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571A -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571A
KR20160040571A KR1020167003359A KR20167003359A KR20160040571A KR 20160040571 A KR20160040571 A KR 20160040571A KR 1020167003359 A KR1020167003359 A KR 1020167003359A KR 20167003359 A KR20167003359 A KR 20167003359A KR 20160040571 A KR20160040571 A KR 2016004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coil
camera
unit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5/2257
    • H04N5/232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촬영 화상에의 악영향을 회피하기 위해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는, 영구자석(28)을 포함한 AF 유니트(20)와, AF 유니트(20)를 고정부(13)에 대해서 이동시켜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포함한다. 손떨림 보정부는, AF 유니트(2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6)와, 영구자석(28)에 대향하여 고정부(13) 상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을 포함한다. 고정부(13)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이 형성된 코일 기판(40)과, 이 코일 기판(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에 전류를 공급하는 FPC(44)와, 전류에 기인하는 전자파가 FPC(44)보다 아래쪽으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쉴드 부재(4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LENS HOLDER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CAMERA}
본 발명은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용 소형 카메라로 화상 촬영시에 생긴 손떨림(진동)을 보정하여 상(像)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화상의 촬영시에 손떨림(진동)이 있었다 하더라도, 결상(結像)면상에서의 상떨림을 방지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가 종래부터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손떨림 보정 방식으로서, 여러 가지의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그 중에 「배럴 쉬프트(Barrel Shifter) 방식」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배럴 쉬프트 방식」이란, 오토 포커스(AF)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에 수용된 렌즈 배럴(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 그 자체를, 고정부(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배럴 쉬프트 방식」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는, 영구자석이 이동(가동)하는 「무빙 마그넷(moving magnet) 방식」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와, 구동 코일이 이동(가동)하는 「무빙 코일 방식」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배럴 쉬프트 방식」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서는, 소형화와 저배화를 꾀하기 위해, AF용 렌즈 홀더 구동부용의 영구자석을 손떨림 보정부용의 영구자석으로서도 겸용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무빙 마그넷 방식」 렌즈 홀더 구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렌즈 홀더 구동장치는, 렌즈 배럴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와, 이 AF 유니트를, 고정부에 대해서, 광축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도록 한 손떨림 보정부를 가진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AF 유니트는, 렌즈 홀더에 고정된 포커스 코일과, 이 포커스 코일과 대향하는 제1면을 가지는 복수의 영구자석편(片)으로 이루어지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을 지지하는 마그넷 홀더와,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는 제2 판스프링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고정부에 대해서 AF 유니트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복수의 영구자석편의 제1면에 수직인 제2면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로 이루어지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FP 코일)과, 복수의 홀 소자를 가진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의 하부에는, 촬상기판(센서 기판)상에 배치된 촬상 소자(센서)가 탑재된다. 고정부는, 베이스와, 코일 기판과,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으로 구성된다. 코일 기판은 영구자석과 대향해서 떨어져 배치된다. 코일 기판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에 장착된다. 코일 기판에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의 내부 배선과 코일 기판의 복수 랜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을 경유하여 손떨림 보정용 코일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서는, 화상 촬영시에 손떨림 보정을 행하기 위해, AF 유니트를 손떨림을 없애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 구동력은, 영구자석이 만들어 내는 자계 중에서 손떨림 보정용 코일(FP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손떨림 보정시에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FP 코일)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에 손떨림 보정에 필요한 펄스폭 변조(PWM) 구동의 전류를 흘리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13-24938호 공보
휴대단말의 소형화, 저배화에 수반하여,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도 한층더 소형화, 저배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결과, 촬상 기판(센서 기판) 상에 배치된 촬상 소자(센서)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이 근접하여 배치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손떨림 보정시에는, PWM 구동의 전류가 손떨림 보정용 코일(FP 코일)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으로 흐른다. 이 때, 손떨림 보정용 코일(FP 코일)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의 주변에는, 소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약 190 kHz 전후)의 불필요한 전자파가 발생한다. 이 불필요한 전자파가 촬상 소자에 대해서 노이즈로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촬영 화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화상의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의 요점에 대해 말하면, 렌즈 홀더 구동장치는, 렌즈 배럴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와, 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를, 고정부에 대해서, 광축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도록 한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한다. 손떨림 보정부는, 고정부에 대해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영구자석에 대향하여 고정부상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의하면, 고정부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이 형성된 코일 기판과, 코일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손떨림 보정용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과, 이 전류에 기인하는 전자파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보다 아래쪽으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쉴드(shield)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파에 기인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촬영시의 화상을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서, 베이스상에 장착된 금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전자파 쉴드층의, 코일 기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촬상 소자 및 촬상 기판에 대한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 및 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카메라 모듈(7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카메라 모듈(70)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것처럼,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직교좌표계(X, Y, Z)에서 X축 방향은 전후 방향(깊이 방향)이고, Y축 방향은 좌우 방향 (폭방향)이고, Z축 방향은 상하 방향(높이 방향)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예에서 상하 방향(Z)가 렌즈의 광축(O) 방향이다. 그리고, 본 제1 실시형태에서, X축 방향(전후 방향)은 제1방향이라고도 불리고, Y축 방향(좌우 방향)은 제2방향이라고도 불린다.
