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191B1 -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191B1
KR101294191B1 KR1020110131827A KR20110131827A KR101294191B1 KR 101294191 B1 KR101294191 B1 KR 101294191B1 KR 1020110131827 A KR1020110131827 A KR 1020110131827A KR 20110131827 A KR20110131827 A KR 20110131827A KR 101294191 B1 KR101294191 B1 KR 10129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handle
glas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106A (ko
Inventor
박형수
김기원
이재승
김종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191B1/ko
Priority to US13/494,454 priority patent/US8590960B2/en
Priority to CN201210264286.5A priority patent/CN103158510B/zh
Priority to DE102012105945.4A priority patent/DE102012105945B4/de
Publication of KR2013006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빙글래스(22)의 개방 작동시 사용자가 핸들(90)에 가해주는 힘의 방향과 상기 무빙글래스(22)의 개방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동일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FLUSH GLASS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작동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플러쉬글래스는 글래스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개폐시키는 도어글래스의 일종으로, 이러한 플러쉬글래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져용 차량(Recreational Vehicle)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플러쉬글래스(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글래스(1a)를 픽스드정글래스(1b)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개폐시키는 구조로, 상기 무빙글래스(1)의 프레임(3) 중간 부위에는 상항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이 가능한 핸들(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핸들(4)은 상하방향으로 록킹돌기(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4)이 프레임(3)의 중간위치에 모이도록 조작시키면 상하측의 록킹돌기(5)가 레일(미도시)로부터 빠져서 록킹 해제상태가 됨에 따라 사용자는 무빙글래스(1a)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조작한 핸들(4)을 놓아주거나 또는 핸들(4)을 조작하지 않으면 록킹돌기(5)가 록킹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속으로 삽입되어서 록킹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무빙글래스(1a)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없는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플러쉬글래스 장치는 핸들(4)의 조작방향은 수직방향이고, 무빙글래스(1a)의 이동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사용자가 무빙글래스(1a)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4)에 수직방향 힘과 수평방향의 힘을 동시에 가하여야 하는 바,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빙글래스(1a)의 개폐작동시 많은 힘이 소모되고 특히 작동에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핸들에 수평방향의 힘만을 제공해서 무빙글래스를 개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무빙글래스의 개폐 작동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는, 픽스드글래스프레임에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프론트레일 및 리어레일; 무빙글래스프레임의 프론트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단이 상기 프론트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레일에 끼워져서 설치된 프론트가이드;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의 리어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단이 상기 리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레일에 끼워져서 설치된 리어가이드; 무빙글래스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의 미들수직프레임과 연결되어서 락킹상태를 이루고, 상기 무빙글래스의 개방을 위해 리어방향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의 리어수직프레임을 실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어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레일이 상기 리어레일보다 실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는 상기 프론트수직프레임에 프론트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레일에 끼워지는 프론트레일락돌기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힌지; 및 상기 프론트힌지의 중간부위에 구비된 힌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레일에 끼워지는 프런트레일돌기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캐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가이드는 상기 리어수직프레임에 리어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어레일에 끼워지는 리어레일락돌기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리어힌지; 및 상기 리어힌지의 중간부위에 구비된 제1힌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어레일에 끼워지는 리어레일돌기가 상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리어캐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레일락돌기는 사각단면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레일의 프론트쪽 끝단에는 상기 프론트레일락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의 프론트레일락킹홈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프론트레일락부가 상기 프론트레일과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수직프레임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프론트힌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프론트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프론트프레임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레일락돌기는 사각단면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레일의 프론트쪽 끝단에는 상기 리어레일락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의 리어레일락킹홈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리어레일락부가 상기 리어레일과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수직프레임의 상하측에는 상기 리어힌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리어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리어프레임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프레임돌기사이에는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핸들프레임이 