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948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948A
KR20160048948A KR1020167008411A KR20167008411A KR20160048948A KR 20160048948 A KR20160048948 A KR 20160048948A KR 1020167008411 A KR1020167008411 A KR 1020167008411A KR 20167008411 A KR20167008411 A KR 20167008411A KR 20160048948 A KR20160048948 A KR 2016004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switch
unit
threshold valu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907B1 (ko
Inventor
도모히코 사카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6004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복수의 스위치부에 대해 조작자가 원하는 스위치부에의 유도를,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검지부(12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전극부(113c)의 정전 용량 중,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의장부(112a)의 밝기를,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함과 함께, 또한,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에서는 밝기 조정부(130)에 의한 밝기 제어를 유지하고, 또한 정전 용량이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스위치부(110c)를 온으로 하여 기기(12)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밝기 조정부(130)에 의한 밝기를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출원은, 2013년 10월 2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3-207433호 및 2014년 5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4-99964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되는 소정의 기기에의 작동 조건의 입력을 행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스위치 장치는, 검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스위치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 스위치부에는, 각각의 검지 전극에 대응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검지 전극 및 광원은 스위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에는, 모든 검지 전극을 1개의 전용 검지 회로에 접속하는 제1 접속 상태와, 각 검지 전극을 각각의 개별 검지 회로에 접속하는 제2 접속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 스위치부에 근접하지 않은 상태이면, 각 광원은 소등되어 있고, 모든 검지 전극은 전환 스위치에 의해 제1 접속 상태가 되어 있다. 이때, 모든 검지 전극이 전용 검지 회로에 접속되므로, 외관의 검지 전극 면적이 커져 고감도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 스위치부에 근접하여, 전용 검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검출값(정전 용량의 변화)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면, 모든 광원이 점등 상태가 된다. 이때, 전환 스위치에 의해, 각 검지 전극은, 제2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각 검지 전극은, 각각의 개별 검지 회로와 1대1로 접속되므로, 각 검지 전극의 감도는 표준 감도가 된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복수의 스위치부 중, 특정한 스위치부에 근접하여, 특정한 스위치부의 검지 전극과 접속된 개별 검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제2 검출값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을 초과하면, 특정한 스위치부의 광원만이 점등 상태가 되고, 나머지의 스위치부의 광원은 소등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서는, 각 스위치부에 대한 조작자의 손가락의 근접 상태에 따라서, 각 광원을 점등 소등 제어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환 스위치에 의해, 제1 접속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각 검지 전극의 외관 감도를 올린 상태에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제2 접속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개개의 검지 전극에 있어서 표준 감도에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안정된 정밀도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 상태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881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어두운 곳에서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전환 스위치에 의해, 각 임계값에 대해 각 검지 전극의 감도를 바꿈으로써, 안정된 정밀도로의 검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스위치부 중으로부터 조작자가 원하는 스위치부를 용이하게 선택 가능하게 하도록, 순차 유도해 가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 스위치부에 근접하면 모든 광원이 점등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시야가 방해받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특정한 스위치부에 근접하면, 그 특정한 스위치부의 광원만이 점등 상태가 되어, 나머지의 스위치부의 광원은 소등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특정한 스위치의 선택이 오류로서 다른 스위치부를 선택하고자 해도, 다른 스위치부를 선택하기 위한 눈으로 봄으로써의 유도를 용이하게 할 수 없다.
본 개시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복수의 스위치부에 대해 조작자가 원하는 스위치부에의 유도를,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복수의 전극부의 각각에 겹치도록, 스위치 기능을 표시하는 의장부가 설치된 스위치부와, 사용자의 손가락과 전극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복수의 의장부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와, 손가락이 복수의 전극부에 대해 근접하여, 검지부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전극부의 정전 용량 중, 미리 정한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에 대응하는 의장부의 밝기를, 밝기 조정부에 의해 의장부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함과 함께, 또한, 손가락이 복수의 전극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이것보다도 판정 임계값이 높은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에서는 밝기 조정부에 의한 밝기 제어를 유지하고, 또한 정전 용량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에 대응하는 스위치부를 온으로 하여 기기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밝기 조정부에 의해 커진 밝기를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복수의 전극부에 대해 근접하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에 대응하는 의장부의 밝기가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선, 복수의 스위치부 중에서, 조작하고자 하는 에어리어를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그 중에 있어서의 원하는 스위치부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대해, 원하는 스위치부의 선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령 원하는 스위치부가 오류이고, 다른 스위치부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극부에 대한 손가락의 근접에 의해,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값을 초과하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에서는 밝기 조정부에 의한 밝기가 유지된다. 따라서, 다른 스위치부를 새롭게 원하는 스위치부로 했을 때의 선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 용량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전극부에 대응하는 스위치부가 온 상태가 되고, 기기가 작동 상태가 된 후에는, 의장부에 있어서의 밝기가 원래의 밝기로 되돌려지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시야가 방해되는 상태로 남는 일이 없다. 그리고,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기기가 작동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복수의 전극부의 각각에 겹치도록, 스위치 기능을 표시하는 의장부가 설치된 스위치부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전극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복수의 상기 의장부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와, 상기 밝기 조정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밝기 조정부가 온됨으로써 상기 의장부에 대한 야간 조명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야간 조명이 행해져 있을 때에,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전극부의 상기 정전 용량 중, 미리 정한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 이외의 전극부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가 온되었을 때의 밝기에 비교해서 작게 함과 함께, 또한,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미리 정한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까지의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가 온되었을 때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하고, 또한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부를 온으로 하여 상기 기기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밝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커진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가 온되었을 때의 밝기로 되돌린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개시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입력용의 복수의 스위치부와,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의 각각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조작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와,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거리 중, 미리 