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82Y1 -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 Google Patents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82Y1
KR200477682Y1 KR2020150003010U KR20150003010U KR200477682Y1 KR 200477682 Y1 KR200477682 Y1 KR 200477682Y1 KR 2020150003010 U KR2020150003010 U KR 2020150003010U KR 20150003010 U KR20150003010 U KR 20150003010U KR 200477682 Y1 KR200477682 Y1 KR 200477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ight projecting
cuttern
mesh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자
Original Assignee
김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자 filed Critical 김옥자
Priority to KR2020150003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47H23/06Systems consisting of two or more co-operating curtains with transparent or perforated parts behind each othe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커튼지에 있어서, 차양과 통풍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다수의 차양지(4)를 배열하고, 상기 차양지(4)의 상하부에는 경위사 일체제직에 의해 제1,제2연결부(10)(12)를 형성하여 전후면 망사투광지(6)(8)를 연결고정하며, 차양지(4)의 전후면에는 밴드형의 망사투광지(6)(8)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되, 입체커튼지(2)의 시야성을 높임과 함께 투광 및 통풍을 위해 차양지(4) 전후면의 망사투광지(6)(8)가 겹치지 않도록 지그재그에 위치하게 구성하여서, 중간 차양지(4)를 개방하기 위해 전후면에 밴드형 망사투광지(6)(8)를 제직하되, 망사투광지(6)(8)가 겹쳐보이지 않도록 전후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하게 제직함으로써 사람의 시야에 어른거리는 현상이 없으며, 정면에서 볼때 전후면 망사투광지(6)(8)가 겹치는 위치에 놓이지 않음에 따라 투광이나 통풍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THREE DIMENSIONS CUTTERN SHEET HAVING BOTH SIDE MESH TRANSMITTED LIGHT CUTTERN WITH BAND TYPE}
본 고안은 입체커튼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양지의 전후면에 밴드형태의 망사투광지를 형성하되, 전후면의 망사투광지가 지그재그로 위치하게 제직한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지는 사생활보호나 광량의 차단 내지 조절 및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차단장치에 시용되며,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취향 및 사용용도, 창문 구조 등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의 커튼지가 생산,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지는 원단을 롤 형태로 말아올리거나 풀어 내려 창문의 차양정도를 조절하는 롤스크린 형태로 설치되고 있으며, 완전 차양을 위해서는 롤스크린의 커튼지를 하단부까지 내려주어야 하고 커튼지에 의해 차양을 완전 해제하려고 하면 커튼지를 창문의 상단부까지 감아올려 주어야 한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차양을 조절하고 싶은 경우에는 커튼지를 원하는 임의의 위치까지만 감아올려 사용하게 된다.
롤스크린 형태의 커튼지를 이용한 창문 차단장치의 일 예로 등록특허 10-0988592호,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선행문헌 1)'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차양지를 제직한 후 상기 차양지를 개폐하기 위한 밴드형의 전,후면띠를 차양지와 연결제직하여 전,후면띠에 의해 차양지가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10-1388086호, '기능성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선행문헌 2)'는 중간 차양지의 전후면을 전체 망사지로 형성하여 차양지가 망사지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선행문헌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선행문헌 1은 차양지의 개방시 불투명한 밴드형의 전,후면띠에 의해 투광이나 통풍이 용이하지 못하며, 사람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커튼지의 미관이 좋지 못한 것이다.
선행문헌 2는 차양지의 개방시 망사로 형성된 전후면 망사지에 의해 시야를 가리는 것은 선행문헌 1보다 개선된 것이나 차양지의 전후면을 전체 망사지로 형성하여 차양지의 개방시 전후면의 망사지가 겹쳐져 시야에서 어른거리는 형상이 발생함에 따라 사람의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양과 통풍의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사람의 시야에 어른거리는 현상이 없는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는, 차양과 통풍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다수의 차양지(4)를 배열하고, 상기 차양지(4)의 상하부에는 경위사 일체제직에 의해 제1,제2연결부(10)(12)를 형성하여 전후면 망사투광지(6)(8)를 연결고정하며, 차양지(4)의 전후면에는 밴드형의 망사투광지(6)(8)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되, 입체커튼지(2)의 시야성을 높임과 함께 투광 및 통풍을 위해 차양지(4) 전후면의 망사투광지(6)(8)가 겹치지 않도록 지그재그에 위치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는 전면 망사투광지(6)의 하부에 음영부(1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는 전후면 망사투광지(6)(8)의 적어도 일측에 경사 올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선부(1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중간 차양지를 개방하기 위해 전후면에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제직하되, 망사투광지가 겹쳐보이지 않도록 전후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하게 제직함으로써 투광이나 통풍이 용이하면서도 사람의 시야에 어른거리는 현상이 없어 시각적으로 깔끔하고 화려하면서 독특한 미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커튼지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의 밴드형 망사투광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를 이용한 롤블라인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의 실물 사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커튼지의 구성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로,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2)는 차양과 통풍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다수 배열된 차양지(4)와, 상기 차양지(4)를 개폐하기 위해 차양지(4)의 전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드형 망사투광지(6)(8)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입체커튼지(2)는 차양지(4)와 망사투광지(6)(8)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로는 LM사(Low meltiong yarn)을 사용하고, 위사로는 LM사, ATY사(Air textured yarn), 그 외에 다수의 위사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로 다수 배열된 차양지(4)의 상하부에는 경위사 일체제직에 의해 전후면 망사투광지(6)(8)가 연결고정되는 제1,제2연결부(10)(12)를 형성하며, 제2연결부(12)는 입체커튼지(2)의 개방시 전면에 위치하는 망사투광지(6)와 차양지(4)를 연결고정함으로써 차양지(4)가 전면 망사투광지(6)와 함께 들어 올려져 입체커튼지(2)가 개방되게 한다.
