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594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594B1
KR102022594B1 KR1020130014626A KR20130014626A KR102022594B1 KR 102022594 B1 KR102022594 B1 KR 102022594B1 KR 1020130014626 A KR1020130014626 A KR 1020130014626A KR 20130014626 A KR20130014626 A KR 20130014626A KR 102022594 B1 KR102022594 B1 KR 10202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grain
guide
weight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603A (ko
Inventor
다츠야 기타노
가즈히로 다카하라
마코토 오시타니
가츠히데 가토오
미츠히로 세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32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00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3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156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4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5607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4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5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the level of grain in 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03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load-cell construction or moun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셀을 사용해서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할 때에,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안정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서 곡물 중량의 검출 정밀도가 저감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다리부(80)와, 지지 다리부(80)를 로드셀(60)의 수압면(63A)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기체 프레임(1)에 설치된 안내 부재(70)의 각각의 대향 개소에 평탄부(71, 83)가 설치되어 있어, 지지 다리부(80)와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 83)끼리가 면접촉한 상태에서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이 로드셀(60)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할 때에, 수량 센서의 배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하기 쉬운 구조로 해서,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던 콤바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5)와, 그레인 탱크(5)의 하방에 배치된 수량 센서(60)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 프레임(12)과, 그 주 프레임(12)에 연속 설치된 받침대 브래킷(13)이 구비되고, 상기 수량 센서(60)는 상기 주 프레임(12)과 상기 받침대 브래킷(13)에 걸쳐 재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셀을 사용해서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할 때의 기체 경사에 의한 영향으로 곡물 중량의 검출 정밀도가 저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주행 기체의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센서(3066)와 그레인 탱크(3005)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3060)을 구비하고, 출력 제어 수단(3106)은,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내일 때에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 대상 기기(3034)에 출력되고,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일 때에는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 대상 기기(3034)에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어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그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을 구비하여, 그레인 탱크 내의 곡물 중량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어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그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 내의 곡물 중량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을 구비한 콤바인으로서는,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하부와 기체 프레임 사이에 로드셀을 개재해서 장착하여,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는,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하부와 기체 프레임 사이에 로드셀을 개재해서 장착하여,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을 구비한 콤바인으로서는,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저부와 차체 프레임 사이에 로드셀을 개재해서 장착하여,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 10-164967호 공보(단락 번호 〔0009〕, 〔0010〕, 도 1)
상기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작용하고 있는 부위와 기체 프레임 사이에서 로드셀에 의한 중량 검출을 행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 중량을 임의의 시점에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량을, 그레인 탱크 내부의 적소에 설치한 광센서나 감압 센서 등에 의해, 만배 등의 소정 레벨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구조의 것에 비해, 수확 작업 중의 임의의 시점에서 중량을 검지할 수 있는 편리함에 부가해서, 소정 레벨의 검지 전까지, 혹은 소정 레벨의 검지 후에도 수확 작업을 계속한 경우라도, 최종방향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곡물 중량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로드셀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작용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있지 않으면 검출 정밀도의 신뢰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로드셀에서 계측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로드셀의 배치 위치가 기체 프레임(1) 상의 견고한 섀시가 존재하는 개소이며, 또한 로드셀을 탑재 가능한 면적을 가진 부위에 한정되어, 설계상의 자유도가 제약받는 경향에 있다.
상기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작용하고 있는 부위와 차체 프레임 사이에서 로드셀에 의한 중량 검출을 행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 중량을 임의의 시점에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량을, 그레인 탱크 내부의 적소에 설치한 광 센서나 감압 센서 등에 의해, 만배 등의 소정 레벨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구조의 것에 비해, 수확 작업 중의 임의의 시점에서 중량을 검지할 수 있는 편리함에 부가해서, 소정 레벨의 검지 전까지, 혹은 소정 레벨의 검지 후에도 수확 작업을 계속한 경우라도, 최종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곡물 중량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그레인 탱크를 탑재하는 주행 기체의 자세가 기울면, 로드셀에 대한 그레인 탱크의 중량의 작용 방향이 변화되어 정확한 중량 검출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셀을 사용해서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할 때에,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안정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서 곡물 중량의 검출 정밀도가 저감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량 센서를 사용해서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할 때에, 수량 센서의 배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하기 쉬운 구조로 해서,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던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셀을 사용해서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할 때의 기체 경사에 의한 영향으로 곡물 중량의 검출 정밀도가 저감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 강구한 기술 수단은 하기와 같다.
〔해결 수단 1〕
해결 수단 1에 따른 발명에서는, 기체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전후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의 상하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기체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작업 자세 위치와 상기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타단부측이 상기 기체 프레임의 횡 외방측으로 변위하는 비작업 자세 위치에 걸쳐 위치 변경 가능한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다리부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지지 다리부를 로드셀의 수압면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안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상하 축심이 존재하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고, 이 지지 다리부와 상기 안내 부재의 각각의 대향 개소에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지지 다리부와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평탄부끼리가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상기 로드셀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1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다리부와, 지지 다리부를 로드셀의 수압면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의 각각의 대향 개소에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 다리부와 안내 부재의 평탄부끼리가 면접촉한 상태에서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로드셀에 작용한다.
따라서, 안내 부재의 평탄부에서, 이것에 면접촉하는 지지 다리부의 평탄부를 안정서 좋게 지지한 상태에서 로드셀에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 다소의 기체 진동 등이 있어도 안정된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그레인 탱크 중량을 검출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2〕
해결 수단 2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접촉하여,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상기 그레인 탱크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그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앞쪽으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다.
〔해결 수단 2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의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경사면이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앞쪽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의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경사면으로 안내되는 지지 다리부를 통해서 그레인 탱크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면서 평탄부에 실을 수 있다.
따라서, 들어올림측으로 안내된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지지 다리부의 평탄부 및 안내 부재의 평탄부를 통해서 확실하게 로드셀에 작용하는 상태를, 그레인 탱크의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행하는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현출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3〕
해결 수단 3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지지 다리부측의 평탄부를 구비한 재치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피안내체가 구비되어 있다.
〔해결 수단 3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3에 따르면, 안내 부재의 평탄부에 대하여 접촉하기 쉬운 기능을 가진 재치 부재와, 안내 부재로 안내되기 쉬운 기능을 가진 피안내체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4〕
해결 수단 4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재치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안내 부재와 접촉해서 들어올림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4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3에 따르면, 재치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피안내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피안내체가 안내 부재의 경사면에 접촉해서 그레인 탱크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재치 부재측에서는, 안내 부재의 경사면에 대한 들어올림을 위한 기능을 가진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안내 부재의 평탄부와 접촉하기 위한 평탄부를 가진 구조의 것이면 되고, 또한, 피안내체측에서는 안내 부재의 평탄부에 대한 접촉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사면에 대한 들어올림에 적응하기 쉬운 회전 구조 등을 채용하기 쉽다. 이에 의해, 경사면에 대한 들어올림의 원활함과 평탄부에서의 안정 자세의 확보를,모두 양호하게 발휘하는 구조를 채용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5〕
해결 수단 5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피안내체의 하단부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5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5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가 비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피안내체는, 안내 부재의 평탄부가 존재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위치하여, 안내 부재에 무용한 하중을 작용시키는 일이 없다.
〔해결 수단 6〕
해결 수단 6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피안내체의 하단부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재치 부재의 평탄부가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6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6에 따르면, 재치 부재의 평탄부가 안내 부재의 평탄부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피안내체는 평탄부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고, 재치 부재와 안내 부재의 평탄부끼리의 면접촉의 방해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7〕
해결 수단 7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상기 그레인 탱크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앞쪽으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다.
〔해결 수단 7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7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의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도, 피안내체에 의한 그레인 탱크의 들어올림측으로의 안내가 행해지고, 그레인 탱크의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기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해결 수단 8〕
해결 수단 8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 다리부에는,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대한 상기 피안내체의 하단부의 상대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어저스트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해결 수단 8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8에 따르면, 피안내체의 하단부의 상대 높이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안내 부재측의 경사면으로 안내될 때의 그레인 탱크의 들어올림량을 조절하거나, 피안내체의 하단부와 재치 부재의 평탄부의 높이의 차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재치 부재의 평탄부를 통해서 로드셀에 대하여 확실하게 부하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안내체의 하단부와 재치 부재의 평탄부의 높이의 차에 의한 재치 부재의 낙차를 적게 하는 등의 조절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9〕
해결 수단 9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어저스트 기구는, 상기 그레인 탱크측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에 대향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이 형성된 종 변부와, 상기 그레인 탱크측의 하향면에 대향해서 그 하향면을 따르는 방향의 면이 형성된 횡 변부를, 상기 피안내체를 상기 그레인 탱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에 구비하고 있어, 상기 그레인 탱크에 대한 상기 횡 변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융통부가 상기 종 변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향면에 상단부를 압착 가능한 어저스트 볼트의 부착부가 상기 횡 변부에 설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9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9에 따르면, 피안내체를 그레인 탱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의 종 변부와 횡 변부를 이용해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0〕
해결 수단 10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재치 부재와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해결 수단 10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0에 따르면, 부착 부재와 재치 부재를 단일 부재로 구성할 수 있어, 한층 더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해결 수단 11〕
해결 수단 11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상기 종 변부에 대향해서 상기 그레인 탱크측에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횡 변부에 대향해서 상기 그레인 탱크측에 하향면을 따르는 방향의 면을 형성한 부착 좌판이 설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11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1에 따르면, 어저스트 기구의 종 변부에 대향하는 면과 횡 변부에 대향하는 면을, 그레인 탱크 그 자체에 구성할 필요는 없고, 부착 좌판에 설치함으로써, 그레인 탱크의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2〕
해결 수단(12)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하는 이동 방향에서의 상측의 단부를 요동 지지점으로 해서 하측 단부가 상하 요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요동 지지점측이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요동 지지점 기구를 통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해결 수단(12)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12)에 따르면, 안내 부재의 요동 지지점으로 되는 측에, 그 안내 부재의 요동 지지점측이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요동 지지점 기구를 구비했으므로, 안내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평탄부의 자세를, 재치 부재측의 평탄부를 따르는 상태로 변화시키기 쉬워진다. 즉, 안내 부재가 그 요동 지지점으로 되는 측의 1축심 주위에서만 기복 요동하는 것이 아니고, 그 요동 지지점으로 되는 축심의 위치를 한점에 고정하지 않고, 상하로 위치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서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평탄부가 재치 부재의 평탄부와 평행한 자세로 대향하는 상태를 용이하게 현출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3〕
해결 수단 13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요동 지지점 기구는, 상기 기체 프레임측에 고정된 지지점축과, 그 지지점축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부재의 소정 범위 내에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융통 구멍부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13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3에 따르면, 요동 지지점 기구를, 기체 프레임측에 고정된 지지점축과 안내 부재측의 융통 구멍부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4〕
해결 수단 14에 따른 발명에서는,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방에 배치된 수량 센서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 프레임과, 그 주 프레임에 연속 설치된 받침대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수량 센서는 상기 주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브래킷에 걸쳐 재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브래킷과 그 받침대 브래킷에 재치되는 상기 수량 센서가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받침대 브래킷과 상기 수량 센서 중 한쪽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출부가 다른 한쪽에 설치된 위치 결정 오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수량 센서의 배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평면상에서 상기 수량 센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주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선의 전후 양측에 배분된 상태로 배치된다.
〔해결 수단 14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수량 센서의 배치 개소로서, 주 프레임의 상방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고, 주 프레임에 연속 설치된 받침대 브래킷도 이용해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수량 센서를 배치 개소를, 주 프레임 상면의 크기에 따른 제약 등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 브래킷을 수량 센서의 설치부로서뿐만 아니라, 위치 결정부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부재의 겸용화에 의한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5〕
해결 수단 15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 브래킷은, 상기 주 프레임과, 그 주 프레임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횡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해결 수단 15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5에 따르면, 주 프레임과, 그 주 프레임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횡프레임을 이용해서 받침대 브래킷의 설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6〕
해결 수단 16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 브래킷은, 상기 주 프레임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16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6에 따르면,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대 브래킷이, 외측의 주 프레임에 의해, 타물과의 접촉 등으로부터 보호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7〕
해결 수단 17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 브래킷에 상기 수량 센서의 배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해결 수단 17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7에 따르면, 받침대 브래킷을 수량 센서의 설치부로서뿐만 아니라, 위치 결정부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부재의 겸용화에 의한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18〕
해결 수단 18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방에 배치된 수량 센서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는,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의 상하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작업 자세 위치와, 상기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타단부측이 기체 횡 외방측으로 변위하는 비작업 자세 위치에 걸쳐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서 상기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에 오르는 지지 다리부와, 상기 지지 다리부가 상기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주 프레임을 구비한 기체 프레임에 올라가기 가능하며, 또한 상기 지지 다리부가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 있으면 기체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가이드 다리부가 구비되어 있다.