정한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는 모든 상기 스위치부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함과 함께, 또한,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조작 거리가 상기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고, 또한 이것보다도 작은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상태에서는, 상기 밝기 조정부에 의한 상기 밝기 제어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조작 거리가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면, 그 스위치부를 온으로 하여 상기 기기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밝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커진 밝기를 상기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개시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 일부에 의한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는, 복수의 전극부의 각각에 겹치도록, 스위치 기능을 표시하는 의장부가 설치된 스위치부와, 상기 몸 일부와 상기 각 전극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의장부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와, 상기 밝기 조정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밝기 조정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의 상기 정전 용량 중, 어느 하나가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정전 용량의 상기 전극부에 대응하는 모든 상기 의장부를 특정 의장부로서, 상기 특정 의장부의 밝기가 상기 특정 의장부 이외의 상기 의장부의 밝기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특정 의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부의 정전 용량이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고,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제2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낮은 경우는, 상기 밝아진 상기 특정 의장부의 밝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의장부 중, 어느 하나의 의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부의 정전 용량이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특정 의장부 중 정전 용량이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전극부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만의 밝기가 다른 상기 특정 의장부의 밝기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전극부의 정전 용량이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스위치 ON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당해 전극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부를 온으로 하고, 그 후, 당해 스위치부의 상기 의장부의 밝기가 다른 모든 상기 의장부의 밝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를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개시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더 명확해진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위치 장치를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스위치 장치의 입력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전 스위치 시트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방향에서 본 전극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전극부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전극부에 관련해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메인 유닛이 실행하는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메인 유닛이 실행하는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7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8 실시 형태의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9 실시 형태의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0 실시 형태의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100)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는, 예를 들어, 차량용의 소정 기기로서의 내비게이션 장치(12)에 적용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2)는 디스플레이(12a)에, 지도, 지도 상에서의 자차의 현재 위치, 진행 방향, 나아가서는 원하는 목적지에 대한 안내 정보 등을 표시하는 경로 유도 시스템이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2)는, 상기와 같은 경로 유도 기능에 추가하여, 오디오 기능, 휴대 전화의 핸즈프리 기능, 라디오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12)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내비게이션용 패널(11a)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a)는, 복수의 정보를 표시 화면에 전환 표시 가능하게 하는 표시부이며, 내비게이션용 패널(11a)에 있어서, 운전자(사용자에 대응)의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a)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a)에 있어서의 표시 정보는, 상기 경로 유도에 관한 지도 정보, 자차 위치 정보, 목적지 검색 정보, 음성, 문자 표시에 의한 안내 정보, 또한 음악 CD의 재생 중에 있어서의 곡명 표시, 또한 주행에 수반하는 각종 차량의 정보, 나아가서는 라디오 방송국 정보 등이다. 이들 각종 표시 정보는, 후술하는 입력부(110)에 있어서의 복수의 스위치(110a 내지 110f) 등(도 3)에 의해 선택 전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내비게이션 장치(12)에 적용되는 스위치 장치(100)는, 입력부(110), 검출 IC(120), 조명용 LED(130) 및 메인 유닛(1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10)는 내비게이션 장치(12)에 대한 작동 조건을, 운전자의 손가락 조작(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조작)에 의해 입력하는 입력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110)는 네비게이션, 오디오, 휴대 전화의 핸즈프리, 라디오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 혹은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2a)에 표시시키기 위한 입력을 행하는 것이다. 입력부(110)는, 예를 들어,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a)의 우측의 영역 및 좌측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영역 입력부(110)와, 좌측의 영역 입력부(110)에서는, 스위치의 수 및 입력 가능한 내용이 각각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 도 1, 도 2에 있어서의 우측의 영역 입력부(110)를 대표해서 설명해 간다.
입력부(1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용 패널(11a) 상에, 복수의 스위치(110a 내지 110f)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는 스위치부에 대응하고, 정전 용량식의 스위치부를 형성하고 있고, 각각, 후술하는 구성 부재(111 내지 113)[의장부(112a) 및 전극부(113c) 등]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는, 예를 들어, 음악 CD의 삽입 혹은 취출용의 이젝트 스위치(110a), 목적지 안내를 세트하기 위한 세트 스위치(110b), 각종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차량 정보 스위치(110c), 지도 상에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스위치(110d),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목적지 스위치(110e) 및 휴대 전화의 핸즈프리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화 스위치(110f)로 되어 있다.
입력부(110)에 있어서의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111), 장식층(112), 정전 스위치 시트(113), 기판(114), 커넥터(115)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터치 플레이트)(111)은 손가락 조작용의 기본이 되는 판 부재이며, 예를 들어, 외형을 의장 형상에 맞춘 평판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고, 투광성을 갖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장식층(112)은,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주위가 되는 영역이 배경부로 되어 있고, 또한,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는, 스위치 기능을 나타내는 의장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의장부(112a)는 문자 혹은 도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장식층(112)은 패널(111)의 운전자측의 면(표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장식층(112)은 도장막, 인쇄 필름, 혹은 전사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111) 및 장식층(112)에 있어서는,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주위의 하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L자 형상의 홈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정전 스위치 시트(11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13a), 베이스 필름(113b), 전극부(113c), 배선부(113d, 113e) 및 절연 보호층(113f)이, 패널(111)의 운전자와는 반대측의 면(이면측의 면)으로부터 순서대로 내부측(도 5의 하측)을 향하여 적층된 시트로 되어 있다. 정전 스위치 시트(113)는 양면 테이프(113a)에 의해, 패널(111)의 이면측의 면에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13b)은 박막 부재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13b)은 양면 테이프(113a)를 통하여 패널(111)의 이면측의 면에 접합되어 있다.
전극부(113c)는 패널(111) 및 베이스 필름(113b)을 통하여 운전자의 손가락 조작 시의 손가락 사이에서 콘덴서를 형성하는 것이다. 전극부(113c)는, 예를 들어, 금속박이나 도전성 물질(카본, 금속, 도전성 고분자 등)을 포함하는 인쇄 재료(잉크,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113b) 상에 배치되어, 접합되어 있다. 전극부(113c)는, 각각의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대응하는 각 의장부(112a)의 위치에 겹치도록, 베이스 필름(113b)에 복수(여기서는 6개) 설치되어 있다.
