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341A -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341A
KR20120086341A KR1020127014937A KR20127014937A KR20120086341A KR 20120086341 A KR20120086341 A KR 20120086341A KR 1020127014937 A KR1020127014937 A KR 1020127014937A KR 20127014937 A KR20127014937 A KR 20127014937A KR 20120086341 A KR20120086341 A KR 20120086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astener elements
strip
beads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305B1 (ko
Inventor
폴 조셉 보그트
Original Assignee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filed Critical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8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41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08Combined with divers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6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several, repeating, interlocking formations along length of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8Upholstered article making
    • Y10T29/481Meth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는 패스너 스트립(2)과 유지 비드(20)를 포함한다. 패스너 스트립은 2개의 평행한 열(6)의 밀착되게 이격된 대향하는 패스너 요소(8)를 포함하며, 해당 패스너 요소는 공통의 베이스(4)로부터 연장되어 유지 채널(10)을 형성한다. 2개의 열은 작은 간격으로 분리되어, 패스너 열 사이에 그리고 패스너 요소의 헤드(14) 아래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유지 비드를 수용 및 구속한다.

Description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RELEASABLE FASTENING ALONG A BEAD}
본 발명은 비드(bead)를 따라 이루어지는 해제 가능한 체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발포 구조에 직물 패널을 고정함에 있어서의 그러한 체결에 관한 것이다.
가구, 자동차 시트 커버 및 기타 커버류의 적용례는 커버류 또는 기타 직물 패널의 엣지 또는 테두리를 예컨대, 시트 또는 가구 프레임과 같은 기저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해 호그 링(hog ring), 스티칭(stitching) 또는 패스너를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다.
차량과 경 트럭용의 시트는 시트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발포 번(bun)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 이후, 예비-스티치 접합된 직물 커버가 발포 번에 부착된다. 직물 커버는 터치 패스너 스트립을 발포 번의 외면 안으로 삽입 성형한 후 협력하는 터치 패스너 제품을 직물 커버의 내부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발포 번에 부착되기도 한다. 분리 가능한 패스너의 대응하는 부분을 시트 커버에 부착함으로써 발포 시트 번에 대해 해제 가능한 부착을 제공한다.
일부의 조립의 경우, 패스너에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재료(자기적 인력 재료)를 부착하여 해당 패스너를 자석을 갖춘 주형 공동벽의 홈 또는 채널 내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킨다. 자기적 인력 재료를 예컨대, 패스너 제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 내부로, 패스너 자체의 본체 내부에 합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포 번 위의 터치 패스너 스트립은 통상적으로 트렌치 내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직물 커버 내의 테두리가 시트 쿠션의 표면 안으로 함몰될 수 있다. 테두리를 이러한 방식으로 함몰하는 것에 의해 맞춤형의 스타일(tailored look)을 위해 시트 쿠션의 표면에 미적으로 매력적인 오목한 주름이 형성된다. 트렌치는 테두리가 봉합되는 위치에 생기는 커버 직물의 추가적인 두께도 수용한다.
성형된 수지 제품은 시트 커버의 내면 상의 체결 요소와 패스너 스트립의 체결 요소 간의 체결 작용에 의해 그 외형을 따라 시트 커버(즉, 커버류 재료)가 피복된다.
대체로, 패스너 제품은 커버가 함께 봉합되고 테두리 스티칭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는 위치의 테두리를 따라 직물 커버에 부착된다. 터치 패스너 제품은 시트 제작자가 직물 커버를 발포 번 위로 당긴 후 직물 커버의 테두리를 발포 번 트렌치 내로 아래로 눌러 발포 번과 직물 상의 협력하는 터치 패스너 제품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고 반영구적으로 직물 커버를 발포 번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직물 패널(106, 108) 사이의 직물 테두리(104)가 트렌치(110) 내의 터치 패스너 스트립(114)과 테두리(104)의 엣지를 따라 고정되는 루프(116)와 같은 협력하는 터치 패스너 재료를 통해 시트 발포 번(112) 내의 트렌치(110) 내에 유지되는 일례의 종래의 시트 커버링 설비(102)를 예시한다. 직물 패널을 자동차 시트 발포 번에 고정시키는 패스너의 사용에 대한 소정의 예가 미국 특허 제 7,077,473호 및 7,108,904호에 개시된다.
다른 종래 기술의 설비는 약 100 mm 이격된 부착 또는 고정 점을 갖는 호그 링과 같은 점 부착 또는 클립 시스템을 채용한다. 이러한 설비는 크리프 변형되는 경향이 있어서 부착 점 근처에 구김이나 테두리 주름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비드를 클립 내에 체결하기 위해 큰 힘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류, 직물 및 기타 패널이나 자재의 부착 또는 고정의 능률과 효율의 개선이 추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유지 채널을 형성하고 상보적 유지 비드와 체결되는 대향하는 열의 패스너 요소의 스트립을 특징으로 한다. 대향하는 패스너 요소는 개별적으로 편향됨으로써 체결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킨다. 패스너 요소의 인접부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고, 직물 테두리의 크리핑과 구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수의 작은 체결 요소의 작은 간격은 예컨대 종래의 넓은 간격의 점 부착 시스템에 비해 체결과 분리를 위해 유리하게 낮은 힘의 요건을 제공할 수 있다. 패스너 요소는 압출-절단 및 신장(extrusion-cut-and-stretch) 또는 개별 요소 성형 기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두 개의 대응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를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스트립은 베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베이스는 해당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평행한 열의 개별 패스너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열 사이에 유지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과 헤드를 포함한다. 다른 스트립은 부착 웹을 포함하고, 해당 웹은 해당 웹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패스너 요소의 열 사이의 유지 채널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유지 비드를 구비한다.
체결시, 비드는 패스너 요소의 헤드 아래에 유지된다. 소정의 경우, 비드는 패스너 요소의 팁을 수용하는 리세스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는 유지 채널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는 유지 채널을 가로질러 오프셋된다.
소정의 경우, 소정의 열 내의 개별 패스너 요소들은 직선 인치 당 약 5~50개 패스너 요소(2-20개/cm)의 밀도로 이격되거나 배열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는 실질적으로 연속인 레일로부터 절단된다. 소정의 경우, 절단 레일은 개별 요소들을 분리 배치하도록 신장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는 베이스 위에 성형된다. 소정의 경우, 베이스는 신축적이고; 다른 경우, 상당히 경질이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와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이음매 없는 수지체로 일체로 형성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의 헤드는 유지 채널 측으로 내측을 향한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의 헤드는 갈고리를 형성하고, 헤드는 비드와 패스너 요소의 분리에 저항하도록 갈고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돌기를 형성한다. 패스너 요소의 갈고리의 팁은 비드의 리세스 내에 수용되어 분리 하중 인가 시에 패스너 요소가 유지 채널에 대해 외측으로 편향되는 것에 저항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의 열은 간헐적이거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로서 배열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 및/또는 비드는 베이스 표면 내에서 굽힘이 허용되도록 노치가 형성되거나 세그먼트화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비드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이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와 웹은 각각 세그먼트화되어 체결된 베이스와 웹의 각각의 평면에 신축성을 제공한다.
