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60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605A
KR20160051605A KR1020150143890A KR20150143890A KR20160051605A KR 20160051605 A KR20160051605 A KR 20160051605A KR 1020150143890 A KR1020150143890 A KR 1020150143890A KR 20150143890 A KR20150143890 A KR 20150143890A KR 20160051605 A KR20160051605 A KR 2016005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moisture meter
grain
tank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304B1 (ko
Inventor
켄이치로 타케우치
아키후미 미야모토
이쿠오 우에카
히로미치 카와구치
아츠시 미즈시마
토모유키 이치마루
야스시 이하라
켄타로 츠지
요시타카 우에지
쿄헤이 무라모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218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93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15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151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0Sack-filling devices; Counting or weig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과제) 그레인 탱크의 형상 및 수분계와 공급 장치의 배치를 고안하고,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그레인 탱크(5) 내에 공급되는 곡립의 수분을 계측하는 수분계(17)를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의 후방측에 설치하고, 공급 장치(16)는 그레인 탱크(5) 전방측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21)로부터 수분계(17)를 향해서 곡립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수분계(17)에는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을 관통하는 개구부(30)를 통해서 수분계(17)에 곡립을 한 알씩 도입하는 도입부(27)와, 이 도입부(27)에 있어서의 수분계(17) 본체 내로의 연신 부분의 하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전극 롤러(35)와, 개구부(30)의 전방측에 부착되어 곡립을 도입부(27)로 안내하는 홈통상의 안내 부재(2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그레인 탱크 내에 곡립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그레인 탱크 내에 공급된 곡립의 수분을 계측하는 수분계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공급 장치는 그레인 탱크의 전후 중간 위치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로부터 그레인 탱크 내의 전방부에 배치한 수분계를 향해서 곡립을 방출하는 구성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5-55537호 공보
상기 공지예는 공급 장치의 공급구를 그레인 탱크(5)의 전후 중간 위치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 내에 곡립을 방출함에 있어서 공급 장치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공급 장치에 의한 곡립의 방출은 회전 방향의 위쪽이 많아지고, 후방측에 많이 비산되므로 공급구의 전방측에 설치한 수분계로는 충분한 곡립을 회수할 수 없고, 그만큼 측정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
본원은 그레인 탱크의 형상 및 수분계와 공급 장치의 배치를 고안하여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그레인 탱크(5) 내에 곡립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16)와, 그레인 탱크(5) 내에 공급되는 곡립의 수분을 계측하는 수분계(17)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수분계(17)를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의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공급 장치(16)는 상기 그레인 탱크(5)의 전방측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21)로부터 상기 수분계(17)를 향해서 곡립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수분계(17)에는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을 관통하는 개구부(30)를 통해서 수분계(17)에 곡립을 한 알씩 도입하는 도입부(27)와, 이 도입부(27)에 있어서의 수분계(17) 본체 내로의 연신 부분의 하방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롤러(35)와, 상기 개구부(30) 전방측에 부착되어 곡립을 도입부(27)로 안내하는 홈통상의 안내 부재(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21)로부터 방출되어서 안내 부재(28)에 회수된 곡립을 상기 도입부(27)에 의해 수분계(17) 내로 보내고, 이 곡립을 상기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에서 한 알씩 뭉개버렸을 때에 이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곡립의 함유 수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분계(17)에 의해 복수의 곡립의 수분을 측정하고, 이 복수의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5)의 상면을 형성하는 천판(20)에는 상기 후면(18)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3)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구(21)를 상기 후면(18)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수분계(17)를 상기 후면(18)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세로 배출 장치(13)를 상기 후면(18)의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분계(17)를 배면에서 볼 때 상기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에 있어서의 세로 배출 장치(13)와 겹치지 않는 부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분계(17)를 상기 세로 배출 장치(13)에 대해서 기체 내측이 되는 부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공급 장치(16)로부터 많이 배출되는 곡립의 일부를 수분계(17)로 회수해서 수분을 계측하므로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곡립을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에서 한 알씩 뭉개버렸을 때에 이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곡립의 함유 수분을 측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수분계(17)에 의해 복수의 곡립의 수분을 측정하고, 이 복수의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측정함으로써 곡립의 함유 수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그레인 탱크(5)의 천판(20)에 구비한 경사부(23)에 의해 수분계(17)로의 곡립의 회수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수분계(17)로의 곡립의 회수를 확실하게 해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수분계(17)와 세로 배출 장치(13)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기체 전체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수분계(17)를 세로 배출 장치(13)에 의해 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그레인 탱크가 오픈 상태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안내 수단의 기체측 안내 부재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안내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그레인 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수분계의 일부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안내 수단 부근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 위에 올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의 오목부 내에 침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 위에 올라앉은 상태의 로드 셀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그레인 탱크가 로드 셀 위에 올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공급 장치와 수분계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그레인 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평면으로부터 본 공급 장치의 공급구로부터의 곡립 방출 상태 설명도이다.
도 15는 세로 배출 장치와 수분계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그레인 탱크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수분계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수분계 부근의 그레인 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18(A)는 그레인 탱크의 록킹 기구의 일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8(B)는 그레인 탱크의 록킹 기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9는 동 조절축 부분의 확대 배면도이다.
