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955A -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955A
KR20160034955A KR1020167003930A KR20167003930A KR20160034955A KR 20160034955 A KR20160034955 A KR 20160034955A KR 1020167003930 A KR1020167003930 A KR 1020167003930A KR 20167003930 A KR20167003930 A KR 20167003930A KR 20160034955 A KR20160034955 A KR 20160034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evice
camera
imaging
storage amount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658B1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자와
가즈히로 후루타
유우키 마루타니
고타 와타나베
유키 다카하시
료 가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2018702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5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 시스템(1)은 촬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장치(7)와, 상기 카메라 장치(7)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6) 등의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의 통신 어댑터(3)와, 카메라 장치(7)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를 구비하고, 표시 단말기는 카메라 장치(7)에 의해 소정 조건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짐으로써 촬상된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CAMERA SYSTEM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카메라 장치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외부의 조작 단말기로 열람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내를 촬상하는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고,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식재료를 관리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12-251722호
그러나, 원격지 등으로부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한 화상 정보(예를 들어 냉장고의 고내의 화상)를 열람하고자 생각하는 사용자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지 등으로부터여도 용이하게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 시스템은 촬상하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카메라 장치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기를 구비하고, 표시 단말기는 카메라 장치에 의해 소정 조건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짐으로써 촬상된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표시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에 의한 촬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톱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화상 표시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제1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화상 표시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제2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수납량 검지부 A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수광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수납량 검지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수납량 검지부 B의 전기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촬상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그 외의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공통되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대상인 냉장고(2), 냉장고(2)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 어댑터(3), 통신 어댑터(3)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액세스 포인트(4), 휴대 단말기(5)(표시 단말기, 외부 기기), 서버(6), 및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장고(2)의 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냉장고(2), 휴대 단말기(5), 서버(6) 및 카메라 장치(7)는 액세스 포인트(4) 및 외부 네트워크(8)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시스템(1)은 냉장고(2)의 고내의 화상을 취득하는 냉장고(2)용 화상 취득 시스템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냉장고(2)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 어댑터(3)는 액세스 포인트(4)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장고(2)의 상부에 착탈 가능(후면 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신 어댑터(3)를 냉장고(2)에 내장한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냉장고(2)와 액세스 포인트(4)의 사이를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여도 된다.
휴대 단말기(5)는 소위 스마트 폰(고기능 휴대 전화)이나 태블릿 PC 등을 상정하고 있고, 주택 안 또는 주택 밖으로부터 냉장고(2)나 서버(6)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기(5)는 주택 안이어도 광역 통신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8)를 경유하여 냉장고(2)측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5)의 표시부(5a)에는 터치 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인다.
서버(6)는 주지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화상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화상 정보란 화상을 나타내는 정보(데이터)이고, 예를 들어 비트맵 형식이나 JPEG 형식, MPEG 형식 등의 주지의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 포맷의 화상 데이터나 그 화상 데이터를 압축이나 암호화 또는 화상 처리 등에 의해 변환한 데이터 등, 서버(6)에 송신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휴대 단말기(5)로 화상을 열람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은 정지 화상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서버(6)에는 화상 정보 외에 냉장고(2)측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등)나 후술하는 촬상 설정(카메라 장치(7)로 촬상을 행하기 위한 조건) 등을 기억하고 있다.
이어서, 카메라 시스템(1)에 있어서의 냉장고(2) 및 카메라 장치(7)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대상이 되는 냉장고(2)는 제어부(10)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0)는 CPU(10a), ROM(10b), RAM(10c) 및 타이머(10d)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ROM(10b)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냉장고(2)의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조작 패널(11)로부터 설정된 운전 상태가 되도록 온도 센서(12)로 검출한 고내의 온도나 도어 개방 센서(13)로 검출한 도어의 개폐 상태 등에 기초하여 주지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장용 냉각기(14)나 냉동용 냉각기(15) 및 컴프레서(16)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냉장실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냉장실 조명(17)을 점등하고, 야채실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야채실 조명(18)을 점등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냉장실 조명(17) 및 야채실 조명(18)은 카메라 장치(7)에 촬상 타이밍인 것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냉장고가 갖는 저장실 중, 냉장실은 대략 세로로 긴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야채실은 대략 가로로 긴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냉장고(2)의 구성은 일례이다.
카메라 장치(7)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2)의 냉장실 내에 2개, 야채실 내에 1개의 합계 3개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7)(도 2에 냉장실 중앙부로 나타냄)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장실의 양쪽으로 여닫는 문의 내측(도어 포켓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에 냉장실의 거의 중앙이 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냉장실 전체가 정면측 즉 사용자의 시야와 마찬가지의 상태에서 촬상된다. 냉장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7)(도 2에 냉장실 하부로 나타냄)는 냉장실의 최하단의 선반널(도시 생략.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음)에 설치되어 있고, 최하단의 선반널에 놓여져 있는 식재료를 주로 하여 투명한 선반널을 통해 보아 상단측의 식재료 등도 촬상한다. 야채실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7)(도 2에 야채실로 나타냄)는 야채실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고, 야채실의 내부를 촬상한다.
이 카메라 장치(7)는 카메라 제어부(20)를 갖고 있다. 카메라 제어부(20)는 CPU(20a), ROM(20b), RAM(20c) 및 타이머(20d)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카메라 장치(7) 전체를 제어한다. 이 카메라 제어부(20)는 통신 모듈(21), 촬상부(22), 촬상 조명부(23), 전지(24), 조도 센서(25), 가속도 센서(26), 및 온도 센서(27) 등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 모듈(21)에 의한 화상 정보의 송신, 촬상부(22)에 의한 촬상 타이밍의 제어, 조명부(23)의 점등 제어(촬상할 때의 광원의 확보), 조도 센서(25)에 의한 후술하는 촬상 지시의 수신(접수) 등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한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도 행하고 있다.
통신 모듈(21)은 촬상부(22)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4)를 통하여 서버(6)로 송신되고, 서버(6)에서 복수의 화상 정보가 이력으로서 기억된다.
촬상부(22)는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22a)(도 3 참조. 상세는 후술함)를 구비하고 있다. 조명부(23)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있고, 촬상부(22)로 촬상할 때의 광원이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카메라 장치(7)에는 전원 스위치도 설치되어 있다. 전지(24)는 카메라 장치(7)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카메라 장치(7)는 내장하는 전지(24)에 의해 구동되는 점에서 전지 케이블이 불필요해지고,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전지(2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장고(2) 내와 같은 비교적 저온의 장소여도 우수한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리튬 전지를 채택하고 있다.
조도 센서(25)는 카메라 장치(7)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조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조도 센서(25)는 냉장실 조명(17)(또는 야채실 조명(18))에 의해 비춰진 고내의 조도를 검출한다. 이 조도 센서(25)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5)로부터의 촬상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카메라 장치(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지(24)에 의해 구동되는 점에서, 항상 카메라 제어부(20) 등이 동작 상태로 되어 있으면 전지(24)가 빨리 소모되게 된다. 이 때문에 카메라 장치(7)는 평소에는 슬립 모드(sleep mode)와 같은 저소비 전력 상태가 되어 있고, 촬상 타이밍이 되면 통상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사용자로부터의 촬상 지시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어떤 수신 수단을 구동해 둘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통신 모듈(21)을 구동시키면, 촬상 지시가 고내인 경우여도 항상 전력이 소비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지시는 냉장고(2)측의 통신 어댑터(3)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촬상 지시를 간접적으로 카메라 장치(7)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장치(7)는 평소에는 저소비 전력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전력 소비가 비교적 적은 조도 센서(25)에 통전해 두고, 촬상 지시를 수신한 냉장고(2)가 냉장실 조도(17)나 야채실 조도(18)를 소정 패턴으로 점멸시키면, 그 조도의 변화를 조도 센서(25)로 검출하여 통상 상태로 복귀하고, 조도의 변화 패턴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촬상 지시용 패턴과 일치하면 촬상 지시가 보내져 왔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조도 센서(25)는 촬상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26)는 소위 3축 센서이고, 카메라 장치(7)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으로 각각 검출함으로써, 카메라 장치(7)의 설치 방향(설치의 자세)을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를 갖고 있다. 이하, 도 3과 같이 케이스가 상하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편의적으로 세로 설치라고 칭하고, 케이스가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편의적으로 가로 설치라고 칭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형상의 카메라 장치(7)는 촬상 소자(22a)의 화소 수가 세로와 가로에서 상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세로 설치 및 가로 설치에 있어서 촬상 소자(22a)의 방향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세로 설치의 경우에는 촬상 소자(22a)도 세로로 길게(세로 방향의 화소 수가 가로 방향의 화소 수보다 많아지게) 되고, 가로 설치의 경우에는 촬상 소자(22a)도 가로로 길게(가로 방향의 화소 수가 세로 방향의 화소 수보다 많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장실은 세로로 긴 공간이고, 그 내부를 가능한 한 넓은 시야에서 촬상하기 위해서는 세로로 긴 시야에서 촬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야채실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공간이고, 그 내부를 가능한 한 넓은 시야에서 촬상하기 위해서는 가로로 긴 시야에서 촬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냉장실에서는 카메라 장치(7)를 세로 설치로 하고, 야채실에서는 가로 설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냉장고(2)와 같이 상하 방향이 설치시에 규정되는 경우에는 촬상된 화상 정보를 휴대 단말기(5)로 표시할 때에도 사용자가 실제로 냉장실(2)을 보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표시되는 것(즉, 상하 방향이 통일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가속도 센서(26)를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7)가 자신의 설치 방향을 판단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로 설치와 가로 설치에서 상하 방향이 통일되도록 화상 처리하는(화상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냉장실 중앙부의 카메라 장치(7)는 세로 설치로 설치되어 있고, 냉장실 하부 및 야채실의 카메라 장치(7)는 가로 설치로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27)는 카메라 장치(7)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지한다. 이 온도 센서(27)는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기준 온도를 설정해 두고,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냉장실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냉동실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등, 카메라 장치(7)의 설치 장소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7)가 냉동실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고장 등의 염려가 우려되기 때문에 「냉동실에 두지 않았습니까? 냉장실이나 야채실에 놓아 주세요」 등, 설치 장소가 상정 외라는 취지의 안내나 어드바이스 또는 경고 등을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5)에서 검지한다.