〔해결 수단 18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8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의 중량 계측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 다리부와는 별도로, 지지 다리부가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기체 프레임에 올라간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가이드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체 프레임 상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그 가이드 다리부는, 지지 다리부가 작업 자세 위치에 있으면 기체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지지 다리부만을 통해서 수량 센서에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다리부의 존재에 의해 수량 센서의 중량 계측을 행하기 여러워지는 경우도 없다.
〔해결 수단 19〕
해결 수단 19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가이드 다리부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서 상기 상하 축심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19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19에 따르면, 기체 전후 방향에서 지지 다리부보다 상하 축심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다리부는, 그레인 탱크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가까이에 존재하는 무게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로 인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가이드 다리부에 작용하는 비율을 적게 하여, 비교적 가볍게 그레인 탱크를 움직이기 쉬워진다.
또한, 지지 다리부는 반대로 무게 중심에 가깝게 되어 있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수량 센서에 정밀도 좋게 부하시키기 쉬워진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해결 수단 20〕
해결 수단 20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가이드 다리부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내방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20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0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상하 축심을 가능한 한 기체의 횡 외방측 가까이에 설치하여, 크게 횡 외방측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경향에 있는 그레인 탱크에 대하여, 지지 다리부의 위치를 가능한 한 기체 내방측에 바싹 붙여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상하 축심과 그레인 탱크의 중앙 가까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연결해서 그레인 탱크의 대각 방향을 향하게 되는 선분에 대하여, 지지 다리부의 위치를 가이드 다리부보다도 근접해서 배치하기 쉽고, 지지 다리부가 그레인 탱크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상기 선분에 근접해서, 좌우 밸런스가 좋은 상태에서의 중량 검출을 행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1〕
해결 수단 21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다리부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부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상기 지지 다리부가 상기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에 오르기도 전에, 상기 기체 프레임에 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21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1에 따르면, 지지 다리부가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에 오르기도 전에, 가이드 다리부가 기체 프레임에 오르는 것에 의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일단 가이드 다리부와 기체 프레임에서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레인 탱크의 중량에 변동이 있어도, 그 변동에 따라 지지 다리부와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대 높이에 큰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지지 다리부와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대 높이를 일정한 범위로 유지해서 수량 센서에 의한 중량 계측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2〕
해결 수단 22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 다리부와 상기 가이드 다리부는, 각각에 상기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작용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상기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상기 가이드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상기 주 프레임의 상면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해결 수단 22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2에 따르면, 가이드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주 프레임의 상면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지지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에 의한 그레인 탱크의 들어올림 안내량을 적게 할 수 있어, 경쾌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3〕
해결 수단 23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 브래킷을 설치한 개소의 상기 기체 프레임의 하측이 마루판으로 덮이고, 상기 받침대 브래킷의 하면측이 상기 마루판에 연결되어 있다.
〔해결 수단 23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3에 따르면, 받침대 브래킷의 하면측이 마루판과 연결됨으로써 강도를 향상할 수 있음과 함께, 하방측으로부터의 비산 이토(泥土)가 수량 센서에 덮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4〕
해결 수단 24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는, 주 프레임에 지지된 축지지 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그 축지지 부재는 상기 주 프레임의 횡측면에 용접 고정된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다.
〔해결 수단 24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4에 따르면, 수량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사양의 콤바인을 구성할 때는, 고정 브래킷을 제외하는 축지지 부재나, 지지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거 상태에서는, 기체 프레임 상에 축지지 부재나 안내 부재 등의 무용한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주 프레임의 횡측면에 고정 브래킷이 존재하기만 하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사양 변경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5〕
해결 수단 25에 따른 발명에서는,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어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그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과, 상기 주행 기체의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센서와, 상기 로드셀에 의한 검출 중량 및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 검출값이 입력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받는 출력 대상 기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곡물 중량을 연산하는 수량 계측 수단과, 상기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상태와 출력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내일 때에 상기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상기 출력 대상 기기에 출력되고,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일 때에는 상기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상기 출력 대상 기기에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25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주행 기체의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센서를 구비하고,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내일 때에만,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 대상 기기에 출력되고,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일 때에는,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 대상 기기에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출력 대상 기기측에는 정밀도가 낮은 검출 신호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전달되지 않고, 곡물 중량의 검출 정밀도의 저감을 피할 수 있었던 고정밀도에서의 검출 결과가 전달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26〕
해결 수단 26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 기체의 경사를 수정하는 자세 제어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인 것의 검출에 수반하여,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내로 복귀되도록 상기 자세 제어 장치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자세 수정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자세 수정 수단에 의한 제어 지령이,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인 것의 검출에 수반하여 상기 자세 제어 장치에 대하여 출력되고, 상기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내이면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26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6에 따르면,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에, 그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내로 복귀되도록, 주행 기체의 경사를 수정하는 자세 제어 장치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자세 수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주행 기체의 경사 자세를 강제적으로 수정하여, 조기 중에 경사 센서에 의한 경사의 검출값이 허용 범위 외인 상황을 빠져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중, 허용 범위 내에 있어서의 경사의 검출값에 기초한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가 얻어지는 상황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7〕
해결 수단 27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반출하기 위한 곡립 반출용 오거와, 그 곡립 반출용 오거가 주행 기체 상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오거 검지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오거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오거 위치를 판별하는 오거 위치 판별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오거 위치 판별 수단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곡립 반출용 오거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상기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되고, 상기 곡립 반출용 오거가 소정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상기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27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7에 따르면, 곡립 반출용 오거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되고, 곡립 반출용 오거가 소정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 위치를 예를 들어 오거의 저장 위치로 한 경우, 그 저장 위치로부터 오거가 벗어나 있으면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을 출력하게 되므로, 그레인 탱크가 가득차서 오거에서의 배출이 필요할 때에, 오거를 소정 위치로부터 움직여서 배출 준비를 행하면, 확실하게 수량 계측 수단에서의 연산 결과에 기초한 제어 지령을 출력해서 곡물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곡물 중량의 검출이 필요한 정도는, 예취 작업중 등의 곡물의 저류 도중보다도, 곡물을 배출하고 싶은 만배 시점에서의 필요 정도가 높고, 그 때에, 특별한 검출 개시 조작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오거를 배출 준비를 위해 소정 위치로부터 옮기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곡물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위치를, 예를 들어 저장 위치로부터 벗어난 적시 개소에 설정한 경우에는, 오거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켜서 예취 작업중에서의 곡물 중량의 검출을 행할 수 있어, 사용 형태에 적합한 검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해결 수단 28〕
해결 수단 28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로드셀은, 상기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 중량을 검출 가능한 계측 위치와, 상기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 중량이 작용하지 않는 비 계측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28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8에 따르면, 로드셀을 비 계측 위치로 위치 변경할 수 있으므로, 로드셀에 대하여 항상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계속해서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노상 주행중 등, 그레인 탱크 중량을 계측하는 필요한 없을 때에 로드셀을 비 계측 위치로 위치 변경시켜서, 주행 중의 기체 진동 등에 의한 충격적인 하중이 로드셀에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9〕
해결 수단 29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로드셀의 계측 위치와 비 계측 위치 사이에 있어서의 위치 변경은, 상기 로드셀의 수압면의 위치를 상하로 위치 변화시키는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29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29에 따르면, 로드셀의 계측 위치와 비 계측 위치 사이에 있어서의 위치 변경을, 유압 실린더의 상하 승강 작동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한 구조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30〕
해결 수단 30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저류된 곡립의 양을 계측하는 레벨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레벨 센서로부터의 레벨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곡물 중량을 연산함과 함께, 그 연산된 곡물 중량과 상기 수량 계측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곡물 중량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중량 비교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중량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된 곡물 중량의 차가 소정 이상일 때에 계측값 이상을 통지하는 제어 지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결 수단 30에 따른 발명의 작용 및 효과〕
해결 수단 30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 이외에, 그레인 탱크 내에 저류된 곡립의 양을 계측하는 레벨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그 곡물의 양에 기초하여 연산된 곡물 중량과, 그레인 탱크의 중량에 기초하여 연산된 곡물 중량의 비교 결과에 의해 계측값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곡물 중량의 오검출을 회피하기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기체 프레임과 그레인 탱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기체 프레임과 그레인 탱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받침대 브래킷과 로드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중량 검출부를 도시하는 종방향단 정면도.
도 7은 중량 검출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중량 검출부를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선으로 도시하는 방향에서 본 일부 절결 시시도(矢視圖).
도 9는 지지 다리부와 가이드 다리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가이드 다리부와 중량 검출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중량 검출부와 그레인 탱크의 동작 방향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중량 검출부의 기체 프레임측의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기체 프레임측과 그레인 탱크측의 중량 검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로드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6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17은 그레인 탱크의 정면도.
도 18는 그레인 탱크의 중량 계측 개소의 종단 정면도.
도 19는 그레인 탱크의 중량 계측 개소의 사시도.
도 20은 로드셀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2은 메인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는 수량 출력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자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1)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에 의해 지지되어 자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프레임(1) 상에는, 운전 캐빈(3), 탈곡 장치(4), 그레인 탱크(5), 배출 볏짚 처리 장치(7) 등이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대하여, 후단부측을 요동 지지점으로 해서 전단부측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예취부(8)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콤바인에서는, 수확 대상의 직립 곡물대를 예취해서 기체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고, 탈곡 장치(4)로 탈곡·선별 처리하여, 선별 회수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5)에 저류하고, 배출 볏짚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7)로 세단 처리해서 포장(圃場)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저부측에 운전 좌석(30)의 재치대를 겸하는 엔진 보닛(31)이 배치되고, 이 엔진 보닛(31) 내에 엔진(9)이 내장되어 있다. 이 엔진(9)의 구동력이, 도시하지 않는 미션 케이스를 통해서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20)으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벨트(21)에 각각 따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20)의 등속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에서의 직진 주행이 행해지고,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20)의 부등속에서의 동일 방향 회전, 혹은 서로 역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선회 주행이 행해진다.
상기 운전 캐빈(3) 내에는, 운전 좌석(30)의 전방 위치에 조종방향 패널(32)이 배치되고, 운전 좌석(30)의 좌측 횡측방에 사이드 패널(33)이 배치되어 있다. 전방의 조종방향 패널(32)에 표시 장치(34), 및 전후 좌우로 조작 가능한 조종방향 레버(35)가 장비되고, 사이드 패널(33)에 주행 속도를 변속 가능한 변속 조작구(36) 및 후술하는 오거(50)의 기복 조작과 선회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오거 조작구(37)가 장비되어 있다.