배선부(113d)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부(113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정전 용량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이며, 전극부(113c)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배선부(113d)는 전극부(113c)마다 준비되어, 각 전극부(113c)와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선부(113d)는 전극부(113c)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금속박이나 도전성 물질(카본, 금속, 도전성 고분자 등)을 포함하는 인쇄 재료(잉크,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113b) 상에 배치되어, 접합되어 있다. 배선부(113d)에는, 각 전극부(113c)의 주위로부터 튀어나오도록 설치된 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단부는, 후술하는 각 커넥터(115)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부(113e)는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배선부(113d)를 감싸도록 설치된 배선이며, 전극부(113c)마다 준비되어, 각 전극부(113c)와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선부(113e)는 배선부(113d)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금속박이나 도전성 물질(카본, 금속, 도전성 고분자 등)을 포함하는 인쇄 재료(잉크,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113b) 상에 배치되어, 접합되어 있다. 각 배선부(113e)의 단부는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절연 보호층(113f)은 절연재로 형성된 박육 부재이며, 각 전극부(113c) 및 각 배선부(113d, 113e)의 표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각 전극부(113c) 및 각 배선부(113d, 113e)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기판(114)은 표면 상에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얇은 판 부재이며, 패널(111)과 평행하게 되어, 각 전극부(113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판(114)은, 복수(6개)의 전극부(113c)에 대해, 1매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15)는, 각 전극부(113c)와의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이며, 각 전극부(113c)에 대응하도록, 기판(114)의 각 전극부(113c)에 대향하는 면(대향면)에, 복수(여기서는 6개) 설치되어 있다. 각 전극부(113c)로부터 돌출된 배선부(113d)의 단부는, 각 커넥터(11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검출 IC(120)는, 각 커넥터(115)와 접속되어, 각 전극부(113c)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전극부(113c)에 대해 1개의 검출 IC(120)가 설정되어 있다. 검출 IC(120)는 기판(114)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 IC(120)는, 소정의 미소 시간마다 각 전극부(113c)로부터의 신호를 순번대로 검출함으로써, 모든 전극부(113c)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전극부(113c)는,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DRV)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정전 용량 Ch를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각 전극부(113c)는, 주위의 도체와의 사이에 정전 용량 Cam을 발생시키고, 또한, 접지(대지)와의 사이에 정전 용량 Cg를 발생시킨다. 정전 용량 Ch, Cam, Cg의 총합을 Cx로 했을 때에, 검출 IC(120)는, 정전 용량의 총합 Cx를 각 전극부(113c)로부터의 신호로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조명용 LED(130)는, 각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각 의장부(112a)를 광에 의해 조사하는 광원이며, 각 의장부(112a)의 조사광의 밝기(조명 휘도)를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이다. 조명용 LED(130)는, 각 의장부(112a)[각 전극부(113c)]에 대응하도록 복수(여기서는 6개) 설정되어 있다. 조명용 LED(130)는 기판(114)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다. 각 조명용 LED(130)가 점등됨으로써, 각 의장부(112a)가 밝게 비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각 조명용 LED(130)는, 여기서는, 점등 시의 밝기가 2단계로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주간에 있어서(야간 조명을 행하지 않을 때), 후술하는 밝기 조정 제어의 실행에 의해 1단째의 점등이 됨으로써, 각 의장부(112a)를 밝게 비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야간에 있어서(야간 조명을 행할 때), 각 조명용 LED(130)는, 1단계째의 점등에 의해 각 의장부(112a)의 야간 조명을 행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밝기 조정 제어의 실행에 의해 2단째의 점등이 되면, 또한, 각 의장부(112a)를 밝게 비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조명용 LED(130)는, 각 의장부(112a)에 대해, 2개씩 설치되도록 하여, 1개의 조명용 LED(130)만을 점등함으로써 1단째의 점등으로 하고, 2개의 조명용 LED(130)를 동시에 점등함으로써 2단째의 점등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메인 유닛(140)은, 각 전극부(113c)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신호를 검출 IC(120)로부터 받아, 내비게이션 장치(12)의 디스플레이(12a)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각 기능의 작동 제어 및 각 조명용 LED(130)의 밝기 조정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로 되어 있다. 또한, 메인 유닛(140)에는, 차량의 전조등 또는 보조등을 온해서 야간 조명을 행하기 위한 라이트 스위치(150)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유닛(140)은 라이트 스위치(150)가 오프(오프 신호 입력)이면 야간 조명은 행해져 있지 않고, 라이트 스위치(150)가 온(온 신호 입력)이면 야간 조명이 행해져 있는 것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기초하는 스위치 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 9, 도 10을 덧붙여서 설명한다.
운전자는, 정차 중 혹은 주행 중에, 내비게이션 장치(12)를 작동시킬 때에, 원하는 스위치(110a 내지 110f 중 어느 하나)를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손가락을 접촉한 스위치(예를 들어, 110c)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극부(113c)와, 도전 조작체인 손가락 사이에서 콘덴서가 형성되고, 축전 현상이 발생한다. 검출 IC(120)는, 이 축전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신호로서 배선부(113d) 및 커넥터(115)를 통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 IC(120)는 검출한 신호를 소정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유닛(140)에 출력한다.
그리고, 메인 유닛(140)은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12a)에 대해, 운전자로부터 요구되는 정보 표시의 전환을 행하거나, 혹은, 운전자로부터 요구되는 기기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를 손가락 조작해 감으로써, 원하는 정보 화면에 순차 이행시켜 필요한 정보를 보거나, 혹은 원하는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스위치(110a 내지 110f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자 할 때에, 메인 유닛(140)은 조명용 LED(130)를 점등, 소등시킴으로써, 의장부(112a)의 밝기 조정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그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하는 흐름도의 S100에 있어서, 메인 유닛(140)은 라이트 스위치(150)로부터의 오프 신호 혹은 온 신호로부터, 현재, 야간 조명이 오프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100에서, 긍정 판정하면, 야간 조명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고, 조명용 LED(130)는, 모두 오프 상태에 있다고 파악한다.
그리고, 메인 유닛(140)은 S110으로 이행하여, 각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시한다.
다음에, S120에서, 메인 유닛(140)은,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미리 설정된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근접 판정 임계값이라고 하는 것은, 운전자의 손가락이, 어느 정도,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가 배치되는 영역 내에 가까워진 것을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으로 하고 있고, 얻어지는 정전 용량의 크기에 의해, 예를 들어, 5㎝ 정도의 근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임계값으로 하고 있다.