도 20(A)는 조종부의 스테이 및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0(B)는 조종부의 스테이 및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20(C)는 조종부의 스테이 및 홀더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은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이며, 2는 기체 프레임(1)의 하방에 설치한 주행 장치, 3은 기체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한 탈곡 장치, 4는 탈곡 장치(3)의 전방측에 설치한 예취 장치, 5는 그레인 탱크, 6은 조종부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설명의 편의상 전후·좌우 등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엔진(8)은 기체 프레임(1)의 전후 방향의 전방에서 조종부(6)의 연직 방향의 하측에 형성된 엔진 룸(도시 생략) 내에 탑재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5)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탈곡 장치(3)에 의해 선별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곡립 저장 장치이다. 그레인 탱크(5)는 조종부(6)의 전후 방향의 후방이며, 기체 프레임(1)의 좌우 방향의 우측 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레인 탱크(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3)와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는 그레인 탱크(5)의 후단부 외측인 우후단부에 형성된 힌지부(10)(회동 중심에 상당)를 중심으로 기체 프레임(1)으로부터 이간되는 유지 보수 위치(도 3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다)와, 기체 프레임(1) 위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도 3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5)는 작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서 차량 외측에 회동됨으로써 그레인 탱크(5)의 좌측 방향에 배치된 탈곡 장치(3) 등의 유지 보수 등을 행할 수 있다. 그레인 탱크(5) 내에는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탱크 내 나선식 배출 장치(11)(도 8~도 12에 기재)를 설치하고, 나선식 배출 장치(11)의 종단(후단)은 그레인 탱크(5)의 기외에 설치한 접속 메탈(12) 내에 면하게 한다. 나선식 배출 장치(11)에는 세로 배출 장치(13)의 하부를 접속하고, 세로 배출 장치(13)의 상부에는 가로 배출 오거(14)의 베이스부를 접속한다.
나선식 배출 장치(11)는 그레인 탱크(5)의 바닥부에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나선식 배출 장치(11)는 그레인 탱크(5)의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전후 방향과 평행인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선식 배출 장치(11)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축심 둘레로 회전되어서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을 후방의 접속 메탈(12)(도 13에 기재)을 향해서 반송하고, 세로 배출 장치(13)와 가로 배출 오거(14)를 통해 기외로 곡립을 배출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에는 탈곡 장치(3)의 공급 장치(16)로부터 그레인 탱크(5) 내에 배출되는 곡립의 일부를 샘플링해서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편차, 수분 편차라고도 한다)를 측정하는 수분계(17)를 설치한다. 수분계(17)는 그레인 탱크(5)의 후면(후판)(18)의 상부에 부착한다.
그레인 탱크(5)의 천판(20)은 전방측 부분을 수평형상으로 형성하고, 적어도 공급 장치(16)의 상부의 공급구(21)를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에 개구시킨 부분으로부터 후방측의 소정 위치로부터의 천판(20)을 후방에 도달함에 따라서 낮게 경사시킨 경사부(후측 경사부)(23)에 형성하고, 경사부(23)의 후단을 후면(18)의 상단에 접속한다(도 13).
따라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보다 저위치에 수분계(17)를 설치하고,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에 면하게 한 돌출체(25)에 의해 돌출 곡립이 천판(20)의 경사부(23)로부터 수분계(17)로 유도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분계(17)는 후방측의 후면(18)의 상부에 부착됨으로써 탈곡 장치(3)의 공급 장치(16)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의 비산 궤적 위에 배치되어 있다(도 14에서는 비산량을 사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분계(17)는 공급 장치(16)에 의해 돌출되는 양이 많은 그레인 탱크(5)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수분계(17)를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보다 저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공급 장치(16)로부터 돌출된 곡립을 수분계(17)는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고,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분계(17)의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공급 장치(16)는 그레인 탱크(5) 전방측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21)로부터 그레인 탱크(5) 내의 후방부에 배치한 수분계(17)를 향해서 곡립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공급 장치(16)의 돌출체(25)의 회전 방향의 위쪽이 곡립 방출이 많아지고, 후방측으로 많이 비산되므로 공급구(21) 전방측에 설치한 수분계에 비해 본원의 수분계(17)는 충분한 곡립을 회수할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16A는 양곡 나선, 16B는 양곡통이다.
또한, 그레인 탱크(5)의 천판(20)은 후면(18)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3)를 구비하고, 공급구(21)를 후면(18)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수분계(17)를 상기 후면(18)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세로 배출 장치(13)를 상기 후면(18)의 후방측에 설치하고, 수분계(17)를 배면에서 볼 때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에 있어서의 세로 배출 장치(13)와 전후로 겹치지 않는 부위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수분계(17)는 세로 배출 장치(13)에 의해 이물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즉, 수분계(17)는 세로 배출 장치(13)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수분계(17)는 세로 배출 장치(13)에 대해서 기체 내측이 되는 부위에 배치한다.
그 때문에, 한층 더 세로 배출 장치(13)에 의해 이물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23)에 후단과 후면(18)의 상단의 접합부(26)의 근방에 수분계(17)를 설치한다.
