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889B1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889B1
KR101923889B1 KR1020130131914A KR20130131914A KR101923889B1 KR 101923889 B1 KR101923889 B1 KR 101923889B1 KR 1020130131914 A KR1020130131914 A KR 1020130131914A KR 20130131914 A KR20130131914 A KR 20130131914A KR 101923889 B1 KR101923889 B1 KR 10192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rail
vehicle
roller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809A (ko
Inventor
조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8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 등의 차량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부에서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길이방향으로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레일홀을 구비하는 레일, 일단에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롤러암 및 상기 롤러암에 힌지 결합되고 케이블을 통해 도어 핸들과 연결되며 하단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핸들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고정부의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 또는 방출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전자가 직접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어 상업적 목적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경사로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닫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며, 슬라이딩 도어 구조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킨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승합차 등의 차량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핸들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고정부의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 또는 방출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여 운전자가 직접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V(Recreational Vehicle)차량이나 밴(van) 등의 승합차는 측부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여 넓은 개구를 확보하고 탑승자의 승·하차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의 측부에 위치하며, 개폐시 차량의 측부 공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를 후방으로 미끄러져 포개는 미닫이 방식으로 주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는, 차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도어(1) 내측면에 장착된 롤러(미도가)가 상기 레일(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도어(1)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도어(1)를 개방하였을 때 차체에 결합된 스트라이커(3)와 슬라이딩 도(1)어 내측면에 장착된 래치(미도시)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차량의 종류별로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량을 각기 달리 설정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량을 수정하고 싶을 경우 직접 하지 못하고 수리센터에 가서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변경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경사로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종종 스트라이커가 완전히 래치와 체결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고 슬라이딩 도어를 놓음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와 차체 사이에 탑승자의 신체가 끼여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직접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어 상업적 목적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경사로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닫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며, 슬라이딩 도어 구조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킨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측부에서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길이방향으로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레일홀을 구비하는 레일; 일단에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롤러암; 및 상기 롤러암에 힌지 결합되고 케이블을 통해 도어 핸들과 연결되며 하단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핸들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고정부의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 또는 방출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차폭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롤러암 사이는 탄성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가 고정부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는, 상기 롤러암을 기준으로 돌출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상기 도어 핸들에 조작력이 가해지면 케이블을 통해 고정부가 롤러암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가 레일홀에서 방출되며, 상기 롤러는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고정부가 롤러암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는 걸림부의 삽입으로 인해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도어 핸들에 조작력이 가해지면 걸림부가 레일홀에서 방출되어 롤러가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도어 핸들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되어 롤러가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직접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탑승자는 도어 핸들을 놓음으로써 간단하게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할 수 있어 경사로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닫혀서 발생하는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비교적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이루어져 고장의 우려가 낮으며 조립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종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서 사용되는 스트라이커 등을 제거 할 수 있어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어 차량 연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측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및 고정부가 레일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서 도어 핸들에 조작력을 가했을 때 걸림부 및 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서 도어 핸들에 조작력을 해제하였을 때 걸림부 및 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는, 차량의 측부에서 도어 핸들(50)을 조작하여 길이방향으로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레일홀(16)을 구비하는 레일(10), 일단에 상기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22)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22)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롤러암(20) 및 상기 롤러암(20)에 힌지 결합되고 케이블(52)을 통해 도어 핸들(50)과 연결되며 하단에 걸림부(32)가 형성되는 고정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핸들(50)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고정부(30)의 걸림부(32)가 레일홀(16)에 삽입 또는 방출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은 슬라이딩 도어(미도시)에 인접한 차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될 때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은 후술되는 롤러(22)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부 레일(12) 및 하부 레일(14)로 이루어진 'ㄷ'자 형태의 강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레일(14)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레일홀(16)이 관통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홀(16)은 레일(10)의 전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원하는 곳 어디든 후술되는 고정부(30)를 레일홀(16)에 걸어 슬라이딩 도어(미도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레일(14)은 상부 레일(1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하부 레일(14)은 레일홀(16)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 레일(12)의 약 2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12)과 하부 레일(14)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롤러(22)는 차폭방향으로 형성된 롤러암(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롤러암(20)의 타단에는 롤러(22)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는 상기 롤러암(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상단에 연결된 케이블(52)을 통해 도어 핸들(도 3의 50)과 연결되어 도어 핸들(50)의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의 하단에는 레일홀(16)에 삽입 가능한 걸림부(32)가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미도시)가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32)는 고정부(30)의 좌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후크(hook)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방법으로는, 도어 핸들(50)에 작용하는 힘을 검출하여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에서 제어되는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고정부(30)로 전달하고 전달된 전기신호를 통해 고정부(30)에 연결된 모터를 회전시켜 걸림부(32)를 레일홀(16)에 삽입시키는 전자식 방법 또는 스프링, 케이블(52) 등 기계적인 구조를 통해 걸림부(32)를 레일홀(16)에 삽입시키는 기계식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방법 중 기계식 방법은 전자식 방법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낮으며 조립 과정에서 작업공수 및 조립시간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는 기계식 방법에 의해 작동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의 우상단에는 차폭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4)와 롤러암(20) 사이는 탄성부(4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40)는 롤러암(20)을 기준으로 돌출부(3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40)는 롤러암(20)에 일단이 고정되고 돌출부(34)에 타단이 결합되어 도어 핸들(50)의 조작력이 해제되었을 때 고정부(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부(32)가 레일홀(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탑승자가 도어 핸들(50)을 손에서 놓거나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도어 핸들(50)에 어떠한 조작력도 가하지 않는 경우 걸림부(32)는 레일홀(1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핸들(50)을 놓았을 때 슬라이딩 도어가 바로 고정되는 구조를 통해 경사로 등에서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슬라이딩 도어와 차체 사이에 끼여 발생하는 상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움직일 경우, 도어 핸들(50)을 손으로 잡고 도어 핸들(50)에 조작력을 가하게 된다.
도어 핸들(50)에 가해진 조작력은 케이블(52)을 통해 고정부(30)로 전달되어 고정부(30)가 롤러암(20)을 기준으로 정방향(도시된 실시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고정부(30)에 형성된 걸림부(32)는 레일홀(16)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걸림부(32)의 저지 없이 슬라이딩 도어를 레일(10) 상에서 자유롭게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고정할 경우, 도어 핸들(50)을 손에서 놓고 도어 핸들(50)에 조작력을 해제하게 된다.
도어 핸들(50)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롤러암(20)과 돌출부(34)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30)는 롤러암(20)을 기준으로 반대방향(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고정부(30)에 형성된 걸림부(32)는 레일홀(16)에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는 걸림부(32)의 고정력에 의해 고정되어 레일(10) 상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레일
12 : 상부 레일
14 : 하부 레일
16 : 레일홀
20 : 롤러암
22 : 롤러
30 : 고정부
32 : 걸림부
34 : 돌출부
40 : 탄성부
50 : 도어 핸들
52 : 케이블