상기 리어프레임돌기와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어수직프레임과 상기 리어프레임돌기사이에 상기 핸들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핸들설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힌지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제1힌지축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힌지축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2힌지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축구멍이 형성된 핸들바디부; 상기 핸들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설치구멍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핸들프레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핸들조작부; 및 상기 핸들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힌지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락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락킹부에는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의 미들수직프레임과 락킹상태를 이루기 위한 핸들락킹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미들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락킹홈으로 삽입되는 기역(ㄱ)자 단면모양을 프레임락킹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쉬글래스 장치는, 무빙글래스의 개방 작동시 사용자가 핸들에 가해주는 힘의 방향과 상기 무빙글래스의 개방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동일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플러쉬글래스를 구비한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플러쉬글래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쉬글래스 장치를 차량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글래스프레임과 프론트가이드 및 리어가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글래스프레임과 프론트가이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가이드와 프론트레일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글래스프레임과 리어가이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가이드와 리어레일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과 픽스드글래스프레임과의 락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의 Ⅰ-Ⅰ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쉬글래스 장치에서 무빙글래스가 닫혀진 상태의 도면,
도 14는 도 13의 Ⅱ-Ⅱ선 단면도,
도 15는 무빙글래스의 개방을 위해 핸들을 작동시킨 상태의 도면,
도 16은 도 15의 Ⅲ-Ⅲ선 단면도,
도 17은 무빙글래스가 개방중인 상태의 도면,
도 18은 도 17의 Ⅳ-Ⅳ선 단면도,
도 19는 무빙글래스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의 도면,
도 20은 도 19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레져용 차량(Recreational Vehicle)에는 후방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도 3과 같은 슬라이딩 도어(1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슬라이딩 도어(10)의 개구부(11)에는 픽스드글래스(21)가 결합된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에는 프론트레일(40) 및 리어레일(5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레일(40) 및 리어레일(50)을 이용해서 무빙글래스(22)가 결합된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에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프론트레일(40) 및 리어레일(50)과,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프론트수직프레임(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단이 상기 프론트레일(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레일(40)에 끼워져서 설치된 프론트가이드(70)와,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리어수직프레임(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단이 상기 리어레일(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레일(50)에 끼워져서 설치된 리어가이드(80)와, 상기 무빙글래스(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미들수직프레임(31)과 연결되어서 락킹상태를 이루고 상기 무빙글래스(22)의 개방을 위해 리어방향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리어수직프레임(62)을 실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어가이드(8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레일(40)은 2개로 이루어지는데 레일 1개씩은 각각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프론트쪽 상하단에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리어레일(50)도 2개로 이루어지고 레일 1개씩은 각각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리어쪽 상하단에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레일(40)은 상기 리어레일(50)보다 실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가 되는 바, 이는 무빙글래스(22)가 닫혀진 상태일 때 무빙글래스프레임(60)을 보다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프론트가이드(70)는 무빙글래스프레임(60)에서 프론트수직프레임(61)에 프론트힌지축(71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레일(40)에 끼워지는 프론트레일락돌기(731)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힌지(730)와, 상기 프론트힌지(730)의 중간부위에 구비된 힌지축부(7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레일(40)에 끼워지는 프런트레일돌기(751)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캐리어(750)로 구성된다.