알킬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등 각종 탄화수소계 수지가 있다. 상기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로서,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4~5 정도인 올레핀과 다이엔 중에서 선택되는 한 종류 또는 여러 종류의 지방족 탄화수소의 중합체 등이 있다. 상기 올레핀으로서, 예를 들면 1-부틸렌, 이소부틸렌, 1-아밀렌 등이 있다. 상기 다이엔으로서, 예를 들면 부타디엔, 1, 3-펜타디엔, 이소프렌 등이 있다. 상기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로서,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8~10 정도인 비닐 방향족계 탄화수소(스티렌, 비닐 톨루엔, α-메틸 스틸렌, 인덴, 메틸인덴 등)가 함유된 중합체 등이 있다. 상기 지방족계 사이클로 탄화수소 수지로서, 예를 들면 이른바 'C4 석유 유분', 'C5 석유 유분'의 고리화, 이합체화된 후 이를 중합시켜 형성된 지환 탄화수소계 수지와 고리형 다이엔 화합물(사이클로펜타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노보넨, 디테르펜 등)의 중합체 또는 이의 수소화물,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또는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를 방향 고리 수소화시켜 형성된 지환 탄화수소계 수지 등등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제에 예를 들면 충전제, 난연제, 항노화제, 정전기 방지제, 연화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착색제(염료, 안료 등), 광안정제 등 공지의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의 점착제가 도포된 후 우수한 초기 응집력을 구비하므로, 우수한 유지력으로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양면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점착력으로 각종 피점착체에 점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점착력은 2~20N/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4~12N/2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180° 박리 점착력은 스테인리스(SUS304)판을 피점착체로 하고, 해당 피점착체에 압접된 후 30분 이후에 인장속도가 300mm/분인 조건 하에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180° 박리 점착력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박리 라이너를 제외한 점착체의 하나의 점착면(1면)과 다른 하나의 점착면(2면) 모두 상기 180° 박리 점착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의 유지력은 5.0mm/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hr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유지력은 베이크라이트판(bakelite plate)을 피점착체로 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를 20mm×20mm의 점착 면적으로 해당 피점착체에 압접시킨 후 30분 이후에 500g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1시간 방치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가 최초의 점착위치로부터 이동한 거리를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하여 얻은 유지력을 가리킨다. 점착체(박리 라이너를 제외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1면과 2면 모두 상기 유지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해당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에 부착되는 피점착체에 대한 유지력이 5.0mm/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hr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체의 1면과 2면 모두 상기 유지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점착체 단일측 점착제층의 두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점착 특성과 기재층과 이의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총 두께 또는 요철 적응성 및 조작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3~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양호한 점착성을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30㎛를 초과하는 경우,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워 이를 사용하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등을 고정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제품의 박막화, 소형화에 불리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단일층이거나 복수층일 수 있다. 이 밖에,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양자의 두께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층과 이의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총 두께(즉, 박리 라이너를 제외한 점착체의 두께)는 3~80㎛의 범위인 것이 적당하고, 10~60㎛인 것이 바람직하며, 25~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4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체의 두께가 80㎛를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제품(예를 들면 하드 드라이버 등)의 박막화, 소형화에 불리하다. 3㎛ 미만으로 지나치게 얇은 경우,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가공성, 조작성 및 점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재층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대략 비슷한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재층의 1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두께에 비해, 기재층의 2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0.8배~1.2배(바람직하게는 0.9배~1.1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배~1.05배, 대표적으로는 1.0배)로 설정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의 두께에 비해 해당 기재층의 양면(1면과 2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총 두께가 2배 이상인 방식으로 적절하게 실시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에 비해, 해당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총 두께가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배 이상(예를 들어 5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착제층의 총 두께와 기재층 두께의 비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요철 적응성과 피점착체에 대한 점착성(예를 들어 180° 박리 점착력)을 높은 수준에서 두루 고려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가 15㎛ 이하(예를 들어 13㎛ 이하)인 방식에서, 상기의 '점착제층의 총 두께와 기재층의 두께의 비율'이 응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박리 라이너와 해당 점착제층의 표면의 박리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공개된 기술을 적용하여 박리력을 한정시키는 것에 매우 의미가 있다.
