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678A -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678A
KR20160052678A KR1020167008869A KR20167008869A KR20160052678A KR 20160052678 A KR20160052678 A KR 20160052678A KR 1020167008869 A KR1020167008869 A KR 1020167008869A KR 20167008869 A KR20167008869 A KR 20167008869A KR 20160052678 A KR20160052678 A KR 2016005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oks
side wall
retaining
retain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653B1 (ko
Inventor
앙토니 마헤
다미앙 피에르 앙트완 보세
Original Assignee
아플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플릭스 filed Critical 아플릭스
Publication of KR2016005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4Double-sid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71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s being partially co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3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and-loop typ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41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lide Fasten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물품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후크식 유지장치(100)는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유지요소(10)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요소는, 측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측벽부(11) 및 제2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1, 12)들을 함께 연결하는 베이스(20)를 가진다. 상기 측벽부(11, 12)들과 상기 베이스(20)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갖는 상대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메인방향(z)으로 개방되는 유지홈(14)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벽부(11, 1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대물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후크(30)들을 제공하며, 각각의 후크(30)는 상기 유지요소(10)의 상기 베이스(20)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가진다.

Description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RETAINING DEVICE HAVING HOOKS}
본 설명은 후크식 유지장치, 즉 후크(hooks)들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갖는 상대물(counterpart)과 상호작용하는 유지장치의 후크들에 의해서 물품 상에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해 물품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고, 커버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유지장치는, 차량 좌석 패드와 같은 물품, 특히 성형된 물품 상에 슬립커버 타입의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특히 적합하다.
차량 좌석은, 일반적으로 폼(foam)으로 만들어지고, 커버, 예를 들어 직물 또는 가죽으로 만들어진 커버로 씌워지는 성형된 패드로 구성된다. 요즘에는, 차량 좌석 패드의 외측표면 상에 커버 직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유지요소들이 패드의 주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용 홈들 내에 위치되며, 이러한 유지요소들은, 클립-고정 시스템에 의해, 부착(abutment) 시스템에 의해, 또는 보다 최근에는, 후크들이 후크들과 맞물리거나 후크들이 루프들과 맞물리는 셀프-파지 시스템에 의해, 커버와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유지요소들은, 차량 좌석 패드 자체가 성형될 때, 그 주변에서, 차량 좌석 패드에 의해 통상 오버몰딩(overmolded)된다.
미국 특허공개 US 2003/0162008호에는, 차량 좌석을 위한 커버 직물에 체결되는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측벽부들을 갖는, 전체적으로 U-형상인 유지요소가 개시된다. 그 말단부에서, 각각의 측벽부는 차량 좌석 패드 주변에 커버를 유지하도록 와이어와 함께 부착 또는 클립-고정됨으로써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돌기를 지닌다.
그러한 시스템으로 얻어지는 바와 같은 부착 또는 클립-고정에 의한 와이어의 고정은 충분히 신뢰할만하지 못하다. 나아가서,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커버를 손상시키지 않고 그 고정을 해제하기는 매우 어렵다.
WO 2011/089334호로 공개된 특허출원에는, U-형상 홈을 형성하는 2개의 측벽부 및 바닥을 포함하는 또 다른 종류의 유지요소가 개시되며, 여기서 후크들은 유지요소의 바닥으로부터 돌출하고, 이 후크들은 커버의 루프들 또는 후크들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테스트 중, 유지요소의 바닥에 위치된 후크들과 커버 직물 사이에서 얻어지는 셀프-파지 고정은 완전하게 만족스럽지는 않은 것이 발견되었으며, 여기서 커버는 견인력이 가해질 때 유지요소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종래기술의 전술한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신뢰성 있게, 견인력을 견딜 수 있는 고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필요하다면, 해제시킬 수 있는 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물품, 특히 성형물품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후크식 유지장치로서, 상기 유지장치는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유지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요소는, 측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들을 함께 연결하는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측벽부들과 상기 베이스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갖는 상대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메인방향으로 개방되는 유지홈을 형성하는 상기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대물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후크들을 제공하며, 각각의 후크는 상기 유지요소의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즉, 걸림머리부 및/또는 돌기 등)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본 설명에 있어서, 그리고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유지장치의 메인방향은 상대물이 유지홈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유지요소가 대칭 평면을 제공할 때, 제1 및 제2 측벽부들은 상기 대칭 평면의 양쪽에서 각각 연장되며, 여기서 메인방향은 상기 대칭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아래에서 제안되는 바와 같이, 유지요소가 평면 베이스를 가지거나 평면 바닥요소가 유지요소에 끼워맞춰진다면, 메인방향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바닥요소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유지장치의 측면방향은 전술한 메인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정의되며, 또한 측면방향은 유지요소의 측벽부들에 또는 2개의 측벽부들 사이의 중심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나아가서, 본 설명에 있어서, 그리고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유지장치의 길이방향은 전술한 메인방향 및 측면방향에 수직이며, 그에 따라 유지요소의 측벽부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길이방향에 수직인 평면은 유지장치를 횡단하는 평면이다.
측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본 발명의 유지요소는 상대물의 후크들 및/또는 루프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복수의 후크들을 가지며, 그에 따라 셀프-파지 고정을 이룬다. 후크들은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후크의 걸림부는 베이스를 향한다.
그러한 방향성으로, 후크들은 유지홈 내로 상대물을 삽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지만, 일단 상대물과 상호작용하면 후크들은 견인력에 대해 강한 저항을 제공한다. 상대물이 메인방향으로 유지홈으로부터 잡아당겨질 때, 후크들은 전단력을 발휘하여 상대물이 빠지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러한 구성으로, 상대물을 결합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후크들이 유지홈의 바닥에 배열되어 있다면,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하게 될 힘의 적어도 2배로 측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가 유지장치에 대해 횡단하는 평면 상에서 돌출된다면, 후크의 말단에서 후크의 중립축선에 접선이고 상기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벡터와, 유지요소의 메인방향에 평행하고 유지홈의 바닥을 향하여 면하는 입구를 향하는 제2 벡터와의 사이에서 측정된 철각(salient angle)은, 90°보다 꽤 작으며, 일반적으로는 5° 내지 65°의 범위 내에 놓인다.
