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604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604A
KR20160051604A KR1020150143870A KR20150143870A KR20160051604A KR 20160051604 A KR20160051604 A KR 20160051604A KR 1020150143870 A KR1020150143870 A KR 1020150143870A KR 20150143870 A KR20150143870 A KR 20150143870A KR 20160051604 A KR20160051604 A KR 2016005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tank
grain
guide member
storag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991B1 (ko
Inventor
토모유키 이치마루
야스시 이하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0Sack-filling devices; Counting or weig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곡물 탱크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해결 수단)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중량 검출 장치(11) 상으로 안내하는 안내 기구(12)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중량 검출 장치(11)는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이 곡물 탱크(7)의 저부에 설치된 곡립 반송 장치(72)의 하방에 면하는 기체 프레임(2)의 부위에 설치하고, 안내 기구(12)에는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일단 상승시키고,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었을 때에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하강시켜서 이 곡물 탱크(7)의 저부를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시키는 기체측 안내 부재(8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은 주행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예취 장치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의 상측에 조종부와 탈곡 장치와 곡물 탱크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콤바인은 곡물 탱크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서 곡물 탱크를 후방측에 설치한 상하 방향의 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곡물 탱크의 전단부가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이간된 유지 보수 위치와, 곡물 탱크의 전단부가 기체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저류 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 저류 위치에서는 예취 탈곡 작업에 의해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되는 곡립이 곡물 탱크에 투입되어 저류된다. 이러한 콤바인으로서 기체 프레임 상에 저류 위치에 있어서의 곡물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검출 장치(예를 들면, 로드셀)를 설치하고, 곡물 탱크 내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4-6453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중량 검출 장치가 곡물 탱크의 저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루보다 기체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곡물 탱크에 있어서의 저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루보다 내측의 경사벽이 중량 검출 장치에 올라앉아 있다. 이 때문에 곡물 탱크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곡물 탱크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곡물 탱크(7)를 이 곡물 탱크(7)의 후방측에 배치된 상하 방향의 회동 중심(7a)을 중심으로 하여 탈곡 장치(5)로부터 반송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기체 프레임(2) 상의 저류 위치와, 기체 프레임(2) 상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이동한 유지 보수 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저류 위치에 있어서의 곡물 탱크(7)와 상기 기체 프레임(2) 사이에는 이 곡물 탱크(7)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검출 장치(11)를 설치하고, 상기 곡물 탱크(7)가 상기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상기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상기 중량 검출 장치(11) 상으로 안내하는 안내 기구(12)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중량 검출 장치(11)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이 곡물 탱크(7)의 저부에 설치된 곡립 반송 장치(72)의 하방에 면하는 기체 프레임(2)의 부위에 설치하고, 상기 안내 기구(12)에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일단 상승시키고, 곡물 탱크(7)가 상기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었을 때에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하강시켜서 이 곡물 탱크(7)의 저부를 상기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시키는 기체측 안내 부재(8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측 안내 부재(80)에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올라앉게 해서 상승시키는 제 1 경사부(81, 82)와, 이 제 1 경사부(81, 82)에 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수평부(83)와, 이 제 1 수평부(83)에 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저류 위치에 있어서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움푹하게 하는 오목부(84)를 구비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84)와 수평부(83) 사이에 상기 오목부(84)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평부(83)에 있어서의 기체 내측의 단부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진 제 2 경사부(85)를 구비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 기구(12)에는 상기 곡물 탱크(7)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측 안내 부재(80)에 올라앉는 탱크측 안내 부재(90)를 구비하고, 이 탱크측 안내 