상기 표시 장치(34)는, 차속이나 엔진 회전수 및 연료 잔량 등 이외에, 그레인 탱크(5)에 수용된 곡물의 중량이나 후술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57)에서의 계측 결과 등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조종방향 레버(35)는, 전후 방향의 요동 조작으로 예취부(8)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으로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조종방향 레버(35)의 파지부 가까이에,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손가락 조작식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장비시키고 있고, 그 손가락 조작식의 스위치의 조작에 기초한 제어 지령을 주지의 자세 변경 기구에 출력하여, 수평면에 대한 기체 프레임(1)의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엔진(9)의 구동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에 전달되는 것 외에, 그 주행용의 전동계로부터 분기한 동력이 예취 반송용의 전동계를 통해서 예취부(8)에 전달되고, 또한,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이 탈곡 장치(4)에 전달되는 한편, 그곳으로부터 분기한 동력이 배출 볏짚 처리 장치(7)에 전달되도록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
탈곡 장치(4)는, 예취부(8)로부터 반송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도시하지 않는 피드 체인에 의해 협지해서 반송하면서, 급실(扱室) 내에서 회전 구동되는 급동(扱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삭 끝측을 훑기 처리해서 탈곡하고, 급동의 하부에 구비된 선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곡립과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하고, 단립화한 곡립을 회수해서 그레인 탱크(5)에 반송하고, 진애는 기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볏짚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7)에서 세단 처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의 저부에 최고품(一番物) 회수 스크류(40)가 구비되고, 이 최고품 회수 스크류(40)에 의해 곡립을 기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그레인 탱크(5)측으로 횡(橫)이송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4)와 그레인 탱크(5) 사이에는, 최고품 회수 스크류(40)와 도시하지 않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연동 연결되는 상태에서 반송 장치로서의 스크류 컨베이어식의 양곡(grain lifting) 장치(4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고품 회수 스크류(40)에서 횡이송된 곡립은, 양곡 장치(41)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그 양곡 장치(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출구(42)로부터, 그레인 탱크(5)의 좌측벽부(5A)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켜서 그레인 탱크(5)의 내부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곡 장치(41)는, 도시하지 않지만, 원통 형상의 통내에 스크류축을 내장 하고, 또한 스크류축의 상단부에 곡립을 그레인 탱크(5) 내를 향해서 날리는 회전 날개가 설치되고, 곡립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확산시켜서, 고르게 한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5) 내에 저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는, 상기 양곡 장치(41)에 대향하는 기체 내방측의 좌측벽부(5A)와, 기체 외방측의 우측벽부(5B)가, 작업 자세 위치에서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자세 위치에서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벽부(5D)보다도 후방측에 설치한 상하 축심 y1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좌우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후방측의 상하 축심 y1로부터 이격되는 전방측이 좌우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그레인 탱크(5)는, 길이 방향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고 좌측벽부(5A)가 기체 내방측을 향하는 작업 자세 위치와, 전방측의 전방측벽부(5C)가 우횡 외방측을 향하게 되어 기체 내방측이 개방되는 메인터넌스 위치(비작업 자세 위치에 상당함)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저부측의 하부에 곡립을 기체 후방측을 향해서 반송하는 반출용 저부 스크류(51)가 구비되고, 그레인 탱크(5)의 기체 후방부측에, 반출용 저부 스크류(51)와 베벨 기어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는 상태에서, 반송 종방향단부로부터 곡립을 양상(揚上:위로 올림) 반송하는 종(縱)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가 구비되어 있다.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의 상부에는, 양상 반송된 곡립을 횡이송 반송해서 선단의 배출구(53A)로부터 배출하는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3)의 기단부가 수평 축심 x1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베벨 기어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반출용 저부 스크류(51),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 및,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3)에 의해 곡립 반출용의 오거(5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거(50)에 의해, 그레인 탱크(5)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이 배출구(53A)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는, 감속기 부착의 전동 모터(54)의 작동에 의해 상하 축심 y1 주위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3)는 유압 실린더(55)에 의해 기단부의 수평 축심 x1 주위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33)에 설치한 오거 조작구(37)의 조작에 기초하여,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3)를 선회 조작 및 승강 조작시켜서, 배출구(53A)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기 외부의 운반용 트럭의 짐받이의 위치 등에 대응시켜서 곡립의 토출 위치를 변경해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후방측벽부(5D)의 하부에는, 반출용 저부 스크류(51)와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를 연동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를 내장하는 베벨 기어 케이스(56)가 연결되어 있다. 이 베벨 기어 케이스(56)는, 그레인 탱크(5)의 후방으로 돌출해서 노출되는 반출용 저부 스크류(51)의 후단부 및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의 시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베벨 기어 케이스(56)에는, 그 저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지지축부(5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에는 베벨 기어 케이스(56)의 지지축부(56A)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1C)가 구비되어 있다. 이 축지지부(1C)에는, 상하 방향의 지지축으로 되는 베벨 기어 케이스(56)의 지지축부(56A)가 피봇되고, 그레인 탱크(5)는 지지축부(56A)를 지지점으로 한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기체 프레임(1)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축부(56A)의 중심은 상기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52)의 상하 축심 y1과 동일 위치이며, 그레인 탱크(5)의 상기 지지축부(56A)를 지지점으로 한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은, 상하 축심 y1 주위의 요동 작동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그레인 탱크(5)는, 그 후단부에 위치하는 베벨 기어 케이스(56)의 지지축부(56A)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체 전방부측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기체 내방측으로 인퇴해서 좌측벽부(5A)가 탈곡 장치(4)에 인접해서 공급구(14)가 양곡 장치(41)의 토출구(42)에 연통하는 작업 자세 위치와, 횡측 외방으로 돌출되어 전방부측이 탈곡 장치(4)로부터 이격해서 엔진(9)의 후방 및 탈곡 장치(4)의 우측방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쳐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단, 그레인 탱크(5)의 반출용 저부 스크류(51)의 전단부에는,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을 반출용 저부 스크류(51)에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차단하는 전동 차단 상태로 전환이 자유로운 벨트 텐션식의 배출 클러치(43)가 구비되므로, 그레인 탱크(5)를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미리 이 배출 클러치(43)를 전동 차단 상태로 전환한 후, 전동 벨트(44)를 제거해 두게 된다.
또한, 그레인 탱크(5)의 전방측벽부(5C)의 상부에는, 탈곡 처리해서 양곡 장치(41)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의 일부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의 내부 품질 계측 수단으로서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57)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 품질 계측 장치(57)는, 근적외광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한 성분 분석 방법을 사용해서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주지의 것이다. 이 내부 품질 계측 장치(57)에서는, 근적외광을 곡립에 대고, 그 투과광의 분광 분석에 기초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해석하고,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 단백질, 아밀로스 등의 성분량을 판별하여, 그들에 기초하여 음식맛을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량 검출부〕
이 콤바인에는,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한 중량 검출부(6)가 기체 프레임(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중량 검출부(6)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한 로드셀(60)(수량 센서에 상당함)이, 작업 자세 위치에 위치하는 그레인 탱크(5)의 하중을 받아내서 중량을 계측 가능하도록 기체 프레임(1)에 구비되어 있다.
이 중량 검출부(6)에는, 상기한 로드셀(60)을 기체 프레임(1)에 재치하기 위한 재치 구조로서의, 종방향 프레임(12)(주 프레임에 상당함)이나 받침대 브래킷(13)이 설치됨과 함께, 로드셀(60)의 수압면(63A)에 그레인 탱크(5)측의 중량이 작용하도록 안내하는 가동 안내 부재(70)(안내 부재에 상당함)가 설치된다. 또한, 그레인 탱크(5)에는, 그 중량을 로드셀(60)에 부하시키기 위한 지지 다리부(80) 및 그레인 탱크(5)의 기체 프레임(1) 상에서의 요동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다리부(90)가 설치된다.
로드셀(60)이 배치되는 기체 프레임(1) 상의 위치는, 작업 자세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그레인 탱크(5)의 저부의 하방에 상당하는 위치이며, 또한, 그레인 탱크(5)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다리부(80)를 통해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이 작용하는 위치이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 상에 있어서의 로드셀(60)의 배치 위치가, 작업 자세 위치에 위치하는 그레인 탱크(5)의 무게 중심 G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서 근접한 위치이도록 정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자세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그레인 탱크(5)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투영도의 도심과 동일 위치, 혹은 그 가까이에, 로드셀(60)의 중심을 통과하는 전후 방향의 가상 연직면 yF(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선분 yF 참조)가 위치하도록, 기체 프레임(1) 상에 있어서의 로드셀(60)의 위치를 정하고 있다.
이렇게, 로드셀(60)이, 좌우 방향에서 그레인 탱크(5)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투영도의 도심과 동일 위치, 혹은 그 가까이에 위치함으로써, 실제의 그레인 탱크(5)의 무게 중심 위치 G도, 그 그레인 탱크(5)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에 따라서도 어느 정도의 변동은 있지만, 거의 로드셀(60)의 중심을 통과하는 상기 가상 연직면 yF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로드셀(60)에 의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이, 좌우 밸런스가 좋은 상태에서 정밀도 좋게 검출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상기 로드셀(60)의 위치는,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지지점인 상하 축심 y1로부터 이격된 먼 위치이고, 또한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 가까이이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로드셀(60)의 위치가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지지점인 상하 축심 y1로부터 이격된 먼 위치이면, 로드셀(60)에 대응하는 그레인 탱크(5)의 부위도 필연적으로 상하 축심 y1로부터 멀리 이격해서 위치하고, 그 로드셀(60)에 대응하는 부위에서의, 곡물 중량에 의한 그레인 탱크(5) 자체의 휨 변형량이 비교적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로드셀(60)의 위치가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지지점의 가까이이고, 그레인 탱크(5) 자체의 중량에 의한 휨 변형량이 극소 없는 경향에 있는 구조의 것에 비교하면, 그레인 탱크(5) 자체의 중량당의 변형량의 비율이 커지는 경향을 이용하여,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로드셀(60)에서 정밀도 좋게 검출하기 쉬워진다.
기체 프레임(1)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 2)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22, 22)을 지지하도록,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주위 지지 프레임(10, 10)과, 그 다리주위 지지 프레임(10, 10)의 상측에 가로로 걸쳐진 상태에서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횡방향 프레임(11)(횡프레임에 상당함)과, 그 횡방향 프레임(11)과 동일 평면상에서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종방향 프레임(12)(주 프레임에 상당함)을 구비하고, 평면에서 보아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셀의 부착 구조〕
기체 프레임(1) 상에 있어서의 로드셀(60)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 자세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그레인 탱크(5)의 하측에 상당하는 개소로서, 그레인 탱크(5)의 하측에 위치하는 우측의 종방향 프레임(12)과 횡방향 프레임(11)의 교차 개소 중에서, 상기 그레인 탱크(5)의 상하 축심 y1로부터 이격된 그레인 탱크(5)의 전단부에 가까운 개소의 하방에 위치시켜서 받침대 브래킷(13)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받침대 브래킷(13)은, 종방향 프레임(12)의 기체 내방측이며, 또한 횡방향 프레임(11)의 기체 후방측에 상당하는 개소에 설치되고, 종방향 프레임(12) 및 횡방향 프레임(1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이도록 형성된 상면(13a)을 구비하고, 종방향 프레임(12) 및 횡방향 프레임(11)의 각각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받침대 브래킷(13)은, 판금제 재료의 절곡 가공에 의해 구성한 것이며, 상기 종방향 프레임(12) 및 횡방향 프레임(1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인 상면(13a)과, 기체 후방측을 향하는 후방면(13b) 및 기체 좌측 방향을 향하는 옆면(13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면(13b)의 우측 단부 가장자리가 종방향 프레임(11)의 좌측 횡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옆면(13c)의 전단부 가장자리가 횡방향 프레임(11)의 후방측면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받침대 브래킷(13)은, 종방향 프레임(12) 및 횡방향 프레임(11)의 하면측과, 상기 다리주위 지지 프레임(10)의 상면측에 걸쳐 설치된 판금 재료제의 마루판(14)의 상면측에 재치된 상태에서, 그 마루판(14)의 상면에 대해서도 하단부 가장자리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받침대 브래킷(13)의 상면(13a)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과의 협동으로 로드셀(60)을 재치시키기에 충분한 넓이의 면적을 갖고 있다. 즉, 이 받침대 브래킷(13)과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에서, 로드셀(60)을 재치 지지하기 위한 재치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받침대 브래킷(13)의 상면측에는, 도 5 및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원기둥 형상 핀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체(15)(위치 결정 볼록부에 상당함)가 상면(13a)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체(15)에 대하여, 로드셀(6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대판(61)에 형성된 결합 구멍(61a)(위치 결정 오목부에 해당)이 깊숙히 들어가는 것에 의해, 기체 프레임(1)에 대한 로드셀(60)의 수평 방향에서의 부착 위치가 규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위치 결정체(15)와 결합 구멍(61a)가 조합되어 받침대 브래킷(13)과 로드셀(60)의 대향 부분에 로드셀(60)의 수평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 부분은 도5와 같이 복수(도5의 경우 3개)개 존재하며, 평면상에서 로드셀(60)의 중심 위치를 통과함과 동시에 종방향 프레임(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선L1)에 대해 전후 양측에 배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는 로드셀(60)의 반경 방향으로 외주집합의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셀(6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 브래킷(13)과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에 걸쳐 재치되고, 하단부의 대판(61)의 상부에 원통 형상의 본체부(62)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대판(61)에 형성한 결합 구멍(61a)을 받침대 브래킷(13)에 고정된 위치 결정체(15)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기체 프레임(1) 상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본체부(62)의 상면측의 중앙에 볼록부(63)가 돌출 형성되고, 그 볼록부(63)의 상면이 수압면(63A)을 구성하고 있다. 이 수압면(63A)은, 그 중앙부가 약간 팽출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심 위치에서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을 받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압면(63A)이 형성된 볼록부(63)에는, 하향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캡 부재(64)를, 그 캡 부재(64)의 원통 형상의 부분이 볼록부(63)의 외주측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상태에서 상방측으로부터 씌워져 있다. 캡 부재(64)의 상면(64a) 및 하면(64b)은, 서로 평행한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면(64a)이 후술하는 가동 안내 부재(70)의 하면에 하측으로부터 접하도록 구성되고, 하면(64b)이 수압면(63A)에 상측으로부터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5)의 기체 전방부측의 하중이, 가동 안내 부재(70)를 통해서 로드셀(60)에 의해 받아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드셀(60)에서 계측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의 계측 결과가 도시하지 않는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제어 장치에 저장된 소정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중량이 연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기체 프레임(1)에 대하여 그레인 탱크(5)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개소에 있어서는, 그레인 탱크(5)가 상하 방향으로 조금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에 융통이 있고, 그 융통을 이용해서 로드셀(60)에 그레인 탱크(5)의 하중이 작용하기 쉽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5)의 하중을 그대로 로드셀(60)에서 받아낼 수 있고,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융통을 특별히 마련하지 않고, 곡물 중량의 변화에 수반하는 그레인 탱크(5) 자체의 변형으로 로드셀(60)에 중량이 작용하도록 한 것이어도 지장없다.