단, 실제의 사용 상황에 있어서는, 광축(O) 방향, 즉, Z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된다. 다시 말하면, Z축의 윗방향이 전방이 되고, Z축의 아랫방향이 후방이 된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는, 후술하는 도시된 것과 같은, 오토 포커스 가능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web)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 등의 휴대단말에 구비된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는, 후술하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와, 휴대단말용 소형 카메라로 화상 촬영시에 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에 생긴 손떨림(진동)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후술함)를 포함하고, 상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고정부(13)에 대해서, 광축(O)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다.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는, 렌즈 배럴(12)을 장착할 수 있는 렌즈 홀더(24)(후술함)를, 광축(O)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되는 것처럼,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의 저부(底部)로부터 떨어져 고정부(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13)의 하부(후부(後部))에는, 촬상 기판(센서 기판)(72)상에 배치된 촬상 소자(센서)(76)가 탑재된다. 이 촬상 소자(센서)(76)는, 렌즈 배럴(1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소자(센서)(76)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촬상 기판(센서 기판)(72)과 베이스(14) 사이에는, 촬상 소자(센서)(76)를 가림과 동시에,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센서 커버)(7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70)은, 렌즈 홀더 구동장치(10) 외에, 렌즈 배럴(12)과, 촬상 기판(센서)(76)이 탑재된 촬상 기판(센서 기판)(72)과, 지지 부재(센서 커버)(7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고정부(13)는, 베이스(14)와, 코일 기판(40)과,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과, 금속판(46)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4)는 외형이 사각형이고 내부에 원형 개구(14a)를 가지는 링 형상을 하고 있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고정부(13)의 네 귀퉁이에서 제1단부(161)가 고정된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와, 후술하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의 영구자석(28)과 후술하는 것처럼 대향해서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을 가진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는, 광축(O)을 따라 연장되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 전체를,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는,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의 상단부에 후술하는 것처럼 고정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는, 고정부(13)에 대해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후술하는 것처럼, 영구자석(28)과 대향해서 떨어져 배치된 1장의 사각 링 형상의 코일 기판(40)을 구비한다. 이 코일 기판(40)은, 후술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4)상에 장착된다. 이 코일 기판(40)에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 고정부(13)는, 베이스(14)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 사이에, 그라운드에 접속된 금속판(46)을 구비하고 있다. 즉, 금속판(46)은 베이스(14)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은,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에 PWM 구동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금속판(46)은, 이 PWM 구동 전류에 기인하는 전자파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보다 아래쪽(즉, 촬상 소자(센서)(76)를 탑재하는 촬상 기판(센서 기판)(72)쪽)으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쉴드 부재로서 작용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금속판(46)은, 그 두께가 약 50μm인 양은(洋銀)(양백(洋白))으로 이루어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은(양백)은 가공성이 용이한 동 니켈 아연 합금이다. 또한, 금속판(46)의 재료로서 양은(양백) 대신에 인 청동(燐靑銅)을 사용해도 좋다. 어느 경우든, 금속판(46)은 도전성이 양호한 재료이면 좋다. 한편, 금속판(46)의 보다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도 3에 추가하여 도 8을 참조해서 나중에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에서는, 베이스(14)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 사이에 금속판(46)을 개재한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금속판(46)은 전기 회로상의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손떨림 보정용 코일(18)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에, PWM 구동의 전류가 흘렀을 때에 발생하는 소정 주파수(예를 들면, 약 190 kHz 전후)의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전자파가 촬상 기판(센서 기판)(72)으로 방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촬영시에 촬상 소자(센서)(76)로 촬상하여 얻어진 촬상 신호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촬상시의 화상을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베이스(14)와, 코일 기판(40)과,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과, 금속판(46)을 조합함으로써, 고정부(13)가 구성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는 AF 유니트라고도 불린다.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는, 렌즈 배럴(12)(도 7)을 지지하기 위한 통 형상부(240)를 가지는 렌즈 홀더(24)와, 이 렌즈 홀더(24)에 통 형상부(240)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링 형상의 포커스 코일(26)과, 포커스 코일(26)과 대향하여 포커스 코일(26)의 외측에 배치된 영구자석(28)을 지지하는 마그넷 홀더(30)와, 마그넷 홀더(30)의 광축(O) 방향의 제1 및 제2단부(30a, 30b)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 판스프링(32, 3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판스프링(32, 34)은, 렌즈 홀더(24)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광축(O)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판스프링(32)을 상측 판스프링이라고 부르고, 제2 판스프링(34)을 하측 판스프링이라고 부른다.
또, 전술한 것처럼, 실제의 사용 상황에서는, Z축 방향(광축(O) 방향)의 윗방향이 전방, Z축 방향(광축(O) 방향)의 아랫방향이 후방이 된다. 따라서, 상측 판스프링(32)은 전측 스프링이라고도 불리고, 하측 판스프링(34)은 후측 스프링이라고도 불린다.
마그넷 홀더(30)는 대략 사각 통형상을 하고 있다. 즉, 마그넷 홀더(30)는, 사각 통형상의 외통부(302)와, 이 외통부(302)의 상단(전단(前端), 제1단부)(30a)에 설치된 사각형의 상측 링형상 단부(304)와, 외통부(302)의 하단(후단, 제2단부)(30b)에 설치된 사각형의 하측 링형상 단부(306)를 가진다. 상측 링형상 단부(304)는, 네 귀퉁이에서, 각 귀퉁이에서 2개씩, 윗쪽으로 돌출하는 8개의 상측 돌기(304a)를 가진다. 하측 링형상 단부(306)는, 네 귀퉁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하측 돌기(306a)를 가진다.
포커스 코일(26)은, 사각 통형상의 마그넷 홀더(30)의 외형 형상에 맞춰 대략 사각 통형상을 하고 있다. 영구자석(28)은, 마그넷 홀더(30)의 사각 통형상의 외통부(302) 내벽에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된 4조각의 직사각형상의 영구자석편(282)으로 이루어진다. 이 4조각의 영구자석편(282)은, 포커스 코일(26)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각 영구자석편(282)은, 내주측이 N극으로 착자되고, 외주측이 S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상측 판스프링(전측 스프링)(32)은 렌즈 홀더(24)에서 광축(O) 방향 상측(앞쪽)에 배치되고, 하측 판스프링(후측 스프링)(34)은 렌즈 홀더(24)에서 광축(O) 방향 하측(뒤쪽)에 배치된다.
상측 판스프링(전측 스프링)(32)은, 렌즈 홀더(24)의 상단부에 후술하는 것처럼 장착되는 상측 내주측 단부(322)와, 마그넷 홀더(30)의 상측 링형상 단부(304)에 후술하는 것처럼 장착되는 상측 외주측 단부(324)를 가진다. 상측 내주측 단부(322)와 상촉 외주측 단부(324) 사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아암부(3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복수 개의 아암부(326)는 상측 내주측 단부(322)와 상측 외주측 단부(324)를 연결하고 있다.
렌즈 홀더(24)의 통 형상부(240)는, 그 상단에, 네 귀퉁이에서 윗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상측 돌기(240a)를 가진다. 상측 내주측 단부(322)는, 이들 4개의 상측 돌기(240a)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상측 구멍(322a)을 가진다. 즉, 렌즈 홀더(24)의 통형상부(240)의 4개의 상측 돌기(240a)는, 각각 상측 판스프링(32)의 상측 내주측 단부(322)의 4개의 상측 구멍(322a)에 삽입된 후, 열경화 수지를 도포 및 가열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측 외주측 단부(324)는, 마그넷 홀더(30)의 8개의 상측 돌기(304a)가 각각 삽입되는 8개의 상측 구멍(324a)을 가진다. 즉, 마그넷 홀더(30)의 8개의 상측 돌기(304a)는, 각각 상측 외주측 단부(324)의 8개의 상측 구멍(324a)에 삽입된 후 열용착 고정된다.
상측 판스프링(전측 스프링)(32)은, 상측 외주측 단부(324)의 네 귀퉁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온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를 더 가진다. 이들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는, 각각 상기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가 삽입(감입(嵌入))되는 4개의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을 가진다.
