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55A -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55A
KR20160047955A KR1020140150171A KR20140150171A KR20160047955A KR 20160047955 A KR20160047955 A KR 20160047955A KR 1020140150171 A KR1020140150171 A KR 1020140150171A KR 20140150171 A KR20140150171 A KR 20140150171A KR 20160047955 A KR20160047955 A KR 2016004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ratchet
driving source
bar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352B1 (ko
Inventor
이민석
이우석
정준배
Original Assignee
이민석
이우석
정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석, 이우석, 정준배 filed Critical 이민석
Publication of KR2016004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8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ecuring w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키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손잡이를 손잡이 수용홈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과정이 도어의 잠금수단과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에 이용되고 상면에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스마트키; 및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과 연동되는 회전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은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스마트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가동되며, 가동된 회전고정부가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를 회전시켜 도어손잡이가 손잡이 수용홈에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Locking Unit for Doorknob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키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손잡이를 손잡이 수용홈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과정이 도어의 잠금수단과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도어의 잠김 구성은 도어손잡이의 당김과 당김 해제를 통해 도어의 여닫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잠김유닛 및 키 또는 스마트키를 통해 상기 제 1잠김유닛의 작동을 억제하는 제 2잠김유닛으로 이루어지는데, 차량 도난은 주로 특수 형상의 도구를 도어 유리창 틈 또는 열쇠홀에 삽입 조작하여 상기 제 2잠김유닛을 무력화하고 제 1잠김유닛의 작동 억제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차량 도난방지 수단은 제 2잠김유닛의 무력화를 어렵게 하는 방식으로 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응하여 새로운 제 2잠김유닛의 무력화 수단이 지속적으로 강구됨으로써 차량 도난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KR 실0138751 Y1 1998.12.08.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도난 방지수단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손잡이의 잠금수단과 별도로 작동되어 도어손잡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이 경사지에 주차되는 경우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도어손잡이가 손잡이 수용홈에 은폐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은,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에 이용되고 상면에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스마트키; 및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과 연동되는 회전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은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스마트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가동되며, 가동된 회전고정부가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를 회전시켜 도어손잡이가 손잡이 수용홈에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은, 상기 구동원이 상기 스마트키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 일단에 구비되는 폴과 종동기어 및 상기 폴과 종동기어에 각각 결합하는 래칫과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래칫과 폴은 도어손잡이의 은폐가 완료되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구동원이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자력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 일단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단,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폴과 래칫,‘ㄱ’자로 절곡되고 일단은 상기 걸림단에 걸림 고정되는 절곡링크 및 상기 절곡링크의 타단을 힌지 고정한 상태에서 원호궤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회동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링크는 절곡 부위가 힌지 고정되고, 상기 회동바는 원호형의 궤도바 및 상기 궤도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바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자력 구동원이 상기 궤도바의 양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력 구동원에 선택적으로 자력이 생성되고, 상기 래칫과 폴은 도어손잡이의 은폐가 완료되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은, 상기 래칫의 하부에 상태유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태유지수단은 래칫의 힌지 하단에 형성되는 편수용홈, 상기 편수용홈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편 및 상기 이송바의 양단에 구비되는 이송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도어손잡이의 은폐 완료시 또는 은폐 해제시 상기 이송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래칫의 힌지에는 래칫과 폴의 상호 잠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힌지의 직하에 위치한 편수용홈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손잡이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는 회전고정부 및 상기 구동원과 회전고정부를 제어하는 스마트키를 통해, 도어의 잠금수단과 별도로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차량 도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칫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태유지수단, 래칫의 힌지에 구비되는 스프링 및 상기 힌지의 직하에 위치한 편수용홈에 돌출형성되는 돌기를 통해, 외부 영향에도 도어손잡이가 손잡이 수용홈에 은폐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작동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원을 도시한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은폐수단의 상태유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구동원을 도시한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에 이용되는 스마트키(100) 및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a)에 구비되는 손잡이 은폐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키(100)는 차량의 시동 및 도어 잠금시 이용되는 스마트키의 공지기술을 채용한 것으로서, 스마트키(100)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 은폐수단(200)과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작동버튼(110)이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버튼(110)을 누르면 스마트키(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손잡이 은폐수단(20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원을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은폐수단의 상태유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구동원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 은폐수단(200)은 차량용 도어손잡이를 손잡이 수용홈(b)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이하 은폐라 한다)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작동버튼(110)의 누름 조작을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가동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통해 차량용 도어손잡이를 은폐시키는 회전고정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원으로서, 모터 구동원(210) 또는 자력 구동원(230)이 채용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원에 따라 대응되는 회전고정부의 부재 구성이 상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구동원으로서 스마트키(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구동원(210)이 채용되는 경우, 상기 회전고정부는 차량용 도어손잡이의 힌지부(a) 일단에 구비되는 폴(211)과 종동기어(213) 및 상기 폴(211)과 종동기어(213)에 각각 결합하는 래칫(212)과 구동기어(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기어(214)에 모터 구동원(210)의 회전축이 결합하게 된다.