여기서, 카메라 장치(7)에 의한 촬상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장치(7)는 도 5에 도시하는 촬상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장치(7)는 전원이 ON되면, 통상 상태보다도 전력 소비가 적은 저소비 전력 상태(슬립 모드 등)로 이행한다. 이 저소비 전력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25)에 의한 조도 변화의 검출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7)는 촬상 타이밍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타이밍으로서 이하의 2개가 설정되어 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촬상 시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7)에는 소정 조건으로서 규칙적으로 촬상하는 타이밍인 촬상 시각이 설정된다. 카메라 장치(7)는 서버(6) 등으로부터 현재 시각을 취득함과 함께 타이머(20d)에 의해 시각을 계시하고 있고, 촬상 시각이 되면 촬상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정한다.
·촬상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25)에서 촬상 지시를 나타내는 조도의 변화를 검지하면, 촬상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정한다.
카메라 장치(7)는 어느 하나의 촬상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정하면(S1: '예'), 예를 들어 냉장실의 실내를 촬상하고(S2),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6)로 송신한다(S3). 이 스텝 S3에서는 카메라 장치(7)는 자신의 통신 모듈(21)로 액세스 포인트(4)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장고(2)를 경유하지 않고 화상 정보를 서버(6)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6)는 화상 정보를 수신하면 촬상된 시각 등의 촬상 조건과 대응 지워서 화상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서버(6)는 과거에 송신된 화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포함하여 소정 수의 화상 데이터를 촬상 이력(도 6 등 참조)으로서 기억한다.
그런데, 사용자는 서버(6)에 기억된 화상 정보를 휴대 단말기(5)로 열람할 수 있다. 이하, 휴대 단말기(5)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의 표시 양태 및 카메라 장치(7)에 대한 설정 방법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서버(6)에 액세스하면, 휴대 단말기(5)의 화면에는 도 5에 도시하는 톱 화면이 표시된다. 이 톱 화면에는 냉장고(2)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운전 상황 버튼(M1), 고내의 식재료를 관리하기 위한 식재료 관리 버튼(M2), 카메라 장치(7)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고내 카메라 버튼(M3), 냉장고(2)의 절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절전 설정 버튼(M4), 조작 방법 등을 표시하기 위한 취급 설명서 버튼(M5), 도움말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Q&A 버튼(M6), 현재의 냉장고(2)의 운전 상태(소비 전력이나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운전 상태 표시부(M7), 최신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최신 화상 표시부(M8), 화상 정보의 이력을 참조하기 위한 이력 버튼(M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내 카메라 버튼(M3) 또는 이력 버튼(M9)이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기(5)는 도 6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 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이 도 6은 냉장실 중앙 부근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7)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고, 시각 표시 버튼(M10), 화상 표시부(M11), 선택 버튼(M12), 촬상 버튼(M13), 회전 버튼(M14), 스테이터스 표시부(M15), 설정 버튼(M16) 등이 표시되어 있다.
시각 표시 버튼(M10)은 서버(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정보가 촬상된 촬상 시각(촬상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시각 표시 버튼(M10)이 터치 조작되면, 그 버튼에 나타나 있는 촬상 시각에 촬상된 화상이 화상 표시부(M11)에 표시된다. 도 6에서는 「6/7 PM 3:00 촬영」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빗금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6/6 PM 3:00 촬영」이 터치 조작되면 화상 표시부(M11)의 표시가 연동해서 전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과거 5개의 화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선택할 수 있는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최신의 화상 정보와 1일 전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등, 그 수를 변경하여도 된다.
화상 표시부(M11)는 선택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고, 도 6의 경우, 냉장실 중앙 부근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7)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7)의 설치 방향과 마찬가지로 가로로 긴 화상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상 정보가 촬상된 촬상 시각이 시각 표시 버튼(M10)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장치(7)측에서 광각 렌즈의 왜곡을 보정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M11)에는 왜곡이 없는 화상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5)는 화상 정보에 더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촬상하였을 때의 촬상 조건을 동일 화면에서 표시한다.
선택 버튼(M12)은 카메라 장치(7)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카메라 장치(7)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6의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7) 중, 냉장실 중앙 부근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7)에 대응하는 「냉장실 1」, 야채실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7)에 대응하는 「야채실 1」, 냉장실 하부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7)에 대응하는 「냉장실 2」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선택 버튼(M12)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카메라 장치(7)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냉장실 1」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빗금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선택 버튼(M12)은 카메라 장치(7)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이들 선택 버튼(M12)은 카메라 장치(7)의 설치 대수에 따라 표시되어 있고, 후술하는 설정 화면에서 설정이 행해진 카메라 장치(7)에 대응한 수의 버튼이 표시된다.
촬상 버튼(M13)은 현시점에서의 화상 정보를 촬상하기 위한 버튼이고, 사용자가 촬상 버튼(M13)을 터치 조작하면, 상기한 촬상 지시가 냉장고(2)를 경유하여 카메라 장치(7)에 전달되고, 카메라 장치(7)에서 현시점에서의 화상 정보의 촬상이 행해진다. 화상 정보가 촬상되면, 그 화상 정보가 서버(6)로 송신되고, 화상 표시부(M11)의 표시가 갱신된다.
회전 버튼(M14)은 화상 표시부(M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회전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7)측에서 상하 방향의 판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일은 적지만,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26)를 구비하지 않은 카메라 장치(7)의 경우, 회전 버튼(M14)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화상 정보의 상하를 변경할 수 있다.
스테이터스 표시부(M15)는 카메라 장치(7)의 상태 및 카메라 장치(7)와의 사이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의 상태를 표시함과 함께 전지(24)의 잔량을 표시한다. 여기서, 카메라 장치(7)의 상태란 예를 들어 온도 센서(27)에 의해 검출한 카메라 장치(7)의 설정 환경의 온도 등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7)가 냉동실에 설치된 경우, 온도가 빙점 아래가 되어 렌즈가 결로하거나 흐려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온도 센서(27)로 검출된 온도가 빙점 아래인 경우, 「카메라의 설치 장소를 확인해 주십시오」 등의 메시지가 스테이터스 표시부(M15)에 표시된다.
또는 사용자가 촬상 버튼(M13)을 터치 조작하고 나서 예를 들어 5분 정도 기다려도 새로운 화상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통신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스테이터스 표시부(M15)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등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전지(24)의 잔량도 카메라 장치(7)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스 표시부(M15)를 정상이면 흑색으로 표시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적색으로 표시하는 등, 그 표시 양태를 변화시켜 에러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설정 버튼(M16)은 카메라 장치(7)에 대한 각종 조건 설정(촬상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도 8 참조)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설정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도 6의 표시 상태에서 있어서 선택 버튼(M12)에 의해 「야채실 1」이 선택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M11)에는 야채실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7)로 촬상된 화상 정보가 표시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7)는 가로로 놓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M11)에는 가로로 긴 화상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5)는 세로로 긴 시야의 화상 정보와 가로로 긴 시야의 화상 정보 모두 표시 가능하다.
그런데,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표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 버튼(M16)을 터치 조작하면, 휴대 단말기(5)는 도 8에 도시하는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즉, 카메라 시스템(1)에서는 카메라 장치(7)에 대한 촬상 설정을 휴대 단말기(5)로부터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설정 화면에서는 카메라 장치(7)에 대한 각종 설정이 행해진다. 설정 화면에는 항목 표시부(M17)에 설치 장소 설정 에어리어(M18), 촬상 빈도 설정 에어리어(M19), 요일 지정 에어리어(M20), 시각 지정 에어리어(M21), 설치 방향 설정 에어리어(M22), 결정 버튼(M23), 리셋 버튼(M24), 및 리턴 버튼(M25)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설정은 서버(6)에 설정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다.
설치 장소 설정 에어리어(M18)는 카메라 장치(7)의 설치 장소를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장고 (2)에 대해서는 「냉장실 1」, 「냉장실 2」, 「냉장실 3」, 「야채실 1」, 「야채실 2」, 「야채실 3」의 6개가 미리 설치 장소로서 등록되어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7)를 냉장실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어 「냉장실 1」을 선택하는 등, 카메라 장치(7)의 설치 장소를 설정한다.
촬상 빈도 설정 에어리어(M19)는 촬상 빈도를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빈도(촬상하는 타이밍)로서 매일 정기적(규칙적)으로 촬상 시각이 되면 촬상하는 「매일」, 지정한 요일에 정기적으로 촬상 시각이 되면 촬상하는 「요일 지정」, 토요일과 일요일이나 축일 등을 제외한 평일에 정기적으로 촬상 시각이 되면 촬상하는 「평일만」,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졌을 때에만 촬상하는 「사용자 지정」이 미리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는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카메라 장치(7)의 촬상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방법이 미리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는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촬상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 촬상 방법 중, 「사용자 지정」은 단독으로도 선택할 수 있지만, 다른 어느 하나와 동시에 선택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장치(7)는 정기적 및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진 때에 화상 정보를 촬상할 수 있음과 함께, 휴대 단말기(5)는 정기적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짐으로써 촬상된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표시할 수 있다.
