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029A -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029A
KR20160051029A KR1020140150372A KR20140150372A KR20160051029A KR 20160051029 A KR20160051029 A KR 20160051029A KR 1020140150372 A KR1020140150372 A KR 1020140150372A KR 20140150372 A KR20140150372 A KR 20140150372A KR 20160051029 A KR20160051029 A KR 2016005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melting point
warp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455B1 (ko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서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교 filed Critical 서용교
Priority to KR102014015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7UV radiation protec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로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1~10mm폭의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 및 투명필름사(6)중 하나와 직물조직의 흩트러짐 방지를 위한 20~1000데니어굵기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이 이루어진 경사군(P)을 형성하는 경사공급부(20)와,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를 교대로 공급하는 위사공급부(30)와, 위사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위사(W)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 를 경사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군(P)의 경사 개구에 교대로 투입하여 경위사에 의한 직조로 직물 중간재(10)를 얻는 직조부(40)와,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에 열가압하여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직 경위사끼리의 열융착으로 합접하여 직물완성재(12)를 얻는 열셋팅부(50)와, 열셋팅부(50)를 통과한 직물완성재(12)를 권취하는 직물 권취부(60)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SHIELDABLE WOWEN FABRICS CAPABLE OF ADJUSTING THERMAL REFLECTANCE OR LIGHT TRANSMITTANCE}
본 발명은 빛 반사로 열차단이나 투광율 조절을 할 수 있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차단율의 조절이나 투광율 조절이 용이한 직물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내 재배식물이나 노지에서 인삼, 포도 등의 재배시 뜨거운 태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그늘막 수단으로서 차광막이나 차광덮개가 사용된다.
차광막이나 차광덮개와 같은 일반적인 차광 농자재에서 보다 발전되어 여름철의 강한 햇볕을 받아도 흡수되지 않고 반사시켜서 구조물 내부가 보다 서늘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현 일예가 있는데, 차광망의 일측면에 은박지차광막을 형성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14099호(2001. 02. 15.) "비닐하스용 차광덮개"로 개시되어 있다.
온실에서도 내부의 열손실을 방지나 외부의 태양열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단열성 커버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건물(특히 통유리로 외관을 형성한 건물)의 창문을 통해 태양광의 열과 빛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버티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막장치, 커튼 등의 다양한 차광재가 설치되고 있다. 태양광은 전도, 대류, 복사의 형태로 전달되는 열과 함께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투입되는바, 건물의 창을 통하여 들어오는 빛과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버티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막장치, 커튼 등의 다양한 차광재가 창문이나 통유리가 있는 위치의 실내 측에 설치되고 있다.
태양광의 빛과 열의 반사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커튼장치를 구성시 커튼의 루버와 같은 반사면을 갖는 금속박판을 부착하여 반사거울면을 형성하기도 하며, 커튼 제직시에 이면에 메탈릭사를 혼용 직조하여서 반사면을 형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루버에 금속박판을 부착하는 커튼장치는 작업성이 낮고 스크러치내성도 떨어지고 제작단가도 비싼 단점이 있고, 메탈릭사를 혼용 직조하여 이면에 반사면을 형성한 커튼의 경우도 열차단을 위한 반사효율이 높지 않고 가격 경쟁력도 저하되는 불리함이 있다.