S120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메인 유닛(140)은 S110, S120을 반복한다. S12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즉, 운전자의 손가락이 어느 정도,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영역 내에 가까워졌다고 판정하면, S130으로 이행한다.
S130에서는, 메인 유닛(140)은, 상기와 같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을 발생시킨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1단째의 점등)시킨다. 이 경우, 대상이 되는 의장부(112a)가 주간에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휘도가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접 판정 임계값에 의해, 운전자의 손가락이, 스위치(110a 내지 110f) 중, 스위치(110b, 110c, 110e, 110f)에 근접했다고 하면, 이 4개의 스위치(110b, 110c, 110e, 110f)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명용 LED(130)를 점등하는 것은, 「각 의장부(112a)의 밝기를, 밝기 조정부에 의해 의장부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하는 것, 바꾸어 말하면 보다 밝게 하는 것(조명 휘도를 올리는 것)」에 대응한다. 여기서는, 1단째의 점등 상태가 커진 밝기에 대응하고, 소등 시의 상태가 원래의 밝기에 대응한다.
다음에, S140에서, 메인 유닛(140)은 S110과 마찬가지로, 다시 각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시한다.
그리고, S150에서, 메인 유닛(140)은,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미리 설정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의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값이며, 운전자의 손가락이, 원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110c)]에 근접한 것을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은 얻어지는 정전 용량의 크기에 의해, 예를 들어, 3 내지 10㎜ 정도의 근접 상태, 나아가서는 손가락이 스위치에 접촉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임계값으로 하고 있다.
S150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메인 유닛(140)은 S160으로 이행하여,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미리 설정된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S16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S161로 이행하고, S130에서 점등시킨 조명용 LED(130)를 오프로 하여, S110으로 복귀한다. 또한, S160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S140으로 복귀한다.
상기의 S110 내지 161에 있어서는,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크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은 상태가 되는 전극부에 대응하는 모두 조명용 LED(130)는, 점등 상태(1단째의 점등)가 되고, 그 점등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하회하면, 그 전극부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는 소등되게 된다.
그러나, S15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메인 유닛(140)은 S170에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을 온으로 하고, 이 스위치에 대응하는 기기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110c)이면, 디스플레이(12a)에, 각종 차량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위치 기능을 온한 후(예를 들어, 소정 시간 후)에, S180에서, 메인 유닛(140)은 S130에서 온 상태로 한 조명용 LED(130)를 모두 소등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명용 LED(130)를 소등하는 것은, 「밝기 조정부에 의해 커진 밝기를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것에 대응한다.
한편, 최초의 S100에서, 부정 판정하면, 즉 야간 운전이며, 야간 조명이 온 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메인 유닛(140)은 야간 조명이 온되어 있는 조건 하에서, S210 내지 S280으로 이행하여, 상기의 S110 내지 S180과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야간 조명이 온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각 조명용 LED(130)의 1단째의 조명이 온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S210 내지 S280에 있어서는, 1단째의 점등이 원래의 밝기에 대응한다.
S210에서는, 메인 유닛(140)은, 각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시한다.
다음에, S220에서, 메인 유닛(140)은,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S220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메인 유닛(140)은 S210, S220을 반복한다.
그러나, S22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즉, 운전자의 손가락이 어느 정도,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영역 내에 가까워졌다고 판정하면, S230으로 이행한다.
S230에서는, 메인 유닛(140)은, 상기와 같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을 발생시킨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2단째의 점등)시켜, 의장부(112a)에 있어서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한다. 이 경우, 대상이 되는 의장부(112a)가, 통상의 야간 조명보다 높은 휘도가 된다.
다음에, S240에서, 메인 유닛(140)은 S210과 마찬가지로, 다시 각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시한다.
그리고, S250에서, 메인 유닛(140)은,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S250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메인 유닛(140)은 S260으로 이행하여,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S26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S261로 이행하고, S230에서 점등시킨 조명용 LED(130)를 오프로 하여, S210으로 복귀한다. 또한, S260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S240으로 복귀한다.
상기의 S210 내지 261에 있어서는,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크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은 상태가 되는 전극부에 대응하는 모두 조명용 LED(130)는, 밝기가 커지는 점등 상태(2단째의 점등)가 되고, 그 점등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진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하회하면, 그 전극부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는 원래의 점등 상태(1단째의 점등)로 되돌려지게 된다.
그러나, S25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메인 유닛(140)은 S270에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을 온으로 하고, 이 스위치에 대응하는 기기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110c)이면, 디스플레이(12a)에, 각종 차량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위치 기능을 온한 후(예를 들어, 소정 시간 후)에, S280에서, 메인 유닛(140)은 S230에서 온 상태(2단째의 점등)로 한 조명용 LED(130)의 모든 밝기를 원래의 밝기(1단째의 점등)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정차 중 혹은 주행 중에, 운전자의 손가락 조작에 따라서, 메인 유닛(140)은, 도 9,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장부(112a)에 있어서의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손가락이 복수의 전극부(113c)에 대해 근접하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의장부(112a)의 밝기가 커진다. 따라서, 운전자는, 우선, 복수의 스위치(110a 내지 110f) 중에서, 조작하고자 하는 에어리어를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그 중에 있어서의 원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110c)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운전자에 대해, 원하는 스위치의 선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령 원하는 스위치(110c)가 오류이고, 다른 스위치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극부(113c)에 대한 손가락의 근접에 의해,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값을 초과하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에서는 조명용 LED(130)에 의한 밝기가 유지된다. 따라서, 다른 스위치를 새롭게 원하는 스위치로 했을 때의 선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 용량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110c)가 온 상태가 되고, 내비게이션 장치(12)가 작동 상태가 된 후에는, 의장부(112a)에 있어서의 밝기가 원래의 밝기로 되돌려지므로, 운전자에게 있어서 시야가 방해되는 상태로 남는 일이 없다. 그리고, 운전자는, 정상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2)가 작동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도 11에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근접 판정 임계값과,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사이에,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을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접 판정 임계값은,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에 대응하고, 또한,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은,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자의 손가락 조작에 따라서, 우선,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시킨다. 예를 들어, 스위치(110b, 110c, 110e, 110f)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시킨다.