(박리 라이너)
박리 라이너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공지의 박리 라이너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로서, 기재(박리 라이너용 기재)의 최소한 일면에 박리 도포층이 형성되어 있는 라이너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기재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종이, 발포체, 금속박 등 각종 박편형상의 물질 등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 기재인 플라스틱 필름의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등 열가소성 수지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한 박리 라이너 기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점착면에 대한 밀착성과 친화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각종 공정에서 휘어지더라도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점착면에 점착된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 박리 라이너의 기재는 단일층이거나 복수층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모두 적절하며 이 중 폴리에틸렌(특히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박리 라이너로서, 폴리에틸렌계 필름 또는 시트(특히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시트,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시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중 PET가 특히 바람직하므로, PET필름의 PET계 박리 라이너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 기재의 두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5~75㎛(바람직하게는 8~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40㎛)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재가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강성이 크고, 점착제층 측면 표면에 대한 적응성이 저하되어 박리 라이너의 들뜸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 밖에, 스트립화(stripication)의 경우 롤의 지름이 커지고 부피도 커지는 경우가 있다. 기재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의 조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가 2장의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경우, 이 2장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2장의 박리 라이너의 상이한 두께에 따른 방식으로 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장 중 1장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를 다른 1장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해당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키기 전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가공성(예를 들어 펀칭성(punch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장의 박리 라이너 양자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것에 비해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점착체와 2장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 포함)를 제어할 수 있고, 박리 라이너의 들뜸 현상도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 단일측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를 다른 하나의 측 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우수한 가공성뿐만 아니라 박리의 기점(픽업성(pickup performance)이 양호해짐) 제작이 쉬워진다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두께가 15㎛ 이하(예를 들어 13㎛ 이하)인 경우, 상기와 같이 박리 라이너의 두께를 조절하여 가공성과 기타 특성을 두루 고려하는 것에 매우 의미가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2장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 차이가 50㎛ 미만인 것이 적당하다. 박리 라이너의 들뜸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측면을 고려하여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두께 차이를 20㎛ 이하, 나아가 15㎛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밖에, 2장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 차이의 하한이 0보다 큰 것이 적당하지만 두께 차이에 따른 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발휘하는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두께의 차이를 3㎛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고, 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2장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의 차이는, 예를 들면 기재층의 두께가 15㎛ 이하(예를 들면 13㎛ 이하)인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적절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에서, 박리처리제를 사용하여 기재 표면에 박리처리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처리층을 구성하는 박리처리제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 불소계 박리처리제, 긴사슬 알킬기계 박리처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처리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박리처리제로서, 박리성과 원가 등 측면을 고려하여 실리콘계 박리처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리콘계 박리처리제는 폴리실록산계 중합체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공지의 폴리실록산계 박리처리제(실리콘계 박리처리제)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박리처리제에서, 부가반응형 폴리실록산계 박리처리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가반응형 폴리실록산계 박리처리제는 부가반응형 가교(경화반응)를 통해 경화되어 박리성 라미네이팅이 형성되고, 유용한 박리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리콘계 박리처리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공보 특개2004-346302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특개2004-346303호 등에 예시된 실리콘계 박리처리제 등이 있다.
부가반응형 폴리실록산계 박리처리제로서, 공지의 부가반응형 폴리실록산계 박리처리제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 및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실록산계 박리처리제는, 예를 들면 상품명칭이 'TPR 6600'(GE도시바실리콘회사 제품), 'KS-778'(신에츠화학회사 제품), 'KS-837'(신에츠화학회사 제품)인 시판 제품 등이 있다.