요일 지정 에어리어(M20)는 촬상 빈도 설정 에어리어(M19)에서 「요일 지정」이 선택되었을 때에 원하는 요일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임과 함께, 「매일」이 선택된 경우에는 모두가 선택 상태로 되고, 「평일만」이 선택된 경우에는 「월」 내지 「금」이 선택 상태로 된다.
시각 지정 에어리어(M21)는 촬상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사용자에 의해 희망하는 시각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귀가 전에 냉장고(2) 안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귀가 전의 시각(예를 들어 오후 3시 등)과 같이 설정하거나 독신 생활이면 조식을 만든 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출근 시각(예를 들어 오전 7시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설치 방향 설정 에어리어(M22)는 설정 대상이 되는 카메라 장치(7)가 세로 설치인지 가로 설치인지를 설정한다. 또한, 이 설정은 카메라 장치(7)가 스스로 설치 방향을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상기한 도 6(세로 설치의 예)이나 도 7(가로 설치의 예)에 도시한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의 표시 양태를 세로로 길게 할지 가로로 길게 할지의 설정 정보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결정 버튼(M23)은 상기한 각종 촬상 설정을 결정(등록)하기 위한 버튼이고, 리셋 버튼(M24)은 변경한 촬상 설정을 변경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리턴 버튼(M25)은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기 전의 표시 화면으로 되돌리기 위한 버튼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 시스템(1)에서는 카메라 장치(7)에 의해 정기적으로 또는 사용자가 촬상 지시를 행한 시각에 촬상된 화상을 예를 들어 원격지 등으로부터여도 휴대 단말기(5)에 의해 열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시스템(1)은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6) 등의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카메라 장치(7)와, 카메라 장치(7)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를 구비하고, 표시 단말기는 카메라 장치(7)에 의해 소정 조건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짐으로써 촬상된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쌍방)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으면, 원격지 등으로부터여도 용이하게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와 같이 냉장고(2)를 촬상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그다지 빈번하게 고내의 상황이 변화하는 것은 아니라는 현실적인 실정도 있고, 예를 들어 소정 촬상 시각에 정기적으로 촬상하는 것만이어도 실용상 충분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촬상 지시를 행하면 된다. 또한, 촬상하는 타이밍의 소정 조건으로서 식품의 수납량이 변화된 타이밍이나 식품의 수납량이 변화되었다고 추정되는 타이밍을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선반이나 용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식품 수납량 검지 수단)를 구비하고, 중량이 변화된 경우에 촬상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되었을 때에만 촬상하게 되어 통신의 낭비가 적어진다. 또한, 전지의 소모를 억제할 수도 있다. 식품 수납량 검지 수단으로서는 적외선 센서, 화상 인식 수단, 고내의 광량을 검지하는 수광량 검지 수단, 도어가 개방되면 식품을 사용하거나(꺼내거나) 혹은 넣었다고 추정하여 도어 개폐 수단(도어 개방 센서(13)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는 도어 개폐 기구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와 같이 서버(6)에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라면,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어디에서나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음과 함께, 카메라 장치(7)측에는 대용량의 기억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화상 정보를 열람할 때에는 카메라 장치(7)가 동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지(24)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7)에 대한 촬상 설정을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로부터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원격지로부터여도 설정의 변경·갱신을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는 화상 정보에 더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촬상하였을 때의 촬상 조건(일자 등)을 표시하기 때문에, 언제 촬상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정보와 촬상 정보를 동일 화면으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 촬상된 것인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장치(7)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표시 단말기로부터 카메라 장치(7)의 선택이 가능함과 함께, 선택된 카메라 장치(7)(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냉장실 1」에 대응하는 카메라 장치(7))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복수의 카메라 장치(7)를 설치하는 경우여도 간편하게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이때, 표시 단말기는 카메라 장치(7)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 장소(「냉장실 1」, 「야채실 1」, 「냉장실 2」 등)를 표시하기 때문에 어디를 촬상한 화상 정보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정보와 설치 장소를 동일 화면으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장소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7)에 대한 촬상 방법은 미리 등록되어 있고, 그 촬상 방법은 표시 단말기의 화면에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어느 하나의 촬상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카메라 장치(7)에 대한 촬상 방법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촬상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촬상 방법으로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촬상 시각에 촬상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촬상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 형태에서는 「매일」, 「요일 지정」이나 「평일만」 등, 복수의 정기적인 촬상 시각을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생활 스타일에 맞춘 원하는 촬상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촬상 방법으로서 표시 단말기로부터의 촬상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에 촬상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촬상 지시를 행함으로써 최신의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표시 단말기는 카메라 장치(7)의 가동 상태 및 카메라 장치(7)와의 사이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의 상태를 표시하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7)의 상태나 통신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7)는 전지(24)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 등이 불필요해져서 설치 장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7)에서는 촬상 지시의 수신 및 화상 정보의 송신을 무선 방식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단말기는 전지(24)의 잔량을 표시하기 때문에 충전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실시 형태와 같이 화상 정보와 전지(24)의 잔량을 동일 화면에서 표시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확인할 때에 전지(24)의 잔량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표시 단말기는 발생한 에러를 그 내용을 특정 가능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카메라 시스템(1)에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실시 형태와 같이 온도에 관한 에러를 표시하면, 카메라 장치(7)가 잘못된 설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와 같이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에 에러의 내용도 표시함으로써, 에러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온도 센서(27)에 의한 에러 표시 등은 카메라 장치(7)를 냉장고(2) 외부인 방의 실내에서 이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 고온이나 저온을 검지한 경우에 「방의 실내 온도가 이상합니다」 등의 표시를 하여 경고를 알리거나 「에어컨을 틀어 주세요」 등의 어드바이스를 알리거나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냉장고(2) 밖의 방의 화상(실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방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알림은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로 보내도 된다. 이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예를 들어 고령자(피간호자)의 자녀인 간호인을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는 고령자에게 에어컨을 켜도록 전화하여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애완 동물을 기르고 있는 사용자에게 송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둘러 귀가하여 에어컨을 켜는 등도 할 수 있다. 물론 표시 단말기로부터 에어컨의 ON OFF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냉장고(2) 대신에 에어컨에 촬상 수단을 부착한 경우에는 에어컨에 탑재된 온도 센서로 대용할 수 있고, 에어컨에 부착한 통신 수단에 의해 고온 저온 알림을 표시 단말기에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냉장고(2) 내에 탑재된 촬상 수단의 온도 센서가 일순간 온도가 높아진 경우에는, 냉장고(2)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하는 냉장고(2)의 도어 개폐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이 도어가 개폐 검출된 것을 상기와 같이 표시나 메일 어드레스로 송신하여 알려도 된다. 특히 도어가 소정 기간 열린 채로 있는 것을 검지하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입니다 등의 그 취지를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 전화하여 자녀에게 연락할 수 있기도 하다. 또한, 반대로 도어의 개폐가 소정 기간(예를 들어 2일간) 동안 도어의 개방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가 2일간 개방되지 않았습니다」라는 현상을 알려도 된다. 고령자의 간호자에게 메일을 송신함으로써, 간호자가 고령자에 대하여 식사를 하고 있는지 등의 접촉을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상 수단과, 그 촬상 수단으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간호인이나 애완 동물, 자녀의 안부를 확인하기 위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전 기기로서는 상기와 같이 냉장고(2)나 에어컨이나 카메라 장치(7)가 해당한다.
카메라 장치(7)는 그 시야가 설치 상태(세로 설치 또는 가로 설치)에 따라 세로로 길거나 또는 가로로 길어지는 것이고, 표시 단말기는 세로로 긴 시야의 화상 정보와 가로로 긴 시야의 화상 정보 중 어느 것이나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7)의 설치 방향이 변화되었다 하더라도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22a)의 촬상 화상을 잘라내어 송신 또는 표시하여도 되고, 정사각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세로 설치여도 가로 설치여도 화상 정보의 형태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기 쉬워짐과 함께 표시할 때에 레이아웃하기 쉬워진다.
표시 단말기는 과거에 촬상된 복수의 화상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 대상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단말기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휴대 단말기(5) 외에 노트북 PC, 데스트톱 PC여도 된다.