그러므로 만일 열차단효과가 뛰어나고 저렴하며 내구성이 있고 열차단율 조절이 용이한 차광직물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하며 심지어 UV차단이나 방오성을 갖는 직물 및 그 제조장치가 개발된다면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14099호(2001. 02. 15.) "비닐하스용 차광덮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단율의 조절 직조가 용이하고 열차단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저렴하며 직조물의 내구성도 뛰어난 직물을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광율 조절이 가능하고 저렴하며 직조물의 내구성이 좋고 UV차단이나 방오성 등의 기능성을 갖는 직물을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1~10mm폭의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 및 투명필름사(6)중 하나와 직물조직의 흩트러짐 방지를 위한 20~1000데니어굵기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이 이루어진 경사군(P)을 형성하는 경사공급부(20)와,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를 교대로 공급하는 위사공급부(30)와, 위사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위사(W)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 를 경사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군(P)의 경사 개구에 교대로 투입하여 경위사에 의한 직조로 직물 중간재(10)를 얻는 직조부(40)와,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에 열가압하여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직 경위사끼리의 열융착으로 합접하여 직물완성재(12)를 얻는 열셋팅부(50)와, 열셋팅부(50)를 통과한 직물완성재(12)를 권취하는 직물 권취부(6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열셋팅부(50)는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를 감아서 당기고 직물을 감아두는 크로스로울러(60a)로 보내기 위한 테이크업 롤러(54)에 직물 중간재(10)를 매개로 가압 접촉하는 프레스롤러(56,58)를 구비하고, 프레스롤러(56,58)중 하나 이상에는 저융점사(4)의 용융온도로 작동하는 히터(H)가 내장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로 된 경사군을 형성하되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서 경사의 일부를 반사필름사(2) 대신에 투명필름사(6)를 사용하여 경사군을 형성하여 경사공급부(20)로부터 직기의 직조부(40)에 공급되게 하고, 위사공급부(30)로부터는 위사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가 종광에 의한 경사 개구시에 교대로 투입되게 하여서 직기의 직조부(40)에서의 직조 형성으로 직물 중간재(10)를 얻게 한 다음, 직물을 권취하기 위해 감아당기는 직기의 테이크업 롤러(54)에 면접 가압하는 프레스롤러(56)(58)에 히터(H)를 내장하여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직 경위사가 열융착으로 합접하여서 직물 완성재(12)에서의 조직 흩트러짐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로서 열차단용 반사필름사나 투명필름사 및 저융점사를 이용하고 위사로서 투명필름사와 저융점사를 이용하는 직조를 통해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직조와 동시에 경위사로 포함된 저융점사를 이용하여 직물 조직의 흩트러짐을 방지하는 열셋팅 처리를 행하여 바로 직물 완성재를 생산하므로 저렴한 설비 비용으로 직물을 제작할 수 있고, 또 반사필름사나 투명필름사의 비율을 달리하여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용이하고 직물이 저렴하면서도 열차단효과가 뛰어나며 직조물의 내구성도 뛰어난 직물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기능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로 직조된 75% 차광율을 갖는 직물의 조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로 직조된 66.6% 차광율을 갖는 직물의 조직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로 직조된 50% 차광율을 갖는 직물의 조직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장치로 직조된 0% 차광율을 갖는 직물의 조직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이용된 저융점사를 구성하는 저융점 필라멘트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직조된 직물 완성재의 요부 사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차단용 반사필름사, 투명필름사와 아울러 저융점사를 이용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은 제조장치에 의한 직조를 통해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이 조절되어진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라 제조 완성된 직물은 사용자가 원하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확보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특성을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공급부(20), 위사공급부(30), 직조부(40), 열셋팅부(50), 및 직물권취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도 1에서와 같이 직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62)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부(64)도 함께 구비한다.
경사공급부(20)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1~10mm폭의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 및 투명필름사(6)중 적어도 하나와 직물조직의 흩트러짐 방지를 위한 20~1000데니어굵기 저융점사(4)의 교번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이 이루어진 경사군(P)을 형성한다. 경사공급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빔(warp beam)에 수많은 경사들이 감겨져 경사군(P)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 크릴(creel)들을 이용해서 수많은 경사를 가지는 경사군(P)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경사공급부(20)로부터 권출된 수많은 경사들은 도 1의 안내롤(24)(26) 등을 통해 안내되어져서 직기의 직조부(40)에 공급된다.
경사공급부(20)로부터 권출된 경사군(P)의 경사는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투명필름사(6)중 적어도 하나, 및 저융점사(4)를 포함한다. 즉 경사는 반사필름사(2)와 투명필름사(6) 및 저융점사(4)로 구성하거나, 반사필름사(2)와 저융점사(4)로 구성하거나,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로 구성할 수 있다.
경사(P)들 중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투명필름사(6)는 직물의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서 적절히 혼용되며, 그 필름사(2)(6)의 폭은 1~10mm으로 형성된다.
필름사(2)(6)는 PP나 PE와 같은 수지재 세절사가 연신과정을 거쳐서 제조되므로 그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좌우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인바 알루미늄 증착피막이 일면에 형성된 반사필름사(2)의 경우 필름사 면적에 비례하여 열차단 반사효율이 좋게 되며 투명필름사(6)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투광효율이 좋아진다.
경사군(P)을 형성하는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투명필름사(6) 간의 혼용 비율의 예시로서, 도 3의 경우는 4:1, 도 4의 경우는 2:1, 도 5의 경우는 1:1, 도 6의 경우는 0:1로 조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경사군(P)의 일부 경사를 구성하는 저융점사(4)는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나 투명필름사(6)에 교번 배열되는 것이므로 항상 필름사(2)(6)의 좌우측에 이웃해 배치된다.