하측 판스프링(후측 스프링)(34)은, 렌즈 홀더(24)의 하단부에 후술하는 것처럼 장착되는 링 형상의 하측 내주측 단부(342)와, 마그넷 홀더(30)의 하측 링형상 단부(306)에 후술하는 것처럼 장착되는, 네 귀퉁이에 설치된 4개의 하측 외주측 단부(344)를 가진다. 하측 내주측 단부(342)와 상측 외주측 단부(344) 사이에는, 복수개의 하측 아암부(34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하측 아암부(346)는 하측 내주측 단부(342)와 하측 외주측 단부(344)를 연결하고 있다. 4개의 하측 외주측 단부(344)는 4개의 막대 모양의 접속 부재(34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구체적인 형상(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판스프링(32 및 34)은 렌즈 홀더(2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스프링의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는, 오토포커스 스트로크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능한 한 편차를 억제하여 설계치에 맞출 필요가 있다. 또, 판스프링의 광축(O)와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고차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와 마찬가지로 설계치에 맞출 필요가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판스프링의 두께, 아암부의 폭, 아암부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판스프링은, 압연된 금속판을 원소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판스프링의 판두께에 편차가 있고, 이에 의해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의 편차가 발생한다. 이 판스프링의 판두께의 편차를 원인으로 하는 스프링 상수의 편차를 막기 위하여, 판스프링의 아암부의 폭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판스프링의 아암부의 폭을 조정하는 것으로,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의 편차를 억제했다 하더라도, 광축(O)와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가 변화하여, 고차 공진 주파수의 편차가 생긴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스프링의 판두께 편차가 생긴 경우에도, 후술하는 것처럼,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 및 광축(O)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의 모두를 설계치에 맞추고, 또한 고차 공진 주파수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스프링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폭을, 판스프링의 판두께에 대응시켜, 그 양단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따로따로 구분하여 변경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양단 부분의 폭을 t1이라 하고, 중앙 부분의 폭을 t2라 하자.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단 부분의 폭 t1과 중앙 부분의 폭 t2를, 판스프링(32 및 34)의 판두께에 각각 대응시켜 변경함으로써,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와 광축(O)에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를 동시에 설계치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에 대해서, 양단 부분의 폭 t1의 치수는 크게 영향을 주지만, 중앙 부분의 폭 t2의 치수는 영향이 작다. 한편, 광축(O)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에 대해서, 양단 부분의 폭 t1의 치수는 비교적 영향이 작지만, 중앙 부분의 폭 t2의 치수는 크게 영향을 준다. 이 특징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단 부분의 폭 t1과 중앙 부분의 폭 t2를 적절한 치수로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32 및 34)의 판두께가 규정(원하는) 판두께보다 두껍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양단 부분의 폭 t1을 가늘게 하고, 광축(O)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가 너무 작아지지 않도록,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중앙 부분의 폭 t2을 크게 한다(t1<t2).
반대로, 판스프링(32 및 34)의 판두께가 규정(원하는)의 판두께보다 얇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양단 부분의 폭 t1을 크게 하고, 광축(O)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가 너무 커지지 않도록, 판스프링(32 및 34)의 아암부(326 및 346)의 중앙 부분의 폭 t2를 가늘게 한다(t1>t2).
이러한 스프링 형상으로 함으로써, 판스프링(32 및 34)의 판두께에 편차가 생겼을 경우에도, 광축(O) 방향의 스프링 상수와 광축(O)에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 상수의 모두를 설계치에 맞출 수가 있다.
하측 판스프링(34)의 하부에는, 4개의 막대 모양의 접속 부재(348)를 제외하고, 하측 판스프링(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스페이서(36)가 배치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스페이서(36)는, 하측 판스프링(34)의 하측 외주측 단부(34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네 귀퉁이에 설치된 4개의 외단부(364)와, 하측 판스프링(34)의 하측 내주측 단부(342) 및 하측 아암부(346)를 가리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측 링부(362)를 가진다.
렌즈 홀더(24)의 통형상부(240)는, 그 하단에, 네 귀퉁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하측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하측 내주측 단부(342)는, 이 4개의 하측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하측 구멍(342a)을 가진다. 즉, 렌즈 홀더(24)의 통형상부(240)의 4개의 하측 돌기는, 각각 하측 판스프링(34)의 하측 내주측 단부(342)의 4개의 하측 구멍(342a)에 삽입된 후, 열용착으로 고정된다.
한편, 하측 판스프링(34)의 하측 외주측 단부(344)는, 마그넷 홀더(30)의 4개의 하측 돌기(306a)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하측 구멍(344a)을 가진다. 스페이서(36)의 외단부(364)도, 이 4개의 하측 구멍(344a)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그넷 홀더(30)의 4개의 하측 돌기(306a)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하측 구멍(364a)을 가진다. 즉, 마그넷 홀더(30)의 4개의 하측 돌기(306a)는, 각각 하측 판스프링(34)의 하측 외주측 단부(344)의 4개의 하측 구멍(344a)을 경유하여, 스페이서(36)의 외단부(364)의 4개의 하측 구멍(364a)에 삽입된 후, 열용착으로 고정된다.
상측 판스프링(32)과 하측 판스프링(34)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는, 렌즈 홀더(24)를 광축(O)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상측 판스프링(32) 및 하측 판스프링(34)의 각각은, 베릴륨 동, 인 청동, 스테인리스 강철 등으로 이루어진다.
렌즈 배럴(12)을 렌즈 홀더(24)에 장착하려면, 렌즈 배럴(12)을 렌즈 홀더(24)내에 수용하고 접착제 등으로 서로 접합한다.
후술하는 것처럼, 포커스 코일(26)에 오토 포커스(AF) 전류를 흘림으로써, 영구자석(28)의 자계와 포커스 코일(26)에 흐르는 AF 전류에 의한 자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렌즈 홀더(24)(렌즈 배럴(12))를 광축(O)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는, 렌즈 홀더(24), 포커스 코일(26), 영구자석(28), 마그넷 홀더(30), 상측 판스프링(32), 하측 판스프링(34) 및 스페이서(36)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렌즈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전술한 것처럼, 고정부(13)의 네 귀퉁이부에서 제1단부(161)가 고정된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와, 상기 오토 포커스 렌즈 홀더용 구동부(20)의 영구자석(28)과 대향하여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을 가진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는, 광축(O)을 따라 연장되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 전체를,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는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것처럼, 상측 판스프링(32)의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는, 각각,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가 삽입(감입)되는 4개의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을 가진다(도 3 참조). 이 4개의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에,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를 삽입(감입)하고 접착제나 땜납 등으로 고정한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각 활 모양 연장부(328)가 L자 모양을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 중 2개는 포커스 코일(26)에 급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상술한 것처럼, 영구자석(28)은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4개의 영구자석편(282)으로 이루어진다.