다음에, 운전자의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더 근접하면,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시킨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 스위치(110c)에 더 근접했다고 하면, 이 스위치(110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를 점등시킨다. 즉, 상기의 근접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는 점등 상태(4개의 점등)로부터,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에 기초하는 점등 상태(1개의 점등)로 변경한다.
또한,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110c)]를 온 상태로서, 내비게이션 장치(1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에 기초하는 점등 상태를 소등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근접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여 밝기가 커진 의장부(112a)로부터, 또한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에 기초하여 밝기가 커지는 의장부(112a)로 좁혀지도록 밝기가 변경되므로, 운전자에 대해, 원하는 스위치(110c)의 선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A)를 도 12에 도시하고,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도 13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 온된 것을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인식부(조작 피드백 수단)를 설치한 것이다.
인식부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삑」이라고 하는 음을 발생하는 버저(160)(음 발생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고, 음 발생의 온/오프가 메인 유닛(140)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저(160) 대신에, 내비게이션 장치(12)의 오디오를 유용한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유닛(140)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중에,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을 온으로 하여,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사이에, 버저(16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 버저 음에 의해, 운전자에 대해 스위치가 온된 것을 인식시킨다. 버저(160)를 작동시키는 타이밍은 스위치 기능을 온으로 했을 때(동시), 혹은 스위치 기능을 온으로 한 후(소정 시간후)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자신의 선택한 스위치에 의해 원하는 기기가 작동된 것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로서는, 상기의 버저(160), 혹은 오디오 대신에, 예를 들어, 패널(111)에 설치되어, 진동 발생이 메인 유닛(140)에 의해 제어되는 진동 소자(170)(진동 발생 장치)로 해도 된다.
또한, 인식부로서, 버저(160) 및 진동 소자(170)에 의한 음과 진동을 조합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인식부로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의 밝기(원래의 밝기보다도 커진 밝기)를 더 크게 하는(고휘도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인식부로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의해 근접 판정된 스위치의 점등 상태를 점멸시키는 것(점멸 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음 발생 장치, 진동 발생 장치, 밝기를 더 크게 하는 수단 및 점멸 수단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인식부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도 14에 도시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있을 때, 결국은 조명용 광원으로서의 조명용 LED(130)가 소등되어 있을 때에는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의장, 문자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스모크 필터가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의장, 문자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블랙 아웃 스위치로 하고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면 모든 조명용 LED(130)는 점등되어, 이 점등에 의해,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의장부(112a)가 조명되어,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로서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에 의해 점등(1단째의 점등)될 때의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자의 손가락 조작에 따라서, 우선,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고휘도로) 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110b, 110c, 110e, 110f)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크게 한다.
다음에, 운전자의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더 근접하면,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의 밝기[예를 들어 스위치(110c)의 밝기]는, 상기와 같이 근접 판정 임계값에 의해 커진 밝기(고휘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그 밖의 조명용 LED(130)는, 모두 소등(오프)된다. 즉, 그 밖의 조명용 LED(130)에 대응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110a, 110b, 1210d, 110e, 110f)]는 블랙 아웃 상태가 된다.
또한,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110c)]를 온 상태로 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모든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1단째의 점등)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블랙 아웃 사양의 스위치 대해,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동이 얻어지므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의 밝기 조정 제어의 내용을 도 15에 도시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야간 시에서, 조명용 LED(130)가 점등(1단째의 점등)됨으로써,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가 야간 조명되도록 되어 있다(야간 조명 휘도). 여기서는, 1단째의 점등에 기초하는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야간 조명이 행해져 있을 때에, 운전자의 손가락 조작에 따라서, 우선,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 이외의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예를 들어, 스위치(110a, 110d)]의 밝기를, 1단째의 점등에 의한 밝기(야간 조명 휘도)보다도 작게(저휘도로) 한다. 따라서,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예를 들어, 스위치(110b, 110c, 110e, 110f)]의 밝기는, 야간 조명 휘도가 유지된다.
다음에, 운전자의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스위치에 더 근접하면,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예를 들어, 스위치(110c)]의 밝기는, 원래의 야간 조명 휘도보다도 커진 밝기(고휘도)가 된다. 따라서, 나머지의 조명용 LED(130)[예를 들어, 스위치(110a, 110b, 110d, 110e, 110f)]의 밝기는, 야간 조명 휘도가 유지된다.
또한,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 중,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110c)]를 온 상태로 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모든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대응하는 조명용 LED(130)의 밝기를 원래의 밝기(1단째의 점등에 의한 야간 조명 휘도)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대해 야간 조명을 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동이 얻어지므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B)를, 도 16에 도시한다. 스위치 장치(100B)는 차량용의 에어컨 장치(13)의 작동 조건을 다양하게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100B)로 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00B)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2)의 하측에 위치하는 에어컨용 패널(11b)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용 패널(11b)의 중앙부에는, 에어컨 장치(13)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a)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3a)는 표시부에 대응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3a)의 주위에는, 의장부(112a) 및 전극부(113c) 등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위치(110g 내지 110p)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위치(110g 내지 110p)는, 예를 들어, 온도 설정 스위치(110g), 프론트 디프로스터 스위치(110h), 리어 디프로스터 스위치(110i), 분출 모드 스위치(110j), 내기 모드 스위치(110k), 오토 스위치(110l), 팬 오프 스위치(110m), 풍량 설정 스위치(110n), 에어컨 스위치(110o), 듀얼 스위치(110p)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유닛(140)에 의한 의장부(112a)의 밝기 조정 제어에 있어서, 밝기가 조정되는 영역을 변경한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각 의장부(112a)는 문자 혹은 도형 등에 의해 각 스위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의장부(112a)는, 상기 문자 혹은 도형 등에 추가하여, 외주부에 コ자 형상(혹은 역 コ자 형상)의 프레임부(112a1)를 추가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밝기 조정 제어에 있어서, 문자 혹은 도형 등의 부분 대신에, 프레임부(112a1)의 밝기가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즉, 의장부(112a)[문자 혹은 도형 및 프레임부(112a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밝기가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도 16에서는, 스위치(110o, 110p)의 프레임부(112a1)의 밝기가 조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의장부(112a) 자신의 형상이나 크기, 나아가서는 운전자에 대한 인식 효과 등에 따라서, 밝기가 커지는 영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C)를 도 17, 도 18에 도시한다. 제7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C)는,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각 전극부(113c)로부터 얻어지는 정전 용량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3a)에서의 작동 상태 표시를, 통상보다도 강조하는 강조 표시로 변경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a)에는 앞서 설정된 온도가 수치 표시(예를 들어, 화씨 72도)되어 있는 경우에, 온도 설정 스위치(110g)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여, 설정 온도가 변경된다(예를 들어, 화씨 69도). 그러면, 변경된 온도값이, 그 입력 조작 후의 소정 시간만큼 확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혹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a)에는 우선 설정된 풍량 레벨이 가로 방향의 막대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풍량 설정 스위치(110n)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여, 설정 풍량이 변경된다. 그러면, 변경된 풍량 레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가, 그 입력 조작 후의 소정 시간만큼 확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디스플레이(13a)의 강조 표시에 의해, 원하는 스위치(110g, 110n)를 조작한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D)를 도 19에 도시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밝기 조정 제어는 정차 중 혹은 주행 중의 어느 하나라도 실행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유닛(140)은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때라고 말하는 것은, 예를 들어, 주차장에 있어서의 차량의 정지 시, 혹은 아이들링 스톱 차량에 있어서의 신호 대기 등에서의 엔진 정지 시 등이다.
