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514A -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514A
KR20140134514A KR1020130054496A KR20130054496A KR20140134514A KR 20140134514 A KR20140134514 A KR 20140134514A KR 1020130054496 A KR1020130054496 A KR 1020130054496A KR 20130054496 A KR20130054496 A KR 20130054496A KR 20140134514 A KR20140134514 A KR 2014013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aper
car body
yarns
roll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자
Original Assignee
김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자 filed Critical 김옥자
Priority to KR102013005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514A/ko
Publication of KR2014013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5/00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바탕망사지(10)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이 상하 배열되고 차양지(12)들 상에는 좌우 이격된 연결띠(14)들이 배열되게 하는 5중직 내지 6중직 일체 제직으로 입체 커튼지(2)를 형성하고,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에는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를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연결하는 후방연결부가 형성되며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연결띠(14)를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연결하는 전방연결부가 형성되게 구성하되,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 및 연결띠(14)는 차례로 일괄 제직 형성되며, 차양지(12)는 능직이나 수자직 조직으로 3중직을 형성하여서 상층(12a)과 하층(12c)은 위사로 투입된 불투명사가 노출되어 차양지(12)의 앞뒷면을 형성하고 중간층(12b)은 위사로 투입된 흑색사로 인해 암막을 형성하여 실내 어둠 조성이 가능케 구성하여 커튼지가 차양과 투광의 조절은 물론이고 암막의 유입광 차단역할 덕택에 별도의 암막 커튼의 설치 없이도 실내를 아주 컴컴한 환경으로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ROLL BLIND HAVING TIRPLE WOVEN FABRIC BLACKOUT AWNING SHEET}
본 발명은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과 투광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 제직형 입체 커튼지의 태양광에 대한 암막 형성이 가능하며 입체적 장식미감도 더불어 갖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창문 차단장치는 사생활보호나 광량 차단 내지 조절과 아울러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서 사용된다. 그 종류는 커튼, 버티칼, 블라인드, 로만쉐이드, 썬팅, 롤스크린 등으로 다양하며, 소비자들은 사용용도와 창문구조 및 각자의 취향을 고려해서 자신이 원하는 제품들을 구입하여 설치 사용한다.
그중 롤스크린은 커튼역할의 스크린 원단을 롤형태로 말아올리거나 풀어 내려서 그 스크린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창문 차단장치이다. 이러한 롤스크린은 스크린원단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하여서 차양정도를 조절하는바, 완전 차양을 위해서는 스크린원단을 창문의 하단부에까지 내려주어야 하고 스크린원단에 의한 차양을 완전 해제하려면 스크린 원단을 창문의 상단부까지 감아 올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부분적으로만 차양을 하고 싶을 경우에는 스크린 원단을 원하는 임의의 위치까지만 감아 올려주면 된다. 하지만 이러한 롤스크린은 스크린 원단의 완전개방과 완전차폐를 하기 위해서는 승강용 체인줄을 몇 번이나 잡아당겨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창문차단장치중 블라인드는 얇고 좁은 금속판ㆍ나무판ㆍ플라스틱판 등의 루버(louver)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엮어 늘어뜨려 햇빛을 가리는 창문 차단장치로서, 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끈과 전체를 올리는 끈을 이용해서 광선의 각도에 따라 판의 경사를 조절하고 필요에 따라 블라인드 전체를 걷어 올릴 수 있다. 블라인드는 주로 사무실의 창에 많이 사용하지만 요즈음에는 천ㆍ종이 등 다양한 재질을 갖춘 블라인드가 등장하면서 가정의 장식용으로도 많이 애용되어지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블라인드는 한대당 복수개의 루버들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와 각 루버를 상하로 움직이는 작동로프가 각각 구비된 관계로 밝기조절이 복잡하고 그 무게가 롤스크린에 비해서 무거운 단점이 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 블라인드와 롤스크린의 각 장점을 갖춘 창문차단장치로서 전면망사형 커튼지와 후면 망사형 커튼지와 빛을 차단하는 차광커튼지가 일체 제직으로 연결된 구조의 블라인드가 있다.