부재(90)에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경사부(81, 82)에 올라앉는 제 3 경사부(92)와, 이 제 3 경사부(92)에 이어서 설치된 제 2 수평부(93)를 구비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곡물 탱크(7)의 저부 외측면을 덮는 보강 부재(73)를 구비하고, 이 보강 부재(73)를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하는 구성으로 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이 곡물 탱크(7)의 저부에 설치된 곡립 반송 장치(72)의 하방에 면하는 기체 프레임(2)의 부위에 중량 검출 장치(11)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로 회동시킬 때에 곡물 탱크(7)를 일단 상승시키고나서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시키므로 곡물 탱크(7)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나타냄에 있어서,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로 회동시킬 때, 곡물 탱크(7)의 저부를 기체 프레임(2)에 간섭시키지 않고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곡물 탱크(7)를 저류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나타냄에 있어서,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로 회동시킬 때, 탱크측 안내 부재(90)에 구비한 제 3 경사부(92)에 의해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제 1 경사부(81, 82)에 올라앉게 해서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서서히 상승시키고, 탱크측 안내 부재(90)에 구비한 제 2 수평부(93)에 의해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수평부(83) 상을 슬라이딩시켜서 저류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곡물 탱크(7)의 저부 외측면을 덮는 보강 부재(73)를 구비함으로써 곡물 탱크(7)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곡물 탱크(7)의 중량을 중량 검출 장치(11)에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곡물 탱크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안내 기구의 기체측 안내 부재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곡물 탱크 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수분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안내 기구의 탱크측 안내 부재 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 상에 올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의 오목부 내에 침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 상에 올라앉은 상태의 로드셀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곡물 탱크가 로드셀 상에 올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형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을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곡물 탱크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안내 기구의 기체측 안내 부재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곡물 탱크 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수분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안내 기구의 탱크측 안내 부재 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1~도 10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방향을 각각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고, 이 정의에 따라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후 방향은 콤바인(기체)(1)의 길이 방향이며, 좌우 방향은 폭 방향, 상하 방향은 높이 방향이다. 이 중, 전방은 예취 작업 시에 있어서의 콤바인(1)의 진행 방향이며, 좌측 방향은 전방을 향해 왼쪽 방향이며, 우측 방향은 전방을 향해서 오른쪽 방향이며, 하방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다. 또한, 이들 방향은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정의한 것이며, 이들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콤바인(1)은 기체 프레임(2)의 하부에 배치된 주행 장치(3)와, 기체 프레임(2)의 전단부에 부착된 예취 장치(4)와, 기체 프레임(2)의 상부 좌측에 탑재된 탈곡 장치(5)와, 기체 프레임(2) 상의 우측 전방부에 배치된 운전실(6)과, 기체 프레임(2)의 상부 우측이며 운전실(6)의 후방에 배치된 곡물 탱크(곡립 저류 장치)(7)와, 기체 프레임(2) 상이며 운전실(6)의 후방부 하방에 배치된 디젤 엔진(이하, 엔진이라고 한다)(8)이 탑재되어 있다.
주행 장치(3)는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 한쌍의 크롤러(3a)에 전달하여 콤바인(1)을 주행시킨다.
예취 장치(4)는 곡간(穀稈)을 분초하는 분초구(4a)와, 분초된 곡간을 일으키는 일으킴 장치(4b)와, 일으켜진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예취날(4c)을 갖고, 포장에 식생하는 곡간을 소정의 높이로 예취한다.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기체 프레임(2)의 좌단부에 설치된 반송 체인(9)(도 2 참조)과 그 상방의 니핑 레버(nipping lever) 사이에 끼워져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한 반송 체인(9)의 구동에 의해 탈곡 장치(5)로 반송된다.
탈곡 장치(5)는 반송 체인(9)에 의해 곡간이 후방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탈곡하여(탈립시켜) 볏짚 등의 협잡물과 곡립을 분리한다. 탈곡 장치(5)를 통과해서 탈곡된 곡간(배고)은 반송 체인(9)에 의해 기체 프레임(2)의 후단부에 설치된 배고 절단 장치(10)로 반송된다. 배고는 배고 절단 장치(10)로 절단된 후, 예를 들면 포장으로 방출된다.
운전실(6)은 작업원이 착좌한 상태로 운전 조작이나 예취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운전 좌석이다. 운전실(6)은 기체 프레임(2)의 전후 방향의 전방에 설치되며 엔진(8)의 연직 방향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실(6)의 주위에는 작업원이 착좌한 상태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예를 들면 예취 장치(4)의 승강 조작을 행하기 위한 예취 승강 레버(도시 생략), 배출 오거의 승강 조작이나 선회 조작을 행하기 위한 오거 조작 레버(도시 생략), 표시 패널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8)은 기체 프레임(2)의 전후 방향의 전방이며 운전실(6)의 연직 방향의 하측에 형성된 엔진 룸(도시 생략)에 탑재되어 있다.