스위치 장치(100D)의 메인 유닛(140)에는, 차속 센서(180)로부터의 속도 신호 및 사이드 브레이크(190)로부터의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유닛(140)은 차속 신호 및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이 정지 중인 것을 파악하고, 정지 중이라고 판정하면,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차량의 정지 시이면, 차량의 운전 조작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는 의장부(112a)의 밝기의 변화를 주시하면서,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 혹은 110g 내지 110p)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밝기 조정 제어에 의한 유도 효과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제9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E)를 도 20에 도시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메인 유닛(140)에 의한 밝기 조정 제어의 실행 가부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입력부(200) 및 차속 센서(180)를 구비하고 있다.
속도 설정 입력부(200)는 운전자에 의해,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 가능으로 하는 속도 범위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설정부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서,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 가능으로 하는 속도 조건(속도 범위)을, 예를 들어, 차속 0㎞/h 이하, 혹은 20㎞/h 이하 등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설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속도 조건은 메인 유닛(14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속 센서(180)로부터는, 차속 신호가 메인 유닛(14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유닛(140)은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는 실제의 차속값이 변화되는 중에, 설정된 속도 조건 하에서,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서, 차량 속도가 어느 정도 빠른 경우(소정의 속도보다 빠른 경우)이면, 운전자는 보다 운전 조작에 집중할 필요가 있고, 의장부(112a)를 주시할 수 없는 것이 실태가 되므로,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조작에 수반하는 밝기 조정 제어를 그다지 희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운전자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개개인 그 판단 기준도 다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 가능으로 하는 속도 조건을, 속도 설정 입력부(200)에 의해 운전자 자신의 기호에 따라서 설정함으로써, 밝기 조정 제어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제10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F)를 도 21에 도시한다.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 형태에서는,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는, 정전 용량식의 스위치로 했지만,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식, 혹은 토글식 등의 스위치(110A 내지 110F)로 하고 있다.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는 패널(111)에 설치되어 있다.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는 조명용 LED(130)에 의해 조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100F)에는,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각각과 운전자의 손가락과의 조작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부는, 예를 들어, 카메라(2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지부로서는 카메라(210) 외에도 센서, 레이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210)는 소정 시간마다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와 운전자의 손가락과의 위치 관계를 화상으로서 취득함으로써, 조작 거리를 간접적으로 검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210)에 의해 검출되는 조작 거리는, 메인 유닛(14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유닛(140)은 조작 거리를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으로서, 운전자의 손가락이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어느 정도 가까워진 것을 판정하기 위한 근접 판정 임계값과,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은 임계값으로, 운전자의 손가락에 의해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온되는 상태에 있는 것을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갖고 있다.
메인 유닛(140)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이 복수의 스위치(110A 내지 110F)에 대해 근접하여, 카메라(21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조작 거리 중,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는 모든 스위치(예를 들어, 110B 내지 110F)의 밝기를, 조명용 LED(130)에 의해,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한다.
그리고, 손가락이 복수의 스위치(110A 내지 110F)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조작 거리가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상태에서는, 조명용 LED(130)에 의한 밝기 제어를 유지한다.
또한, 조작 거리가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면, 그 스위치(예를 들어, 110C)를 온으로 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2)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조명용 LED(130)에 의해 커진 밝기를 원래의 밝기로 되돌린다.
혹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근접 판정 임계값과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사이에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을 설치해 두고, 메인 유닛(140)은 조작 거리가,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는 모든 스위치(예를 들어, 110B 내지 110F)의 밝기를, 조명용 LED(130)에 의해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한다.
그리고, 조작 거리가, 대상 스위치 검지 임계값보다도 작고, 또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커지는 모든 스위치부(예를 들어, 110C)의 밝기를, 조명용 LED(130)에 의해,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하여, 근접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는 밝기의 조정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조작 거리가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면, 그 스위치(예를 들어, 110C)를 온으로 하여 내비게이션 장치(12)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조명용 LED(130)에 의해 커진 밝기를 원래의 밝기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가 정전 용량식이 아닌 경우에도, 검지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위치 장치(100F)에 있어서는, 상기 제3 내지 제9 실시 형태를 적용한 것으로 해도 된다.
(그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 형태에서는,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 혹은 110g 내지 110p)는, 주로, 패널(111), 장식층(112)의 의장부(112a) 및 전극부(113c)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했다(단순한 터치 패널).
그러나, 각 스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2)의 디스플레이(12a), 즉, 화상 표시기에 의한 화상 상에, 스위치 아이콘이 형성되고, 이 스위치 아이콘을 스위치의 의장부로 한 것에 적용해도 된다.