개별 패스너 요소는 종방향 비드가 유지 채널 내로 삽입시 개별적으로 편향되고 해당 유지 채널 내에 비드를 집합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는 패스너 요소의 하나의 폭보다 작게 이격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비드와 부착 웹은 이음매 없는 수지체로 일체로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비드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부착 웹은 해당 부착 웹의 평면 내에서 굴곡이 허용되도록 세그먼트화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는 신축성이 증가되도록 열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 인접한 홈과 같은 감소된 강도의 종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이것은 발포 쿠션으로의 밀착성 향상에도 유리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스트립은 예컨대, 자기적 인력을 통해 베이스를 사출 주형 내에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자기적 인력 재료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는 패스너 스트립을 성형된 제품에 접합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셀비지(selvedge)를 형성한다. 소정의 경우, 셀비지는 발포 성형 공정 중 실질적으로 발포재가 유지 채널 내로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형 외형을 따르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비드는 부착 웹과 일체로 형성된다. 웹이 직물 테두리 또는 직물 패널 엣지에 봉합, 부착 또는 달리 연결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웹은 직물 패널의 일부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비드는 직물 패널 위에 형성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스트립은 제1 쌍의 대향 열과 평행하고 제2 비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쌍의 대향 열의 개별 후크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는 패스너 요소를 유지하는 표면의 반대측의 후방 표면 상에 돌기를 포함하고, 해당 돌기는 스트립을 성형된 제품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는 루프 체결 가능한 수형의(male) 터치 패스너 요소이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는 전체 높이가 약 3~10 mm이고, 직선 cm 당 약 2~5개의 후크를 가진다. 후크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의 폭은 예컨대, 약 0.5~4 mm일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후크는 약 2 mm의 폭을 가진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는 스트립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으로 측정시 약 0.2 인치(5 mm)의 전체 높이를 가지며, 직선 인치 당 약 12개의 후크(5개 후크/cm)의 후크 밀도를 갖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유지 채널 내로부터 비드를 점차적으로 해제하기 위해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탄성인 주름을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의 스템은 적어도 2개의 직교 방향으로 상당한 탄성을 가진다. 소정의 경우, 주름은 비드에 대해 충분한 추출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팽창되거나 비틀림 변형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유지 채널은 적어도 제1 및 제2의 별개의 체결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제1 및 제2 별개의 체결 프로파일은 다른 길이의 패스너 요소로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제1 및 제2 별개의 체결 프로파일은 열 내에서 다른 높이로 위치되는 제1 및 제2 후크에 의해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제1 및 제2 후크는 동일한 스템 상에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비드는 제1 및 제2 유지 채널의 제1 및 제2 프로파일을 각각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비드의 제1 체결 프로파일은 유지 채널의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과 순차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소정의 예에서, 패스너 스트립은 베이스 상에 추가의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추가의 열의 패스너 요소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제2 부착 비드는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채널과 결합되도록 제1 부착 비드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채널은 비드 단부에서의 분리력이 보다 큰 면적의 비드와 기저의 발포재 사이의 접착 영역에 걸쳐 분포되도록 비드의 단부 너머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스트립을 포함하는 발포 제품의 성형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해당 방법은 베이스와 해당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열 사이에 유지 채널을 형성하도록 평행 배치된 열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를 포함하는 패스너 스트립을 주형 공동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과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개별 패스너 요소들이 집단적으로 해당 패스너 요소의 열 사이의 유지 채널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주형 표면 특징부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유지하여 상기 패스너 스트립을 상기 주형 공동 내에 고정하도록 상기 유지 채널을 상기 주형 표면 특징부로 압박하는 단계와; 상기 패스너 스트립이 경화 발포체에 접합되도록 상기 주형 공동 내로 발포 수지를 도입한 후 상기 발포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형 공동으로부터 상기 패스너 스트립과 함께 상기 발포체를 제거한 후, 직물 패널의 테두리 또는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종방향의 유지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안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포체에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쿠션을 피복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해당 방법은 베이스와 해당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열 사이에 유지 채널을 형성하도록 평행 배치된 열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를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스트립을 쿠션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과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패스너 요소의 열 사이의 유지 채널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 종방향의 유지 비드를 직물 커버의 테두리 또는 엣지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들이 집단적으로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유지하도록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안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직물 커버를 상기 쿠션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연속적인 해제 가능한 체결을 수행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해당 방법은 대향하는 열의 복수의 개별 패스너 요소를 형성하는 패스너 요소가 상부에 성형되어 상기 열 사이에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과, 대향하는 열의 패스너 요소 측을 향하는 탄성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유지 채널 내에 압박시 대향하는 열의 패스너 요소의 후크 사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유지 비드를 부착 플랜지 상에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대향하는 열을 형성하는 것은 제1 열의 종방향에 직각인 양방향을 향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해당 제1 열을 성형하고, 상기 제1 열의 양측면 상에 상기 제1 열을 향하는 후크를 갖는 제2 및 제3 열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적용례에서, 대향하는 열의 복수의 개별 패스너 요소를 형성하는 것은 소정의 패스너 요소 프로파일을 갖는 종방향 레일을 성형하고 상기 연속적인 레일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개별 패스너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된 레일은 상기 복수의 개별 패스너 요소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신장될 수 있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드와 부착 웹을 이음매 없는 수지체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1 및 제2의 별개의 체결 프로파일을 갖도록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제1 및 제2의 별개의 체결 프로파일은 다른 길이의 패스너 요소로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제1 및 제2의 별개의 체결 프로파일은 상기 열 내에서 다른 높이로 위치된 제1 및 제2 후크에 의해 형성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베이스 상에 인접하는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인접하는 열의 패스너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인접하는 유지 채널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착 비드에 인접한 제2 부착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개별 패스너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해제 가능한 패스너의 체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해당 베이스로부터는 평행한 열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가 연장되고,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과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 사이에는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부착 웹의 엣지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패스너 요소의 열 사이의 유지 채널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유지 비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의 후크가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개별적으로 집단적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가 상기 비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일시적으로 변위된 후 개별적으로 반동되도록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드를 유지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을 일시적으로 충분하게 변형시켜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로부터 해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패스너 스트립을 주형 공동 내에 고정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베이스와 해당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평행한 열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를 포함하는 패스너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개별 패스너 요소들은 상기 열 사이에 유지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과 후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도록, 상기 패스너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패스너 요소의 열 사이의 유지 채널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 표면 특징부를 포함하는 주형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가 상기 주형 표면의 특징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일시적으로 변위된 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동되어 집단적으로 상기 주형 표면 특징부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유지하여 상기 패스너 스트립을 상기 주형 공동 내에 고정하도록 상기 유지 채널을 상기 주형 표면 특징부 위로 압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상기 주형 표면 특징부는 연속적인 종방향 비드이다. 소정의 경우, 상기 비드는 불연속적이다. 소정의 경우, 상기 비드는 상기 직물 패드가 상기 유지 채널의 곡률에 보다 밀착되게 따르도록 세그먼트화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패스너 스트립이 발포체에 접합되도록 상기 주형 공동 내에 발포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상기 방법은 패스너 스트립을 포함하는 발포체를 주형 공동으로부터 제거하고, 직물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종방향 유지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안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직물 패널을 상기 발포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상기 베이스는 필름과 같은 탄성 중합체 베이스이다. 따라서, 베이스와 유지 채널은 실질적으로 신축적이고 굽힘 가능한 터치 패스너 제품이다. 다른 경우, 상기 베이스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 보드나 구조 부재와 같은 보다 경질의 기초재 또는 기재이다.