반송 체인(9)은 예취된 곡간을 탈곡 장치(5)로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 체인(9)은 기체 프레임(2)의 좌우 방향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반송 체인(9)은 공급 반송 장치(도시 생략)와, 탈곡 반송 장치(도시 생략)와, 배고 반송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 반송 장치는 예취된 곡간을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곡간의 그루터기측이 좌우 방향의 좌측으로 향하고, 곡간의 이삭 끝측이 좌우 방향의 우측으로 향햐도록 곡간을 쓰러뜨린 자세로 변경한다.
또한, 공급 반송 장치는 곡간이 쓰러진 상태로 탈곡 깊이를 조절하고, 곡간을 탈곡 반송 장치로 이어받는다. 탈곡 반송 장치는 곡간이 쓰러진 상태로 곡간의 그루터기측을 피드 체인과 협지 레버로 협지하면서 탈곡 장치(5)로 반송한다. 또한, 탈곡 반송 장치는 탈곡 장치(5)로부터 탈곡된 탈곡이 완료된 배고를 배고 반송 장치에 이어받는다. 배고 반송 장치는 배고를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 반송하여 배고 절단 장치(10)로 절단한 후, 콤바인(1)의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외부로 배고를 배출한다.
배고 절단 장치(10)는 복수의 회동날을 구비하고 있고, 반송 체인(9)에 의해 투입된 배고를 회동날로 절단하여 콤바인(1)의 전후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외부, 예를 들면 포장으로 방출한다.
곡물 탱크(7)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탈곡 장치(5)에 의해 선별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곡립 저류 장치이다. 곡물 탱크(7)는 운전실(6)의 전후 방향의 후방이며 기체 프레임(2)의 좌우 방향의 우측 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물 탱크(7)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5)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곡물 탱크(7)는 우측 후방측에 설치된 힌지부(7a)(청구항의 「회동 중심(7a)」에 상당)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 외측, 즉 차량의 우측 후방(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곡물 탱크(7)는 힌지부(7a)를 중심으로 전단부가 기체 프레임(2)으로부터 이간되는 유지 보수 위치(도 3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다)와, 기체 프레임(2) 상에 위치하여 예취 탈곡 작업 중에 탈곡 장치(5)로부터 반송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 위치(도 3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곡물 탱크(7)는 저류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서 차량 외측으로 회동됨으로써 곡물 탱크(7)의 좌측 방향에 배치된 탈곡 장치(5) 등의 유지 보수 등을 행할 수 있다. 곡물 탱크(7)는 저류 위치에 있어서 탈곡 장치(5)로부터 곡립이 공급됨과 아울러, 내부에 저류된 곡립을 양곡통과 가로 이송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 오거(7b)에 의해 외부로 배출한다. 곡물 탱크(7)는 탈곡 장치(5) 등에 설치된 록킹 암(도시 생략)으로 록킹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위치 결정핀(7c)(도 9에 나타낸다)이 기체 프레임(2)에 형성된 록킹 구멍(7d)에 록킹함으로써 저류 위치에서 기체 프레임(2) 등에 고정된다.
곡물 탱크(7)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탱크 본체(71)와, 탱크 본체(71)의 저부에 설치된 스크루 컨베이어(72)(도 8에 나타내고, 청구항에 있어서의 「곡립 반송 장치(72)」에 상당)와, 탱크측 보강 부재(73)(도 8에 나타낸다. 청구항에 있어서의 「보강 부재(73)」에 상당)와, 수분계(74)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 본체(71)는 하단부에 하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의 폭이 서서히 축소되는 폭 감소부(71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탱크 본체(71)는 탈곡 장치(5)에 의해 선별된 곡립이 양곡통(51)(도 6에 나타낸다)에 의해 공급된다. 양곡통(51)은 탈곡 장치(5)의 선별부가 선별하여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선별부의 회수부로부터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로 공급하는 것이다. 양곡통(51)은 회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통부(51a)와, 통부(51a) 내에 설치되며 또한 축심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곡립을 회수부로부터 상방으로 반송하는 양곡 컨베이어(51b) 등을 구비하고 있다. 통부(51a)는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의 후측벽(71b)을 향해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c)를 상단에 형성하고 있다. 양곡통(51)은 곡립을 곡물 탱크(7) 내에 있어서 탱크 본체(71)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스크루 컨베이어(72)는 탱크 본체(71)의 폭 감소부(71a)의 저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72)는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의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전후 방향과 평행한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72)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축심 둘레로 회전되어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 내의 곡립을 후방, 즉 배출 오거(7b)를 향해서 반송한다.