그 때문에, 공급 장치(16)에 의해 돌출된 곡립이 경사부(23)에 있어서 수분계(17)로의 채취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분계(17)의 구성은 공급 장치(16)로부터 돌출된 곡립을 회수해서 측정할 수 있으면 좋고, 구성은 임의이지만, 일례를 나타내면 수분계(17)는 수분계(17) 내에 곡립을 도입하는 도입부(27)를 구비하고, 도입부(27)의 근방에 곡립을 도입부(27)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28)를 설치해서 구성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에 수분계(17) 내에 곡립의 일부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30)(청구항에 있어서의 「개구부(30)」)와, 개구(30)의 전방측에 부착되어 곡립을 수분계(17)에 도입하기 쉽게 하는 안내 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30)는 후면(18)을 관통하고 있다. 안내 부재(28)는 그레인 탱크(5)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안내 부재(28)는 상방이 개구한 단면 홈통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곡립을 내측에 수용함으로써 곡립을 수분계(17)에 도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분계(17)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부재(28)의 상측 개구부(31)에는 망형상의 진입 방지체(32)를 설치한다. 진입 방지체(32)는 곡립보다 큰 눈 크기로 형성되어 안내 부재(28)가 곡립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면서 안내 부재(28)에 짚 부스러기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그 때문에, 이물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수분계(17)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진입 방지체(32)는 안내 부재(28)의 상측 개구부(31)의 상방에 상단을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측에 접촉시키고, 진입 방지체(32)의 하단은 안내 부재(28)의 상측 개구부(31)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상측 개구부(31의 수평면에 대해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시켜서 형성해도 좋다.
그 때문에 진입 방지체(32) 상에 이물이 퇴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진입 방지체(32)는 소위 다공판에 의해 망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 때문에, 곡립의 지경(枝梗)이나 이물의 걸림을 억제한다.
수분계(17)는 도 7,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30)를 통해서 곡립을 한 알씩 도입하는 원기둥형상의 도입부(27)와, 도입부(27)에 있어서의 수분계(17)의 본체 내에 연신한 부분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전극 롤러(3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입부(27)는 축봉형상으로 외주면에 곡립을 한 알씩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간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축심 둘레로 회전됨으로써 곡립을 한 알씩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에 공급한다. 36은 도입부(27)의 측방에 형성한 유도 부재이며, 유도 부재(36)와 간헐 나선홈의 사이에 곡립이 감합된 상태에서 도입부(27)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전극 롤러(35)로 이송한다.
전극 롤러(35)는 한 알씩 곡립을 서로의 사이에서 뭉개서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값을 측정한다. 수분계(17)는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에서 한 알씩 곡립을 뭉개서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한 알씩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을 측정한다. 수분계(17)는 복수의 곡립의 수분을 측정하여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측정한다.
수분계(1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에 의해 덮여 있다.
수분계(17)를 덮어서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에 부착된 커버 부재(40)는 이 후방측의 후면(18)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수분계(17)를 보호할 수 있고, 커버 부재(40)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분계(17)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수분계(17)는 도입부(27) 및 전극 롤러(35)를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여 모터의 회전 부하가 소정 이상으로 커지면 구동을 정지한다.
즉, 도입부(27)가 이물을 수분계(17)에 도입한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므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수분계(17)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모터의 정지를 음성이나 모니터(도시 생략)로 통지한다.
수분계(17)의 모터는 나선식 배출 장치(11)와 세로 배출 장치(13)와 가로 배출 오거(14)에 의한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 배출 중에도 구동을 속행한다.
그 때문에, 수분계(17) 내에 남은 곡립을 배출하고, 다음 공정의 곡립의 측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수분계(17)를 설치하는 스테이(도시 생략)에 수분계(17)를 구동하는 모터와는 별도로 진동용 모터(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 진동용 모터의 회전축(도시 생략)에 하중이 편심된 추(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진동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면 수분계(17)가 진동하고, 수분계(17)의 평면부에 적재된 곡립이나 진애 등을 진동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그레인 탱크(5)의 중량, 즉 그레인 탱크(5)가 저류한 곡립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 셀(47)(중량 검출 수단에 상당)과,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로드 셀(47) 위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48)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셀(47)은 기체 프레임(1) 상에 부착되어서 기체 프레임(1) 상과 작업 위치의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나선식 배출 장치(11)의 하방에 배치된다. 로드 셀(47)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의 프레임 부재(49)와, 프레임 부재(49)와 제 2 프레임 부재(50)에 가교된 보강판(51)(보강 부재에 상당) 상에 부착되어 있다. 즉, 로드 셀(47)은 프레임 부재(49)와 보강판(51) 상에 부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 부재(49) 상에 부착되고, 보강판(51) 상에도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9)와 제 2 프레임 부재(50)는 전후 방향과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형이 사각형인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9)는 기체 프레임(1)의 좌우 방향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프레임 부재(50)는 프레임 부재(49)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판(51)은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되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로드 셀(47)은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그 위에 탱크측 보강 부재(52)의 평탄면(53)이 겹쳐서 그레인 탱크(5), 즉 그레인 탱크(5)가 저류한 곡립의 중량을 검출한다.