"중립축선"이라는 용어는, 돌출 평면에 있어서, 후크의 바닥 및 상단표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는 모든 점들을 지나는 직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사용되며, 상기 거리는 상기 중립축선에 대한 접선(tangent)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지요소의 각각의 후크는, 후크가 돌출하는 측벽부와 함께 또는 그 자신 스스로, 상대물의 적어도 하나의 후크 또는 루프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공동(또는 수용공동 또는 유지공동)을 형성한다. 보유공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요소의 베이스를 향하여 면하는 후크의 걸림부에 의해 형성된다.
후크 보유공동은, 유지장치의 메인방향(z)으로 연장되고 유지요소의 베이스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부, 즉 재료로 채워지지 않은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유지장치가 활용구성(utilization configuration) 상태에 있을 때, 다시 말해서 유지장치가 물품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배열될 때,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장치가 루프들 또는 후크들을 갖는 상대물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배열될 때, 후크의 걸림부는 상기 후크가 돌출하는 측벽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또는 보유공동을 형성하는 상기 중공부에 의해 유지장치의 측면방향으로 상기 후크의 몇몇 다른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는, 보유공동은 후크의 또 다른 면이나 상기 측벽부와 후크의 걸림부와의 사이에서 측벽부의 메인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떠한 중첩되는 재료도 없는 공간(volume)이다.
특정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유공동은 오목부, 특히 후크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시, 유지요소의 후크는, 후크의 걸림부로 인해, 특히 후크가 연장하는 측벽부로부터 멀리 이동함으로써 상대물의 루프 또는 후크가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장치의 메인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으로도 상대물의 후크 또는 루프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보유공동은 상대물의 후크 또는 루프를 포획하기에 충분히 넓고, 보유골동으로부터 상대물의 후크 또는 루프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깊다.
후크가 사용시 유지장치에 대해 횡단하는 평면 상에서 돌출한다면, 상기 후크의 보유공동의 폭은 후크의 저점(다시 말해서 메인방향으로 베이스에 가장 근접한 후크의 걸림부의 지점)과 유지요소의 가장 가까운 대향부(opposite portion)와의 사이에서 유지장치의 측면방향으로 측정된다. 유지요소의 대향부는 후크가 돌출하는 측벽이거나 후크 자체의 대향면일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시 유지장치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평면에 있어서, 보유공동의 깊이는, 후크의 전술한 저점과 베이스를 향하여 면하는 후크의 바닥면의 고점(다시 말해서 메인방향을 따라서 베이스로부터 가장 멀고 측벽부와 저점 사이에 배치되는 지점)과의 사이에서 유지장치의 메인방향으로 측정된 거리로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의 보유공동의 폭은, 0.1 밀리미터(mm) 내지 3mm의 범위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1mm의 범위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의 보유공동의 깊이는, 0.1mm 내지 3mm의 범위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1mm의 범위 내에 있다.
후크의 최대 폭은 유지장치의 메인방향(z)에 직교하는 후크의 돌출평면 내에서의 후크의 걸림부에서 유지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측정된다. 유지요소의 후크들이 후크/루프 타입의 셀프-파지 고정을 형성하기 위해 상대물과 상호작용할 때, 그 최대 폭은, 상대물의 루프들이 후크들의 보유공동 내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유지되기 위해서 통과할 수밖에 없는 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후크의 최대 길이는, 후크가 돌출하는 측벽부로부터, 유지장치의 측면방향으로 측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의 최대 폭은 최대 길이보다 작다. 후크의 최대 길이는 최대 폭의 3분의 1보다 작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후크의 최대 길이는 최대 폭보다 크거나 같다.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유지요소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재료의 단일편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지요소는, 외측표면 상에서, 성형재료가 사출되는 지점에 상응하는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한다. 성형에 의한 유지요소의 제조는 쉽고 저렴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요소의 베이스는 제1 및 제2 측벽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제공한다. 본 설명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개구부는 유지요소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특정 방법으로부터 야기된다. 일반적으로, 개구부는 후크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방향으로 측정된)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장치는 개구부를 폐쇄시키기 위해서 제1 및 제2 측벽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요소를 포함한다. 바닥요소는, 실제로 물품이 성형될 때, 예를 들어, 유지장치 상에 오버몰딩되는 물품을 성형하는 동안에, 유지홈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바닥요소는 유지요소의 베이스 내의 개구부를 완벽하게 덮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다.
바닥요소는 유지요소와는 별개의 요소이며 개구부를 폐쇄시키기 위해서 상기 유지요소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바닥요소는 유지요소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 내의 개구부에 결합되지 않은 분리자세와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자세 사이에서 절첩될 수 있는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지요소 및/또는 바닥요소는 선택적으로 자기화될 수 있는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요소 및/또는 바닥요소는 금속 입자들로 충전된 플라스틱 재료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성 재료의 사용은, 다른 자성 요소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오버몰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유지장치의 여러 요소들을 제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바닥요소는 유지요소의 측벽부의 재료와는 상이하거나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들은 메인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후크 시리즈들을 형성하며, 하나의 후크 시리즈 중의 각각의 후크는 메인방향에 직교하는 길이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후크 시리즈 중의 각각의 후크에 대하여 어긋나있다. 상대물의 루프들 또는 후크들은, 유지요소의 2개의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후크 시리즈들의 2개의 후크들이 상대물이 삽입되는 방향(즉, 메인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았을 때, 유지요소의 최대 개수의 후크들에 더욱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후크 시리즈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열(rows)을 형성한다.
2개 이상의 후크 시리즈들 즉 후크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후크들의 특정한 환경에 있어서, 후크 시리즈의 각각의 후크는 동일한 측벽부에 형성되는 또 다른 후크 시리즈 즉 후크의 열의 모든 후크 각각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모두 어긋나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요소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후크들의 영역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평방센티미터당 후크 1개(/㎠)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개/㎠ 내지 30개/㎠의 범위 내에 놓이는 후크 밀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러한 후크 밀도는 후크 영역 내에서 모든 후크들을 커버하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 영역에 걸쳐 측정된 평균 밀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크 밀도는 후크 영역의 전체 범위에 걸쳐 일정하다.