스마트키(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 구동원(210)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도어손잡이의 힌지축이 손잡이 수용홈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손잡이의 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모터 구동원(210)이 도어손잡이의 힌지부(a)에 구비되는 특성상 소형모터가 채용되게 되는데, 도어손잡이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소형모터로 은폐 상태를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은폐 상태의 유지 또는 은폐 해제 상태의 유지는 금속재의 래칫(212)과 폴(211)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래칫(212)과 폴(211)의 온/오프를 위해 구동기어(214) 및 도어손잡이에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감지센서와 같은 센싱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래칫(212)의 하부에는 상기 센싱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유지수단(215)이 더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유지수단(215)은 래칫(212)의 힌지(212a) 하단에 형성되는 편수용홈(e), 상기 편수용홈(e)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바(g), 상기 이송바(g)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편(f) 및 상기 이송바(g)의 양단에 구비되는 이송솔레노이드(h)로 이루어진다.
도어손잡이의 은폐 완료시에는 상기 도어손잡이에 위치한 센싱수단이 감지신호를 상태유지수단(215)에 보내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우측 이송솔레노이드(h)에 자력이 발생하여 슬라이드편(f)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래칫(212)은 도어손잡이가 복원되도록 하는 폴(211)의 회전을 억제하는 온 상태가 되게 된다.
또한, 은폐 해제시에는 스마트키(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 구동원(210)은 역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214) 측에 위치한 센싱수단의 역회전 감지를 통해 좌측 이송솔레노이드(h)에 자력이 발생하여 슬라이드편(f)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래칫(212)과 폴(211)은 상호 분리된 오프 상태가 되게 된다.
통상, 도어손잡이에는 외력작용이 없는 경우 도어손잡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래칫(212)과 폴(211)의 오프 상태시 도어손잡이는 자동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편수용홈(e)은 래칫(212)과 폴(211)의 안정적인 오/오프 상태유지를 위해, 중앙에 돌기(e')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기(e')를 기준으로 우측 홈이 좌측 홈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e')는 차량이 경사지에 주차되거나 심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슬라이드편(f)이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원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래칫(212)의 힌지(212a) 직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부 영향에도 래칫(212)과 폴(211)의 상호 잠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래칫(212)의 힌지(212a)에는 스프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으로서 자력 구동원(230)이 채용되는 경우, 상기 회전고정부는 차량용 도어손잡이의 힌지부(a) 일단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단(231), ‘ㄱ’자로 절곡되고 일단은 상기 걸림단(231)에 걸림 고정되는 절곡링크(233) 및 상기 절곡링크(233)의 타단을 힌지 고정(c)한 상태에서 원호궤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회동바(2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곡링크(233)는 절곡 부위가 힌지(b) 부재를 통해 도어의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동바(235)는 원호궤적으로 이송되기 위해 원호형의 궤도바(235a) 및 상기 궤도바(235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바(23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력 구동원(230)은 내부에 솔레노이드가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은 상기 구동바(235b)의 양단에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버튼(1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측의 솔레노이드에 자력이 생성되면, 구동바(235b)에 연동되는 절곡링크(233)와 걸림단(231)의 회전으로 도어손잡이가 은폐되거나 또는 은폐가 해제되게 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의 자력이 소멸된 이후에도 은폐 상태 또는 은폐 해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할 수 있도록, 도어손잡이의 힌지부(a)에는 상기 모터 구동원(210)의 래칫(212), 폴(211), 상태유지수단(215) 및 센싱수단과 같은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스마트키
110: 작동버튼
200: 손잡이 은폐수단
210: 모터 구동원
211: 폴
212: 래칫 213: 종동기어
214: 구동기어 215: 상태유지수단
230: 자력 구동원
231: 걸림단 233: 절곡링크
235: 회동바 235a: 궤도바
235b: 구동바

Claims (5)