또한, 촬상 수단은 카메라 장치(7)와 같이 냉장고(2)로부터 착탈 가능하지 않고, 고정하여 제어부(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된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7)의 통신 모듈(21)과 냉장고의 통신 어댑터(3)를 공통화함으로써, 외부 기기로 화상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 통신 어댑터(3)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2)와 서버(6)와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를 연결하는 가전 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50)의 대상이 되는 냉장고(51)는 냉장실(52), 야채실(53) 및 냉동실(54) 등의 저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냉장실(52)은 좌측 도어(52a)와 우측 도어(52b)에 의해 개폐되고, 야채실(53) 및 냉동실(54)은 각각 서랍식 도어(53a), 도어(54a)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실(52) 내에는 복수의 선반널(55)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측면에 고내 조명(5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내 조명(56)은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LED 램프(56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냉장실(52)의 전면측이며, 선반널(55)과 도어의 사이(보다 엄밀하게는 선반널(55)과 도시하지 않은 도어 포켓의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냉장실(52)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도어(52b)의 내측, 냉장실(52)의 측벽에 복수의 카메라 장치(57)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좌측 도어(52a) 및 우측 도어의 각각에 대응하여 도어 개방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53) 및 냉동실(54)에도 카메라 장치(57) 및 도어 개방 센서(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52)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냉장실(52)의 전체를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선반널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는 각각의 선반널(55)에 놓여진 수납물을 촬상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메라 장치(57)에 한하지 않고 촬상 수단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단지 카메라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냉장고(5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냉장실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수납량을 검지하는 수납량 검지부(58)(수납량 검지 수단)와, 저장실 내에 있어서의 수납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부(59)(위치 검지 수단)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57)는 냉장고(51)의 제어부에 의해 촬상부(22)(렌즈부) 및 촬상 조명부(23)(촬상 조명 수단)가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장치(57)로 촬상된 화상 정보는 통신 어댑터로부터 외부의 서버(6)(도 1 참조) 등으로 송신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독립된 카메라 장치(7)(도 3 등 참조)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물론 된다.
수납량 검지부(58)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2개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첫번째는 냉장실(52) 전체의 수납량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사부(60)(조명 수단)와 수광부(61)(수광 수단)를 구비하고, 수광부(61)에서 수광한 광량에 기초하여 수납량을 검지하는 수납량 검지부(58A)가 채택되어 있다. 이 수납량 검지부(58A)는 예를 들어 냉장실(52)의 천정에 조사부(60)가 설치되고(도 9 참조), 냉장실(52)의 하부의 측면에 수광부(61)(도 9의 (B)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즉, 조사부(60) 및 촬상 조명부(23)는 수광부(61)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사부(60)는 카메라 장치(57)의 촬상 조명부(23)와는 상이한 색(파장대)의 광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부(60)는 청색의 광을 조사하고, 촬상 조명부(23)는 백색의 광을 조사한다. 또한, 조사부(60)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은 촬상 조명부(23)로부터 조사되는 광량보다 적게 되어 있다.
수광부(61)는 냉장실(52)의 측벽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서 설치되어 있는 수용부(62)에 수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광부(61)는 수용부(62)에 비스듬하게 수용되어 있는 기판(63) 상에 대략 대각선이 되는 위치에 2개 설치되어 있는 수광 센서(6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수광 센서(64)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수광부(61)는 상기한 조사부(60)의 청색의 광의 광량(조도)을 검지한다. 또한, 이 기판(63)에는 상기한 복수의 카메라 장치(57) 중 최하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장치(57)는 수광 센서(64)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57)의 주위에는 촬상 조명부(23)와 카메라용 제어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용 제어부(65)는 카메라 장치(57)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구동시에 발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수납량 검지부(58A)는 조사부(60)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부(61)에서 어떻게 수광되는지에 기초하여, 즉 수광부(61)에서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수납량을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사부(60)로부터 조사된 광은 냉장실(52) 내의 측벽이나 선반널(55), 선반널(55)에 놓여진 수납물(80) 등에서 반사하여 수광부(61)에 입사한다. 이때, 수광부(61)에 입사하는 광은 수납물 등에 차단되어 그 양이 변화된다. 그래서, 냉장실(52) 내에 수납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수광량을 기준값으로서 미리 측정해 두고, 수광 수단에서의 수광량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수납물의 수납량을 검지(또는 추정)할 수 있다.
수용부(62)는 냉장실(52)측이 커버 부재(66)에 의해 덮여 있고, 그 커버 부재(66)에는 카메라 장치(57) 및 수광부(61)용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촬상용 구멍부(67) 및 수광용 구멍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촬상용 구멍부(67)의 단면과 수광용 구멍부(68)의 단면을 1장의 도면 중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촬상용 구멍부(67)는 시야에 걸리지 않도록 그 벽부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광용 구멍부(68)에는 집광용 렌즈나 투명한 커버를 설치하거나 촬상용 구멍부(67)에는 카메라 장치(57)를 덮는 투명한 커버나 카메라용 렌즈를 설치하거나 하면 된다. 이들 렌즈나 커버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야채 찌꺼기 등의 오염이 묻지 않도록 커버 부재(66)의 표면이나 냉장실을 구성하는 이너케이스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 부재(66)의 표면보다도 안쪽의 수용부(62)측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 렌즈나 커버에 습기에 의해 결로한 경우에 결로한 물(물방울)이 흐르기 쉽고, 저장실 내에 배출할 수 있도록 각 구멍부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가는 홈을 형성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냉장실(52)의 선반널(55)이나 야채실(53) 또는 냉동실(54)과 같이 서랍식 도어로 수납 용기(70)째로 출납되는 저장실의 경우에는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중량 센서(69)로 구성한 수납량 검지부(58A)를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반널(55)의 받이부(71)에 중량 센서(69)를 설치해 두고, 수납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그보다도 중량이 증가하면 수납물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랍식 저장실의 경우, 도 1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용기(70)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72)측에 중량 센서(69)를 설치하고, 수납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그보다도 중량이 증가하면 수납물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중량 센서(69)는 수납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부(59)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중량 센서(69)를 선반널(55)의 4모서리에 각각 배치하고, 각각의 중량 센서(69)로 검지한 중량에 기초하여 중심 위치를 구함으로써, 수납물이 어느 선반널(55)의 어느 위치에 높여 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냉장실(52)에는 전체적인 수납량을 검지하기 위한 상기한 수납량 검지부(58A)와, 각 선반널(55)의 수납량 및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상기한 수납량 검지부(58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53) 및 냉동실(54)에는 상기한 수납량 검지부(58B)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장고(51)의 제어부는 도 15에 나타내는 촬상 처리에 있어서 수납량을 검지하면서(S10) 도어가 개폐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S11). 제어부는 도어가 개폐된 경우에는(S10: '예') 다시 수납량을 검지하고(S12), 수납량이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S12: '아니요')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한편, 제어부는 수납량이 변화된 경우에는(S12: '예') 수납량이 변화된 위치를 특정하고(S14), 해당하는 위치를 촬상한다(S15).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한 수납량 검지부(58A)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된 것이 검지되면, 냉장실(52) 전체의 수납량이 변화된 것으로 보아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에 의해 냉장실(52)의 전체를 촬상한다. 또한, 상기한 위치 검지부(59)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된 위치(예를 들어 가장 위의 선반널(55) 등)를 특정할 수 있으면, 그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에 의해 해당하는 위치를 촬상한다. 이때, 카메라 장치(57)는 촬상 조명부(23)를 점등하여 촬상한다. 또한, 이때 조사부(60)는 점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는 통신 어댑터를 통하여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6)로 송신한다(S16). 이때, 제어부는 수납량 검지부(58)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된 수납물의 위치를 위치 검지부(59)로 검지하고, 그 수납물의 위치도 화상 정보와 함께 서버(6)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수납량 검지부(58)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된 취지(검지 결과)를 예를 들어 냉장고의 도어 등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이나 표시부(LED나 액정 패널 등)(알림 수단에 상당함) 등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알림 수단에 상당함)로 송신한다. 또한, 수납물인 식품(식재료)을 판별하는 식재료 판별 수단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납량의 변화에 따라 화상과 함께 어느 식품이 변화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송신하면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색을 식별 가능한 색 식별 수단(화상 처리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하여도 됨)을 설치하고, 식품이 핏빛(적, 핑크계 등의 색)인 경우에는 수납물을 육류라고 판단하고, 백색(저장실의 내벽 색의 예)의 벽부인 장소에 새로 핏빛의 식품이 추가되어 색이 바뀜으로써 육류가 추가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면 된다. 또한, 녹색 계통의 색인 경우, 잎채소의 야채가 추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핏빛이나 녹색 계통의 색의 식품이 없어진 경우에는 이들 식품이 없어진(소비된) 취지를 알려도 되고, 핏빛이나 녹색 계통의 색의 식품의 양이 적어진 경우에는 감소한 취지를 알려도 된다. 즉, 식재료 판별 수단은 식재료의 종류의 판별뿐만 아니라 수납량을 검지하는 수납량 검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카메라로서 바코드를 판독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두고, 예를 들어 우유가 새로 추가되어 수납량이 변화된 경우 등에는 화상을 촬상함과 함께 바코드를 판독하여 우유가 추가된 것을 문자나 기호, 도안 등으로 조작 패널 등에 알리거나 화상과 함께 그 정보를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카메라뿐만 아니라 식품에 IC 태그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태그 검지 수단을 설치하여 식품 판별을 하고, 그 식품의 정보(판별 결과)를 알림·송신하면 된다. 또한, 이들 식품의 정보로서는 식품의 상미 기한이나 소비 기한, 트레이서빌리티 정보, 저장실에 수납되고 나서의 기간을 계시 수단에 의해 계시한 경과 기간 등을 알려도 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한 스텝 S13에 있어서 수납량의 변화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S13: '아니요'), 소정 시간, 수납량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S16: '예') 전체를 촬상한다(S17). 이 스텝 S17에서는 냉장실(52)의 전체가 촬상된다. 단, 아울러 야채실(53)의 전체나 냉동실(54)의 전체, 또는 각 선반널(55) 등, 냉장고(51)에 설치되어 있는 전부 또는 소정의 일부의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후, 제어부는 촬상한 화상 정보를 서버(6)로 송신한다(S15).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50)은 카메라 장치(57)의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실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수납량을 검지하는 수납량 검지 수단(수납량 검지부(58))을 구비하고,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되었을 때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한다. 이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된 경우에 촬상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정보인 수납량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57)의 촬상 대상이 되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 수단(도어 개방 센서(13))을 구비하고, 도어 개폐 검지 수단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검지되었을 때, 수납량 검지 수단(수납량 검지부(58))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되어 있으면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한다. 이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되지 않은 경우 등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촬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의 도어가 폐쇄된 후에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수납량을 검지하고, 수납량이 변화되어 있으면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한다. 즉, 출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에서 촬상한다. 이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폐쇄된 후란 폐쇄 직후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어의 폐쇄 후에 어느 기간만큼 대기하도록 하고, 그 후에 촬상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카메라 장치(57)의 렌즈의 서린 김이 제거되어 선명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수납량이 변화된 수납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수단(위치 검지부(59))을 구비하고, 위치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수납물의 위치를 송신하기 때문에 어느 수납물의 수납량이 변화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를 알림 수단(조작 패널, 휴대 단말기 등)에 알리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 의해 식재료가 출납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취지를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57)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된 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하기 때문에 어느 수납물의 수납량이 변화된 것인지를 즉석에서 파악할 수 있다.
