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815A -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815A
KR19990073815A KR1019980006958A KR19980006958A KR19990073815A KR 19990073815 A KR19990073815 A KR 19990073815A KR 1019980006958 A KR1019980006958 A KR 1019980006958A KR 19980006958 A KR19980006958 A KR 19980006958A KR 19990073815 A KR19990073815 A KR 1999007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fibers
pattern
treatm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곤
Original Assignee
박상곤
주식회사 삼미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곤, 주식회사 삼미통상 filed Critical 박상곤
Priority to KR101998000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815A/ko
Publication of KR1999007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815A/ko

Links

Landscapes

  • Colo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를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에 소정의 형태를 갖는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공정과;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갖는 인쇄용 원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만을 화학적으로 번-아웃시켜 제거시켜 주는 것으로, 가성 소다(수산화나트륨) : 35∼45중량 %, 알긴산 : 25∼35중량%, 펄프 : 25∼35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화학 처리제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의 일면에 인쇄용 원판을 부착하고, 화학 처리제를 원단에 침투시키는 공정과; 인쇄용 원판을 분리시키고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공기를 이용하여 1∼2분 정도 건조시키는 공정과; 110∼120℃ 정도의 온도를 갖는 증기를 이용하여 20∼40분 정도의 시간 동안 원단의 표면과 화학 처리제가 반응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물에 원단을 침지시켜 이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서 2차적으로 이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져,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 섬유로 직조된 원단에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소정의 무늬를 음각 또는 양각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본 발명은 번-아웃(burn out)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 또는 스판덱스 등을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에 소정의 형태를 갖는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조된 원단에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나염 방식에 의한 염색 방법이다.
이 나염 방식은 여러 종류의 색을 갖는 염료를 실크 인쇄 방식으로 나염하는 것으로, 그 표현 형태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그런데, 무늬를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단을 이중 성분을 갖는 원사로 직조하여, 각 섬유에 반응하는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처리하여 무늬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산성 용액에 용해되는 레이온(rayon) 섬유와, 그리고 산성 용액에 녹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교직으로 직조한 원단을 이용하였다.
이렇게 직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레이온 섬유는 산성 용액으로 번-아웃(burn out)시켜 제거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잔류시킴으로써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무늬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레이온 섬유는 그 제조 단가가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보다 2배 이상 고가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이용한 원단은 그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레이온 섬유를 함유한 원단을 이용하면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경제적인 섬유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를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무늬를 화학 처리를 통하여 번-아웃시켜 형성할 수 있는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공정과;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갖는 인쇄용 원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만을 화학적으로 번-아웃시켜 제거시켜 주는 것으로, 가성 소다(수산화나트륨) : 35∼45중량 %, 알긴산 : 25∼35중량%, 펄프 : 25∼35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화학 처리제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의 일면에 인쇄용 원판을 부착하고, 화학 처리제를 원단에 침투시키는 공정과; 인쇄용 원판을 분리시키고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공기를 이용하여 1∼2분 정도 건조시키는 공정과; 110∼120℃ 정도의 온도를 갖는 증기를 이용하여 20∼40분 정도의 시간 동안 원단의 표면과 화학 처리제가 반응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물에 원단을 침지시켜 이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서 2차적으로 이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의 각 공정별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원단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 섬유를 교직하여 직조한 원단과,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그리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열 섬유인 스판덱스(spandex)를 교직하여 직조한 원단이 있다.
이렇게 직조된 원단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갖는 인쇄용 원판을 제조한다. 여기서, 인쇄용 원판은 일반 실크 인쇄용 원판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원단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주는 화학 처리제를 제조한다.
이 화학 처리제의 성분 조성은 가성 소다(수산화나트륨) : 35∼45중량 %, 알긴산 : 25∼35중량%, 펄프 : 25∼35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다.
가성 소다 즉, 수산화나트륨(NaOH, Sodium Hydroxides)은 조해성(潮解性)이 좋으며, 물에 녹으면 강한 알칼리성 용액이 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번-아웃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알긴산(Sodium Alginates)은 다당류의 일종으로써, 건조시킨 해조류의 탄산나트륨 유출액을 산으로 처리하면, 고점성의 침전으로 얻어진다.
이 알긴산은 나트륨염으로 시판되며, 이교처럼 물에 서서히 녹아 고점성의 액체를 만든다. 이 때, 알칼리 금속 이외의 금속염은 물에 녹지 않는다. 즉, 나트륨염 알긴산과 같이 알칼리 금속염 알긴산 종류만 물에 녹는다.
상기한 알긴산과 펄프는 상기한 수산화나트륨을 점성이 높은 겔 상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섬유를 번-아웃시켜 주는 작용제로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고 있지만, 수산화칼륨(KOH, 일명 가성가리)을 이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보다 고가인 레이온 섬유만을 이용하여 산성 용액으로 번-아웃 가공 처리를 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보다 경제적인 섬유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번-아웃 가공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단의 표면에 인쇄용 원판을 부착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화학 처리제를 침투시킨다.
이 때, 원단에 침투되는 화학 처리제의 양은 균일하게 침투되어야 번-아웃되는 두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인쇄용 원판을 이용하여 화학 처리제를 침투시킬 때에 주걱을 이용하여 고르게 펴지도록 세심하게 작업해야 고품질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 처리제가 침투된 원단을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공기를 이용하여 1∼2분 동안 건조시킨다.
건조된 원단에 110∼120℃의 온도를 갖는 증기를 20∼40분 동안 공급하여 증열시킨다. 이 때, 증열되는 과정에서 화학 처리제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반응하여 번-아웃 처리된다.
그리고, 원단을 물에 침지시켜 세척함으로써 1차적으로 이 물질(섬유와 화학 처리제가 반응하여 번-아웃되는 폐기물)을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서 잔류한 이 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시켜서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무늬 형성 과정을 마무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 섬유 그리고 스판덱스 등으로 직조된 원단에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소정의 무늬를 음각 또는 양각할 수 있으므로, 레이온 섬유보다 경제적인 섬유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단을 이용하여 음각 또는 양각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원단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2종류 이상의 섬유를 교직한 원단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나일론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공정과;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갖는 인쇄용 원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만을 화학적으로 번-아웃시켜 제거시켜 주는 것으로, 가성 소다(수산화나트륨, NaOH) : 35∼45중량 %, 알긴산 : 25∼35중량%, 펄프 : 25∼35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화학 처리제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한 원단의 일면에 인쇄용 원판을 부착하고, 화학 처리제를 원단에 침투시키는 공정과; 인쇄용 원판을 분리시키고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공기를 이용하여 1∼2분 정도 건조시키는 공정과; 110∼120℃ 정도의 온도를 갖는 증기를 이용하여 20∼40분 정도의 시간 동안 원단의 표면과 화학 처리제가 반응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물에 원단을 침지시켜 이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과;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서 2차적으로 이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학 처리제는 수산화칼륨(KOH) : 35∼45중량%, 알긴산 : 25∼35중량%, 펄프 : 25∼35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KR1019980006958A 1998-03-03 1998-03-03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KR19990073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58A KR19990073815A (ko) 1998-03-03 1998-03-03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58A KR19990073815A (ko) 1998-03-03 1998-03-03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815A true KR19990073815A (ko) 1999-10-05

