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499B1 -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 Google Patents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499B1
KR101796499B1 KR1020170029091A KR20170029091A KR101796499B1 KR 101796499 B1 KR101796499 B1 KR 101796499B1 KR 1020170029091 A KR1020170029091 A KR 1020170029091A KR 20170029091 A KR20170029091 A KR 20170029091A KR 101796499 B1 KR101796499 B1 KR 10179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eft
light shielding
yarn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현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현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현섬유
Priority to KR102017002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막과 투광막의 동시 제직이 가능하고, 원사의 특정 조합을 통해 미려한 원단을 제공하여 블라인드로서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적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을 차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와 빛을 투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으로서, 상기 차광부는 격실이 개재 형성하는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차광부의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와 위사가 연속하여 교차 제직되어 망상의 단일 투광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광부의 격실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위사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무늬형성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BLIND FABIC HAVING RANDOM WAVE PATTERN AND WEA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광막과 투광막의 동시 제직이 가능하고, 원사의 특정 조합을 통해 미려한 원단을 제공하여 블라인드로서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적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blind)는 베니션 블라인드(venetion blind)를 일컫는 것으로, 창이나 문의 전면에 설치하여 주로 차광, 통풍, 보온, 방음 및 사생활 보호(외부 시선 차단)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통상적인 블라인드는 얇고 좁은 금속판, 나무판, 플라스틱판을 일정간격으로 길게 늘어뜨려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권취봉의 하부로 펼쳐지는 양 조절이 가능하고 빛의 유입량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기존의 커튼(curtain)과 달리 태양광과 바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근래에는 블라인드가 폴리에스테르 등 천이나 종이로도 제조되어서 사무실이나 가정 등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직물 블라인드는 세탁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좋고, 원단의 조직, 패턴 및 색상에 따라 그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인테리어 하기에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직물블라인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풍을 주목적으로 하는 전, 후면부분 원단과 차광을 주목적으로 하는 중간부분 원단을 각각 제직(weaving)하고, 이들을 접착이나 재봉 등의 방법으로 연결 구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였다. 따라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고가의 제품이 될 수밖에 없고 통상의 커튼과는 다른 여러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블라인드는 이러한 실용성 이외에도 내부의 벽이나 유리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는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차광막과 투광막의 동시 직조가 가능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블라인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2141호(2015.11.26.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2946호(2014.08.21. 공고)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741호(2014.02.14.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광막과 투광막의 동시 제직이 가능하고, 원사의 특정 조합을 통해 미려한 원단을 제공하여 블라인드로서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적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빛을 차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와 빛을 투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으로서, 상기 차광부는 격실이 개재 형성하는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차광부의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와 위사가 연속하여 교차 제직되어 망상의 단일 투광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광부의 격실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위사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무늬형성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 중 일부가 LM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의 경사가 LM 성분을 포함하는 원사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은 제1 위사와 제1 경사가 제직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은 제2 위사와 제2 경사가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은 분리 동시 제직되어 그 사이에 격실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격실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제3 위사가 방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경사와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의 제2 경사를 경사로 하여 위사와 교차 제직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와 상기 투광부의 위사는 동일하거나 다른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 차광 후방 제직면의 위사 및 격실에 구비되는 위사 중 2 이상이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축률을 갖는 원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후방 제직면의 위사와 격실에 구비되는 위사의 축률은 동일하고, 격실에 구비되는 위사는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의 축률보다 작으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는 투광부의 위사의 축률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빛을 차광하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와 빛을 투광하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하기 위한 제직 방법으로서,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제1 투광부 형성 단계;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의 경사 중 일부 경사와 제1 위사 및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의 경사 중 다른 일부 경사와 제2 위사를 각각 별도로 교차 제직하여 격실이 사이에 형성되는 다중 