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61A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361A
KR20160051361A KR1020140151237A KR20140151237A KR20160051361A KR 20160051361 A KR20160051361 A KR 20160051361A KR 1020140151237 A KR1020140151237 A KR 1020140151237A KR 20140151237 A KR20140151237 A KR 20140151237A KR 20160051361 A KR20160051361 A KR 2016005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sliding door
vehicle
swing
arm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339B1 (ko
Inventor
최재홍
공영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39B1/ko
Priority to US14/878,964 priority patent/US20160123060A1/en
Priority to JP2015202806A priority patent/JP2016089611A/ja
Priority to DE102015220064.7A priority patent/DE102015220064A1/de
Priority to CN201510676992.4A priority patent/CN105569466A/zh
Publication of KR2016005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8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05D2015/10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8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05D2015/10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 E05D2015/108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the carriage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중앙 레일, 상기 중앙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레일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 상기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윙암, 및 상기 스윙암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방시키는 스윙암 홀더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스윙 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원활하게 스윙 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스윙암을 일시적으로 구속 및 해방시키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승용차의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많은 사람이 승합할 수 있는 승합차의 경우에는 상기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상기 차실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승합차의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실을 개방하는 반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실을 폐쇄하게 되어 있어서, 승용차와 같은 힌지식 차실 개폐 도어보다 도어 개폐에 필요한 개폐 필요 공간이 작고, 좁은 개폐 필요 공간에서도 차체에 형성한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에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도어 개구부를 개방할 때에는 먼저 스윙 운동을 하고, 이어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는 반면에,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도어 개구부를 닫을 때에는 먼저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이어서 스윙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스윙 운동한 다음에 슬라이딩 운동을 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운동을 할 경우에, 슬라이딩 운동 과정에 스윙 운동이 동시에 발생되지 않도록 스윙 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시켜 슬라이딩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윙 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에 스윙 운동이 동시에 발생되지 않도록 스윙 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시켜 줌으로써,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운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감성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중앙 레일, 상기 중앙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레일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 상기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윙암 및 상기 스윙암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방시키는 스윙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는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일체로 이동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상기 스윙암의 일단이 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을 따라 상기 스윙암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윙암 홀더가 이동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윙암 홀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은 중앙 레일 장착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스윙암 홀더의 선단부에는 작동링크가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중앙 레일 장착부재에는, 상기 작동링크가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링크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가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스윙암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암에는 상기 스윙암 홀더가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당겨져서 걸리는 스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홈은 상기 스윙암에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에 의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할 때에 슬라이딩 도어가 먼저 스윙 운동을 한 다음에 이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게 되는 데, 슬라이딩 도어가 스윙 운동을 완료한 시점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윙암이 스윙 홀더에 의해 록킹됨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과정에 스윙 운동이 동시에 발생될 염려가 없으므로,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감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한 이후에 다시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에는 스윙 홀더에 의한 스윙암의 록킹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원만하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운동이 완료된 다음에는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스윙암의 록킹 상태가 해방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스윙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가 적용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중앙 지지 구조물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중앙 지지 구조물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이딩 도어가 스윙 운동을 완료한 시점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은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9는 슬라이딩 도어가 스윙 운동을 완료하고 슬라이딩 운동을 개시한 시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딩 도어가 슬라이딩 운동을 완료한 시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차량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른 스윙 운동 및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후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차체에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1)와; 슬라이딩 도어(1)의 높이 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 부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를 차체에 스윙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중앙 지지 구조물(10); 슬라이딩 도어(1)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를 차체에 스윙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중앙 하부 구조물(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의 높이 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 부위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게 중앙 