상기 전후면 망사투광지(6)(8)는 경사와 일체제직되지 않는 부분, 즉 망사투광지(6)(8)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은 위사만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위사는 샤링가공이나 절취사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망사투광지(6)(8)를 밴드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샤링가공이나 절취사에 의해 망사투광지(6)(8)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의 위사를 절단하는 경우 제직된 경사의 올이 풀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망사투광지(6)(8)를 형성함에 있어 경사의 올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망사투광지(6)(8)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꼬임선부(16)를 일체제직하여 형성한다.
상기 꼬임선부(16)는 망사투광지(6)(8)를 형성하지 않는 위사를 샤링가공이나 절취사에 의해 절단하는 위치, 즉 망사투광지(6)(8)의 가장자리에 위사와의 일체 제직시 V종광을 사용하여 두가닥의 경사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사들을 감싸며 묶는 8자 꼬임으로 제직되어 위사의 절단시 제직된 경사의 올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꼬임선부(16)는 차양지(4)의 제1,제2연결부(10)(12)에도 일체제직되어 차양지(4)와 전후면 망사투광지(6)(8)가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망사투광지(6)(8)는 경위사를 듬성듬성 제직하여 투광 및 통풍이 자유로운 것이나 전후면의 망사투광지(6)(8)가 겹쳐지게 되면 시야성이 떨어져 어른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눈이 쉽게 피로해짐과 함께 시야를 가려 시각적으로 깔끔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반투명의 망사투광지(6)(8)를 차양지(4)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망사투광지(6)(8)가 일정폭을 갖도록 밴드형으로 형성하면서 차양지(4)의 전후면에 위치하는 망사투광지(6)(8)의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지그재그에 놓이도록 한다.
입체커튼지(2)의 개방시 차양지(4)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밴드형의 망사투광지(6)(8)가 지그재그로 위치함에 따라 실내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깔끔하면서도 망사투광지(6)(8)가 겹치지 않아 눈에 어른거리는 현상이 없으며 그에 따라 눈이 피로하지 않는 것이며, 시각적으로 화려한 미감을 줄 수 있다.
상기 망사투광지(6)(8)의 밴드폭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며, 사람의 기호나 입체커튼지(2)의 미감 및 설치형태에 따라 밴드폭을 조절함으로써 맞춤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밴드형 망사투광지(6)(8)는 차양지(4)의 전후면에 지그재그로 형성함에 따라 투광과 통풍이 용이하면서도 입체커튼지(2)의 견고성이 좋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커튼지(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블라인드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입체커튼지(2)에 의한 창문의 개폐를 위해서는 롤블라인드의 일측에 위치한 전후방 당김실을 당겨 롤 형태로 말려있는 입체커튼지(2)를 아래로 내려 완전 차양하거나 부분적으로 차양하며, 창문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는 입체커튼지(2)를 감아올려주게 된다.
여기서, 창문의 부분 차양을 위해 승강줄(18)을 계속 당기면 입체커튼지(2)가 최하단까지 내려와 차양지(4)가 개방되면서 투광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차양지(4)의 개방을 위해서는 차양지(4)의 제2연결부(12)와 연결고정되어 승강줄(18)의 당김에 의해 차양지(4)를 들어올려주는 개폐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차양지(4)의 개방을 위해 개폐수단으로써 개폐실을 사용할 경우에는 투광과 통풍은 좋을 수 있으나 갑작스럽게 차양지(4)를 개방하거나 오랜기간 입체커튼지(2)를 사용하는 경우 개폐실이 끊어질 수 있으며, 차양지(2)의 완전개방시 개폐실의 장력 차이로 인해 전체 입체커튼지(2)가 일정한 높이로 승강하지 못해 롤에 고르게 말리지 않게 된다.
