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445B1 -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445B1
KR101658445B1 KR1020150036051A KR20150036051A KR101658445B1 KR 101658445 B1 KR101658445 B1 KR 101658445B1 KR 1020150036051 A KR1020150036051 A KR 1020150036051A KR 20150036051 A KR20150036051 A KR 20150036051A KR 101658445 B1 KR101658445 B1 KR 10165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aving
fabric
warp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주) 금오섬유
박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오섬유, 박세훈 filed Critical (주) 금오섬유
Priority to KR1020150036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 블라인드에 구비되는 밴드의 형성을 별도의 샤링공정 없이 제직만으로 완성할 수 있게 한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은 통상의 제직방법으로 삼중 블라인드를 제직함에 있어, 밴드경사 그룹의 양단에 한 가닥의 절단경사를 공급하고, 상기 절단경사는 직물경사의 제직경로를 따라 제직하되, 밴드와 직물이 접결되는 부분에는 건너뛰게 제직하고, 밴드위사는 밴드경사로 직결투입되어 제직하지 않고 직물위사의 경로를 따라 직물로 제직하되, 밴드와 직물이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직물경사로부터 밴드경사로 옮겨지게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band make method of the triple structure blind}
본 발명은 삼중으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삼중 블라인드에 구비되는 밴드의 형성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블라인드는 도 8과 같이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밴드(A1), 이면에 망사(A2), 중간에 직물(A3)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물의 일단은 밴드와 접결되고, 타단은 망사와 집결되어 제직 된 삼중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삼중 블라인드는 조작장치에 의해 밴드를 상하 승강시키면 직물의 일단이 이면 망사로부터 수직, 수평, 경사를 이루면서 차광, 투광 및 그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종래는 삼중 블라인드의 제조시 밴드의 형성은 두 번의 공정을 요하므로 삼중 블라인드커튼을 완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도 8은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가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커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의 제직방법으로 제직이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10은 도 9를 수평을 절단하여 간략하게 나타낸 제직도 이고, 도 11은 도 10의 상세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삼중 블라인드의 제직 및 밴드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는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밴드경사(A10), 이면에 망사경사(A20), 중간에 직물경사(A30)가 공급되고, 상기의 각 경사에 각자의 밴드위사(A11), 망사위사(A21), 직물위사(A31)를 교차되게 공급하여 제직부 및 접결부가 형성되도록 제직하되, 밴드(A1)의 경우 밴드경사(A10)와 밴드위사(A11)가 만나는 부위만 제직하고 만나지 않는 나머지부분은 제직되지 않도록 한 다음, 도9와 같이 제직이 완성된 블라인드를 별도의 샤링(절단)기에 옮겨 제직되지 않고 남은 밴드위사(A11)만 절단하여 도 8과 같이 제조를 완성한다.
따라서 종래는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를 형성하기 완성하기 위해 제직 후 별도를 샤링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삼중 블라인드의 원가상승은 물론, 제조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062호.
본 발명은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를 형성함에 있어, 제직방법을 개선하여 제직 후 별도의 샤링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도록 함에 그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의 제직방법으로 삼중 블라인드를 제직함에 있어, 밴드경사 그룹의 양단에 한 가닥의 절단경사를 공급하고, 상기 절단경사는 직물경사의 제직경로를 따라 제직하되, 밴드와 직물이 접결되는 부분에는 건너뛰게 제직하고, 밴드위사는 밴드경사로 직결투입되어 제직하지 않고 직물 위사의 경로를 따라 직물로 제직하되, 밴드와 직물이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직물경사로부터 밴드경사로 옮겨지게 제직하면 된다.