레일(2)이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고, 중앙 지지 구조물(10)은 중앙 레일(2)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중앙 레일(2) 및 슬라이딩 도어(1)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11)는 각각 중앙 레일(2)에 밀착된 상태로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11)는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에는 스윙암(14)의 일단이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윙암(14)은 타단은 차체에 장착된 차체 마운팅 브래킷(15)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체에는 하부 레일(3)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어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지지 구조물(20)은 하부 레일(3)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 레일(3) 및 슬라이딩 도어(1)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슬라이더(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하부 슬라이더(21)는 각각 중앙 레일(3)에 밀착된 상태로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하부 슬라이더(21)는 하우징(23)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23)의 상부에는 입력기어(24)가 기어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상기 기어축을 통해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회전수를 증대시켜 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기어(24)에는 전달기어(25)가 치합되게 설치되고, 전달기어(25)의 기어축(26)에는 제1링크(27)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1링크(27)의 일단은 제2링크(28)의 일단과 핀으로 결합되고, 제2링크(28)의 타단은 슬라이딩 도어(1)에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링크(27, 28)와 기어들은 슬라이딩 도어(1)의 하부를 스윙 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슬라이딩 도어(1)가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닫아서 밀폐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에는 스윙암(14)의 일단이 핀(1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핀(131)은 후크(30)를 관통해서 체결되어, 후크(30)가 핀(13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후크(30)가 회전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턴스프링(32)이 후크(30)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후크(30)의 선단부에는 갈고리(31)가 형성될 수 있고, 갈고리(31)는 중앙 슬라이더(11)와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을 중앙 레일(2)에 고정시키거나 해방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후크(30)의 갈고리(31)가 중앙 레일(2)의 선단부(2a)에 걸려서 중앙 레일(2)과 중앙 슬라이더(11)가 서로 구속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스윙암(14)이 핀(131)에 체결되는 선단부에는 가압가장자리(14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가장자리(141)는 스윙암(14)의 회전 운동에 따라 후크(30)의 후크바디(33)를 눌러서 후크(30)를 핀(1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1)의 스윙 운동에 따라 스윙암(14)이 대략 90° 회전 운동을 하여, 스윙암(14)의 가압가장자리(141)가 후크(30)를 눌러서 후크(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중앙 레일(2)과 중앙 슬라이더(11)가 서로 해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중앙 레일(2)이 중앙 슬라이더(11)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에는 차실 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플랜지(132)가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플랜지(132)를 관통하여 핀(131)이 체결될 수 있다.
스윙암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거나 해방시키기 위해 스윙암 홀더(40)가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윙암 홀더(40)의 선단부에는 조작링크(42)가 핀(43)으로 체결될 수 있다.
스윙암 홀더(40)가 이동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턴스프링(44)의 일단이 스윙암 홀더(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플랜지(132)의 하단에는 가이드홈(132a)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2a)은 스윙암 홀더(4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1)에는 중앙 레일(2)을 장착하기 위한 중앙 레일 장착부재(2a)가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고, 중앙 레일 장착부재(2a)의 전방부에는 중앙 레일 장착부재(2a)의 두께를 줄이는 방향으로 파여진 작동 공간(2b)이 형성되며, 중앙 레일 장착부재(2a)의 전방 선단부에는 상기 조작링크(42)를 가압하는 가압돌기(2c)가 차실 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동 공간(2b)은 조작링크(42)와 후크(30)의 작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 8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스윙암 홀더(40)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스윙암 홀더(40)의 조작링크(42)는 가압돌기(2c)와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의 선단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스윙암 홀더(40)의 리턴스프링(44)은 인장 상태에 있으며, 리턴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은 스윙암 홀더(40)에 작용하고 있지만, 스윙암 홀더(40)의 조작링크(42)가 가압돌기(2c)와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윙암 홀더(40)는 리턴스프링(44)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도 스윙암(14) 쪽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스윙암(14)에는 스톱홈(14a)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를 개방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1)를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1)가 스윙암(14)에 지지된 상태로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스윙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1)의 스윙 운동 과정에 후크(30)는 중앙 레일(2)에 걸려서 록킹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도어(1)는 슬라이딩 운동을 하지 못하고 단지 스윙 운동만 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1)의 스윙 운동이 완료된 시점에서, 즉 스윙암(14)이 대략 90° 정도 스윙 운동을 한 후에는 후크(30)가 스윙암(14)에 의해 눌려서 회전되면서 중앙 슬라이더(11)와 중앙 레일(2)의 록킹 상태를 해방시켜 중앙 레일(2)과 중앙 슬라이더(11) 사이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프론트 도어인 경우) 혹은 후방(리어 도어인 경우)으로 밀어주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1)의 중앙 레일(2)이 중앙 슬라이더(1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1)와 함께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슬라이딩 도어(1)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에 장착된 가압돌기(2c)가 슬라이딩 도어(1)와 함께 이동하여 가압돌기(2c)와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13)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리턴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윙암 홀더(40)가 스윙암(14) 쪽으로 당겨져서 스윙암(14)의 스톱홈(14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스윙암(14)은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는 스윙암(14)에 지지된 상태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만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슬라이딩 도어(1)가 슬라이딩 운동을 완료하여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스윙암 홀더(40)는 여전히 리턴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윙암(14)쪽으로 당겨져서 스윙암(14)의 스톱홈(14a) 속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를 다시 닫을 때에도 스윙암(14)은 스윙암 홀더(40)에 구속된 상태에 있으므로, 슬라이딩 도어(1)는 슬라이딩 운동만 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1)의 슬라이딩 운동이 거의 완료될 시점에서 슬라이딩 도어(1)의 가압돌기(2c)는 작동링크(42)를 눌러주게 되고, 작동링크(42)는 그 핀(4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윙암 홀더(40)를 당겨주게 되어, 스윙암 홀더(40)가 스윙암(14)의 스톱홈(14a)으로부터 빠져 나올 뿐만 아니라 리턴스프링(44)도 스윙암(40)에 의해 당겨져서 다시 인장 상태로 복귀된다.