또한, 그레인 탱크(5)는 작업 위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는 로드 셀(47)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힌지부(10)와 록킹 암과 위치 결정 핀(54) 등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49)와 제 2 프레임 부재(50)를 표면 상에 고정하는 판형상 부재(55) 등으로 기체 프레임(1)이 구성되어 있다.
안내 수단(48)은 그레인 탱크(5)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로드 셀(47) 위로 안내하는 것이다. 안내 수단(48)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에 부착된 기체측 안내 부재(56)와,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에 형성된 탱크측 안내 부재(57)를 구비한다.
기체측 안내 부재(56)는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작업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승시킨 후에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 셀(47)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안내한 후 로드 셀(47) 상에 그레인 탱크(5)의 탱크측 보강 부재(52)의 평탄면(53)의 전단부를 안내하는 것이다. 기체측 안내 부재(56)는 로드 셀(47)과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고, 로드 셀(47)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기체측 안내 부재(56)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상승 경사부(58)(상승 경사부에 상당)와, 제 2 상승 경사부(59)(상승 경사부에 상당)와, 수평부(60)와, 오목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상승 경사부(58)와 제 2 상승 경사부(59)와 수평부(60)와 오목부(61)는 좌우 방향으로 기체 프레임(1)의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상승 경사부(58)와 제 2 상승 경사부(59)는 기체 프레임(1)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올라앉게 하여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서서히 상승시키는 것이다. 제 1 상승 경사부(58) 및 제 2 상승 경사부(59)는 좌우 방향으로 기체 프레임(1)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제 2 상승 경사부(59)의 좌우 방향의 외측의 단은 제 1 상승 경사부(58)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제 2 상승 경사부(59)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은 제 1 상승 경사부(58)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평부(60)는 제 2 상승 경사부(59)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에 연속하여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수평부(60)는 제 2 상승 경사부(59)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부(60)는 기체 프레임(1)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60)는 위치 결정 핀(54)이 록킹하는 록킹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1)는 수평부(60)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에 연속하며, 또한 로드 셀(47) 위에 위치하는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침입하는 것이다. 오목부(61)는 수평부(60)보다 하방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1)는 수평부(60)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목부(61)는 로드 셀(47)과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61)의 깊이는 작업 위치의 그레인 탱크(5)의 탱크측 보강 부재(52)의 평탄면(53)이 수평부(60) 상에 겹치면 탱크측 안내 부재(57)가 내측에 침입하고, 탱크측 안내 부재(57)가 오목부(61)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 셀(47)만이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지지하고, 안내 부재(48)는 하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고, 로드 셀(47)의 계측 정밀도를 담보하고 있다.
또한, 탱크측 수평부(67)의 외측의 탱크측 안내 부재(57)에는 노치부(71)를 형성하고, 노치부(71)에 의해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중량을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수평부(60)가 지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서 로드 셀(47)의 계측 정밀도를 담보하고 있다.
또한, 기체측 안내 부재(56)는 오목부(61)와 수평부(60)의 좌우 방향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64)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64)는 수평부(60)의 표면과 오목부(61)의 바닥면에 연속하고, 기체 프레임(1)의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의 쌍방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기체측 안내 부재(56)는 수평부(60)와 경사부(64)와 오목부(61)가 일체로 구성되고, 또한 오목부(61)의 바닥면이 볼트(고정 수단에 상당) 등에 의해 기체 프레임(1)에 부착되어 있다.
탱크측 안내 부재(57)는 그레인 탱크(5)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기체측 안내 부재(56) 위에 올라앉아,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일부가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오목부(61) 내에 침입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측 안내 부재(57)는 하방 연장 부재(65)와, 탱크측 상승 경사부(66)와, 탱크측 수평부(67)와, 핀 안내 부재(68)를 구비하고 있다. 하방 연장 부재(65)는 그레인 탱크(5)의 폭 감소부(69)의 바닥부의 전단부에 부착되고, 또한 그레인 탱크(5)의 폭 감소부(69)의 바닥부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66)와 탱크측 수평부(67)와 핀 안내 부재(68)는 좌우 방향으로 기체 프레임(1)의 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기체측 안내 부재(56) 상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66)는 그레인 탱크(5)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제 1 상승 경사부(58) 및 제 2 상승 경사부(59) 위에 올라앉음과 아울러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66)는 하방 연장 부재(65)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수평부(67)는 탱크측 상승 경사부(66)로 연속되며 또한 수평 방향과 평행이다. 탱크측 수평부(67)는 하방 연장 부재(65)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66)와 탱크측 수평부(67)는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오목부(61) 내에 침입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66)와 탱크측 수평부(67)는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일부에 상당한다.
핀 안내 부재(68)는 위치 결정 핀(54)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핀 안내 부재(68)는 하방 연장 부재(65)의 좌우 방향의 외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핀 안내 부재(68)는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수평부(60) 상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의 후방부 하방 위치에는 가진 장치를 설치한다.