소정의 경우, 패스너 요소는 베이스 재료와 일체로 성형된 스템을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수형 패스너 요소는 상기 스템의 말단에 성형된 루프-체결 가능한 헤드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수형 패스너 요소는 성형된 스템의 단부에 단일 또는 복수의 갈고리를 갖는 후크 형상이다. 상기 갈고리는 Fischer의 미국 특허 제4,872,243호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된 주형 공동을 채용하는 성형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소정의 경우, 패스너 스템 예비 성형체는 성형 후에 루프-체결 가능한 헤드의 형성을 위해 "상부-평면화(flattopping)" 또는 다른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스템은 베이스 재료 상에 형성된 후 상부가 평면화될 수 있다.
부착 웹은 패스너 스트립이 용접, 접합, 봉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직물 패널에 부착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소정의 경우, 상기 웹은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직물 패널은 상기 웹의 표면을 따라 용접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베이스는 패스너 스트립의 굽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된다. 유사하게,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비드 또는 웹은 굽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되거나 세그먼트화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패스너 스트립은 시트 번의 재생 중에 파열 가능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파열 가능한 패스너 스트립은 감소된 단면적의 섹션이 재생 중의 시트 또는 시트 커버에 대해 쉽게 찢기거나 절단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인시튜(in-situ) 적층 공정 및 장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위해, 다양한 재료의 적층을 개시하는 Kennedy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260,015호와 성형되는 후크가 여전히 주형 공동 내에 있는 동안 적층이 이루어지는 다른 형태의 인시튜 적층을 개시하는 Murasaki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441,687호를 참조하라.
부착 비드는 직물, 필름, 플라스틱 탭(tab) 등과 같은 웹의 단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드와 패스너 스트립은 동일공간을 차지할 필요는 없지만, 간헐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비드의 단면은 부착 스트립의 후크 열 사이에 충분히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비드가 부착 스트립에 삽입됨에 따라 패스너 요소는 변위되거나 휘어진다. 휘어진 패스너 요소는 비드가 부착 스트립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형태로 복귀된다. 비드가 부착 스트립에 완전히 삽입시, 패스너 요소는 웹의 단부 상의 비드를 구속하여 해당 구속된 비드가 부착 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부착 시스템은 예컨대, 의류에 또는 시트 커버를 자동차용 시트 발포 번 또는 시트 프레임에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부착 스트립과 비드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계속적인 부착을 제공할 수 있다. 패스너 요소의 독립성은 부착 스트립이 수평 및 수직 축을 따라 그리고 비선형의 형상에 부합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헤드, 스템 및 베이스는 원하는 체결 및 분리의 특성을 얻기 위해 각각 원하는 정도의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드는 패스너 요소가 광범위한 분야의 루프와 체결시 가능한 광범위한 체결 위치보다는 패스너 요소와의 체결시 특정의 원하는 체결 위치를 제공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시트 커버의 보다 정확한 맞춤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성세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들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 그리고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시트 쿠션과 직물 커버에 대한 종래 기술의 터치 패스너 고정식 시트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신축성 패스너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패스너 스트립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유지 채널 내에 수용될 유지 비드를 포함하는 도 2의 터치 패스너 스트립의 단부측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패스너 스트립과 유지 비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오프셋 패스너 스트립을 갖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자기적 인력 스트립과 만곡 리세스를 갖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의 단부측 도면이다.
도 8은 패스너 요소 팁을 수용하는 유지 비드 상의 리세스를 갖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의 단부측 도면이다.
도 9는 직물 패널 테두리에 부착되는 이중 유지 채널과 비드를 갖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의 단부측 도면이다.
도 10은 이중 유지 채널에 대해 안착되거나, 부분 안착되거나 또는 안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해제된 이중 유지 비드를 갖는 도 9의 패스너 스트립의 단부측 도면이다.
도 11은 세그먼트화된 패스너 스트립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세그먼트화된 유지 비드의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3a는 두 가지 대안적인 주형 공동의 설계의 측단면도로서, 패스너 스트립이 발포의 준비를 위해 유지 채널을 통해 유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러 도면에서 유사 참조 부호는 유사 요소를 지시한다.
도 2는 베이스(4)와 해당 베이스(4)로부터 연장되고 열(6) 사이에 유지 채널(10)을 형성하는 평행한 열(6)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8)를 포함하는 신축적 패스너 스트립(2)의 사시도이다. 개별 패스너 요소(8) 각각은 스템(12)과 헤드(14)를 포함한다. 베이스(4)와 개별 패스너 요소(8)의 열(6)은 이음매 없는 수지체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별 패스너 요소(8)는 예비 형성된 베이스(4) 상에 성형될 수 있다.
개별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는 유지 채널(10)의 중심측으로 내향 연장되어 유지 채널(10)의 상부에 오버행을 형성한다. 패스너 요소(8)는 유지 채널(10)에 걸쳐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개별 패스너 요소(8)는 열(6) 내에서 가깝게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별 패스너 요소(8)는 인접하는 패스너 요소(8)가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최소한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스너 요소(8)는 스템 폭의 배수만큼 떨어지게 이격될 수 있다. 열(6) 내의 패스너 간격은 예상 하중 인자 또는 다른 인자를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대-측면의 로딩시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가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분리 하중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촘촘한 간격이 유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하기 위해서는 넓은 간격이 유리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8)는 약 1~5개 스템폭 만큼 떨어져 이격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8)는 열(6) 내에서 직선 인치 당 적어도 약 12개 (5개/cm)의 밀도로 배열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는 직선 인치 당 50개의 패스너 요소(20개의 패스너 요소/cm)를 가질 수 있다.
