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029B1 -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 Google Patents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029B1
KR101160029B1 KR1020110022226A KR20110022226A KR101160029B1 KR 101160029 B1 KR101160029 B1 KR 101160029B1 KR 1020110022226 A KR1020110022226 A KR 1020110022226A KR 20110022226 A KR20110022226 A KR 20110022226A KR 101160029 B1 KR101160029 B1 KR 10116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shielding
blind
blind paper
shie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802A (ko
Inventor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차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철 filed Critical 차기철
Priority to KR102011002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0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47H23/06Systems consisting of two or more co-operating curtains with transparent or perforated parts behind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에 관한 것으로,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반복된 구조를 제직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를 구성하되, 상기 블라인드지의 차광부는 다중직으로 구성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제직으로 형성되는 무늬를 각각 형성하는 블라인드지가 구성되어, 블라인드지의 한쪽에서 보았을 때, 앞면 차광부의 무늬만 보이고, 그 타면 차광부 무늬는 보이지 않으며, 그 블라인드지를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에 설치한 콤보 롤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그 콤보 롤 블라인드를 창문 등에 설치하면, 차광과 빛의 유입이 용이하고, 차광부 앞쪽 투과부와 뒤쪽 차광부가 겹칠 때, 앞쪽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차광부의 무늬와 앞쪽 차광부의 무늬에 의해 심미성이 높은 것이다.

Description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the fabrics with shading of duble-sided each patterns}
본 발명은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에 관한 것으로,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반복된 구조를 제직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를 구성하되, 상기 블라인드지의 차광부는 다중직으로 구성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제직으로 형성되는 무늬를 각각 형성하는 블라인드지가 구성되어, 블라인드지의 한쪽에서 보았을 때, 앞면 차광부의 무늬만 보이고, 그 타면 차광부 무늬는 보이지 않으며, 그 블라인드지를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에 설치한 콤보 롤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그 콤보 롤 블라인드를 창문 등에 설치하면, 차광과 빛의 유입이 용이하고, 차광부 앞쪽 투과부와 뒤쪽 차광부가 겹칠 때, 앞쪽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차광부의 무늬와 앞쪽 차광부의 무늬에 의해 심미성이 높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차광하는 것으로는,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있으면, 커튼(curtain)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하거나 칸막이로서도 사용되는 막류(幕類)의 총칭이고, 블라인드(blind)는 창에 달아 볕을 가리는 물건을 말하는데, 블라인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그 차광 방법 및 구조에 따라, 버티컬 블라인드, 베니션 블라인드, 로만 쉐이드, 롤 스크린(롤 블라인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롤 스크린은, 상부의 조정 박스의 롤을 감으면 원단이 감아 올라가는 형식으로, 최근에는, 롤 스크린 종류 중에서, 망사 구조(반대쪽의 사물이 투과되어 보임)를 가지는 투과부, 차광 구조를 가지는 차광부(반대쪽의 사물이 보이지 않음)이 일정 폭으로 반복되는 원단을 구성한 콤비 롤 스크린(오버롤 쉐이드)이 구성되어, 그 콤비 롤 스크린의 양단을 콤비 롤 스크린용 조정 박스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콤비 롤 스크린은, 전면 원단과 후면 원단의 겹치는 정도에 따라 차광 정도를 조절하는데, 예를 들어, 전면의 망사 구조와 후면의 망사 구조가 일치하게(나란하게) 위치하면 최대한 햇빛이 들어오는 구조이고, 전면의 차광 구조와 후면의 차광 구조가 어긋나게 위치하면 전체적으로 차광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광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콤비 롤 스크린의 원단은 전체적으로 감아서 완전 빛이 들어오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기 콤비 롤 스크린의 예로는, 국내특허공개 제2011-0009062호의 ‘롤 블라인드용 스크린 및 그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광성을 증대한 국내특허공개 제2009-0055524호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와, 국내실용신안공개 제2010-0007981호의 ‘암막 원단을 이용한 콤비 롤 스크린’이 있다.