박리처리층은 박리처리제를 박리 라이너용 기재의 규정된 표면에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반응 등에 사용되는 가열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건조 및 경화반응 등에 사용되는 가열 공정에서, 공지의 또는 관용의 가열방법(예를 들면 열풍식 건조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박리처리제의 도포량이 적절해야 한다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박리처리제의 도포량이 너무 적으면 박리력이 크고, 실용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박리처리제의 도포량이 너무 많으면,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박리처리제의 적절한 도포량(고체 성분 함량)은 사용하는 점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5g/m2일 수 있고, 0.05~3g/m2인 것이 바람직하며, 0.2~1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리처리층의 두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0.03~10㎛(바람직하게는 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에 대한 180° 박리 시험에서의 박리력은 0.01N/50mm 이상 0.30N/50mm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05N/50mm 이상 0.28N/50m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N/50mm 이상 0.25N/50mm 이하이다. 상기 박리력이 0.30N/50mm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이중 경박리형 박리 라이너의 구조로 인해, 박리 라이너를 박리할 때 들뜸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이 0.01N/50mm 미만인 경우, 보호성이 좋지 않아 박리 라이너의 들뜸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각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 밖에, 모두 0.30N/50mm 미만인 경우, 박리 라이너의 임의의 한 쪽의 박리력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하지만, 박리력이 큰 쪽의 박리력이 작은 쪽의 박리력의 200% 보다 크지 않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면, 박리력이 비교적 큰 쪽의 박리력이 비교적 작은 쪽의 박리력의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상기와 같이 두께가 상이한 2장의 박리 라이너가 구비되는 방식에서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F1)[N/50mm]이 두께가 비교적 얇은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F2)[N/50mm]보다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박리 라이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박리 라이너의 들뜸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F2<F1가 되도록 함으로써 두께가 상이한 임의의 박리 라이너가 모두 효과적으로 들뜸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F1/F2가 1.0보다 크고 1.5 이하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1.05 이상 1.25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박리 라이너의 두께의 차이가 5㎛ 이상 40㎛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인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바람직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의 기재 표면에 박리처리층이 구비되는 경우, 예를 들면 기재의 최소한 일면(특히 단일면)에 박리처리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박리처리층이 형성되어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 제품)
도 2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례의 단면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은 사용 전에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각 점착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양면이 모두 박리면인 1장의 박리 라이너를 롤 형상으로 감는 형식에 의해 보호되도록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21)이 포함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20)에서 2개의 점착제층(22, 22')의 점착면은 각각 2장의 박리 라이너(23, 23')에 의해 보호된다. 박리 라이너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료로 사용되고, 양면 점착 테이프가 피점착체에 부착된 후 제거된다.
이 밖에, 본 발명에서 점착체와 박리 라이너의 총 두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 전체의 강성이 너무 커서, 점착면과 박리 라이너의 계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화(stripication)의 경우 롤의 지름이 커져 부피가 커질 수도 있다. 상기 총 두께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이하(예를 들면 125㎛ 이하, 나아가 1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총 두께의 하한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60㎛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편상물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고,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에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사용 전에 일본 니토덴코회사에서 생산된 상품명칭이 'SPV-V' 시리즈인 표면 보호재료 등을 다시 사용하여 박리 라이너의 외측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사항에는 아래와 같은 기술 방안이 포함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바이다.
(1) 기재층과 기재층의 양면의 각 점착제층과 각 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상기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표면이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박리력이 0.01N/50mm 이상 0.30N/50mm 미만인 경박리형 표면인 것인, 양면 점착 테이프.
(2) (1)에 있어서, 이 중 상기 박리 라이너가 기재로서의 필름 또는 시트의 표면으로서 형성되는 경박리형의 박리처리층을 구비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상기 점착제층 표면과의 박리력이 0.05N/50mm이상 0.28N/5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4)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상기 점착제층 표면과의 박리력이 0.07N/50mm이상 0.25N/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5) (1) 또는 (2)에 있어서,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점착력이 2~20N/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6) (1) 또는 (2)에 있어서,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피점착체에 대한 상기 점착제층의 유지력이 5.0mm/h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기재층과 이의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총 두께가 3~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8)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설치되는 2장의 박리 라이너와 상기 점착제층 표면의 박리력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9)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설치되는 2장의 박리 라이너와 상기 점착제층 표면의 박리력이 상이하고, 박리력이 비교적 큰 쪽의 박리력이 비교적 작은 쪽의 박리력의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0)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시트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1)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산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2) (2)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박리처리층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하기 실시예와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분'은 '중량분'을 가리킨다.
(중합체)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아래의 합성 중합체를 사용한다.
톨루엔 68분과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분, 부틸 아크릴레이트 30분, 아크릴산 3분을 온도계와 교반기, 질소 가스 도입관, 환류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는 반응기에 넣어 질소 가스(N2)로 1시간 이상 치환한다. 아조디이소부틸니트릴(상하이스쓰허웨이화학공업유한회사 제품)을 개시제로 투입한 뒤, 내부 온도를 62℃로 높인 후 반응이 거의 끝날 때까지 해당 온도를 유지시키고, 냉각시킨 후에 반응을 중지시킨다.
