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827A -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27A
KR20110131827A KR1020100051467A KR20100051467A KR20110131827A KR 20110131827 A KR20110131827 A KR 20110131827A KR 1020100051467 A KR1020100051467 A KR 1020100051467A KR 20100051467 A KR20100051467 A KR 20100051467A KR 20110131827 A KR20110131827 A KR 20110131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bracket
vehicle
uni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도회
김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0005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827A/ko
Publication of KR2011013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9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mprising a multiplicity of identical adjacent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빔의 양측 하부에 각 일단이 용접되고, 각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브라켓; 양단이 차체 길이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과 함께 압착부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스티프너; 및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 브라켓의 일측에 압입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스티프너의 각 선단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STIFFENER UNIT FOR AUTOMOTIVE BUMPER}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 형상의 브라켓과 스티프너로 구성되어 상호 압착부를 형성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충돌안전 법규를 만족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프너(stiffener) 유닛은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 전방에 위치하는 보강재의 일종으로, 통상 각형의 빔이나 육각형의 허니컴(honey comb) 형상이 적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은 차량의 전방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역에 걸쳐 고르게 전달하는 기능과 함께, 보행자와의 충돌 시 변형되면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은 승용차의 경우 보행자 보호를 위해 범퍼의 하측에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지상고가 비교적 높은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의 경우에는 범퍼의 하측은 물론 그 상측에도 스티프너를 적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은 스티프너의 형상이 복잡하여 범퍼빔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성이 나쁘며, 그 강성이 너무 클 경우, 굽힘각이나 감가속도와 관련된 보행자 대응 충돌안전 법규를 만족하지 못하는 동시에, 실제 보행자 충돌 시 상해치가 크게 증대되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범퍼빔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각 브라켓의 각 선단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파이프 형상의 스티프너 양단을 삽입하여 상호 압입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의 완충작용에 의해 굽힘각 및 감가속도와 관련된 충돌안전 법규를 만족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은 범퍼빔의 양측 하부에 각 일단이 용접되고, 각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브라켓; 양단이 차체 길이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과 함께 압착부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스티프너; 및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 브라켓의 일측에 압입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스티프너의 각 선단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프너의 직경은 상기 브라켓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라켓은 그 일단이 상기 범퍼빔의 양측 하부를 관통하여 일정구간 삽입된 상태로, 범퍼빔과 상호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는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부와,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부에 삽입된 스트프너의 양단부가 상호 겹치는 부분에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개소에 압입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부 일측에서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개소에 내측으로 압입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티프너와 동일한 직경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에 의하면, 범퍼빔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각 브라켓의 각 선단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파이프 형상의 스티프너 양단을 삽입하여 상호 겹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상호 압입에 의한 압착부를 형성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완충작용에 의해 굽힘각 및 감가속도와 관련된 충돌안전 법규를 만족하여 충돌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이 적용된 범퍼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의 조립부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이 적용된 범퍼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브라켓(11,13)과 스티프너(15) 및 스프링(17)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1,13)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범퍼빔(1)의 양측 하부에 각 일단이 용접되고, 각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브라켓(11,13)은 그 일단이 상기 범퍼빔(1)의 양측 하부를 관통하여 일정구간 삽입된 상태로, 범퍼빔(1)과 상호 용접(W)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프너(15)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각 브라켓(11,13)의 타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11,13)과 함께 압착부(20)를 형성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스티프너(15)도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티프너(15)의 직경(D1)은 상기 브라켓(11,13)의 내경(D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브라켓(11,13)의 각 타단에 삽입된다.
상기 압착부(2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브라켓(11,13)의 타단부에 대하여 스티프너(15)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로 상호 겹치는 부분에 그 둘레를 따라 4개소에 압입홈(21)을 형성하여 각 브라켓(11,13)으로부터 스티프너(15)가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7)은 상기 각 브라켓(11,13)의 타단부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 브라켓(11,13)의 일측에 압입되어 형성되는 지지부(30)와 상기 스티프너(15)의 각 선단 사이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각 브라켓(11,13)의 타단부 일측에서 그 둘레를 따라 4개소에 내측으로 압입홈(3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17)의 일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17)은 상기 스티프너(15)와 동일한 직경(D1)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10)은 범퍼빔(1)의 하부 양측에 파이프 형상의 각 브라켓(11,13)이 용접(W) 고정된 상태로, 각 브라켓(11,13)의 선단에 스프링(17)을 개재하여 작은 직경(D1)을 갖는 스티프너(15)의 양단을 삽입한 다음, 상호 겹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4개소에 압입에 의한 압착부(20)를 형성하여 간단하게 조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1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프너(15)의 전방으로부터 충격력(F)이 작용할 경우, 스티프너(15)와 양측 브라켓(11,13) 사이의 압착부(20)가 먼저 붕괴되어 풀리면서 1차적인 충격력(F)의 흡수 작동을 이루고, 상기 각 브라켓(1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부(30)와 스티프너(15) 양단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7)이 2차로 완충작용을 이루어 굽힘각 및 감가속도와 관련된 충돌안전 법규를 만족하여 충돌 안정성을 높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범퍼빔 10: 스티프너 유닛
11,13: 브라켓 15: 스티프너
17: 스프링 20: 압착부
30: 지지부 21,31: 압입홈

Claims (6)

  1. 범퍼빔의 양측 하부에 각 일단이 용접되고, 각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브라켓;
    양단이 차체 길이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과 함께 압착부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스티프너; 및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 브라켓의 일측에 압입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스티프너의 각 선단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스티프너의 직경은
    상기 브라켓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3. 제1항에서,
    상기 각 브라켓은
    그 일단이 상기 범퍼빔의 양측 하부를 관통하여 일정구간 삽입된 상태로, 범퍼빔과 상호 용접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4. 제1항에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부와,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부에 삽입된 스트프너의 양단부가 상호 겹치는 부분에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개소에 압입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5.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 브라켓의 타단부 일측에서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개소에 내측으로 압입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6. 제1항에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티프너와 동일한 직경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KR1020100051467A 2010-05-31 2010-05-31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KR20110131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67A KR20110131827A (ko) 2010-05-31 2010-05-31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67A KR20110131827A (ko) 2010-05-31 2010-05-31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27A true KR20110131827A (ko) 2011-12-07

Family

ID=4550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67A KR20110131827A (ko) 2010-05-31 2010-05-31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8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945A1 (de)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 Bündigglas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KR101719539B1 (ko) * 2015-12-18 2017-03-2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945A1 (de)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 Bündigglas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12105945B4 (de) 2011-12-09 2019-09-12 Hyundai Motor Company Bündigglas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KR101719539B1 (ko) * 2015-12-18 2017-03-2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096B2 (en) Bumper assembly for vehicle
JP5078597B2 (ja) 衝撃吸収構造
US20140008936A1 (en) Vehicle having dual front side member
US9365240B2 (en) Frontal collisio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5130878B2 (ja) 衝撃吸収構造体
KR10106138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JP2006224728A (ja) フレーム付き車の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構造
KR20110131827A (ko)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KR20140063198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US9174594B2 (en) Crash box for vehicle
KR101826541B1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JP4914314B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JP5729864B2 (ja) バンパステー
KR101547279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350011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범퍼 스테이
KR101932689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1526420B1 (ko) 불연속 다중 오버랩 차체 멤버
KR10245647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KR10133804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238677B1 (ko) 차량용 범퍼빔
KR101539601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685398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594489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CN108860039A (zh) 一种汽车用吸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