탱크측 보강 부재(73)는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되고,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의 폭 감소부(71a)의 저부의 외측에 있어서 폭 감소부(71a)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다. 탱크측 보강 부재(73)는 폭 감소부(71a)의 저부의 외측에 있어서 폭 감소부(71a)의 전방부에 부착되고, 스크루 컨베이어(72)의 하방의 전방부를 덮는다. 탱크측 보강 부재(73)는 수평 방향과 평행하며 또한 곡물 탱크(7)의 중심의 하방에 형성되는 평탄면(73a)이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보강 부재(73)는 스크루 컨베이어(72)가 후방으로 곡립을 반송할 때, 스크루 컨베이어(72)와 저부 사이에 침입한 곡립에 의해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특히 저부가 외측으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란 곡물 탱크(7)의 탱크측 보강 부재(73)가 설치된 부분 및 탱크측 보강 부재(73)로부터 전방측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수분계(74)는 곡물 탱크(7) 내의 곡립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곡립이 함유하는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편차, 수분 편차라고도 한다)를 측정하는 것이다. 수분계(74)는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의 후측벽(71b)의 상부에 부착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74a)에 의해 덮여 있다. 이와 같이, 수분계(74)는 후측벽(71b)의 상부에 부착됨으로써 양곡통(51)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의 궤적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분계(74)는 정확하게 곡물 탱크(7) 내에 저류된 곡립을 도입하기 쉬워져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수분계(74)는 배출 오거(7b)의 기단부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이며 또한 배출 오거(7b)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분계(74)는 배출 오거(7b)에 의해 이물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수분계(74)가 부착된 후측벽(71b)에는 수분계(74) 내에 곡립의 일부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71c)와, 개구(71c)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곡립을 수분계(74)에 도입하기 쉽게 하는 홈통상 부재(71d)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71c)는 후측벽(71b)을 관통하고 있다. 홈통상 부재(71d)는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홈통상 부재(71d)는 상방이 개구한 단면 홈통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곡립을 내측에 수용함으로써 곡립을 수분계(74)에 도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분계(74)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분계(7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71c)를 통해서 곡립을 한 알씩 도입하는 원기둥형상의 도입 부재(74b)와, 도입 부재(74b)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전극 롤러(74c)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입 부재(74b)는 외주면에 곡립을 한 알씩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는 간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축심 둘레로 회전됨으로써 곡립을 한 알씩 한쌍의 전극 롤러(74c) 사이로 공급한다. 전극 롤러(74c)는 한 알씩 곡립을 서로 간에 뭉개서 한쌍의 전극 롤러(74c)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값을 측정한다. 수분계(74)는 한쌍의 전극 롤러(74c) 사이에서 한 알씩 곡립을 뭉개서 한쌍의 전극 롤러(74c)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한 알씩 곡립의 함유하는 수분을 측정한다. 수분계(74)는 복수의 곡립의 수분을 측정하여 곡립의 수분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측정한다.