〔안내 부재〕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구비하는 지지 다리부(80)를 로드셀(60)의 수압면(63A)을 향해서 안내하는 가동 안내 부재(70)(안내 부재에 상당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가동 안내 부재(70)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그레인 탱크(5)의 하단부로 되는 지지 다리부(80)를 받아냄 지지하면서 로드셀(60)에서의 중량 계측이 가능한 수압면(63A)의 상방에 상당하는 소정 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안내 부재(70)는, 판금제 재료의 절곡 가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압면(63A)의 상측에 상당하는 개소에 평탄부(7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5)가 기체 외방측의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기체 내방측의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그 그레인 탱크(5)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그레인 탱크(5)의 상기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그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보다도 전방측(이동 방향의 상측)으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외측 경사면(72)(경사면에 상당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 안내 부재(70)에는,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측으로 복귀 이동할 때에도 그레인 탱크(5)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그레인 탱크(5)의 메인터넌스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평탄부(71)보다도 전방측(복귀 이동 방향에서의 상측)으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내측 경사면(73)(경사면에 상당함)이 구비되어 있다.
즉, 가동 안내 부재(70)의 상면에는, 그레인 탱크(5)의 이동 방향에서 평탄부(71)의 전후에, 그레인 탱크(5)를 평탄부(71)를 향해서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인, 외측 경사면(72)과 내측 경사면(73)이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경사면 중, 기체 외측 위치에서 그레인 탱크(5)의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외측 경사면(72)은, 내측 경사면(73)보다도, 그 시단부 위치가 평탄부(71)로부터 이동 방향의 전후 방향에서도 상하 방향에서도 이격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내측 경사면(73)에 비해 평탄부(71)로부터 멀고, 또한 하방측의 위치로부터 지지 다리부(80)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경사면(72)의 경사는, 내측 경사면(73)에 비해 이동 방향에서의 거리가 길고, 보다 완만한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측으로의 복귀 이동은 조금 강하게 인출하지 않으면 간단하게 움직이기 어렵게 함과 함께,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기체 내방측의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한 이동은, 그레인 탱크(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직전의 움직임이기 때문에 느릿느릿한 움직임에서의 회전이 행해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가동 안내 부재(70)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5)의 이동 방향에 대한 좌우 양측(기체 프레임(1) 상에서는 전후의 양측)에는, 평탄부(71) 및 외측 경사면(7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다리부(74)가 연장 설치되어 있어, 이 다리부(74)의 하부가, 기체 프레임(1)에 부착한 축지지 부재(75)에 대하여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요동 축심 z1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 부재(75)의 기체 프레임(1)에 대한 부착 구조는, 기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보다도 하방측에서, 기체 횡 외방측의 횡측면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채널 형상의 고정 브래킷(16)이 용접 고정되어 있어, 그 고정 브래킷(16)에, 부착 볼트(16a)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축지지 부재(75)와 가동 안내 부재(70)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기 요동 축심 z1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지지점축(76)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지지 부재(75)와 가동 안내 부재(70)에 걸쳐 설치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헤드가 부착된 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점축(76)은, 축지지 부재(75)의 좌우 양측의 측판(75a)에 형성된 피봇지지 구멍(75b)과, 축지지 부재(75)의 측판(75a)의 횡 외방측에 위치하는 가동 안내 부재(70)의 다리부(74)에 형성된 융통 구멍부(74a)에 걸쳐 삽입 관통되고, 가동 안내 부재(70)의 다리부(74)의 외측에서 β핀(76a)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 축지지 부재(75)와 가동 안내 부재(70)를 피봇지지 연결하는 지지점축(76)과, 가동 안내 부재(70)의 다리부(74)에 형성된 융통 구멍부(74a)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를 확실하게 지지 다리부(80)의 평탄부(83)에 면접촉 상태로 접촉시키기 위한 요동 지지점 기구(77)를 구성하고 있다.
즉, 가동 안내 부재(70)가 지지점축(76)의 요동 축심 z1 주위에서만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그 지지점축(76)의 축 직경보다도 상하 방향에서의 구멍 치수가 큰 융통 구멍부(74a)가, 가동 안내 부재(70)측의 다리부(74)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동 안내 부재(70)의 지지점축(76)에 대한 피봇부착 개소에 상하 방향에서의 융통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하 방향에서의 융통이 발생하는 피봇지지 구조에 의해, 요동 지지점 기구(77)가 구성되고,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기 요동 축심 z1에 대하여 가동 안내 부재(70)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안내 부재(70)는, 도 9 및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셀(60)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압면(63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위치하는 하중 받아냄 상태와,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셀(60)의 상방을 개방하도록 상방 외측으로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로드셀(60)의 상방을 개방하면, 가동 안내 부재(70)의 탈착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로드셀(60)의 탈착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 다리부〕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부(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다리부(80)는, 그레인 탱크(5)의 상하 축심 y1이 존재하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서,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다리부(80)는,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안내 부재(70)의 상면에 올라가서, 로드셀(60)의 수압면(63A)에 대하여 그레인 탱크(5)측의 중량을 전달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다리부(80)는,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에서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와의 대향 개소에 위치하는 평탄부(83)를 구비한 재치 부재(81)와, 가동 안내 부재(70)로 안내되는 피안내체(8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재치 부재(81)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을 가진 종(縱) 변부(81a)와 수평 방향을 따르는 면을 가진 횡 변부(81b)를 구비해서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횡 변부(81b)의 하면에,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와 면접촉하는 평탄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치 부재(81)의 종 변부(81a)에, 롤러로 구성된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요동 축심 z1과 평행한 전후 방향의 회전 축심 z2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재치 부재(81)가 그레인 탱크(5)에 대한 피안내체(82)의 부착 부재로서의 역할을 겸하도록, 재치 부재(81)와 부착 부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피안내체(82)는, 그 하단부(롤러의 최하단부 위치)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롤러가 가동 안내 부재(70)에 안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가 가동 안내 부재(70)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고, 롤러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에 면접촉하도록, 피안내체(82)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의 상대 높이 위치를 설정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피안내체(82)는, 그레인 탱크(5)가 메인터넌스 위치 등의 비작업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그 하단부(롤러의 최하단부 위치)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동 안내 부재(70)와 접촉하고, 그레인 탱크(5)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다리부(80)에는,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대한 피안내체(82)의 하단부의 상대 높이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어저스트 기구(8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어저스트 기구(84)는, 그레인 탱크(5)에 대한 횡 변부(81b)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위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상하 방향의 긴 구멍에 의해 구성되는 융통부(84a)와, 그레인 탱크(5)의 하향면에 대하여 상단부를 압착 가능한 어저스트 볼트(8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융통부(84a)가 피안내체(82)를 그레인 탱크(5)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인 재치 부재(81)의 종 변부(81a)에 설치되고, 어저스트 볼트(84b)의 장착부(84c)가 상기 횡 변부(81b)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다리부(80)는, 그레인 탱크(5)의 저부측의 하부에서 기체 내방측의 경사면에 장비된 것이지만, 이 지지 다리부(80)에 있어서의 피안내체(82)의 하단부의 상대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어저스트 기구(84) 등의 배치를 행하기 쉽도록,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단면 형상에서 중앙부가 산 형태로 팽출하는 형상의 부착 좌판(85)을, 그레인 탱크(5)의 전후 방향(상하 축심 y1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레인 탱크(5)의 저부측의 경사면 부분에, 그레인 탱크(5) 자체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과 수평 방향을 따르는 면을 현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 좌판(85)은 그레인 탱크(5)의 저부측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가이드 다리부〕
그레인 탱크(5)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다리부(9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전방측벽부(5C)의 하부에는, 그 전방측벽부(5C)를 따라 판형상의 지지 부재(5E)가 설치되고, 그 지지 부재(5E)의 기체 내방측의 하단부에, 가이드 다리부(9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다리부(90)는, 지지 부재(5E)의 전방면측에 접촉하는 부착판부(91)와, 그 부착판부(91)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 부재(5E)의 기체 내방측의 단부 가장자리보다도 내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썰매 형상의 스토퍼편(92)과, 상기 부착판부(91)에 설치한 보스부(91a)에 축지지된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피안내체(93)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다리부(90)의 스토퍼편(92)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측 하방으로의 연장 부분이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에서 기체 프레임(1)측의 접촉부(17)에 접촉하고, 그 이상의 그레인 탱크(5)의 기체 내방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능이 있다.
이 가이드 다리부(90)는, 지지 다리부(80)와의 위치 관계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에서, 지지 다리부(80)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서 상기 상하 축심 y1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고, 또한 지지 다리부(80)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외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다리부(90)의 피안내체(93)가 기체 프레임(1)에 올라간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5)를 요동 작동시킬 때에는, 상하 축심 y1과의 사이의 긴 스판을 확보하여, 그레인 탱크(5)의 무게 중심 G로부터의 거리를 길게 하고,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이 가이드 다리부(90)의 피안내체(93)에 작용하는 비율을 가능한 한 가볍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에서는, 지지 다리부(80)가 가이드 다리부(90)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서 상기 상하 축심 y1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므로, 그 지지 다리부(80)가 그레인 탱크(5)의 무게 중심 G에 가까운 위치에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로드셀(60)에 부하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가이드 다리부(90)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내방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는 지지 다리부(80)는,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5)의 좌우 방향에서도, 가이드 다리부(90)보다도 무게 중심 G 가까이에 위치하여,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로드셀(60)에 부하시키기 쉬워진다.
가이드 다리부(90)는, 그레인 탱크(5)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아직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자세 위치에 도달하기 전으로, 지지 다리부(80)의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상면에 올라가기 전에, 기체 프레임(1)에 올라가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측에는, 가이드 다리부(90)에 구비한 피안내체(93)를, 주 프레임을 구성하는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측으로 안내하는 고정 안내 부재(18)(가이드 다리부(90)에 대한 안내 부재에 상당함)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 안내 부재(18)에는 기체 내방측일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와,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피안내체(82, 93)의 중심점끼리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 a, b, c가 상방측일수록 기체 내방측으로 경사진 선분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의 소정거리만큼 상방 위치이며, 또한 소정거리만큼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기체 내방측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와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의 상대 위치를 설정한 것에 의해, 도 9의 선분 a의 위치에서는,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가 고정 안내 부재(18)의 경사면에 올라가서 안내되고,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는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에도, 외측 경사면(72) 및 내측 경사면(73)의 어느 곳에도 접촉하지 않고, 안내되지 않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은 가이드 다리부(90)만으로 기체 프레임(1)측에 지지되고, 지지 다리부(80)는 로드셀(60)에 대해서는 하등의 하중도 부여하는 상태가 아니다. 즉, 그레인 탱크(5)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지지 다리부(80)가 로드셀(60)의 수압면(63A)의 상측의 가동 안내 부재(70)에 오르기도 전에,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가 기체 프레임(1)의 일부인 고정 안내 부재(18)의 경사면에 올라가 있는 상태이다..
도 9의 선분 b의 위치에서는,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가 고정 안내 부재(18)의 경사면으로 안내되어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 가까이에 도달하고,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는 가동 안내 부재(70)의 외측 경사면(72)에 오르기 시작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를 통해서 약간 로드셀(60)에 중량을 부여하기 시작하고 있을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 대부분이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를 통해서 고정 안내 부재(18)의 경사면에 작용하고 있다.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가 또한 고정 안내 부재(18)의 경사면으로 안내되어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에 올라가면, 조금 지연해서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에 올라간다. 이때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는 종방향 프레임(1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에 그레인 탱크(5)의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 상을 이동한다.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도 9의 선분 c의 위치에 도달하면,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로부터 벗어나고,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도 기체 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것은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가 가동 안내 부재(70)의 외측 경사면(72)에 의해 들어올림 안내되고, 또한,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를 지나쳐서, 지지 다리부(80)의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가 면접촉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 다리부(80)측의 피안내체(82)와 가이드 다리부(90)측의 피안내체(93)의 모두가 허공에 뜬 상태이다.
