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809A -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809A
KR20160043809A KR1020140138502A KR20140138502A KR20160043809A KR 20160043809 A KR20160043809 A KR 20160043809A KR 1020140138502 A KR1020140138502 A KR 1020140138502A KR 20140138502 A KR20140138502 A KR 20140138502A KR 20160043809 A KR20160043809 A KR 2016004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lactobacillus
present
luteria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516B1 (ko
Inventor
소경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4013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5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항종양 활성으로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Lactobacillus reuteri Black8, and Anti-tumor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매우 우수한 항종양 활성으로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양은 조절할 수 없이 계속 진행되는 세포 분열에 의한 조직의 새로운 증식이나 증대, 주위 장기로의 전이가 없는 양성 종양과 전이가 있는 악성 종양(암)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암은 국내의 사망 원인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해 더욱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항암요법은 외과수술과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이 주로 사용된다.
특히 외과수술을 제외하고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경우 다양한 제제와 방사선 등이 사용되지만 그들의 적용은 인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 한정된다. 이들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제한적인 적용은 동물시험에서 아무리 우수한 효능을 보일지라도 임상에서 그 효과를 상쇄시키며 적용범위를 제한하고 효능을 제한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항암제 내성을 가진 암세포의 출현 또는 각각의 요법의 세포독성에 기인한 부작용으로 말미암는다.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cisplatin(cis-diamminedichloroplatinum; CDDP)]은 가장 효과적인 암 치료제로서,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30여 종의 항암제 중 가장 유용한 약제의 하나로 고환암, 난소암, 폐암, 두경부암, 방광암, 위암, 자궁 경부암 등의 암에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eni Boulikas, Oncology Reports, 10:1663-1682, 2003). 그러나, 최근에는 시스플라틴 내성을 가진 암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어, 현재 이런 내성을 가진 암 세포들이 문제시되고 암 치료 후 재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시스플라틴과 다른 화학물질과의 복합요법 또는 시스플라틴과 세포 내 발현 단백질의 조절에 의한 치료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인 실정이다(Tito Fojo, Oncogene, 22: 7512-7523, 2003).
또한, 방사선요법은 적당한 양의 방사선을 환부에 조사(照射)함으로써 인체에 발생하는 각종 암을 치료하는 항암요법인데, 이러한 방사선요법은 인체의 조혈기능을 저하시키고 면역계를 억제시켜 암 치료의 효율성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반복적인 방사선 조사로 인해 암세포가 저항성을 획득하게 되어 방사선요법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항암치료에 있어서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부작용은 항암치료의 성공 여부를 떠나 환자의 삶의 질을 매우 열악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또 다른 치명적인 병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항암치료를 요하는 환자에 있어서, 그 부작용의 관리는 다른 질병과는 달리 항암요법 그 자체에 버금가는 중요성을 가지는 것이라 할 것이다.
한편, 젖산균이라도 불리우는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을 생성하는 세균을 총칭한다. 유산균에는 락토바실러스(LaR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루코노스탁(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등의 균속이 있다. 형태적으로는 구균(Lactococcus, Pediococcus, Leuconostoc)과 간균(Lactobacillus, Bifidobacterim)으로 나누어지고 그람(Gram) 염색성은 양성이다. 어느 것이나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잘 발육하여 각종 당으로부터 락트산을 생성한다. 산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영양 요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당류 이외에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을 요구하며 균종, 균주에 따라 미량 영양소를 가하지 않으면 생육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유산균 발효형식에 따라 정상(homo)유산발효와 이상(hetero)유산발효로 나누어진다. 유산균은 농산물이나 식품에서부터 사람이나 동물의 몸까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확실한 생육처를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정상발효와 이상발효를 하는 2종류로 대별되는데 생육온도, 당분해, 성장, 생성 유산의 선광성 등에 따라 55균종 11아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는 대표적인 유산균으로서 각종 발효식품에 사용되고 또한 장관 상재 균총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4.10, 광일문화사))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 10-2013-0048946 (2013.05.13)에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132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인용문헌 및 특허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 및 특허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 10-2013-0048946 (2013.05.13)
본 발명의 목적은 항종양 활성이 매우 우수하고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신균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Lactobacillus reuteri Black8) KCTC12642B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종양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은 공지의 루테리 균주에 비해 3 배 정도의 높은 항종양 활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은 개의 분변에서 분리되어 약제 독성이 낮고 식품 또는 사료에 안심하고 이용될 수 있어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양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 기능성 식품조성물 또는 사료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의 항종양 활성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에 속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중 새로운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을 분리 및 동정하였고, 이 균주가 항종양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반적으로 락토바실러스는 그람 양성의 통성 혐기성 세균으로 장내 서식하며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등의 장내 합성뿐만 아니라 면역강화, 소화촉진 등의 작용을 하며 장내세균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정상인의 장내에서 초산과 젖산 등의 유기산을 생성하여 장내 부패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뿐 아니라 대장내 병원성 세균의 생육 억제를 줄이는 효과가 있고, 설사, 변비 등 장 질환에 많은 유익한 효과를 보이며 돌연변이 유발 물질의 흡착에 의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개의 분변으로부터 유산균 선별 배지를 이용하여 유산균만을 분리하고 분리된 균주들 중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한 후, 선별된 균주를 16S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 분석을 수행하여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로 동정하였으며, 동정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로 명명하고, 이를 2014년 8월 6일자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2642BP로 기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Lactobacillus reuteri Black8) KCTC12642BP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은 서열번호 1로 나타나는 16S rRN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종양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종양 