오버몰딩하는 물품 내에 고정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유지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로부터, 메인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앵커부(anchor portion),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앵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물의 걸림을 개선하기 위해서, 각각의 후크는 유지요소의 베이스를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걸림머리부를 가질 수 있다. 걸림머리부들은 공통의 섕크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걸림머리부들은 후크의 높이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유지요소의 제조시 성형틀분리(unmolding)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는, 측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및/또는 메인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테이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및/또는 메인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유지요소의 상단 측에 위치되는 후크 즉 걸림부는, 유지요소의 바닥 측에 위치되는 후크 즉 걸림부의 테이퍼 방향에 대해 역전되는 방향의 테이퍼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테이퍼의 "방향(orientation)"이라는 용어는 테이퍼에 의해 가능하게 만들어지는 성형틀분리 방향(unmolding dire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유지요소의 성형틀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유지요소의 측벽부의 내측면은 메인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표면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통과하는 유지요소의 횡단평면에 있어서, 유지요소는 상기 후크 위에서의 하나의 테이퍼 및 상기 후크 아래에서의 또 다른 테이퍼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후크 위에서의 테이퍼 방향은 후크 아래에서의 테이퍼 방향에 대해 역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2개의 대향하는 치크부(cheeks)들에 의해 형성된다.
후크의 "치크"라는 용어는, 길이방향 또는 적어도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을 향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후크의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는, 치크부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못을 구비한다. 이 걸림못은 선택적으로 유지요소의 베이스를 향할 수 있다.
유지장치는,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성형 도중에 각각의 측벽부의 후크들을 덮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받침대는, 일단 유지요소가 받침대에 장착되면, 유지요소의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퇴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받침대는 유지요소 및/또는 바닥요소와 자기적인 견인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자기부분(magnetic portion)을 갖는다.
또한, 변형예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받침대는, 자석 이외의, 특히 흡입으로 인한 시스템, 루프 등으로 유지요소 및/또는 바닥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설명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유지장치와 상대물의 조립체로서, 상기 상대물은, 상기 상대물의 후크들 또는 루프들이 셀프-파지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지요소의 후크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유지홈 내에 배열되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갖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대물의 후크들 또는 루프들은 유지요소의 후크들의 수용공동 내에 유지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대물이 루프들을 가질 때, 이 조립체는 "터치(touch)" 파스너 타입의 결합을 형성하며, 또한 이것은 "접촉" 결합("contact" closure) 또는 "비 압력식(no pressure)" 결합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설명은, 주변에 수용홈을 가지는 물품, 특히 성형물품과, 상기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유지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은 성형되고 유지장치는 성형된 물품에 의해 오버몰딩된다.
또한 본 설명은, 유지장치의 유지홈 내에 배열되는 루프들 또는 후크들을 갖춘 상대물을 더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설명은, 성형에 의해 후크식 유지장치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지요소의 후크들이 형성되는 성형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성형부를 가지는 성형틀을 제공하는 단계와; 2개의 성형부의 분할표면이 각각의 후크를 가로지르도록 그리고 어느 하나의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후크가 상기 유지장치의 메인방향으로 성형틀분리에 대항하는 언더컷(any undercut opposing unmolding)을 가지지 않도록, 상기 성형틀 내로, 특히 단일의 주입 단계로,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단계와; 메인방향으로 2개의 성형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성형부에 대한 후크의 언더컷은 다른 하나의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동의 부분 내에만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형공동은 유지요소의 베이스 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부 돌출부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요소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유지요소의 제1 및 제2 측벽부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요소는 접착, 용접, 기계적인 조립, 또는 클립-고정에 의해 유지요소를 고정시킨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성형장치는, 적어도 유지요소의 유지홈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기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성형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성형부는 유지요소의 각각의 후크의 일부 및 유지요소의 제1 및 제2 측벽부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성형부는 각각의 후크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유지요소의 제1 및 제2 측벽부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한 성형장치는, 유지요소의 후크들이 스트레스 없이 또는 제한된 스트레스만으로, 특히 후크들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틀에서 꺼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성형장치는 매우 폭넓은 다양한 형상(뾰족한 단부들을 가지는 후크들, 평행하지 않은 면들을 가지는 후크들 등)으로 후크들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몇몇 실시형태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으며 그 장점들도 더욱 잘 드러난다. 설명은 첨부된 다음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2의 화살표 A를 따라 본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유지장치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후크의 횡단평면 상에서 돌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내지 4의 유지요소와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받침대 상에 장착된 유지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유지홈을 밀봉하기 위한 받침대와 유지요소 사이의 지지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지장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성형된 물품이 오버몰딩되고, 성형된 물품 상에 커버를 유지시키기 위해(다시 말해서 사용시)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상대물(counterpart)과 상호작용한 후의 도 1 내지 4의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수용 홈이 본 발명의 복수의 유지장치들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을 가지며 커버에 고정되는 상대물과 상호작용하는 상태로, 그 주변에 제공되는, 성형된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사출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유지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로서, 이 성형장치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의 바닥요소 및 유지요소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retaining device)(100)는 도 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유지장치는 성형에 의해 물품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형틀 내에 위치되기에 적합하며, 물품을 구성하는 성형 재료는,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된 폼(foam)과 같은 폼일 수 있다. 따라서 유지장치는, 일단 성형되면, 물품에 의해 오버몰딩된다. 그 다음에, 유리하게는, 유지장치는 물품의 주변에 형성되는 수용 홈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된 유지장치(100)를 갖는 물품은 차량용 좌석 패드이며, 이 패드는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물론, 이 실시예는 제한되지 않는다. 유지장치(100)가 고정되는 물품은 커버와 결합될 필요가 있는 또 다른 물품일 수 있고, 성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오버몰딩과는 다른 방식, 예컨대 접착, 용접, 기계적인 조립, 클립-고정, 또는 또 다른 적절한 고정기법으로 본 발명의 유지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도 10은 예를 들어, 성형시 형성되는, 그리고 직선부 및 곡선부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경로를 추종하는 수용 홈(102)을 그 주변에 제공하는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된 폼으로 구성되는 차량 좌석 패드(101)를 도시한다. 패드(101)는 커버(104)로 씌워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커버(104)는 그 외측면에 후크들 또는 루프들(hooks or loops)을 가지는 거싯(gusset)(103)에 고정된다. 거싯(103) 내측에는, 조립체를 강화할 목적으로, 예컨대 강성 플라스틱 재료의 바 형태인 섕크(105)가 연장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호 이격된 유지장치(100)들은 경로의 직선부를 따라서 분포된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그것들은 오버몰딩된 차량 좌석 패드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것들 각각은 차량 좌석 패드(101) 주위에서 커버(104)를 유지하기 위해 거싯(103)의 루프들 또는 후크들과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한 후크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장치(100)는 도 1 내지 4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유지장치(100)는, 유지요소(10)에 고정되는 바닥요소(70)와 함께, 특히 열가소성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유지요소(10)를 특히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요소(10)는, 측면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측벽부(11 및 12)들과, 이들 2개의 측벽부(11 및 12)들을 함께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20)를 갖는다.