렌즈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4편의 영구자석편(282)과 베이스(14) 사이에 삽입되어, 떨어져 배치된 1장의 링 형상 코일 기판(40)을 구비한다. 코일 기판(40)은, 그 네 귀퉁이에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를 삽입 관통하고, 또한 제1단부(161)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40a)을 가진다. 이 1장의 코일 기판(40)에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광축(O)에 대해서 각각,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영구자석편을, 각각 전측 영구자석편(282f), 후측 영구자석편(282b), 좌측 영구자석편(282l) 및 우측 영구자석편(282r)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코일 기판(40)에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18)로서 4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및 18r)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방향(전후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및 18b)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를 제1방향(전후 방향)(X)으로 이동(요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2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및 18b)는, 총칭하여 제1방향 액추에이터라고 불린다. 한편, 여기에서는, 광축(O)과 관련하여 앞쪽에 있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를 「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라고 부르고, 광축(O)과 관련하여 뒤쪽에 있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b)를 「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2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 및 18r)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를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이동(요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2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 및 18r)는, 총칭하여 제2방향 액추에이터라고 불린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광축(O)과 관련하여 좌측에 있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를 「좌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라고 부르고, 광축(O)과 관련하여 우측에 있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r)를 「우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시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에서, 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및 좌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는, 각각 대향하는 전측 영구자석편(282f) 및 좌측 영구자석편(282l)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분리되도록, 2개의 코일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는, 좌측 코일 부분(18fl)과 우측 코일 부분(18fr)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는, 전측 코일 부분(18lf)과 후측 코일 부분(18lb)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및 좌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의 각각은, 2개의 루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b) 및 우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r)의 각각은, 1개의 루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및 18r) 중, 제1방향(X) 및 제2방향으로 배치된 특정 2개의 손떨림 보정 코일부(18f 및 18l)의 각각은, 대향하는 영구자석편(282f 및 282l)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분리되도록, 2개의 코일 부분(18fl, 18fr 및 18lf, 18l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4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및 18r)는, 영구자석(28)과 협동하여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 전체를 X축방향(제1방향) 및 Y축방향(제2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또,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및 18r)와 영구자석(28)의 조합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에 수용된 렌즈 배럴(12) 그 자체를,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Y)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다. 따라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배럴 쉬프트 방식」 손떨림 보정부라고 불린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를 가리는 쉴드(shield) 커버(42)를 더 구비한다. 쉴드 커버(42)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의 외주 측면을 덮는 사각통부(422)와,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의 표면을 덮는 링형상 상측 단부(424)를 가진다. 상측 단부(424)는 광축(O)과 동심인 원형 개구(424a)를 가진다.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손떨림 보정부는, 베이스(14)(고정부(13))에 대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수단(5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위치 검출 수단(50)은, 베이스(14)상에 장착된 2개의 홀 소자(50f, 50l)로 이루어지는 자기(磁氣)식 위치 검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2개의 홀 소자(50f, 50l)는, 후술하는 것처럼, 4개의 영구자석편(282)중의 2개와 각각 떨어져 대향 배치되어 있다. 각 홀 소자(50f, 50l)는, 영구자석편(282)에서의 N극으로부터 S극으로의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한쪽의 홀 소자(50f)는, 그 홀 소자(50f)가 광축(O)에 대해서 제1방향(전후 방향)(X)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측 홀 소자라고 불린다. 다른쪽의 홀 소자(50l)는, 그 홀 소자(50l)가 광축(O)에 대해서 제2방향(좌우 방향)(Y)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측 홀 소자 라고 불린다.
전측 홀 소자(50f)는, 분할된 2개의 코일 부분(18fl, 18fr)을 가지는 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의, 2개의 코일 부분(18fl, 18fr)의 분리된 개소에서 베이스(14)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홀 소자(50l)는, 분할된 2개의 코일 부분(18lf, 18lb)을 가지는 좌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l)의, 2개의 코일 부분(18lf, 18lb)의 분리된 개소에서, 베이스(14)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2개의 홀 소자(50f 및 50l)는, 분할된 2개의 코일 부분(18fl, 18fr 및 18lf, 18lb)을 가지는 특정 2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및 18l)의, 2개의 코일 부분(18fl, 18fr 및 18lf, 18lb)의 분리된 개소에서, 베이스(14)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측 홀 소자(50f)는, 그에 대향하는 전측 영구자석편(282f)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제1방향(전후 방향)(X)의 이동(요동)에 수반된 제1위치를 검출한다. 좌측 홀 소자(50l)는, 그에 대향하는 좌측 영구자석편(282l)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제2방향(좌우 방향)(Y)의 이동(요동)에 수반된 제2위치를 검출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에서는, 낙하 충격 등에 의해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에 신장하는 방향의 힘이 걸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파단을 방지하는 파단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측 판스프링(32)은, 상측 외주측 단부(324)의 네 귀퉁이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어진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를 가진다. 이들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는, 그 선단부에, 각각 상기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가 삽입(감입)되는 4개의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을 가진다. 이 4개의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에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를 삽입하고, 납땜 또는 접착제에 의해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82)에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에서는,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에 베이스(14)(고정부(1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A)의 제2단부(162)가 상측 판스프링(32)의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가 탄성 변형하면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가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파단을 방지하는 파단 방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한편, 마그넷 홀더(30)는, 상측 링형상 단부(304)의 네 귀퉁이에서 윗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상측 스토퍼(308)를 가진다. 각 상측 스토퍼(308)는, 상측 판스프링(32)의 상측 외주측 단부(324)와 각 활 모양 연장부(328) 사이에 형성된 개구(32a)로부터 돌출해 있다.
다시 말하면, 4개의 상측 스토퍼(308)는, 마그넷 홀더(30)로부터 쉴드 커버(42)의 내벽면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이 4개의 상측 스토퍼(308)에 의해, 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의 윗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시 말하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가 윗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가 탄성변형되지만, 4개의 활 모양 연장부(328)가 꺽이기 전 및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에 파단하는 힘이 걸리기 전에, 마그넷 홀더(30)의 4개의 상측 스토퍼(308)가 쉴드 커버(42)의 상측 단부(424)의 내벽면과 당접한다.
즉, 4개의 상측 스토퍼(308)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파단 방지를 보조하는 파단 방지 보조 부재로서 작용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 고정부(13)(코일 기판(40))와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 사이에는, 클리어런스(틈새)가 거의 없다. 따라서, 비록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에 고정부(13)(코일 기판(40))로 접근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즉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가 고정부(13)(코일 기판(40))의 상면에 당접하므로,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가 좌굴(挫屈)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도 3에 추가하여 도 8도 참조하여, 베이스(14)와 코일 기판(40)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판(46)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과 그 탑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베이스(14)상에 장착된 금속판(46)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베이스(14)는, 그 원형 개구(14a) 근방의 반경 방향 외측의 대각선상에, 윗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위치 결정 돌기(142)를 가진다. 한편, 코일 기판(40)은, 이 4개의 위치 결정 돌기(142)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위치 결정 구멍부(40b)를 가진다.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도, 이 4개의 위치 결정 구멍부(40b)와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위치 결정 구멍부(44a)를 가진다. 따라서, 베이스(14)의 4개의 위치 결정 돌기(142)는, 각각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의 4개의 위치 결정 구멍부(44a)를 경유하여, 코일 기판(40)의 4개의 위치 결정 구멍부(40b)에 삽입된다.