또한, 수분계(74)를 덮어 곡물 탱크(7)의 탱크 본체(71)의 후측벽(71b)에 부착된 커버 부재(74a)는 이 후측벽(71b)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74a)를 설치함으로써 수분계(74)를 보호할 수 있고, 커버 부재(74a)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분계(74)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곡물 탱크(7)는 그 중심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스크루 컨베이어(72)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가 되도록 각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곡물 탱크(7)는 그 중심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스크루 컨베이어(72)의 축심과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콤바인(1)은 곡물 탱크(7)의 중량, 즉 곡물 탱크(7)가 저류한 곡립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11)(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며, 중량 검출 장치에 상당)과,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로드셀(11) 상으로 안내하는 안내 기구(12)(도 9 및 도 10에 나타낸다)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셀(11)은 기체 프레임(2) 상에 부착되고, 기체 프레임(2) 상과 저류 위치의 곡물 탱크(7)의 전단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스크루 컨베이어(72)의 하방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로드셀(11)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의 프레임 부재(21)와, 프레임 부재(21)와 제 2 프레임 부재(22)에 걸쳐진 보강판(23)(보강 부재에 상당) 상에 부착되어 있다. 즉, 로드셀(11)은 프레임 부재(21)와 보강판(23) 상에 부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 부재(21) 상에 부착되고, 보강판(23) 상에도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21)와 제 2 프레임 부재(22)는 전후 방향과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형이 사각형의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21)는 기체 프레임(2)의 좌우 방향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배치하고 있다. 제 2 프레임 부재(22)는 프레임 부재(21)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판(23)은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되며,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로드셀(11)은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그 위에 탱크측 보강 부재(73)의 평탄면(73a)이 겹쳐서 곡물 탱크(7), 즉 곡물 탱크(7)가 저류한 곡립의 중량을 검출한다. 또한, 곡물 탱크(7)는 저류 위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는 로드셀(11)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힌지부(7a)와 록킹 암과 위치 결정핀(7c) 등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21)와 제 2 프레임 부재(22)를 표면 상에 고정하는 판형상 부재(24)(도 5에 나타낸다) 등에 의해 기체 프레임(2)이 구성되어 있다.
안내 기구(12)는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로드셀(11) 상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안내 기구(1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에 부착된 기체측 안내 부재(80)와, 곡물 탱크(7)의 전단부에 설치된 탱크측 안내 부재(90)를 구비한다.
기체측 안내 부재(80)는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저류 위치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승시킨 후에 곡물 탱크(7)의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셀(11)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안내한 후, 로드셀(11) 상으로 곡물 탱크(7)의 탱크측 보강 부재(73)의 평탄면(73a)의 전단부를 안내하는 것이다. 기체측 안내 부재(80)는 로드셀(11)과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며, 로드셀(11)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측 안내 부재(8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상승 경사부(81)(상승 경사부에 상당)와, 제 2 상승 경사부(82)(상승 경사부에 상당)와, 수평부(83)(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1 수평부(83)」에 상당)와, 오목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상승 경사부(81)와 제 2 상승 경사부(82)와 수평부(83)와 오목부(84)는 좌우 방향으로 기체 프레임(2)의 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제 1 상승 경사부(81)와 제 2 상승 경사부(82)를 청구항에 있어서 「제 1 경사부」라고 총칭한다).
제 1 상승 경사부(81)와 제 2 상승 경사부(82)는 기체 프레임(2)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올라앉게 해서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서서히 상승시키는 것이다. 제 1 상승 경사부(81) 및 제 2 상승 경사부(82)는 좌우 방향으로 기체 프레임(2)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상승 경사부(82)의 좌우 방향의 외측의 단은 제 1 상승 경사부(81)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제 2 상승 경사부(82)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은 제 1 상승 경사부(81)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평부(83)는 제 2 상승 경사부(82)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으로 이어지며,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수평부(83)는 제 2 상승 경사부(82)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부(83)는 기체 프레임(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83)는 위치 결정핀(7c)이 록킹되는 록킹 구멍(7d)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4)는 수평부(83)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으로 이어지며, 또한 로드셀(11) 상에 위치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침입하는 것이다. 오목부(84)는 수평부(83)보다 하방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4)는 수평부(83)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목부(84)는 로드셀(11)과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84)의 깊이는 저류 위치의 곡물 탱크(7)의 탱크측 보강 부재(73)의 평탄면(73a)이 수평부(83) 상에 겹치면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내측으로 침입해서 탱크측 안내 부재(90)가 저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측 안내 부재(80)는 오목부(84)와 수평부(83)의 좌우 방향의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85)(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2 경사부(85)」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85)는 수평부(83)의 표면과 오목부(84)의 저면으로 이어지며, 기체 프레임(2)의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의 쌍방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기체측 안내 부재(80)는 수평부(83)와 경사부(85)와 오목부(84)가 일체로 구성되며, 또한 오목부(84)의 저면이 볼트(86)(고정 수단에 상당) 등에 의해 기체 프레임(2)에 부착되어 있다.