또한, 차양지(4) 개방을 위해 불투명한 밴드나 차양지(4)의 전후면을 전체 망사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입체커튼지(2)의 견고성은 높일 수 있지만 투광과 통풍이 잘되지 않고 사람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미관이 떨어지며, 시야가 어른거려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본 고안에서는 차양지(4)를 개폐하기 위해 망사투광지(6)(8)를 차양지(4)의 전후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형성함에 따라 망사투광지(6)(8)가 서로 겹치지 않아 투광과 통풍이 용이하며, 차양지(4) 개방를 위해 승강줄(18)을 당길 경우 밴드형으로 망사투광지(6)(8)를 형성함으로써 개폐실로 당김을 지지하는 것에 비해 입체커튼지(2)의 견고성도 좋은 것이다.
또한, 입체커튼지(2)의 견고성을 놓이기 위해서 망사투광지(6)(8)의 경사로 더 굵은 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전면 망사투광지(6)에는 제2연결부(12)의 상부, 즉 차양지(4)와 전면 망사투광지(6)가 연결되는 위치에 음영부(14)를 형성한다.
반투명한 밴드형 망사투광지(6)(8)는 다소 밋밋한 느낌을 줄수 있음에 따라 전면 망사투광지(6)의 하단부에 망사투광지(6)를 제직하기 위한 위사를 조밀하게 공급하여 눈에 잘띄는 줄무늬 형태의 음영부(14)를 형성함으로써 그라데이션효과를 줄 수 있어 시각적으로 독특한 미감을 제공한다.
미설명부호 20은 롤프레임, 22는 무게봉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입체커튼지 (4)-- 차양지
(6)(8)-- 망사투광지 (10)-- 제1연결부
(12)-- 제2연결부 (14)-- 음영부
(16)-- 꼬임선부 (18)-- 승강줄
(20)-- 롤프레임 (22)-- 무게봉

Claims (3)

  1. 입체커튼지에 있어서,
    차양과 통풍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다수의 차양지(4)를 배열하고, 상기 차양지(4)의 상하부에는 경위사 일체제직에 의해 제1,제2연결부(10)(12)를 형성하여 전후면 망사투광지(6)(8)를 연결고정하며,
    차양지(4)의 전후면에는 밴드형의 망사투광지(6)(8)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되, 입체커튼지(2)의 시야성을 높임과 함께 투광 및 통풍을 위해 차양지(4) 전후면의 망사투광지(6)(8)가 겹치지 않도록 지그재그에 위치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2. 제1항에 있어서,
    전면 망사투광지(6)의 하부에는 음영부(1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3. 제1항에 있어서,
    전후면 망사투광지(6)(8)의 적어도 일측에는 경사 올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선부(1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KR2020150003010U 2015-05-11 2015-05-11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KR200477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10U KR200477682Y1 (ko) 2015-05-11 2015-05-11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10U KR200477682Y1 (ko) 2015-05-11 2015-05-11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82Y1 true KR200477682Y1 (ko) 2015-07-08

Family

ID=5379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10U KR200477682Y1 (ko) 2015-05-11 2015-05-11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97B1 (ko) 2016-03-18 2017-10-11 신장희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62B1 (ko) * 2008-10-09 2009-08-18 변태웅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6529A (ko) * 2011-04-21 2011-11-23 김옥자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20120140107A (ko) * 2011-06-20 2012-12-28 김옥례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62B1 (ko) * 2008-10-09 2009-08-18 변태웅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6529A (ko) * 2011-04-21 2011-11-23 김옥자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20120140107A (ko) * 2011-06-20 2012-12-28 김옥례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97B1 (ko) 2016-03-18 2017-10-11 신장희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US8950462B2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1716888B1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0988591B1 (ko)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638517B1 (ko)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KR20130006983U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WO2019216594A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KR200477682Y1 (ko) 전후면 밴드형 망사투광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1450060B1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1007748B1 (ko) 양면 망사부와 차광부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및 블라인드지 제직방법
KR20110126529A (ko)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101865411B1 (ko)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982B1 (ko) 부분걷힘기능 장식커튼지
KR101388086B1 (ko) 기능성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20140134514A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WO2018080016A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KR101012866B1 (ko) 종방실로 개폐작동되는 입체커튼지 및 그 롤브라인드
KR20140134511A (ko) 개폐종방실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KR101580633B1 (ko) 빛 유입량의 조절로 인한 다양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블라인드 시트
KR100988589B1 (ko) 종방실로 개폐작동되는 입체커튼지 및 그 롤브라인드
KR20110004340A (ko) 횡 방향부분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