수납량 검지 수단은 냉장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 수단(조사부(60))과, 저장고 내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수광부(61))을 구비하고, 수광 수단에 있어서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수납량을 검지한다. 이에 의해 냉장실(52) 전체 등의 넓은 범위의 수납량을 검지할 수 있다.
수납량 검지 수단은 중량 검지 수단(중량 센서(6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량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수납물이 놓여지는 탑재부(선반널(55), 서랍식 수납실 등)의 중량에 기초하여 수납량을 검지한다. 이에 의해 상기한 조사부(60)의 광이 도달하지 않는 장소여도 수납량을 검지할 수 있다.
중량 검지 수단은 저장실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수납량이 변화된 위치를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한다. 이에 의해 수납량이 변화된 위치를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57)를 복수 설치하고, 중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가 변화된 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하기 때문에, 수납량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51)는 촬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장치(57)와, 카메라 장치(57)에 의해 소정 조건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카메라 장치(57)의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실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수납량을 검지하는 수납량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되었을 때, 카메라 장치(57)로 저장실을 촬상한다. 이에 의해 원격지 등으로부터여도 용이하게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음과 함께 수납량이 변화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 수단 및 촬상 조명 수단은 도어나 천정면 등의 수광 수단과 직접적으로는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도가 잘못된 값으로서 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57)는, 수광부(61)와는 상이한 위치이며,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이 억제되는 도어나 측면 등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는 카메라 장치(57)에 대하여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입사가 억제되기 때문에 역광이 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조사 수단은 촬상 조명부(23)와는 조사하는 광량 및 색이 상이하기 때문에, 촬상 조명부(23)가 점등되었을 때에 수광부(61)가 오검지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색이 상이한 조사부(60)는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할 때에는 점등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이 파랗게 되도록 하는 부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촬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색과 상이한 청색 LED 등의 제1 발광 수단으로서는 그 파장이 거의 400nm인 청색의 광을 필터나 벽 등에 입혀진 촉매에 조사함으로써 여기시켜 탈취·제균을 행하는 가시광 촉매 장치나, 공기 절연 파괴함으로써 푸르스름하게 발광하여 이온, 라디칼(활성종), 오존을 발생시키는 코로나 방전 장치, 대향 전극과 액체를 방전 전극으로 하여 고전압을 인가하여 OH 라디칼을 함유하는 대전 미립자수를 발생시켜 전극이 푸르스름하게 빛나는 정전 무화 장치 등의 공기 절연 파괴 장치나, 저장실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냉장고(51)의 제어를 행하는 압압식 등의 조작부의 표시를 하는 녹색이나 적색, 오렌지 등의 LED 등의 표시 수단이 포함된다. 이 제1 발광 수단은 미리 프로그램에 기억된 소정 조건으로 발광하는 것이고, 촬상하는 경우에는 설정 조건으로 발광하는 제어를 무효로 함으로써(즉, 카메라의 촬상을 우선하고, 카메라로 촬상할 때에는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발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상에 불필요한 빛이 들어가지 않게 되어 깨끗하게(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 이 압압식 조작부(고내 조작부)는 수납부(62) 내에 택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커버 부재(66)에 조작 버튼을 설치하면 된다.
또한, 가시광 촉매 장치, 코로나 방전 장치, 정전 무화 장치는 소정 시간마다 구동하거나 댐퍼의 개폐에 연동하여 구동하는 제어로 하는 조건을 설정 가능하고, 고내 조작부의 조작에 기초하는 표시 수단의 발광은 조작의 ON/OFF를 조건으로 하여 제어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52)의 저면에 구비된 서랍식 특선실 등을 비추는 제2 조명 수단인 백색이나 다른 색의 LED는 좌우 상하의 벽이나 도어와 상이한 위치이며 공간의 중앙에 있기 때문에, 좌우 상하에 배치된 카메라의 화상에 비치기 쉬워 역광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마찬가지로 카메라의 촬상 타이밍에는 무효 또는 OFF로 하거나 촬상 중에는 점등을 일단 중지하고, 촬상이 종료된 후에 점등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하면 된다.
또한 가시광 촉매는 촬상용 구멍부(67)에는 카메라 장치(57)를 덮는 투명한 커버나 카메라 장치의 렌즈, 또한 수용부(62)를 덮는 커버 부재(66)의 표면에 도포하여 친수화 수단으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카메라의 렌즈나 투명 커버 등은 저장실에 노출 등 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로 등에 의해 흐려져서 촬상한 화상이 흐려진다는 과제가 있지만, 청색 LED 등의 제1 발광 수단인 촉매를 여기 가능한 가시광 발생 수단을 수용부(62) 내 또는 수용부 (62) 외에 설치하여 광촉매에 조사하거나 함으로써, 렌즈, 커버 등의 표면이 공기 중의 수분과 활성하여 OH 라디칼(친수성 수단)의 작용에 의해 친수화된다. 그렇게 하면 렌즈나 커버가 결로한 경우여도 물이 결합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표면이 물의 얇은 막이 되기 쉽고, 요철의 물방울이 생기기 어려워짐으로써 광의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표면을 흐려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의 촬상 방향에 위치하는 렌즈나 투명 커버에 친수성 수단이 생성된다. 또한 접촉함으로써 카메라에 의한 촬상한 화상도 희미해지는 일 없이 명확하게 촬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촉매는 특정 파장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공기 중의 세균을 제균하거나 공기 중의 악취 성분(유기 물질 등)을 산화나 분해 등을 하여 탈취할 수 있는 촉매이고, 공기 중의 성분을 활성화(이온화나 라디칼화)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균하거나 탈취할 수도 있다. 광촉매로서는 산화은이나 산화티탄을 이용할 수 있고, 산화은(인산지르코늄은을 포함함)에는 광의 파장은 약 400nm 내지 580nm 정도의 가시광의 청색 영역을 이용하고, 산화티탄에는 광의 파장은 380nm를 조사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의 광원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정전 무화 장치로서는 방전극의 선단은 뾰족해져 있어서 대극과의 사이에 -6k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극에 금속제 부재를 이용하여 금속제 부재를 냉각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의 결로수를 얻어 그 결로수를 정전 무화함으로써 입경이 나노미터 사이즈(입자경의 분포는 3 내지 50nm)인 대전 미립자수를 얻을 수 있고, 방전극의 선단에 푸르스름한 광이 발광하고, 전압을 인가하면서도 발광이 ON OFF하여 소정 간격(5초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의 구동도 소정 시간마다 ON OFF를 반복하는 제어로 하면 된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는 방전광이 비추기 어려워지도록 송풍구를 구비하는 커버 중에 수납하여도 되고, 정전 무화 장치를 천정에 덕트 형상의 커버 내에 배치하여 카메라 장치(57)를 천정 이외의 대향하지 않는 도어나 좌우 측벽 등에 배치하면 보다 방전광이 비추기 어려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가 배치된 저장실과 상이한 저장실에 카메라 장치(57)를 배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미스트를 발생시키면 저장실 내가 안개상으로 되어 카메라로 촬상한 경우에 안개로 비추기 어려워지는 과제가 있지만, 미스트의 입경을 나노미터 사이즈의 미립자수로 함으로써 안개상으로 되지 않아 클리어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나노미터 사이즈의 대전 미립자수(OH 라디컬을 포함함)이면 카메라 장치의 렌즈, 커버에 접촉하여도 결로도 하기 어려워 흐려지기 어려운 효과도 있다.