약학적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의 파쇄된 세포벽 분획, 생균, 사균, 건조균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는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배양 배지 내에 균주가 혼합된 형태의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의 배양액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종양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양성종양 또는 악성종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종양 조성물은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 약학적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비경구 투여(예컨대,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종양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대상체의 연령, 성별,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증상, 투여시간, 투여방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는 1.1 x 107cell~1.1 x 108cell 수로 조성물 내에 함유하거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의 배양액은 상기 조성물 총 부피에 대해 10~30%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는 식품 등급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종양 세포주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의 배양액을 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하게 되면 항종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의 배양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물이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식품 100g당 약 0.01~90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조성물은 공지의 생균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의 동결건조분말과 덱스트린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사료는 개 사료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건강한 개의 분변에서 분리된 통성혐기성 균주를 1.5% 한천(agar)이 포함된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18~24시간 배양한 후 순수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신속한 동정을 위하여 MALDI-TOF MS(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였다(참고문헌 Appl Microbiol Biotechnol (2012) 93:965~974).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로 동정되었다. 또한 유산균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표준 균주와 99%의 16s rRNA 상동성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동정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Lactobacillus reuteri black8)로 명명하였고, 2014년 8월 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2642BP).
<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의 종양 유래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분석>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인 블랙8(KCTC12642BP) 유산균과 공지의 유산균(KCTC 3678)의 개 종양 유래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유산균의 CFU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우선 유산균 배양액을 PBS로 7 단계 희석 (10 folds)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다음 희석한 배양액을 각각의 MRS 평판배지에 0.1 mL씩 도말 하였고, 37℃에서 1 일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측하였다. 측정결과 10~100 cfu 사이의 희석단계를 결정하였다.
시험 전날 A-72(ATCC CRL-1542, Canine tumor 유래 세포주) 세포를 1 x 104 cells/well(96 well plate)로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A-72 세포주의 배양배지는 DEME/10% FBS를 사용하였다. 각 측정 검체를 3 well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MTT 용액 15uL가 포함된 배지를 넣었다.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 well에 stop 용액 0.1 mL을 첨가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액을 녹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IC50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개 종양에서 유래한 A-72 세포주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인 블랙8(KCTC12642BP) 유산균이 공지의 유산균(KCTC3678)에 비하여 약 3배 정도의 세포독성을 보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액 역시 본 발명에 의한 블랙8(KCTC12642BP) 유산균 시험에서 약 2배 정도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의 세포독성은 공지 균주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항종양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의약품뿐만 아니라, 식품, 사료 제조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균등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642 20140806
<1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Lactobacillus reuteri Black8, and Anti-tumor composition using the same <130> NPF-26959 <160> 1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1463 <212> DNA <213> Lactobacillus reuteri Black8 <400> 1 aacggaccac tgggtctctg tagactgttg gccacggaca ttgggacgtt ggaactccct 60 gtggtgtgac gggcggcgtg gacaaagccc gggaacgtat tcaccgcggc atgctgatcc 120 gcgattacta gcgattccga cttcgtgtag gcgagttgca gcctacagtc cgaactgaga 180 acggctttaa gagattagct tactctcgcg agcttgcgac tcgttgtacc gtccattgta 240 gcacgtgtgt agcccaggtc ataaggggca tgatgatctg acgtcgtccc caccttcctc 300 cggtttgtca ccggcagtct cactagagtg cccaacttaa tgctggcaac tagtaacaag 360 ggttgcgctc gttgcgggac ttaacccaac atctcacgac acgagctgac gacgaccatg 420 caccacctgt cattgcgtcc ccgaagggaa cgccttatct ctaaggttag cgcaagatgt 480 caagacctgg taaggttctt cgcgtagctt cgaattaaac cacatgctcc accgcttgtg 540 cgggcccccg tcaattcctt tgagtttcaa ccttgcggtc gtactcccca ggcggagtgc 600 ttaatgcgtt agctccggca ctgaagggcg gaaaccctcc aacacctagc actcatcgtt 660 tacggcatgg actaccaggg tatctaatcc tgttcgctac ccatgctttc gagcctcagc 720 gtcagttgca gaccagacag ccgccttcgc cactggtgtt cttccatata tctacgcatt 780 ccaccgctac acatggagtt ccactgtcct cttctgcact caagtcgccc ggtttccgat 840 gcacttcttc ggttaagccg aaggctttca catcagacct aagcaaccgc ctgcgctcgc 900 tttacgccca ataaatccgg ataacgcttg ccacctacgt attaccgcgg ctgctggcac 960 gtagttagcc gtgactttct ggttggatac cgtcactgcg tgaacagtta ctctcacgca 1020 cgttcttctc caacaacaga gctttacgag ccgaaaccct tcttcactca cgcggtgttg 1080 ctccatcagg cttgcgccca ttgtggaaga ttccctactg ctgcctcccg taggagtatg 1140 gaccgtgtct cagttccatt gtggccgatc agtctctcaa ctcggctatg catcatcgcc 1200 ttggtaagcc gttaccttac caactagcta atgcaccgca ggtccatccc agagtgatag 1260 ccaaagccat ctttcaaaca aaagccatgt ggcttttgtt gttatgcggt attagcatct 1320 gtttccaaat gttatccccc gctccggggc aggttaccta cgtgttactc acccgtccgc 1380 cactcactgg tgatccatcg tcaatcaggt gcatgcacca tcactcagtg ggtcagtggt 1440 cgagctacat cttgcgtcct gcc 1463

Claims (7)

  1.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Lactobacillus reuteri Black8) KCTC12642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은 서열번호 1로 나타나는 16S rRN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종양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개 사료인 사료 조성물.