즉, 가진 장치는 전방측에 설치한 로드 셀(47)에 대해서 반대측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진 장치는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에 진동을 부여해서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의 배출을 원활하게 시키는 것이며, 로드 셀(47)의 반대측에 설치해서 로드 셀(47)의 계측에 진동(노이즈)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분계(17)에 가까운 그레인 탱크(5)의 후방부에 가진 장치가 진동을 부여하므로 수분계(17)도 진동해서 수분계(17)의 안내 부재(28)에 불필요하게 들어간 곡립을 털어내어 수분계(17)의 계측 정밀도를 저하하지 않는다는 작용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가진 장치의 진동체(진동자)는 그레인 탱크(5)측에 설치한 스프링재에 접촉시킨다.
그 때문에, 진동체의 진동을 스프링재를 통해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에 전달하고, 내측 측판(22)의 마모 등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가진 장치의 설치 위치는 임의이지만, 수분계(17)와 가진 장치를 인접하는 면에 배치하면 가진 장치의 진동을 수분계(17)가 이용할 수 있어 적합하다.
즉, 수분계(17)를 가진 장치와 동일면에 설치하면 진동이 지나치게 강해서 수분계(17)의 기기에 악영향을 주고, 지나치게 멀면 진동이 작용하지 않지만, 수분계(17)와 가진 장치를 인접하는 면에 배치함으로써 수분계(17)에 적당한 진동을 부여하여 곡립이나 진애의 체적을 억제하여 수분계(17)의 계측 정밀도를 유지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는 위치 결정 핀(54) 이외에 그레인 탱크(5)에 설치한 결합 후크(77)를 탈곡 장치(3) 측에 설치한 결합 핀(78)에 결합시켜서 그레인 탱크(5)의 오픈 회동을 록킹하는 록킹 기구(L)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결합 핀(78)에 결합 후크(77)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 결합 핀(78)이 상하 방향의 하중을 지지해버리면 그레인 탱크(5) 내의 수량을 로드 셀(47)이 계측할 때에 오차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원에서는 결합 후크(77)와 결합 핀(78)의 결합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결합 후크(77)는 그레인 탱크(5)의 오픈 회동은 저지하지만,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지지하지 않도록 했다.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 전방측 상부에 베이스판(80)을 고정하고, 베이스판(80)에 조절판(81)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시키고, 조절판(81)은 나사(82)에 의해 베이스판(80)에 부착한다. 나사(82)는 조절판(81)에 형성한 세로로 긴 구멍(83) 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판(80)의 하부에는 조절 축(84)을 나사 결합시켜 조절 축(84)의 상단을 조절판(81)의 하부에 접촉시킨다.
조절판(81)에는 결합 후크(77)를 축(8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그 때문에 조절 축(84)을 정역 회전시키면 조절판(81)은 베이스판(80)에 대해서 상하하고, 조절판(81)의 상하에 의해 결합 후크(77)의 결합 핀(78)의 결합 높이를 변경한다.
이 경우, 조절 축(84)의 나사 피치를 1.5㎜ 정도로 하면 조절 축(84)의 회전량과 조절판(81)의 상하량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미조절이 용이해져서 적합하다.
또한, 도 20의 조종부(6)는 운전 좌석(도시 생략)과 조작 패널(도시 생략)의 주위를 캐빈(86)에 의해 포위하고 있다. 캐빈(86)의 좌측 전방 세로 프레임(87)에는 태블릿(88)을 장착할 수 있는 홀더(89)를 갖는 스테이(90)를 설치한다.
스테이(90)는 좌측 전방 세로 프레임(8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태블릿(88)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테이(90)를 좌측 전방 세로 프레임(87)으로부터 분리한다.
스테이(90)는 베이스부측 스테이(91)를 볼트(92)에 의해 좌측 전방 세로 프레임(87)에 부착하고, 베이스부측 스테이(91)에 제 2 스테이(93)를 볼트(92)에 의해 부착하고, 제 2 스테이(93)에 스탠드(94)를 부착하고, 스탠드(94)에 태블릿(88)의 홀더(89)를 부착해서 구성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이며, 엔진(8)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주행 장치(2)가 구동해서 주행하면서 예취 장치(4)에 의해 곡간을 예취한다.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3)로 반송 공급되고, 탈곡 장치(3)에 의해 곡간이 후방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분리(탈립)하고, 볏짚 등의 협잡물과 곡립을 선별 분리하고, 탈곡 장치(3)에서 분리 회수된 곡립은 공급 장치(16)에 의해 양곡되고, 공급구(21)로부터 배출되어서 그레인 탱크(5) 내에 저류된다.
그레인 탱크(5)에는 탈곡 장치(3)의 공급 장치(16)로부터 그레인 탱크(5) 내에 배출되는 곡립의 일부를 샘플링해서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편차, 수분 편차라고도 한다)를 측정하는 수분계(17)를 설치하고, 수분계(17)는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의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보다 후방측 위치가 되는 후면(1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로부터 보다 많이 배출되는 곡립의 비산 궤적 위에 수분계(17)가 위치해서 수분계(17)의 곡립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그 때문에 수분계(17)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레인 탱크(5)의 천판(20)은 내측 측판(22)의 공급구(21)보다 후방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후방에 도달함에 따라서 낮게 경사시킨 경사부(23)에 형성하고, 경사부(23)의 후단을 후면(18)의 상단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에 면하게 한 돌출체(25)에 의해 돌출된 곡립은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보다 저위치에 위치하는 수분계(17)를 향해서 경사부(23)에 의해 안내되어서 수분계(17)에 회수된다.