이 위치가 그레인 탱크(5)의 작업 자세 위치이며, 지지 다리부(80)의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와 가동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와 면접촉해서 안정된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이 로드셀(60)에 의해 계측되는 상태이다.
〔다른 실시 형태의 1〕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셀(60)의 캡 부재(64)의 외주측에 도넛형의 연질 고무 등의 자세 보유 지지 부재(65)를 설치하여, 캡 부재(64)가 악화되거나, 벗어나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2〕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로드셀(60)에 전달하는 지지 다리부(80)의 피안내체(82), 혹은 그레인 탱크(5)의 중량을 기체 프레임(1)와의 사이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다리부(90)의 피안내체(93)로서는, 전술한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단순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접촉편 등, 적절한 구조를 채용하면 된다.
또한, 지지 다리부(80)는, 반드시 재치 부재(81)와 피안내체(82)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평탄부(83)를 구비한 재치 부재(81)만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3〕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다리부(80)의 재치 부재(81)와 피안내체(82)를 일체로 구성한 구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재치 부재(81)와 피안내체(82)를 따로 따로의 부재로 구성하여, 따로 따로의 개소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4〕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다리부(80)의 피안내체(82)의 하단부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위치 설정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피안내체(82)의 하단부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와 동등, 혹은 평탄부(83)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의 전후에서 피안내체(82)의 통과 자국과 동일한 궤적을 재치 부재(81)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피안내체(82)의 통과 자국으로부터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에서의 좌우 방향 등으로 벗어난 궤적에서 재치 부재(81)가 이동하고,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와 외측 경사면(72) 및 내측 경사면(73)이, 서로 이동 궤적이 상이한 피안내체(82)와 재치 부재(81)에 맞추어,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에서의 전후 방향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요는,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에서의 이동 중에는 재치 부재(81)가 아니라 피안내체(82)가 안내 부재(70)에 의해 들어올림 안내되고,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자세 위치에 도달하면, 피안내체(82)에 대한 안내 부재(70)의 들어올림 안내가 해제되고,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와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5〕
실시 형태에서는, 어저스트 기구(84)에서 그레인 탱크(5)에 대한 피안내체(82)의 상대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피안내체(82) 대신에 재치 부재(81)의 그레인 탱크(5)에 대한 상대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 혹은 피안내체(82)와 재치 부재(81)의 각각의 그레인 탱크(5)에 대한 상대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6〕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부재(70)의 요동 축심 z1측에 요동 지지점 기구(77)를 구비하고, 그 요동 지지점 기구(77)로서 상하 방향으로 긴 융통 구멍부(74a)를 구비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융통 구멍부(74a)는,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에도 융통이 있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7〕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셀(60)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수단으로서, 받침대 브래킷(13)이 3개의 원기둥 형상 핀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체(15)를 세워 설치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복수개의 원기둥 형상 핀을 세워 설치하거나, 각기둥 형상 등의 원기둥 형상이 아닌 이경(異徑)의 볼록부를 돌출 설치해서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핀이나 볼록부가 아니라 구멍부나 오목부를 받침대 브래킷(13)에 형성하여, 로드셀(60)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시킨 핀이나 돌기부가 받침대 브래킷(13)측의 구멍부나 오목부에 깊이 들어가는 구조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8〕
실시 형태에서는, 수량 센서로서, 로드셀(60)을 사용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중이 작용하는 개소에 액압으로 위치 변화하는 수압부를 설치하고, 그 수압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 등, 적절한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9〕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다리부(80)의 피안내체(82)의 하단부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위치 설정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피안내체(82)의 하단부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와 동등, 혹은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의 전후에서 피안내체(82)의 통과 자국과 동일한 궤적을 재치 부재(81)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피안내체(82)의 통과 자국으로부터 벗어난 궤적에서 재치 부재(81)가 이동하도록, 피안내체(82)와 재치 부재(81)를,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에서의 전후 방향으로가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것에 맞추어,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와 외측 경사면(72) 및 내측 경사면(73)을,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에서의 전후 방향으로가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요는, 그레인 탱크(5)의 요동 이동 방향에서의 이동 중에는 재치 부재(81)가 아니라 피안내체(82)가 안내 부재(70)에 의해 들어올림 안내되고, 그레인 탱크(5)가 작업 자세 위치에 도달하면, 피안내체(82)에 대한 안내 부재(70)의 들어올림 안내가 해제되고, 재치 부재(81)의 평탄부(83)와 안내 부재(70)의 평탄부(71)가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이면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전체 구성〕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자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3001)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3002)에 의해 지지되어 자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프레임(3001) 상에는, 조종부(3003), 탈곡 장치(3004), 그레인 탱크(3005),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07) 등이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기체 프레임(3001)의 전방부에 대하여, 후단부측을 요동 지지점으로 해서 전단부측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예취부(3008)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콤바인에서는, 수확 대상의 직립 곡물대를 예취해서 기체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고, 탈곡 장치(3004)에서 탈곡·선별 처리하여, 선별 회수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3005)에 저류하고, 배출 볏짚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07)에서 세단 처리해서 포장(圃場)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3002)는, 기체 프레임(3001) 상의 조종부(3003)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3030)의 재치대를 겸하는 엔진 보닛(3031)에 내장된 엔진(3009)의 구동력을 받아서 구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엔진(3009)의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는 미션 케이스를 통하여,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020)으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벨트(3021)에 각각 따로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020)의 등속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에서의 직진 주행이 행해지고,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020)의 부등속에서의 동일 방향 회전, 혹은 서로 역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선회 주행이 행해진다.
또한, 이 크롤러 주행 장치(3002)에 의해, 수평면에 대한 기체 프레임(3001)의 자세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3002)는, 각각, 다수의 회전륜(3023)을 지지하는 좌우의 트랙 프레임(3022)의 각각이, 전후 한 쌍의 승강 링크(3024, 3024)로 지지되어 있고, 그 승강 링크(3024, 3024)는, 각 트랙 프레임(3022)이 기체 프레임(3001)에 대하여, 각각 따로 상하 방향에서 원근 이동하도록, 각각의 요동 축심 300P1, 300P2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후의 각 승강 링크(3024, 3024)는, 각각의 요동 축심 300P1, 300P2를 가진 지지축과 일체로 구성된 요동 아암(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그 요동 아암의 유단부측(遊端側)이 각각 유압 실린더(3025)(도 2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 따로 신축 작동하도록 구비한 유압 실린더(3025)(도 21 참조)의 신축 작동에 의해 각각 따로 요동 구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후의 승강 링크(3024, 3024)가 기체 프레임(3001)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3022)을 상하 방향에서 평행 이동, 혹은 기체 프레임(3001)에 대하여 전방 경사(前傾), 혹은 후방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이들 각 유압 실린더(3025)와, 그 유압 실린더(3025)에 대한 압유의 급배를 행함으로써 신축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기 조작 밸브(3026)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3002)의 자세 제어를 행하는 자세 제어 장치(3027)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자세 제어 장치(3027)에 의해, 전후의 승강 링크(3024, 3024)를 전후에서 동일 양만큼 동일 방향으로 요동 작동시킴으로써 트랙 프레임(3022)을 상하 방향에서 평행 이동시켜서 기체 프레임(3001)의 대지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에서 트랙 프레임(3022)의 승강 이동량을 동일하게 하면 기체 프레임(3001)의 전체가 평행 이동해서 대지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좌우에서 트랙 프레임(3022)의 승강 이동량을 상이하게 하면 기체 프레임(3001)의 좌우 방향에서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후의 승강 링크(3024, 3024) 중, 전방측의 승강 링크(3024)를 후방측의 승강 링크(3024)보다도 크게 밀어 내려서 전방측을 높게 하면 기체 프레임(3001)을 후방 경사 자세로 할 수 있고, 반대로 후방측의 승강 링크(3024)를 전방측의 승강 링크(3024)보다도 크게 밀어 내려서 후방측을 높게 하면 기체 프레임(3001)을 전방 경사 자세로 할 수 있다.
〔조종부〕
상기 조종부(3003)에서는, 운전 좌석(3030)의 전방 위치에 조종 패널(3032)을 구비하고, 운전 좌석(3030)의 좌측 횡측방에 사이드 패널(3033)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의 조종 패널(3032)에 표시 장치(3034)(출력 대상 기기에 상당함), 및 전후 좌우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종 레버(3035)가 장비되고, 사이드 패널(3033)에 변속 조작구(3036) 및 오거 조작구(3037)가 장비되어 있다.
상기 표시 장치(3034)에는, 차속이나 엔진 회전수 및 연료 잔량 등 이외에, 그레인 탱크(3005)에 수용된 곡물의 중량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종 레버(3035)는, 전후 방향의 요동 조작으로 예취부(3008)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으로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조종 레버(3035)의 파지부 가까이에, 수평면에 대한 기체 프레임(3001)의 자세를, 전후 좌우에서 변경 가능한 누름 버튼식의 손가락 조작 스위치(3035A)(자세 변경 조작구에 상당함. 도 21 참조)를 장비시키고 있다.
이 손가락 조작 스위치(3035A)가, 후술하는 제어 장치(3100)에 설치되어 있는 자세 수정 수단(3103)에 대하여 인위 조작 지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손가락 조작 스위치(3035A)에 의한 인위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3002)의 승강 링크(3024)를 요동 조작하는 자세 제어 장치(3027)에 대하여 자세 수정 수단(310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조종 레버(3035)의 근방 위치에는, 표시 지령 스위치(3038)도 설치하고 있다. 이 표시 지령 스위치(3038)를 누름 조작하면, 후술하는 출력 제어 수단(3106)의 지령에 의해 자세 수정 수단(3103)이 기체를 수평 자세로 복귀시키도록 제어 지령을 출력하고, 기체가 수평 자세로 복귀되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3034)에 곡물 중량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 좌석(3030)의 횡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패널(3033)에는, 그레인 탱크(3005) 내의 곡물 반출용으로 설치된 오거(3050)를 조작하기 위한 오거 조작구(303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오거 조작구(3037)에서는, 오거(3050)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있고, 인위 조작으로 오거(3050)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오거(3050)를 저장 위치에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받이부(3043A)를 갖는 오거받이(3043)가 구비되어 있다. 받이부(3043A)의 저부에, 오거(3050)가 저장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오거 검지 수단으로서의 검출 스위치(3044)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엔진(3009)의 구동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3002)에 전달되는 것 외에, 그 주행용의 전동계로부터 분기한 동력이 예취 반송용의 전동계를 통해서 예취부(3008)에 전달되고, 또한, 엔진(3009)으로부터의 동력이 탈곡 장치(3004)에 전달되는 한편, 그곳으로부터 분기한 동력이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07)에 전달되도록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
탈곡 장치(3004)는, 예취부(3008)로부터 반송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도시하지 않는 피드 체인에 의해 협지해서 반송하면서, 급실내에서 회전 구동되는 급동(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삭 끝측을 훑어서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3004)의 내부에 구비된 선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선별 작용에 의해, 탈곡 처리물은, 단립화한 곡립과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된다. 단립화한 곡립은 그레인 탱크(3005)에 반송되고, 진애는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볏짚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3007)에서 세단 처리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004)의 저부에 최고품 회수 스크류(3040)가 구비되고, 이 최고품 회수 스크류(3040)에 의해 곡립을 기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그레인 탱크(3005)측으로 횡이송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3004)와 그레인 탱크(3005) 사이에는, 최고품 회수 스크류(3040)와 도시하지 않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에 의해 연동 연결되는 상태에서 반송 장치로서의 스크류 컨베이어식의 양곡 장치(304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최고품 회수 스크류(3040)에서 횡이송된 곡립은, 양곡 장치(3041)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그 양곡 장치(30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출구(3042)(도 15 참조)로부터, 그레인 탱크(3005)의 좌측벽부(3005A)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해서 그레인 탱크(3005)의 내부에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곡 장치(3041)는, 도시하지 않지만, 원통 형상의 통내에 스크류축을 내장하고, 또한 스크류축의 상단부에 곡립을 그레인 탱크(3005) 내를 향해서 날리는 회전 날개가 설치되고, 곡립을 최대한 광범위하게 확산시켜서, 고르게 한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3005) 내에 저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05)의 저부에 곡립을 기체 후방측을 향해서 반송하는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가 구비되고, 그레인 탱크(3005)의 기체 후방부측에,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와 베벨 기어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는 상태에서, 반송 종단부로부터 곡립을 양상 반송하는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의 상부에는, 양상 반송된 곡립을 횡이송 반송해서 선단의 배출구(3053A)로부터 배출하는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3)의 기단부가, 수평 축심 300x1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베벨 기어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 및,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3)에 의해 곡립 반출용의 오거(305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거(3050)에 의해, 그레인 탱크(3005)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배출구(3053A)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는, 감속기 부착의 전동 모터(3054)의 작동에 의해 종축 코어 300y1 주위에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3)는 유압 실린더(3055)에 의해 기단부의 수평 축심 300x1 주위에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3033)에 설치한 오거 조작구(3037)의 조작에 기초하여,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3)를 선회 조작 및 승강 조작시켜서, 배출구(3053A)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기 외부의 운반용 트럭의 짐받이의 위치 등에 대응시켜서 곡립의 토출 위치를 변경해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곡물 반출용으로 설치된 오거(3050)로서 사용되는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3)가, 저장 위치, 즉 받이부(3043A)의 저부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검출 스위치(3044)(오거 검지 수단에 상당함)의 온 작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저장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상승 혹은 선회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상기 검출 스위치(3044)의 오프 작동으로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와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를 연동 연결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05)의 후방측벽부(3005D)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베벨 기어 전동 기구는, 그레인 탱크(3005)의 후방으로 돌출해서 노출되는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의 후단부 및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의 시단부를 덮는 베벨 기어 케이스(3056)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 베벨 기어 케이스(3056)에는, 그 저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지지축부(305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001)에는 베벨 기어 케이스(3056)의 지지축부(3056A)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3001C)가 구비되고, 그레인 탱크(3005)는, 상하 방향의 지지축으로 되는 베벨 기어 케이스(3056)의 지지축부(3056A)를 지지점으로 한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기체 프레임(3001)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축부(3056A)의 중심은 상기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의 종축 코어 300y1과 동일 위치이며, 그레인 탱크(3005)의 상기 지지축부(3056A)를 지지점으로 한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은, 종축 코어 300y1 주위의 요동 작동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그레인 탱크(3005)는, 그 후단부에 위치하는 베벨 기어 케이스(3056)의 지지축부(3056A)를 지지점으로 해서 기체 전방부측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기체 내방측으로 인퇴해서 좌측벽부(3005A)가 탈곡 장치(3004)에 인접해서 공급구(3014)가 양곡 장치(3041)의 토출구(3042)에 연통하는 작업 위치와, 횡측 외방측으로 돌출해서 전방부측이 탈곡 장치(3004)로부터 이격해서 엔진(3009)의 후방 및 탈곡 장치(3004)의 우측방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쳐 위치 변경 가능하다(도 16 참조).