스위치에 있어서의 의장부가, 화상 표시기에 있어서의 스위치 아이콘인 경우에는, 목적지 안내 설정 시와 같이, 화면의 전환 변경에 수반하여, 화면마다 스위치 아이콘이 변화되어 가는 경우가 많고, 사전에 스위치 아이콘의 위치를 기억할 수 없는 케이스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유도에 의한 원하는 스위치의 선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는,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 있을 때, 결국은 조명용 광원으로서의 조명용 LED(130)가 소등되어 있을 때에는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의장, 문자가 눈으로 보이지 않도록 스모크 필터가 각 스위치(110a 내지 110f)의 의장, 문자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블랙 아웃 스위치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블랙 아웃 스위치는, 상기 다른 실시 형태인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이 출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혹은,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섹션(혹은 스텝이라고 언급됨)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은, 예를 들어, S100으로 표현된다. 또한, 각 섹션은, 복수의 서브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섹션이 합쳐져서 하나의 섹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 섹션은, 디바이스, 모듈, 수단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전 용량이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해서 다른 의장부(112a)보다도 밝아진 의장부(112a)가 특정 의장부에 상당한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해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서는, 그들에 일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12)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복수의 전극부(113c)의 각각에 겹치도록, 스위치 기능을 표시하는 의장부(112a)가 설치된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전극부(113c)와의 거리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120)와,
    복수의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130)와,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12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의 상기 정전 용량 중, 미리 정한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의장부(112a)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함과 함께,
    또한,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이것보다도 높은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에서는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한 상기 밝기 제어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부(110c)를 온으로 하여 상기 기기(12)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커진 밝기를 상기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판정 임계값을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으로 하고,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과,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사이에 설정되는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갖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에 더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12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의 상기 정전 용량 중,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의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의장부(112a)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하여,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는 상기 밝기의 조정 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가 커지는 영역은, 상기 의장부(112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스위치부(110c)가 온된 것을 인식시키는 인식부(160, 17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스위치부(110c)를 온으로 하여,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한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상기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사이에, 상기 인식부(160, 17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160, 17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음을 발생하는 음 발생 장치, 상기 스위치부(110c)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크게 한 상기 밝기 조정부(130)의 밝기를 더 밝게 변경하는 수단 및 상기 밝기 조정부(130)를 점멸시키는 점멸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인 스위치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는, 상기 밝기 조정부(130)가 오프되어 있을 때는 블랙 아웃되고, 상기 밝기 조정부(130)가 온됨으로써 상기 의장부(112a)의 상기 원래의 밝기 상태가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정전 용량 중,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미만의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상기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할 때에, 그 밖의 의장부(112a)에 대응하는 상기 밝기 조정부(130)를 모두 오프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12)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복수의 전극부(113c)의 각각에 겹치도록, 스위치 기능을 표시하는 의장부(112a)가 설치된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전극부(113c)와의 거리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120)와,
    복수의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130)와,
    상기 밝기 조정부(130)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는, 상기 밝기 조정부(130)가 온됨으로써 상기 의장부(112a)에 대한 야간 조명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야간 조명이 행해져 있을 때에,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12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의 상기 정전 용량 중, 미리 정한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113c) 이외의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가 온되었을 때의 밝기에 비교해서 작게 함과 함께,
    또한,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전극부(113c)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미리 정한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까지의 정전 용량이 되는 모든 상기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가 온되었을 때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하고,
    또한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부(110c)를 온으로 하여 상기 기기(12)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커진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가 온되었을 때의 밝기로 되돌리는 스위치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에 대응하는 상기 기기(13)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a)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극부(113c)의 상기 정전 용량이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전극부(113c)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부(110g)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13a)에서의 작동 상태 표시를, 통상보다도 강조하는 강조 표시로 변경하는 스위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상기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스위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에 의한 상기 밝기 조정 제어의 실행 가부를 설정하는 설정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200)에 대해, 상기 밝기 조정 제어의 실행을 가능으로 하는 상기 차량의 속도 조건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부(112a)는, 표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기(12a)에 있어서의 스위치 아이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밝기 조정부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의 화상 밝기를 조정하는 수단인 스위치 장치.
  12.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12)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입력용의 복수의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와,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의 각각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조작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210)와,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130)와,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21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거리 중, 미리 정한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는 모든 상기 스위치부(110B 내지 110F)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함과 함께,
    또한,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근접하여, 상기 조작 거리가 상기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고, 또한 이것보다도 작은 미리 정한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큰 상태에서는,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한 상기 밝기 제어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조작 거리가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아지면, 그 스위치부(110C)를 온으로 하여 상기 기기(12)를 작동 상태로 하고, 그 후에,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커진 밝기를 상기 원래의 밝기로 되돌리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판정 임계값을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으로 하고,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과,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 사이에 설정되는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갖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손가락이 복수의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에 더 근접하여, 상기 검지부(210)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조작 거리 중,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고, 또한 상기 스위치 온 판정 임계값보다도 커지는 모든 상기 스위치부(110C)의 밝기를, 상기 밝기 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의 원래의 밝기에 비교해서 크게 하여,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에 기초하는 상기 밝기의 조정 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 장치.