"열"이란 용어는 통상 패스너 요소의 선형 패턴을 말한다. 패스너 요소는 패스너 스트립의 종방향 치수를 따라 열로 정렬된다. 주어진 열 또는 주어진 유지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열로 된 패스너 요소는 동일하고, 규칙적이고, 불규칙적이며, 엇갈림 배열되거나 또는 임의의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8)가 열(6)로 배열되어 베이스(4) 상에 유지 채널(10)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2의 패스너 스트립의 상면도이다. 베이스(4)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기타 폴리머 재료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지며, 터치 패스너 요소의 높이를 제하고 약 0.25~2 mm의 공칭 두께를 가진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패스너 요소는 약 200 mm의 스템 길이와 약 4 mm의 스템 폭을 가진다. 셀비지 영역은 주형 형상에 부합하게 유리한 신축성을 제공하도록 0.08 mm 정도로 얇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는 직선 cm 당 2~5개의 후크를 가지고 3~10 mm의 높이이다. 후크 폭은 0.5~4 mm, 예컨대 2 mm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패스너 요소(8)는 미리 형성된 베이스(4) 위에 개별 돌출부로서 성형된다. 여러 분야의 후크 패스너 요소와 그 형성에 대한 추가의 상세 정보를 위해 미국 특허 제7,214,334호; 제7,172,008호; 제7,052,638호; 제7,048,818호; 제6,996,880호; 제6,991,843호; 제6,960,314호; 제6,878,332호; 제6,869,554호; 제16,066,281호; 제6,660,121호를 참조하라.
터치 패스너 요소는 스템을 성형한 후 스템의 단부를 나중에 형성함으로써 패스너 헤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압출된 터치 패스너 제품은 패스너 요소 레일을 압출한 후 절단 및 신장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패스너 요소는 제안된 패스너 요소 사이의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신장을 요하지 않고도 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톱니형 블래이드(소우(saw) 커터), 스키빙(skiving) 블래이드에 의해, 또는 초음파적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 터치 패스너 요소의 형성은 베이스를 압출하면서 수지를 압출하여 베이스 외부면 상에 종방향 레일을 형성한 후, 해당 레일을 절단하여 각각의 종방향 열의 개별 터치 패스너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각각의 열 내에서 패스너 요소가 이격되도록 레일의 커팅 후에 종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도 4는 유지 채널(10) 내에 수용되는 종방향 유지 비드(20)를 포함하는 도 2의 패스너 스트립(2)의 단부측 도면이다. 유지 비드(20)는 패스너 요소(8)의 열(6) 사이의 유지 채널(10)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유지 비드(20)가 유지 채널(10) 내에 유지시 유지 비드(20)를 따라서 유지 채널(10)로부터 멀어지게 부착 웹(22)이 연장된다.
유지 비드(20)와 부착 웹(22)은 이음매 없는 수지체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드(20)는 미리 형성된 웹(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드(20)는 직물 패널의 엣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 부착 웹(22)은 자동차 시트 커버링과 같은 직물 패널에 부착 또는 봉합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부착 비드(20)는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 아래로 유지 채널(10) 내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구성과 크기를 갖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유지 비드(20)는 유지 채널(10)과 억지 끼움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억지 끼움식 구성에서, 개별 패스너 요소(8)는 그 하중 미인가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는다.
유지 비드(20)가 유지 채널(10) 내로 삽입되는 중에, 개별 패스너 요소(8)는 유지 비드(20)의 폭을 수용하도록 유지 채널(10)에 대해 외측으로 편향된다. 유지 비드(20)가 유지 채널(10) 내로 완전히 삽입시, 패스너 요소는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가 비드(20)의 일부 위로 돌출되도록 실질적으로 하중 미인가 위치로 복귀된다.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는 갈고리로서 도시되고 있지만,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헤드(14)는 버섯형, 야자나무형, t-형 등일 수 있다. 헤드(14)는 유지 비드(20)와 유지 채널(10)의 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소정의 예에서, 패스너 요소(8)는 베이스(4)의 표면으로부터 약 0.04~1 인치(1~1.5 mm)로, 예컨대, 0.06 인치(1.4 mm)로 연장된다. 통상, 약 15개의 후크/cm2 등과 같이 패스너의 평방 cm 당 10~30개의 후크가 존재한다.
일례에서, 패스너 요소는 미국 뉴햄프셔 맨체스터에 소재한 Velcro USA Inc.로부터 구매 가능한 CFM-29로 지정된 후크이다. 이러한 패스너 요소는 0.024 인치(0.61 mm)의 폭과 0.0006 인치(0.15 mm)의 두께를 가지고 높이는 5 인치(0.38 mm)에 불과하다.
소정의 경우, 패스너 요소(8)는 예컨대 0.750 인치(19 mm)까지 0.010 인치(0.254 mm)만큼 적게 떨어진 거리(x)로 이격될 수 있다. 패스너 요소의 높이(b)를 제외한 베이스의 두께는 0.003 인치(0.076 mm)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수형 프로파일(16)과 제2 수형 프로파일(18)은 베이스 부재(14)로부터 대략 0.047 인치(1.194 mm) 정도 연장되며, 제1 및 제2 수형 부재(16, 18)는 중심축을 따라 서로 대략 0.066 인치(1.676 mm) 정도 분리되어 있다.
해제 가능한 체결부의 개방에 필요한 정확한 크기의 힘은 미늘(barb)의 크기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패스너 스트립과 유지 비드(40)의 측면도이다. 패스너 요소(8)는 집단적으로 유지 비드(20)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인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패스너 스트립(2)과 비드(20)는 예컨대, 자동차 시트의 윤곽으로 설치가 허용되도록 상당히 신축적일 수 있다. 패스너 요소(8)의 간격 및/또는 베이스(4)의 두께는 원하는 신축성 또는 강도를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부착 웹(22)은 유지 비드(20)를 해당 부착 웹(22) 상에 대한 하향의 압력을 통해 유지 채널(10) 내로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게 충분한 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부착 웹(22)은 상당히 강한 플라스틱 스트립이다. 소정의 경우, 유지 비드(20)는 부착 웹(22)과 일체로 형성된다. 소정의 경우, 유지 비드(20)는 부착 웹(22)에 대해 압출, 용접 또는 접합된다. 부착 웹(22)은 패스너 스트립(2)을 통해 고정될 직물 패널 또는 다른 자재를 위한 소망의 부착 영역을 제공하도록 크기 조절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유지 비드(20)는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감소된 단면적의 웹 부분에 의해 부착 웹(22)의 본체와 분리된 부착 웹(22)의 하부 종방향 엣지 부분이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8)는 반복적인 체결 사이클로 해제 가능하게 유지 비드(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시트 커버 설치 중에 재배치시, 커버의 교환시 또는 청소를 위한 제거시 유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예컨대 유지 비드(20)를 유지 채널(10)로부터 제거시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의 변형에 기인하여 제한되거나 심지어 단 한번의 사용을 위해 구성되는 패스너 요소(8)에 유리할 수 있다.