이 점에서도 수분계(17)로의 곡립 채취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수분계(17)는 공급 장치(16)에 의해 돌출된 양이 많은 그레인 탱크(5)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수분계(17)의 안내 부재(28)를 공급 장치(16)의 공급구(21)보다 저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공급 장치(16)로부터 돌출된 곡립은 경사부(23)에 의해 안내되어서 수분계(17)에 확실하게 회수되어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환언하면 수분계(17)는 천판(20)의 경사부(23)에 후단과 후면(18)의 상단의 접합부(26)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공급 장치(16)에 의해 돌출된 곡립이 경사부(23)에 있어서 안내 부재(28)로의 채취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분계(17)는 세로 배출 장치(13)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이며 또한 세로 배출 장치(13)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분계(17)는 세로 배출 장치(13)에 의해 이물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수분계(17)의 구성은 공급 장치(16)로부터 돌출된 곡립을 회수해서 측정할 수 있으면 좋고, 구성은 임의이며, 안내 부재(28)에 회수된 곡립은 개구(30)를 통해서 곡립을 도입부(27)에 의해 한 알씩 도입하고, 도입한 곡립은 도입부(27)의 하방의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에 낙하되고, 전극 롤러(35)는 한 알씩 곡립을 서로의 사이에서 뭉개고,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한 알씩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을 측정하고, 복수의 곡립의 수분을 측정하여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측정한다.
수분계(17)의 곡립의 일부를 받아내 회수하는 안내 부재(28)는 상방이 개구된 단면 홈통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안내 부재(28)의 상측 개구부(31)에는 망형상의 진입 방지체(32)를 설치하고, 진입 방지체(32)는 곡립보다 큰 눈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입 방지체(32)는 안내 부재(28)의 곡립의 회수와 안내 부재(28)로의 짚 부스러기 등의 이물의 침입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수분계(17)의 파손을 방지한다.
진입 방지체(32)는 안내 부재(28)의 상측 개구부(31)의 상방에 상단을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측에 접촉시키고, 진입 방지체(32)의 하단은 안내 부재(28)의 상측 개구부(31)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측면에서 볼 때 상측 개구부(31)의 수평면에 대해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시켜서 설치하면 진입 방지체(32) 상에 이물이 퇴적하는 것을 억제한다.
진입 방지체(32)는 소위 다공판에 의해 망형상으로 형성하면 곡립의 지경이나 이물의 걸림을 억제한다.
수분계(17)의 후방측은 커버 부재(40)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수분계(17)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 부재(40)는 후면(18)에 볼트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으므로 커버 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수분계(17)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 부재(40)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분계(17)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분계(17)는 도입부(27) 및 전극 롤러(35)를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모터의 회전 부하가 소정 이상으로 커지면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도입부(27)가 이물을 수분계(17)에 도입한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므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수분계(17)의 파손을 방지한다.
수분계(17)의 모터는 나선식 배출 장치(11)와 세로 배출 장치(13)와 가로 배출 오거(14)에 의한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 배출 중에도 구동을 속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수분계(17) 내에 남은 곡립을 배출하여 다음 공정의 곡립의 측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분계(17)를 설치하는 스테이 또는 상기 케이스(45)에 모터와는 따로 진동용 모터를 별도 설치하고, 진동용 모터의 회전축에 하중이 편심한 추를 설치하여 모터가 구동하면 진동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수분계(17)의 진동에 의해 수분계(17)의 평면부에 적재된 곡립이나 진애 등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콤바인은 그레인 탱크(5)의 중량, 즉 그레인 탱크(5)가 저류한 곡립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 셀(47)과,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를 로드 셀(47) 위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48)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로드 셀(47)이 작동해서 그레인 탱크(5)의 수량을 측정하고, 작업 종료 후에 그레인 탱크(5)를 유지 보수 위치로 오픈 회동시켜서 유지 보수를 행한 후에 안내 수단(48)에 의해 작업 위치로 그레인 탱크(5)을 복귀시킨다.
그레인 탱크(5)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해 가면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탱크측 상승 경사부(66)의 탈곡 장치(3) 부근의 선단이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제 1 상승 경사부(58)에 접촉한다. 그리고, 또한 그레인 탱크(5)를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면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탱크측 상승 경사부(66)의 탈곡 장치(3) 부근의 선단이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제 1 상승 경사부(58) 위에 올라앉아 제 1 상승 경사부(58)를 따라서 서서히 상승한 후,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제 2 상승 경사부(59) 위에 올라앉아, 제 2 상승 경사부(59)를 따라서 서서히 상승한다. 그리고,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탱크측 수평부(67)가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수평부(60) 위에 올라앉는다. 그렇게 하면 그레인 탱크(5)의 폭 감소부(69)의 전단부가 로드 셀(47)로부터 간격을 두고 로드 셀(47)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또한 그레인 탱크(5)를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면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탱크측 수평부(67)가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수평부(60) 위를 슬라이딩한 후,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하방 연장 부재(65)가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수평부(60) 상에 겹치고, 탱크측 안내 부재(57)의 탱크측 상승 경사부(66) 및 탱크측 수평부(67)가 오목부(61) 내에 침입한다.