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60)에서 프론트수직프레임(61)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프론트힌지(73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프론트힌지축(71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프론트프레임돌기(6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레일락돌기(731)는 사각단면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레일(40)의 프론트쪽 끝단에는 상기 프론트레일락돌기(7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의 프론트레일락킹홈(41a)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프론트레일락부(41)가 상기 프론트레일(40)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가이드(80)는 무빙글래스프레임(60)에서 리어수직프레임(62)에 리어힌지축(81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어레일(50)에 끼워지는 리어레일락돌기(831)가 상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리어힌지(830)와, 상기 리어힌지(830)의 중간부위에 구비된 제1힌지축부(8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어레일(50)에 끼워지는 리어레일돌기(851)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리어캐리어(8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축부(832)는 양단이 리어힌지(830)의 상하단을 관통해서 돌출된 구조이고, 상기 제1힌지축부(832)의 양단에 리어레일락돌기(831)가 일체로 구비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리어레일락돌기(831)는 사각단면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레일(50)의 프론트쪽 끝단에는 상기 리어레일락돌기(8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의 리어레일락킹홈(51)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리어레일락부(51)가 상기 리어레일(50)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60)에서 리어수직프레임(62)의 상하측에는 상기 리어힌지(83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리어힌지축(81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리어프레임돌기(62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프레임돌기(62a)사이에는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핸들프레임(63)이 상기 리어프레임돌기(62a)와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어수직프레임(62)과 상기 리어프레임돌기(62a)사이에 상기 핸들(90)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핸들설치구멍(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힌지(830)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제1힌지축부(810)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힌지축부(8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핸들(90)은 리어힌지(830)의 제2힌지축부(83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축구멍(91a)이 형성된 핸들바디부(91)와, 상기 핸들바디부(9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설치구멍(64)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핸들프레임(63)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핸들조작부(92)와, 상기 핸들바디부(9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힌지(830)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락킹부(9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락킹부(93)에는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미들수직프레임(31)과 락킹상태를 이루기 위한 핸들락킹홈(9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미들수직프레임(31)에는 상기 핸들락킹홈(93a)으로 삽입되는 기역(ㄱ)자 단면모양을 프레임락킹돌기(3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러쉬글래스 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과 도 14는 무빙글래스(22)가 닫혀진 상태의 도면으로, 이때 무빙글래스프레임(60)은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프론트측 끝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일 때 핸들(90)에 구비된 핸들락킹홈(93a)은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 중 미들수직프레임(31)에 구비된 프레임락킹돌기(31a)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프론트레일락돌기(731)는 프론트레일락킹홈(41a)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레일(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리어레일락돌기(831)도 리어레일락킹홈(51a)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리어레일(50)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무빙글래스프레임(60)은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프론트측 끝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5와 도 16은 무빙글래스(22)의 개방을 위해 핸들(90)을 작동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무빙글래스(22)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는 핸들조작부(92)를 도 14의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왼쪽)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는 바, 이때 핸들(9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의 방향은 무빙글래스(22)가 개방을 위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수평방향(리어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 14의 상태에 있던 핸들(90)이 리어힌지(830)에 구비된 제2힌지축부(833)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도 16과 같이 회전하게 되는 바, 이때 핸들(90)에 구비된 핸들락킹홈(93a)은 도 16과 같이 미들수직프레임(31)에 구비된 프레임락킹돌기(31a)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핸들조작부(92)는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핸들프레임(63)과 접촉해서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리어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게 되며, 동시에 핸들바디부(91)는 리어힌지(830)의 저부와 접촉을 해서 상기 리어힌지(830)를 실내방향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핸들(90)의 회전동작에 의해 리어힌지(830)가 실내방향으로 돌출되고,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리어수직프레임(62)도 실내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이에 따라 무빙글래스(22)의 리어쪽 일측이 픽스드글래스(21)에 대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는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프론트레일(40)과 리어레일(50)을 따라 리어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준비된 상태로, 이때 프론트레일락돌기(731)는 프론트레일락킹홈(41a)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레일(40)의 길이방향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는 프론트힌지(730)가 프론트힌지축(7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능해지는 구조이다.
또한, 리어레일락돌기(831)도 리어레일락킹홈(51a)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리어레일(50)의 길이방향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는 리어힌지(830)가 리어힌지축(8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능해지는 구조이다.
도 17과 도 18은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프론트레일(40)과 리어레일(50)을 따라 리어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로, 즉 무빙글래스(22)가 개방중인 상태의 도면이다.