또 망사지 상에 차양덮지들을 일체 제직 구성하고 각 차양덮지들이 일체 제직으로 연결된 개폐종방실이나 전방측 밴드(연결띠)에 의해서 개폐되게 구성한 입체 커튼지도 개시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등록특허 제876183호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등록특허 제911052호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988591호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988592호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등이 있다.
또 일체제직형 입체커튼지의 차양부를 메탈릭사와 불투명사의 양면지로 하여 태양열 반사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흑색사와 불투명사의 양면지로 하여 암막을 형성하도록 한 국내 공개특허 제2012-65303호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커튼지"가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각종 회사 등에서 영상을 통한 설명이나 회의 등을 자주 하게 되며 이때에는 실내를 많이 어둡게 할수록 영상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고 참가 당사자들의 주의력도 높아지게 된다. 무엇보다도 야간 근무자들이 퇴근하여 주간에 잠을 잘 때 보다 완벽한 어둠 환경이 요구된다. 낮잠자기(시에스타)가 생활습관화 된 나라와 적도 부근의 햇빛이 강한 나라에서도 커튼지의 완벽한 차광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여러 가지 종류의 일체제직형 커튼지들은 모두 어느 정도 태양광을 차단하는 능력을 부여한 것이나 태양광 차단능력에 한계가 있어 실내를 아주 어둡데 할 정도에는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충분한 실내 어둠을 조성할 수 있고 투광 조절이 더욱 쉽게 되도록 하는 입체커튼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바탕망사지(10)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이 상하 배열되고 차양지(12)들 상에는 좌우 이격된 연결띠(14)들이 배열되게 하는 5중직 내지 6중직 일체 제직으로 입체 커튼지(2)를 형성하고,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에는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며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전방 연결띠(14)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게 구성하되, 바탕망사지(10) 및 전방 연결띠(14)와 차례로 일괄 제직 형성되는 차양지(12)는 능직이나 수자직 조직으로 3중직을 형성하여서 상층(12a)과 하층(12c)은 위사로 투입된 불투명사가 노출되어 차양지(12)의 앞뒷면을 형성하고 중간층(12b)은 위사로 투입된 흑색사로 형성하여 실내 어둠 조성이 가능한 암막을 제공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된 다수 후방 연결띠(11) 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이 상하 배열되고 차양지(12)들 상에는 좌우 이격되고 상하로 연장된 전방 연결띠(14)들이 배열되게 하는 5중직 내지 6중직 일체 제직으로 입체 커튼지(2)를 형성하고,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에는 후방 연결띠(11)와 차양지(12)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며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전방 연결띠(14)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게 구성하되, 전후방 연결띠(14)(11)와 차례로 일괄 제직 형성되는 차양지(12)는 능직이나 수자직 조직으로 3중직을 형성하여서 상층(12a)과 하층(12c)은 위사로 투입된 불투명사가 노출되어 차양지(12)의 앞뒷면을 형성하고 중간층(12b)은 위사로 투입된 흑색사로 인해 암막을 형성하여 실내 어둠 조성이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막을 갖는 3중직으로 된 차양지(12)일 경우에는, 차양지(12)가 일층 형성된 일반 차양지 두께의 2 ~ 3배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차양지(12)가 암막을 형성할 경우에는, 차양지(12)의 경사(30)와 차양지(12)의 위사인 불투명사(20)와 흑색사(22)의 굵기 관계는 「경사(30) < 흑색사(22) ≤ 불투명사(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양지를 불투명사와 흑색사로 된 3중직으로 형성하여 태양광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시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태양광 차단율은 99.9%에 이르고 있어 거의 모든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를 아주 어둡게 할 수 있어 영상을 사용하는 각종 회의나 설명시에 보다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여 참가자들의 주의력과 집중도를 높게 해주고, 주간에 취침하는 사람들이 편하게 잠을 잘 수 있게 하며, 차광 능력이 뛰어나므로 투광 조절이 보다 쉽게 된다. 또한 햇빛이 강한 나라에서도 적절히 어두운 환경 조성이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의 입체 커튼지 일예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의 차양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를 구성하는 입체 커튼지의 종방향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지 중 차양지 부분의 원 리피트(one repeat) 제직도,
도 5는 도4의 제직도에 따른 차양지 짜임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 조직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띠와 3중직 차양부를 갖는 입체 커튼지를 채용한 롤블라인드의 다양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중직 차양지의 빛차단률 실험 예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롤블라인드의 입체 커튼지를 제직하기 위한 경사 투입 구성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커튼지(2)(2A)는 바람직하기로는 레피아직기로 제직된다.