베이스(14)에는,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2개의 홀 소자(50f, 50l)가 삽입되는 오목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는 것처럼, 코일 기판(40)의 이면에는, 그 중앙부에 있는 원형 개구(40c)를 따라, 4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및 18r)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6개의 랜드(18a)(도 3에서는, 2개의 랜드(18a만 도시함)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에는, 이 6개의 랜드(18a)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6개의 노치(notch)부(44b)가 원형 개구(44c)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6개의 노치부(44b)에 땜납 페이스트를 놓고, 땜납 리플로우 함으로써,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의 내부 배선(도시하지 않음)과 코일 기판(40)의 6개의 랜드(18a)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제어부는, 포커스 코일(16)에 흘리는 전류를 제어하거나, 2개의 홀 소자(50f, 50l)에서 검출된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2개의 방향 자이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기초하여 검출된 떨림을 상쇄하도록, 4개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및 18r)에 흘리는 제1 내지 제4의 IS전류를 제어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포커스 코일(26)로의 급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홀더(24)는, 그 상단에서 좌우 방향(Y)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돌기부(241 및 242)를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 제1 돌기부(241)는 우측으로 돌출해 있으므로 우측 돌기부로 불리고, 제2 돌기부(242)는 좌측으로 돌출해 있으므로 좌측 돌기부로 불린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포커스 코일(26)을 구성한 선재는, 제1 및 제2 말단부를 가진다. 포커스 코일(26)의 제1 말단부는, 렌즈 홀더(24)의 제1 돌기부(우측 돌기부)(241)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포커스 코일(26)의 선재의 제2 말단부는, 렌즈 홀더(24)의 제2 돌기부(좌측 돌기부)(24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포커스 코일(26)의 제1 및 제2 말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 부분으로 불린다.
한편, 제1 판스프링(상측 판스프링)(3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및 제2 판스프링편(32-1 및 3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판스프링편(32-1 및 32-2)은, 렌즈의 광축(O)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판스프링편(32-1)은 마그넷 홀더(30)의 제1단부(상단)(30a)에서 실질적으로 후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판스프링편(32-2)은 마그넷 홀더(30)의 제1단부(상단)(30a)에서 실질적으로 전측 및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판스프링편(32-1)의 우측에 있는 상측 내주측 단부(322)는, 렌즈 홀더(24)의 제1 돌기부(우측 돌출부)(24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우측(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제1 U자형 단자부(322-1)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2 판스프링편(32-2)의 좌측에 있는 상측 내주측 단부(322)는, 렌즈 홀더(24)의 제2 돌기부(좌측 돌출부)(24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좌측(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한 제2 U자형 단자부(322-2)를 가진다. 제1 U자형 단자부(322-1)는 우측 U자형 단자부라고도 불리고, 제2 U자형 단자부(322-2)는 좌측 U자형 단자부라고도 불린다.
제1 U자형 단자부(우측 U자형 단자부)(322-1)는, 렌즈 홀더(24)의 제1 돌기부(우측 돌출부)(241)에서, 포커스 코일(26)의 제1 말단부(제1 연결부분)와 납땜(도시하지 않음)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2 U자형 단자부(좌측 U자형 단자부)(322-2)는, 렌즈 홀더(24)의 제2 돌기부(좌측 돌출)(242)에서, 포커스 코일(26)의 제2 말단부(제2 연결부분)와 납땜(도시하지 않음)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전술한 것처럼,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중 2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도 3의 예에서는, 오른쪽 구석과 왼쪽 앞)의 제2단부(162)는,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을 통하여, 땜납(도시하지 않음)으로 활 모양 연장부(328)에 고정된다. 나머지 2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도 3의 예에서는, 왼쪽 구석과 오른쪽 앞)의 제2단부(162)는,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을 통하여,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활 모양 연장부(328)에 고정된다. 또한, 이 접착제 대신에 땜납을 사용해도 좋다.
또, 전술한 것처럼,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중 2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도 3의 예에서는, 오른쪽 구석과 왼쪽 앞)의 제1단부(161)는, 관통 구멍(40a)을 통하여, 땜납으로 코일 기판(40)의 랜드에 고정되어,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나머지 2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도 3의 예에서는, 왼쪽 구석과 오른쪽 앞)의 제1단부(161)는, 관통 구멍(40a)을 통하여, 땜납 또는 접착제로 코일 기판(40)의 랜드에 고정되지만,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은, 오른쪽 구석의 1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 제1 판스프링(상측 판스프링)(32)의 제1 판스프링편(32-1) 및 제1 U자형 단자부(우측 U자형 단자부)(322-1)를 경유하여, 포커스 코일(26)의 제1 말단부(제1 연결부분)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은, 왼쪽 앞의 1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 제1 판스프링(상측 판스프링)(32)의 제2 판스프링편(32-2) 및 제2 U자형 단자부(좌측 U자형 단자부)(322-2)를 경유하여, 포커스 코일(26)의 제2 말단부(제2 연결부분)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으로부터 2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 및 제1 판스프링(32)을 경유하여 포커스 코일(26)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금속판(46)은, 홀 소자(50f, 50l)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의 납땜된 자리를 피하도록 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다음에,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렌즈 홀더(24), 포커스 코일(26), 영구자석(28), 마그넷 홀더(30), 상측 판스프링(32), 하측 판스프링(34) 및 스페이서(36)를 조합함으로써,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를 제조한다.
한편, 상술한 땜납 리플로우에 의해, 코일 기판(40)과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의 조립체를 제작한다. 그 조립체를,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1단부(161)측에 설치된 베이스(14)상에 금속판(46)을 경유하여 탑재한다.
그리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를, 상기 조립체 및 금속판(46)을 경유하여 베이스(14)상에 탑재하고,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를 와이어 고정용 구멍(328a)을 통해, 땜납이나 접착제로 활 모양 연장부(328)에 고정한다.
또, 제1 판스프링(상측 판스프링)(32)의 제1 및 제2 U자형 단자부(322-1 및 322-2)를, 땜납으로 각각 포커스 코일(26)의 제1 및 제2 말단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마지막으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20)를 덮도록 쉴드 커버(42)를 씌우고, 쉴드 커버(42)의 하단을 베이스(14)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조립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의 치수는, 9.7mm×9.7mm×4.43mm이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베이스(14)의 4개의 위치 결정 돌기(142)와 스페이서(36) 사이의 제1 갭(δ1)과,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와 렌즈 배럴(12)의 저부 사이의 제2 갭(δ2)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홀더(24)의 하단 측에는, 강성이 강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36)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24) 및 렌즈 배럴(12)의 광축(O) 방향의 위치는 스페이서(36)에 의해 결정된다.