또한, 시중의 블라인드에 적용된 블라인드지 중에는, 제직으로 일체된 구조로 제조되고,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반복하는 구조를 가지되, 그 일면의 차광부에는 제직으로 형성하는 자카드 무늬를 구성하거나, 또는, 프린트로 형성된 무늬를 구성하는 블라인드지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콤비 롤 스크린에서 차광부는 경사와 위사와의 결합으로 빛을 차단하는 기능만 담당하므로, 실의 색상만으로 콤비 롤 스크린의 디자인이 결정되므로, 콤비 롤 스크린이 단조롭고, 전체적인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차광부는 차광성을 높이기 위해서, 차광부에 사용하는 위사는 굵은 위사를 사용하거나, 차광부를 두 겹으로 제직함에 따라, 굵은 위사에 의해 제직구조가 드러나므로, 차광부가 투박한 느낌을 가지게 되고, 두 겹의 차광부는 콤비 롤 스크린이 감았을 때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광부는 차광성을 높이기 위해서, 차광부의 뒷면에 암막 도장을 하는 경우에는, 콤비 롤 스크린의 제조에 따른 시간이 증대하고, 설치된 콤비 롤 스크린이 차광 구조를 가지는 구조에서, 제직 구조의 표면을 가지는 차광부와, 이와 이웃하는 투과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암막 도장 부분(투과부 맞은편의 차광부 뒷면)이 순차로 보이게 되므로, 서로 다를 표면 구조에 의해서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시중의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블라인드지 중에서, 자카드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경우에는, 앞면의 자카드 무늬에 형성에 따라, 제직 과정에 의해서 그 바로 뒷면에도 무늬가 형성되는데, 뒷면에 형성된 무늬는 앞면보다 무늬가 흐리고, 때때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 못하며, 이러한 블라인드지가 콤비 롤 블라인드에 적용되고, 앞면의 무늬가 상?하 방향이 있는 경우에는, 앞쪽 블라인드지의 투과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블라인드의 차광부 무늬는 흐릿하게 보이고, 상?하로 반전되어 보이며, 또한, 앞쪽 블라인드지의 차광부 무늬와 뒷쪽 블라인드지의 차광부 무늬의 위치가 일치하므로, 완전히 정면에서 블라인드지를 보았을 때는, 앞쪽 블라인드의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블라인드지 무늬와, 앞쪽 블라인드지의 무늬는 반복성과 연속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 프린트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가 콤비 롤 블라인드에 적용될 경우에는, 앞쪽 투과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의 차광부에는 아무런 무늬가 없으므로(민무늬), 앞쪽에서 보았을 때, 앞쪽 블라인드의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블라인드지의 민무늬와, 앞쪽 블라인드지의 무늬가 반복되어 보이므로, 무늬의 반복성과 연속성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반복된 구조를 제직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를 구성하되, 상기 블라인드지의 차광부는 다중직으로 구성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제직으로 형성되는 무늬를 각각 형성하는 블라인드지가 구성되어, 블라인드지의 한쪽에서 보았을 때, 앞면 차광부의 무늬만 보이고, 그 타면 차광부 무늬는 보이지 않으며, 그 블라인드지를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에 설치한 콤보 롤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그 콤보 롤 블라인드를 창문 등에 설치하면, 차광과 빛의 유입이 용이하고, 차광부 앞쪽 투과부와 뒤쪽 차광부가 겹칠 때, 앞쪽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차광부의 무늬와 앞쪽 차광부의 무늬에 의해 심미성이 높은 블라인드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광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머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폭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여, 콤비 롤 블라인드를 사용하면서, 블라인드지의 형태를 유지하고, 심미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반복된 구조를 제직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를 구성하되, 상기 블라인드지의 차광부는 다중직으로 구성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제직으로 형성되는 무늬를 각각 형성하는 블라인드지가 구성되어, 블라인드지의 한쪽에서 보았을 때, 앞면 차광부의 무늬만 보이고, 그 타면 차광부 무늬는 보이지 않으며, 그 블라인드지를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에 설치한 콤보 롤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그 콤보 롤 블라인드를 창문 등에 설치하면, 차광과 빛의 유입이 용이하고, 차광부 앞쪽 투과부와 뒤쪽 차광부가 겹칠 때, 앞쪽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차광부의 무늬와 앞쪽 차광부의 무늬에 의해 심미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차광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머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폭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여, 콤비 롤 블라인드를 사용하면서, 블라인드지의 형태를 유지하고, 심미성을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지가 적용된 콤보 롤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지가 적용된 콤보 롤블라인드의 하부 쪽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지가 적용된 콤보 롤블라인드의 하부 쪽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 및 도 7의 본 발명에 따라 돌출부가 형성된 블라인드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지가 적용된 콤보 롤블라인드의 측면도.