탱크측 안내 부재(90)는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기체측 안내 부재(80) 상에 올라앉아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일부가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오목부(84) 내에 침입하는 것이다. 탱크측 안내 부재(9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연장 부재(91)와, 탱크측 상승 경사부(92)(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3 경사부(92)」에 상당)와, 탱크측 수평부(93)(청구항에 있어서의 「제 2 수평부(93)」)와, 핀 안내 부재(94)를 구비하고 있다. 하방 연장 부재(91)는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저부의 전단부에 부착되며, 또한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저부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92)와 탱크측 수평부(93)와 핀 안내 부재(94)는 좌우 방향으로 기체 프레임(2)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되고, 기체측 안내 부재(80) 상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92)는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제 1 상승 경사부(81) 및 제 2 상승 경사부(82) 상에 올라앉음과 아울러,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92)는 하방 연장 부재(91)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수평부(93)는 탱크측 상승 경사부(92)로 이어지며, 또한 수평 방향과 평행하다. 탱크측 수평부(93)는 하방 연장 부재(91)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92)와 탱크측 수평부(93)는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오목부(84) 내에 침입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측 상승 경사부(92)와 탱크측 수평부(93)는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일부에 상당한다.
핀 안내 부재(94)는 위치 결정핀(7c)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핀 안내 부재(94)는 하방 연장 부재(91)의 좌우 방향의 외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핀 안내 부재(94)는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수평부(83) 상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콤바인(1)의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시킬 때의 동작을 도 9~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 상에 올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의 오목부 내에 침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탱크측 안내 부재가 기체측 안내 부재 상에 올라앉은 상태의 로드셀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곡물 탱크가 로드셀 상에 올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힌지부(7a)를 중심으로 해서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해 가면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탱크측 상승 경사부(92)의 탈곡 장치(5) 근처의 선단이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제 1 상승 경사부(81)에 접촉한다. 그리고, 또한 곡물 탱크(7)를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면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탱크측 상승 경사부(92)의 탈곡 장치(5) 근처의 선단이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제 1 상승 경사부(81) 상에 올라앉아 제 1 상승 경사부(81)를 따라 서서히 상승한 후,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제 2 상승 경사부(82) 상에 올라앉아 제 2 상승 경사부(82)를 따라 서서히 상승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탱크측 수평부(93)가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수평부(83) 상에 올라앉는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전단부가 로드셀(11)로부터 간격을 두고 로드셀(11)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또한 곡물 탱크(7)를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면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탱크측 수평부(93)가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수평부(83) 상을 슬라이딩한 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하방 연장 부재(91)가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수평부(83) 상에 겹치고, 탱크측 안내 부재(90)의 탱크측 상승 경사부(92) 및 탱크측 수평부(93)가 오목부(84) 내로 침입한다. 그리고, 록킹 암이 곡물 탱크(7)에 록킹되고, 위치 결정핀(7c)이 록킹 구멍(7d)에 록킹되고, 곡물 탱크(7)는 저류 위치에서 기체 프레임(2) 등에 고정된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전단부가 로드셀(11) 상에 겹쳐 로드셀(11)이 곡물 탱크(7)의 중량을 검출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콤바인(1)은 엔진(8)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 장치(3)가 구동해서 주행하면서 예취 장치(4)에 의해 곡간을 예취한다.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반송 체인(9)에 의해 탈곡 장치(5)로 반송된다. 탈곡 장치(5)에 있어서는 반송 체인(9)에 의해 곡간이 후방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탈곡하여 볏짚 등의 협잡물과 곡립을 분리한다. 탈곡된 곡간(배고)은 반송 체인(9)에 의해 기체 프레임(2)의 후단부에 설치된 배고 절단 장치(10)로 반송된다. 