그렇지만, 렌즈 배럴(12)이 한 쌍의 판스프링(32, 3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낙하시의 충격과 같은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렌즈 홀더(24)와 렌즈 배럴(12)로부터 받는 충격으로 스페이서(36)가 휘게 된다. 그 결과, 렌즈 배럴(12)이 크게 이동하여, 렌즈 배럴(12)이 다른 부품과 접촉하여 부품끼리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렌즈 홀더 구동장치(10)를 카메라 모듈(70)에 조립해넣은 후에는, 렌즈 배럴(12)의 하부에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가 설치되므로, 충격에 의해 렌즈 배럴(12)이 크게 이동하면, 렌즈 배럴(12)이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와 접촉하여,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를 파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갭(δ2)를 상기 제1 갭(δ1)보다 크게 하고 있다(δ2>δ1).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충격 부하시에 스페이서(36)가 변형해 렌즈 배럴(12)이 하부를 향해 움직이더라도, 렌즈 배럴(12)이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에 부딪치기 전에, 베이스(14)의 4개의 위치 결정 돌기(142)의 선단과 스페이서(36)가 먼저 접촉한다. 그 결과, 렌즈 배럴(12)과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78)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카메라 모듈(70))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베이스(14)상에, 그라운드에 접속된 금속판(전자파 쉴드 부재)(46)을 장착하였으므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에 PWM 전류가 흘렀을 때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단하여, 그 불필요한 전자파가 촬상 소자(센서)(76)를 탑재한 촬상 기판(센서 기판)(72)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촬영시에 촬상 소자(센서)(76)로 촬상한 촬상 신호에 노이즈가 중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촬영시의 화상을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카메라 모듈(70)을 탑재한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은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의 소정 위치에 카메라 모듈(70)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로서 스마트 폰의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지만,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은,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여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에서 X축 방향은 전후 방향(깊이 방향)이고, Y축 방향은 좌우 방향(폭 방향)이고, Z축 방향은 상하 방향(높이 방향)이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하 방향(Z)이 렌즈의 광축(O) 방향이다. 한편, 본 제2 실시형태에서, X축 방향(전후 방향)은 제1방향이라고도 불리고, Y축 방향(좌우 방향)은 제2방향이라고도 불린다.
단, 실제의 사용 상황에 있어서는, 광축(O) 방향, 즉 Z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된다. 다시 말하면, Z축의 윗방향이 전방이 되고, Z축의 아랫방향이 후방이 된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도,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오토 포커스 가능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형 PC,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차량탑재용 카메라 등의 휴대단말에 구비된다.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와, 휴대단말용 소형 카메라로 화상의 촬영시에 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에 생긴 손떨림(진동)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포함하여, 상 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는, 고정부의 구성이 후술하는 것처럼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작을 한다. 따라서, 고정부에 13A의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의 손떨림 보정부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고정부(13A)에 대해서, 광축(O)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방향(전후 방향)(X) 및 제2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다.
도시한 고정부(13A)는, 금속판(46)대신에 금속 커버(47)를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3에 나타낸 고정부(1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금속 커버(47)는, 원형 개구(472a)를 가지는 판 형상의 금속판부(472)와, 이 금속판부(472)의 원형개구(472a)의 내벽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링 형상의 원통부(47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금속 커버(47)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및 드로잉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금속 커버(47)의 금속판부(472)는, 금속판(46)과 동일한 형상(구조)을 가진다. 따라서, 금속 커버(47)는 금속판(46)에 원통부(474)가 부가된 구조를 하고 있다.
금속 커버(47)의 금속판부(472)는, 베이스(14)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 사이에 개재된다. 금속 커버(47)의 원통부(474)는 코일 기판(40)의 원형개구(40c)를 규정하는 내주 측벽(40c)을 덮는다.
도시한 코일 기판(40)은, 다층 기판인 유리 에폭시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금속 커버(47)를 구비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A)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금속판(46)과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코일 기판(40)의 내주 측벽(40c)과 렌즈 배럴(12) 사이의 충돌을 막아, 코일 기판(40)이 깎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큰 더스트(dust)의 발생과 낙하를 막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전자파 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카메라 모듈)의 전체 구성은, 전자파 쉴드 부재의 구성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시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카메라 모듈 7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작을 한다.
도시한 전자파 쉴드 부재는, 금속판(46)대신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44)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전자파 쉴드층(46A)으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예에서 전자파 쉴드층(46A)은 전자파 쉴드 도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전자파 쉴드층(46A)을 구비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금속판(46)과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형태의 요점에 대해 설명하면, 렌즈 홀더 구동장치(10;10A)는, 렌즈 배럴(12)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24)를 광축(O)을 따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28)을 포함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와, 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고정부(13;13A)에 대해서, 광축(O)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도록 한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한다. 손떨림 보정부는, 고정부(13;13A)에 대해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6)와, 영구자석(28)에 대향해서, 고정부(13;13A) 상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형태에 의하면, 고정부(13;13 A)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이 형성된 코일 기판(40)과, 이 코일 기판(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과, 이 전류에 기인하는 전자파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보다 하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쉴드 부재(46;46A;47)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10A)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13A)는, 전자파 쉴드 부재(46;47)를 사이에 두고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과 대향하는 베이스(14)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전자파 쉴드 부재는, 베이스(14) 상에 장착되어 그라운드에 접속된 금속판(46;47)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떨림 보정부는, 베이스(14) 상에 장착된 복수의 홀 소자(50f;50l)를 더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금속판(46;47)은, 복수의 홀 소자(50f;50l) 및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의 납땜 자리를 피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금속판(46;47)은 동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합금은, 동 니켈 아연 합금 또는 인 청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쉴드 부재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전자파 쉴드층(46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파 쉴드층은, 예를 들어 전자파 쉴드 도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10A)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는, 예를 들면, 렌즈 홀더(24)에 고정된 포커스 코일(26)과, 렌즈 홀더(24)의 외주에 배치되어 영구자석(28)을 지지하는 마그넷 홀더(30)로서, 