본 발명은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에 관한 것으로,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반복된 구조를 제직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를 구성하되, 상기 블라인드지의 차광부는 다중직으로 구성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제직으로 형성되는 무늬를 각각 형성하는 블라인드지가 구성되어, 블라인드지의 한쪽에서 보았을 때, 앞면 차광부의 무늬만 보이고, 그 타면 차광부 무늬는 보이지 않으며, 그 블라인드지를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에 설치한 콤보 롤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그 콤보 롤 블라인드를 창문 등에 설치하면, 차광과 빛의 유입이 용이하고, 차광부 앞쪽 투과부와 뒤쪽 차광부가 겹칠 때, 앞쪽 투과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차광부의 무늬와 앞쪽 차광부의 무늬에 의해 심미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지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그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보 롤블라인드의 구조를 순차로 설명하되, 먼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100)는 제직기를 이용하여 차광부(10)와 투과부(20)가 반복적으로 제직된 구조로, 일반적인 원단과 같이, 경사와 그 경사에 대해 수직으로 공급하는 위사를 교차하여 제직된 구조로, 경사 방향을 따라 차광부(10)와 투과부(20)가 각각의 폭(여기서 말하는 폭은, 경사 방향에 따른 차광부와 투과부가 가지는 각각의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로 구성해서, 설치한 후에 블라인드지가 가지는 좌우 방향에 따른 폭과는 다른 의미이다)을 가지면서 반복되는 구조로, 이러한 차광부(10)외 투과부(20)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광부(10)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 구조로 제직된 것으로, 도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10)의 양면은 무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늬는 제직으로 형성하는 무늬와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무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제직으로 형성하는 무늬의 예로는 자카드 무늬가 있으며,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무늬는 직물에 적용하는 프린팅 기법으로 일반적인 프린트 무늬, 또는, 실사와 같은 프린트 무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차광부(10) 양면의 무늬는 서로 같은 무늬와 같은 색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무늬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차광부의 무늬는 일면의 무늬와 그 타면의 무늬에 대해서 위치를 같게 하는 실시예와 위치를 다르게 하는 실시예가 있다.
그리고 첫 번째 실시예로,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차광부 일면의 무늬 위치는, 그 타면의 무늬와 위치와 같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차광부 일면의 무늬 위치는, 그 타면의 무늬와 위치가 겹치도록 형성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각 차광부 일면의 무늬는, 그 타면의 무늬와 연속되는 그림으로 형성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된 블라인드지를 하나의 위사 방향을 따라 접었을 때(접힌 블라인드지에서, 서로 마주하는 경사는 서로 같은 경사이다), 앞쪽 투과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의 차광부 무늬와 앞쪽 차광부의 연속적인 무늬 형성으로 심미성을 높인다.
앞서 첫 번째 실시예에서, 그리고 그 차광부(10)의 양면의 연속하는 무늬는 블라인드지(100)를 이용한 콤보 블라인드지(100)가 구성되는 구조를 고려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10) 무늬가 아래와 위 방향이 있거나, 무늬가 이어지는 연속된 무늬를 가지기 위해서는, 차광부(10) 일면의 무늬의 방향은 그 타면에 대해서 아래, 위가 반대 방향으로 구성하는 것, 즉, 그 타면의 무늬는 상?하로 반전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실시예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 일면의 무늬 위치는, 그 타면의 무늬와 위치와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차광부 일면의 무늬 위치는, 그 타면의 무늬와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고, 이러한 구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된 블라인드지를 하나의 위사 방향을 따라 접었을 때(접힌 블라인드지에서, 서로 마주하는 경사는 서로 같은 경사이다), 앞쪽 투과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뒷쪽 차광부 무늬와 앞쪽 차광부 무늬가 번갈아 보이면서 심미성을 높이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뒷쪽 차광부 무늬는 상?하로 반전되어 보이므로, 그러한 구조를 고려하여 차광부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차광부(10)는 빛을 차단하는 구조이면서, 양면에 무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햇빛을 가리고 있을 때, 차광부(10)의 앞면에 보이는 무늬가 그 뒷면의 무늬가 보이지 않기 위해서, 다중직 제직 방법, 굵은 위사 사용 방법, 다수겹 제직 방법이 있다.