배고는 배고 절단 장치(10)에 의해 절단된 후, 예를 들면 포장으로 방출된다. 탈곡 장치(5)에 있어서 분리된 곡립은 곡물 탱크(7)에 저류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로드셀(11)을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저부에 설치된 스크루 컨베이어(72)의 하방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로드셀(11)에 곡물 탱크(7)의 중량이 하방을 향해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콤바인(1)은 곡물 탱크(7)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은 기체측 안내 부재(80)가 경사부(85)와 수평부(83)를 구비하므로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로 회동시킬 때, 곡물 탱크(7)를 일단 들어 올리고나서 로드셀(11)의 상방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1)은 저류 위치에서 곡물 탱크(7)를 로드셀(11) 상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콤바인(1)은 기체측 안내 부재(80)가 저류 위치의 곡물 탱크(7)의 전단부가 침입하는 오목부(8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저류 위치에 있어서 곡물 탱크(7)를 기체 프레임(2)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로드셀(1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콤바인(1)은 기체측 안내 부재(80)가 오목부(84)와 수평부(83) 사이에 경사부(8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저류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에 곡물 탱크(7)를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다. 콤바인(1)은 기체측 안내 부재(80)가 수평부(83)와 오목부(84)를 일체로 구성하고, 오목부(84)를 볼트(86) 등에 의해 기체 프레임(2)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저류 위치에 있어서 곡물 탱크(7)와 볼트(86) 등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콤바인(1)은 로드셀(11)의 일부를 기체 프레임(2)의 프레임 부재(21) 상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곡물 탱크(7)의 중량에 의해 로드셀(11)을 지지하는 개소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곡물 탱크(7)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콤바인(1)은 로드셀(11)의 일부를 배치한 프레임 부재(21)을 기체 프레임(2)의 좌우 방향의 외측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기체측 안내 부재(80)가 곡물 탱크(7)를 안내하는 경로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1)은 기체측 안내 부재(8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콤바인(1)은 로드셀(11)을 프레임 부재(21)와 제 2 프레임 부재(22) 사이에 걸쳐진 보강판(23) 상에도 배치하고 있으므로 곡물 탱크(7)의 중량에 의해 기체 프레임(2)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곡물 탱크(7)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콤바인(1)은 곡물 탱크(7)의 폭 감소부(71a)의 저부에 탱크측 보강 부재(7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곡물 탱크(7)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할 수 있고, 곡물 탱크(7)의 중량을 확실하게 로드셀(11)에 작용시킬 수 있다. 콤바인(1)은 곡물 탱크(7)에 탱크측 안내 부재(9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곡물 탱크(7)를 유지 보수 위치와 저류 위치에 걸쳐서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1 : 콤바인 2 : 기체 프레임
7 : 곡물 탱크 7a : 힌지부(회동 중심)
11 : 로드셀(중량 검출 장치) 12 : 안내 기구
21 : 프레임 부재 22 : 제 2 프레임 부재
23 : 보강판(보강 부재)
72 : 스크루 컨베이어(곡립 반송 장치)
73 : 탱크측 보강 부재(보강 부재) 80 : 기체측 안내 부재
81 : 제 1 상승 경사부(제 1 경사부)
82 : 제 2 상승 경사부(제 1 경사부) 83 : 수평부(제 1 수평부)
84 : 오목부 85 : 경사부(제 2 경사부)
86 : 볼트(고정 수단) 90 : 탱크측 안내 부재
92 : 탱크측 상승 경사부(제 3 경사부)
93 : 탱크측 수평부(제 2 수평부)

Claims (5)

  1. 곡물 탱크(7)를 이 곡물 탱크(7)의 후방측에 배치된 상하 방향의 회동 중심(7a)을 중심으로 하여 탈곡 장치(5)로부터 반송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기체 프레임(2) 상의 저류 위치와, 기체 프레임(2) 상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이동한 유지 보수 위치에 걸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저류 위치에 있어서의 곡물 탱크(7)와 상기 기체 프레임(2) 사이에는 이 곡물 탱크(7)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검출 장치(11)를 설치하고, 상기 곡물 탱크(7)가 상기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를 향해서 회동할 때에 그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상기 중량 검출 장치(11) 상으로 안내하는 안내 기구(12)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중량 검출 장치(11)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이 곡물 탱크(7)의 저부에 설치된 곡립 반송 장치(72)의 하방에 면하는 기체 프레임(2)의 부위에 설치하고, 상기 안내 기구(12)에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일단 상승시켜서 곡물 탱크(7)가 상기 저류 위치에 위치 부여되었을 때에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하강시키고, 이 곡물 탱크(7)의 저부를 상기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시키는 기체측 안내 부재(8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측 안내 