도 16과 같이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프론트레일(40)과 리어레일(50)을 따라 리어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준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조작부(92)에 힘(화살표 F1)을 가하여 핸들프레임(63)을 리어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프론트레일락돌기(731)와 프론트레일돌기(751)는 프론트레일(40)을 따라 리어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리어레일락돌기(831)와 리어레일돌기(851)도 리어레일(50)을 따라 리어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무빙글래스프레임(60)은 프론트레일(40)과 리어레일(50)을 따라 리어쪽으로 이동하고, 이 결과 무빙글래스(22)도 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무빙글래스(22)는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개방된 무빙글래스(22)를 닫아주고자 할 때 사용자는 도 18에 도시된 핸들프레임(63)에 힘(화살표 F2)을 가하여 핸들프레임(63)을 프론트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러면,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프론트레일(40)과 리어레일(50)을 따라 프론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무빙글래스프레임(60)이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프론트쪽 끝까지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핸들(90)과 프론트레일락돌기(731) 및 리어레일락돌기(831)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은 상태로 다시 전환됨으로써, 무빙글래스(22)는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프론트측 끝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닫혀진 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무빙글래스(21)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는, 무빙글래스(22)의 개방 작동시 사용자가 핸들(90)에 가해주는 힘의 방향과 상기 무빙글래스(22)의 개방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30 - 픽스드글래스프레임 40 - 프론트레일
50 - 리어레일 60 - 무빙글래스프레임
70 - 프론트가이드 710 - 프론트힌지축
730 - 프론트힌지 750 - 프론트캐리어
80 - 리어가이드 810 - 리어힌지축
830 - 리어힌지 850 - 리어캐리어
90 - 핸들

Claims (10)

  1.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에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프론트레일(40) 및 리어레일(50);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프론트수직프레임(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단이 상기 프론트레일(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레일(40)에 끼워져서 설치된 프론트가이드(70);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리어수직프레임(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단이 상기 리어레일(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레일(50)에 끼워져서 설치된 리어가이드(80);
    무빙글래스(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미들수직프레임(31)과 연결되어서 락킹상태를 이루고, 상기 무빙글래스(22)의 개방을 위해 리어방향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무빙글래스프레임(60)의 리어수직프레임(62)을 실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어가이드(8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9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가이드(70)는 상기 프론트수직프레임(61)에 프론트힌지축(71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레일(40)에 끼워지는 프론트레일락돌기(731)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힌지(730); 및
    상기 프론트힌지(730)의 중간부위에 구비된 힌지축부(7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레일(40)에 끼워지는 프런트레일돌기(751)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캐리어(750)로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수직프레임(61)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프론트힌지(73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프론트힌지축(71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프론트프레임돌기(6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레일(40)이 상기 리어레일(50)보다 실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가이드(80)는 상기 리어수직프레임(62)에 리어힌지축(81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어레일(50)에 끼워지는 리어레일락돌기(831)가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리어힌지(830); 및
    상기 리어힌지(830)의 중간부위에 구비된 제1힌지축부(8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어레일(50)에 끼워지는 리어레일돌기(851)가 상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리어캐리어(8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레일락돌기(731)는 사각단면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레일(40)의 프론트쪽 끝단에는 상기 프론트레일락돌기(7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의 프론트레일락킹홈(41a)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프론트레일락부(41)가 상기 프론트레일(40)과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어레일락돌기(831)는 사각단면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레일(50)의 프론트쪽 끝단에는 상기 리어레일락돌기(8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의 리어레일락킹홈(51a)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리어레일락부(51)가 상기 리어레일(50)과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어수직프레임(62)의 상하측에는 상기 리어힌지(83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리어힌지축(81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리어프레임돌기(62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프레임돌기(62a)사이에는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핸들프레임(63)이 상기 리어프레임돌기(62a)와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어수직프레임(62)과 상기 리어프레임돌기(62a)사이에 상기 핸들(90)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핸들설치구멍(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어힌지(830)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제1힌지축부(832)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힌지축부(833)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90)은 상기 제2힌지축부(83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축구멍(91a)이 형성된 핸들바디부(91);