먼저 도 1a, 도 2a,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방 연결띠(14)를 갖는 입체 커튼지(2)는, 섬유사를 이용해서 바탕망사지(10)와 다수 차양지(12)들과 각 차양지(12)를 개폐하기 위한 용도의 전방 연결띠(14)들을 차례로 5중직 내지 6중직으로 일체 제직하여서 일괄 완성하되, 후방의 바탕망사지(10)나 후방의 연결띠(11)에 연결되는 차양지(12)는 어둠을 조성하는 암막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먼저 차양지(12)와 후방 바탕망사지(10)와 전방 연결띠(14)로 된 본 발명의 입체 커튼지(2)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1a 및 도 2a,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망사지(10) 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을 상하로 배열되게 하여 적층 형성한다.
이때 각 차양지(12)들은 하측연부(18)가 개방되고, 그 상측연부(16)는 후면의 바탕망사지(10)의 두개 군(예를 들어 8가닥) 경사중 하나의 군(4가닥) 경사가 차양지(12)의 경사군(4가닥)의 경사와 섹터단위로 교대(도3a의 섹터 S1과 S3에서 서로 교대되어 이용됨)됨으로써 바탕망사지(10)에 일체로 연결된다. 바탕망사지(10)에 허여된 두개의 경사군중 한개 경사군(4가닥)은 바탕망사지(10) 제직 전용으로 활용되고 다른 한개 경사군(4가닥)은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 제직에 교번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각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는 그 하측에 위사 투입된 절취사에 의한 절취나 경사 샤링(shearing)을 통해 개방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하측연부(18)를 매개로 좌우로 이격 배열된 다수 전방 연결띠(14)들과 일체 제직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 연결띠(14)를 위해 하나의 경사군으로 허여된 경사는 2가닥이다.
전방 연결띠(14)를 형성함에 있어 전방 연결띠(14)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두개의 실(14a)(14b)을 V종광을 이용한 꼬임으로 엮어주는 꼬임선부(15)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서로 떨어진 인접 전방 연결띠(14)간에 놓여진 위사가 후가공 공정을 통하여 제거된 이후에도 전방 연결띠(14)의 위사 올풀림이 없도록 해준다.
다음으로 차양지(12)와 후방 연결띠(11)와 전방 연결띠(14)로 된 본 발명의 입체 커튼지(2A)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1b 및 도 2b,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이격배열되고 상하로 연장된 후방 연결띠(11) 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을 상하로 배열되게 하여 적층 형성한다.
각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는 후면의 후방 연결띠(11)용 경사군(예를 들어 2가닥)의 경사와 차양지(12)용 경사군(8가닥)의 경사가 함께 이용되어 위사와 제직됨으로써 후방 연결띠(11)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각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는 그 하측에 위사 투입된 절취사에 의한 절취나 경사 샤링(shearing)을 통해 개방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하측연부(18)를 매개로 좌우로 이격 배열된 다수 전방 연결띠(14)들과 일체 제직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각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는 전면의 전방 연결띠(14)용 경사군(예를 들어 2가닥)의 경사와 차양지(12)용 경사군(8가닥)의 경사가 함께 이용되어 위사와 제직됨으로써 후방 연결띠(11)에 일체로 연결된다.