저융점사(Low Melting yarn)(4)는 다수의 저융점 필라멘트사가 연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저융점 모노사 형태로 형성되며 도 7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저융점사(4)를 구성하는 각 저융점 필라멘트사(4p)는 예컨대 폴리에스터사 중에서도 일반 폴리에스테르 융점을 갖는 심부(core)(4a)와 그 심부(4b)에 비해 낮은 융점을 갖는 외곽부(sheath)(4b)로 구성되는 것이다.
저융점사(4)는 그 외곽부(4b)의 융점이 120~160℃이며,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나 투명필름사(6)의 융점(예컨대 200℃)은 저융점사(4)의 융점(120~16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저융점사(4)는 그 굵기가 20~1000데니어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70~200데니어로 형성하는 것으로, 경사로 배치되어진 저융점사(4)는 투명필름사(6) 위사와 교호적으로 투입되는 저융점사(4) 위사와의 열 융착을 통해 합접됨으로써 직조되어진 필름사(2)(6)의 조직 와해(흩트러짐)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로 된 경사군(P)을 형성하되,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서 경사의 일부를 반사필름사(2) 대신에 투명필름사(6)가 사용되어 경사군(P)을 형성하거나, 또 직물이 높은 열차단율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투명필름사(6) 경사의 사용 없이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로 된 경사군(P)을 형성할 수 있고, 또 높은 기능성 투광율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사 필름사(2) 경사의 사용없이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된 다수의 경사들이 경사군(P)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경사군(P)의 일부 경사를 형성하는 투명필름사(6)는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필름사로서 구현하는 것이 양호하다. 일 예로는 그 표면이 깨끗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필름사(6) 일면에 광촉매코팅막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태양광 중에서 자외선만을 차단하기 위해서 투명필름사(6)의 일면에 투명 UV차단막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군(P)을 경사공급부(20)로부터 공급받는 직기의 직조부(40)에 투입되는 위사(W)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가 교대로 이용된다.
즉, 위사공급부(30)는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를 교대로 직조부(40)에 공급한다.
직조부(40)는 위사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위사(W)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를, 경사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군(P)의 경사 개구에 교대로 투입하여서 경위사에 의한 직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수단이며, 직조부(40)로부터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직물 중간재(10)가 배출된다.
직조부(40)가 예컨대 에어제트직기일 경우, 그 직기에서의 제직은 종광(42)에서 경사를 상하로 나누어서 위사(W)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운동(Shedding Motion)과, 개구운동으로 형성된 개구로 위사를 송출하여 통과시키는 북침운동(Picking Motion)과, 개구를 통과한 위사를 바디(44)로서 펠플레이트까지 밀어주어 경사와 위사가 하나의 조직을 이루도록 하는 바디침운동(Beating Motion)에 의하여 제직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제직과정에서 개구운동은 많은 수의 경사를 연결하고 있는 종광(42)을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작동시킴으로써 위사가 지나갈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며, 이러한 종광(42)은 한 쌍의 종광프레임을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엇갈리게 운동시킴에 의해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바디침운동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바디샤프트가 각운동을 함으로써 바디샤프트에 고정된 바디(44)가 전후방향으로 일정하게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제트직기는 한번의 개구운동에 한개 위사가 투입되어서 제직이 되어지며, 하나의 개구에 여러개의 위사를 넣어 제직코자 하는 경우에는 이전과 동일한 개구 형태가 되는 경사 개구운동을 반복해야 한다.
직조부(40)에 의해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는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저융점사(4)의 혼용 비율조절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 직조가 이루어진 직물로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일예가 있으며, 직물중간재(10)에 포함된 경위사로서 저융점사(4)가 바둑판처럼 배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로 직조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조직 구성도로서, 도 3은 75% 차광율, 도 4는 66.6% 차광율, 도 5는 50% 차광율, 도 6은 거의 0% 차광율 즉 거의 100%의 투광율을 갖는 직물의 조직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에서 "S1"부분은 직물조직의 요부 확대 조직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의 조직 형성은 평직, 능직('사문직'이라고도 함)이나 수자직('주자직'이라고도 함) 조직이나, 레노조직(얼킴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노조직의 경우는 직기에 특수 부속장치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노조직은 경사중 필름사(2)(6)는 제외하고 저융점사(4) 경사가 두가닥이 서로 꼬여져 8자형을 만들면서 위사가 삽입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필름사(2)(6)의 조직을 더욱 견고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로서 필름사(2)(6)와 저융점사(4)가 교번 배열되게 형성하며, 위사로 투입된 투명필름사(6)는 경사로 사용된 필름사(2)(6)의 배면을 덮도록 직조되므로 경사로 제공된 필름사(2)(6)의 본연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다. 그리고 위사로 투입되는 저융점사(4)는 투명필름사(6)의 좌우측에 항상 이웃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직물 중간재(10)를 직조부(40)에서 직조형성한 후에는 직기 내에 구비된 열셋팅부(50)를 통과시킨 후 직물권취부(60)에 바로 권취를 하게 된다.
