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089B1 -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089B1
KR101289089B1 KR1020130044222A KR20130044222A KR101289089B1 KR 101289089 B1 KR101289089 B1 KR 101289089B1 KR 1020130044222 A KR1020130044222 A KR 1020130044222A KR 20130044222 A KR20130044222 A KR 20130044222A KR 101289089 B1 KR101289089 B1 KR 10128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weaving
plate
opaque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김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9979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890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김기형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102013004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40Yarns in which fibres are united by adhesives; Impregnated yarns or threads
    • D02G3/404Yarns or threads coated with polymeric solutions
    • D02G3/406Yarns or threads coated with polymeric solutions where the polymeric solution is removable at a later stage, e.g. by wash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불투명 중판이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 사이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단을 제직할 때 불투명 중판과 망사형 하판을 연결하고 있는 경사를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할 때 불투명 중판용 경사를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에 녹아내리는 사종으로 사용하고,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경사의 1/2은 먼저 제직할 불투명 중판에 배치하고, 나머지 경사 1/2은 망사형 하판에 배치하는 것을 반복하여 제직하며, 상기와 같이 경사의 1/2은 먼저 제직할 불투명 중판에 배치되고, 나머지 경사 1/2은 망사형 하판에 배치되어 제직하는 것이 반복됨에 따라 불투명 중판을 제직한 후 망사형 하판에 교대로 넘어간 경사 부분을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은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 사이에 불투명 중판이 지그재그로 연결되게 제직하면서 제직에 가담하지 않고 교대로 넘어간 경사를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였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망사형 하판에 연결된 불투명 중판의 일측을 분리할 때 주변의 위사 보다 굵은 위사 부분의 경사만을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하였기 때문에 깨끗하여 블라인드용 원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화학약품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for solid blind}
본 발명은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불투명 중판이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 사이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단을 제직할 때 불투명 중판과 망사형 하판을 연결하고 있는 경사를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섬유기술에 발전으로 기능성 원사가 개발되면서 직기에서 제직된 직물 블라인드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한 직물 블라인드는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반복되어 제직된 평면 블라인드와, 망사형 상판, 불투명 중판, 망사형 하판으로 제직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으로 구성된 입체 블라인드가 있다.
상기한 직물 블라인드 중에 입체 블라인드는 불투명 중판을 중심으로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이 제직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으로 제조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은 불투명 중판을 중심으로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이 제직되는데, 불투명 중판은 일정폭 지그재그 형태로 제직되되, 한쪽은 망사형 상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망사형 하판에 연결되도록 제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불투명 중판이 지그재그형태로 연결되게 제직하려면, 경사빔에서 공급되는 경사 1/2은 먼저 제직되는 불투명 중판을 제직하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경사 1/2은 그 다음 제직되는 불투명 중판을 제직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면, 먼저 제직되는 불투명 중판에서 사용되지 않고 넘어간 경사 1/2은 절단가공으로 제거해야 입체 블라인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불투명 중판에서 사용되지 않고 넘어간 경사(잔사)를 회전하는 칼날에 의한 전모 가공을 하게 되면, 절단된 경사들의 길이가 고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칼날에 의해서 잔사와 인접한 이면층이 손상되어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의 특허출원 10-2013-0026705호,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불투명 중판을 제직할 때 제직에 가담하지 않고 교대로 넘어간 경사(잔사)를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할 때 황산 또는 염산을 넓은 범위에 처리해야하는 관계로 화학약품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번아웃가공이 골고루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잔사처리가 완벽하지 못하고,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품질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10-0815579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2; 등록특허 10-0919112호, (직물 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 특허문헌 3; 등록특허 10-0991330호, (입체 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불투명 중판의 경사를 제거하지 않고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상기와 같은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할 