유지요소(10)는 길이방향(y)으로 전방단부(10a) 및 후방단부(10b)를 형성하는 기다란 요소를 형성한다.
길이방향(y)에 직교하는 유지요소(10)의 횡단평면(P1)에 있어서, 측벽부(11 및 12)들과 베이스(20)는, 커버(104)에 고정되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과 함께 상대물(103)을 수용(도 9 참조)할 목적으로 유지장치(100)의 메인방향(z)으로 개방되는 전체적으로 U 형상 윤곽의 유지홈(14)을 형성한다.
이하, 유지장치(100)의 "바닥"측 및 "상단"측은 메인방향(z)에 대하여 정의되며, 베이스(20)는 바닥측에 위치되고 측벽부(11 및 12)들의 길이방향 자유 가장자리(free edges)(11c 및 12c)는 상단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특정 예에 있어서, 측벽부(11 및 12)들은 유지요소(10)의 대칭 평면(P2) 양쪽에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방향(x)은 대칭평면(P2)에 직교한다. 위에서 정의된 메인방향 및 길이방향(z 및 y)은 대칭평면(P2)에 평행이다. 각각의 연결 스트립(21, 22)은 제1 측벽부(11)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단부를 제2 측벽부(12)의 대응하는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벽부(11 및 12)들 사이의 연결수단은 연결 스트립(21 및 22)들과 측벽부(11 및 12)들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천공된 앵커부(24)를 더 포함한다. 앵커부(24)는 메인방향(z)에 직교하도록 연장된다. 일단 차량 좌석 패드(101)가 유지장치(100) 상에 오버몰딩되면, 유지요소(10)의 측벽부(11 및 12)들은 수용홈(102)의 측벽부를 따라서 연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앵커부(24)는 성형재료 내에 매립되고, 그에 따라 패드(101)에 대한 유지요소(10)의 해제 불가능한 고정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유지요소(10)는 또 다른 연결수단에 의해, 예컨대 접착, 용접, 또는 물품(101)을 발포성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동안 폼(foam)이 측벽부(11 및 12) 및/또는 앵커부(24)를 구성하는 재료에 접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성형된 물품(101) 내에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이 재료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는 측벽부(11 및 12)들에 의해 그리고 연결 스트립(21 및 22)들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23)를 갖는다. 이 개구부(23)는 유지요소(1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부터 초래되며, 바닥요소(70) 내에 채워지거나 바닥요소에 의해 씌워질 수 있음을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유지장치(100)에 커버(104)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유지요소(10)는,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측벽부(11, 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후크(30)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후크(30)는 상대물, 즉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갖는 거싯(103)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이 상대물은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홈(14) 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후크(30)들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물론, 하나의 유지장치 내의 후크들이, 예컨대 도 12 내지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는 유지장치(100)의 길이방향(y)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치크부(cheeks)(30a 및 30b)들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치크부(30a 및 30b)들은 후크(30)의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중간표면(30c)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표면(30c)은 길이방향(y)으로 연장하는 제너레이터 라인(generator line)을 갖는 원통형 표면의 일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30)들은 길이방향(y)에 직교하는 중간평면(P3)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크(30)는 유지요소(10)의 측벽부(11, 12)로부터 돌출하고 유지요소(10)의 측벽부(11, 12)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메인방향 즉 높이방향으로 연장하는(그에 따라 유지요소의 측면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섕크(34)와, 상기 섕크(34)로부터 연장하되, 상기 섕크(34)의 메인방향에 대해 측면방향으로 연장하는 걸림부(33)를 포함한다.
후크(30)의 축선(x1)은 유지요소(10)의 측면방향(x)에 평행하고 후크(30)의 베이스의 중간을 통과하는 축선으로서 정의된다.
도 4는 횡단평면, 즉 유지요소의 길이방향(y)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후크(30)를 도시한다.
그러한 평면에 있어서, 걸림머리부(33)의 제한선(DL)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 제한선은 측면방향(x)에 평행하고, 후크(30)의 축선(x1)으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20)를 향해가며, 2개의 점에서 후크(30)의 포락곡선(envelope curve)과 교차하는 첫 번째 선이다. 유지요소의 베이스(20)에 더욱 가까운 그리고 측벽부(11)로부터 더욱 먼 제한선(DL) 쪽에서 걸림부는 걸림머리부(33)를 구성한다.
특히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각의 걸림머리부(33)는 유지요소(10)의 베이스(20)를 향한다. 각각의 후크(30)의 말단부는, 하나가 있다면, 베이스(20)의 개구부(23)를 향하거나 바닥요소(70)를 향하여 면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후크(30)의 걸림머리부(33)는 섕크(34)로부터 유지홈(14)의 바닥을 향하여 연장한다.
따라서 각각의 후크(30)는 유지요소(10)의 베이스(20)를 향하여 개방되는 그리고 상대물(103)의 후크 또는 루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유공동부(retention cavity)(즉 수용공동부)(36)를 형성한다.
일단 보유공동부(36) 내에 결합되면, 상대물(103)의 후크 또는 루프는 메인방향(z)으로, 또한 유지요소(10)의 측면방향(x)으로 유지된다.
도 4의 투영 평면에 있어서, x36으로 표시된 보유공동부(36)의 폭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방향(z)으로 베이스(20)에 가장 가까운 걸림머리부(33)의 선단에 대응하는 후크의 저점(PB)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부(11)에 가장 가까운 유지요소(10)의 대향부(opposite portion)와의 사이에서 유지요소(10)의 측면방향(x)으로 측정된다.
보유공동부(36)의 깊이는 z36으로 표시된다. 이것은, 후크(30)의 전술한 저점(PB)과 베이스(20)를 향하는 후크(30)의 바닥면의 고점(PH)(다시 말해서, 메인방향(z)으로 베이스(20)로부터 가장 먼, 그리고 측벽부와 저점(PB) 사이에 배열되는 지점)과의 사이에서 유지요소(10)의 메인방향(z)을 따라서 측정된다.