즉 직물 중간재(10)를 직조부(40)에서 직조형성한 후 저융점사(4)의 외곽부(4b)를 충분히 용융시킬 정도의 온도(120~180℃)로 작동하는 히터(H)를 갖는 프레스 롤러(56)(58)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차 경위사가 열융착되게 고정함으로써 도 8과 같은 직물 완성재(12)를 얻는다.
도 8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완성재(12)는 도 10내 "A"로 지시한 점선원의 단면에서와 같이 경위사 저융점사(4)끼리 융융후 합접 고정함으로써 필름사(2)(6)들이 포함된 직물 조직의 흩트러짐을 방지하므로 직조물의 내구성도 뛰어나다.
직물중간재(10)내 포함된 경위사 저융점사(4)끼리 융착 합접되도록 본 발명에서는 직조부(40)와 직물 권취부(60) 간에 열셋팅부(50)를 구비한다.
열셋팅부(50)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직기에는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를 감아서 당겨주는 테이크업 롤러(take-up roller)(54)를 구비하며, 또 테이크업 롤러(54)의 후부에는 직물을 감아두는 크로스로울러(60a) 즉 직물 권취부(60)를 구비한다. 그리고 테이크업 롤러(54)를 휘감은 후 크로스로울러(60a)로 보내지는 직물 중간재(10)를 테이크업 롤러(54) 면측으로 가압 접촉하는 프레스롤러(56,58)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셋팅부(50)를 구성함에 있어, 프레스롤러(56,58)중 적어도 하나에는 저융점사(4)의 용융온도 120~180℃로 작동하는 히터(H)가 내장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열셋팅부(50)의 구성은 기존 직기의 개조가 별로 없으면서도 구현 가능하게 해주며 직조된 직물이 별도의 후가공처리를 요구하지 않고, 직조와 동시에 열셋팅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직물의 제작비도 저렴해지는 이점을 허락한다.
그러므로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에는 열셋팅부(50)에 의한 열가압으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직 경위사끼리가 열융착으로 합접되면서 직물완성재(12)를 얻어지며, 직물완성재(12)는 크로스로울러(60a)인 직물권취부(60)에 권취된다.
본 발명의 직물 완성재(12)는 도 8에 도시된 같이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투명필름사(6) 및 저융점사(4)를 이용한 직조가 이루어진 직후에 바로 열셋팅부(50)에 의해서 열셋팅 처리되어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을 얻음과 동시에 필름사(2)(6)들이 포함된 직물 조직의 흩트러짐을 방지하므로 직조물의 내구성도 뛰어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직물 완성재(12)는 반사필름사(2)나 투명필름사(6)의 비율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용이하고 직물이 내구성이 있고 가벼우며 저렴하면서도 열차단효과나 기능성을 갖는 투광효과도 우수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로서 건축용 실내 커튼이나 온실이나 농자재용 차광망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열차단용 반사필름사 (4)-- 저융점사
(4a)-- 심부 (4b)-- 외곽부
(4p)-- 저융점필라멘트사 (6)-- 투명필름사
(10)-- 직물 중간재 (12)-- 직물 완성재
(20)-- 경사공급부 (30)-- 위사공급부
(40)-- 직조부 (50)-- 열셋팅부
(60)-- 직물 권취부

Claims (5)

  1.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1~10mm폭의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 및 투명필름사(6)중 하나와 직물조직의 흩트러짐 방지를 위한 20~1000데니어굵기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이 이루어진 경사군(P)을 형성하는 경사공급부(20)와,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를 교대로 공급하는 위사공급부(30)와,
    위사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위사(W)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 를 경사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군(P)의 경사 개구에 교대로 투입하여 경위사에 의한 직조로 직물 중간재(10)를 얻는 직조부(40)와,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에 열가압하여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직 경위사끼리의 열융착으로 합접하여 직물완성재(12)를 얻는 열셋팅부(50)와,
    열셋팅부(50)를 통과한 직물완성재(12)를 권취하는 직물 권취부(6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열셋팅부(50)는 직조부(40)에서 직조된 직물 중간재(10)를 감아서 당기고 직물을 감아두는 크로스로울러(60a)로 보내기 위한 테이크업 롤러(54)에 직물 중간재(10)를 매개로 가압 접촉하는 프레스롤러(56,58)를 구비하고, 프레스롤러(56,58)중 하나 이상에는 저융점사(4)의 용융온도로 작동하는 히터(H)가 내장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열셋팅부(50)의 히터(H)는 저융점사(4)를 용융하기 위해 120~180℃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장치.