패스너 스트립(2)은 직물 패널 또는 테두리 섹션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앵커로서 제공됨으로써 패널 엣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장력 또는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패널 엣지의 전체 길이를 따른 유지 비드(20)와 유지 채널(10)의 체결의 연속성은 점 또는 클립식 설치에 공통적인 구김, 주름 또는 기타 비틀림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패스너 스트립(2)은 종래 기술의 클립식 설치와 유사한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부착 웹(22)은 예컨대, 부착 비드(20)가 직물 패널의 엣지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상당히 신축적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끝으로 단순히 비드를 채널 내로 누르는 것에 의해 유지 비드를 수동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부착 비드(20)와 유지 채널(10)의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소정의 적용례에서, 부착 웹(20) 상에 유지 비드(20)와 유지 채널(10) 위로 증가된 단면적의 릿지(ledge) 또는 다른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릿지는 유지 채널을 간섭하지 않고도 일종의 수동 그립 또는 툴 캐치(tool catch)로서 증가된 삽입력을 인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대안적으로, 경질 또는 반-경질의 부착 웹 내의 구멍에 의해 유사한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유지 비드(20)는 유지 채널(10) 내에서 상하로 느슨하게 끼워지거나 베이스(4)와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 사이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패스너 요소(8)가 유지 채널(10)을 가로질러 오프셋된 패스너 스트립(2a)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일렬의 패스너 요소의 부분은 반대 열의 패스너 요소 사이의 대향 공간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일렬(6)의 패스너 요소(8)는 반대 열(6)의 패스너 요소(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의 열은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의 크기, 프로파일, 강도 또는 기타 특성과 다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신축적 열이 삽입시 더 쉽게 편향되고 반대편의 보다 강한 열은 분리에 저항하도록 하나의 열의 패스너 요소가 다른 것보다 더 신축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 요소(8)는 이격된 열 세그먼트로 배열된다. 소정의 경우, 대향하는 열의 세그먼트는 유지 채널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소정의 경우, 세그먼트는 유지 채널을 가로질러 부분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 대향하는 열에는 다른 크기 및 다른 밀도의 갯수의 패스너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자기적 인력 스트립(24)과 만곡 리세스(26)를 갖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2b)의 단부측 도면이다. 자기적 인력 스트립(24)은 패스너 스트립(2b)의 자기적 끌어당겨짐 또는 유지를 가능케 하는데 적합한 와이어, 금속 성분 또는 기타 금속 함유체일 수 있다. 이러한 자기적 유지는 예컨대,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발포 성형 공정 중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는 자기적 인력 또는 형상 기억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적 인력은 패스너 스트립(2b)을 주형이나 다른 적용례에 적소에 유지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만곡 리세스(26)는 열(6)에 인접하게 베이스(4)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26)의 감소된 두께는 명확한 만곡 영역을 제공한다. 이것은 예컨대, 패스너 스트립(2b)의 신축성을 증가시키거나 주형-삽입 작업 중 밀봉성을 개선시키고 발포 접착성을 개선하도록 모조의 신축적 엣지를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발포 공정 중, 발포 수지가 개별적인 수형의 패스너 요소 사이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유용하므로 다양한 밀봉 수단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박막 플라스틱 필름 형태일 수 있는 보호층을 탄성 후크 위에 배치하여(주형 내에 배치되기 전에) 성형 과정 중에 발포재가 후크 안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성형 후, 상기 필름 또는 기타 커버는 제거되어 패스너 요소를 노출시킨다. 또한, 터치 패스너 제품의 둘레에는 셀비지 또는 가스켓을 제공함으로써 발포재가 후크 영역 안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유지 비드(20a) 상에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를 수용하는 리세스(28)를 포함하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2)을 보여준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리세스(28)는 분리 하중 인사 상태에서 패스너 요소(8)의 스템(12)의 편향과 반대로, 주요 해제 기구인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의 확장에 의해 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리세스(28)와 패스너 요소 헤드(14)는 유지 채널(10)로부터 비드(20a)를 연속 인출하는 과정 전체에 대해 원하는 체결 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리세스(28)와 패스너 요소 헤드(14)는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의 갈고리의 상당 부분을 따라 체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보적인 만곡 프로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된 프로파일은 일련의 분리에 대해 보다 균일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날카로운 프로파일은 보다 급작스런 초기 저항에 이어 빠른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드(20) 상의 리세스(28)에 인접한 날카로운 돌출부와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 상의 날카로운 갈고리는 헤드(14)가 편향되어 비드(20)를 갑작스레 해제시킬 때까지 비교적 높은 저항력을 생성할 수 있다.
비드와 패스너 요소 프로파일의 조합에 관한 어떤 경우의 수도 원하는 체결 및 분리에 대한 저항의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경우, 비드의 단면은 대략 원형, T-형, 또는 전체적으로 대칭인 다른 형상이다. 다른 예에서, 비드는 패스너 요소(8)의 말단 후크/헤드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를 형성하는 V-형 또는 하트형이다.
비드(20)는 연속적으로 압출된 형상이거나, 세그먼트화될 수 있거나, 이격된 위치에서 패스너 스트립(2)과 연결되도록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패스너 스트립 베이스(4) 및/또는 비드(20)는 예컨대, 비선형의 형상을 형성하거나 따르도록 하나 이상의 축에 추가의 만곡을 허용하는 슬릿 또는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이중 유지 채널(10)과 직물 패널 테두리(30)에 부착되는 유지 비드(20)를 포함하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2c)의 단부측 도면이다. 패스너 스트립(2c)은 테드리(30)의 양측면에 하나씩 2개의 부착 웹(22)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테드리(30)의 어느 측면 또는 중간에 하나의 부착 웹(22)이 위치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부착 웹(22)은 예컨대, 스테이플 또는 다른 기계적 패스너를 사용하여 테두리(30)에 주름(crimping)을 형성하기 위해 반강성 또는 강성의 채널로 형성될 수 있다. 웹(22)은 봉합, 열 용접 등에 의해 테두리(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중 유지 채널(10)과 유지 비드(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그러나, 특정 용례에서는 다른 조합의 비드와 채널 크기, 프로파일 또는 특성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경우, 유지 비드(20)를 다단으로 수용하도록 다른 높이의 유지 채널이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시트 커버를 일정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1차로 느슨한 체결을 제공한 후 2차로 비드를 단단히 체결하는 결합을 행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부착 비드(20)는 소정 범위의 체결 정도를 제공하도록 다중 렛지와 같은 연속적인 체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드(20)와 채널(10)의 점진적인 체결과 분리시 가청의 래칫음(ratcheting sound)이 수반될 수 있다.