전후방 연결띠(14)(11)를 형성함에 있어 전후방 연결띠(14)(1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두개의 실(14a)(14b)을 V종광을 이용한 꼬임으로 엮어주는 꼬임선부(15)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서로 떨어진 인접 전방 연결띠(14)간 및 인접 후방 연결띠(11)간에 놓여진 위사가 후가공 공정을 통하여 제거된 이후에도 전후방 연결띠(14)(11)의 위사 올풀림이 없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입체 커튼지(2)(2A)의 경사는 차양지(12)의 암막의 기능이 잘 표현되도록 투명재질의 폴리에스테르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를 개방하기 위해 절취사를 위사 투입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터사 중에서도 일반 폴리에스테르 융점을 갖는 심부(core)와 그 심부에 비해 낮은 융점을 갖는 외곽부(sheath)로 구성되는 등과 같은 저융점사(Low Melting yarn)로 형성해야 한다. 이는 커튼지 후가공시 열처리후 저융점사가 융착 경화됨에 따라 저융점 경사가 절취사에 의해 쉽게 절취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각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가 바탕망사지(10)에 일체 제직으로 연결되고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가 전후방 연결띠(14)(11)에 일체 제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988591호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이나 국내 등록특허 제10-0988592호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설명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된 입체 커튼지(2)의 종방향 측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튼지 전부분 즉 섹터 S1, S3 부분은 3겹으로 형성되고 섹터 S2, S4부분은 상하측연부(16)(18)가 중첩된 2겹으로 형성되며, 도 3b에 도시된 입체 커튼지(2A)의 종방향 측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튼지 전부분 즉 섹터 S1 부분은 3겹으로 형성되고 섹터 S2 부분은 상하측연부(16)(18)가 중첩된 2겹으로 형성된다.
도 3a에서, 섹터 S1과 S3는 입체 커튼지(2)에서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 그리고 연결띠(14)가 별개로 독립 제직되는 부분이고, 섹터 S2와 섹터 S4 각각은 입체 커튼지(2)를 구성하는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와 하측연부(18)가 중첩되어 두겹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측연부(16)에는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가 합체 연결 제직되고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전방 연결띠(14)가 합체 연결 제직된다.
섹터 S1~S4까지가 전방 연결띠(14)를 제외한 3개의 경사군(4가닥,4가닥,4가닥)이 서로 달리 활용되는 한 싸이클이며, 전방 연결띠(14)용 별도의 경사군(2가닥)은 연결띠 전용이다. 즉 경사를 사용하는 패턴에 있어 섹터 S1~S4는 계속 반복된다.
제1 경사군(4가닥)은 바탕망사지(10) 전용 경사들이고, 제2 경사군(4가닥)과 제3 경사군(4가닥)은 섹터 S1에서는 제2 경사군(4가닥)이 바탕망사지(10)용으로 제3 경사군(4가닥)이 차양지(12)용으로 활용되고, 섹터 S3에서는 제2 경사군(4가닥)은 차양지(12)용으로 제3 경사군(4가닥)은 바탕망사지(10)용으로 활용된다. 제2 및 제3 경사군의 용도 교대는 차양지(2)의 상측연부(16)에서 이루어진다.
도 3b에서, 섹터 S1은 입체 커튼지(2A)에서 차양지(12)와 전후방 연결띠(14)(11)가 별개로 독립 제직되는 부분이고, 섹터 S2는 입체 커튼지(2A)를 구성하는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와 하측연부(18)가 중첩되어 두겹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측연부(16)에는 후방 연결띠(11)와 차양지(12)가 합체 연결 제직되는 후방연결부가 존재하고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전방 연결띠(14)가 합체 연결 제직되는 전방연결부가 존재한다.