때 불투명 중판의 경사가 망사형 하판에 제직되면서 연결된 경사 부분을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확실하고 깨끗하게 제거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할 때 불투명 중판용 경사를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에 녹아내리는 사종으로 사용하고,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경사의 1/2은 먼저 제직할 불투명 중판에 배치하고, 나머지 경사 1/2은 망사형 하판에 배치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여 제직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의 1/2은 먼저 제직할 불투명 중판에 배치되고, 나머지 경사 1/2은 망사형 하판에 배치되어 제직하는 것이 교대로 반복됨에 따라 불투명 중판을 제직한 후 망사형 하판에 교대로 넘어간 경사 부분을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은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 사이에 불투명 중판이 지그재그로 연결되게 제직하면서 제직에 가담하지 않고 교대로 넘어간 경사를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였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망사형 하판에 연결된 불투명 중판의 일측을 분리할 때 주변의 위사 보다 굵은 위사 부분의 경사만을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하여 망사형 하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기 때문에 블라인드용 원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화학약품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제직된 원단으로 구성된 입체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연결부에 번아웃 가공전을 확대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연결부에 번아웃 가공을 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에서 망사형 하판에 연결된 경사를 제거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구성과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구성은, 일정한 폭으로 반복되는 제1,2불투명 중판(10)(10')의 양단이 망사형 상판(20)과 하부에 망사형 하판(30)에 연결된 상태로 제직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직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입체 블라인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1,2불투명 중판(10)(10')의 일측을 망사형 하판(30)에서 분리시켜 제1,2불투명 중판(10)(10')이 망사형 상판(20)과 망사형 하판(30) 사이에서 개폐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직기에 경사를 공급하기 위한 경사용 상빔(40)에는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인견, 면, 마 재질의 실들 중에 어느 한 종류의 실을 준비하여 불투명 중판과 망사형 하판용 경사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경사용 하빔(50)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실을 준비하여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용 경사로 공급할 수 있게 준비하는 단계;
직기에서 제직할 때 상기 경사용 상빔(40)에서 경사 1/2씩 분할하여 불투명 중판과 망사형 하판에 교대로 제직되도록 공급하고, 경사용 하빔(50)에서 경사 1/2씩 분할하여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에 제직되도록 공급하고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실을 위사로 공급하여 제직하는 것으로,
먼저, 제1불투명 중판(10) 일부와 망사형 하판(30)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를 제직하는 단계; 및 망사형 상판(20)과 망사형 하판(30)을 제직하고, 그 사이에 제1불투명 중판(10)을 제직하되, 상기 제1불투명 중판(10)은 경사용 상빔(40)의 경사 1/2을 사용해서 일정폭 제직하고, 상기 제직에 가담하지 않은 경사용 상빔(40)의 경사 1/2은 망사형 하판(30)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는 단계; 및 제1불투명 중판(10)의 일부와 망사형 상판(20)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를 제직하는 단계;
그리고, 제2불투명 중판(10') 일부와 망사형 하판(30)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를 제직하는 시점에 주변의 위사 보다 굵은 위사(1)를 공급하여 제직하고, 망사형 상판(20)과 망사형 하판(30)의 제직과, 그 사이에 제2불투명 중판(10')을 제직하되, 상기 제2불투명 중판(10')은 망사형 하판(30)을 제직할 때 사용한 경사를 사용해서 일정폭 제직하고, 제1불투명 중판을 제직할 때 사용한 경사는 망사형 하판(30)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는 단계;와, 제2불투명 중판(10')의 일부와 망사형 상판(20)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를 제직하는 단계;를 반복되게 하여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직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2불투명 중판(10)(10')의 일측은 망사형 하판(30)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은 망사형 상판(20)에 각각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제직되고, 제1,2불투명 중판을 제직할 때 사용되지 않고 교대로 넘어간 경사는 망사형 하판용 경사와 함께 망사형 하판에 제직된다.
상기와 같이 제직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 사이에 제직된 제1,2불투명 중판의 일측을 망사형 하판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경사를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이 권취된 빔(70)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나염기(80)의 일측에 거치대에 걸쳐놓고, 망사형 하판(30)이 상부로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이 나염기(80)에서 이동하는 중에 망사형 하판(30)에 제직된 굵은 위사(1)부분의 경사에 황산, 또는 염산을 도포하여 경사를 번아웃가공시켜 제거함으로써 상판과 망사형 하판 사이에 제직된 제1,2불투명 중판의 일측을 망사형 하판에서 분리되어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면, 제1,2불투명 중판을 제직한 후, 망사형 하판(30)을 제직하는 시점에 사용한 굵은 위사(1)부분의 경사에 번아웃가공하여 경사를 제거하게 되므로 종래 절단하는 방법에 비하여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내구성 향상과 외관이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다.
1: 굵은 위사 2.3: 연결부 10,10': 제1,2불투명 중판 20: 망사형 상판 30: 망사형 하판 40: 경사용 상빔
50: 경사용 하빔