제직면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다중 제직면의 격실 사이로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제3 위사를 방사시켜서 차광면을 형성하는 차광부 형성 단계; 위사 및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의 경사를 교차시켜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제2 투광부 형성 단계; 및 상기 격실에 의해 양면으로 분리된 다중 제직면을 일체화시켜 상기 격실에 방사된 제3 위사를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과 차광부 형성 단계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는 교호적인 투광부와 차광부가 형성되도록 반복되어 실행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제직면을 구성하도록 제직되는 위사 중 일부가 LM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다중 제직면을 구성하도록 제직되는 경사가 LM 성분을 포함하는 원사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는 제1 위사와 제1 경사를 교차시켜 차광 전방 제직면을 제직함과 동시에, 제2 위사와 제2 경사를 교차시켜 차광 후방 제직면을 분리 제직하여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 사이에 격실이 형성되는 이중 제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투광부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경사 또는 제2 경사를 경사로 하거나 제1 경사와 제2 경사 모두를 경사로 하여 위사와 교차 제직하여 상기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의 위사 및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위사는 동일 또는 다른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의 위사 및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위사 중 2 이상이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축률을 갖는 원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후방 제직면의 제2 위사와 격실에 구비되는 제3 위사의 축률은 동일하고, 격실에 구비되는 제3 위사는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위사의 축률보다 작으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위사는 투광부의 위사의 축률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텐타(tenter) 가공으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을 일체화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에 의하면, 차광막과 투광막의 동시 직조가 가능하여 생산성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사의 특정 방식의 조직과 데니어 및 색상을 통해 더욱 미려한 원단을 제공하여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키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을 갖는 시작품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원단에서 각 위사가 특정 조합을 갖지 못하는 경우, 즉 동일 축률을 가지며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에서의 시제품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도 3a은 웨이브 패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고, 도 3b는 웨이브 패턴이 적게 발생하는 경우이며, 도 3c는 웨이브 패턴이 없이 뭉쳐진 경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을 갖는 시작품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을 차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100)와 빛을 투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200)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으로서, 상기 차광부(100)는 경사와 위사가 교차되어 제직되되 양면으로 분리 제직되어 사이에 격실(130)을 형성하는 차광 전방 제직면(110)과 차광 후방 제직면(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부(200)는 상기 차광부(100)의 차광 전방 제직면(110)과 차광 후방 제직면(120)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와 위사가 연속하여 교차 제직되어 단일 투광면(21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광부(100)의 격실(130)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고 방사되는 위사가 고정되는 무늬형성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 경사는 모두 동일한 축률과 굵기(또는 데니어(deni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축률과 굵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100)의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위사와 상기 투광부(200)의 위사는 동일하거나 다른 위사이고,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위사와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위사 및 격실(130)에 위치되는 위사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축률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위사와 격실(130)에 구비되는 위사의 축률은 동일하고, 격실(130)에 구비되는 위사는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위사의 축률보다 작으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위사는 상기 투광부(200)의 위사의 축률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투광부(200)의 위사는 투광이 양호한 가는 원사(細絲: 예를 들면, 150D 원사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위사의 굵기(또는 데니어(denier))는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위사의 굵기(또는 데니어(denier))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과 차광 후방 제직면(120) 사이의 격실(130)에 형성되는 무늬형성부(300)의 위사는 원착 위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무늬형성부(300)의 위사는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과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굵기(또는 데니어)와 동일하거나 다른 굵기(또는 데니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은 제1 위사(111)와 제1 경사(112)가 제직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120)은 제2 위사(121)와 제2 경사(122)가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과 차광 후방 제직면(120)은 분리 제직되어 그 사이에 격실(130)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격실(130)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제3 위사(131)를 방사하여 무늬형성부(300)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투광부(200)는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경사(112)와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제2 경사(122)를 경사로 하여 제4 위사(211)와 교차로 제직하여 형성된다.