섹터 S1~S2까지가 한 싸이클로서 전후방 연결띠(14)(11)와 차양지(12) 3개의 경사군(2가닥,2가닥,8가닥)이 서로 달리 활용된다. 전후방 연결띠(14)(11)용 각 경사군(2가닥)은 전후방 연결띠(14)(11) 전용이고, 차양지(12)용 경사군(8가닥)은 차양지(12) 전용이다. 경사를 사용하는 패턴에 있어 섹터 S1~S2는 계속 반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체 커튼지(2)(2A)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차양지(12)는 능직('사문직'이라고도 함)이나 수자직('주자직'이라고도 함) 조직으로 3중직을 형성하고 그중 중간층(12b)은 어둠을 조성하는 암막면을 제공케 하는 것이다. 능직이나 수자직 조직으로 차양지(12)가 3중직으로 형성되는 것은 바탕망사지(10)나 전후방 연결띠(14)(11)가 평직 조직으로 형성되는 조직과 대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지(2) 중 차양지(12) 부분의 원 리피트(one repeat) 제직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직도에 따른 차양지 짜임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 조직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양지(12)를 능직이나 수자직에 의해 3중직으로 제직 형성함에 있어 도 4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불투명사(20)와 흑색사(22)로 구성된 두 종류를 기능성 위사로 사용하여서 3중직의 상중하층(12a)(12b)(12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제1,3 위사로 투입된 차양용 불투명사(20)가 앞뒷면에 노출되어 상하층(12a)(12c)을 이루고 제2 위사로 투입된 흑색사(22)에 의해 차양지(12)의 중간층(12b)을 형성하게 되며, 그 결과 3중직으로 제직된 차양지(12)가 높은 빛차단률을 갖는 암막면을 형성하여 실내의 어둠 조성이 가능케 해준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차양지(12)의 구성은 능직 조직으로 제직된 바람직한 예시로서 그 중에서도 위사가 경사에 비해서 상당이 많이 노출된 구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위사는 경사에 비해서 굵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경사의 굵기는 20~150데니어 범위이고 위사의 굵기는 70~900데니어 범위로서 그 범위내에서 위사가 경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굵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능직이나 수자직으로 된 조직점이 평직에 비해 듬성듬성하고 위사가 많이 노출되고 또 경사의 굵기가 위사에 비해서 많이 가는 관계로 차양지(12)에 짜인 경사는 굵은 위사에 묻혀서 거의 숨어버리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 경사는 LM사와 같은 투명사가 가장 바람직하다.
차양지(12)의 3중층 중 중간층(12b)에 암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위사를 구성하는 두종류 중 불투명사(20)와 흑색사(22)의 굵기를 비교하면 불투명사(20)가 흑색사(2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굵거나 같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사(20)의 굵기는 150~900데니어 범위이고 흑색사(22)는 140~700데니어 범위로서, 그 범위내에서 불투명사(20)가 흑색사(22)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더 굵게 형성된다. 만일 흑색사(22)가 불투명사(20)보다 더 굵게 형성되면 불투명사(20)로 된 차양지(12)의 전면 무늬나 색깔이 달라져 보일 수 있다는 데에 굵기의 관계 의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종류의 위사(20)(22)와 경사(30)의 굵기 관계는 「경사(30) < 흑색사(22) ≤ 불투명사(20)」로 정리된다.
본 발명에서 차양지(12)의 3중직 형성에 사용된 위사와 바탕망사지(10)에 사용된 위사 간의 비율은 3:1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탕망사지용 위사 1가닥이 사용되어 바탕망사지(10)를 제직함에 대응하여 차양지용 위사 3가닥 즉, 불투명사(20) 2가닥과 흑색사(22) 1가닥이 연속 사용되어서 차양지(12)를 3중직으로 제직하게 된다. 차양지용 위사군(W1,W2,W3), (W4,W5,W6), (W7,W8,W9) 각각이 바탕망사지용 위사 1가닥 각각에 대응하여서 연속적으로 사용되어 진다. 여기서, W1,W3,W4,W6,W7,W9는 불투명사(20)이고, W2,W5,W8은 흑색사(22)이다.
도 4의 차양지(12)의 제직도에서, P1,P2,P3,P4,P5,P6는 경사로서 차양지(12) 형성을 위한 경사군이 되고, W1~W9는 위사이며, "X"표시는 경사 개구시 경사가 업(up)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의 조직으로 짠 도 5의 구성을 보면, 흑색사(22)인 위사 W2,W5,W8는 경사(30)들과 엮여서 중간층(12b)를 형성하고, 불투명사(20)인 경사(30)들과 엮여서 상하층(12a)(12c)을 형성하여서 3중직의 차양지(12)가 제직된다.