그레인 탱크(3005)의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의 전단부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3009)으로부터의 동력을 반출용 저부 스크류(3051)에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전동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이 자유로운 벨트 텐션식의 배출 클러치(3070)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 인해, 그레인 탱크(3005)를 작업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미리, 이 배출 클러치(307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 후에 전동 벨트(3071)를 제거해 두게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05)의 저부 및 좌측벽부(3005A)의 근방에는, 그레인 탱크(3005)가 작업 위치로 절환된 상태에서 로크하는 스프링 결합식의 로크 기구(3072, 3073)가 구비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3005)는, 작업 위치에서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내방측에 존재하는 좌측벽부(3005A), 외측에 존재하는 우측벽부(3005B), 기체 전방측에 존재하는 전방측벽부(3005C) 및 기체 후방측에 존재하는 후방측벽부(3005D)를 구비해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레인 탱크(3005)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물의 저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센서(3057)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 센서(3057)는, 감압 센서로 구성되어 있어, 기체 전방측의 전방측벽부(3005C)에 3개와, 기체 후방측의 후방측벽부(3005D)에 1개의 합계 4개가 상하 방향에서 소정 간격간격으로 설치되고, 곡물이 각 레벨 센서(3057)의 존재 개소에까지 저류된 것의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 장치(3100)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3100)에서는, 4개의 레벨 센서(3057) 중, 기체 후방측의 후방측벽부(3005D)에 설치된 최하위의 레벨 센서(3057)가 곡물의 존재를 검출하면, 그레인 탱크(3005) 내에 곡물이 투입되기 시작한 것의 표시 지령을 후술하는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3100)에서는, 기체 전방측의 전방측벽부(3005C)에 설치된 위에서부터 세번째 레벨 센서(3057)가 곡물의 존재를 검출하면, 그레인 탱크(3005) 내에 약 1/3의 곡물량이 저류되었다고 해서, 그 시점에서의 저류량에 기초하여 곡물 중량을 연산하고, 위에서부터 두번째 레벨 센서(3057)가 곡물의 존재를 검출하면, 그레인 탱크(3005) 내에 약 2/3의 곡물량이 저류되었다고 해서 그 시점의 곡물 중량을 연산하고, 최상위의 레벨 센서(3057)가 곡물의 존재를 검출하면, 그레인 탱크(3005) 내에 가득찬 곡물량이 저류된 되었다고 해서 곡물 중량을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3005)의 내부에는, 양곡 장치(3041)가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크류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회전 날개로 그레인 탱크(3005) 내에 확산 방출된 곡물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받아내서 수분량을 계측하는 수분 센서(3058)를 설치하고 있고, 그 수분 센서(3058)에 의한 수분량의 계측 결과가 상기 제어 장치(3100)에 대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3100)에서는, 수분 센서(3058)에 의한 수분량의 계측 결과와 레벨 센서(3057)에 의한 곡물량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레벨 센서(3057)에서의 각 검출 시점 있어서의 곡물 중량을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량 검출부〕
그리고, 이 콤바인에는, 그레인 탱크(3005)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한 중량 검출부(30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량 검출부(3006)에서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05)에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한 로드셀(3060)이, 작업 위치에 위치하는 그레인 탱크(3005)의 하중을 받아내서 중량을 계측 가능한 상태에서 기체 프레임(3001)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3005)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그레인 탱크(3005)의 하단부를 받아냄 지지하면서 로드셀(3060)에서의 중량 계측이 가능한 소정 위치까지 안내하는 받아냄 안내체(306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아냄 안내체(3061)에 의해 안내되는 그레인 탱크(3005)의 하단부 지지부는, 수평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받아냄 안내체(3061) 상을 전동 가능한 롤러(30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롤러(3062)는, 그레인 탱크(3005)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된 지지 부재(3005E)에 대하여, 그 지지 부재(3005E)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3005)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의 지지축(306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롤러(3062)는, 그레인 탱크(3005)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그레인 탱크(3005)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보아 그레인 탱크(3005)의 좌우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5E)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05)의 전방측벽부(3005C)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그레인 탱크(3005)의 배출 클러치(3070)의 전동 부재나 로크 기구(3072) 등을 지지하는 것이다.
받아냄 안내체(3061)는, 로드셀(3060)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압면(3060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재치되는 하중 받아냄 상태와, 로드셀(3060)의 상방을 개방하도록 외측으로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3001)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 외측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 프레임부(3001A)에 있어서의 횡 외측면에 전후 한 쌍의 브래킷(3010)이 고정 상태로 설치되고, 받아냄 안내체(3061)의 기단부(3061A)가, 이 전후의 브래킷(3010)에 의해 기체 전후 축심 300z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받아냄 안내체(3061)에는, 기단부(3061A)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태에서 안내 재치부(3061B)가 설치되어 있다. 퇴피 상태에서는, 도 18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재치부(3061B)가 기단부(3061A)보다도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며, 하중 받아냄 상태로 전환되면, 도 1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재치부(3061B)가 기단부(3061A)보다도 기체 내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재치부(3061B)의 상면은, 받아냄 안내체(3061)가 하중 받아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수평, 혹은 기단부(3061A)로부터 먼 측이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정도의 미지근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안내 재치부(3061B)의 상면의 경사는, 그레인 탱크(3005)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것에 수반해서 전동 안내될 때에, 롤러(3062)가 조금 올라갈 기미를 보이며 이동하여, 그 중량을 확실하게 로드셀(3060)측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3005)의 회전 이동에 대한 큰 저항으로는 되지 않고, 그레인 탱크(3005)에 곡립이 거의 가득찬 상태에서, 롤러(3062)가 올라갔을 때, 그 중량에 의한 받아냄 안내체(3061) 자체의 약간의 변형을 수반함으로써, 그 상면이 수평하게 되는 정도의 경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셀(3060)은, 하중 받아냄 상태로 전환된 받아냄 안내체(3061)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상단부의 수압면(3060A)에서 받아냄 안내체(3061)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내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로드셀(3060)은, 그레인 탱크(3005)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보아 그레인 탱크(3005)의 대략 무게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로드셀(3060)의 본체부(3060B)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3001)에 있어서의 지지용 프레임부(3001B)에 대하여, 실린더 부재(3063A)와 피스톤 부재(3063B)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부재(3063)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 부재(3063)는, 실린더 부재(3063A)와 피스톤 부재(3063B) 사이의 유실(3064)에 압유를 급배 가능한 유압 실린더 장치에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실(3064)에 압유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 부재(3063B)가 로드셀(3060)의 수압면(3060A)을 소정의 위치로까지 밀어 올린 계측 위치에 있고, 유실(3064) 내의 압유가 배출되면, 수압면(3060A)이 하강하여, 로드셀(3060)의 주변에 존재하는 스토퍼부(3065)의 상면과 동등, 혹은 스토퍼부(3065)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수압면(3060A)이 하강해서 스토퍼부(3065)의 상면과 동등 혹은 하방에 위치하면, 받아냄 안내체(3061)의 하면이 스토퍼부(3065)의 상면에 받아내어져 수압면(3060A)이 받아냄 안내체(306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로 인해, 롤러(3062)로부터의 중량이 수압면(3060A)에 작용하지 않게 되고, 로드셀(3060)은, 그레인 탱크(3005)에 저류된 곡립 중량이 작용하지 않는 비 계측 위치에 존재한 상태로 된다.
상기 지지대 부재(3063)는, 지지용 프레임부(3001B)에 대하여 플랜지부(3063C)를 나사 고정해서 부착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3005)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면, 롤러(3062)가 안내 재치부(3061B)의 경사 자세의 안내면을 따라 전동 안내되고, 롤러(3062)가 조금만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안내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그레인 탱크(3005)의 하중이 롤러(3062) 및 받아냄 안내체(3061)를 통하여, 로드셀(3060)이 계측 위치에 있으면, 그 로드셀(3060)의 수압면(3060A)에 의해 받아내지고, 로드셀(3060)이 비 계측 위치에 있으면, 스토퍼부(3065)에 의해 받아내지게 된다.
이렇게 작업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3005)의 기체 전방부측의 하중이, 받아냄 안내체(3061)를 통해서 로드셀(3060), 또는 스토퍼부(3065)에 의해 받아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계측 위치에 있는 로드셀(3060)에 의해 그레인 탱크(300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3005)를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3001)에 지지하는 지지 개소에 있어서는, 그레인 탱크(3005)가 상하 방향으로 조금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에 융통이 있고, 그 융통을 이용해서 로드셀(3060)에 그레인 탱크(3005)의 하중이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3005)의 하중을 그대로 로드셀(3060)에서 받아낼 수 있고, 저류되는 곡립의 중량을 계측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로드셀(3060)에서의 검출값은, 콤바인의 기체가 경사지면, 그것에 기인해서 정확한 값을 얻지 못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주행 기체의 적소에, 기체의 좌우 경사각을 검출하는 좌우 경사각 센서(3066A)와, 전후 경사각을 검출하는 전후 경사각 센서(3066B)로 이루어지는 경사 센서(3066)(도 21 참조)가 구비되고, 후술하는 제어 장치(3100)에 의해, 주행 기체의 경사 각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일 때에만, 로드셀(3060)에서의 검출값에 의한 곡물 중량이 표시 장치(3034)에서 표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예취 작업이 행해지는 것에 수반해서 곡립의 저류량이 차차 변화하게 되지만, 주행 기체의 경사가 허용 범위 내일 때의 로드셀(3060)에 의해 검출된 곡립 중량이 조종부(3003)에 구비된 표시 장치(3034)에 표시되게 된다. 로드셀(3060)에서는 무단계로 저류 곡립의 중량을 검출할 수 있고, 게다가, 표시 장치(3034)는, 다단계의 레벨 미터 표시 혹은 수치 표시 등, 소량씩의 변화도 판단하는 고분해능의 표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예취 작업중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작업 개시 시에도, 표시 장치(3034)의 표시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소량이어도 그레인 탱크(3005) 내에 곡립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세 제어 장치(3027), 오거(3050) 및 출력 대상 기기로서의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 장치(3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3100)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오거 위치 판별 수단(3101), 오거 제어 수단(3102), 자세 수정 수단(3103), 수량 계측 수단(3104), 중량 비교 수단(3105), 출력 제어 수단(3106) 및 위치 검출 수단(3107)의 각각을,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오거 위치 판별 수단(3101)은, 오거(3050)가 오거받이(3043)의 받이부(3043A)의 저부에 설치한 검출 스위치(3044)로부터 입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오거(3050)가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그리고, 검출 스위치(3044)가 오거(3050)의 존재를 검출하고 있으면, 오거(3050)가 소정 위치, 즉 받이부(3043A)에 위치한 저장 상태라고 판별하고, 검출 스위치(3044)가 오거(3050)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고 있으면, 오거(3050)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난 상태라고 판별하고, 그 검출 결과를 수량 계측 수단(3104)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거 제어 수단(3102)은, 조종부(3003)에 설치한 오거 조작구(3037)의 스위치 조작에 기초하여, 오거(3050)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도록, 종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2)를 종축 코어 300y1 주위에서 회전 조작하는 전동 모터(3054) 및 횡이송 스크류 컨베이어(3053)를 수평 축심 300x1 주위에서 상하 요동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3055)의 제어용의 전자기 밸브(3045)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 수정 수단(3103)은, 조종 레버(3035)의 파지부 가까이에 설치한 손가락 조작 스위치(3035A)의 조작에 기초하여, 자세 제어 장치(3027)의 유압 실린더(3025)의 신축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기 조작 밸브(3026)에 대하여 제어 지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세 수정 수단(3103)에는,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의 제어 지령도 입력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주행 기체의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 센서(3066)가 허용 범위 외의 기체 경사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표시 지령 스위치(3038)가 누름 조작되면, 이 경사 센서(3066) 및 표시 지령 스위치(3038)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자세 수정 수단(3103)에 대하여, 주행 기체를 수평 자세로 복귀시키도록 지령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기초하여 자세 수정 수단(3103)으로부터 자세 제어 장치(3027)에 대하여 제어 지령이 출력되고, 주행 기체가 수평 자세로 복귀되도록 제어된다.