상기한 수단에 따르면 제직이 완성된 절단경사를 뜯어내면 직물경사에서 밴드경사로 옮겨지는 부분의 밴드위사가 끊어져 밴드가 완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별도의 샤링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직만으로 밴드의 형성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밴드의 형성방법은 삼중 블라인드의 제조를 완성함에 있어 원가절감은 물론 제조시간이 상당하게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에 따라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경사에 대한 제직경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밴드위사에 대한 제직경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가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제직방법으로 제직이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수평을 절단하여 간략하게 나타낸 제직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 의미로 제한되지 않고,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진다. 또한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에 의해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완성된 삼중 블라인드의 구성요소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삼중 블라인드를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견인용 밴드(1)가 형성되고, 이면에 투과용 망사(2)가 형성되며, 중간에 차광용 직물(3)이 형성되되, 상기 직물(3)의 일단은 밴드(1)와 접결되는 밴드접결부(3a)가 형성되고, 타단은 망사(2)와 접결되는 망사접결부(3b)가 형성되어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이에 블라인드 조작장치(미도시)로 밴드(1)를 상하 승강시키면 망사(2)로부터 직물(3)이 승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광 또는 투광 및 그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삼중 블라인드의 제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삼중 블라인드의 제직방법은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밴드경사(10), 이면에 망사경사(20), 중간에 직물경사(30)가 공급되고, 상기의 각 경사에 밴드위사(11), 망사위사(21), 직물위사(31)를 공급하여 밴드(1), 망사(2), 직물(3)이 형성되도록 제직되되, 상기 직물(3)의 일단은 밴드(1)와 접결되는 밴드접결부(3a)로 제직되고, 타단은 망사(2)와 접결되는 망사접결부(3b)로 제직되어 경사를 이룬다.
위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 차를 주어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실제 각 경사 및 위사는 수평으로 공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밴드경사(10) 그룹의 양단에 한 가닥의 절단경사(40)가 더 공급되고, 밴드위사(11)는 종래와 같이 밴드경사(10)와 직접연결되어 제직되지 않고 직물경사(30)와 병행하여 제직된다.
이하, 도2와 함께 절단경사(40) 및 밴드위사(11)의 제직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도2의 절단경사(40)에 대한 제직경로를 나타낸 간략도 이고, 도4는 도3의 상세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절단경사(40)의 제직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경사(40)는 직물경사(미도시)의 제직경로를 따라 제직되되, 밴드(1)와 직물(3)이 접결되는 밴드접결부(3a)에서는 제직되지 않고 다음 직물(3)의 선단으로 건너뛰게 제직된다.
상기에서 절단경사(40)를 밴드접결부(3a)에서 건너뛰게 하는 방법은 절단경사(40)와 연결되는 제직부의 종광(미도시)을 밴드접결부(3a)의 제직이 완료될 때까지 승강시키면 된다.
도5는 도2의 밴드위사(11)에 대한 제직경로를 나타낸 간략도 이고, 도6은 도5의 상세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밴드위사(11)의 제직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과 같이, 밴드위사(11)는 직물위사(31)의 경로를 따라 제직되되, 밴드경사(10)와 직물경사(30)가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직물경사(30)로부터 밴드경사(10)로 옮겨지게 제직된다.
상기에서 옮기는 방법은 직물(3)와 밴드(1)가 일직선이 될 때 밴드위사(11)가 공급되고, 밴드위사(11)의 공급 후, 직물(3)로부터 밴드(1)의 제직부 종광(미도시)을 승강시킨 후 직물위사(31)를 공급하고, 다시 일직선이 되게 한 후 밴드위사(11)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제직하면 된다.
도7은 도6의 작동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밴드(1)의 분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직방법으로 제직되는 밴드위사(11)는 양단에 절단경사(40)와 제직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경사(40)를 위로 들어올려 뜯어내면 절단경사(40)와 제직 된 밴드위사(11)는 일제히 절단되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위사(11)가 절단된 밴드(1)는 직물(3)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다.