3중직으로 제직된 차양지(12)는 흑색사(22)에 의한 암막으로 제공될 경우에는 일층 형성된 일반 차양지 두께의 2~3배 두께가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A1)(A2)(A3)의 다양한 예시도로서,
도 6 및 도 7의 롤블라인드(A1)(A2)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망사지(10)상에 연결된 차양지(12)가 전방 연결띠(14)에 의해서 올려진 다양한 형태의 입체 커튼지(2)를 채용한 구성 일예이고, 도 8의 롤블라인드(A3)는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지(12)의 전면과 배면에 전후방 연결띠(14)(11)가 연결된 입체 커튼지(2A)를 채용한 구성 일예이다.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A)는 입체 커튼지(2)를 승강조정줄(38)에 의해 승강작동시켜 차양과 투광을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가 롤블라인드(A)의 승강조정줄(38)의 뒷줄을 당겨내리게 되면 롤축봉(40)에 감겨있던 입체 커튼지(2)가 서서히 내려와서 입체 커튼지(2)로 창문 전체를 차양한 상태가 된다. 이때 롤블라인드(A)의 최하단의 가로무게봉(42a)(42b)의 무게로 입체 커튼지(2)가 당겨져 전후방 연결띠(14)(11)들이 팽팽해지므로 각 전후방 연결띠(14)(11)들과 개방 하측단이 연결고정된 모든 차양지(12)들은 완전히 펴진 상태가 유지된다.
창문 전체가 차양된 상태에서 승강조정줄(38)의 뒷줄을 계속 당겨 내리게 되면 전후방 연결띠(14)(11)에 의해 차양지(12)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들려 올라가 반정도 걷히게 되면서 투광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양지(12)의 개방 형성은 승강조정줄(38)의 뒷줄만을 이용하여 입체 커튼지(2)를 내려오게 하는 연속과정에서 이루어지는바 사용자의 차양지(12) 개폐작동에 유리하며, 가로무게봉(42a)(42b)의 무게중량에 의해 롤블라인드(A)가 직하방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리창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차양지(12)의 개폐가 용이한 것이다.
한편, 롤블라인드(A)의 입체 커튼지(2)를 말아올리기 위해서는 승강조정줄(38)의 앞줄을 계속 당겨내리면 입체 커튼지(2)가 롤축봉(40)에 완전히 말려져 창문이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는 3중직으로 차양지(12)를 제직하되 중간층(12b)에 흑색사를 사용하여 암막면 역할을 함으로써 빛차단율이 도 9에 도시된 실험 예에서와 같이 99.9%로 상당히 높아서 대부분의 유입광을 차단하는 역할 덕택에 별도의 암막커튼 설치 없이도 실내를 아주 컴컴한 환경으로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 및 전후방 연결띠(14)(11)를 차례로 제직할 때 바탕망사지와 차양지용 경사(32b)는 계속 위사와 서로 엮이면서 교차 제직되나 전후방 연결띠(14)(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직되는 꼬임선부용 경사(32a)는 위사와의 엮임이 적다.
이렇듯 제직하는 과정에서 바탕망사지 및 차양지용 경사(32b)는 위사와 서로 엮이게 되면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특히, 차양지(12)는 3중직으로 제직됨에 따라 차례로 공급되는 3개의 위사(불투명사 2가닥, 흑색사 1가닥)가 경사와 엮이게 되어 그 길이가 더 짧아지며, 이에 반해 꼬임선부용 경사(32a)는 바탕망사지 및 차양지용 경사(32b)에 비해 위사와 덜 엮이게 됨으로써 바탕망사지 및 차양지용 경사(32b)와 꼬임선부용 경사(32a)의 직축(織縮)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의 제직 기계도면에서와 같이 바탕망사지(10) 및 차양지(12) 형성을 위해 공급되는 바탕망사지 및 차양지용 경사(32b)는 경사 빔(34)을 통해서 일괄 공급되고, 꼬임선부용 경사(32a)는 직축차이의 보완을 위해 경사를 팽팽하게 당겨 공급하도록 다수의 크릴(creel)(36)에 의해 별도로 공급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2A)-- 입체 커튼지 (10)-- 바탕망사지
(14)(1)-- 전,후방 연결띠 (12)-- 차양지
(16)-- 상측연부 (18)-- 하측연부
(32a)-- 꼬임선부용 경사 (32b)-- 바탕망사지 및 차양지용 경사
(34)-- 경사 빔 (36)-- 크릴(creel)
(38)-- 승강조정줄 (40)-- 롤축봉
(42a)(42b)-- 가로무게봉 (A1)(A2)(A3)-- 롤블라인드

Claims (6)

  1.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바탕망사지(10)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이 상하 배열되고 차양지(12)들 상에는 좌우 이격된 연결띠(14)들이 배열되게 하는 5중직 내지 6중직 일체 제직으로 입체 커튼지(2)를 형성하고,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에는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며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전방 연결띠(14)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게 구성하되,