수량 계측 수단(3104)은, 오거 위치 판별 수단(3101)의 판별 결과와, 로드셀(3060)의 검출 신호와, 경사 센서(3066)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의 제어 지령이 입력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오거(3050)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의 판별 결과가 오거 위치 판별 수단(3101)으로부터 입력되고, 경사 센서(3066)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의 제어 지령이,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내인 것에 의한 곡물 중량의 연산 지령이 입력되고, 로드셀(3060)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로드셀(306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곡물 중량이 연산되어 중량 비교 수단(3105)에 출력된다.
오거(3050)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지 않은 것의 판별 결과가 오거 위치 판별 수단(3101)으로부터 입력된 경우, 혹은, 경사 센서(3066)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의 제어 지령이,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외인 것에 의한 지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로드셀(306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는 중량 비교 수단(3105)에 출력되지 않는다.
중량 비교 수단(3105)은, 레벨 센서(3057)와 수분 센서(3058)의 검출 신호 및 상기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량 비교 수단(3105)에서는, 어떠한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검출 신호도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의 정보가 그대로 출력 제어 수단(3106)에 전달되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로드셀(3060)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 지령이 출력된다.
중량 비교 수단(3105)에서는, 상기 레벨 센서(3057)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가 있고, 그 검출 신호가 최하단부 위치의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검출 신호일 때에는, 출력 제어 수단(3106)에 대하여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최하단부의 레벨 센서(3057)의 검출 신호인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의 정보와 함께, 표시 장치(3034)가 그레인 탱크(3005) 내에서 곡물의 저류가 개시된 것을 표시하도록 지령하는 표시 지령이 출력된다.
중량 비교 수단(3105)에서는, 상기 레벨 센서(3057)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가 있고, 그 검출 신호가, 전회에 검출된 레벨 센서(3057)와는 상이한 새로운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검출 신호일 때에는, 그 새로운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곡물량과, 수분 센서(3058)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수분량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레벨 센서(3057)에서 곡물을 검출한 시점에서의 곡물 중량을 연산한다.
레벨 센서(3057)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가, 전회에 검출된 레벨 센서(3057)와 동일한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검출 신호일 때에는, 그 레벨 센서(3057)에서 검출되는 곡물량이나 수분 센서(3058)에서 검출되는 수분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연산은 행하지 않고, 상기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의 정보가 그대로 출력 제어 수단(3106)에 전달되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로드셀(3060)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 지령이 출력된다.
그리고, 이 레벨 센서(3057)에서 검출되는 곡물량이나 수분 센서(3058)에서 검출되는 수분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과, 상기 로드셀(3060)의 검출 중량에 기초한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을 비교하고, 그 차가 소정 미만이면 상기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의 정보가 그대로 출력 제어 수단(3106)에 전달되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로드셀(3060)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 지령이 출력된다.
또한, 레벨 센서(3057)에서 검출되는 곡물량이나 수분 센서(3058)에서 검출되는 수분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과, 상기 로드셀(3060)의 검출 중량에 기초한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을 비교하고, 그 차가 소정 이상이면, 계측값이 이상인 것의 정보를 출력 제어 수단(3106)에 전달하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표시 장치(3034)에서 계측값이 이상인 것을 경고하는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제어 지령이 출력된다.
위치 검출 수단(3107)은, 주행 기체의 적소에 설치된 GPS 수신기(3039)에서의 위치 정보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포장의 구획 내에서 해당하는 작업 지점에 관한 정보를 출력 제어 수단(3106)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제어 수단(3106)은,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기체 경사의 검출 신호와, 중량 비교 수단(3105)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와, 표시 지령 스위치(3038)의 검출 신호와, 위치 검출 수단(3107)으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자세 수정 수단(3103)에 대한 제어 지령과, 수량 계측 수단(3104)에 대한 제어 지령과, 출력 대상 기기인 표시 장치(3034) 및 송신기(3046)에 대한 제어 지령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제어 수단(3106)에서는,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내이면, 수량 계측 수단(3104)에 대하여 곡물 중량의 연산 지령을 출력하고,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외이면, 수량 계측 수단(3104)에 대한 곡물 중량의 연산 지령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때, 표시 지령 스위치(3038)가 온 조작되면, 경사져 있는 주행 기체를 수평 자세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이 자세 수정 수단(3103)으로부터 자세 제어 장치(3027)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자세 수정 수단(3103)에 의한 제어 지령을 표시 지령 스위치(3038)의 조작에 연계시켜서 출력시키기 위한 지령이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는, 중량 비교 수단(3105)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로드셀(3060)의 검출 중량에 기초한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에 상당하는 표시 지령을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출력하거나, 혹은, 계측값이 이상인 것을 경고하는 표시를 행하도록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표시 지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수단(3107)으로부터 입력된 작업 지점에 관한 정보를, 출력 대상 기기로서의 송신기(3046)에 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송신기(3046)로부터 송신되는 작업 지점에 관한 정보는, 무선 통신으로 적절하게 외부의 관리 시설에서, 작업 지점마다의 곡물 수량이나 수분량 등의 각종 데이터와 함께 집중 관리된다.
〔제어 동작〕
제어 장치(3100)에 의한 제어 동작을 도 22 및 도 23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메인 루틴에서는, 자세 제어(스텝 1), 오거 조작 제어(스텝 2), 수량 출력 제어(스텝 3), 위치 검출 제어(스텝 4)의 각 서브루틴에서의 제어가 순차 행해지고, 도시하지 않는 엔진 키 스위치의 온 조작 등의 제어 개시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에 제어 작동을 개시하고, 엔진 키 스위치의 오프 조작 등의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스텝 5), 제어 작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 제어에서는, 자세 변경 조작구로서의 손가락 조작 스위치(3035A)의 조작에 수반하여, 자세 제어 장치(3027)의 각 유압 실린더(3025)를 신축 작동시키도록, 자세 수정 수단(3103)으로부터의 제어 지령이 각 전자기 조작 밸브(3026)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에 의해, 유압 실린더(3025)에 대한 압유의 급배 작동이 행해지고, 각 유압 실린더(3025)의 신축 작동에 수반해서 승강 링크(3024)가 트랙 프레임(3022)을 승강 작동, 혹은 경사지게 해서 기체의 자세가 제어된다.
오거 조작 제어에서는, 오거 조작구(3037)의 조작에 수반해서 오거(3050)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도록, 오거 제어 수단(3102)으로부터, 선회용의 전동 모터(3054) 및 기복 작동용의 유압 실린더(3055)의 전자기 밸브(3045)에 대하여 제어 지령이 출력된다.
수량 출력 제어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기 [1] 내지 [9]의 제어가 행해진다.
[1] 검출 스위치(3044)에 의한 오거(3050)의 위치 정보,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기체 경사 각도의 정보, 로드셀(3060)에 의한 검출 중량, 레벨 센서(3057)에 의한 곡물량의 검출 정보, 수분 센서(3058)에 의한 함수량의 정보, 표시 지령 스위치(3038)의 검출 정보, GPS 수신기(3039)에 의한 위치 정보, 등의 검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스텝 6).
[2] 검출 스위치(3044)의 검출 정보로부터 오거(3050)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지의 여부를 오거 위치 판별 수단(3101)에서 판별하고, 벗어나 있지 않으면 메인 루틴으로 복귀되고, 벗어나 있으면 경사 센서(3066)에 의한 기체 경사 각도의 정보로부터,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출력 제어 수단(3106)에서 판별한다(스텝 7 및 8).
[3]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내이면, 그 정보가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수량 계측 수단(3104)에 전달되고, 로드셀(3060)에서의 그레인 탱크(3005)의 중량 검출 결과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연산이 수량 계측 수단(3104)에 의해 행해진다(스텝 11).
[4]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외이면, 표시 지령 스위치(3038)가 온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출력 제어 수단(3106)에서 판별하고, 온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메인 루틴으로 복귀된다. 온 조작되어 있으면, 자세 수정 수단(3103)으로부터 자세 제어 장치(3027)에 대하여 주행 기체를 수평 자세로 복귀시키는 제어 지령이 출력되도록, 자세 수정 수단(3103)에 대하여 지령한다(스텝 9 및 스텝 10).
[5]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는, 중량 비교 수단(3105)에서, 레벨 센서(3057)나 수분 센서(3058)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 상황과의 상관으로 처리된다. 즉,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곡물 검출 신호가 중량 비교 수단(3105)에 대하여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는, 그대로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출력 대상 기기인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출력된다(스텝 12 및 스텝 18).
[6]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곡물 검출 신호가 중량 비교 수단(3105)에 대하여 입력되어 있으면, 그 곡물 검출 신호가 최하단부의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최하단부의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입력이면,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의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의 정보와 함께, 곡물 저류가 개시된 것을 표시하는 지령이 출력된다(스텝 13, 스텝 14 및 스텝 18).
[7] 중량 비교 수단(3105)에 대하여 입력되어 있는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곡물 검출 신호가 최하단부의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 곡물 검출 신호가 전회에 입력된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것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전회와 동일하면 중량 비교 수단(3105)에서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가, 그대로 출력 제어 수단(3106)에 전달되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출력 대상 기기인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출력된다(스텝 13, 스텝 15 및 스텝 18).
[8] 중량 비교 수단(3105)에 대하여 입력되어 있는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곡물 검출 신호가 전회에 입력된 레벨 센서(3057)로부터의 것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 레벨 센서(3057)에서 검출된 곡물량과 수분 센서(3058)에서 검출된 수분량으로부터, 그 레벨 센서(3057)에서 검출된 시점에서의 곡물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이 연산된다. 그리고, 이 곡물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과,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로드 센서(3060)에서의 검출 중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이 비교되고, 그 차가 소정 범위 내이면,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곡물 중량의 연산 결과가, 그대로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출력 대상 기기인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출력된다(스텝 16 및 스텝 18).
[9] 레벨 센서(3057)에서 검출된 시점에서의 곡물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과, 수량 계측 수단(3104)에서 연산된 로드 센서(3060)에서의 검출 중량에 기초한 곡물 중량의 차가 소정 범위 외라고 판단되면, 계측값이 이상인 신호를 출력 제어 수단(3106)에 보내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출력 대상 기기인 표시 장치(3034)에 대하여 계측값 이상의 표시를 지령하는 출력이 이루어진다(스텝 16 및 스텝 17).