Claims (5)

  1. 차량의 측부에서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길이방향으로 개폐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레일홀을 구비하는 레일;
    일단에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롤러암; 및
    상기 롤러암에 힌지 결합되고 케이블을 통해 도어 핸들과 연결되며 하단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핸들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고정부의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 또는 방출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차폭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롤러암 사이는 탄성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가 고정부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롤러암을 기준으로 돌출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에 조작력이 가해지면 케이블을 통해 고정부가 롤러암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가 레일홀에서 방출되며,
    상기 롤러는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고정부가 롤러암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가 레일홀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는 걸림부의 삽입으로 인해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20130131914A 2013-11-01 2013-11-0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192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14A KR101923889B1 (ko) 2013-11-01 2013-11-0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14A KR101923889B1 (ko) 2013-11-01 2013-11-0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09A KR20150050809A (ko) 2015-05-11
KR101923889B1 true KR101923889B1 (ko) 2018-11-29

Family

ID=5338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914A KR101923889B1 (ko) 2013-11-01 2013-11-0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8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404A (ja) 2006-11-30 2008-06-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404A (ja) 2006-11-30 2008-06-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09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31B2 (en) Electric door-locking system using a cam
US8245447B2 (en) Slide door assembly with safety device
US10337227B2 (en) Rear access door latch and sealing systems
JP6264995B2 (ja) ドアポップアップ装置
KR101542981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US20150076835A1 (en) Overslam bumper for vehicle door latch
JP5212705B2 (ja) スライドドアのハーネス配線装置
KR10167333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US20220106822A1 (en) Four-Bar Linkage Apparatus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or Vehicle from Swaying
WO2009084499A1 (ja)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装置
US10352069B2 (en) Locking lever and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20140126720A (ko) 후퇴 가능한 래치 범퍼
JP5212704B2 (ja) スライドドアのハーネス配線装置
JP2007039981A (ja) 車両用ドアのチェック機構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KR10192388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151864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US20150376918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1744587B1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JP3896028B2 (ja) 開閉ロック装置
CN103362377B (zh) 车辆车门手动锁定组件
KR101519247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JP4672547B2 (ja) 中間ストッパ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ドア
JP2015004195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