    바탕망사지(10) 및 전방 연결띠(14)와 차례로 일괄 제직 형성되는 차양지(12)는 능직이나 수자직 조직으로 3중직을 형성하여서 상층(12a)과 하층(12c)은 위사로 투입된 불투명사가 노출되어 차양지(12)의 앞뒷면을 형성하고 중간층(12b)은 위사로 투입된 흑색사로 형성하여 실내 어둠 조성이 가능한 암막을 제공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2.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된 다수 후방 연결띠(11) 상에 가로 연장된 다수 차양지(12)들이 상하 배열되고 차양지(12)들 상에는 좌우 이격되고 상하로 연장된 전방 연결띠(14)들이 배열되게 하는 5중직 내지 6중직 일체 제직으로 입체 커튼지(2)를 형성하고, 차양지(12)의 상측연부(16)에는 후방 연결띠(11)와 차양지(12)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며 차양지(12)의 하측연부(18)에는 차양지(12)와 전방 연결띠(14)가 경위사 일체제직으로 형성되게 구성하되,
    전후방 연결띠(14)(11)와 차례로 일괄 제직 형성되는 차양지(12)는 능직이나 수자직 조직으로 3중직을 형성하여서 상층(12a)과 하층(12c)은 위사로 투입된 불투명사가 노출되어 차양지(12)의 앞뒷면을 형성하고 중간층(12b)은 위사로 투입된 흑색사로 인해 암막을 형성하여 실내 어둠 조성이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양지(12)의 경사(30)와 차양지(12)의 위사인 불투명사(20)와 흑색사(22)의 굵기 관계는 「경사(30) < 흑색사(22) ≤ 불투명사(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중직으로 된 차양지(12)는 일층 형성된 일반 차양지 두께의 2 ~ 3배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탕망사지(10)와 차양지(12)를 형성하는 바탕망사지 및 차양지용 경사(32b)는 경사 빔(34)을 통해 일괄 공급하고, 전후방 연결띠(14)(11)에 제직되는 꼬임선부용 경사(32a)는 다수의 크릴(36)을 통해 공급하여 경사들 간의 직축차이를 보완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체 커튼지(2)는 승강조정줄(38)에 의해 승강작동하여 차양지(12)의 걷어올림 및 내림의 조정이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1020130054496A 2013-05-14 2013-05-14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20140134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96A KR20140134514A (ko) 2013-05-14 2013-05-14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96A KR20140134514A (ko) 2013-05-14 2013-05-14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14A true KR20140134514A (ko) 2014-11-24

Family

ID=5245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496A KR20140134514A (ko) 2013-05-14 2013-05-14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5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445B1 (ko) * 2015-03-13 2016-09-21 (주) 금오섬유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20190091662A (ko) 2018-01-29 2019-08-07 (주)제일윈도텍스 미세먼지 차단용 콤비 블라인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445B1 (ko) * 2015-03-13 2016-09-21 (주) 금오섬유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20190091662A (ko) 2018-01-29 2019-08-07 (주)제일윈도텍스 미세먼지 차단용 콤비 블라인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US8950462B2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10120661A1 (en) Integrated weaving type three-dimensional curtain sheet fabric having ba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1638517B1 (ko)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KR101450060B1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20140134514A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007748B1 (ko) 양면 망사부와 차광부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및 블라인드지 제직방법
KR20110126529A (ko)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20140134511A (ko) 개폐종방실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101865411B1 (ko)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KR101388086B1 (ko) 기능성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982B1 (ko) 부분걷힘기능 장식커튼지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101450062B1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200477682Y1 (ko)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JP2019138135A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