패스너 스트립(2)은 단일의 패스너 스트립(2) 상에 직물 패널 또는 커버류의 테두리를 부착하기 위한 다중의 영역을 제공하는 다중 부착 웹(22)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커버의 용례의 측면에서, 패스너 스트립(2c)의 폭 주변으로 액센트 패널이 패스너 스트립(2)의 제1 웹을 따른 중심 패널 엣지와 제2 웹(22)을 따른 측면 패널 엣지에 대해 봉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공통의 테두리를 공유하기보다는 패스너 스트립(2)을 통해 보다 느슨하게 결합되는 2개의 인접하는 패널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개의 웹(22)에 2개의 패널을 각각 부착하는 것은 양측 패널의 엣지 부착 또는 테두리 부착이 동시에 실패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이중 유지 비드(20) 중 하나가 대응하는 유지 채널(10)에 안착되고 나머지는 부분적으로 안착된 상태의 도 9의 패스너 스트립을 예시한다. 비드(20)를 유지 채널(10) 내로 삽입 중에, 패스너 요소(8)는 비드(20)를 수용하도록 외측으로 편향된다. 완전 삽입시, 패스너 요소(8)는 헤드(14)가 비드(20)의 일부 위로 연장되는 상태의 하중 미인가 위치를 향해 반동된다.
분리 중에, 충분한 분리 하중 하에서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가 확장되거나 및/또는 패스너 요소(8)가 편향되어 비드(20)를 채널(10)로부터 해제시킨다. 비드(20)는 유지 채널(10)을 따른 개별 패스너 요소(8)의 점진적인 해제를 통해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베이스(4)가 구멍(34)에 의해 세그먼트화되어 평면 내의 신축성을 증가시키는 다른 패스너 스트립(2d)의 상면도이다. 세그먼트화는 세그먼트화된 패스너 스트립(2d)이 시트 발포 번의 재생시 보다 쉽게 파열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도 12는 구멍(36)을 형성하는 웹(22b)의 말단 엣지에 제공되는 연속적인 유지 비드(20b)를 보여준다. 웹(22b)의 세그먼트화는 가장자리 테두리에 봉합시 형상에 매핑되도록 향상된 신축성을 제공한다.
도 13은 유지 채널(10)을 통해 유지되는 패스너 스트립(2)을 포함하는 주형 공동의 측단면도이다. 패스너 스트립(2)은 발포 시트 쿠션과 같은 제품이 제조되는 주형 내에 위치된다. 패스너 스트립(2)은 주형-삽입 공정(mold-in process)에서 인서트로서 사용되며, T-형 돌출부와 같은 상보적인 주형 특징부(42)에 의해 주형 공동 내에 유지된다. 이것은 패스너 스트립(2)을 위한 견고한 앵커와 베이스(4)의 셀비지(46)와 주형 표면(44) 사이에 견고한 밀봉을 유익하게 제공할 수 있다.
주형 특징부(42)는 발포재가 트렌치(50) 내로 침투되더라도 주형 특징부(42)에 의해 점유된 장소를 취하지 않을 대향하는 패스너 요소 사이의 구멍을 충분히 충전하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형으로부터 발포체를 제거한 후, 주형 특징부(42)에 의해 점유된 패스너 요소 사이에는 개방 공간이 남아 있게 된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주형 특징부(42)는 패스너 스트립(2)이 주형 특징부(42)와 결합되도록 압박될 때 베이스(4)의 측방 셀비지 엣지(46)가 위로 편향되도록 주형 표면(44) 아래로 충분히 함몰된다. 이러한 편향은 셀비지(46)와 주형 표면(44) 간의 밀봉 접촉 압력을 증가시킨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셀비지(46)는 해당 셀비지(46)의 편향을 위해 감소된 단면적의 만곡 리세스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주형 공동(40)은 성형 작업 중 패스너 요소(8)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트렌치(50)를 형성하는 받침대(48)를 포함한다. 주형(40)은 측벽과 바닥을 더 포함한다. 받침대(48)는 주형 측벽 사이로 연장되는 베이스와 트렌치(50)를 형성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트렌치(50)는 측벽과 바닥벽도 포함한다. 받침대(48)와 트렌치(50)는 도 13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트렌치는 직선형이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2차원의 평면에서 만곡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바닥 상부로부터 상하로 평면 내에서 2차원으로 기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공간적으로 3차원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전술한 사항은 체결 성분을 주형의 바닥벽으로부터 상승되는 받침대 내의 트렌치 내에 배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트렌치는 유지 채널과 주형 특징부의 결합이 체결 성분을 이러한 배향으로도 유지하기에 적절하므로 주형의 측벽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추가로,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해 받침대가 존재할 필요는 없다. 물론, 받침대 없이 패스너 스트립은 성형 제품 내의 리세스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시, 패스너 스트립(2)은 패스너 요소(8)가 트렌치(50)의 바닥벽을 향하고 베이스의 후방이 주형 공동(40) 내를 향하도록 트렌치(50) 내에 삽입된다. 셀비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스너 스트립(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패스너 스트립(2)이 트렌치(50) 내로 탄성적으로 가압 결합되고 유지 채널(10)은 주형 특징부(42) 위로 수용되어 성형 작업 중에 패스너 스트립(2)을 유지하도록 트렌치(50)에 대해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통상, 유지 채널(10)은 단순히 사용자가 지압을 가하여 패스너 스트립(2)을 트렌치(50) 내로 압박하는 것에 의해 주형 특징부(42)로 압박될 수 있다.