상기 차광부(100)와 투광부(200)의 제직은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이루어져 원단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경사(112)와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제2 경사(122)는 LM사(low melting yarn)재질의 망사 전용경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경사(112)와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제2 경사(122)는 축률 및 굵기(데니어(denier))가 동일하거나 다른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제2 위사(121)의 굵기 또는 데니어(denier)는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위사(111)의 굵기 또는 데니어(denier)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차광부(100)의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위사(111)의 굵기 또는 데니어는 상기 투광부(200)의 단일 투광면(210)의 제4 위사(211)의 굵기 또는 데니어와 동일하거나 다른 원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에 사용되는 위사는 서로 다른 효과를 얻기 위하여 성분이 다른 원사가 조합(예를 들면, 교호적으로 다른 원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위사(111) 중 일부 위사의 원사는 상대적으로 축(縮)률이 높은(즉, 축 발생이 많이 발생하는) 가는 원사를 사용하고, 다른 일부 위사의 원사는 LM사(low melting yarn)를 사용하여, 그 LM 성분으로 인하여 제3 위사(131)를 고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위사(121)는 웨이브 발생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원사가 이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위사는 핫스팀으로 세팅하여 원사를 꼬아주는 스팀 세팅(steam setting)과 소정 색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염색, 및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열처리 과정을 거쳐 전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위사(111)는 투광면의 제4 위사(211)의 동일하거나 다른 원사로 이루어지고(예를 들면, 투광이 양호하는 가는 원사(150D 이하), 상기 차광부(100)의 제3 위사(131)는 차광 전방 제직면(110)의 제1 위사(111) 및 차광 후방 제직면(120)의 제2 위사(121)의 축률과 다른 축률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동일하거나 큰 굵기 또는 데니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위사(131) 또한 웨이브 발생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원사가 이용되도록 상기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원사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위사(131)로는 원착 폴리에스테르 필라먼트사( polyester filament yarn)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격실(130)에 구비되는 제3 위사(131)의 고정은 텐타(tenter) 가공으로 차광 전방 제직면(110)과 차광 후방 제직면(120)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두 제직면(110, 120)에 사용되는 경사의 LM 성분으로 인하여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차광부에서 격실을 형성하고, 그 격실에 경사가 교차하지 않는 위사가 구비되며, 각 위사에 대한 특정 조합을 통해 제직 이후 텐터 과정에서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웨이브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사의 특정 조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반복적인 실험 결과를 통해 웨이브 패턴을 갖는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원단에서 각 위사가 특정 조합을 갖지 못하는 경우, 즉 동일 축률을 가지며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에서의 시제품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도 3a은 웨이브 패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고, 도 3b는 웨이브 패턴이 적게 발생하는 경우이며, 도 3c는 웨이브 패턴이 없이 뭉쳐진 경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격실에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위사를 구비하고, 각 위사에 대한 특정 조합을 갖도록 하는 것은 차광부에서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웨이브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구조의 블라이드 원단은 제직 과정에서 차광부(100)에 격실(130)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위사(제3 위사)(131)가 방사되고 이후 덴타 가공 시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3 위사(131)는 반복되는 각각의 차광부(100)에서 불규칙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웨이브와 선의 흐트러짐으로 구현으로 미려한 디자인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제3 위사(131)에 의한 뷸규칙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웨이브의 디자인은 직물 조직으로는 구현할 수 없으며, 매(每) 차광부(100)에서 그 형태와 형상이 다른 새로운 패턴의 원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앞서 설명한 블라인드용 원단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을 차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와 빛을 투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하기 위한 제직 방법으로서, 경사와 위사(투광부용 위사)를 교차시켜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제1 투광부 형성 단계(S100);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S100)의 경사 중 일부 경사(제1 경사)와 제1 위사 및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S100)의 경사 중 다른 일부 경사(제2 경사)와 제2 위사를 각각 별도로 교차 제직하여 격실을 사이에 형성시켜 양면으로 분리된 이중 제직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중 제직면의 격실 사이로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제3 위사를 방사시켜서 차광면을 형성하도록 제직하는 차광부 형성 단계(S200);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S200)로부터의 경사(제1 경사나 제2 경사 중 적어도 하나)와 위사(투광부용 위사)를 교차시켜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제2 투광부 형성 단계(S300); 및 상기 격실에 의해 양면으로 분리된 이중 제직면을 일체화시켜 상기 격실에 방사된 제3 위사를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S100)과 차광부 형성 단계(S200)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S300)는 반복되어 교호적인 투광부와 차광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S200)에서 형성되는 제직면은 이중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다중 격실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이중 제직면은 제1 위사와 제1 경사를 교차시켜 차광 전방 제직면을 제직함과 동시에, 제2 위사와 제2 경사를 교차시켜 차광 후방 제직면을 분리 제직하여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 사이에 격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부의 경사와 각 위사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위사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으며, 상기 각 위사들은 축률이 다른 원사를 이용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투광부 형성 단계는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의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경사 및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의 제2 경사 중 적어도 하나, 즉 제1 경사나 제2 경사 중 하나를 경사로 하거나 제1 경사와 제2 경사 모두를 경사로 하고 위사(투광부용 위사)와 교차로 제직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에서 망상의 투광면의 위사 및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에서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는 동일 원사가 이용된다.