Family

ID=6589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58A KR19990073815A (ko) 1998-03-03 1998-03-03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81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115B1 (ko) * 1999-03-16 2001-12-22 이원화 번 아웃트 벨벳과 같은 효과를 가진 특수이중직물
KR20030037711A (ko) * 2001-11-05 2003-05-16 김병길 직물의 착색 번아웃 가공방법
KR100667677B1 (ko) * 2006-03-29 2007-01-12 신정철 하이 파일 또는 보아 직물의 번-아웃 방법
KR100691026B1 (ko) * 2005-08-23 2007-03-09 (주)정인텍스타일 아이스벨벳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원단의 전면 번 아웃 또는반 번 아웃 가공방법
KR101289089B1 (ko) * 2013-04-22 2013-07-23 김영희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363741B1 (ko) * 2013-03-13 2014-02-14 김기형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521439B1 (ko) * 2014-12-23 2015-05-21 주식회사 무창섬유 이중직물의 번아웃 방법과 그 직물
KR20190006895A (ko) * 2018-05-23 2019-01-21 주식회사 무창섬유 나염으로 식모를 감량분할한 파일직물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115B1 (ko) * 1999-03-16 2001-12-22 이원화 번 아웃트 벨벳과 같은 효과를 가진 특수이중직물
KR20030037711A (ko) * 2001-11-05 2003-05-16 김병길 직물의 착색 번아웃 가공방법
KR100691026B1 (ko) * 2005-08-23 2007-03-09 (주)정인텍스타일 아이스벨벳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원단의 전면 번 아웃 또는반 번 아웃 가공방법
KR100667677B1 (ko) * 2006-03-29 2007-01-12 신정철 하이 파일 또는 보아 직물의 번-아웃 방법
KR101363741B1 (ko) * 2013-03-13 2014-02-14 김기형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289089B1 (ko) * 2013-04-22 2013-07-23 김영희 입체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439B1 (ko) * 2014-12-23 2015-05-21 주식회사 무창섬유 이중직물의 번아웃 방법과 그 직물
KR20190006895A (ko) * 2018-05-23 2019-01-21 주식회사 무창섬유 나염으로 식모를 감량분할한 파일직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5785A (en) Naoas
KR19990073815A (ko) 번-아웃 방법을 이용한 원단 무늬 형성 방법
JP2694712B2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のオパール加工着色方法およびオパール加工着色布帛
CN1053940C (zh) 一种纯毛双面印花毛毯的印制方法及产品
JP2000096439A (ja) 合成系繊維材料の抜蝕剤および抜蝕加工方法
KR900004242B1 (ko) 예비처리된 기질의 날염방법
KR20000051997A (ko) 섬유의 폴리 번 아웃방법
CN102535208B (zh) 一种嵌入式可拔色织印花面料的生产方法
JPH0737713B2 (ja) セルロ−ス系繊維布帛の染色方法
JPH1077586A (ja) 不均一捺染布帛の製造方法
JPS6312783A (ja) カチオン化改質セルロ−ス系繊維材料の染色および捺染方法
US1724375A (en) Process for obtaining luster and matte effects on yarns or fabrics composed wholly or in part of viscose in the sulphur state
JPS5848675B2 (ja) 反応染料染色物の抜染方法
KR100259392B1 (ko)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JPH0782677A (ja) アセテート系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996653B1 (ja) 天然系繊維材料の抜蝕剤および抜蝕加工方法
US2509146A (en) Method of producing nylon and cellulosic yarn patterned fabric
KR900005576B1 (ko) 직물의 부분적인 발염법
KR20050105002A (ko) 염색과 동시에 명암이 다른 무늬가 형성된 원단
CN109371608A (zh) 天丝与纤维素纤维混纺面料的丝光工艺
JPS60252786A (ja) 先染調セルロ−ス系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900006663B1 (ko)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에스터/면 포지의 수축가공법
CN117758422A (zh) 一种光敏功能面料及其生产工艺
JP2001089971A (ja) 合成系繊維材料の抜蝕剤、抜蝕加工方法及び抜蝕加工合成系繊維材料
JPS59125982A (ja) セルロ−ス系繊維品の捺染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