성형 작업 중, 성형 재료는 주형 공동(40)에 충전된다. 발포 수지와 같은 성형 재료가 주형 내로 부어지거나 흘려 보내지면, 발포 재료는 통상 액체이므로 주형 본체와 패스너 성분(2)의 체결 표면 사이로 스며들려 할 것이다. 셀비지(46)는 편향되어 주형 표면(44)과 함께 발포 개재물에 대해 밀봉을 형성한다. 이것은 자기적 구성과 같은 다른 종류의 홀드-다운(hold-down) 체결 구성과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패스너 스트립은 체결 표면이 트렌치의 바닥을 향하도록 패스너 스트립이 트렌치를 따르도록 만곡되게 주형 내의 트렌치 내에 배치된다. 주형 내에는 액체 성형 재료가 패스너 스트립의 고정 표면에 접촉하도록 액체 성형 재료가 도입된다. 고정 표면은 패스너 요소를 유지하는 표면과 반대측에 돌출부를 포함하는데, 해당 돌출부는 스트립을 성형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성형 재료는 패스너 스트립이 내부에 성형된 성형체가 되도록 응고될 수 있다. 성형체 및 합체된 패스너 스트립은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3a는 패스너 스트립의 셀비지가 지지되지 않지만 주형의 표면 위로 돌출되어 성형시 발포재 내에 완전히 매립되는 대안적인 설계의 주형 공동을 예시한다. 해당 예에서, 발포재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제거시, 발포체가 대응하는 웹 비드가 매립된 패스너 요소에 의해 유지되도록 밀려날 수 있는 주형 특징부(42)에 대응하는 넓이와 크기의 트렌치를 특징적으로 형성하도록, 각각의 열의 인접하는 패스너 요소 사이로 전개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비점유된 공간 내로 전개되어 개별 패스너 요소들을 둘러싸게 된다. 이러한 설계는 패스너 스트립이 발포재 내에 매우 강력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참조된 모든 특허는 그 내용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그럼에도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패스너 요소(8)는 곡선형의 비드 부분을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버섯형 또는 다중-돌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와 패스너 스트립은 동일 공간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지만 간헐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은 이후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3)

  1. 두 개의 대응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로서:
    평행한 열(6)의 개별 패스너 요소(8)들이 돌출해 있는 베이스(4)를 구비하고 상기 열들 사이에는 유지 채널(10)이 형성되는 제1 스트립(2)으로서,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12) 및 이 스템의 말단에서 상기 베이스 위로 오버행(overhang)식으로 돌출되는 헤드(14)를 포함하는 구성인, 그러한 제1 스트립(2)과;
    종방향 유지 비드(20)가 말단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부착 웹(22)을 포함하는 제2 스트립으로서, 상기 비드는 상기 유지 채널의 입구 폭보다 큰 측방 치수를 가지며, 패스너 요소(8)의 열(6)들 사이의 유지 채널(1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 그러한 제2 스트립
    을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는 상기 패스너 요소(8)의 대향하는 헤드(14)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패스너 요소의 대향하는 스템(12)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측방 치수를 가지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8)들은 상기 유지 채널(10)의 맞은편에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20)와 상기 부착 웹(22)은 이음매 없는 수지체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와 상기 베이스(4)는 함께 단일의 이음매 없는 수지체를 형성하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하나의 열(6) 내의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는 인치 당 약 5~50개의 패스너 요소 (2~5개/cm)의 밀도로 이격되고 및/또는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는 해당 열(6) 내에서 이 열을 따라 약 1개의 패스너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격되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는 측방 굽힘이 허용되도록 노치가 형성되거나 세그먼트화되며, 및/또는 상기 베이스(4)는 상기 열(6)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감소된 강성의 종방향 만곡 리세스(26)를 형성하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의 헤드(14) 각각은 갈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비드(20)는 상기 비드와 패스너 요소의 분리에 저항하기 위해 상기 갈고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28)를 형성하는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제2 비드(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유지 채널(10)을 형성하는 제2 쌍의 대향하는 열(6)의 개별 패스너 요소(8)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패서너 요소(8)는 다른 체결 프로파일의 패스너 요소 및/또는 다른 길이의 패스너 요소(8)를 포함하는 것인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장치.
  10.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스트립(2)을 포함하는 발포체의 성형 방법으로서:
    베이스(4) 및 이 베이스로부터 돌출한 평행한 열(6)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8)를 포함하고, 열 사이에는 유지 채널(10)이 형성되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12) 및 헤드(14)를 포함하는 그러한 패스너 스트립(2)을 주형 공동(40) 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 채널(10)을 패스너 요소의 열들 사이의 유지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주형 표면 특징부(42) 상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들이 집단적으로 상기 주형 표면 특징부(42)를 상기 유지 채널(10) 내에 유지하여 상기 패스너 스트립을 상기 주형 공동 내에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패스너 스트립이 경화된 발포체에 접합되도록 상기 주형 공동(40) 내로 발포 수지를 도입한 후 상기 발포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파스너 스트립을 포함한 발포체 성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공동으로부터 상기 패스너 스트립을 갖는 상기 발포체를 제거한 후, 직물 패널의 테두리와 엣지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종방향의 유지 비드(20)를 상기 유지 채널(10) 안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포체에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터치 파스너 스트립을 포함한 발포체 성형 방법.
  12. 쿠션 피복 방법으로서:
    평행한 열(6)의 개별 패스너 요소(8)들이 돌출하고 있는 베이스(4)를 포함하고, 상기 열들 사이에는 유지 채널(10)이 형성되며,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12) 및 이 스템의 말단에서 상기 베이스 위로 오버행식으로 돌출되는 헤드(14)를 포함하는 구성인, 그러한 제1 해제 가능한 터치 패스너 스트립(2)을 쿠션에 제공하는 단계와;
    종방향의 유지 비드(20)가 말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지 채널(10)의 입구 폭보다 큰 측방 치수를 갖는 종방향 웹(22)을 직물 커버 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20)를 상기 유지 채널(10) 안으로 삽입하여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들이 집단적으로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직물 커버를 상기 쿠션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쿠션 피복 방법.
  13. 해제 가능한 패스너의 체결 방법으로서:
    베이스(4)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이 베이스로부터는 평행한 열(6)의 복수의 대향하는 개별 패스너 요소(8)가 돌출되고,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 각각은 스템(12) 및 이 스템의 말단에서 오버행 형태의 헤드(14)를 포함하고, 상기 열 사이에는 유지 채널(10)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4)를 제공하는 단계와;
    부착 웹(22)의 엣지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패스너 요소(8)의 열(6) 사이의 유지 채널 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유지 비드(20)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20)를 상기 유지 채널(10) 내에 삽입하여,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8)가 상기 비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일시적으로 변위된 후 개별적으로 반동되어 상기 개별 패스너 요소의 헤드(14)가 상기 비드를 상기 유지 채널 내에 개별적으로 집단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제 가능한 패스너의 체결 방법.
KR1020127014937A 2009-11-10 2010-10-20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KR101354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972709P 2009-11-10 2009-11-10
US61/259,727 2009-11-10
PCT/IB2010/002856 WO2011058415A1 (en) 2009-11-10 2010-10-20 Releasable fastening along a b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341A true KR20120086341A (ko) 2012-08-02
KR101354305B1 KR101354305B1 (ko) 2014-01-23

Family

ID=4356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937A KR101354305B1 (ko) 2009-11-10 2010-10-20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2406B2 (ko)
EP (1) EP2499021B1 (ko)
KR (1) KR101354305B1 (ko)
CN (1) CN102712274B (ko)
CA (1) CA2779810C (ko)
WO (1) WO20110584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18B1 (ko) * 2013-07-11 2015-03-02 한의경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KR20160052678A (ko) * 2013-09-03 2016-05-12 아플릭스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4195B1 (fr) * 2008-07-24 2011-04-01 Faurecia Sieges Automobile Formage de garnitures pour sieges de vehicule automobile
JP2012250662A (ja) * 2011-06-06 2012-12-20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US9216702B1 (en) * 2012-06-26 2015-12-22 Leon Plastics, Inc. Locking seam alignment guide for interior trim component cover
US20140183925A1 (en) * 2012-12-31 2014-07-0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trim closeout slide system
WO2014139933A1 (en) 2013-03-13 2014-09-18 Velcro Industries B.V. Securing covers over foam cushions
FR3009222B1 (fr) 2013-08-02 2016-01-01 Faurecia Sieges Automobile Formage d'une garniture pour siege automobile
FR3009224B1 (fr) 2013-08-02 2016-01-01 Faurecia Sieges Automobile Procede de formage de garniture pour siege automobile
JP6210633B2 (ja) * 2013-09-13 2017-10-1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US9776353B2 (en) 2013-10-02 2017-10-03 Velcro BVBA Longitudinal bead molding
US9315134B2 (en) 2013-11-08 2016-04-19 Velcro BVBA Securing seat trim covers to foam cushions
JP6180288B2 (ja) * 2013-11-08 2017-08-1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固定治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ート用パッドの成形型
JP6227474B2 (ja) 2014-04-25 2017-11-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228562B2 (ja) * 2015-03-27 2017-11-08 株式会社ニフコ 表皮係止用クリップ
FR3035038B1 (fr) 2015-04-16 2017-05-1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lignement de pieces de coiffe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JP6636263B2 (ja) * 2015-04-23 2020-01-29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
US9873363B2 (en) 2015-04-27 2018-01-23 Velcro BVBA Securing seat trim covers to foam cushions
US10336226B2 (en) 2017-02-23 2019-07-02 Velcro BVBA Tool for fastening a listing bead to a fastener strip
IT201700054513A1 (it) * 2017-05-19 2018-11-19 Proma S P A Sistema per montare una fodera ad un sedile per veicoli.