수광 수단 및 카메라 장치(57)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63)은 그 외형이 사각형이면서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각선 상에 수광부(61)를 배치하면, 냉장실(52)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거리를 잡을 수 있고,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큰 사각형의 기판(63)을 제조하는 것보다도 부재량을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광 수단과 동일한 기판(63)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는 적어도 한쪽의 수광 수단보다도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냉장실(52)의 최하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는 그 위치가 냉장실(52)의 중앙측에 가까워진다. 이에 의해 냉장실(52) 내를 넓게 촬상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장치(57)의 렌즈부는 상기 카메라 장치(57)를 제어하는 카메라용 제어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용 제어부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렌즈부를 따뜻하게 할 수 있고, 흐림 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장치(57) 및 수광 수단은 커버 부재(66)에 의해 덮여 있고, 그 커버 부재(66)에는 수광 수단이 수광하기 위한 수광용 구멍부(68)와, 상기 카메라 장치(57)가 촬상하기 위한 촬상용 구멍부(67)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납량의 검지와 선명한 화상의 촬상의 쌍방을 실현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촬상 지시에 따라 화상 정보를 촬상할 때, 촬상 지시를 행하고 나서 화상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통신 회선의 상황이나 상기한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 등에 의해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화상 정보가 송신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어도 되지만, 화상 정보가 갱신되었는지를 몇 번이나 확인함으로써 초조해하거나 단순히 기다리게 됨으로써 불만을 느끼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카메라 장치(7)측으로부터 화상 정보가 송신된 취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휴대 단말기(5)에 전자 메일 등으로 통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촬상 지시만을 행하면 화상 정보가 송신될 때까지는 특별히 카메라 시스템(1)을 사용자가 계속해서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지고, 초초함이나 불만을 느끼거나 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메일의 본문에 도 6 등의 URL을 기재해 둠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지 않아도 직접적으로 화상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접 화상 정보를 전자 메일에 첨부하여 송신하여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표시 화면이나 설정 화면은 일례이고, 레이아웃이나 문언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에서는 화면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화면의 크기에 맞춰 표시 항목을 증가시키거나 문자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정지 화상을 상정하였지만, 예를 들어 단기적인 영상(예를 들어 100초간의 동화상)을 정기적으로 촬상하거나 사용자의 촬상 지시에 따라 단기적인 동화상을 촬상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정보를 서버(6)로 송신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휴대 단말기(5) 등의 표시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촬상 지시가 행해진 경우에만 표시 단말기로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송신하는 경우여도 서버(6)에도 송신해 두고, 서버(6)에서 촬상 이력으로서 기억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카메라 장치(7)에는 반드시 가속도 센서(26)와 같은 방향 검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카메라 장치(7)에서 행해지는 화상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서버(6)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 장치(7)의 전지(24)의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7)의 설치 장소 및 설치 방향은 서버(6)에 설정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6)는 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7)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왜곡 보정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중량 센서(69) 이외에도 저장실 내를 주사하는 예를 들어 레이저 주사계와 같은 것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온도 센서로 저장실 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고, 그 온도 분포에 따라 위치를 검지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수납물이 존재하면 냉기의 흐름이 변화하는 점에서, 그 흐름을 검지함으로써 수납물을 검지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57)를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 채택하고,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수납물의 위치를 검지하여도 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57)는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화상 인식 등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납물의 종류를 판별하는 수납물 식별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장치(57)를 주로 식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품 식별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카메라 장치(57)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저장실의 밝기를 판단함으로써, 저장실의 조도를 검지하는 조도 검지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선반의 표면에 검지 수단을 배치하고, 물건이 높여진 것을 예를 들어 저항값이나 정전 용량의 변화 등에 의해 위치 검지와 수납량 검지를 행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알림 수단으로 수납량이 변화된 것을 알렸지만, 소정의 검지 기간에 있어서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변화가 생기지 않은 경우, 변화가 생기지 않은 취지를 알려도 된다.
수광 수단에서의 수광량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였을 때에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하여도 된다. 즉, 조도가 충분하면 촬상 조명부(23)를 이용하지 않고 촬상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선반널(55)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는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57)와는 달리 도어의 개폐 중이어도 시야가 벗어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도어가 개방될 때에 외부로부터 광이 들어온 상태나 고내 조명(56)이 점등한 상태에서 촬상함으로써, 촬상 조명부(23)를 사용하지 않고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한창 도어가 열려 있는 때에 촬상함으로써 예를 들어 옆의 도어의 도어 포켓을 촬상할 수 있어 도어 포켓의 음료 등의 수납량을 검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직후 등이면 또한 수납물의 출납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상정되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촬상한 화상을 수납량이 변화하기 전의 화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광 수단에서의 수광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고내 조명(56)을 점등하여 카메라 장치(57)로 촬상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가 개폐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기적으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지고, 더한층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57)의 촬상 조명부(23)를 조사 수단으로서 이용하고, 그 광의 수광 수단으로 검출함으로써 수납량을 검지하여도 된다. 또한, 조사 수단으로 수납량을 검지하고 있을 때에는 카메라 장치(57)에 의한 촬상이나 촬상 조명부(23)의 점등을 행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카메라 장치(57)를 설치하였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중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가 변화된 부위나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위치를 향하여 그 방향 또는 그 시야의 방향이 변경 가능한 카메라 장치(90)를 채택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카메라 장치(57)의 설치 대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9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 포켓(91)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90)의 가동 범위를 예를 들어 냉장실(52)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전역이 들어가는 정도이면서 도어 포켓(9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하 방향까지를 가동 범위로 하면 더욱 좋다. 또한, 카메라 장치(57)는 달걀을 수납하는 달걀 케이스가 탑재되는 도어 포켓의 상방에 배치하면, 달걀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기(물론 수납량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카메라 장치(57)나 조사부(60)의 설치 위치는 일례이고, 다른 위치여도 된다. 즉, 조사 수단 및 촬상 조명 수단이 수광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나 수광부(61)와는 상이한 위치이며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이 억제되는 위치란, 예를 들어 수광부(61)와 조사부(60)나 촬상 조명부(23)의 사이에 전용의 차광 부재를 설치하는 등의 구성이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조사 수단과 수광 수단의 조합을 복수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1 발광 수단은 카메라의 촬상시여도 발광의 제어를 유효한 채로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에 제1 발광 수단의 광이 비치고, 사용자에게 가시광 촉매 장치나 절연 파괴 장치(코로나 방전, 정전 무화)의 기능이 확실히 동작하고 있는 점이나 조작 후의 표시 결과를 인식시킬 수 있다. 특히 표시 수단으로서 조작에 의해 에너지 절약 제어로 운전된 경우에 그 표시를 에코 표시(녹색 표시)로 하여 에너지 절약을 상기시키는 발광색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음과 함께 에코 의식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로 촬상할 때에는 반드시 제1 발광 수단을 ON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2 발광 수단도 조도가 낮거나 고내 조명의 광이 들어오기 어려워 어두운 특선실을 밝게 하는 것이거나 제1 발광 수단과 같이 기능성을 갖는 발광 수단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유효하게 유지하거나 ON(점등)하여도 된다. 또한, 고내 조작부는 카메라 장치(57)의 수납부(52)와 상이한 별도의 수납부나 별도의 커버 부재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66)가 조작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렌즈에 응력이 가해져서 화상이 왜곡되거나 촬상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능을 갖는 저장실(이하, 편의적으로 조리실이라고 칭함)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그 조리실을 촬상하는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조리실은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과 같은 가열 수단(조리 수단)을 갖고, 소위 전자 레인지 등과 같은 조리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리실은 예를 들어 서랍식 도어나 회동식 도어에 의해 수납 용기나 선반널마다 개폐(출납)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조리실 상부의 칸막이판에 카메라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열 때나 출납할 때에 조리실 내의 수납 용기나 선반널에 올려진 조리품을 촬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트론 등의 조리 기능이 구동 중에는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촬상을 행하지 않거나, 또는 촬상한 화상 정보를 조리 종료 후에 송신하거나, 송신 에러를 고려하여 복수회 송신한다는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물론 수납량이나 위치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저장고 내와는 별도의 위치의 카메라의 화상이나 냉장고의 도어 개폐 회수나 에러 정보 등을 외부에 송신하는 무선 수단(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나 WiFi) 등에서는 마이크로파와 간섭하여 송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론의 정지 중에 무선으로 송신하면 된다. 또한, 마그네트론 구동 중에 카메라에 촬상 지시가 있는 경우에도 마그네트론의 정지 후에 재수신하거나 재송신하면 된다. 또한, 무선 수단은 철판 등으로 둘러싸인 마그네트론의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는 조리실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화상 정보 등을 외부에 용이하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량 센서의 검지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나 냉장고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때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무선 수단의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서는 2.4 내지 2.5GHZ대, 5GHZ대, 920MHz대를 이용하면 되지만, 마그네트론의 마이크로파의 주파수가 2.4 내지 2.5GHz대이기 때문에, 5GHz대나 920MHz대가 간섭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파수대가 마이크로파와 상이한 주파수대의 무선 수단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마그네트론은 구동 개시시에 2.4GHz 내지 2.5GHz 사이의 넓은 대역에서 마이크로파를 내고, 그 후 조리실 고내의 부하 상태 등에 따라 변화하지만, 비교적 좁은 범위의 주파수대에 수속하는 성질을 갖는다. 그 때문에 WiFi와 같이 동시에 넓은 범위의 주파수대를 필요로 하는 통신 방식에서는 마그네트론의 주파수와 랩하여 혼선하기 쉬워 송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지만, Bluetooth(등록 상표)와 같이 동시에 복수의 스폿 형상의 작은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구성이면, 하나의 주파수대가 랩하여도 별도의 주파수대에서 송신 가능해지고, 혼선할 가능성이 적어져서 송신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전자 레인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부엌 등에서 이용하는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냉장고나 부엌에서 이용할 목적의 카메라 장치에 외부로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도 가까이의 전자 레인지를 움직였을 때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무선 수단을 선택하거나 대역을 선택하는 것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수광용, 촬상용 구멍부에 설치하는 렌즈나 투명한 커버는 커버 부재(66)나 이너케이스 표면과 일치되게 또는 돌출시키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결로나 오염이 묻기 쉬운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렌즈나 커버를 닦기 쉬워짐과 함께 팬의 송풍이 미치기 쉬워져서 결로를 제거할 수 있고, 이온 발생 수단이나 라디칼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오염을 지우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식재료 판별 수단에 의해 새로 육류가 수납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통상보다 냉기를 송풍하는 팬의 회전수를 빨리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과냉각함으로써 상하는 것을 억제할(부패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새로 야채가 수납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육류일 때에 비하여 팬의 회전수를 느리게 하는 등 하여 육류와 냉각 능력을 달리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과냉각에 의해 야채가 상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팬을 복수 설치하고, 전부를 동시에 구동하여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풍량을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 등에 의해 냉각 능력을 가변으로 하여도 되고, 댐퍼의 개방량에 의해 냉각 능력을 가변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외출한 곳 등의 원격지에서 냉장고의 고내를 확인하는 것에는, 예를 들어 고내의 화상 정보가 송신되는 외부의 장치인 통신 단말기를 냉장고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이 통신 단말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냉장고의 외측으로부터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의 화상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의 도어 등에 착탈 불가능하게 표시부를 부착하여 그 표시부의 화상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외출한 곳 등이 아니어도 예를 들어 부엌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의 내부를 거실 등에서 확인하는 것도 원격지에서 확인하는 것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한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카메라 시스템