그리고, 록킹 암이 그레인 탱크(5)에 록킹되고, 위치 결정 핀(54)이 록킹 구멍(63)에 록킹되고, 그레인 탱크(5)는 작업 위치에서 기체 프레임(1) 등에 고정된다.
그렇게 하면 그레인 탱크(5)의 폭 감소부(69)의 전단부가 로드 셀(47) 상에 겹치고, 로드 셀(47)이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검출 가능해진다.
또한, 기체측 안내 부재(56)가 경사부(64)와 수평부(60)를 구비하므로 그레인 탱크(5)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회동시킬 때에 그레인 탱크(5)를 일단 들어 올린 후 로드 셀(47)의 상방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위치에서 그레인 탱크(5)를 로드 셀(47) 위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기체측 안내 부재(56)가 작업 위치의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가 침입하는 오목부(6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 위치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5)를 기체 프레임(1)에 간섭하는 일 없이 로드 셀(47) 위에 배치할 수 있다.
기체측 안내 부재(56)가 오목부(61)와 수평부(60) 사이에 경사부(6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그레인 탱크(5)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기체측 안내 부재(56)가 수평부(60)와 오목부(61)를 일체로 구성하고, 오목부(61)를 볼트 등에 의해 기체 프레임(1)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작업 위치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5)와 볼트 등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로드 셀(47)의 일부를 기체 프레임(1)의 프레임 부재(49) 위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에 의해 로드 셀(47)을 지지하는 개소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로드 셀(47)의 일부를 배치한 프레임 부재(49)를 기체 프레임(1)의 좌우 방향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기체측 안내 부재(56)가 그레인 탱크(5)를 안내하는 경로 길이를 억제할 수 있고, 기체측 안내 부재(56)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로드 셀(47)을 프레임 부재(49)와 제 2 프레임 부재(50) 사이에 가교된 보강판(51) 위에도 배치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에 의해 기체 프레임(1)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레인 탱크(5)의 폭 감소부(69)의 바닥부에 탱크측 보강 부재(5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5)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확실하게 로드 셀(47)에 작용시킬 수 있다.
그레인 탱크(5)에 탱크측 안내 부재(5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5)를 유지 보수 위치와 작업 위치에 걸쳐서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의 후방부 하방 위치에는 가진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진 장치에 의해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에 진동을 부여해서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로드 셀(47)의 반대측에 설치한 가진 장치의 진동(노이즈)이 로드 셀(47)의 계측에 부여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분계(17)에 가까운 그레인 탱크(5)의 후방부에 가진 장치가 진동을 부여하므로 수분계(17)도 진동해서 수분계(17)의 안내 부재(28)에 불필요하게 들어간 곡립을 털어내어 수분계(17)의 계측 정밀도를 저하하지 않는다는 작용 효과도 기대된다.
가진 장치의 진동체(진동자)(74)는 그레인 탱크(5) 측에 설치한 스프링재에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진동체의 진동을 스프링재를 통해 그레인 탱크(5)의 내측 측판(22)에 전달하고, 내측 측판(22)의 마모 등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가진 장치의 설치 위치는 임의이지만, 수분계(17)와 가진 장치를 인접하는 면에 배치하면, 가진 장치의 진동을 수분계(17)를 이용할 수 있어 적합하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는 위치 결정 핀(54) 이외에 그레인 탱크(5)에 설치한 결합 후크(77)를 탈곡 장치(3)측에 설치한 결합 핀(78)에 결합시켜서 그레인 탱크(5)의 오픈 회동을 록킹하는 구성이며, 결합 후크(77)과 결합 핀(78)의 결합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결합 후크(77)은 그레인 탱크(5)의 오픈 회동은 저지하지만,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지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결합 핀(78)에 결합 후크(77)이 결합되어 있을 때에 결합 핀(78)이 상하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므로 그레인 탱크(5)의 오픈 회동의 록킹 기구의 존재를 이유로 하는 그레인 탱크(5) 내의 수량을 로드 셀(47)이 계측할 때의 오차발생을 방지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측에 고정된 베이스판(80)에 조절판(81)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시키고, 조절판(81)은 베이스판(80)의 세로로 긴 구멍(83)에 나사(82)를 삽입해서 부착하므로 조절판(81)은 나사(82)를 느슨하게 하면 베이스판(80)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해진다.
베이스판(80)의 하부에 나사 결합시킨 조절 축(84)의 상단을 조절판(81)의 하부에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조절 축(84)을 정역 회전시키면 결합 후크(77)를 설치한 조절판(81)은 베이스판(80)에 대해서 상하하고, 조절판(81)의 상하에 의해 결합 핀(78)에 대한 결합 후크(77)의 결합 높이를 변경하고, 결합시의 결합 후크(77)가 하강하려고 하는 하중을 「0」으로 하도록 조절한다.
