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338B1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338B1
KR101673338B1 KR1020140153530A KR20140153530A KR101673338B1 KR 101673338 B1 KR101673338 B1 KR 101673338B1 KR 1020140153530 A KR1020140153530 A KR 1020140153530A KR 20140153530 A KR20140153530 A KR 20140153530A KR 101673338 B1 KR101673338 B1 KR 10167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vehicle
rail
mounting bracket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224A (ko
Inventor
최재홍
공영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38B1/ko
Priority to US14/737,367 priority patent/US9545834B2/en
Priority to CN201510353218.XA priority patent/CN105584330B/zh
Priority to DE102015212761.3A priority patent/DE102015212761A1/de
Publication of KR2016005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8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05D2015/10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carriage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swingingly, e.g. on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가 개시된다.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레일; 일단이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상기 차체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중앙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을 차체에 록킹 시키거나 해방시키는 후크를 포함하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록킹시키거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해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차체용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레일을 해방 가능하게 록킹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승용차의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많은 사람이 승합할 수 있는 승합차의 경우에는 상기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상기 차실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승합차의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는, 차실 개폐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차실을 개방하는 반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실을 폐쇄하게 되어 있어서, 승용차와 같은 힌지식 차실 개폐 도어보다 도어 개폐에 필요한 개폐 필요 공간이 작고, 좁은 개폐 필요 공간에서도 차체에 형성한 도어 개구부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식 차실 개폐 도어에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원활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차량용 도어 및 그 레일을 록킹하고,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회전 운동이 완료된 후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을 해방시키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차량의 폭방향 외측 회전 운동 과정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없도록 록킹하고,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차량의 폭방향 외측 회전 운동이 완료된 후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및 그 레일을 해방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는,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레일; 일단이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상기 차체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중앙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을 차체에 록킹시키거나 해방시키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대체로 직사각 평판 형상을 한 레일 바디; 및 상기 레일 바디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은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슬라이더는 대체로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서 상기 중앙 레일의 상기 가이드 레일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심어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면접촉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슬라이더는 상부에 1쌍 및 하부에 1쌍으로 각각 배치되어,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일체로 움직이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차체 마운팅 브래킷; 일단이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스윙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암은,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배치된 상부 스윙암;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윙암; 및 상기 상부 스윙암과 상기 하부 스윙암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쪽 플랜지에는 상기 후크를 눌러서 가압 가장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윙암과 상기 하부 스윙암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는 2개의 체결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스윙암과 상기 하부 스윙암의 사이에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의 2개의 체결 플랜지가 삽입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은 상면 플랜지와 하면 플랜지 및 상면 플랜지와 상기 하면 플랜지를 연결하는 측면 플랜지를 각각 구비한 대체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차체에 장착되며; 상기 상면 플랜지와 상기 하면 플랜지에도 각각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면 플랜지와 상기 하면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스윙암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윙암이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에 대해 상대 회동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해 탄성 스프링이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스윙암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고리 및 상기 후크 바디에 일체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보스를 포함하여; 상기 스윙암과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핀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 회동시키는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당겨서 회전시킬 경우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차량의 폭방향 외측 회전 운동이 완료된 후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및 그 레일을 원만하게 해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회전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운동도 부드럽고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에 의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및 그 레일이 차체에 록킹되어 지지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및 그 레일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로부터 해방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및 그 레일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로부터 해방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이동해서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지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가 레일에 걸려 록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어 레일을 해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가 스윙암에 의해 가압되어 레일로부터 이탈되면서 레일을 해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는,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를 차체에 록킹시키거나 해방시킬 수 있다.