첨부된 도면상으로는 확연하게 표시되어 있지않지만, 절단경사(40)는 밴드위사(11)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밴드위사(11) 보다 강한 실을 사용한다. 또한 밴드(1)의 색상은 밴드경사(10)에 의해 결정되게 한다. 즉 밴드경사(10)는 색상을 갖는 실을 공급하고 밴드위사(11)는 투명한 색상의 실을 공급한다. 이렇게 하면 직물(3)과 밴드(1)의 색상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형성방법은 종래와 같이 제직 후 별도의 샤링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삼중 블라인드의 제조가 상당히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되는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사상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A1: 밴드 A10: 밴드경사
A11: 밴드위사 A2: 망사
A20: 망사경사 A21: 망사위사
A3: 직물 A30: 직물경사
A31: 직물위사 1: 밴드
10: 밴드경사 11: 밴드위사
2: 망사 20: 망사경사
21: 망사위사 3: 직물
3a: 밴드접결부 3b: 망사접결부
30: 직물경사 31: 직물위사
40: 절단사

Claims (1)

  1.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으로서,
    상기 밴드형성방법은,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밴드경사(10), 이면에 망사경사(20), 중간에 직물경사(30)를 공급하고, 상기의 각 경사에 밴드위사(11), 망사위사(21), 직물위사(31)를 공급하여 밴드(1), 망사(2), 직물(3)이 형성되도록 제직하되, 상기 직물(3)의 일단은 밴드(1)와 접결되는 밴드접결부(3a)로 제직하고, 타단은 망사(2)와 접결되는 망사접결부(3b)로 제직하며,
    상기 밴드경사(10) 그룹의 양단에 한 가닥의 절단경사(40)를 공급하고, 상기 절단경사(40)는 직물경사(30)의 제직경로를 따라 제직되게 하되, 밴드(1)와 직물(3)이 접결되는 밴드접결부(3a)에서는 제직하지 않고 다음 직물(3)의 선단으로 건너뛰게 제직하고,
    상기 밴드위사(11)는 밴드경사(10)로 직결투입되어 제직하지 않고 직물위사(31)의 경로를 따라 직물(3)로 제직되게 하되, 밴드(1)와 직물(3)이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직물경사(30)로부터 밴드경사(10)로 옮겨지게 제직하며,
    상기 제직이 완성된 절단경사(40)를 뜯어내면 직물경사(30)에서 밴드경사(1)로 옮겨지는 부분의 밴드위사(11)가 끊어져 직물(3)로부터 밴드(1)가 분리되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1020150036051A 2015-03-13 2015-03-13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10165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51A KR101658445B1 (ko) 2015-03-13 2015-03-13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51A KR101658445B1 (ko) 2015-03-13 2015-03-13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445B1 true KR101658445B1 (ko) 2016-09-21

Family

ID=5708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051A KR101658445B1 (ko) 2015-03-13 2015-03-13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97B1 (ko) 2016-03-18 2017-10-11 신장희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855956B1 (ko) 2017-04-17 2018-05-09 주식회사 정진텍스타일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062B1 (ko) 1994-12-14 1998-10-15 안성철 제진성이 우수한 컴팩트 디스크용 자외선 경화수지 조성물
KR20100102391A (ko) * 2009-03-11 2010-09-24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지
KR100988591B1 (ko) * 2009-11-23 2010-10-18 김옥자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89089B1 (ko) * 2013-04-22 2013-07-23 김영희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514A (ko) * 2013-05-14 2014-11-24 김옥자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062B1 (ko) 1994-12-14 1998-10-15 안성철 제진성이 우수한 컴팩트 디스크용 자외선 경화수지 조성물
KR20100102391A (ko) * 2009-03-11 2010-09-24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지
KR100988591B1 (ko) * 2009-11-23 2010-10-18 김옥자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89089B1 (ko) * 2013-04-22 2013-07-23 김영희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514A (ko) * 2013-05-14 2014-11-24 김옥자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97B1 (ko) 2016-03-18 2017-10-11 신장희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855956B1 (ko) 2017-04-17 2018-05-09 주식회사 정진텍스타일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2857B1 (ko) 이중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로만쉐이드
JP5312500B2 (ja) 遮光用ブライ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15179A (ko) 코드줄 내장형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코드줄 내장형 로만쉐이드
US20180112460A1 (en) Ladder tape and window blind with the same
KR100988591B1 (ko)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658445B1 (ko)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JP2015513021A (ja) ローマンシェードタイプブラインドファブリック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り生産されるブラインドファブリ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インド
KR20090055524A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402863B1 (ko) 이중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로만쉐이드
WO2009131351A3 (ko)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US20160237740A1 (en) Ladder ta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57305B1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CN205682927U (zh) 面料及利用面料的遮光结构物
TWM472479U (zh) 捲簾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7181699A (ja) 垂れ紐状間仕切り、カーテン
KR101915616B1 (ko) 블라인드용 겹문양 직물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및 블라인드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6219638B2 (ja) 縦型ブラインド
KR101173355B1 (ko)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696141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US20120233817A1 (en) Window Shade with Enhanced Safety Features
JP2010167321A (ja) 水処理用固定床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