부재(80)에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올라앉게 해서 상승시키는 제 1 경사부(81, 82)와, 이 제 1 경사부(81, 82)에 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수평부(83)와, 이 제 1 수평부(83)에 이어서 형성되며, 상기 저류 위치에 있어서 곡물 탱크(7)의 전단부를 움푹하게 하는 오목부(8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84)와 수평부(83) 사이에 상기 오목부(84)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평부(83)에 있어서의 기체 내측의 단부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진 제 2 경사부(8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기구(12)에는 상기 곡물 탱크(7)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측 안내 부재(80)에 올라앉는 탱크측 안내 부재(90)를 구비하고, 이 탱크측 안내 부재(90)에는 상기 곡물 탱크(7)가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저류 위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경사부(81, 82)에 올라앉는 제 3 경사부(92)와, 이 제 3 경사부(92)에 이어서 설치된 제 2 수평부(9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탱크(7)의 저부 외측면을 덮는 보강 부재(73)를 구비하고, 이 보강 부재(73)를 중량 검출 장치(11) 상에 적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0143870A 2014-10-30 2015-10-15 콤바인 KR101768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1871 2014-10-30
JP2014221871A JP6459399B2 (ja) 2014-10-30 2014-10-3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604A true KR20160051604A (ko) 2016-05-11
KR101768991B1 KR101768991B1 (ko) 2017-08-30

Family

ID=5577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870A KR101768991B1 (ko) 2014-10-30 2015-10-15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59399B2 (ko)
KR (1) KR101768991B1 (ko)
CN (2) CN205179764U (ko)
TW (1) TWI606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435B1 (ko) * 2016-12-19 2023-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KR102587857B1 (ko) * 2017-06-26 2023-10-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수확기
JP7482739B2 (ja) 2020-09-28 2024-05-1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3692844B (zh) * 2021-09-29 2022-07-01 山西农业大学 一种无尘化水稻收割脱粒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7257U (ja) * 1984-08-29 1986-03-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装置
JPS63103248U (ko) * 1986-12-24 1988-07-05
US5327708A (en) * 1991-02-28 1994-07-12 Gerrish Steven R Crop testing and evaluation system
JP2004129522A (ja) * 2002-10-08 2004-04-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215488A (ja)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US7927198B2 (en) * 2007-11-08 2011-04-19 Redekop Enterprises Inc. Harvester corn cobs separating
CN202340435U (zh) * 2011-11-28 2012-07-25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基于作业路径的玉米产量实时测量系统
JP5829504B2 (ja) * 2011-12-08 2015-12-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102022594B1 (ko) * 2012-09-26 2019-11-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JP5715607B2 (ja) * 2012-09-26 2015-05-0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203575093U (zh) * 2013-09-26 2014-05-07 陕西山泽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谷粒称重功能的收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86675A (ja) 2016-05-23
CN105557186A (zh) 2016-05-11
JP6459399B2 (ja) 2019-01-30
CN205179764U (zh) 2016-04-27
KR101768991B1 (ko) 2017-08-30
CN105557186B (zh) 2017-12-19
TWI606780B (zh) 2017-12-01
TW201615085A (zh) 201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991B1 (ko) 콤바인
JP6451513B2 (ja) コンバイン
JP5715607B2 (ja) コンバイン
JP4689653B2 (ja) コンバイン
JP2016154493A (ja) コンバイン
JP6597844B2 (ja) コンバイン
KR101840304B1 (ko) 콤바인
KR101800112B1 (ko)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JP6126151B2 (ja) コンバイン
JP6674003B2 (ja) コンバイン
JP6884246B2 (ja) コンバイン
JP2015142580A5 (ko)
CN109923996B (zh) 联合收割机
JP6355584B2 (ja) コンバイン
JP5756070B2 (ja) コンバイン
JP6516051B2 (ja) コンバイン
JP6624244B2 (ja) コンバイン
JP6420396B2 (ja) コンバイン
JP5840099B2 (ja) コンバイン
JP5516849B2 (ja) コンバイン
JP2012143194A (ja) コンバイン
JP2001224233A (ja) コンバインの排出オーガ
JP2016123346A (ja) コンバイン
JP2018068218A (ja) コンバイン
JP201816443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