도 4에 있어서, 전술한 투영 평면에 있어서 후크(30)의 중립축선(neutral axis)(F) 및 철각(salient angle)(b)은, 상기 중립축선(F)이 후크(30)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후크의 중립축선에 접선이며 상기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벡터와, 유지요소의 메인방향에 평행하며 입구로부터 유지홈의 바닥을 향하는 섹터 벡터(sector vector)와의 사이에 형성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 각도 b는 90°보다 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의 범위 내에 놓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략 30°이다.
각각의 후크(30)의 폭 및 길이 치수, 그리고 보유공동부(36)의 치수는, 상대물(103)의 보유에 적합하게 결정된다.
도 2a에 있어서 y30으로 표시된 후크의 최대 폭은, 유지요소의 메인방향(z)에 직교하는 후크(30)의 투영 평면 내에서 후크의 걸림부(33)에 있어서의 유지요소(10)의 측면방향(y)으로 측정된다.
x30으로 표시된 후크의 최대 폭은, 후크(30)가 돌출하는 측벽부(11)로부터, 유지요소(10)의 측면방향(x)으로 측정된다.
x30/y30의 비는 1/3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특히 도 2 참조)에 있어서, 후크(30)들은 길이방향(y)으로 연장하는 열(rows)(31 및 32)을 따라 각각의 측벽부(11, 12) 상에 배열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열이 있다.
주어진 열 내에서 2개의 후크(30)들 사이의 간격(e)(즉, 2개의 인접하는 후크들의 각각의 중심평면(P3)들 사이의 공간)은 양쪽 모두의 열(31 및 32) 에 대하여 일정하고 동일하다.
후크(3)들의 2개의 열(31 및 32)은 거리(e/2)만큼 길이방향(y)으로 어긋나서, 열(31)의 각각의 후크(30)는 길이방향(y)으로 또 다른 열(32)의 각각의 후크(30)에 대해 어긋난다. 그러므로 2개의 인접하는 열의 2개의 후크들은 메인방향(z)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물론, 본 출원에서 보여지는 다른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특정 배열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좌석 패드를 성형하는 동안에, 후크(30)들이 성형재료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요소(70)는 성형재료가 유지요소(10)의 개구부(23)를 경유하여 관통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결과에 공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요소는 유지요소(10)와는 별개이며 베이스(20) 내의 개구부(23)를 폐쇄하도록 거기에 끼워맞춰진다.
바닥요소(70)는 접착, 용접, 기계적인 조립, 클립-고정, 또는 또 다른 적절한 고정기법에 의해 유지요소(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닥요소는 유지요소(10)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요소(70)는 유지요소(10')를 성형하는 동안에 유지요소(10')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바닥요소(70)는 절첩 가능한 부분이며, 베이스(20)에 전체적으로 고정되며, 베이스(20) 내의 개구부(23)를 폐쇄하지 않는 초기 자세와 개구부(23)를 덮는 자세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차량 좌석 패드를 성형하는 동안에 후크들을 보호하고 그에 따라 파지 성능을 보존하기 위해서, 유지장치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받침대(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받침대(80)는 패드(101)의 성형시 유지요소(1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가능하게는 바닥요소(7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80)는 유지장치(100)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 유지요소(10)의 베이스(20)를 향하는 상단부(83)를 갖는 저벽부의 형상을 제공한다.
받침대(80)가 유지요소(10)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요소(10)는 주변부 부근에 후크가 없는 베어링 구역(4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요소(10)의 베어링 구역(30)은 제1 측벽부(11)의 상단 길이방향 가장자리(11c)를 따라서 연장하는 제1 중앙 베어링 구역(41) 및 제2 측벽부(12)의 상단 길이방향 가장자리(12c)를 따라서 연장하는 제2 중앙 베어링 구역(42)을 갖는다(도 3 참조).
또한,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구역(40)은, 실질적으로 제1 측벽부(11)의 상단 가장자리(11c)로부터 연결 스트립(21)을 통과하여 유지요소(10)의 제2 측벽부(12)의 상단 가장자리(12c)까지, 전방 단부(10a)에서 연장되는 전방 베어링 구역(40a)을 갖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베어링 구역(40)은, 실질적으로 제1 측벽부(11)의 상단 가장자리(11c)로부터 연결 스트립(22)을 통과하여 유지요소(10)의 제2 측벽부(12)의 상단 가장자리(12c)까지, 후방 단부(10b)에서 연장되는 후방 베어링 구역(40b)을 갖는다.
도시된 특정 요소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베어링 구역(40a 및 40b)들과 중앙 베어링 구역(41 및 42)들은 유지요소(10)의 후크(30)들 모두를 둘러싸는 폐쇄된 외곽선을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80)는 유지요소의 측벽부(11 및 12)와 연결 스트립(21 및 22) 부분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80)는 유지요소(10)의 베어링 구역(40)과 상보적인 형상에 의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조립된 자세에서, 받침대(80)의 측면(81 및 82)은 측벽부(11 및 12)와 접촉하며, 특히 유지요소(10)의 단부에서 제1 및 제2 중앙 베어링 구역(41 및 42) 그리고 전방 및 후방 베어링 구역(40a 및 40b) 부분과 접촉한다.
받침재의 상단부(83)는 연결 스트립(21 및 22)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요소(10)의 중앙 베어링 구역(41 및 42)들 사이의 거리는 받침대(80)의 측면(81 및 82)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으며, 상기 거리들은 움직이지 않을 때(즉, 조립되지 않았을 때) 그리고 측면방향(x)으로 측정된다. 그 다음, 측벽부(11 및 12)들은 서로로부터 탄성적으로 이격되어 구부러지도록 구성되어서 받침대(80)를 그들 사이에 수용할 수 있으며 후크(30)들에 의해 점유된 유지요소(10)의 적어도 전체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유지요소(10)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에 걸쳐, 각각의 측벽부(11 및 12)와 받침대(80) 사이의 연속적인 접촉을 보장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80)는 각각의 측면(81 및 82)이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요소(10)의 후크(30)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후퇴부(85 또는 86)를 제공하는 중앙구역 즉 삽입구역(84)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후크(30)들은, 유지요소(10)의 측벽부와 받침대(80)의 측면 사이에서 클램핑되지 않으며, 손상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받침대(80) 및 바닥요소(70) 중 하나는 자화된 부분을 포함하는 한편, 받침대(80) 및 바닥요소(70) 중 다른 하나는 자화된 또는 자화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를 끌어당김으로써, 받침대(80) 및 바닥요소(70)는, 유지홈(14)이 외측으로부터 밀봉되는 한편 물품(101)이 성형되는 것을 보장하는 자세로 유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요소(7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들어지고, 그 상단(83) 부근에서 받침대(80)는 자화된 부분(88)을 갖는다.