3: 통신 어댑터(송신 수단)
5 : 휴대 단말기(표시 단말기, 외부 기기, 알림 수단)
6 : 서버(외부 기기)
7 : 카메라 장치(촬상 수단)
11: 조작 패널(알림 수단)
50 : 카메라 시스템
51 : 냉장고
52 : 냉장실(저장실)
53 : 야채실(저장실)
54 : 냉동실(저장실)
56 : 고내 조명
57 : 카메라 장치
58 : 수납량 검지부(수납량 검지 수단)
59 : 위치 검지부(위치 검지 수단)
60 : 조사부(조사 수단)
61 : 수광부(수광 수단)
69 : 중량 센서(수납량 검지 수단, 위치 검지 수단)
63 : 기판
67 : 수광 센서
65 : 카메라용 제어부
66 : 커버 부재
67 : 촬상용 구멍부
68 : 수광용 구멍부

Claims (40)

  1. 촬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한 화상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소정 조건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촬상 지시가 행해짐으로써 촬상된 화상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에 대한 촬상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기는 화상 정보에 더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촬상하였을 때의 촬상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는 복수의 상기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표시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카메라 장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 장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 장치에 대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촬상 방법을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촬상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장치에 대한 촬상 방법을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방법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촬상 시각에 촬상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방법은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의 촬상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에 촬상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기는 발생한 에러를 그 내용을 특정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그 시야가 설치 상태에 따라 세로로 길거나 또는 가로로 길어지는 것이고,
    상기 표시 단말기는 세로로 긴 시야의 화상 정보와 가로로 긴 시야의 화상 정보 모두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기는 과거에 촬상된 복수의 화상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화상 정보가 촬상되었을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표시 단말기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실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수납량을 검지하는 수납량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검지 수단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검지되었을 때,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소정의 검지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변화가 생기지 않은 경우, 변화가 생기지 않은 취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된 수납물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수납물의 위치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카메라 장치 중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된 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은 저장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저장고 내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을 구비하고, 수광 수단에 있어서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수납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촬상시에 점등하는 촬상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할 때 상기 촬상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수광 수단으로 수광함으로써 수납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수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실의 도어가 폐쇄된 후에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수납량을 검지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수광량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4. 제 13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고 내를 비추는 조명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수광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5. 제 20 항 및 제 20 항을 인용하는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수단 및 상기 촬상 조명 수단은 상기 수광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수광 수단과는 상이한 위치이며, 상기 조명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이 억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7.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수단은 복수의 상기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것이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상기 조사 수단과는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8.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입사가 억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9. 제 20 항 및 제 20 항을 인용하는 제 2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수단은 상기 촬상 조명 수단과는 조사하는 광량 및 색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수단이 색이 상이한 것인 경우, 상기 조사 수단을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할 때에는 점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1. 제 21 항 및 제 21 항을 인용하는 제 22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수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기판은 그 외형이 사각형이면서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수광 수단을 구성하는 수광 센서보다도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의 렌즈부는 상기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카메라용 제어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수광 수단은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기 위한 수광용 구멍부와, 상기 카메라 장치가 촬상하기 위한 촬상용 구멍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4. 제 13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은 중량 검지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량 검지 수단으로 검지한 수납물이 놓여지는 탑재부의 중량에 기초하여 수납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검지 수단을 저장실의 복수 개소에 설치하고, 수납량이 변화된 위치를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카메라 장치 중, 상기 중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가 변화된 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7.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중량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가 변화된 부위를 향하여 본체의 방향 또는 시야의 방향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재료를 판별하는 식재료 판별 수단과,
    상기 식재료 판별 수단으로 판별한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재료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9. 제 13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색과 상이한 색의 제1 발광 수단 또는 저장실의 좌우 상하의 벽부 및 도어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제2 발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시에는 상기 제1 발광 수단 또는 상기 제2 발광 수단의 발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40. 촬상 수단으로서의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소정 조건으로 촬상된 화상 정보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 대상이 되는 저장실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수납량을검지하는 수납량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량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한 수납량이 변화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 장치로 저장실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7003930A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KR101907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22072A KR102333556B1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5596 2013-08-27
JPJP-P-2013-175596 2013-08-27
JP2013225438A JP6313014B2 (ja) 2013-08-27 2013-10-30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JPJP-P-2013-225438 2013-10-30
PCT/JP2014/067543 WO2015029582A1 (ja) 2013-08-27 2014-07-01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072A Division KR102333556B1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955A true KR20160034955A (ko) 2016-03-30
KR101907658B1 KR101907658B1 (ko) 2018-10-12

Family

ID=525861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930A KR101907658B1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KR1020187022072A KR102333556B1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KR1020207001710A KR20200009146A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072A KR102333556B1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KR1020207001710A KR20200009146A (ko) 2013-08-27 2014-07-01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389980B2 (ko)
EP (1) EP3041215A4 (ko)
JP (1) JP6313014B2 (ko)
KR (3) KR101907658B1 (ko)
CN (4) CN109547658A (ko)
TW (1) TWI583907B (ko)
WO (1) WO20150295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46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0655B2 (ja) * 2013-04-03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313014B2 (ja) * 2013-08-27 2018-04-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JP6629899B2 (ja) * 2013-08-27 2020-01-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KR20160089725A (ko) * 2015-01-20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0810540B1 (en) 2015-03-30 2020-10-20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determination based on weight data
JP6335847B2 (ja) * 2015-06-30 2018-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04949447A (zh) * 2015-07-28 2015-09-30 谈利民 一种智能购物冰箱
KR20170027246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7039219A1 (ko) 2015-09-03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23627B1 (ko) * 2015-09-03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8351151B (zh) * 2015-10-30 2020-05-15 三菱电机株式会社 冰箱
FR3044793A1 (fr) * 2015-12-03 2017-06-09 Agece Dispositif d'assistance au stockage de produits dans un refrigerateur
JP6818407B2 (ja) * 2015-12-10 2021-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内画像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279631A1 (en) * 2016-03-25 2017-09-28 Afero, Inc. Internet of things (iot)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WO2017179188A1 (ja) * 2016-04-15 2017-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それを含む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10341629B2 (en) * 2016-06-30 2019-07-02 Hipcam Ltd. Touch screen WiFi camera
US11016634B2 (en) * 2016-09-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torage system having a display
JP2018067885A (ja) 2016-10-21 2018-04-2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73498B2 (ja) * 2016-11-21 2020-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システム
JP6739547B2 (ja) * 2016-12-21 2020-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06642976A (zh) * 2016-12-28 2017-05-10 重庆金鑫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冰箱及外接设备
CN108322626A (zh) * 2017-01-18 2018-07-2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冰箱及其摄像系统
WO2018151918A1 (en) 2017-02-14 2018-08-23 Walmart Apollo, Llc Panel powered produce display table
US20180279637A1 (en) * 2017-04-04 2018-10-04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ditions of store produce display
JP6834842B2 (ja) * 2017-08-10 2021-02-24 オムロン株式会社 設定支援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設定支援プログラム
WO2019058590A1 (ja) * 2017-09-20 2019-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冷蔵庫、及び通信端末
CN107677039B (zh) * 2017-09-23 2020-05-15 张曦曦 一种智能冰箱
JP7012261B2 (ja) * 2017-10-06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967725B2 (ja) * 2017-10-06 2021-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の制御方法