위치 검출 제어에서는, GPS 수신기(3039)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위치 검출 수단(3107)에 입력하고, 그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하는 포장의 작업 지점을 산출해 내고, 출력 제어 수단(3106)으로부터 출력 대상 기기로서의 송신기(3046)에 대하여 작업 지점의 정보 및 곡물 중량이나 수분량 등의 다른 검출 정보도 송신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의 10〕
주행 기체의 자세 제어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기체 프레임(3001)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3022)을 승강시키거나 경사지게 하거나 하는 구조의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체 프레임(3001) 상에 도시하지 않는 다른 탑재 프레임을 설치하여, 그 탑재 프레임을 기체 프레임(3001)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1〕
그레인 탱크(3005)의 하부에 설치하는 롤러(3062)를 통해서 탱크 중량이 로드셀(3060)에 확실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3005)를 상하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3001)에 지지하는 지지 개소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3005)가 상하 방향으로 조금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에 융통을 마련한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그레인 탱크 자체가 저류된 곡립의 중량에 의해 약간 변형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약간의 변형에 의한 상하 이동을 이용해서 로드셀(3060)에 의한 중량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그레인 탱크(3005)의 하중을 로드셀(306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는, 전술한 롤러(3062)에 한하지 않고, 단순한 접촉편 등, 적절한 구조를 채용하면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2〕
실시 형태에서는, 오거(3050)가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수량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오거(3050)가 저장 위치 등의 소정 위치에 존재하고 있을 때에 수량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오거(3050)의 위치에 관계없이 수량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3〕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기체의 경사가 허용 범위 외일 때에, 표시 지령 스위치(3038)의 온 조작에 따라 주행 기체의 경사를 수평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표시 지령 스위치(3038)의 온 조작으로, 기체 경사를 수평 자세로 복귀시키지 않고, 곡물 중량과 함께 기체 경사가 허용 범위 외인 것을 표시하는 등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표시 지령 스위치(3038)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지장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4〕
실시 형태에서는, 그레인 탱크(3005)에, 감압식의 레벨 센서(3057)나 수분 센서(3058)를 설치해서 계측값 이상을 판별할 수 있게 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레벨 센서(3057)로서는 감압식의 것에 한하지 않고, 근접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을 채용해도 되고, 또한, 이와 같은 레벨 센서(3057)나 수분 센서(3058)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5〕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대상 기기로서, 곡물 중량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3034)나 송신기(3046)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음성에 의한 통지 장치 등 임의의 출력 대상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6〕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셀(3060)의 수압면(3060A)의 퇴피를, 피스톤 부재(3063B)의 승강 동작에 의한 유압 실린더 기구를 사용해서 행하도록 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로드셀(306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받아냄 안내체(3061)의 작용 개소로부터 대피시키거나, 혹은, 받아냄 안내체(3061)와 수압면(3060A)의 접촉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사용하여, 그 스토퍼 부재를 받아냄 안내체(3061)의 작용 개소에 대하여 퇴출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17〕
실시 형태에서는, GPS 수신기(3039)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송신기(3046)에 출력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러한 GPS 수신기(3039)나 송신기(3046)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것이어도 지장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의 콤바인에 한하지 않고 그레인 탱크(5)를 구비하는 보통형의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기체 프레임
5 : 그레인 탱크
11 : 횡프레임
12 : 주 프레임
13 : 받침대 브래킷
14 : 마루판
15 : 위치 결정부
16 : 고정 브래킷
60 : 로드셀(수량 센서)
63A : 수압면
70 : 안내 부재
71, 83 : 평탄부
74a : 융통 구멍부
75 : 축지지 부재
76 : 지지점축
77 : 요동 지지점 기구
80 : 지지 다리부
81 : 재치 부재
82 : 피안내체
84 : 어저스트 기구
84b : 어저스트 볼트
81a : 종 변부
81b : 횡 변부
84a : 융통부
85 : 부착 좌판 
90 : 가이드 다리부
y1 : 상하 축심
3005 : 그레인 탱크
3034 : 표시 장치(출력 대상 기기)
3044 : 검출 스위치(오거 검지 수단)
3050 : 곡립 반출용 오거
3057 : 레벨 센서
3060 : 로드셀
3060A : 수압면
3066 : 경사 센서
3100 : 제어 장치
3101 : 오거 위치 판별 수단
3103 : 자세 수정 수단
3104 : 수량 계측 수단
3105 : 중량 비교 수단
3106 : 출력 제어 수단

Claims (30)

  1. 기체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전후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의 상하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기체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작업 자세 위치와 상기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타단부측이 상기 기체 프레임의 횡 외방측으로 변위하는 비작업 자세 위치에 걸쳐 위치 변경 가능한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다리부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지지 다리부를 로드셀의 수압면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측에 설치된 안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상하 축심이 존재하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고,
    지지 다리부와 상기 안내 부재의 각각의 대향 개소에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지지 다리부와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평탄부끼리가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상기 로드셀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접촉하여,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상기 그레인 탱크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그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앞쪽으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지지 다리부측의 평탄부를 구비한 재치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피안내체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체는, 상기 재치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안내 부재와 접촉해서 들어올림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체의 하단부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체의 하단부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 있고 상기 재치 부재의 평탄부가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에 면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지지 다리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상기 그레인 탱크를 들어올림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안내 부재의 평탄부보다도 앞쪽으로 전방측만큼 높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에는,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대한 상기 피안내체의 하단부의 상대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어저스트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기구는, 상기 그레인 탱크측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에 대향해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이 형성된 종 변부와, 상기 그레인 탱크측의 하향면에 대향해서 그 하향면을 따르는 방향의 면이 형성된 횡 변부를, 상기 피안내체를 상기 그레인 탱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그레인 탱크에 대한 상기 횡 변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위치 이동을 허용하는 융통부가 상기 종 변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향면에 상단부를 압착 가능한 어저스트 볼트의 부착부가 상기 횡 변부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재치 부재와 일체로 구성된 것인 콤바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부에, 상기 종 변부에 대향해서 상기 그레인 탱크측에 상하 방향을 따르는 면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횡 변부에 대향해서 상기 그레인 탱크측에 하향면을 따르는 방향의 면을 형성한 부착 좌판이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하는 이동 방향에서의 상측의 단부를 요동 지지점으로 해서 하측 단부가 상하 요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요동 지지점측이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요동 지지점 기구를 통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점 기구는, 상기 기체 프레임측에 고정된 지지점축과, 그 지지점축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부재의 소정 범위 내에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융통 구멍부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4.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방에 배치된 수량 센서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 프레임과,
    그 주 프레임에 연속 설치된 받침대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수량 센서는 상기 주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브래킷에 걸쳐 재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브래킷과 그 받침대 브래킷에 재치되는 상기 수량 센서가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받침대 브래킷과 상기 수량 센서 중 한쪽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출부가 다른 한쪽에 설치된 위치 결정 오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수량 센서의 배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평면상에서 상기 수량 센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주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선의 전후 양측에 배분된 상태로 배치되는 콤바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브래킷은, 상기 주 프레임과, 그 주 프레임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횡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브래킷은, 상기 주 프레임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7. 삭제
  18. 곡물 저류용의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하방에 배치된 수량 센서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는,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의 상하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작업 자세 위치와, 상기 일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타단부측이 기체 횡 외방측으로 변위하는 비작업 자세 위치에 걸쳐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서 상기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에 오르는 지지 다리부와, 상기 지지 다리부가 상기 작업 자세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주 프레임을 구비한 기체 프레임에 올라가기 가능하며, 또한 상기 지지 다리부가 상기 작업 자세 위치에 있으면 기체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가이드 다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가이드 다리부보다도 기체 전후 방향에서 상기 상하 축심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가이드 다리부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내방측 부근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다리부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비작업 자세 위치측으로부터 작업 자세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상기 지지 다리부가 상기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에 오르기도 전에, 상기 기체 프레임에 오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와 상기 가이드 다리부는, 각각에 상기 그레인 탱크의 중량이 작용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상기 수량 센서의 수압면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상기 가이드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상기 주 프레임의 상면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브래킷을 설치한 개소의 상기 기체 프레임의 하측이 마루판으로 덮이고, 상기 받침대 브래킷의 하면측이 상기 마루판에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에 구비한 롤러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는, 주 프레임에 지지된 축지지 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그 축지지 부재는 상기 주 프레임의 횡측면에 용접 고정된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는 콤바인.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30014626A 2012-09-26 2013-02-08 콤바인 KR102022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3249 2012-09-26
JP2012213249A JP5840099B2 (ja) 2012-09-26 2012-09-26 コンバイン
JPJP-P-2012-213248 2012-09-26
JP2012213248A JP5715607B2 (ja) 2012-09-26 2012-09-26 コンバイン
JPJP-P-2012-214590 2012-09-27
JP2012214590A JP5756070B2 (ja) 2012-09-27 2012-09-27 コンバイン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67A Division KR102112694B1 (ko) 2012-09-26 2019-09-10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603A KR20140040603A (ko) 2014-04-03
KR102022594B1 true KR102022594B1 (ko) 2019-11-20

Family

ID=502905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26A KR102022594B1 (ko) 2012-09-26 2013-02-08 콤바인
KR1020190112067A KR102112694B1 (ko) 2012-09-26 2019-09-10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67A KR102112694B1 (ko) 2012-09-26 2019-09-10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022594B1 (ko)
CN (2) CN107079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8134B (zh) * 2014-03-26 2019-01-04 井关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104155930A (zh) * 2014-06-29 2014-11-19 深圳市赛亿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颗粒类谷物智能管理控制方法
JP6459399B2 (ja) * 2014-10-30 2019-01-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10143133B2 (en) * 2015-03-18 2018-12-04 Kubota Corporation Combine
JP6451530B2 (ja) * 2015-07-08 2019-01-1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40644B2 (ja) * 2016-04-15 2020-02-05 株式会社クボタ 乾燥機及び乾燥機用分光分析装置
JP7213614B2 (ja) * 2017-12-18 2023-01-2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11457563B2 (en) * 2019-06-27 2022-10-04 Deere & Company Harvester stability monitoring and control
US11937527B2 (en) * 2019-07-31 2024-03-26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idue coverage within a field following a harvesting operation
KR102265432B1 (ko) 2019-08-20 2021-06-15 주식회사 케어젠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N115031821A (zh) * 2022-05-26 2022-09-09 潍柴雷沃重工股份有限公司 基于车身倾角修正的光电测产系统、方法及收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2117A (ja) 2011-01-24 2012-08-1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50121B1 (en) * 1979-09-17 1986-02-19 Little People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utlery
JPS59176935U (ja) * 1983-05-14 1984-11-27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タンクの計量装置
JPS59187958U (ja) * 1983-05-31 1984-12-13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タンク
JPH0620983Y2 (ja) * 1988-05-18 1994-06-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荷重測定用油圧回路
JP3068045B2 (ja) 1997-12-02 2000-07-2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重量測定装置
US6820459B2 (en) * 2002-09-18 2004-11-23 Deere & Company Automatic mass-flow sensor calibration for a yield monitor
JP2004129522A (ja) * 2002-10-08 2004-04-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CN100425113C (zh) * 2003-12-05 2008-10-15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联合收割机粮食产量流量监视方法及装置
JP4493014B2 (ja) * 2004-09-17 2010-06-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0506013C (zh) * 2005-10-14 2009-07-01 河南科技大学 联合收割机随机损失率实时监测方法
CN101904250B (zh) * 2009-06-02 2012-10-03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联合收割机喂入量测量方法与喂入量监测装置
JP5508619B2 (ja) * 2009-08-12 2014-06-0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8933367B2 (en) * 2011-02-09 2015-01-1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Laser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2117A (ja) 2011-01-24 2012-08-1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9663B (zh) 2019-09-27
KR102112694B1 (ko) 2020-05-19
CN107079663A (zh) 2017-08-22
CN103650798A (zh) 2014-03-26
KR20190109722A (ko) 2019-09-26
CN103650798B (zh) 2017-07-28
KR20140040603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594B1 (ko) 콤바인
KR102234179B1 (ko) 콤바인
JP2018139564A (ja) 苗移植機
JP2019080498A (ja) 作業車両
JP5715607B2 (ja) コンバイン
JP2008017855A (ja) コンバイン
KR102521831B1 (ko) 콤바인
JP5756070B2 (ja) コンバイン
JP2019064542A (ja) 作業車両
JP2023053258A (ja) 作業車両
KR100654874B1 (ko) 작업차의 자세제어장치
JP6674003B2 (ja) コンバイン
JP6126151B2 (ja) コンバイン
KR101800112B1 (ko)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제어장치
JP2019068778A (ja) 自動操舵システム
JP6884246B2 (ja) コンバイン
JP6885320B2 (ja) 作業車両
JP2015142580A5 (ko)
KR101419006B1 (ko) 이앙기
KR20190003302A (ko) 농작업차
KR20180042926A (ko) 콤바인 오거의 자동 복귀 시스템
JP2019068798A (ja) 苗移植機
JP5840099B2 (ja) コンバイン
CN213152889U (zh) 移植机
JP3418340B2 (ja) 水田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