복수의 유지요소들이 물품의 공통 수용홈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단일의 물품에 의해 오버몰딩될 때,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복수의 삽입구역(84)을 가지는 길고 연속적인 받침대(80)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삽입구역은 각각의 유지요소(10)와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지요소(10)는, 특히 열가소성 수지재료를 성형하는 사출성형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성형장치(50)는 유지요소의 제조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상응하는 제조방법은 도 11a 및 11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1a에 도시된 성형장치(50)는 제1 성형부 즉 상부 쉘(51)과 제2 성형부 즉 하부 쉘(52)을 포함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움직일 수 있으며, 성형부들은 성형틀을 구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쉘(51 및 52)들은, 일단 함께 조립되면, 내측벽이 성형공동(56),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지요소(10)의 형상을 가지는 성형공동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51 및 52)들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구획표면(57)은, 주어진 성형부(51, 52)에 의해 형성된 걸림부(30)가 메인방향(z)으로 성형틀분리에 대항하는 언더컷(any undercut opposing unmolding)을 가지지 않도록 유지요소의 각각의 후크(30)를 가로지른다.
따라서 상부 쉘(51)은 후크(30) 위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측벽부(11 및 12)들의 상단부분 및 각각의 후크(30)의 상단부분에 상보적인 표면(53a 및 53b)들을 포함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성형공동(56) 내측에서 하부 쉘(52)은 후크(30)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측벽부(11 및 12)들의 바닥부분 및 각각의 후크(30)의 바닥부분에 상보적인 표면(54a 및 54b)들을 가지는 돌출부(56)를 형성한다.
유지요소(10)를 성형하기 위해서, 상부 및 하부 쉘(51 및 52)들은 성형틀(50)을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된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재료인 성형재료는, 성형틀(50)의 내측표면(56)을 충전시키도록 성형틀을 구성하는 쉘(51 및 52)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멍(55)을 통하여 주입된다.
쉘(51 및 52)들은 성형재료가 경화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다음, 쉘들은 유지요소(10)의 메인방향(z)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움직이고, 그에 따라 유지요소(10)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유지요소(10)의 베이스(20) 내에 형성된 개구부(23)는 하부 쉘(52)의 돌출부(59)에 의해 형성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요소(10)는, 성형재료가 주입되었던 지점에 상응하는 외측표면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구역(18)을 포함한다. 또한 이 구역은 볼록한 형상일 수도 있다.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각각의 후크(30)를 성형하는 그러한 방법은 후크(30)들이 유지요소(10)의 베이스(20)를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한편 틀에서 꺼낼 때 스트레스를 상당히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후크(30)의 형상을 상당히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성형방법에 의해 얻어진 유지요소(10)는 쉘(51 및 52)들의 형상으로부터 야기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이하에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요소(10)의 측벽부(11 및 12)들의 내측면은 메인방향(z)에 대해 각각 후크(30)들의 위에서 각도(θ)를 가지며 후크(30)들의 아래에서 각도(β)를 가지는 경사진 표면을 제공하며, 여기서 θ 및 β는 대략 5°이며, 상단부의 테이퍼 방향은 바닥부의 테이퍼 방향에 반대이다.
또한 각각의 후크(30, 30')는 상단부와 바닥부에 있어서 상이한 방향의 테이퍼를 각각 갖는다.
도 2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들의 테이퍼 방향은 후크의 상이한 위치에서 역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위쪽 열의 각각의 후크(30)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부와 하부는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상부 쉘(51)에 의해 형성된 상부에 걸쳐서, 그리고 측면방향(x)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후크는, 길이방향(y)으로 측정된 치크부(30a 및 30b) 사이의 거리가 유지요소(10)의 상단을 향해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진다.
후크의 머리부(즉, 그 말단부)를 포함하는 그리고 하부 쉘(52)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부에 있어서, 후크(30)의 테이퍼 방향은 역전되며: 치크부(30a 및 30b) 사이의 간격은 유지요소(10)의 바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크(30)는 메인방향(z)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테이퍼를 제공한다.
아래쪽 열(32)의 후크(30')는, 길이방향(y)으로 측정된 치크부(30a' 및 30b') 사이의 거리가 후크(30')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유지요소(10)의 바닥을 향해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측면방향(x)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테이퍼진다. 메인방향(z)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후크(30')는, 후크(30')가 돌출하는 유지요소(10)의 측벽부(11)로부터 멀어질수록 측면방향(x)으로 측정된 치크부(30a 및 30b) 사이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진다.
본 설명의 유지장치(100)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상의 변형된 후크들이 도 12 내지 16에 도시된다
전술한 것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은 이어지는 설명에서 그리고 해당되는 도면에서 100, 200 또는 300을 더한 숫자로 표시된다.
도 12에는, 후크(130)들을 갖는 유지요소(110)가 예시되는데, 각각의 후크는 후크(130)의 높이방향으로 중첩되는 2개의 걸림머리부(133a 및 133b)들을 가지며, 이 걸림머리부 양쪽 모두는 유지요소(110)의 베이스(120)를 향한다. 본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130)의 전체적인 방향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후크(130)의 중립축선(f)은 각각의 걸림머리부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축선(z)을 따라서 상이한 높이에서 상대물의 루프들에 걸리도록, 후크(130)가 돌출하는 측벽부(111)로부터 더욱 먼 걸림머리부(133a)는 두 번째 걸림머리부(133b)보다 짧다.
도 14는 자유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걸림머리부(233)를 각각 구비하는 후크(230)들이 도시되며, 이것은 실질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230)들의 제1 및 제2 치크부(230a 및 230b) 사이의 거리는 후크(230)의 말단부에서 영 또는 거의 영이 되도록 감소한다.
도 15는 각각의 치크부(330a 및 330b)로부터 '뿔'처럼 돌출하는 걸림못(335a 및 335b)을 가지는, 후크(3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걸림못(335a 및 335b)은,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요소의 베이스를 향하는 뾰족한 말단부를 갖는다.
변형예에 있어서, 후크는 단지 하나의 치크부로부터 돌출하는 단지 하나의 걸림못을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크의 걸림부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후크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유지요소의 베이스를 향하는 형태의 하나 이상의 걸림못(335a, 335b)을 가질 수 있다. 이 후크의 중앙부는,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방향으로 향하거나 유지홈의 개구부를 향할 수 있다.