(점착부여수지)
중합 로진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계의 상품명칭이 '펜셀(Pensel) D-125'(아라카와 화학회사 제품)인 제품을 점착부여수지로 사용한다.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계의 상품명칭이 '코로네이트(Coronate) L'(일본폴리우레탄공업회사 제품)인 제품을 가교제로 사용한다.
[실시예 1]
상기 중합체 100분에 대하여 가교제 3분을 첨가하고, 점착부여수지 30분을 첨가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조한다.
경박리처리A(HY-S10(둥산박막회사 제품)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음)를 거친 25㎛ 두께의 PET필름(경박리A#25)을 준비한다. 해당 PET필름의 이형면(1면)에 상기 점착제 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건조 시의 두께가 4㎛인 점착제층을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기재층의 1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상기 PET필름의 이형면(1면)에 형성시킨다. 점착제층 표면에 기재층으로서의 2㎛ 두께의 PET필름 1면을 다시 적층시킨다.
경박리처리A를 거친 38㎛ 두께의 PET필름(경박리A#38)을 준비한다. 해당 PET필름의 이형면(2면)에 상기 점착제 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건조 시의 두께가 4㎛인 점착제층을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기재층의 2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상기 PET필름의 이형면(2면)에 형성시킨다. 해당 2면 상의 점착제층을 상기 PET필름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일측의 표면(2면)에 복합시킴으로써 기재층의 1면과 2면에 각각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1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2]
1면과 2면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13㎛로 하고, 기재층의 PET필름의 두께를 4㎛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3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3]
1면과 2면 상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24㎛로 하고, 기재층의 PET필름의 두께를 12㎛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6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4]
1면과 2면 상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14㎛로 하고, 기재층의 PET필름의 두께를 23㎛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51㎛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5]
1면과 2면 상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21㎛로 하고, 기재층의 PET필름의 두께를 18㎛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6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6]
1면과 2면 상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19㎛로 하고, 기재층의 PET필름의 두께를 12㎛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5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7]
2면에 대한 이형처리를 경박리처리B(HY-US20(둥산박막회사 제품)과 동일한 처리)로 대체하는 것 외에,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5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의 2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상기 경박리처리B의 처리를 거친 38㎛ 두께의 PET필름(경박리B#38)으로 경박리A#38의 PET필름을 대체한다.
[실시예 8]
1면의 박리 라이너의 기재와 2면의 박리 라이너의 기재의 두께를 각각 38㎛와 75㎛로 바꾸는 것 외에,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5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의 1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경박리A#38의 PET필름을 사용하고, 기재층의 2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상기 경박리처리A의 처리를 거친 75㎛ 두께의 PET필름(경박리A#75)을 사용한다.
[실시예 9]
2면에 대한 이형처리를 경박리처리B(HY-US20(둥산박막회사 제품)과 동일한 처리)로 대체하는 것 외에,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6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의 2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경박리B#38의 PET필름을 사용한다.
[실시예 10]
실시예 8에 있어서, 1면과 2면에 대한 이형처리를 경박리처리B(HY-US20(둥산박막회사 제품)과 동일한 처리)로 대체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의 1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경박리B#38의 PET필름을 사용한다. 이 밖에, 기재층 2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상기 경박리처리B의 처리를 거친 75㎛ 두께의 PET필름(경박리B#75)을 사용한다. 다른 방면에 있어,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5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11]
1면과 2면 상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24㎛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6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실시예 12]
1면 박리 라이너의 기재 두께를 12㎛로 바꾸는 것 외에,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5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 1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상기 경박리처리A의 처리를 거친 12㎛ 두께의 PET필름(경박리A#12)을 사용한다.
[실시예 13]
1면과 2면 상에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모두 9㎛로 하는 것 외에,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3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비교예 1]
2면을 구비하는 박리 라이너의 기재 두께를 75㎛로 하고, 2면에 대한 이형처리를 중박리처리C(HY-US30(둥산박막회사 제품)과 동일한 처리)로 대체하는 것 외에,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지 않은 두께가 30㎛인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제조된다. 즉, 본 비교예에서 기재층 2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박리 라이너에 있어 상기 경박리처리C의 처리를 거친 75㎛ 두께의 PET필름(중박리C#75)을 사용한다.