KR1020140138502A 2014-10-14 2014-10-14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KR10167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502A KR101677516B1 (ko) 2014-10-14 2014-10-14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502A KR101677516B1 (ko) 2014-10-14 2014-10-14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809A true KR20160043809A (ko) 2016-04-22
KR101677516B1 KR101677516B1 (ko) 2016-11-18

Family

ID=5591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502A KR101677516B1 (ko) 2014-10-14 2014-10-14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5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853A (zh) * 2019-12-17 2020-04-10 南方医科大学 基于姜黄素罗伊氏乳酸菌发酵上清液的抗癌组合物及应用
KR102268128B1 (ko) * 2021-02-09 2021-06-22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모유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102296288B1 (ko) * 2020-12-31 2021-09-01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20220152148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브이원바이오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va102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478041B1 (ko) 2022-05-11 2022-12-16 주식회사 엠제이바이오젠 구강 건강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MJCD175 및 이의 용도
KR102645749B1 (ko) * 2023-04-24 2024-03-13 주식회사 메디오젠 면역 증진 및 장 건강 증진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46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9702A1 (en) * 2003-01-24 2010-07-29 Flora Technology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storing bacterial flora
KR101201338B1 (ko) * 2009-07-22 2012-11-15 대한민국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30048946A (ko) 2011-11-03 2013-05-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132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9702A1 (en) * 2003-01-24 2010-07-29 Flora Technology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storing bacterial flora
KR101201338B1 (ko) * 2009-07-22 2012-11-15 대한민국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30048946A (ko) 2011-11-03 2013-05-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132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GQ231436.1, 2009.12.01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853A (zh) * 2019-12-17 2020-04-10 南方医科大学 基于姜黄素罗伊氏乳酸菌发酵上清液的抗癌组合物及应用
CN110974853B (zh) * 2019-12-17 2023-06-16 南方医科大学 基于姜黄素和罗伊氏乳酸菌发酵上清液的抗癌组合物及应用
KR102296288B1 (ko) * 2020-12-31 2021-09-01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102268128B1 (ko) * 2021-02-09 2021-06-22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모유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WO2022173143A1 (ko) * 2021-02-09 2022-08-18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모유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CN115210360A (zh) * 2021-02-09 2022-10-18 乐土美森有限公司 源自母乳的新型罗伊氏乳杆菌lm1071菌株,以及包含所述菌株或其培养物的用于缓解经前期综合征的组合物
KR20220152148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브이원바이오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va102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478041B1 (ko) 2022-05-11 2022-12-16 주식회사 엠제이바이오젠 구강 건강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MJCD175 및 이의 용도
KR102645749B1 (ko) * 2023-04-24 2024-03-13 주식회사 메디오젠 면역 증진 및 장 건강 증진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46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516B1 (ko) 201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516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블랙8,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 조성물
CN112088211A (zh) 乳酸菌及其用途
KR101536672B1 (ko) 신규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jw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34796A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0571B1 (ko) 암 치료를 위한 절대혐기성 인체 장내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20100003182A (ko) 과채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5337535B2 (ja) Nk活性増強剤
KR20080109585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염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식물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1473475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풍미가 향상된 대추발효물의 제조 방법
EP3981256A1 (en) Composition
CN105899090A (zh) 包含乳酸菌的肠道屏障功能促进剂
CN111328285B (zh) 乳酸菌、来源于该乳酸菌的天然免疫活化剂、感染症预防/治疗剂和饮食品
KR102606078B1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va102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62780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면역증강 활성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
KR10091065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츠네리 및 이의 용도
KR101905322B1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909927B1 (ko) 케피어 유래 효모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KR101327295B1 (ko) 신규한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엔테로코커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Gupta et al. Nutraceuticals from microbes
KR101182606B1 (ko) 신규한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바이셀라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40899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