우선, 다중직 제직 방법은, 차광부(10)를 제직하면서 적어도 이중직을 가지는 다중직(이중직, 삼중직, 사중직, 또는, 그 이상을 말함)으로 제직하되, 차광부(10) 양면은 각각의 무늬는 제직을 통해 형성하고, 무늬를 제직으로 형성하기 위한 실(경사, 또는, 위사)은 양면에서 서로 다르게 각각 사용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차광부 일면의 무늬 제직에 사용하는 실은, 그 타면의 차광부 무늬 제직에 사용하는 실과는 서로 다른 각각의 실로 무늬를 제직하는 것으로, 일면에서 제직으로 형성된 차광부(10)의 무늬가 그 타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다중직 제직 방법은, 양면의 차광부(10) 무늬는 서로 별도의 무늬와 색상을 형성할 수 있고, 일면에서 보았을 때, 일면의 차광부(10) 무늬만 보이고, 그 타면(반대면)의 차광부(10)가 보이지 않은 특징이 있으며, 다중직으로 제직되는 차광부(10)는 빛의 차광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한편, 다중직 제직 방법에서는, 차광부(10)의 양면 무늬 제직에 사용되는 실은 각각 별도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광부(10)의 양면의 무늬를 형성하면서, 양면 무늬에 같은 색상(또는, 굵기)으로 적용되는 실이 있다면, 그 실이 양면의 무늬 제직에 모두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다중직 제직 방법에서는, 차광부(10)의 양면 무늬 제직에 사용되는 실은 별도로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차광부(10) 양면의 무늬 형성에 서로 영향을 기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광부(10) 무늬 형성에 제직하는 실은 차광부(10) 양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또, 굵은 위사 사용 방법은, 차광부(10)를 제직하면서, 제직에 사용하는 위사(위사가 형성하는 방향은 차광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하는 방향은 경사 방향이고, 그 수직 방향이 위사 방향이다)를 비교적 굵은 실을 사용하여 제직하는 것으로, 위사는 150 데니어(denier) 이상을 사용하고, 이 굵은 위사 사용 방법은 차광부(10)위 무늬가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무늬의 경우나, 앞서, 다중직 제직 방법에서 차광 구조를 가지는 중간 부분을 제직할 때 적용한다.
또한, 다수겹 제직 방법(미도시)의 경우에는, 상기 차광부(10)를 두 겹 이상으로 제직하고, 각각의 바깥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 다수겹 제직 방법에서도, 앞서 굵은 위사 사용 방법과 같이, 위사는 적어도 150 데니어(deni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광부(10)는 일반적인 원단처럼 제직되거나, 또는, 위사 방향(차광부의 길이 방향을)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1)를 차광부(10)의 폭 방향(경사 방향)을 다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는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10)의 일면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돌출부(11)를 다수개 형성하거나,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10)의 양면에 돌출부(11)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는데, 돌출부(11)가 차광부(10)의 양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돌출부(11)의 제직 특성상 한쪽으로 뉘어지는 방향성을 가지므로, 도7의 (다)와 같이 양면의 돌출부(11)가 같은 방향으로 뉘어지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7의 (라)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며, 돌출되는 크기와, 그 돌출부(11)의 간격을 통한 심미성을 높이고, 블라인드지(100)가 콤보 롤블라인드에 적용하였을 때, 돌출부(11)가 좌우 방향(위사 방향)을 따라 형성하므로, 블라인드의 형태를 유지해 주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1)의 제직 방법은, 일반적인 제직기를 통해 통상의 제직 기술 또는, 공개된 제직 기술로 제직 방법으로 제조(제직)되므로 구체적인 제직 방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1)의 앞면에도 무늬를 형성하는데, 이 경우, 돌출부(11) 주변의 차광부(10)(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차광부)에 형성된 무늬와 연속되어 이어지는 무늬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무늬는 돌출부 앞면에 제직을 통해서 연속적인 무늬(예를 들어, 자카드 무늬)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투과부(20)를 설명하면,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부(20)는 위사(21)와 경사(22)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메시 구조를 가지도록 제직된 구조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이러한 투과부(20)에서 경사(22)와 위사(21)의 결합 구조는 열융착식과 경사꼬임식이 있다.