광축(O)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30a, 30b)를 가지는, 마그넷 홀더(30)와, 마그넷 홀더(30)의 제1 및 제2단부(30a, 30b)에 각각 장착되어, 렌즈 홀더(24)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광축(O)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32, 34)을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영구자석(28)은, 각각이, 포커스 코일(26)과 대향하는 제1면을 가지고, 광축(O)에 대해서 포커스 코일(26)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복수의 영구자석편(282f, 282b, 282l, 282r)으로 이루어지고,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은, 복수의 영구자석편의 제1면에 수직인 제2면에 각각 대향해서, 고정부(13;13A) 상에 배치된 복수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18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10A)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고정부(13;13A)의 외주부에서 제1단부(161)가 고정된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는, 광축(O)을 따라 연장되어,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고정부(13;13A)에 대해서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복수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는, 제1 판스프링(3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형태에 의하면, 상기 렌즈 홀더 구동장치(10;
10A)와, 렌즈 홀더(24)에 지지된 렌즈 배럴(12)과, 렌즈 배럴(1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76)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70)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70)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괄호내의 참조 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부여한 것으로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에 대해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고정부의 외주부에서 제1단부가 고정된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를 이용하고 있지만, 지지 부재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홀더 구동장치(10, 10A)에 한정되지 않고, 영구자석을 포함한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를 구비한 「무빙 마그넷 방식」의 렌즈 홀더 구동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출원은, 2013년 8월 9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13-166244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10, 10A 렌즈 홀더 구동장치
12 렌즈 배럴
13, 13A 고정부
14 베이스
14a 원형 개구
14b 오목부
142 위치 결정 돌기
16 서스펜션 와이어
161 제1단부
162 제2단부
18 손떨림 보정용 코일
18a 랜드
18f 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
18fl 좌측 코일 부분
18fr 우측 코일 부분
18b 후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
18l 좌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
18lf 전측 코일 부분
18lb 후측 코일 부분
18r 우측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
20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AF 유니트)
24 렌즈 홀더
240 통형상부
240a 상측 돌기
241 제1 돌기부
242 제2 돌기부
26 포커스 코일
28 영구자석
282 영구자석편
282f 전측 영구자석편
282b 후측 영구자석편
282l 좌측 영구자석편
282r 우측 영구자석편
30 마그넷 홀더
30a 제1단부
30b 제2단부
302 외통부
304 상측 링형상 단부
304a 상측 돌기
306 하측 링형상 단부
306a 하측 돌기
308 스토퍼(파단 방지 보조 부재)
32 제1 판스프링(상측 판스프링)
32-1 제1 판스프링편
32-2 제2 판스프링편
32a 개구
322 상측 내주측 단부
322a 상측 구멍
322-1 제1 U자형 단자부
322-2 제2 U자형 단자부
324 상측 외주측 단부
324a 상측 구멍
326 상측 아암부
328 활 모양 연장부(파단 방지 부재, 와이어 고정부)
328a 와이어 고정용구멍
34 제2 판스프링(하측 판스프링)
342 하측 내주측 단부
342a 하측 구멍
344 하측 외주측 단부
344a 하측 구멍
346 하측 아암부
348 접속 부재
36 스페이서
362 내측 링부
364 외단부
364a 하측 구멍
40 코일 기판
40a 관통 구멍
40b 위치 결정 구멍부
40c 원형 개구(내주 측벽)
42 쉴드(shield) 커버
422 사각통부
424 상측단부
424a 원형 개구
44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44a 위치 결정 구멍부
44b 노치부
44c 원형 개구
46 금속판(전자파 쉴드 부재)
46a 전자파 쉴드층
47 금속 커버(전자파 쉴드 부재)
472 금속판부
472a 원형 개구
474 원통부
48 금속 커버(충돌 회피 부재)
482 금속판부
482a 원형 개구
484 원통부
50 위치 검출 수단
50f 전측 홀 소자
50l 좌측 홀 소자
70 카메라 모듈
72 촬상 기판(센서 기판)
74 지지 부재(센서 커버)
76 촬상 소자(센서)
78 적외선 컷오프 필터(IRCF)
80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스마트 폰)
O 광축
X 제1방향(전후 방향)
Y 제2방향(좌우 방향)

Claims (13)

  1. 렌즈 배럴(12)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24)를 광축(O)을 따라 이동시키는, 영구자석(28)을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고정부(13;13A)에 대해서, 상기 광축(O)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도록 한 손떨림 보정부를 가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10;10A)로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고정부(13;13A)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상기 제1방향(X) 및 상기 제2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6)와,
    상기 영구자석(28)에 대향해서, 상기 고정부(13;13A) 상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3;13A)는,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이 형성된 코일 기판(40)과,
    상기 코일 기판(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과,
    상기 전류에 기인하는 전자파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보다 아래쪽으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쉴드 부재(46;46A;47)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13A)는, 상기 전자파 쉴드 부재(46;47)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과 대향하는 베이스(14)를 더 포함하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쉴드 부재가, 상기 베이스(14) 상에 장착되어 그라운드에 접속된 금속판(46;47)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베이스(14) 상에 장착된 복수의 홀 소자(50f;50l)를 더 가지고,
    상기 금속판(46;47)은, 상기 복수의 홀 소자(50f;50l) 및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의 납땜 개소를 피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46;47)이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이 동 니켈 아연 합금 또는 인 청동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쉴드 부재가,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4)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전자파 쉴드층(46A)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쉴드층이 전자파 쉴드 도료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는,
    상기 렌즈 홀더(24)에 고정된 포커스 코일(26)과,
    상기 렌즈 홀더(24)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영구자석(28)을 지지하는 마그넷 홀더(30)로서, 상기 광축(O)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30a, 30b)를 가지는, 상기 마그넷 홀더(30)와,
    상기 마그넷 홀더(30)의 상기 제1 및 제2단부(30a, 30b)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렌즈 홀더(24)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광축(O)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32, 34)을 구비하고,
    상기 영구자석(28)은, 각각이, 상기 포커스 코일과 대향하는 제1면을 가지고, 상기 광축(O)에 대해서 상기 포커스 코일(2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상기 제1방향(X) 및 상기 제2방향(Y)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복수의 영구자석편(282f, 282b, 282l, 282r)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18)은,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편의 제1면에 수직인 제2면에 각각 대향하여, 상기 고정부(13;13A) 상에 배치된 복수의 손떨림 보정용 코일부(18f, 18b, 18l, 18r)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고정부(13;13A)의 외주부에서 제1단부(161)가 고정된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는, 상기 광축(O)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오토 포커스용 렌즈 홀더 구동부(20)를, 상기 고정부(13;13A)에 대해서 상기 제1방향(X) 및 상기 제2방향(Y)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16)의 제2단부(162)는, 상기 제1 판스프링(32)에 고정되어 있는, 렌즈 홀더 구동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홀더 구동장치(10; 10A)와, 상기 렌즈 홀더(24)에 지지된 렌즈 배럴(12)과, 상기 렌즈 배럴(1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76)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70).
  13. 제12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70)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80).