10: 유지요소(retaining element)
11: 제1 측벽부(side wall)
12: 제2 측벽부
14: 유지홈(retaining groove)
20: 베이스
30: 후크(hook)
100: 유지장치
101: 물품(article)
102: 수용홈(reception groove)
103: 상대물(counterpart)

Claims (23)

  1. 물품(101), 특히 성형물품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10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후크식 유지장치(100)로서,
    상기 유지장치(100)는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유지요소(10)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요소(10)는, 측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측벽부(11) 및 제2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1, 12)들을 함께 연결하는 베이스(20)를 가지며,
    상기 측벽부(11, 12)들과 상기 베이스(20)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갖는 상대물(103)을 수용하기 위해서 메인방향(z)으로 개방되는 유지홈(14)을 형성하는, 상기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1, 1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대물(103)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후크(30)들을 제공하며,
    각각의 후크(30)는 상기 유지요소(10)의 상기 베이스(20)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장치(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1 및 제2 측벽부(11, 12)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3)를 제공하는, 유지장치(1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3)를 폐쇄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부(11, 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요소(70)를 더 포함하는, 유지장치(1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요소(70)는 상기 유지요소(10)와는 별개의 요소이며 상기 개구부(23)를 폐쇄시키기 위해서 상기 유지요소(10) 상에 고정되는, 유지장치(100).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요소(70)는 상기 유지요소와 일체로 만들어지며 상기 베이스(20) 내의 상기 개구부(23)에 결합되지 않은 분리자세와 상기 개구부(23)를 폐쇄시키는 폐쇄자세 사이에서 절첩될 수 있는 부분을 구성하는, 유지장치(100).
  6.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요소(70)는 상기 측벽부(11, 12)의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유지장치(100).
  7. 청구항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요소(70)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유지장치(100).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요소(10)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유지장치(100).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후크(30)들은 메인방향(z)으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후크 시리즈(31, 32)들을 형성하며, 하나의 후크 시리즈(31) 중의 각각의 후크(30)는 상기 메인방향(z)에 직교하는 길이방향(y)으로 다른 하나의 후크 시리즈(32) 중의 각각의 후크(30)에 대하여 어긋나있는, 유지장치(100).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후크 시리즈들은 길이방향(y)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열(rows)을 형성하는, 유지장치(100).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크(130)는 상기 유지요소(10)의 상기 베이스(20)를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걸림머리부(133a, 133b)를 가지는, 유지장치(100).
  12.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3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30)는, 측면방향(x)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테이퍼지는, 유지장치(100).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3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는, 메인방향(z)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테이퍼지는, 유지장치(100).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요소(10)의 상기 측벽부(11, 12)의 내측면은 메인방향(z)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제공하는, 유지장치(100).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33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크는, 치크부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못(335)을 구비하는, 유지장치(100).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요소(10)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성형 도중에 각각의 측벽부(11, 12)의 후크(30)들을 덮는 받침대(80)를 더 포함하는, 유지장치(100).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80)는 상기 유지요소(10) 및/또는 상기 바닥요소(70)와 자기적인 견인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자기부분을 가지는, 유지장치(100).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지장치(100)와 상대물(103)을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상대물은 상기 상대물(103)의 후크들 또는 루프들이 셀프-파지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유지요소(10)의 후크(30)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지홈(14) 내에 배열되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을 가지는 조립체.
  19. 수용홈(102)을 가지는 물품(101), 특히 성형물품과,
    상기 수용홈(10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지장치(100)를 포함하는, 조립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물품(101)은 성형되고 상기 유지장치(100)는 상기 성형된 물품(101)에 의해 오버몰딩되는, 조립체.
  21. 성형에 의해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후크식 유지장치(100)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유지요소(10)의 후크(30)들이 형성되는 성형공동(56)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성형부(51, 52)를 가지는 성형틀(50)을 제공하는 단계와;
    - 2개의 성형부(51, 52)의 분할표면(57)이 각각의 후크(30)를 가로지르도록 그리고 어느 하나의 성형부(51, 52)에 의해 형성되는 후크(30)가 상기 유지장치(100)의 메인방향(z)으로 성형틀분리에 대항하는 언더컷을 가지지 않도록, 상기 성형틀(50) 내로, 특히 단일의 주입 단계로,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단계와;
    - 상기 메인방향(z)으로 2개의 성형부(51, 52)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동은 상기 유지요소(10)의 베이스(20) 내에 개구부(23)를 형성하는 내부 돌출부를 제공하는, 방법.
  23.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하나의 성형부(51, 52)에 대한 후크(30)의 언더컷은 다른 하나의 성형부(51, 52)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동(56)의 부분 내에만 위치되는, 방법.