US10682935B2 (en) * 2017-11-03 2020-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ver panel for vehicle seat with invisible tie-down
US11618357B1 (en) * 2021-09-13 2023-04-04 Lear Corporation Lengthwis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243A (en) 1984-04-16 1989-10-10 Velcro Industries B.V. Multi-hook fastener member
US5187843A (en) 1991-01-17 1993-02-23 Lynch James P Releasable fastener assembly
US5260015A (en) 1991-08-16 1993-11-09 Velcro Industries, B.V.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hook fastener
JPH0576310U (ja) 1992-03-30 1993-10-19 吉田工業株式会社 気水密性咬合ファスナー
US5236243A (en) 1992-03-30 1993-08-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rge thread loop fastener for trim cover
JP2744384B2 (ja) 1992-07-22 1998-04-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裏面に裏部材を有する係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5273511A (en) 1993-03-30 1993-12-28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to improve welding of profiled plastic film or tape
US5403094A (en) * 1993-10-06 1995-04-04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Reclosable zipper
US5878468A (en) 1996-05-22 1999-03-09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for reclosable bag and method thereof
US5900350A (en) 1996-06-06 1999-05-04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methods, molds and products
US5953797A (en) 1996-10-09 1999-09-21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138329A (en) 1997-01-18 2000-10-31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fastener tape material, bag utilizing fastener tap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839831A (en) 1997-02-06 1998-11-24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Flexible package having improved gripper ridges and methods thereof
US5945131A (en) 1997-04-16 1999-08-31 Velcro Industries B.V. Continuous molding of fastener products and the like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US6432339B1 (en) 1997-08-25 2002-08-13 Velcro Industries B.V. Continuous molding of fastener products with a mold belt
US5900303A (en) 1997-09-30 1999-05-04 Aplix, Inc. Fastener assembly with mechanical end seals
US6066281A (en) 1998-06-16 2000-05-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US6167597B1 (en) 1998-07-13 2001-01-02 Illinois Tool Works, Inc. High compression zipper
US6152600A (en) 1998-11-03 2000-11-28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Particle-tolerating closure arrangement for reclosable bag and methods thereof
US6991843B2 (en) 1999-01-15 2006-01-31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engageable with loops of nonwoven fabrics and with other open structure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fasteners
US7052638B2 (en) 1999-01-15 2006-05-30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er
US6180205B1 (en) 1999-04-01 2001-01-30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s having portions with different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AU2001245702A1 (en) 2000-03-14 2001-09-24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ing
US20020101109A1 (en) * 2001-01-19 2002-08-01 Stiller Edwin L. Fastener assembly for a seat
US6692147B2 (en) * 2001-08-24 2004-02-17 Charles Nelson Venting reclosable bags
US7270479B2 (en) * 2001-08-24 2007-09-18 S.C. Johnson Home Storage, Inc. Venting reclosable bags
US20030215601A1 (en) * 2002-02-22 2003-11-20 Woodbridge Foam Corporation Attachment device
US6838155B2 (en) * 2002-02-28 2005-01-04 Woodbridge Foam Corporation Foam pa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4000321A (ja) 2002-03-26 2004-01-08 Kuraray Co Ltd モールドイン成型用係止部材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US6877898B2 (en) 2002-09-05 2005-04-12 Illinois Tool Works Inc. Ease of closure through tactile/optical means
US6996880B2 (en) 2003-04-01 2006-02-14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077473B2 (en) 2003-04-03 2006-07-18 Velcro Industries B.V. Attaching covers to seat cushions
US7172008B2 (en) 2003-09-18 2007-02-06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216405B2 (en) 2004-03-25 2007-05-15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Teardrop sealant layer for profile and spacer areas for improved sealing and guiding
DE102005048214A1 (de) * 2005-09-29 2007-04-05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sowie zugehöriges Verankerungsteil für einen Sitz
DE602007006038D1 (de) 2006-11-10 2010-06-02 Velcro Ind Biegsame klettverschlussprodukte
US7585025B2 (en) * 2006-12-10 2009-09-08 Lear Corporation Ergonomic closeout
ITMI20080262A1 (it) * 2008-02-19 2009-08-20 Toscana Gomma Spa Gancio per il collegamento di un materiale in foglio ad un corpo realizzato in stamp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18B1 (ko) * 2013-07-11 2015-03-02 한의경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KR20160052678A (ko) * 2013-09-03 2016-05-12 아플릭스 후크를 갖는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9810C (en) 2014-07-22
US8522406B2 (en) 2013-09-03
EP2499021A1 (en) 2012-09-19
EP2499021B1 (en) 2015-12-23
CN102712274A (zh) 2012-10-03
CA2779810A1 (en) 2011-05-19
KR101354305B1 (ko) 2014-01-23
US20120240364A1 (en) 2012-09-27
CN102712274B (zh) 2016-08-03
WO2011058415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305B1 (ko)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US6838155B2 (en) Foam pa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5900303A (en) Fastener assembly with mechanical end seals
CA2419693C (en) Attachment device
EP3513680B1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561404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astener assembly
US7559100B2 (en) Cover attachment device
CN106476662B (zh) 用于垫衬物夹子的列条
EP2969645B1 (en) Securing covers over foam cushions
JP5629573B2 (ja)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
US9918526B2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TW201100033A (en) Molded male surface-fastener
CA2787349C (en) An assembly made up of a cover and of a molded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overmolded elements having hooks
EP3143897B1 (en) Surface fastener, cushion structure, and seat structure
EP4355615A1 (en) Seat cover fast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