Claims (3)

  1. 일정한 폭으로 반복되는 제1,2불투명 중판을 중심으로 상부에 망사형 상판과 하부에 망사형 하판이 구성되며, 제1,2불투명 중판의 한쪽은 망사형 하판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망사형 상판의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으로 반복되는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에 있어서,
    제1,2불투명 중판을 제직하는 경사는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인견, 면, 마 재질의 실들 중에 어느 한 종류의 실을 경사로 사용되며,
    망사형 하판은 제1,2불투명 중판을 제직할 때 가담하지 않은 경사가 교대로 넘어가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망사형 하판에 제직되며,
    상기와 같이 경사가 교대로 넘어와서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는 시점에 공급된 위사는 망사형 하판을 제직하는 위사 보다 굵은 위사가 공급되어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2. 경사용 상빔(40)에는 황산 또는 염산에 의한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인견, 면, 마 재질의 실들 중에 어느 한 종류의 실을 준비하고, 경사용 하빔(50)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경사용 상빔(40)에서 경사 1/2씩 분할하여 불투명 중판과 망사형 하판에 제직되도록 교대로 공급하고, 경사용 하빔(50)에서 경사 1/2씩 분할하여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에 제직되도록 공급하고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실을 위사로 공급하여 제직하되,
    제1불투명 중판 일부와 망사형 하판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직하는 단계; 및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을 제직하고, 그 사이에 제1불투명 중판은 경사용 상빔의 경사 1/2을 사용해서 제직하되, 상기 제직에 가담하지 않은 경사용 상빔의 경사 1/2은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제직하는 단계; 및 제1불투명 중판의 일부와 망사형 상판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직하는 단계;
    이어서, 제2불투명 중판 일부와 망사형 하판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직하는 시점에 주변의 위사 보다 굵은 위사를 공급하여 제직하고, 망사형 상판과 망사형 하판의 제직과, 그 사이에 제2불투명 중판을 제직하되, 상기 제2불투명 중판은 망사형 하판을 제직할 때 사용한 경사를 사용해서 제직하고, 제1불투명 중판을 제직할 때 사용한 경사는 망사형 하판의 경사와 함께 망사형 하판에 제직하는 단계;와, 제2불투명 중판의 일부와 망사형 상판의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직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의해서 제직된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을 구성하는 망사형 하판에 제직된 굵은 위사 부분의 경사에 황산 또는 염산을 도포하는 번아웃가공으로 제거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제조방법.
KR1020130044222A 2013-04-22 2013-04-22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8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22A KR101289089B1 (ko) 2013-04-22 2013-04-22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22A KR101289089B1 (ko) 2013-04-22 2013-04-22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089B1 true KR101289089B1 (ko) 2013-07-23

Family

ID=4899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222A KR101289089B1 (ko) 2013-04-22 2013-04-22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0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6B1 (ko) 2013-11-15 2014-08-21 박금연 입체형상 블라인드원단의 제조방법
KR101486000B1 (ko) * 2013-08-19 2015-01-26 오성희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 장치,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제조 방법
KR101658445B1 (ko) * 2015-03-13 2016-09-21 (주) 금오섬유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101691746B1 (ko) 2015-07-17 2016-12-30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91745B1 (ko) 2015-07-15 2016-12-30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20170006376A (ko) 2015-07-08 2017-01-18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
KR20200074892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빛과창 다중구조 블라인드 원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815A (ko) * 1998-03-03 1999-10-05 박상곤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KR100859101B1 (ko) 2008-05-28 2008-09-18 최창식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20100118351A (ko) * 2009-04-28 2010-11-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9279A (ko) * 2009-12-17 2011-06-23 김재정 번아웃가공을 이용한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815A (ko) * 1998-03-03 1999-10-05 박상곤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KR100859101B1 (ko) 2008-05-28 2008-09-18 최창식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20100118351A (ko) * 2009-04-28 2010-11-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9279A (ko) * 2009-12-17 2011-06-23 김재정 번아웃가공을 이용한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00B1 (ko) * 2013-08-19 2015-01-26 오성희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 장치,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제조 방법
KR101432946B1 (ko) 2013-11-15 2014-08-21 박금연 입체형상 블라인드원단의 제조방법
KR101658445B1 (ko) * 2015-03-13 2016-09-21 (주) 금오섬유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20170006376A (ko) 2015-07-08 2017-01-18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
KR101691745B1 (ko) 2015-07-15 2016-12-30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91746B1 (ko) 2015-07-17 2016-12-30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20200074892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빛과창 다중구조 블라인드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089B1 (ko)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859101B1 (ko)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AR006007A1 (es) Cubierta de tela enrollada para la proteccion de substratos alargados
CN109825930B (zh) 一种局部起圈凹凸小提花面料的设计方法与织造工艺
CN105755649A (zh) 一种素色阴影双面提花丝绒及其织造方法
JP2010522836A5 (ko)
CN215289123U (zh) 一种新型的梭织面料
KR101538267B1 (ko) 쟈카드직물의 입체무늬 형성장치 및 입체무늬를 갖는 쟈카드직물
KR101363741B1 (ko)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432946B1 (ko) 입체형상 블라인드원단의 제조방법
ATE485411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webes in leinwand- und dreherbindungen sowie webmaschine zur verfahrensdurchführung
CN107604513B (zh) 结构稳定的织唛及其织造方法
CN106801284B (zh) 一种利用大提花织造的分区目板的装造方法
KR20110062973A (ko) 파일무늬와 고밀도 파일을 갖는 벨벳직물 제직장치 및 벨벳직물
JP2011153394A (ja) 織物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4698763B1 (ja) 複雑な柄の製織方法
KR101756056B1 (ko) 통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원단의 직조방법
EP367072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le fabrics
JP4128883B2 (ja) 裂織の方法
JP2007298882A (ja) クリーニングブラシ製造法及びクリーニングブラシ
CN105386199B (zh) 拼接式剪花色织面料及其制备方法
JP2006161189A (ja) 織物とその製造方法
KR200416584Y1 (ko) 양면 벨벳 직물지
JP2000220058A (ja) 通常のタオル織物の織り仕掛けにおいて、ガーゼ織タオルを織成する方法
JP2008111209A (ja) はたお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174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331

Effective date: 201612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