슬라이딩 도어(1)가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닫게 되면, 도 8의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2: 중앙 레일
3: 하부 레일
10: 중앙 지지 구조물
11: 중앙 슬라이더
12: 롤러
13: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
14: 스윙암
15: 차체 마운팅 브래킷
20: 하부 지지구조물
21: 하부 슬라이더
22: 롤러
23: 하우징
24: 입력기어
25: 전달기어
26: 기어축
27: 제1링크
28: 제2링크
30: 후크
40: 스윙암 홀더
42: 작동링크
43: 핀

Claims (9)

  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중앙 레일;
    상기 중앙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레일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
    상기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윙암; 및
    상기 스윙암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방시키는 스윙암 홀더;
    를 포함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앙 슬라이더는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일체로 이동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상기 스윙암의 일단이 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을 따라 상기 스윙암 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 홀더가 이동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윙암 홀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일은 중앙 레일 장착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스윙암 홀더의 선단부에는 작동링크가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중앙 레일 장착부재에는, 상기 작동링크가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링크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가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스윙암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에는 상기 스윙암 홀더가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당겨져서 걸리는 스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홈은 상기 스윙암에 파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KR1020140151237A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KR10167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37A KR101673339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US14/878,964 US20160123060A1 (en) 2014-11-03 2015-10-08 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2015202806A JP2016089611A (ja) 2014-11-03 2015-10-14 車両用スライドドアスイングロック装置
DE102015220064.7A DE102015220064A1 (de) 2014-11-03 2015-10-15 Schwenk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schiebetür
CN201510676992.4A CN105569466A (zh) 2014-11-03 2015-10-19 用于车辆滑动门的摆动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37A KR101673339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61A true KR20160051361A (ko) 2016-05-11
KR101673339B1 KR101673339B1 (ko) 2016-11-07

Family

ID=5575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237A KR101673339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23060A1 (ko)
JP (1) JP2016089611A (ko)
KR (1) KR101673339B1 (ko)
CN (1) CN105569466A (ko)
DE (1) DE1020152200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3626A (zh) * 2019-09-19 2021-03-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对置式滑动门的直线型中央轨道的锁定结构
CN112943020A (zh) * 2019-12-10 2021-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对开式滑动门摇动的连杆结构
US11987106B2 (en) 2019-12-05 2024-05-2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oor check mechanism and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157B1 (ko) * 2014-11-06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슬라이더장치
KR101684536B1 (ko) * 2015-06-02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US10384519B1 (en) * 2016-01-12 2019-08-20 Apple Inc. Doors with adaptive positioning
DE202016105214U1 (de) * 2016-09-19 2017-12-21 Gebr. Bode Gmbh & Co. Kg Schwenkschiebetür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17107129A1 (de) 2017-04-03 2018-10-04 Minimax Gmbh & Co. Kg Gehäuse einer Brandmelder- und/oder Löschsteuerzentrale
AT519479B1 (de) 2017-05-11 2018-07-15 Blum Gmbh Julius Führungssystem zur Führung eines Türflügels
MX2019012994A (es) * 2017-07-20 2019-12-19 Knauf Gips Kg Dispositivo de cierre, de preferencia para cerrar una compuerta de sellado de una abertura.