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에는 레일(10)이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레일(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중앙 지지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는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20)에 설치되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 및 그 레일(10)을 차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록킹시키거나 혹은 차체에 대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해방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도어 개구부를 닫아서 밀폐시키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록킹장치로부터 해방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해서 도어 개구부를 일부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록킹장치로부터 해방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해서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레일(10)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차실쪽을 향한 내측면에서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대략 중간 부위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곧게 연장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일(10)은 대체로 직사각 평판 형상을 한 레일 바디(12)와, 이 레일 바디(12)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레일 바디(1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가이드 레일(14)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일 바디(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관통하는 장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22)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에 볼트 등으로 조립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0)에는 중앙 지지 구조물(20)의 일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20)의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중앙 지지구조물(20)에 의해 레일(10)과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 가 차체에 대해 상대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중앙 지지 구조물(20)은 중앙 슬라이더(30),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 스윙암(50) 및 차체 마운팅 브래킷(6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슬라이더(30)는 중앙 레일(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에는 스윙암(50)이 핀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스윙암(50)의 타단은 차체 마운팅 브래킷(60)에 핀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차체 마운팅 브래킷(60)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중앙 슬라이더(30)는 상부에 2개가 1쌍을 형성하고, 하부에 2개가 1쌍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있으며, 상부 1쌍의 중앙 슬라이더(30)와 하부 1쌍의 중앙 슬라이더(30)는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에 장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중앙 슬라이더(30)는 대체로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서 중앙 레일(10)의 가이드 레일(14)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과(60)과 체결을 위한 조립홀이 형성된 슬라이더 바디(32)와; 이 슬라이더 바디(32)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심어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 레일(10)의 가이드 레일(14)에 면접촉한 상태로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구름 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3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은 각 중앙 슬라이더(30)의 슬라이더 바디(32)에 형성된 조립홀에 체결되는 대체로 사각 평판 형상을 한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 바디(42)와, 이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 바디(42)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된 2개의 체결 플랜지(4)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체결 플랜지(44)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윙암(50)은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배치된 상부 스윙암(22)과,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윙암(54) 및, 상부 스윙암(52)과 하부 스윙암(54)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2개의 플랜지(56, 58)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쪽 플랜지(58)에는 후술하는 후크를 눌러서 후크를 회동시키는 가압 가장자리(5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스윙암(52)과 하부 스윙암(54)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스윙암(52)과 하부 스윙암(54)의 사이에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의 2개의 체결 플랜지(44)가 삽입되어, 상부 스윙암(52)과 하부 스윙암(54)의 각 조립홀 및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의 2개의 체결 플랜지(44)의 조립홀에 핀이 끼워져서, 스윙암(50)이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차체 마운팅 브래킷(60)은 상면 플랜지(62)과, 하면 플랜지(64) 및 상면 플랜지(62)와 하면 플랜지(64)를 연결하는 측면 플랜지(66)을 각각 구비한 대체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플랜지(66)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을 통해 차체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플랜지(62)와 하면 플랜지(64)에도 각각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면 플랜지(62)와 하면 플랜지(4) 사이에 스윙암(50)이 일부가 삽입되어, 핀을 매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스윙암(50)이 차체 마운팅 브래킷(60)에 대해 상대 회동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해 탄성 스프링(70)이 차체 마운팅 브래킷(60)과 스윙암(50)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즉 탄성 스프링(70)의 일단은 차체 마운팅 브래킷(6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스윙암(50)에 연결되어, 스윙암(50)의 회동 운동에 따라 비틀리거나 이완될 수 있다.
스윙암(50)과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의 체결 부위에는 후크(80)가 개재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후크(80)는 스윙암(50)과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의 체결핀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후크(80)는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는 후크 바디(82)와, 이 후크 바디(82)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고리(84) 및, 상기 후크 바디(82)로부터 돌출하여 체결핀이 끼워지는 보스(86)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80)가 회동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고, 후크(80)가 레일(10)에 걸린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탄성 스프링(9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 참조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는, 후크(80)의 걸고리(84)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에 각각 장착된 레일(10)에 걸려서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40)과 중앙 슬라이더(30) 및 레일(10)를 일체로 고정하여 그들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와 그 레일(10)은 중앙 지지 구조물(20)을 통해 차체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9를 참조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와 함께 스윙암(50)이 회동 운동을 하면서 스윙암(50)의 가압 가장자리(582)가 후크(80)를 눌러서 회동시키고,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의 회전 운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후크(80)의 걸고리(84)가 레일(10)로부터 이탈되어, 레일(10) 및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중앙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상태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프론트 도어인 경우) 혹은 후방(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리어 도어인 경우)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후크(80)가 레일(10)에 걸려져 있으므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는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를 개방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도어 손잡이를 당기게 되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 가 도어 래치로부터 해방되면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개방되지만, 후크(80)는 여전히 레일(10)에 걸려 있으므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당겨지면, 중앙 지지 구조물의 스윙암(50)이 회전하고, 스윙암(50)에 의해 후크(80)가 눌려져서 회동 운동을 하여, 중앙 슬라이더(30)와 레일(10)의 상호 구속 상태가 해방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를 차량의 길이 방향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중앙 슬라이더(30)가 중앙 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래치에 의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도어 래치를 해방시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를 차량의 후방 혹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어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가 도어 개구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후크(80)가 레일(10)에 걸려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의 슬라이딩 운동이 구속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10: 레일
20: 중앙 지지 구조물
30: 중앙 슬라이더
40: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
50: 스윙암
60: 차체 마운팅 브래킷
70: 탄성 스프링
80: 후크
90: 탄성 스프링

Claims (12)

  1.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레일;
    일단이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를 상기 차체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중앙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을 차체에 록킹 시키거나 해방시키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은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슬라이더는
    상부에 1쌍 및 하부에 1쌍으로 각각 배치되어,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일체로 움직이도록 장착되며;
    상기 중앙 지지 구조물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차체 마운팅 브래킷;