    상기 핸들바디부(9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설치구멍(64)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핸들프레임(63)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핸들조작부(92); 및
    상기 핸들바디부(9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힌지(830)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락킹부(9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핸들락킹부(93)에는 상기 픽스드글래스프레임(30)의 미들수직프레임(31)과 락킹상태를 이루기 위한 핸들락킹홈(9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미들수직프레임(31)에는 상기 핸들락킹홈(93a)으로 삽입되는 기역(ㄱ)자 단면모양을 프레임락킹돌기(3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KR1020110131827A 2011-12-09 2011-12-09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KR10129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27A KR101294191B1 (ko) 2011-12-09 2011-12-09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US13/494,454 US8590960B2 (en) 2011-12-09 2012-06-12 Flush glass assembly for vehicle
CN201210264286.5A CN103158510B (zh) 2011-12-09 2012-06-27 用于车辆的平装式玻璃总成
DE102012105945.4A DE102012105945B4 (de) 2011-12-09 2012-07-04 Bündigglas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27A KR101294191B1 (ko) 2011-12-09 2011-12-09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106A KR20130065106A (ko) 2013-06-19
KR101294191B1 true KR101294191B1 (ko) 2013-08-08

Family

ID=4846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27A KR101294191B1 (ko) 2011-12-09 2011-12-09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90960B2 (ko)
KR (1) KR101294191B1 (ko)
CN (1) CN103158510B (ko)
DE (1) DE10201210594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9933A (zh) * 2017-08-02 2017-11-24 上海海事大学 一种带弧形车窗的汽车车门
KR102575721B1 (ko) * 2018-10-08 2023-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글래스 조립체
KR20210062929A (ko) * 2019-11-22 2021-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쉬 글라스장치
CA3118484A1 (en) * 2021-05-14 2022-11-14 AdvanTec Global Innovations Inc. Boat window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139A (en) 1988-02-01 1989-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ush glass sliding window
US5799444A (en) * 1995-07-06 1998-09-01 Donnelly Corp Sliding vehicle window
KR100406696B1 (ko) 2000-12-07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사이드 글래스 결합구조
KR101189362B1 (ko) 2006-11-24 2012-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러쉬 윈도우 조작레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894B2 (ja) * 1996-07-15 2002-05-2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US20040020131A1 (en) * 2002-04-12 2004-02-05 Jim Galer Slider window assembly
US7073293B2 (en) * 2002-10-30 2006-07-11 Donnelly Corporation Horizontal slider window assembly
US20060107600A1 (en) * 2004-11-01 2006-05-25 Nestell David E Rear slider window assembly for vehicle
US7437852B2 (en) * 2005-02-04 2008-10-21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liding window apparatus
US7641265B2 (en) 2006-10-30 2010-01-05 Pilkington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horizontal slider
US7735897B2 (en) * 2008-02-25 2010-06-15 Pilkington North America, Inc. Vehicle slider assembly
FR2937910A1 (fr) * 2008-11-06 2010-05-07 Wagon Sas Disposiitf d'obturation d'une baie d'un vehicule automobile a panneau coulissant, et vehicule correspondant
EP2228245A1 (en) * 2009-03-13 2010-09-15 Pilkington Italia S.p.A. Slideable window
KR20110131827A (ko)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CN201915767U (zh) * 2010-12-14 2011-08-03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推拉窗的车用双曲玻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139A (en) 1988-02-01 1989-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ush glass sliding window
US5799444A (en) * 1995-07-06 1998-09-01 Donnelly Corp Sliding vehicle window
KR100406696B1 (ko) 2000-12-07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사이드 글래스 결합구조
KR101189362B1 (ko) 2006-11-24 2012-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러쉬 윈도우 조작레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8510B (zh) 2016-09-07
CN103158510A (zh) 2013-06-19
DE102012105945A1 (de) 2013-06-13
US8590960B2 (en) 2013-11-26
DE102012105945B4 (de) 2019-09-12
KR20130065106A (ko) 2013-06-19
US20130145694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191B1 (ko) 차량용 플러쉬글래스 장치
KR10167333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42825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구조
US20080302017A1 (en) Window Latch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20210073116A (ko) 플러쉬 글라스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1371272B1 (ko) 틸팅 슬라이딩 타입 연료도어 구조
KR10125123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용 하드웨어
KR101674552B1 (ko) 역래치식 평면핸들장치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CN107662531B (zh) 用于车辆的拉手总成和车辆
CN209799657U (zh) 具有锁定装置的推拉窗
KR100741668B1 (ko) 창호의 틸트장치
JP6853548B2 (ja) ドア及びドア装置
CN106574475A (zh) 用于配件布置系统的控制元件
TW200940283A (en) Tool box with locking device
KR101536192B1 (ko) 푸쉬풀 도어록
CN105239862B (zh) 门把手装置
JP3143777U (ja) フラット引戸
KR10120257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장치
JP5478912B2 (ja) 網戸固定装置及び網戸、サッシ
KR101265925B1 (ko) 창짝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겸용 하드웨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