(평가)
하기 방법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얻은 각 양면 점착 테이프 제품의 박리력과 박리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박리력 측정방법)
양면 점착 테이프 제품으로부터 너비가 50mm, 길이가 150mm인 테이프 조각을 절단한다. 박리력을 테스트하고자 하는 박리 라이너와 반대되는 일면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킨 후, 점착제면에 두께가 25㎛인 PET필름을 접합시켜 테스트 샘플을 제조한다.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Z0237 규격에 따라 박리 라이너에 대하여 180° 박리 시험을 진행하여 박리 라이너의 180° 박리 점착력(N/50mm)을 측정하는데, 이를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이라 한다. 23℃±2℃, 50%±5%RH의 환경과 박리각도가 180°, 인장속도가 300mm/분인 조건에서 시험을 진행한다. 시험횟수(n의 수)를 3차례로 하여 평균치를 산출한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성 평가방법)
50mm×300mm 크기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고, 각 박리 라이너에 대하여 0.3~50m/min의 속도로 박리를 진행하면서 '들뜸' 현상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일측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 박리측의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 표면(점착면) 사이의 계면에 박리가 확실히 발생하였는지, 양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측의 박리 라이너를 쉽게 박리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일측의 박리 라이너(박리시키지 않은 일측의 박리 라이너)가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점착 시트의 점착면으로부터 들떠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이 밖에, 박리측의 박리 라이너와 점착면 사이의 계면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다른 일측의 박리 라이너와 점착면 사이의 계면에 박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성 평가 기준이 아래와 같다는 것을 설명하는 바이다.
○: 일측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 박리가 쉽고 다른 일측의 박리 라이너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 다른 일측의 박리 라이너에 들뜸 현상이 발생함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에서, 어느 측의 박리 라이너를 우선 박리시키는 것과 관계없이 이른바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박리시키고자 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 사이의 표면에서 박리가 발생하도록 하여 박리시키고자 하는 박리 라이너를 양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쉽게 박리시킬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중박리처리 일측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시킬 때, 이의 경박리처리 일측의 박리 라이너 상에 이른바 '들뜸'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은 상기 예시된 구체적인 예에 각종 변형과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얻은 방안을 포함한다.
10 양면 점착 테이프
11 기재층
12, 12' 점착제층
13 박리 라이너
20 양면 점착 테이프
21 기재층
22, 22' 점착제층
23, 23' 박리 라이너

Claims (12)

  1. 기재층과 해당 기재층의 양면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점착제층과 해당 점착제층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고,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점착제층 표면과 접촉되는 표면의 박리력이 모두 0.01N/50mm 이상 0.30N/50mm 미만인 것인,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가 기재로서의 필름 또는 시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박리처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상기 점착제층 표면과의 박리력이 0.05N/50mm 이상 0.28N/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의 상기 점착제층 표면과의 박리력이 0.07N/50mm 이상 0.25N/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점착력이 2~20N/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Z0237 규격에 따라 측정된 상기 점착제층의 베이크라이트판(bakelite plate)에 대한 유지력이 5.0mm/h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기재층과 이의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총 두께가 3~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층 양면에 설치되는 2장의 박리 라이너와 상기 점착제층 표면의 박리력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층 양면에 설치되는 2장의 박리 라이너와 상기 점착제층 표면의 박리력이 상이하고, 박리력이 비교적 큰 쪽의 박리력이 비교적 작은 쪽의 박리력의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시트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산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가 기재로서의 필름 또는 시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실리콘계 박리처리제로 형성되는 박리처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67009573A 2013-09-17 2014-09-16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268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25389.X 2013-09-17
CN201310425389.XA CN104449438A (zh) 2013-09-17 2013-09-17 双面胶带
PCT/CN2014/086627 WO2015039590A1 (zh) 2013-09-17 2014-09-16 双面胶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867A true KR20160055867A (ko) 2016-05-18