5 : 그레인 탱크 13 : 세로 배출 장치
16 : 공급 장치 17 : 수분계
18 : 후면 20 : 천판
21 : 공급구 23 : 경사부
27 : 도입부 28 : 안내 부재
30 : 개구(개구부) 35 : 전극 롤러

Claims (6)

  1. 그레인 탱크(5) 내에 곡립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16)와, 그레인 탱크(5) 내에 공급되는 곡립의 수분을 계측하는 수분계(17)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수분계(17)를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의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공급 장치(16)는 상기 그레인 탱크(5)의 전방측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21)로부터 상기 수분계(17)를 향해서 곡립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수분계(17)에는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을 관통하는 개구부(30)를 통해서 수분계(17)에 곡립을 한 알씩 도입하는 도입부(27)와, 이 도입부(27)에 있어서의 수분계(17) 본체 내로의 연신 부분의 하방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롤러(35)와, 상기 개구부(30) 전방측에 부착되어 곡립을 도입부(27)로 안내하는 홈통상의 안내 부재(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21)로부터 방출되어서 안내 부재(28)에 회수된 곡립을 상기 도입부(27)에 의해 수분계(17) 내로 보내고, 이 곡립을 상기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에서 한 알씩 뭉갰을 때에 이 한 쌍의 전극 롤러(35) 사이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곡립의 함유 수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계(17)에 의해 복수의 곡립의 수분을 측정하고, 이 복수의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5)의 상면을 형성하는 천판(20)에는 상기 후면(18)의 상단부로부터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3)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구(21)를 상기 후면(18)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수분계(17)를 상기 후면(18)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5)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세로 배출 장치(13)를 상기 후면(18)의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분계(17)를 배면에서 볼 때 상기 그레인 탱크(5)의 후면(18)에 있어서의 세로 배출 장치(13)와 겹치지 않는 부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계(17)를 상기 세로 배출 장치(13)에 대해서 기체 내측이 되는 부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0143890A 2014-10-30 2015-10-15 콤바인 KR101840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1871 2014-10-30
JP2014221871A JP6459399B2 (ja) 2014-10-30 2014-10-30 コンバイン
JP2015115046A JP6451513B2 (ja) 2015-06-05 2015-06-05 コンバイン
JPJP-P-2015-115046 2015-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605A true KR20160051605A (ko) 2016-05-11
KR101840304B1 KR101840304B1 (ko) 2018-03-20

Family

ID=5586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890A KR101840304B1 (ko) 2014-10-30 2015-10-15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40304B1 (ko)
CN (2) CN105557187B (ko)
TW (1) TWI610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3614B2 (ja) * 2017-12-18 2023-01-2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20220002102A (ko) * 2020-06-30 2022-01-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894A (ja) * 1994-12-28 1996-07-09 Hokoku Kogyo Co Ltd 貯溜穀物の水分率測定方法及び水分計の取り付け構造
JPH11266668A (ja) * 1998-03-25 1999-10-05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1078559A (ja) * 1999-09-17 2001-03-2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2262649A (ja) * 2001-03-13 2002-09-1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KR100552630B1 (ko) * 2004-01-30 2006-02-15 대한민국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 가능한 벼 수확량 계측방법 및 그장치
JP2006081490A (ja) * 2004-09-17 2006-03-3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UY34367A (es) * 2011-10-07 2014-08-29 Syngenta Participations Ag ?método para proteger material de propagación vegetal o plantas útiles?.
JP5850797B2 (ja) * 2012-05-23 2016-02-0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2025891B1 (ko) * 2012-09-27 2019-09-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03688657B (zh) * 2013-12-10 2015-09-30 华南农业大学 一种用于自动采摘菠萝的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7187B (zh) 2018-06-26
KR101840304B1 (ko) 2018-03-20
TWI610617B (zh) 2018-01-11
CN105557187A (zh) 2016-05-11
TW201616951A (zh) 2016-05-16
CN205232805U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306B1 (en) Device for removing and processing silage for cattle
JP6451513B2 (ja) コンバイン
KR101768991B1 (ko) 콤바인
KR101840304B1 (ko) 콤바인
JP5715607B2 (ja) コンバイン
JP2016154493A (ja) コンバイン
JP5718703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516051B2 (ja) コンバイン
JP6917877B2 (ja) コンバイン
JP6624244B2 (ja) コンバイン
JP6597844B2 (ja) コンバイン
CN109923996B (zh) 联合收割机
JP6126151B2 (ja) コンバイン
JP6884246B2 (ja) コンバイン
JP6355584B2 (ja) コンバイン
JP2019000125A (ja) コンバイン
JP6976223B2 (ja) コンバイン
JP4542451B2 (ja) 草刈り機
JP6420396B2 (ja) コンバイン
JP6751523B2 (ja) コンバイン
JP5840099B2 (ja) コンバイン
JP2022010252A (ja) コンバイン
JP4484628B2 (ja) 草刈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