  4.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와 저융점사(4)의 교차 배열로 다수의 경사들로 된 경사군을 형성하되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을 위해서 경사의 일부를 반사필름사(2) 대신에 투명필름사(6)를 사용하여 경사군을 형성하여 경사공급부(20)로부터 직기의 직조부(40)에 공급되게 하고,
    위사공급부(30)로부터는 위사로서 투명필름사(6)와 저융점사(4)가 종광에 의한 경사 개구시에 교대로 투입되게 하여서 직기의 직조부(40)에서의 직조 형성으로 직물 중간재(10)를 얻게 한 다음,
    직물을 권취하기 위해 감아당기는 직기의 테이크업 롤러(54)를 면접 가압하는 프레스롤러(56)(58)에 히터(H)를 내장하여서 직물 중간재(10)에 포함된 저융점사(4)의 교직 경위사가 열융착으로 합접하여서 직물 완성재(12)에서의 조직 흩트러짐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직물중간재(10)는 평직, 능직, 수자직, 레노조직중 하나로 된 섬유조직을 형성하고, 열차단용 반사필름사(2)나 투명필름사(6)는 저융점사(4)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필름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50372A 2014-10-31 2014-10-31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67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72A KR101674455B1 (ko) 2014-10-31 2014-10-31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72A KR101674455B1 (ko) 2014-10-31 2014-10-31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29A true KR20160051029A (ko) 2016-05-11
KR101674455B1 KR101674455B1 (ko) 2016-11-09

Family

ID=5602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372A KR101674455B1 (ko) 2014-10-31 2014-10-31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81A (ko) * 2017-10-26 2019-05-07 남이식 메쉬원단의 제직 및 열융착처리 장치
KR102071226B1 (ko) * 2019-10-23 2020-01-30 윤효상 차광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049B1 (ko) * 2018-09-14 2020-04-20 서용교 광폭용 연폭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64216B1 (ko) * 2019-06-28 2020-01-09 국방과학연구소 비대칭 직물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430U (ko) * 1990-02-19 1991-11-06
JPH09275821A (ja) * 1996-04-17 1997-10-28 Chisso Corp ネット状の農業用資材
KR200214099Y1 (ko) 2000-08-19 2001-02-15 김경환 비닐하우스용 차광덮개
JP2005204512A (ja) * 2004-01-20 2005-08-04 Nippon Wide Cloth Kk 農業用ネット
KR20110111973A (ko) * 2010-04-06 2011-10-12 김인효 저융점사를 이용한 광택소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430U (ja) 2004-08-27 2005-02-03 大豊化学工業株式会社 農業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430U (ko) * 1990-02-19 1991-11-06
JPH09275821A (ja) * 1996-04-17 1997-10-28 Chisso Corp ネット状の農業用資材
KR200214099Y1 (ko) 2000-08-19 2001-02-15 김경환 비닐하우스용 차광덮개
JP2005204512A (ja) * 2004-01-20 2005-08-04 Nippon Wide Cloth Kk 農業用ネット
KR20110111973A (ko) * 2010-04-06 2011-10-12 김인효 저융점사를 이용한 광택소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81A (ko) * 2017-10-26 2019-05-07 남이식 메쉬원단의 제직 및 열융착처리 장치
KR102071226B1 (ko) * 2019-10-23 2020-01-30 윤효상 차광망
WO2021080125A1 (ko) * 2019-10-23 2021-04-29 윤효상 차광망
US11939706B2 (en) 2019-10-23 2024-03-26 Seung Chan HWANG Light shielding 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55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769B1 (ko)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
KR101674455B1 (ko)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0857260B1 (ko)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US9140061B2 (en)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137485B1 (ko) 차광부와 채광부로 구성된 블라인드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9216594A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KR101450060B1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0919112B1 (ko)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796499B1 (ko)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KR20160051028A (ko)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 직조가 가능한 직물
CN104532449B (zh) 一种外观及功能多面转换式百叶织物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KR101577665B1 (ko)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0016A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KR20140134514A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101411404B1 (ko) 공기층을 갖는 입체형 롤블라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34511A (ko) 개폐종방실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20100045947A (ko) 차광부와 채광부가 종횡 양방향으로 구성된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AU2012201436B2 (en) The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1450062B1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2012011637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입체커튼지 및 그 롤브라인드
KR20100012292A (ko) 커튼지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