  1.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에 이용되고 상면에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스마트키; 및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과 연동되는 회전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은폐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스마트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가동되며, 가동된 회전고정부가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를 회전시켜 도어손잡이가 손잡이 수용홈에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스마트키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 일단에 구비되는 폴과 종동기어 및 상기 폴과 종동기어에 각각 결합하는 래칫과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래칫과 폴은 도어손잡이의 은폐가 완료되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자력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 일단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단, 상기 도어손잡이의 힌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폴과 래칫,‘ㄱ’자로 절곡되고 일단은 상기 걸림단에 걸림 고정되는 절곡링크 및 상기 절곡링크의 타단을 힌지 고정한 상태에서 원호궤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회동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링크는 절곡 부위가 힌지 고정되고,
    상기 회동바는 원호형의 궤도바 및 상기 궤도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바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자력 구동원이 상기 궤도바의 양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력 구동원에 선택적으로 자력이 생성되고,
    상기 래칫과 폴은 도어손잡이의 은폐가 완료되면 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하부에는 상태유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태유지수단은 래칫의 힌지 하단에 형성되는 편수용홈, 상기 편수용홈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편 및 상기 이송바의 양단에 구비되는 이송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도어손잡이의 은폐 완료시 또는 은폐 해제시 상기 이송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힌지에는 래칫과 폴의 상호 잠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힌지의 직하에 위치한 편수용홈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KR1020140150171A 2014-10-22 2014-10-31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KR10163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95 2014-10-22
KR20140143695 2014-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55A true KR20160047955A (ko) 2016-05-03
KR101630352B1 KR101630352B1 (ko) 2016-06-15

Family

ID=5602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171A KR101630352B1 (ko) 2014-10-22 2014-10-31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4766A (zh) * 2018-09-19 2020-03-27 苏州华益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门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751Y1 (ko) 1996-11-19 199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난방지용 도어잠금장치
KR100572059B1 (ko) * 2004-04-13 2006-04-24 박호술 자동차용 도어손잡이 숨김장치
JP2006112177A (ja) * 2004-10-18 2006-04-27 Yamaguchiyasushi Seisakusho:Kk 引き戸用補助錠
JP2007321470A (ja) * 2006-06-01 2007-12-13 Tokai Rika Co Ltd 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751Y1 (ko) 1996-11-19 1999-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난방지용 도어잠금장치
KR100572059B1 (ko) * 2004-04-13 2006-04-24 박호술 자동차용 도어손잡이 숨김장치
JP2006112177A (ja) * 2004-10-18 2006-04-27 Yamaguchiyasushi Seisakusho:Kk 引き戸用補助錠
JP2007321470A (ja) * 2006-06-01 2007-12-13 Tokai Rika Co Ltd ド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4766A (zh) * 2018-09-19 2020-03-27 苏州华益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门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352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5872B (zh) 凸轮锁
JP2004137689A (ja) サイドバー方式の可変コード型シリンダー錠
JP3143601B2 (ja) 車両の車内鍵忘れ防止装置
JP2012199012A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JPH11500193A (ja) 電子キー
JP6338870B2 (ja)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KR100694448B1 (ko) 도어 래치의 디텐트 스위치 내장 구조
KR101630352B1 (ko) 차량용 도어손잡이 잠금유닛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2832235B2 (ja)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KR1007800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S6365538B2 (ko)
JP2006125184A (ja) 錠付扉装置
JP2008019622A (ja) カマ錠
JP6193411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システム
JPH01503318A (ja) 施錠装置
KR100862255B1 (ko) 차량의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5022880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5282095A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01227221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326535B1 (ko) 테일게이트의 씬칭 래치 어셈블리
JP2008012029A (ja) 遊技機用施錠装置
US11795728B2 (en) Cylinder lock
KR20130096972A (ko) 테일게이트의 씬칭 래치 어셈블리
JP2573542B2 (ja) スーパーロック機構付車両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