먼저, 투과부(20)의 열융착식은, 투과부(20)에 사용되는 위사(21)나 경사(22) 중에 적어도 하나는 저융점 섬유사를 사용하고, 차광부(10)와 투과부(20)가 제직된 블라인드지(100)에 열을 가하면 교차하는 위사(21)와 경사(22)는 접합이 되므로, 각 제직 구조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력을 가하더라도 그 메시 구조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투과부(20)의 경사꼬임식은, 투과부(20)에 사용되는 경사(22)를, 적어도 두 가닥의 경사(22)가 한 조를 이루어 위사(21)와 교차에 의해 투과부(20)를 제직하는데, 다수 가닥의 경사(22)가 위사(21)를 꼬으면서(감싸면서, 트위스트) 결합하므로, 위사(21)와 이 위사(21)를 감싸는 다수 가닥의 경사(22)로 제직된 투과부(20)는 외력에도 제직 구조가 변하지 않는(외력에 의해 위사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는다.) 특징이 있다.
아울러,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부(20)를 제직하면서, 위사(21) 방향을 따라 다수 가닥의 경사(23)를 추가하면, 블라인드지(100) 전체를 보았을 때, 추가된 경사(23)에 의해 격자 모양으로 보이므로, 심미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이렇게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100)는, 양면에 무늬가 형성된 차광 구조의 차광부(10), 메시 구조의 투과부(20)가 연속적으로 반복된 구조이며, 이러한 블라인드지(100) 제직의 방법으로 제조된 구조로 구성하며, 이러한 블라인드지(100)를 이용한 콤보 롤블라인드의 구조를 설명하면, 콤보 롤블라인드는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200)에 앞서 설명한 차광부(10)의 양면에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100)를 적용한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도1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블라인드지(100)를 조정 박스(200)에 설치하되, 블라인드지(100) 일단은 회전하여 감길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고, 그 타단은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앞쪽의 블라인드지(100)와 뒷쪽의 블라인드지(100)에 의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설치된 블라인드지(100)는 대략‘U’자 형태를 가지며, 그 블라인드지(100)의 하단에는 통상의 콤비 롤 블라인드용 웨이트(120)가 설치된 구조이다.
그래서, 콤비 롤 블라인드에는 블라인드지(100)가 설치되어, 차광부(10)와 투과부(20)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된 구조를 가지며, 조정 박스(200)의 측면 조정줄(110)을 조절함에 따라, 앞쪽의 블라인드지(100)와 뒷쪽의 블라인드지(100)의 겹치는 정도를 조절하여 차광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정줄(110)을 다시 조정하면, 블라인드지(100) 자체를 조정 박스(200) 내부로 감아 올릴 수 있으며, 상기 콤비 롤 블라인드용 조정 박스(200) 및 웨이트(120)는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콤비 롤 블라인드는, 창가 등에 설치되어, 조정줄(110)을 이용하여 완전히 걷은 상태에서는 햇빛이 모두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정줄(110)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지(100)를 내리면서, 앞쪽의 차광부(10)와 뒷쪽의 차광부(10)가 서로 겹치는 정도에 따라서, 차광 정도 및 빛의 유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앞쪽의 차광부(10)와 뒷쪽의 차광부(10)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앞쪽의 차광부(10) 무늬와 함께, 앞쪽의 투과부(20) 뒷쪽의 차광부(10)의 무늬가 연속적으로 보이므로, 차광된 상태에서 블라인드지(100)의 전면에 무늬를 형성하게 되므로 심미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광부(10)는 다중직으로 구성하거나, 두꺼운 위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두 겹 이상으로 구성하여, 차광성을 높이고, 또, 양면에 무늬가 형성되더라도 반대면의 무늬가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10 : 차광부 11 : 돌출부
20 : 투과부 100 : 블라인드지

Claims (8)

  1.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반복된 구조의 블라인드지로, 경사와 위사 및 통상의 제직기에 의해 제직으로 제조된 구조의 블라인드지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다중직으로 제직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제직으로 형성하는 무늬를 각각 구성하여,
    블라인드지 일면에서 보았을 때, 차광부 반대면의 무늬가 보이지 않고, 반대면의 제직 무늬가 그 타면에 나타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2. 삭제
  3. 삭제
  4. 차광 구조의 차광부와 메시 구조의 투과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반복된 구조의 블라인드지로, 경사와 위사 및 통상의 제직기에 의해 제직으로 제조된 구조의 블라인드지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에 사용하는 위사는 150데니어 이상의 굵기를 적용하고,
    그 차광부의 양면에는 각각의 무늬를 형성하되,
    각 차광부의 무늬는 프린트로 형성하여,
    블라인드지 일면에서 보았을 때, 차광부 반대면의 무늬가 보이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두 겹으로 구성되어,