KR1020167003359A 2013-08-09 2014-08-04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 KR20160040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6244 2013-08-09
JP2013166244A JP2015034912A (ja) 2013-08-09 2013-08-09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PCT/JP2014/070492 WO2015020003A1 (ja) 2013-08-09 2014-08-04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571A true KR20160040571A (ko) 2016-04-14

Family

ID=5246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359A KR20160040571A (ko) 2013-08-09 2014-08-04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78923A1 (ko)
EP (1) EP3032326A4 (ko)
JP (1) JP2015034912A (ko)
KR (1) KR20160040571A (ko)
CN (1) CN105452952A (ko)
HK (1) HK1221520A1 (ko)
TW (1) TW201508372A (ko)
WO (1) WO20150200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62A1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1356B2 (ja) *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10531480B (zh) 2014-03-05 2022-10-1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单元和包含该透镜移动单元的摄像头模块
US20170181335A1 (en) * 2014-09-30 2017-06-22 Panasom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hield cove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248085B1 (ko) * 2014-10-17 202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322840B1 (ko) * 2014-11-18 2021-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3035109B1 (en) 2014-12-17 2018-08-29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12904644B (zh) * 2014-12-29 2023-07-1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
EP3913416A1 (en) * 2015-01-16 2021-11-2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152863B1 (ko) * 2015-03-02 2020-09-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11663B1 (ko) 2015-03-18 2021-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6191849A (ja) * 2015-03-31 2016-11-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565340B2 (ja) * 2015-05-29 2019-08-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587238B1 (ko) * 2015-07-09 2023-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6549433B2 (ja) * 2015-07-14 2019-07-2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WO2017078393A1 (ko) 2015-11-04 2017-05-11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652734B2 (ja) * 2015-11-20 2020-02-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TWI579636B (zh) * 2015-11-23 2017-04-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電磁驅動模組及應用該電磁驅動模組之相機裝置
TWI559654B (zh) * 2015-12-18 2016-1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音圈馬達
US9939608B2 (en) 2015-12-18 2018-04-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Voice coil motor
TWI579629B (zh) * 2016-02-05 2017-04-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電磁驅動模組及應用該電磁驅動模組之鏡頭驅動裝置
US10447931B2 (en) * 2016-04-01 2019-10-15 Tdk Taiwan Corp. Camera module having electromagnetic driving assembly
CN105789233B (zh) * 2016-04-15 2019-12-17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Cmos图像传感器模组的感光元件移动式光学防抖方法
JP6853487B2 (ja) * 2016-05-31 2021-03-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7219675A (ja) * 2016-06-07 2017-12-1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用板バネ、レンズ駆動装置
EP3472665B1 (en) * 2016-07-22 2021-11-10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Pwm shielding in a camera
CN117950249A (zh) 2016-11-01 2024-04-30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CN108124092A (zh) * 2016-11-29 2018-06-0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基于长宽方向的光学防抖摄像模组及其成像方法和电子设备
JP6827791B2 (ja) 2016-12-14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用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6852432B2 (ja) * 2017-02-09 2021-03-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磁駆動ユニット
JP6852433B2 (ja) * 2017-02-09 2021-03-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磁駆動ユニット
JP2018189703A (ja) * 2017-04-28 2018-11-2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
JP6882675B2 (ja) * 2017-06-19 2021-06-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09683275B (zh) * 2017-10-18 2022-05-13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模块
JP6597751B2 (ja) * 2017-10-26 2019-10-30 株式会社ニコン アクセサリ
CN111712751B (zh) * 2017-12-20 2022-11-01 奇跃公司 用于增强现实观看设备的插入件
EP3525026A1 (de) 2018-02-09 2019-08-14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r fokusverstellung
JP7096484B2 (ja) * 2018-03-07 2022-07-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978966B2 (ja) * 2018-03-16 2021-12-08 Omデジタ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WO2019188387A1 (ja) * 2018-03-29 2019-10-0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
CN110412709A (zh) * 2018-04-28 2019-11-05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该镜头模组的组装方法
TWI664485B (zh) * 2018-08-07 2019-07-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及電子裝置
WO2020037681A1 (zh) * 2018-08-24 2020-02-27 太平洋未来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7140607B2 (ja) * 2018-09-04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防振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7321686B2 (ja) * 2018-09-04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システム
JP7163121B2 (ja) * 2018-09-27 202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GB201816864D0 (en) * 2018-10-16 2018-11-28 Cambridge Mechatronics Ltd Electromagnetic screening of an image sensor from an actuator in a camera
JP7313143B2 (ja) * 2018-12-25 202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US10754123B2 (en) 2018-12-31 2020-08-25 Datalogic Usa, Inc. Flex member actuator
JP7396803B2 (ja) * 2019-03-01 2023-12-12 株式会社きもと レンズ用スペーサ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遮光部材、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11871100B2 (en) * 2019-04-02 2024-01-09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module and blocking-type photosensitiv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N210112125U (zh) * 2019-08-22 2020-02-21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电子装置
CN114208400A (zh) * 2020-03-27 2022-03-18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柔性印刷布线板及抖动校正模块
KR20220001966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6114256A (zh) * 2020-08-14 2023-05-1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设备以及包括其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JP7453099B2 (ja) * 2020-08-31 2024-03-19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53098B2 (ja) * 2020-08-31 2024-03-19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3050246B (zh) * 2021-03-12 2023-06-09 新思考电机有限公司 一种底座连接组件、驱动装置、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3014785B (zh) * 2021-03-26 2023-04-07 新思考电机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组件、驱动装置、摄像模组及电子产品
EP4296771B1 (de) 2022-06-24 2024-05-29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r fokusv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634B2 (en) * 2005-02-28 2010-10-12 Tessera MEMS Technologies, Inc. Autofocus camera
JP4830512B2 (ja) * 2006-01-26 2011-12-07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CN102016708B (zh) * 2008-04-30 2013-07-3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JP2010109550A (ja) * 2008-10-29 2010-05-13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79049B2 (ja) *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JP2011158725A (ja) * 2010-02-01 2011-08-18 Nikon Corp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US8254769B2 (en) * 2010-03-04 2012-08-28 Tdk Taiwan Corp. Anti-shake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ar
JP5063739B2 (ja) * 2010-05-21 2012-10-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828686B2 (ja) * 2010-09-07 2015-12-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849483B2 (ja) * 2011-07-15 2016-01-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821356B2 (ja) *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3044902A (ja) * 2011-08-24 2013-03-04 Sigma Corp リニアモータを用いた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9151963B2 (en) *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JP2013134455A (ja) * 2011-12-27 2013-07-08 Nidec Copal Corp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US9060111B2 (en) * 2012-09-06 2015-06-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mpact camera module
JP6094423B2 (ja) * 2013-08-09 2017-03-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62A1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68144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45820B2 (en) 2016-12-13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08372A (zh) 2015-03-01
JP2015034912A (ja) 2015-02-19
WO2015020003A1 (ja) 2015-02-12
EP3032326A4 (en) 2017-01-18
EP3032326A1 (en) 2016-06-15
CN105452952A (zh) 2016-03-30
HK1221520A1 (zh) 2017-06-02
US20160178923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0571A (ko) 렌즈 홀더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
JP6094423B2 (ja)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5849830B2 (ja)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10527818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JP5849483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5821356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7219706B (zh) 透镜架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附带摄像机的便携终端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06946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카메라
KR102588578B1 (ko) 카메라 모듈
JP6346933B6 (ja) 光学手ぶれ補正機構
JP6086140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3044924A (ja) レンズ駆動装置
JP625264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JP617225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6008038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JP6264353B2 (ja) 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