    일단이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스윙암을 포함하며;
    상기 스윙암은,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배치된 상부 스윙암;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윙암; 및
    상기 상부 스윙암과 상기 하부 스윙암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쪽 플랜지에는 상기 후크를 눌러서 가압 가장자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직사각 평판 형상을 한 레일 바디; 및
    상기 레일 바디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 바디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슬라이더는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서 상기 레일의 상기 가이드 레일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심어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면접촉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윙암과 상기 하부 스윙암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에는 2개의 체결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스윙암과 상기 하부 스윙암의 사이에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의 2개의 체결 플랜지가 삽입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은
    상면 플랜지와 하면 플랜지 및 상면 플랜지와 상기 하면 플랜지를 연결하는 측면 플랜지를 각각 구비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차체에 장착되며;
    상기 상면 플랜지와 상기 하면 플랜지에도 각각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면 플랜지와 상기 하면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스윙암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이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에 대해 상대 회동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해 탄성 스프링이 상기 차체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스윙암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고리 및 상기 후크 바디에 일체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보스를 포함하여;
    상기 스윙암과 상기 중앙 슬라이더 마운팅 브래킷의 체결핀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 회동시키는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20140153530A 2014-11-06 2014-11-06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67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30A KR101673338B1 (ko) 2014-11-06 2014-11-06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US14/737,367 US9545834B2 (en) 2014-11-06 2015-06-11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CN201510353218.XA CN105584330B (zh) 2014-11-06 2015-06-24 用于车辆滑动门的锁定装置
DE102015212761.3A DE102015212761A1 (de) 2014-11-06 2015-07-08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chiebet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30A KR101673338B1 (ko) 2014-11-06 2014-11-06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24A KR20160054224A (ko) 2016-05-16
KR101673338B1 true KR101673338B1 (ko) 2016-11-07

Family

ID=5580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30A KR101673338B1 (ko) 2014-11-06 2014-11-06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5834B2 (ko)
KR (1) KR101673338B1 (ko)
CN (1) CN105584330B (ko)
DE (1) DE102015212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39B1 (ko) * 2014-11-03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US10384519B1 (en) * 2016-01-12 2019-08-20 Apple Inc. Doors with adaptive positioning
JP2019064521A (ja) * 2017-10-04 2019-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EP3643866A1 (en) * 2018-10-23 2020-04-2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US11002054B2 (en) * 2018-11-09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liding door mechanism
KR20200085583A (ko) * 2019-01-07 2020-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래치 구조
US11427055B2 (en) * 2019-02-20 2022-08-3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uppertal Compressible latch bracket
KR20210072996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20210074886A (ko) *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방지를 위한 x자형 가이드 바 구조
US11938797B2 (en) * 2021-03-26 2024-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lignment bracket assembly for slidable vehicl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5668A1 (en) * 2012-02-09 2013-08-15 Chrysler Group Llc Sliding do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674A (en) * 1974-07-15 1976-02-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vehicle door
JP2605852Y2 (ja) * 1993-07-27 2000-08-21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バン型車両のスライドドア
US6183039B1 (en) * 1999-02-05 2001-02-06 Delphi Technologies, Inc. Pivot and slide door system
JP3837081B2 (ja) * 2002-03-29 2006-10-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DE10341420B4 (de) * 2003-09-09 2005-06-30 Daimlerchrysler Ag Schieb- und schwenkbare Tür,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KR100515938B1 (ko) * 2003-10-09 2005-09-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로어 롤러장치
JP2007009631A (ja) * 2005-07-04 2007-01-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バケット
JP5040512B2 (ja) * 2006-10-27 2012-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US7717493B2 (en) * 2008-01-29 2010-05-18 Nissan Design America, Inc. Sliding door system
DE102008008128A1 (de) * 2008-02-08 2009-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Abdeckung von Führungsteilen einer Kraftfahrzeugschiebetür
US8096606B2 (en) * 2008-10-20 2012-01-17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Door-opening device in a vehicle sliding door
US8353555B2 (en) * 2010-08-06 2013-01-15 Honda Motor Co., Ltd. Link-type sliding door mechanism
KR101338781B1 (ko) * 2011-12-14 201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일이 보이지 않는 슬라이딩 도어
US9050878B2 (en) * 2012-04-12 2015-06-09 Dura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liding do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5668A1 (en) * 2012-02-09 2013-08-15 Chrysler Group Llc Sliding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24A (ko) 2016-05-16
CN105584330A (zh) 2016-05-18
DE102015212761A1 (de) 2016-05-12
US9545834B2 (en) 2017-01-17
US20160130844A1 (en) 2016-05-12
CN105584330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33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63728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01106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67333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CN106218369B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KR101542981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JP6626308B2 (ja) 車両用ドアスライダー装置
KR101558371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42825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구조
KR101786663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래치
US8297684B1 (en) Folding armrest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US20140062103A1 (en) Dual pawl latch mechanism for a dual door assembly
JP2001115719A (ja) 錠止可能な回転及び/又はスライド・ウイングシステム
KR101293919B1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AU2005202831B2 (en) Hood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KR101294191B1 (ko)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JP5448855B2 (ja) 車両用ローディングフラップ
KR101181905B1 (ko) 도어 개폐장치
US20180187462A1 (en) Tailgate for a vehicle
US963854A (en) Vehicle-body.
JP2008143369A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KR10192388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4817177B2 (ja) 突出し窓用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