    블라인드지 일면에서 보았을 때, 차광부 반대면의 무늬가 보이지 않음을 특징으로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6.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그 좌우 방향을 따라 주머니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폭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7.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경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투과부에는,
    그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가닥의 경사가 더 추가되어,
    심미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8. 삭제
KR1020110022226A 2011-03-14 2011-03-14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10116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26A KR101160029B1 (ko) 2011-03-14 2011-03-14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26A KR101160029B1 (ko) 2011-03-14 2011-03-14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802A KR20110036802A (ko) 2011-04-11
KR101160029B1 true KR101160029B1 (ko) 2012-06-26

Family

ID=4404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26A KR101160029B1 (ko) 2011-03-14 2011-03-14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327A (ko) 2017-01-20 2018-07-31 권은순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각각 투광부와 차광부, 또는 무늬부와 비무늬부를 갖는 롤블라인드 세트 및 롤블라인드 세트의 문양표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166B1 (ko) * 2018-10-02 2019-07-23 신영선 병원 칸막이용 커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572A (ja) 1995-12-29 2000-05-30 ファオ・カン・ラスムゼン・インドゥストリー・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ローラーブラインド装飾用布片、係る布片のキット及びローラーブラインド
KR200322070Y1 (ko) 2003-05-20 2003-08-06 변태웅 밝기조절타입 블라인드
KR20090055524A (ko) * 2009-03-23 2009-06-02 차기철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572A (ja) 1995-12-29 2000-05-30 ファオ・カン・ラスムゼン・インドゥストリー・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ローラーブラインド装飾用布片、係る布片のキット及びローラーブラインド
KR200322070Y1 (ko) 2003-05-20 2003-08-06 변태웅 밝기조절타입 블라인드
KR20090055524A (ko) * 2009-03-23 2009-06-02 차기철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327A (ko) 2017-01-20 2018-07-31 권은순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각각 투광부와 차광부, 또는 무늬부와 비무늬부를 갖는 롤블라인드 세트 및 롤블라인드 세트의 문양표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802A (ko) 201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69B1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US8950462B2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US8955555B2 (en) Three-dimensional 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KR101638517B1 (ko)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KR101402863B1 (ko) 이중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로만쉐이드
KR20140015177A (ko) 이중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로만쉐이드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2012010413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40107A (ko)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KR200359573Y1 (ko) 복층식 롤블라인드
KR101353321B1 (ko) 코드줄 내장형 양면 로만쉐이드
JP2019138134A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装置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2440983B1 (ko) 다중구조 블라인드 원단
KR20140134514A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CN112888818A (zh) 织物、特别是用作隐私保护和/或防眩保护的织物和用于制造根据本发明的织物的方法
KR101403695B1 (ko)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KR101156515B1 (ko) 콤비커튼용 원단 및 그 직조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커튼지
KR100939277B1 (ko) 접힘형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