  14. 사용자의 몸 일부에 의한 조작에 의해, 소정의 기기(12)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는 차량용의 스위치 장치이며,
    복수의 전극부(113c)의 각각에 겹치도록, 스위치 기능을 표시하는 의장부(112a)가 설치된 스위치부(110a 내지 110f)와,
    상기 몸 일부와 상기 각 전극부(113c)와의 거리에 따라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부(120)와,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를 각각 조정하는 밝기 조정부(130)와,
    상기 밝기 조정부(130)의 밝기를 제어하는 밝기 조정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밝기 조정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검지부(120)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113c)의 상기 정전 용량 중, 어느 하나가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1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정전 용량의 상기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모든 상기 의장부(112a)를 특정 의장부(112a)로 하고, 상기 특정 의장부(112a)의 밝기가 상기 특정 의장부(112a) 이외의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의장부(112a)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부(113c)의 정전 용량이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과, 상기 제1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제2 근접 판정 임계값 사이에 있는 경우는, 밝아진 상기 특정 의장부(112a)의 밝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140)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의장부(112a) 중 어느 하나의 의장부(112a)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부(113c)의 정전 용량이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특정 의장부(112a) 중 당해 의장부(112a)만의 밝기가 다른 특정 의장부(112a)의 밝기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을 초과한 전극부(113c)의 정전 용량이 상기 제2 근접 판정 임계값보다도 높은 스위치 ON 판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당해 전극부(113c)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부(110c)를 온으로 하고, 또한, 당해 스위치부(110c)의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가 다른 모든 상기 의장부(112a)의 밝기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밝기 조정부(130)를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67008411A 2013-10-02 2014-09-11 스위치 장치 KR101780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7433 2013-10-02
JPJP-P-2013-207433 2013-10-02
JPJP-P-2014-099964 2014-05-13
JP2014099964A JP6094527B2 (ja) 2013-10-02 2014-05-13 スイッチ装置
PCT/JP2014/004709 WO2015049837A1 (ja) 2013-10-02 2014-09-11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948A true KR20160048948A (ko) 2016-05-04
KR101780907B1 KR101780907B1 (ko) 2017-09-21

Family

ID=5277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411A KR101780907B1 (ko) 2013-10-02 2014-09-11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03260B2 (ko)
JP (1) JP6094527B2 (ko)
KR (1) KR101780907B1 (ko)
CN (1) CN105593961B (ko)
DE (1) DE112014004596B4 (ko)
WO (1) WO2015049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2601A1 (de) * 2015-12-22 2017-06-22 Volkswagen Ag Verfahren und System zum Bereitstell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für zumindest eine Einrichtung eines Fahrzeugs
JP2019040802A (ja) * 2017-08-28 2019-03-1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6931226B2 (ja) * 2017-11-02 2021-09-01 清重 元統 タッチ式スイッチ
CN111226300B (zh) 2017-11-09 2022-12-30 积水保力马科技株式会社 输入操作装置
CN110956939B (zh) * 2019-11-27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调节屏幕亮度的方法及电子设备
JP7372844B2 (ja) * 2020-01-16 2023-11-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CN113022462B (zh) * 2021-03-26 2023-12-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虚拟开关内饰件及车辆
WO2022234617A1 (ja) * 2021-05-06 2022-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8486A (ja) * 1981-10-01 1983-04-07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移動物体検出装置
JPH05298979A (ja) * 1992-04-21 1993-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調節式タッチスイッチ
JP3479824B2 (ja) * 1996-08-23 2003-12-15 松下電工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スイッチ
JP4035418B2 (ja) * 2001-10-31 2008-01-23 株式会社本田電子技研 近接スイッチおよび物体検出装置
US20050052426A1 (en) * 2003-09-08 2005-03-10 Hagermoser E. Scott Vehicl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6128019A (ja) 2004-11-01 2006-05-18 Fujikura Ltd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JP4102357B2 (ja) * 2004-11-24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JP4645299B2 (ja) * 2005-05-16 2011-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表示装置
JP4531647B2 (ja) * 2005-07-06 2010-08-25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DE102007034273A1 (de) * 2007-07-19 2009-01-22 Volkswagen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Position eines Fingers eines Nutzers in einem Kraftfahrzeug und Positionsbestimmungsvorrichtung
JP2009117153A (ja) 2007-11-06 2009-05-28 Hanshin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型近接スイッチ装置
JP2009183592A (ja) * 2008-02-08 2009-08-2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操作情報入力装置および超音波撮像装置
KR20090089254A (ko) * 2008-02-18 2009-08-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센싱 장치,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센싱 방법
US9030418B2 (en) * 2008-06-24 2015-05-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KR101694272B1 (ko) * 2010-12-03 201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터치 및 근접 정보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878141B1 (ko) * 2011-05-30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857465B2 (ja) 2011-06-16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TWI433135B (zh) * 2011-10-04 2014-04-01 Wistron Corp 顯示調整裝置及顯示調整方法
TWI451160B (zh) * 2012-03-05 2014-09-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自動偵測方法及使用該方法之可攜式電子裝置
US8985830B2 (en) 2012-03-26 2015-03-24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Switch, keyboard instrument provided with the same, and light emission control circut
US9330606B2 (en) * 2012-06-08 2016-05-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brightness control
CN103578445A (zh) * 2012-07-27 2014-02-1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调整屏幕解析度或亮度的电子装置及其屏幕调整方法
US9711090B2 (en) * 2012-08-09 2017-07-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ng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acceleration and distance
KR20140140891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근접 센싱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50067570A1 (en) * 2013-09-04 2015-03-05 Jae In Yo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3961B (zh) 2019-08-23
CN105593961A (zh) 2016-05-18
US10303260B2 (en) 2019-05-28
DE112014004596B4 (de) 2024-06-06
JP2015092452A (ja) 2015-05-14
JP6094527B2 (ja) 2017-03-15
DE112014004596T5 (de) 2016-08-18
WO2015049837A1 (ja) 2015-04-09
US20160239101A1 (en) 2016-08-18
KR101780907B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07B1 (ko) 스위치 장치
KR101994012B1 (ko)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중첩 표시하기 위한 방법
JP5043119B2 (ja) 自動車モジュールのための光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KR102049649B1 (ko)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 및 상기 컨트롤 바의 사용
KR10157565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53121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GB2423808A (en) Gesture controlle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ories
CN103085708A (zh) 灯和接近开关总成及方法
JP5753515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101941804B1 (ko)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 및 상기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의 사용
JP2018103834A (ja) 車載システム
US20130054048A1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08430822B (zh) 用于提供用于车辆的至少一个装置的用户界面的方法和系统
JP2010173410A (ja) 機能表示装置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CN107107758A (zh) 信息娱乐系统、交通运输工具和用于操作交通运输工具的信息娱乐系统的设备
KR101148981B1 (ko)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JP2007311306A (ja) 車載用入力装置
JP2009166628A (ja) 車載表示装置
US20180292924A1 (en) Input processing apparatus
KR102678241B1 (ko) 모션 인식 센서, 모션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US20240157793A1 (en) Switch device
US11921936B2 (en) Vehicle function 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30136017A1 (en) Motion gesture sens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unit manipulation system having same
JP6489253B2 (ja) 表示装置、及び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