KR1020167008869A 2013-09-03 2014-09-01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KR102239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426A FR3010012B1 (fr) 2013-09-03 2013-09-03 Dispositif de retenue a crochets
FR1358426 2013-09-03
PCT/FR2014/052156 WO2015033048A1 (fr) 2013-09-03 2014-09-01 Dispositif de retenue a croch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678A true KR20160052678A (ko) 2016-05-12
KR102239653B1 KR102239653B1 (ko) 2021-04-13

Family

ID=4932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869A KR102239653B1 (ko) 2013-09-03 2014-09-01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83407B2 (ko)
EP (1) EP3041652B1 (ko)
JP (1) JP6513675B2 (ko)
KR (1) KR102239653B1 (ko)
CN (1) CN105517771B (ko)
CA (1) CA2922908A1 (ko)
FR (1) FR3010012B1 (ko)
MX (1) MX2016002782A (ko)
RU (1) RU2016112472A (ko)
WO (1) WO2015033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6119B2 (ja) * 2015-03-27 2018-06-20 株式会社ニフコ 表皮係止用クリップ
JP6228562B2 (ja) * 2015-03-27 2017-11-08 株式会社ニフコ 表皮係止用クリップ
DE102016210873A1 (de) * 2016-05-24 2017-11-30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Keder, Sitzbezug und Sitz mit einem Sitzbezug
JP6920187B2 (ja) * 2017-12-22 2021-08-18 株式会社ニフコ シートカバーの取付構造
US11464340B2 (en) * 2018-08-03 2022-10-11 Illinois Tool Works Inc. Suspension seating surface edge encapsulation method, seating surface carrier and seat made therewith
KR102620608B1 (ko) * 2019-02-15 2024-01-0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JP7280105B2 (ja) * 2019-05-08 2023-05-23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JP2020196288A (ja) * 2019-05-31 2020-12-10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
US11332056B2 (en) * 2019-08-22 2022-05-17 Ykk Corporation Seat cover fastening clip
US11091077B2 (en) * 2019-08-30 2021-08-17 Lear Corporation Retain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EP3960420A1 (de) * 2020-08-26 2022-03-02 Gummi - und Kunststoffwerk G. SCHÖNEK GmbH & Co KG Hakenklettverschluss-verbindungsteil
JPWO2023145525A1 (ko) * 2022-01-31 2023-08-03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89B1 (ko) * 2002-05-03 2005-01-2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깊은 홈 패스너
KR20120086341A (ko) * 2009-11-10 2012-08-02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KR20120118476A (ko) * 2010-01-20 2012-10-26 아플릭스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KR20120128633A (ko) * 2010-01-20 2012-11-27 아플릭스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와 받침대를 포함하는 주형과의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414A (en) * 1984-07-10 1987-1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ssembly with heat shrinkable film cover
US5005242A (en) 1990-02-06 1991-04-09 Velcro Industries B.V. Foamed seat cushion
JPH04297202A (ja) * 1991-03-26 1992-10-21 Kuraray Co Ltd 雄面ファスナー付固定部材
JPH04133711U (ja) * 1991-03-28 1992-12-11 株式会社クラレ 雄面フアスナー及び雄面フアスナー部材
JPH0718826U (ja) * 1993-09-20 1995-04-04 河西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US5900350A (en) * 1996-06-06 1999-05-04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methods, molds and products
AU3393897A (en) * 1996-07-17 1998-0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member used as insert and method for connecting such fastener member with molded object
JP3778104B2 (ja) * 1996-12-09 2006-05-24 東海興業株式会社 3層構造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224364B1 (en) * 1998-09-21 2001-05-01 Velcro Industries B.V. Injection molding products having fastener elements
US20020031637A1 (en) * 2000-07-14 2002-03-14 Louis Oborny Molded cushion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838155B2 (en) 2002-02-28 2005-01-04 Woodbridge Foam Corporation Foam pa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20040062904A1 (en) * 2002-10-01 2004-04-01 Rice Jeffrey L. Vacuum formed vehicle carpet module
US7077473B2 (en) * 2003-04-03 2006-07-18 Velcro Industries B.V. Attaching covers to seat cushions
US7141283B2 (en) * 2004-02-24 2006-11-28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US7487575B2 (en) * 2005-07-13 2009-02-10 Lyle J Smith System for attaching trim covers to a flexible substrate
FR2889037B1 (fr) * 2005-07-29 2007-09-14 Aplix Sa Auto-agrippant crochet-crochet issus de moulage
DE202005013339U1 (de) * 2005-08-24 2005-11-24 Oke Automotive Gmbh Rastaufnahmeelement und Rastverbindungssystem
FR2933328B1 (fr) * 2008-07-01 2016-08-26 Aplix Sa Dispositif formant moule pour fabriquer un objet moule comportant un champ de crochets
US7998548B2 (en) * 2009-01-19 2011-08-16 Ykk Corporation Male surface fastener member for use in a cushion body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10036798B4 (de) * 2010-08-02 2022-09-29 Kokinetics Gmbh Sitzteil
JP5604242B2 (ja) * 2010-09-24 2014-10-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EP2825071B1 (en) * 2012-03-13 2019-10-30 New Balance Athletics, Inc. Foamed parts having a fabric component,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9688007B2 (en) * 2012-11-19 2017-06-27 Taiwan Paiho Limited Foam molding and foam cushion molding method
EP2994286A1 (en) * 2013-04-30 2016-03-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having an integral skin show surface
US9826801B2 (en) * 2015-06-17 2017-11-28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89B1 (ko) * 2002-05-03 2005-01-2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깊은 홈 패스너
KR20120086341A (ko) * 2009-11-10 2012-08-02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KR20120118476A (ko) * 2010-01-20 2012-10-26 아플릭스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KR20120128633A (ko) * 2010-01-20 2012-11-27 아플릭스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와 받침대를 포함하는 주형과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0012B1 (fr) 2015-09-18
KR102239653B1 (ko) 2021-04-13
EP3041652A1 (fr) 2016-07-13
US20160198811A1 (en) 2016-07-14
FR3010012A1 (fr) 2015-03-06
WO2015033048A1 (fr) 2015-03-12
RU2016112472A (ru) 2017-10-09
CN105517771B (zh) 2019-05-31
CN105517771A (zh) 2016-04-20
JP6513675B2 (ja) 2019-05-15
MX2016002782A (es) 2016-05-26
JP2016538508A (ja) 2016-12-08
US10383407B2 (en) 2019-08-20
CA2922908A1 (en) 2015-03-12
EP3041652B1 (fr)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678A (ko)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KR10071505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체인
KR20160122690A (ko) 발포체 쿠션으로의 시트 트림 커버 고정
US20120284974A1 (en) Engaging clip
TWI616326B (zh) Female clip clip, female clip group and foam molded body
JP4895719B2 (ja) 連結具
KR101345515B1 (ko) 반침투 리브를 구비한 오버몰드
KR20160096151A (ko) 성형면 파스너
KR20130020800A (ko) 슬라이드 파스너
JP5801321B2 (ja) フック部を有するオーバーモールド部材および、台座部を含む型とのアセンブリ
US20150013121A1 (en) Buckle
JP6378657B2 (ja) インサート成形されたテザー付きファスナ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300890A1 (en) Flexible fastener strip assembly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KR101599347B1 (ko) 조립식 블록
US10219588B2 (en) Belt lock housing
KR20170065441A (ko) 사출 성형된 머시룸 타입 후크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후크 스트랩
KR20170140312A (ko) 폼 쿠션에의 자동차 시트 커버 고정
JP5931743B2 (ja) カバーと、フック部を有するオーバーモールド部材を複数含む成形品とから構成されるアセンブリ
KR101049077B1 (ko) 자동차 시트 커버 부착용 매입식 파스너테이프 및 그 파스너테이프가 결합되는 자동차 시트 충전체 성형용 금형
JP6810554B2 (ja) クリップ
JP5605068B2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JP2021045607A (ja) クリップ
JP2012035546A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JP2012037000A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JP2012035547A (ja) 発泡成形部材、その取付用クリップ、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部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