JP7211700B2 (ja) * 2017-10-06 2023-01-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表示システム
JP7012263B2 (ja) * 2017-10-06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11506449B2 (en) 2017-11-27 2022-11-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system
DE102017221868A1 (de) 2017-12-05 2019-06-06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Sensor zum Detektieren einer Türbewegung
TWI658415B (zh) * 2018-03-23 2019-05-01 中國科技大學 智能冰箱管理裝置
CN110390820A (zh) * 2018-04-18 2019-10-29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路况信息提供系统及路况信息提供方法
JP7151176B2 (ja) * 2018-05-30 2022-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2619657B1 (ko) * 2018-06-15 2023-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와 서버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551358B1 (ko) * 2018-09-21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내 객체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101130B2 (ja) * 2019-01-22 2022-07-1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用遠隔制御装置、冷蔵庫用遠隔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73283B2 (ja) * 2019-02-01 2023-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
CN109974387B (zh) * 2019-03-07 2020-1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间室的照明控制方法与冰箱
WO2021014209A1 (en) * 2019-07-21 2021-01-28 Trax Technology Solutions Pte Ltd. Electronic visual displays in retail stores
US11335010B2 (en) * 2019-08-15 2022-05-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US11694501B2 (en) * 2020-02-17 2023-07-04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ed vending system and method
US11122203B1 (en) * 2020-05-26 2021-09-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camera modul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lens fog
JP7323491B2 (ja) * 2020-06-12 2023-08-08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KR102365894B1 (ko) * 2020-07-21 2022-02-2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냉장고 식재료 관리 장치 및 방법
JP7178575B2 (ja) * 2020-09-03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使用状況通知装置
US20220146190A1 (en) * 2020-11-09 2022-05-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s and methods for tracking stored items
JP2022100579A (ja) * 2020-12-24 2022-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EP4036212A1 (de) * 2021-01-27 2022-08-03 Eppendorf AG Inkubator und verfahren
US11493268B2 (en) * 2021-02-11 2022-11-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weight-detecting drawer assembly
US11927389B2 (en) 2021-02-25 2024-03-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weight-detecting shelf assembly
EP4218515A1 (en) 2021-03-12 2023-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utting boar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oking management method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2023020626A (ja) * 2021-07-30 2023-02-0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冷蔵庫
CN114111203A (zh) * 2021-11-24 2022-03-01 广西成电智能制造产业技术有限责任公司 食材移动识别系统、方法、设备及电路
US20230308611A1 (en) * 2022-03-28 2023-09-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ulti-camera vision system in a refrigerator appliance
EP4317410A1 (de) * 2022-08-02 2024-02-07 Eppendorf SE Inkubator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2906B (en) * 1993-10-13 1996-11-06 Dataquill Ltd Data enty systems
US6947571B1 (en) * 1999-05-19 2005-09-20 Digimarc Corporation Cell phones with optical capabilities, and related applications
US5691684A (en) * 1995-09-20 1997-11-25 Symbol Technologies, Inc. Article storage container with bar code scanning
KR0159715B1 (ko) * 1996-01-25 1999-01-15 김광호 냉장고의 도어개폐 제어방법
US6204763B1 (en) * 1999-03-22 2001-03-20 Jujitsu Limited Household consumable item automatic replenishment system including intelligent refrigerator
US7445550B2 (en) *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KR100351819B1 (ko) * 2000-03-30 2002-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영상표시기기 장착구조
KR100379486B1 (ko) * 2000-12-11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의 제어장치
GB2370709A (en) * 2000-12-28 2002-07-03 Nokia Mobile Phones Ltd Displaying an image and associated visual effect
JP2002243335A (ja) * 2001-02-21 2002-08-28 Toshiba Corp 食品保存庫、ホームネットワーク装置、携帯情報端末、食品情報提供サーバ、献立情報提供サーバ及び保存庫内収納情報提供サーバ
JP2002295959A (ja) * 2001-03-28 2002-10-09 Seiko Epson Corp 撮影装置付き冷蔵庫
CN2478043Y (zh) * 2001-04-23 2002-02-20 青岛市家用电器研究所 一种智能网络冰箱
JP2003090673A (ja) * 2001-09-17 2003-03-28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冷蔵庫収納品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30068415A (ko) * 2002-02-14 2003-08-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전자기기 및 카메라
JP2004183987A (ja) * 2002-12-04 2004-07-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CN1802544A (zh) * 2003-06-18 2006-07-12 布雷特亚瓦希里维Ad公司 电冰箱和电冰箱系统
US20050134710A1 (en) * 2003-12-18 2005-06-23 Toshiaki Nomura Imaging systems for use with patrol cars and patrol cars having such imaging systems
CN100350792C (zh) * 2004-04-14 2007-11-21 奥林巴斯株式会社 摄像装置
US20100231506A1 (en) * 2004-09-07 2010-09-16 Timothy Pryor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KR20060030773A (ko) * 2004-10-06 2006-04-11 정연규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US20060096303A1 (en) * 2004-11-10 2006-05-11 Kavounas Gregory T Home refrigerator systems imaging their interior and methods
TWI265263B (en) * 2004-11-19 2006-11-01 Chuen-Liang Shiu Intelligent refrigerator and the recognition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100690741B1 (ko) 2004-11-2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US9821344B2 (en) * 2004-12-10 2017-11-21 Ikan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anning information from storage area contents
US20060174641A1 (en) * 2004-12-13 2006-08-10 Liu Chi W Refrigerator with a display module
US20070139529A1 (en) * 2005-06-02 2007-06-2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ual mode image capture technique
US20060274153A1 (en) * 2005-06-02 2006-12-0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Third party storage of captured data
US9101279B2 (en) * 2006-02-15 2015-08-11 Virtual Video Reality By Ritchey, Llc Mobile user borne brain activity data and surrounding environment data correlation system
US20130002903A1 (en) * 2006-04-13 2013-01-03 Manico Joseph A Camera user input based image value index
US20070251521A1 (en) * 2006-04-28 2007-11-01 Restaurant Technology, Inc. RFID food production, inventory and delivery management system for a restaurant
JP2007329823A (ja) * 2006-06-09 2007-12-20 Fujifilm Corp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制御方法
JP4869981B2 (ja) * 2007-02-28 2012-0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機器の認証方法
US9032745B2 (en) * 2007-04-27 2015-05-19 Whirlpool Corporation Ice imaging system
US8713949B2 (en) * 2007-04-27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and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US8156748B2 (en) * 2007-04-27 2012-04-17 Whirlpool Corporation Ice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US8711102B2 (en) * 2007-06-15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with graphical position user input mechanism for selecting a display image
KR20090007970A (ko) * 2007-07-16 200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출력 장치 및방법
KR20090020901A (ko)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89119B1 (ko) * 2007-09-13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9094867A (ja) * 2007-10-10 2009-04-30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遠隔指示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248237B2 (en) * 2008-04-02 2012-08-21 Yougetitback Limited System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JP2010151367A (ja) * 2008-12-25 2010-07-08 Panasonic Corp 冷蔵庫
EP2373073B1 (en) * 2008-12-26 2016-11-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KR101517083B1 (ko) * 2009-05-11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5473536B2 (ja) * 2009-10-28 2014-04-16 京セラ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機能付携帯撮像装置
CA2957195C (en) * 2009-11-02 2017-10-10 Infinity Laser Measuring Llc Laser measurement of a vehicle frame
US8467133B2 (en) * 2010-02-28 2013-06-18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display with an optical assembly including a wedge-shaped illumination system
US20120061155A1 (en) * 2010-04-09 2012-03-15 Willow Garage, Inc. Humanoid robotics system and methods
CN101866173A (zh) * 2010-05-27 2010-10-20 刘坤 智能饮食信息系统
KR101818092B1 (ko) * 2010-11-10 2018-01-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시간 기반 체육 활동 측정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1047648A (ja) * 2010-12-08 2011-03-10 Panasonic Corp 冷蔵庫
US8653949B2 (en) * 2010-12-10 2014-02-18 Cheng-Tzong Lee Intellectual refrigerator combining with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13030B1 (ko) * 2010-12-29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055162B2 (en) * 2011-02-15 2015-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2193873A (ja) * 2011-03-15 2012-10-11 Nikon Corp 収納装置
JP2012251722A (ja)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冷蔵庫
KR101821818B1 (ko) * 2011-09-22 201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US8928783B2 (en) * 2011-09-26 2015-01-06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switchable edge extraction
JP2013124798A (ja) * 2011-12-14 2013-06-24 Panasonic Corp 冷蔵庫
US9373164B2 (en) * 2012-01-13 2016-06-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frigerator by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refrigerator employing same
JPWO2013125128A1 (ja) * 2012-02-22 2015-07-30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US10410177B2 (en) * 2012-06-30 2019-09-10 At&T Mobility Ii Llc Interactive inventory systems and methods
CN108955070A (zh) * 2012-07-27 2018-12-0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智能冰箱、包含该智能冰箱的冰箱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40095479A1 (en) * 2012-09-28 2014-04-03 Sherry S. Cha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cipe recommendation and recipe ingredient management
KR102024595B1 (ko) * 2013-04-25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6313014B2 (ja) * 2013-08-27 2018-04-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46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4617B (zh) 2018-11-20
EP3041215A4 (en) 2017-05-10
JP6313014B2 (ja) 2018-04-18
TW201512616A (zh) 2015-04-01
JP2015065630A (ja) 2015-04-09
KR102333556B1 (ko) 2021-12-01
US20160182864A1 (en) 2016-06-23
CN109327638A (zh) 2019-02-12
US20190335145A1 (en) 2019-10-31
CN109547658A (zh) 2019-03-29
US10389980B2 (en) 2019-08-20
TWI583907B (zh) 2017-05-21
CN109510915A (zh) 2019-03-22
KR101907658B1 (ko) 2018-10-12
CN109327638B (zh) 2020-11-17
CN105474617A (zh) 2016-04-06
CN109510915B (zh) 2021-03-26
WO2015029582A1 (ja) 2015-03-05
KR20200009146A (ko) 2020-01-29
KR20180088760A (ko) 2018-08-06
EP3041215A1 (en)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658B1 (ko)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JP6498866B2 (ja) 冷蔵庫、カメラ装置
JP6994017B2 (ja)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JP6411753B2 (ja) 冷蔵庫、及びカメラ装置
JP722305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