DE102017008872A1 (de) 2017-09-21 2019-03-21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r Türvorrichtung und Tür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11344170B (zh) * 2017-11-17 2023-06-02 沃尔沃汽车公司 舱盖操作机构
WO2019132804A2 (en) 2017-12-29 2019-07-04 Celikform Gestamp Otomotiv Anonim Sirketi A sliding door mechanism with increased safety
KR102564453B1 (ko) * 2018-09-04 2023-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EP3643866A1 (en) 2018-10-23 2020-04-2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KR102603543B1 (ko) * 2019-09-16 202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210044010A (ko) * 2019-10-14 2021-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이중 로워 레일 구조
KR20210069304A (ko) * 2019-12-03 2021-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210074886A (ko) *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방지를 위한 x자형 가이드 바 구조
CN112459629B (zh) * 2020-11-24 2021-11-09 江苏金鼎汽车锁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滑门互锁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4580U (ko) * 1987-10-19 1989-04-25
KR20090089245A (ko) * 2008-02-18 2009-08-21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JP2011213319A (ja) * 2010-04-02 2011-10-27 Toyoda Gosei Co Ltd スライド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704A (en) * 1996-08-19 1999-04-2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Track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US6328374B1 (en) * 2000-06-21 2001-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lly-openable slidable vehicle door assembly
DE102005048786A1 (de) * 2005-02-04 2006-08-10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Tür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AT501468B8 (de) * 2005-02-17 2007-02-15 Knorr Bremse Gmbh Schwenkschiebetür
DE102005034346A1 (de) * 2005-05-09 2006-11-23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Schiebetüre für ein Kraftfahrzeug
US7243978B2 (en) * 2005-10-18 2007-07-1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vehicle
JP5040512B2 (ja) * 2006-10-27 2012-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US8353555B2 (en) * 2010-08-06 2013-01-15 Honda Motor Co., Ltd. Link-type sliding door mechanism
KR101338781B1 (ko) * 2011-12-14 201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일이 보이지 않는 슬라이딩 도어
US8596710B2 (en) * 2012-02-09 2013-12-03 Chrysler Group Llc Sliding door system
US9506282B2 (en) * 2013-04-24 2016-11-29 Fca Us Llc Tumble-home extending sliding door system
KR101542980B1 (ko) * 2013-12-27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610157B1 (ko) * 2014-11-06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슬라이더장치
KR101637289B1 (ko) * 2014-11-06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73338B1 (ko) *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4580U (ko) * 1987-10-19 1989-04-25
KR20090089245A (ko) * 2008-02-18 2009-08-21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
JP2011213319A (ja) * 2010-04-02 2011-10-27 Toyoda Gosei Co Ltd スライドド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3626A (zh) * 2019-09-19 2021-03-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对置式滑动门的直线型中央轨道的锁定结构
US11987106B2 (en) 2019-12-05 2024-05-2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oor check mechanism and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2943020A (zh) * 2019-12-10 2021-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对开式滑动门摇动的连杆结构
CN112943020B (zh) * 2019-12-10 2023-05-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对开式滑动门摇动的连杆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89611A (ja) 2016-05-23
US20160123060A1 (en) 2016-05-05
CN105569466A (zh) 2016-05-11
DE102015220064A1 (de) 2016-05-04
KR101673339B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33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KR101684536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3728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10157B1 (ko) 차량용 도어 슬라이더장치
US6682157B2 (en) Panel driving device
KR1018864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JP5139265B2 (ja) 家具
KR101558371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US8074832B2 (en) Hinge structure for a console box lid
KR10167333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JP6009656B2 (ja) 可動家具部分を作動させるための構造体
US9038842B2 (en) Storage compartment
KR10142825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구조
KR101601106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417535B1 (ko) 자동차의 멀티 박스
KR101470118B1 (ko) 자동차 암 레스트 커버 개폐장치
CN202073366U (zh) 车辆门把手装置及车辆
KR101501079B1 (ko) 암레스트 록킹 장치
JP2016130075A (ja) サンバイザ装置
EP3052343B1 (en) A vehicle glove box
JP2002213138A (ja) 扉体の開閉装置
JP200815582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US2174599A (en) Window regulator and lock
JPS63305024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構造
JP3774124B2 (ja) パネル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