상기 고정 단계(S400)는 텐타(tenter) 가공으로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에 사용되는 경사의 LM 성분으로 인하여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에 의하면, 차광막과 투광막의 동시 직조가 가능하여 생산성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사의 특정 조합을 통해 미려한 원단을 제공하여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키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광부
110: 차광 전방 제직면
111, 121, 131, 211: 위사
112, 122: 경사
120: 차광 후방 제직면
130: 격실
200: 투광부
210: 단일 투광면
300: 무늬형성부
S100: 제1 투광부 형성 단계
S200: 차광부 형성 단계
S300: 제2 투광부 형성 단계
S400: 고정 단계

Claims (8)

  1. 빛을 차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와 빛을 투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으로서,
    상기 차광부는 격실이 개재 형성하는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차광부의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와 위사가 연속하여 교차 제직되어 망상의 단일 투광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광부의 격실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위사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무늬형성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 중 일부가 LM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의 경사가 LM 성분을 포함하는 원사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은 제1 위사와 제1 경사가 제직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은 제2 위사와 제2 경사가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은 분리 동시 제직되어 그 사이에 격실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격실에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제3 위사가 방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원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경사와 상기 차광 후방 제직면의 제2 경사를 경사로 하여 위사와 교차 제직되어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와 상기 투광부의 위사는 동일하거나 다른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위사, 차광 후방 제직면의 위사 및 격실에 구비되는 위사 중 2 이상이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축률을 갖는 원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
  5. 빛을 차광하도록 이루어지는 차광부와 빛을 투광하도록 이루어지는 투광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하기 위한 제직 방법으로서,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제1 투광부 형성 단계;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의 경사 중 일부 경사와 제1 위사 및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의 경사 중 다른 일부 경사와 제2 위사를 각각 별도로 교차 제직하여 격실이 사이에 형성되는 다중 제직면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다중 제직면의 격실 사이로 경사와 교차하지 않는 제3 위사를 방사시켜서 차광면을 형성하는 차광부 형성 단계;
    위사 및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의 경사를 교차시켜 망상의 투광면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는 제2 투광부 형성 단계; 및
    상기 격실에 의해 양면으로 분리된 다중 제직면을 일체화시켜 상기 격실에 방사된 제3 위사를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광부 형성 단계과 차광부 형성 단계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는 교호적인 투광부와 차광부가 형성되도록 반복되어 실행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제직면을 구성하도록 제직되는 위사 중 일부가 LM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다중 제직면을 구성하도록 제직되는 경사가 LM 성분을 포함하는 원사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형성 단계는 제1 위사와 제1 경사를 교차시켜 차광 전방 제직면을 제직함과 동시에, 제2 위사와 제2 경사를 교차시켜 차광 후방 제직면을 분리 제직하여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 사이에 격실이 형성되는 이중 제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투광부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경사 또는 제2 경사를 경사로 하거나 제1 경사와 제2 경사 모두를 경사로 하여 위사와 교차 제직하여 상기 망상의 투광면을 형성되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의 위사 및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위사는 동일 또는 다른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투광부 형성 단계의 위사 및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의 제1 위사 중 2 이상이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축률을 갖는 원사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텐타(tenter) 가공으로 상기 차광 전방 제직면과 차광 후방 제직면을 일체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KR1020170029091A 2017-03-07 2017-03-07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KR10179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091A KR101796499B1 (ko) 2017-03-07 2017-03-07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091A KR101796499B1 (ko) 2017-03-07 2017-03-07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499B1 true KR101796499B1 (ko) 2017-11-10

Family

ID=6038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091A KR101796499B1 (ko) 2017-03-07 2017-03-07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07B1 (ko) * 2018-04-12 2019-04-04 주식회사 성현섬유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KR102064091B1 (ko) 2018-10-30 2020-01-09 다이텍연구원 콤비커튼용 원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11B1 (ko) 2011-04-27 2011-11-07 김동식 투광조절용 블라인드지의 제직방법
KR101156515B1 (ko) 2011-11-07 2012-06-18 박재우 콤비커튼용 원단 및 그 직조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커튼지
KR101537347B1 (ko) 2015-05-18 2015-07-21 김현하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KR101669016B1 (ko) 2016-08-09 2016-11-09 (주)풍전티.티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11B1 (ko) 2011-04-27 2011-11-07 김동식 투광조절용 블라인드지의 제직방법
KR101156515B1 (ko) 2011-11-07 2012-06-18 박재우 콤비커튼용 원단 및 그 직조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커튼지
KR101537347B1 (ko) 2015-05-18 2015-07-21 김현하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KR101669016B1 (ko) 2016-08-09 2016-11-09 (주)풍전티.티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07B1 (ko) * 2018-04-12 2019-04-04 주식회사 성현섬유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WO2019199026A1 (ko) * 2018-04-12 2019-10-17 주식회사 성현섬유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KR102064091B1 (ko) 2018-10-30 2020-01-09 다이텍연구원 콤비커튼용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769B1 (ko)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
JP4074884B1 (ja) 光透過性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US9777411B2 (en) Woven shielding textile impervious to visible and ultraviolet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2023337B1 (ko) 암막기능 및 불규칙한 무늬 효과를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직 된 이중직물
KR101796499B1 (ko)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KR20200007398A (ko) 콤비암막블라인드지
KR101908979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KR101674455B1 (ko)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37347B1 (ko)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JP2002054050A (ja) 調光性布帛
KR2012010413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20180120932A (ko) 인쇄가 가능한 차양막용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WO2019119956A1 (zh) 一种隔热面料及隔热窗帘
JP2015137484A (ja) 機能性の日射遮蔽両面織地を有するカーテン地
KR101966007B1 (ko)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JP2022166677A (ja) 装飾性遮光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テン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101411404B1 (ko) 공기층을 갖는 입체형 롤블라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0633B1 (ko) 빛 유입량의 조절로 인한 다양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블라인드 시트
CN110629387B (zh) 一种具有遮像、防紫外线功能的镜面窗帘
JP7094630B2 (ja) 眩しさ抑制効果の指標化方法、評価方法
CN214188728U (zh) 一种半遮光卷帘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