KR102268365B1 KR102268365B1 (ko) 2021-06-23

Family

ID=5268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573A KR102268365B1 (ko) 2013-09-17 2014-09-16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7644B2 (ko)
KR (1) KR102268365B1 (ko)
CN (3) CN104449438A (ko)
WO (1) WO2015039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791B1 (ko) * 2015-08-24 2024-03-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을 갖는 광학 부재
EP3548250A4 (en) * 2016-12-05 2020-1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INCLUDING A POLYLACTIC ACID POLYMERIC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6634664A (zh) * 2016-12-26 2017-05-10 厦门大学嘉庚学院 一种耐潮湿的随意固定黏贴薄膜
CN107129768A (zh) * 2017-05-12 2017-09-05 东华大学 一种具有延展性和弹性的强弱双面胶
JP7240806B2 (ja) * 2017-10-06 2023-03-1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
JP6973050B2 (ja) * 2017-12-26 2021-11-2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着色離型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CN108735101B (zh) * 2018-05-28 2020-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0776840A (zh) * 2019-11-16 2020-02-11 邵阳市祥佳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抗静电封缄胶带及其制备方法
CN113136145B (zh) * 2020-01-17 2023-04-07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绝缘树脂片及其使用方法、包含其的印制电路板和应用
CN116897196A (zh) * 2021-03-05 2023-10-17 日东电工株式会社 带衬垫的双面粘合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1109A (ja) * 2009-07-16 2011-02-03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2012025813A (ja) * 2010-07-21 2012-02-09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2012052099A (ja) 2010-08-05 2012-03-15 Nitto Denko Corp 接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36A (ja) * 1993-07-30 1995-02-10 New Oji Paper Co Ltd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2003177241A (ja) * 2001-12-10 2003-06-27 Fujimori Kogyo Co Ltd 光学用積層体、粘着剤転写テープ、および光学用積層体の製造法
JP2003181967A (ja) * 2001-12-14 2003-07-03 Nitto Denko Corp 剥離ライナーおよび剥離ライナー付感圧性接着シート
JP5553395B2 (ja) * 2006-06-08 2014-07-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粘着層を含む積層体
JP5305595B2 (ja) * 2007-01-10 2013-10-02 日東電工株式会社 熱接着シート
JP5787463B2 (ja) * 2007-08-24 2015-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部品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340649B2 (ja) * 2007-10-22 2013-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71008B2 (ja) * 2008-09-02 2013-08-2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体
JP5647450B2 (ja) * 2010-07-12 2014-12-24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1109A (ja) * 2009-07-16 2011-02-03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2012025813A (ja) * 2010-07-21 2012-02-09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2012052099A (ja) 2010-08-05 2012-03-15 Nitto Denko Corp 接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9590A1 (zh) 2015-03-26
JP2016535151A (ja) 2016-11-10
CN105874024A (zh) 2016-08-17
JP6677644B2 (ja) 2020-04-08
CN111019552A (zh) 2020-04-17
CN105874024B (zh) 2019-09-27
CN104449438A (zh) 2015-03-25
KR102268365B1 (ko) 2021-06-23
CN111019552B (zh)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5867A (ko) 양면 점착 테이프
JP7268967B2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102036463B1 (ko) 점착 시트
KR102055078B1 (ko) 점착 시트
JP6496066B1 (ja) 補強フィルム
KR101824852B1 (ko) 점착 시트
JP5820619B2 (ja) 粘着テープ
TWI617641B (zh) 感溫性黏著劑
KR102138154B1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04231723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TW201406917A (zh) 感壓黏著片、電器或電子裝置構件積層體及光學構件積層體
JP2015155490A (ja) 粘着シート
JP2007326899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付着型機能性フィルム
KR20200079416A (ko) 보호 시트 및 적층체
JP2008024865A (ja) 粘着フィルム、粘着シール及びシール絵本
JP2003268325A (ja) 再剥離型両面粘着テープ
JP2023164501A (ja) 粘着フィルム
CN109852267B (zh) 粘合片
KR20200115258A (ko) 점착 시트
JP2014173011A (ja) 両面粘着テープ
JP5771970B2 (ja) 光学用粘着剤及び光学用粘着シート
KR20200094083A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633338B2 (ja) タブ付き粘着製品
JP2019019337A (ja) 粘着テープ、放熱シート及び電子機器
JP2019137715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グラファイトシート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